KR101831307B1 - Selfpropelled Transfer Device For Heavy Load - Google Patents
Selfpropelled Transfer Device For Heavy Lo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1307B1 KR101831307B1 KR1020170038516A KR20170038516A KR101831307B1 KR 101831307 B1 KR101831307 B1 KR 101831307B1 KR 1020170038516 A KR1020170038516 A KR 1020170038516A KR 20170038516 A KR20170038516 A KR 20170038516A KR 101831307 B1 KR101831307 B1 KR 1018313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grip
- rail
- transfer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6010033307 Ov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40 feed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8—Tracks on slip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L)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방측 방향으로 전후로 습동되는 이송바(104)를 포함하는 이송실린더(102)와;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L)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레일(L)의 상측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이송프레임(1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 구름휠(170)이 설치되어 상기 레일(L)의 상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고, 상기 레일(L)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그립바(190)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을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L)에 고정하는 그립부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전후 이동시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00) 또는 상기 이송프레임(11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그립부재(160)에 의해 상기 레일(L)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프레임(100) 또는 상기 이송프레임(110)이 상기 레일(L)을 따라 전,후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조로 고중량의 가공물을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이송실린더에 의해 고중량의 가공물을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이송 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그립부재의 양단에 설치되는 그립바가 그립작동바의 전후이동에 따라 동시에 레일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도록 구성되어, 그립부재에 의한 본체프레임 또는 이송프레임의 클램핑 동작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main body frame 100 includes a rectangular plate member and supports a plurality of parts. The main frame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rail 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transfer cylinder 102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100 and including a transfer bar 104 sli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frame 100 by hydraulic pressure; The upper end of the rail L is fix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cylinder 102. The upper end of the rail L is spaced apart from the rail 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conveyance frame 110 which is moved back and for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A rolling wheel 17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100 and the transfer frame 110 and is roll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L, And a grip member 160 provided with a grip bar 190 hold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frame 100 and the transfer frame 110 to selectively fix the main body frame 100 and the transfer frame 110 to the rail L; When the body frame 100 and the transfer frame 110 are moved back and forth, either the main frame 100 or the transfer frame 110 is fixed to the rail L by the grip member 160 The main body frame 100 or the transfer frame 11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L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ransfer cylinder 102. [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fer a workpiece of a high weight with a simple structure without using a separate drive means,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pparatus and transferring a workpiece of a high weight by the transfer cylinder. There is an advantage to be improved.
Further, the grip bar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grip member ar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fix and unlock the rails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grip operation bar, thereby improving the clamping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main frame or the transport frame by the grip memb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중량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프레임 및 이송프레임의 하부에 복수개의 그립부재가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고중량물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구동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이송실린더의 전후 이송동작 및 그립부재의 반복적인 클램핑 및 언클램핑 동작 그리고, 그립부재의 틸팅동작으로 고중량물을 평행레일은 물론 경사진 레일에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고중량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 object convey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grip members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main body frame and a conveyance frame to firmly fix a heavy object conveyed along a rail, , A back and forth feeding operation of the feeding cylinder, a repetitive clamping and unclamping operation of the grip member, and a tilting operation of the grip member, whereby heavy materials can be moved on the inclined rails as well as on the parallel rails .
일반적으로, 조선 및 해양 그리고 건설 플랜트에서 제조되는 대형구조물을 건조하는 경우에서, 예를 들면, 조선 선박 블록 구조물이 대형인 관계로 이송상의 문제가 있어 해상에 별도의 대형 도크를 제작하여 도크 내에서 대형구조물을 제작한 후, 도크에 물을 채워서 해상에 진수가 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도크를 별도 제작하는데 막대한 경비가 소요되며, 선박을 건조하는 제작기간 장기간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in the case of drying a large structure manufactured in shipbuilding, marine and construction plant,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in transportation due to a large shipbuilding ship block structure, so that a separate large dock is produced in the sea, The dock is filled with water to make it float on the sea after the large structure is manufactur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cost to manufacture the dock separately, and it takes a long period of time to dry the ship.
따라서, 최근에 대형구조물을 건조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도크가 필요 없게 육상에서 대형구조물을 건조한 뒤에 해상으로 이송시켜 진수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육상의 작업장과 육상의 선박건조장과 근접한 해상에 정박시킨 바지선에 다수열의 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레일에는 잭업실린더가 승하강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보기차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선박 건조장에서 받침목을 다수개 설치한 뒤에 그 받침목의 상부에서 대형구조물을 블록으로 제작하며, 이렇게 제작되는 각각의 대형구조물을 결합하여 선박의 건조를 완료한다.Therefore, recently, in case of drying a large structure, a large dock is not required, and a large structure is dried and transported to the sea for the purpose of launching. In this case, A plurality of rows of rails are installed on an anchored barge, and a plurality of view cars installed up and down the jack-up cylinders are movably installed on the rails, and a plurality of platforms are installed in the shipyard, Blocks are made, and each large structure thus constructed is combined to complete the drying of the ship.
상기와 같이 대형구조물의 제작이 완료된 뒤에는 받침곡 하측으로 보기차를 이동시킨 뒤에 보기차의 잭업실린더를 상승시켜서 보기차의 잭업실린더로서 대형구조물을 떠닫친다.After the large structure has been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view car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groove, and then the jack-up cylinder of the view car is raised, and the large structure is viewed as a jack-up cylinder of the view car.
이와 같이 제작된 대형구조물을 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장치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0-0051452에 개시되어 있다.A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large structure thus manufactured along a rail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51452.
상기의 중량물 이송장치는, 레일받침(2) 상부에 설치한 스키드레일 어셈블리(10)와, 스키드레일 어셈블리(10)의 레일(12)을 따라서 이동되는 바퀴(21)가 구비되며 상부에 중량물(3)이 안치되는 트레이(20)와, 트레이(20)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로드(30)와, 연결로드(30)의 타단에 연결되며 레일(12)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하는 클램핑수단(50)이 구비된 그립퍼 잭(40)과, 그립퍼 잭(40)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용 실린더(41)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장치(60) 등으로 구성된다.The heavy material transfer apparatus includes a skid rail assembly 10 provided on the rail support 2 and a wheel 21 moved along the rail 12 of the skidrail assembly 10, A connecting rod 30 connected at one end to the tray 20 and a clamping means 3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30 and clamping or unclamping the rail 12 A gripper jack 40 provided with a gripper jack 40 and a hydraulic device 60 for supplying a hydraulic pressure to a transfer cylinder 41 provided in the gripper jack 40,
이러한 중량물 이송장치는 스키드레일 어셈블리를 규격화함과 아울러 레일에 클램핑 및 언클램핑되는 그립퍼 잭의 작동성을 향상시켜 안전성 있는 클램핑을 보장할 수 있고, 제조가격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uch a heavy-goods conveying apparatus can standardize the skid-rail assembly and improve the operability of a gripper jack that is clamped and unclamped on the rail, thereby assuring safe clamping and greatl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그러나, 종래의 중량물 이송장치는 클램핑수단(50)이 레일의 한 지점만을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스키드레일 어셈블리(10)에 집중하중이 걸려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eavy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the clamping unit 50 is configured to fix only one point of the rail, so that a concentrated load is applied to the skid rail assembly 10 and is broken.
또한, 고중량물의 이송중에 상기 클램핑수단(5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스크드레일 어셈블리(10)가 고정되지 못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구동휠과 클램프수단이 각각 별도로 구성되고, 높이가 일정치 않은 레일에도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클램프수단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lamping means 50 during transportation of a heavy objec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because the screedrailer assembly 10 is not fixed, the driving wheel and the clamping means are separately 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applicable to a rail having a constant height, and the structure of the clamp means is complicated, resulting in a problem of poor assemblabilit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프레임 및 이송프레임의 하부에 복수개의 그립부재가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고중량물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구동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이송실린더의 전후이송 동작과 그립부재의 반복적인 클램핑 및 언클램핑 동작으로 고중량물의 레일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고중량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unting a grip member on a lower portion of a body frame and a transfer fram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vy-weight transporting apparatus capable of carrying heavy movement of a rail by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transport cylinder and the repetitive clamping and unclamping operation of the gripping member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drive uni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는, 레일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측 방향으로 전후로 습동되는 이송바를 포함하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이송실린더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실린더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레일의 상측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 구름휠이 설치되어 상기 레일의 상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고, 상기 레일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그립부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에 고정하는 그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의 전후 이동시에는, 상기 본체프레임 또는 상기 이송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그립부재에 의해 상기 레일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실린더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프레임 또는 상기 이송프레임이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igh-weight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comprising: a body frame, which is spaced apart from a rai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and supports a plurality of parts; A transfer cylinder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and including a transfer bar which is reciprocated back and forth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ain frame by hydraulic pressure; A transfer frame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rail and moves back and forth at the upper side of the rail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ransfer cylinder; A rolling wheel is installed and roll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And a grip member for gripping the main frame and the transfer frame selectively and fixing the main frame and the transfer frame to the rail, wherein when the main frame and the transfer frame are moved back and forth, The main body frame or the transfer fram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ransfer cylinder while being fixed to the rail by the grip member.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레일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상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어 상기 본체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구름휠과, 상기 레일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져, 내부에 설치되는 그립작동바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그립실린더와, 상기 그립실린더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레일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의 양측면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한 쌍의 그립부와, 상기 그립작동바의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그립작동바의 전후 이송에 따라 상기 그립부 사이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어 상기 그립부를 선택적으로 회동시키는 그립회동몸체를 포함한다.The grip member includes a pair of rail guide plates fixed to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nd the transfer frame and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rail, A rolling wheel which is rotatably fixed and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and guides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main frame and the transfer frame, and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rail guide plates A pair of grip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grip cylinder and rotat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ail to selectively grip both sides of the rail, And a pair of grip operating bars fixed to both ends of the grip operating bar, Depending on the feed is released after insertion, and inserted between the grip portion includes a grip for selectively rotating body rotates in the grip portion.
상기 그립회동몸체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우측단에서 좌측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그립부 사이의 삽입거리에 따라 상기 그립부의 파지력이 조절된다.The grip rotating body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outer diameter gradually smaller toward the left end from the right end so that the gripping force of the grip por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grip portions.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 상측에는, 상기 이송실린더의 전후 이동시 상기 이송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실린더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전후이동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전후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좌우측에 상기 이송바가 전후로 관통 설치되는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의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육면체 형성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전후로 관통되는 습동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바 습동몸체와, 상기 습동홀의 내부에 전후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이 상기 이송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바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전후이동가이드바를 포함한다.Wherein the front and rear movement guide members are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for guiding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transfer cylinder when the transfer cylinder is moved back and forth, A guide bar fixing plate which is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and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which is elongated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and which has the conveying bar passed through i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a guide bar movable body which is slidabl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sliding hole and whose end is connected to the transport plate so that the transport frame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ransport bar, Backward movement guide bar for guiding the rearward movement guide bar.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중공되어 다수의 부품이 수용되고, 상단부에 고중량의 가공물이 안착되는 받침블럭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pl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block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ving a hollow insid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a workpiece with a high weight placed on the upper end thereof.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heavy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과 이송프레임의 하부에 그립부재가 설치되며, 본체프레임과 이송프레임을 선택적으로 레일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프레임 또는 이송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송실린더를 이용하여 레일을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grip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main body frame and a transfer frame to securely fix the main frame and the transfer frame to the rail and to fix the main frame or the transfer frame in a fixed stat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using a cylinder.
따라서, 별도의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조로 고중량의 가공물을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이송실린더에 의해 고중량의 가공물을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이송 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transfer a workpiece having a high weight with a simple structure without using a separate drive means,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pparatus and transferring a workpiece having a high weight by the transfer cylinder, .
또한, 그립부재의 양단에 설치되는 그립바가 그립작동바의 전후이동에 따라 동시에 레일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도록 구성되어, 그립부재에 의한 본체프레임 또는 이송프레임의 클램핑 동작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grip bar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grip member ar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fix and unlock the rails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grip operation bar, thereby improving the clamping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main frame or the transport frame by the grip members.
그리고, 그립부재가 그립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진 레일구간에서 그립부재가 회동되어 원활할 레일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에 비해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Further, the grip member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the grip pivot axis, and the grip member is rotated in the upward or downward inclined rail s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the rail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부재의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부재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부재의 그립작동바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립바가 레일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부재의 그립작동바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립바가 레일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이송프레임의 그립부재가 레일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실린더가 작동되어 레일을 따라 본체프레임이 이송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이송프레임측에 고중량물이 안착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에 고중량물이 안착된 대차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avy objec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avy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avy-matt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avy-matt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rip memb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rip memb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rip memb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rip memb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 bar of the grip memb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grip bar fixes the rail.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 bar of the grip memb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grip bar releases the fixing of the rail.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frame is moved along the rails by operating the transfer cylinder with the grip member of the transfer frame fixed to the rail.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vy object is moved and moved to a transfer frame side of a heavy object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vy object trans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truck on which a heavy object is plac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heavy object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느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avy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avy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avy object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물 이송장치는, 레일(L)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방측 방향으로 전후로 습동되는 이송바(104)를 포함하는 이송실린더(102)와,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L)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레일(L)의 상측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이송프레임(1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 구름휠(170)이 설치되어 상기 레일(L)의 상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고, 상기 레일(L)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그립바(190)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을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L)에 고정하는 그립부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전후 이동시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00) 또는 상기 이송프레임(11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그립부재(160)에 의해 상기 레일(L)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프레임(100) 또는 상기 이송프레임(110)이 상기 레일(L)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1 to 4, a heavy objec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L)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하부면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The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부면에는 한 쌍의 이송실린더(102)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실린더(102)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이송실린더(102)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이송실린더(102)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되며, 사용환경이나 적용조건에 따라서는 공압 실린더가 적용될 수도 있다.A pair of
상기 이송실린더(102)는 내부에는 이송바(104)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바(104)는 상기 이송실린더(102)는 작동에 따라 도 1과 같이, 전방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이송실린더(102)는 후술할 이송프레임(110)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실린더(102)는 전후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상측에는 유압탱크(106)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탱크(106)는 내부가 중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유압탱크(106)는 내부 공간에 작동유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압탱크(106)는 상기 이송실린더(102) 및 후술할 유압탱크(106)와 연결되며, 작동유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A
상기 유압탱크(106)의 상측에는 유압모터(108)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모터(108)는 일반적인 유압모터(108)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압모터(108)는 상기 유압탱크(106)와 연결되어, 내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작동에 따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A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방측에는 이송프레임(110)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프레임(110)은 도 1과 같이,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레일(L)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상,하부면에는 각종 부품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A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상부면 양측에는 연결블럭(112)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블럭(112)은 육면체 형상으로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상부면 후방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연결블럭(112)의 후방측에는 연결편(114)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송바(104)의 끝단과 연결된다.The connection block 112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즉, 상기 연결블럭(112)의 연결편(114)에 이송바(104)의 끝단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핀(115)이 삽입되어, 상기 이송바(104)의 끝단에 상기 연결블럭(1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연결블럭(112)은 상기 이송바(104)의 끝단에 상기 이송프레임(1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fixing pin 11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ece 114 of the connecting block 112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conveying
상기 연결블럭(112)의 측면에는 고정바(116)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바(116)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블럭(112)의 측면에 수평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116)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전후이송가이드바(130) 및 대차연결부재(132)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A fixing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측 전방에는 전후이송가이드부재(120)가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가이드부재(12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방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좌우측에 상기 이송바(104)가 전후로 관통 설치되는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122)와, 상기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122)와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육면체 형성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전후로 관통되는 습동홀(128)이 형성되는 가이드바 습동몸체(126)와, 상기 습동홀(128)의 내부에 전후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이 상기 이송프레임(110)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바(104)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전후이송가이드바(130)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front and rear
상기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122)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방 상측에 좌우로 길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122)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방 상측에 고정되어, 후술할 습동몸체(126)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상기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122)의 좌우측에는 이송바관통홀(124)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바관통홀(124)은 상기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122)에 전후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이송바(104)가 상기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122)의 전방측으로 관통되도록 안내한다.A transfer bar through-
상기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122)의 양단에는 습동몸체(126)가 설치된다. 상기 습동몸체(126)는 육면체 블럭형태로 이루지며, 중앙에 전후로 관통되는 습동홀(128)이 형성된다. 상기 습동몸체(126)는 상기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122)의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습동몸체의 상기 습동홀(128) 내부에 후술할 전후이송가이드바(130)에 장착되어, 습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분이다.At both ends of the guide
상기 습동몸체(126)의 내부에는 전후이송가이드바(130)가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가이드바(13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전후이송가이드바(130)는 상기 습동몸체(126)의 내부에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이 상기 고정바(116)의 외주면을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작동에 따라 전후로 이송되는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한다.A forward / backward guide bar (130) is provided inside the sliding body (126). The front and rear transport guide bars 130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are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back. The front and rear conveying
즉, 상기 전후이송가이드부재(120)는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양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전후 이동시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front and rear
상기 고정바(116)의 끝단에는 대차연결부재(132)가 설치된다. 상기 대차연결부재(132)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고정바(116)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정바(116)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며, 끝단 하부에 대차고정홈(136)이 형성되는 대차연결바(131)와, 상기 대차연결바(13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고정바(116)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바고정판(138)과, 상기 연결바고정판(138)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대차연결바(131)의 연결바고정홈(134)에 삽입되어 상기 대차연결바(131)를 지지하는 지지핀(140) 등으로 이루어진다.A bogie connecting member 132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fixing
상기 대차연결바(131)는 도 1과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바(116)의 끝단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고정바(116)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대차연결바(131)의 후방측 하부에는 사각형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바고정홈(13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연결바고정홈(134)의 내부에는 후술할 지지핀(140)이 삽입되어, 상기 대차연결바(131)가 일정각도 이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대차연결바(131)의 전방측 끝단에는 대차고정홈(136)이 형성된다. 상기 대차고정홈(136)은 상기 대차연결바(131)의 전방측 하부면에 좌우로 관통 형성되어, 대차의 연결부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A
상기 대차연결바(131)의 측면에는 연결바고정판(138)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바고정판(138)은 사각 판재로 후방측에 장착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116)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고정볼트(미도시)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고정바(116)에 견고하게 고정된다.A connecting
상기 연결바고정판(138)의 전방 측면에는 지지핀(14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핀(140)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바고정판(138)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연결바고정홈(134)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핀(140)은 상기 연결바고정홈(134)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대차연결바(131)가 일정각도 이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A
즉, 상기 대차연결부재(132)는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대차(D)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이송프레임(110)에 대차를 견고하게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bogie connecting member 132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부재의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부재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부재의 그립작동바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립바가 레일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부재의 그립작동바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립바가 레일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rip memb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rip memb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rip memb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rip memb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 bar of the grip member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grip bar is fixed to the rail.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grip bar of the grip memb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the right,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is released is shown.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체결블럭(150)이 설치된다. 상기 체결블럭(15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체결블럭(150)은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5 to 10, a
상기 체결블럭(150)의 양측에는 그립회동축(152)이 설치된다. 상기 그립회동축(152)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체결블럭(150)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그립회동축(152)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그립부재(16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진 레일구간에서 후술할 그립부재(160)의 회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On both sides of the
즉, 도 6과 같이 상기 그립회동축(152)에 상기 그립부재(16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진 레일구간에서 상기 그립부재(160)가 회동되어 레일(L)과의 접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6, the
상기 그립회동축(152)의 외주면에는 그립부재(160)가 설치된다. 상기 그립부재(16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L)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와, 상기 한 쌍의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레일(L)의 상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구름휠(170)과, 상기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져, 내부에 설치되는 그립작동바(182)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그립실린더(180)와, 상기 그립실린더(180)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레일(L)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L)의 양측면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한 쌍의 그립바(190)와, 상기 그립작동바(182)의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그립작동바(182)의 전후 이송에 따라 상기 그립바(190) 사이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어 상기 그립바(190)를 선택적으로 회동시키는 그립회동몸체(200) 등으로 이루어진다.A
상기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레일(L)의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의 상측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회동축삽입홀(164)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의 회동축삽입홀(164) 내부에 상기 그립회동축(152)이 관통 삽입되어, 한 쌍의 상기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가 상기 그립회동축(15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The
또한, 상기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는 상기 레일(L)의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그립부재(160)의 레일(L)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 사이에는 그립지지프레임(166)이 설치된다. 상기 그립지지프레임(166)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양측면이 각각 서로 다른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그립지지프레임(166)은 상기 한 쌍의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서로 다른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A
상기 그립지지프레임(166)의 전,후방 양측면에는 그립바회동축삽입홈(188)이 형성된다. 상기 그립바회동축삽입홈(188)은 상기 그립지지프레임(166)의 측면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그립바회동축삽입홈(188)의 내부에는 후술할 그립바회동축(192)이 삽입되어, 상기 그립바(190)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부분이다.Grip bar coaxial insertion grooves 188 are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상기 그립지지프레임(166)의 하부면에는 구름휠(170)이 설치된다. 상기 구름휠(170)은 일반적인 바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름휠(170)은 도 8과 같이, 상기 그립지지프레임(166)의 하부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일(L)의 상부면을 따라 상기 그립부재(16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 rolling
상기 그립지지프레임(166)의 상부면에는 그립실린더(180)가 설치된다. 상기 그립실린더(180)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그립실린더(180)의 중앙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설치되는 그립작동바(182)가 설치되어, 상기 그립실린더(180)의 작동에 따라 도 9 또는 도 10과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그립실린더(180)는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그립작동바(182)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
상기 그립지지프레임(166)의 좌우측(도 8 참조)에는 그립바(190)가 설치된다. 상기 상기 그립바(19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그립바(190)는 상기 그립지지프레임(166)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하단부가 레일(L)의 양측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그립바(190)는 상기 그립실린더(180)의 작동에 따라 레일(L)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 또는 상기 이송프레임(110)을 고정한다.Grip bars 190 are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grip support frame 166 (see FIG. 8). The
상기 그립바(190)의 중앙 측면에는 그립바회동축(19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그립바회동축(192)의 중앙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축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그립바회동축(192)은 상기 그립바회동축삽입홈(188)에 장착되어, 그립바고정핀(19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A grip bar
따라서, 상기 그립바(190)는 상기 그립바회동축(192)을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그립실린더(180)의 작동에 따라 레일(L)의 양측면에 밀착된다.Therefore, the
상기 그립작동바(182)의 양단에는 그립회동몸체(200)가 설치된다. 상기 그립회동몸체(200)는 도 9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측에는 우측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그립회동몸체(200)는 상기 그립작동바(18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그립작동바(18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그립회동몸체(2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도 9와 같이, 상기 그립바(19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그립바(190)를 회동시킴에 따라 레일(L)에 상기 그립바(190)가 밀착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 또는 상기 이송프레임(110)이 고정된다.At both ends of the
반대로 상기 그립회동몸체(20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도 10과 같이, 상기 그립바(190)와 상기 그립회동몸체(200)의 밀착이 해제되어, 상기 그립바(190)의 레일(L) 고정이 해제된다.When the
또한, 상기 그립부재(160)의 작동 구조에 의해 상기 그립작동바(18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그립지지프레임(166)의 양단에 설치되는 상기 그립바(190)의 레일 고정 및 레일 고정해제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상부면에는 받침블럭(210)이 설치된다. 상기 받침블럭(21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중공되어 다수의 부품이 수용되고, 상단부에 고중량의 가공물(P)이 안착된다. 상기 받침블럭(210)은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가공물(P)의 하단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A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vy object conve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먼저, 레일(L)을 따라 고중량의 가공물(P)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이송프레임(110)의 받침블럭(210) 상측에 고중량의 가공물을 안착시킨다.First, in order to carry a heavy workpiece P along the rail L, a heavy workpiece is placed on the support block 210 of the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가공물(P)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도 12와 같이, 이송프레임(110)의 받침블럭(210)에 가공물을 안착시킨다. If the size of the workpiece P is small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operator, the workpiece is placed on the support block 210 of the
또한, 가공물(P)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대차(D)에 가공물(P)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대차(D)에 대차연결부재(132)를 연결하여 도 13과 같이 고중량물 이송장치와 대차를 연결한다. When the workpiece P is large, the bogie D is connected to the bogie linking member 132 in a state in which the workpiece P is seated on the bogie D, Lt; / RTI >
작업자에 의해 고중량물 이송장치에 고중량의 가공물(P)에 대한 안착이 완료되면, 레일(L)을 따라 고중량물의 가공물(P)을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When the worker P completes the placement of the workpieces P with a heavy load on the workpieces P, the workpieces P are moved along the rail L in a desired direction.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전방 이동시에는, 본체프레임(100)의 복수의 그립부재(160)가 작동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을 레일(L)에 고정한 상태에서 이송실린더(102)가 작동된다.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작동에 따라 이송바(104)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이송프레임(110)이 레일(L)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A plurality of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전방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그립부재(160)가 작동되어, 상기 이송프레임(110)이 이송된 위치에서 레일(L)에 고정된다. 상기 이송프레임(110)이 레일(L)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그립부재(160)의 레일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레일(L)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실린더(102)가 작동됨에 따라 고정된 상기 이송프레임(110) 측으로 상기 본체프레임(100)이 당겨져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전방이동이 이루어진다(도 11참조).When the forward movement of the
상기와 같은 과정의 반복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전방 위치에 고중량의 가공물에 대한 전방이동이 이루어진다.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a forward movement of a heavy workpiece is performed at a desired forward position by the operator.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후방 이동시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복수의 그립부재(160)가 작동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을 레일(L)에 고정한 상태에서 이송실린더(102)가 작동된다.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작동에 따라 이송바(104)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이송프레임(110)이 레일(L)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A plurality of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후방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그립부재(160)가 작동되어, 상기 이송프레임(110)이 이송된 위치에서 레일(L)에 고정된다. 상기 이송프레임(110)이 레일(L)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그립부재(160)의 레일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레일(L)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실린더(102)가 작동됨에 따라 고정된 상기 이송프레임(110) 후방측으로 상기 본체프레임(100)이 밀어져 고중량물 이송장치의 전방이동이 이루어진다.The
상기와 같은 과정의 반복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후방 위치에 고중량의 가공물에 대한 전방이동이 이루어진다.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worker moves forward to a desired position at a desired rear position.
이러한 고중량물 이송장치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그립부재와 이송실린더의 조합으로 고중량물의 가공물(P)을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립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복수의 그립부가 동시에 레일에 고정됨에 따라 고중량 이송장치의 견고한 레일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Such a heavy-weight material transferring apparatus not only can transfer heavy workpieces P by a combination of a simple gripping member and a transferring cylinder but also a plurality of gripping portions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gripping cylinder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n improved effect that a rigid rail fixing of a heavy-weight conveying apparatus can be achieved as it is fixed to a rail.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프레임 102. 이송실린더
104. 이송바 106. 유압탱크
108. 유압모터 110. 이송프레임
120. 전후이송가이드부재 130. 전후이송가이드바
132. 대차연결부재 150. 체결블럭
152. 그립회동축 160. 그립부재
162. 레일가이드플레이트 190. 그립부100.
104.
108.
120. Front and rear
132.
152.
162.
Claims (5)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방측 방향으로 전후로 습동되는 이송바(104)를 포함하는 이송실린더(102)와;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L)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레일(L)의 상측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이송프레임(1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 구름휠(170)이 설치되어 상기 레일(L)의 상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고, 상기 레일(L)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그립바(190)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을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L)에 고정하는 그립부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전후 이동시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00) 또는 상기 이송프레임(11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그립부재(160)에 의해 상기 레일(L)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프레임(100) 또는 상기 이송프레임(110)이 상기 레일(L)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방 상측에는,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전후 이동시 상기 이송프레임(110)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실린더(102)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전후이송가이드부재(1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전후이송가이드부재(12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방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좌우측에 상기 이송바(104)가 전후로 관통 설치되는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122)와;
상기 가이드바고정플레이트(122)의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육면체 형성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전후로 관통되는 습동홀(128)이 형성되는 가이드바 습동몸체(126)와;
상기 습동홀(128)의 내부에 전후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이 상기 이송프레임(110)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바(104)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전후이송가이드바(130);를 포함하는 고중량물 이송장치.A main body frame 100 spaced apart from the rail 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part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A transfer cylinder 102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100 and including a transfer bar 104 sli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frame 100 by hydraulic pressure;
The upper end of the rail L is fix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cylinder 102. The upper end of the rail L is spaced apart from the rail 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conveyance frame 110 which is moved back and for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A rolling wheel 17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100 and the transfer frame 110 and is roll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L, And a grip member 160 provided with a grip bar 190 hold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frame 100 and the transfer frame 110 to selectively fix the main body frame 100 and the transfer frame 110 to the rail L;
When the main body frame 100 and the transfer frame 110 are moved back and forth,
Wherein the body frame (100) or the transfer frame (110) is fixed to the rail (L) by the grip member (160) 100) or the transfer frame (110)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rail (L);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0,
Further comprising a front and rear conveying guide member (120) connected to the conveying frame (110) when the conveying cylinder (102) is moved back and forth and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onveying cylinder (102)
The front and rear conveying guide members 120,
A guide bar fixing plate 122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0 and made of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and elongated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and having the feed bar 104 inserted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guide bar sliding body 126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guide bar fixing plate 122 and having a hexahedron formed therein and having a sliding hole 128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And is movably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humidified hole 128 and has an end connected to the conveying frame 110 to guide the conveying frame 1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onveying bar 104 Back conveying guide bar (130).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L)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와;
상기 한 쌍의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레일(L)의 상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상기 이송프레임(11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구름휠(170)과;
상기 레일가이드플레이트(162)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져, 내부에 설치되는 그립작동바(182)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그립실린더(180)와;
상기 그립실린더(180)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레일(L)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L)의 양측면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한 쌍의 그립바(190)와;
상기 그립작동바(182)의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그립작동바(182)의 전후 이송에 따라 상기 그립바(190) 사이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어 상기 그립바(190)를 선택적으로 회동시키는 그립회동몸체(200);를 포함하는 고중량물 이송장치.The grip member (16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 member (160)
A pair of rail guide plates 162 fixed to both sides of the body frame 100 and the conveyance frame 110 and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rail L;
And is rotatably fixed between the pair of rail guide plates 162 and is moved in a rolling manner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L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transport frame 110 A rolling wheel 170;
A grip cylinder 180 which is fixed between the rail guide plates 162 and is formed of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and moves the grip operation bar 182 installed in the inside thereof back and forth;
A pair of grip bars 190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grip cylinder 180 and rotat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ail L to selectively grip both sides of the rail L;
And is inserted and released between the grip bars 190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grip bar 182 so as to selectively rotate the grip bar 190 And a gripping pivoting body (200) for moving the gripping body.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우측단에서 좌측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그립바(190) 사이의 삽입거리에 따라 상기 그립바(190)의 파지력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이송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grip rotating body (200)
And the gripping force of the grip bar (19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grip bars (190). Heavy material transfer device.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중공되어 다수의 부품이 수용되고, 상단부에 고중량의 가공물(P)이 안착되는 받침블럭(21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물 이송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 an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frame (110)
And a support block (21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hollow interior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a workpiece (P) having a high weight placed on an upper end there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8516A KR101831307B1 (en) | 2017-03-27 | 2017-03-27 | Selfpropelled Transfer Device For Heavy Lo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8516A KR101831307B1 (en) | 2017-03-27 | 2017-03-27 | Selfpropelled Transfer Device For Heavy Loa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1307B1 true KR101831307B1 (en) | 2018-02-22 |
Family
ID=6138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8516A Active KR101831307B1 (en) | 2017-03-27 | 2017-03-27 | Selfpropelled Transfer Device For Heavy Loa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130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617581A (en) * | 2024-07-05 | 2024-09-10 | 江苏阜华桩业有限公司 | A concrete prefabricated component mold stacking device and use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7481A (en) * | 2000-06-06 | 2001-12-18 | Mitsubishi Heavy Ind Ltd | Grasping mechanism of arm tip for working robot |
KR101044650B1 (en) * | 2010-12-15 | 2011-06-29 | 구수본 | Caisson feeder |
-
2017
- 2017-03-27 KR KR1020170038516A patent/KR10183130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7481A (en) * | 2000-06-06 | 2001-12-18 | Mitsubishi Heavy Ind Ltd | Grasping mechanism of arm tip for working robot |
KR101044650B1 (en) * | 2010-12-15 | 2011-06-29 | 구수본 | Caisson feed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617581A (en) * | 2024-07-05 | 2024-09-10 | 江苏阜华桩业有限公司 | A concrete prefabricated component mold stacking device and use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525578B (en) | Pod installation device and method | |
KR101831307B1 (en) | Selfpropelled Transfer Device For Heavy Load | |
JP4889462B2 (en) | Cable drum conveyor | |
US4352625A (en) | Container handling apparatus | |
MX2008011160A (en) | Large scale watercraft storage system. | |
JP2010023832A (en) | Transporting-installing vehicle for constituting part module | |
US20150016887A1 (en) | Walking system and method adapted for use on a dry-dock to transport a ship | |
US3554394A (en) | Trailer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same, in which only one workman need by used to carry out the method | |
JP7183084B2 (en) | Pile press-in system and pile press-in construction method | |
US2919662A (en) | Cargo loading and storage apparatus | |
KR100623202B1 (en) | Large Structure Transfer Device and Transfer Method | |
KR102021981B1 (en) | Slip way apparatus for docking of ship | |
US3954199A (en) | Boat handling apparatus for stowing boats aboard overland vehicles | |
CN108944619B (en) | Round aluminum rod transfer and transportation device | |
KR20070032444A (en) | Launching method of horizontal transfer of dry land ship | |
SU862818A3 (en) | Hoisting-transporting device for long cargo | |
KR101256196B1 (en) | Modelship stand | |
CN216181312U (en) | Panel conveyor of furniture board automatic drilling machine | |
CN116040199A (en) | Auto-parts material loading conveyor | |
CN210649242U (en) | End beam welding workbench of single-beam crane | |
KR101739450B1 (en) |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container ship hold | |
JP4508073B2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and loading heavy objects | |
JP5112396B2 (en) | Fixing structure of pallet in carrier platform | |
JP4659185B2 (en) | Cutting device | |
CN115351631B (en) | Grinding machine and grinding method for wind power generation blade core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