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1254B1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254B1
KR101831254B1 KR1020170077308A KR20170077308A KR101831254B1 KR 101831254 B1 KR101831254 B1 KR 101831254B1 KR 1020170077308 A KR1020170077308 A KR 1020170077308A KR 20170077308 A KR20170077308 A KR 20170077308A KR 101831254 B1 KR101831254 B1 KR 101831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guide
support plate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춘상
Original Assignee
유춘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춘상 filed Critical 유춘상
Priority to KR102017007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2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05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specially adapted for the ends of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배전선로가 분전함 또는 배전반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중 배전체의 외부에서 늘어지거나 엉킴 없이 적정하게 그 지중 배전체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지중 배전체의 외부 공간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중배전선로가 삽입되는 지중선 삽입구를 밀폐하여 수분 등에 의해 지중배전선로의 피복 등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전 및 합선 등을 예방하기 위한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PROTECTION TYPE CONNECTION APPARATUS STRUCTURE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배전선로가 분전함 또는 배전반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중 배전체의 외부에서 늘어지거나 엉킴 없이 적정하게 그 지중 배전체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지중 배전체의 외부 공간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중배전선로가 수평을 유지하며 지중선 삽입구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인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중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1차 변전소 또는 2차 변전소로부터 배전된 전기는 가공배전선과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송배전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 설비로 송전 또는 배전되며 특고압 수용가, 고압 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수용가에까지 송배전되어 산업용, 가정용 등으로 사용된다.
이 중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송배전계통을 통한 지중을 이용하는 송배전 방식은 지중배전선이 인입되는 지중배전체에 지중 관로 어댑터를 마련하고, 지중배전선로의 끝단에 플러그를 결합하여 이 플러그를 지중 관로 어댑터에 체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접속 구조는 지중배전선로의 선단에 플러그가 고정되게 결합된 상태로만 지중 관로 어댑터에 체결되기 때문에 지중배전선로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에는 여분의 케이블이 지중 배전체의 외부에서 늘어지거나 엉키게 되어 공간 효율을 떨어드리고, 작업자의 통행을 불편하게 하며,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17908호(2013.10.16.)에는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는 지중배전선이 지중선 삽입구로 인입되기 전에 쳐지거나 휘어지면서 인입시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지중선 삽입구를 쉽게 통과하지 못함에 따른 그랩 체결수단과의 접촉에 의해 그랩 체결수단이 파손되거나, 풀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17908호(2013.10.16.)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배전선로가 분전함 또는 배전반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중 배전체의 외부에서 늘어지거나 엉킴 없이 적정하게 그 지중 배전체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지중 배전체의 외부 공간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중배전선로가 수평을 유지하며 지중선 삽입구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인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중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1)가 인입되는 지중 배전체(3)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는 지중배전선로(1)가 통과되는 지중선 수용구(201)가 형성되며, 상기 지중 배전체(3)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 전체에 걸쳐 수나사산이 형성된 지중 관로 어댑터(200);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맞닿게 배치되며, 외주면 전체에 걸쳐 수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는 상기 지중선 수용구(201)에 연통되는 지중선 관통구(301)가 형성되고,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배향된 단부로부터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접촉되는 단부를 향해 갈수록 상기 지중선 관통구(301)의 내경이 점차 축소되게 그랩 삽입 가이드부(310)가 내부에 형성된 그랩 가이드 수단(300); 및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와 상기 그랩 가이드 수단(300)을 감싸며 체결하도록 내주면 전체에 걸쳐 암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 삽입구(510)가 내부에 형성되게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중선 관통구(301)에 연통되는 지중선 삽입구(501)가 형성되며, 상기 그랩 가이드 수단(300)에 체결되기 전에는 상기 가이드 삽입구(5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있다가 상기 그랩 가이드 수단(300)이 상기 가이드 삽입구(510)의 내부로 점차 체결됨에 따라 상기 그랩 삽입 가이드부(310)와의 접촉에 의해 오므라지게 변형되게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를 형성하는 지중선 그랩부(520)가 내부에 구비된 그랩 체결 수단(500);을 포함하고, 상기 그랩 가이드 수단(300)은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접촉되는 단부로부터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지중선 관통구(301)의 둘레를 따라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는 상기 지중선 수용구(201)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 돌기부(400)에 대응되게 내주면에 복수의 돌기 수용홈(210)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그랩 체결 수단(500)의 지중선 그랩부(520)는 상기 가이드 삽입구(5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삽입구(5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그랩 삽입 가이드부(310)에 먼저 접촉되는 단부에 복수의 절개부(521)가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의 둘레를 따라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지중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로써,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수평지지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지지부(600)는,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부로 지중배전선로(1)가 통과하는 지지판(610); 상기 지지판(6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지중배전선로(1)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620); 및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으로부터 상기 지지판(6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6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630)은,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외측으로 결합되고, 후단부에 상기 지지판(610)의 전단부가 인입되는 인입홈(632)이 형성되는 하우징(631); 및 상기 지지판(610)을 상기 하우징(631)에 결속하는 결속구(633)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홈(632)은, 상기 하우징(631)이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결속구(633)는, 상기 하우징(631)의 외측에서 상기 인입홈(632)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인입홈(632)으로 결합되는 상기 지지판(610)을 가압 결속하며, 상기 가이드수단(620)은, 상기 지지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이드판(621); 상기 지지판(610)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판(621)을 지지하는 탄성부재(622); 및 상기 가이드판(6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지중배전선로(1)가 안착되는 복수의 롤러(6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배전선로가 분전함 또는 배전반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중 배전체의 외부에서 늘어지거나 엉킴 없이 적정하게 그 지중 배전체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중 배전체의 외부 공간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중배전선로가 수평을 유지하며 지중선 삽입구로 인입될 수 있음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인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수평유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317908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317908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317908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지중 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는 '지중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로 대체하고, 지중배전선로가 수평을 유지하며 지중선 삽입구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317908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이하 "접속장치구조"라 한다)(100)는 지중배전선로(1)가 인입되는 지중 배전체(3)에 구비된 지중 관로 어댑터(200),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맞닿게 배치된 그랩 가이드수단(300) 및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와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을 감싸며 체결하도록 구비된 그랩 체결수단(50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로(1)의 길이에 상관없이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접속장치구조(100)에 의해 지중 배전체(3)의 외부에서 늘어지거나 엉키지 않고 딱 맞게 지중 배전체(3)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여 공간 효율이 증대될 수 있고, 작업자의 통행이 용이할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깔끔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중 배전체(3)는 송전계통에서는 분전함이 될 수 있고, 수전계통에서는 배전반이 될 수 있다.
상기 지중배전선로(1)는 내부에 복수의 지중 배전용 전력선들이 다발로 묶인 상태의 선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 배전체(3)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는 상기 지중배전선로(1)가 통과되는 지중선 수용구(201)가 형성되며, 상기 지중 배전체(3)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 전체에 걸쳐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전체에 걸쳐 수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는 상기 지중선 수용구(201)와 연통되는 지중선 관통구(301)가 형성되고,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배향된 단부로부터 그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접촉되는 단부를 향해 갈수록 상기 지중선 관통구(301)의 내경이 점차 축소되게 그랩 삽입 가이드부(310)가 내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와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이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 및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을 감싸며 체결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체결이 더욱 견고해지고, 특히 진동 풀림 등이 방지되도록 체결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접촉되는 단부로부터 그 지중 관로 어댑터(200)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지중선 관통구(301)의 둘레를 따라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돌기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는 내주면에 상기 지중선 수용구(201)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돌기부(400)와 대응되는 복수의 돌기수용홈(2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에 의해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이 체결되기 전에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을 미리 맞닿게 배치할 때, 상기 돌기수용홈(210)에 상기 고정돌기부(400)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을 미리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에 의한 체결이 더욱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와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을 감싸며 체결하도록 내주면 전체에 걸쳐 암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삽입구(510)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중선 관통구(301)에 연통되는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가 형성되며,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에 체결되기 전에는 가이드 삽입구(5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있다가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이 상기 가이드삽입구(510)의 내부로 점차 체결됨에 따라 상기 그랩 삽입 가이드부(310)와의 접촉에 의해 오므라지게 변형되며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를 형성하는 지중선그랩부(520)가 내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 및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을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으로 체결하기 전에는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접속장치구조(100)를 통해 상기 지중 배전체(3)의 내외로 자유롭게 인입 또는 인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체결 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선 그랩부(520)가 오므라져 지중배전선로(1)를 밀착 파지하게 함으로써, 지중배전선로(1)의 길이에 상관없이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접속장치구조(100)에 의해 상기 지중 배전체(3)의 외부에서 늘어지거나 엉키지않고 딱 맞게 그 지중 배전체(3)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지중 배전체(3) 외부에서의 공간 효율이 증대될 수 있고, 작업자의 통행이 용이하며, 외관상으로도 깔끔해 질 수 있다.
즉, 상기 접속장치구조(100)는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 및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이 모두 체결되기 전에는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이 지중배전선로(1)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다가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 및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이 모두 체결되면 상기 지중선 그랩부(520)가 상기 지중배전선로(1)에 밀착되면서 그 지중배전선로(1)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상기 지중선 그립부(5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삽입구(510)의 내부에서 그 가이드 삽입구(5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중선 그립부(520)는 상기 그랩 삽입 가이드부(310)에 먼저 접촉되는 단부에 복수의 절개부(521)가 지중선 삽입구(501)의 둘레를 따라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이 상기 가이드 삽입구(510)의 내부로 점차 체결됨에 따라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접촉되는 단부를 향해 갈수록 상기 그랩 삽입 가이드부(310)와 상기 지중선 그랩부(520)가 상호 접촉되면서 상기 복수의 절개부(521)들 사이의 틈새가 점차 좁혀지면서 상기 지중선 그랩부(520)가 오므라지게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부(40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선 그랩부(520)가 오므라지는 방향에 대칭되게 오므라진 형태로 보조그랩부(4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접속장치구조(100)에 의해 상기 지중 배전체(3)의 내부로 인입된 후에 인입 또는 인출 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지중배전선로(1)에 대한 상기 지중선 그랩부(520)와 상기 보조그랩부(410)의 밀착 파지에 의해 지중배전선로(1)가 변형되지 않고 고정되게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그랩부(410)의 단부와 상기 지중선 그랩부(520)의 단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마련된 탄성핑거(4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접속장치구조(100)에 의해 상기 지중 배전체(3)의 내부로 인입된 후에 인입 또는 인출 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외력이 추가로 가해지더라도 지중배전선로(1)는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밀착 지지 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핑거(420)에 의해 외력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접속장치구조(100)에 의해 상기 지중 배전체(3)의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중배전선로(1)를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로 끼우고,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의 상기 지중선 관통구(301)에 끼우며,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의 상기 지중선 수용구(201)에 끼워서 상기 지중 배전체(3)의 내부로 인입되게 한다.
다음에, 상기 지중 배전체(3)의 외부에 남게 되는 지중배전선로(1)의 길이가 조정되어 상기 지중 배전체(3)의 외부에서 늘어지거나 엉키지 않도록 지중배전선로(1)를 적당히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으며 상기 지중 배전체(3) 외부에서의 지중 배전선로(1)의 길이를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의 상기 돌기수용홈(210)으로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의 상기 고정돌기부(400)를 삽입시켜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이 맞닿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으로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와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을 감싸며 체결시킨다.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내부에서는 상기 지중선 그랩부(520)가 상기 그랩 가이드수단(300)의 상기 그랩 삽입 가이드부(310)와 접촉되며 오므라지게 변형되어 지중배전선로(1)를 밀착 파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접속장치구조(100)는 지중배전선로(1)의 길이에 상관없이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지중 배전체(3)의 외부에서 늘어지거나 엉키지 않고 딱 맞게 그 지중 배전체(3)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여 상기 지중 배전체(3) 외부에서의 공간 효율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배전선로(1)가 수평을 유지하며 지중선 삽입구(501)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지지부(6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수평지지부(600)는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로의 인입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후방에 위치되는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와 대략 수평을 유지하며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인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로 인입되기 전에 처지거나 휘어지면서 인입시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지중선 삽입구(501)를 쉽게 통과하지 못함에 따른 그랩 체결수단(500)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이 파손되거나, 풀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수평지지부(600)는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부로 지중배전선로(1)가 통과하는 지지판(610), 상기 지지판(6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지중배전선로(1)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620) 및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으로부터 상기 지지판(6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63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수단(630)은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외측으로 결합되고 후단부로부터 전단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지지판(610)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인입홈(632)이 형성되는 하우징(631) 및 상기 지지판(610)을 상기 하우징(631)에 결속하는 결속구(633)를 포함한다.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631)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상기 인입홈(632)은 상기 하우징(631)이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으로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때의, 상기 인입홈(632)은 중심부가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의 중심부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631)은 양단부가 개방되는 통 형태를 이루되, 외측 둘레가 사각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우징(631)은 내측 둘레가 원형을 이루는 한편, 외측 둘레가 사각형을 이루는 사각통 형태를 이룬다.
상기 인입홈(632)은 양측단부가 상기 하우징(631)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면서 곡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지판(610)은 양단부가 지중배전선로(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인입홈(632)으로 인입된다.
상기 지지판(610)은 평판 형태를 이루거나 양측단부 사이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결속구(63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631)의 외측에서 상기 인입홈(632)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인입홈(632)으로 결합되는 상기 지지판(610)을 가압 결속한다.
상기 하우징(631)은 외측으로부터 상기 인입홈(63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인입홈(632)과 연통되며 상기 결속구(633)가 나사결합되는 중공(634)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634)은 상기 인입홈(632)이 하부에 위치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631)의 하부로부터 상기 인입홈(632)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기 중공(634)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구(633)가 나사결합되는 결속부재(6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635)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이 상기 중공(634)과 연통되도록 용접 등에 의해 상기 하우징(63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620)은 상기 지지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이드판(621), 상기 지지판(610)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판(621)을 지지하는 탄성부재(622) 및 상기 가이드판(6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지중배전선로(1)가 안착되는 복수의 롤러(623)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판(621)은 양단부가 상기 지지판(6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양측 폭은 상기 지지판(610)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622)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판(6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면서 상기 지지판(610)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판(621)을 지지하는 한편,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복수의 롤러(623)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한다.
상기 롤러(623)는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판(621)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지중배전선로(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지중배전선로(1)의 진행에 따라 회전되면서 지중배전선로(1)가 지중선 삽입구(501)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지지부(600)는 상기 지지판(610)과 상기 가이드판(621)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수단(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수단(640)은 상부가 상기 가이드판(621)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610)을 관통하는 조절바(641) 및 상기 지지판(6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절바(641)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642)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바(64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64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조절바(641)에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조절수단(640)은 상기 조절부재(6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622)가 수축,이완되면서 상기 지지판(610)과 상기 가이드판(621)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한다.
이로 인해, 상기 조절수단(640)은 상기 조절부재(6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판(61)과 상기 가이드판(621)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로 대략 수평을 유지하며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기 하우징(631)으로부터 상기 지지판(61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와이어(6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636)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610)의 후단부 양측을 상기 하우징(631)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636)는 상기 하우징(631)이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610)이 상기 하우징(631)에 결합된 후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접속장치시스템은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로의 지중배전선로(1) 인입시, 상기 지중배전선로(1)가 수평을 유지하며 인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인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 : 지중배전선로 3 : 지중 배전체
100 : 접속장치구조 200 : 지중 관로 어댑터
210 : 돌기 수용홈 300 : 그랩 가이드수단
310 : 그랩 삽입 가이드부 400 : 고정 돌기부
410 : 보조그랩부 420 : 탄성핑거
500 : 그랩 체결수단 501 : 지중선 삽입구
510 : 가이드 삽입구 600 : 수평지지부
610 : 지지판 620 : 가이드수단
621 : 가이드판 622 : 탄성부재
623 : 롤러 630 : 지지수단
631 : 하우징 632 : 인입홈
633 : 결속구 634 : 중공
635 : 결속부재 636 : 와이어
640 : 조절수단 641 : 조절바
642 : 조절부재

Claims (1)

  1. 지중배전선로(1)가 인입되는 지중 배전체(3)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는 지중배전선로(1)가 통과되는 지중선 수용구(201)가 형성되며, 상기 지중 배전체(3)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 전체에 걸쳐 수나사산이 형성된 지중 관로 어댑터(200);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맞닿게 배치되며, 외주면 전체에 걸쳐 수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는 상기 지중선 수용구(201)에 연통되는 지중선 관통구(301)가 형성되고,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배향된 단부로부터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접촉되는 단부를 향해 갈수록 상기 지중선 관통구(301)의 내경이 점차 축소되게 그랩 삽입 가이드부(310)가 내부에 형성된 그랩 가이드 수단(300); 및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와 상기 그랩 가이드 수단(300)을 감싸며 체결하도록 내주면 전체에 걸쳐 암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 삽입구(510)가 내부에 형성되게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중선 관통구(301)에 연통되는 지중선 삽입구(501)가 형성되며, 상기 그랩 가이드 수단(300)에 체결되기 전에는 상기 가이드 삽입구(5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있다가 상기 그랩 가이드 수단(300)이 상기 가이드 삽입구(510)의 내부로 점차 체결됨에 따라 상기 그랩 삽입 가이드부(310)와의 접촉에 의해 오므라지게 변형되게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를 형성하는 지중선 그랩부(520)가 내부에 구비된 그랩 체결 수단(500);을 포함하고,
    상기 그랩 가이드 수단(300)은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 접촉되는 단부로부터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지중선 관통구(301)의 둘레를 따라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중 관로 어댑터(200)에는 상기 지중선 수용구(201)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 돌기부(400)에 대응되게 내주면에 복수의 돌기 수용홈(210)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그랩 체결 수단(500)의 지중선 그랩부(520)는 상기 가이드 삽입구(5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삽입구(5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그랩 삽입 가이드부(310)에 먼저 접촉되는 단부에 복수의 절개부(521)가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의 둘레를 따라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지중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로써,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후방에 위치되는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와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수평지지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지지부(600)는,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부로 지중배전선로(1)가 통과하는 지지판(610);
    상기 지지판(6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지중배전선로(1)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620); 및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으로부터 상기 지지판(6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6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630)은,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외측으로 결합되고, 후단부에 상기 지지판(610)의 전단부가 인입되는 인입홈(632)이 형성되는 하우징(631);
    상기 지지판(610)을 상기 하우징(631)에 결속하는 결속구(633); 및
    상기 하우징(631)으로부터 상기 지지판(61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와이어(636)를 포함하며,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631)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며,
    상기 인입홈(632)은,
    상기 하우징(631)이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결속구(633)는,
    상기 하우징(631)의 외측에서 상기 인입홈(632)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인입홈(632)으로 결합되는 상기 지지판(610)을 가압 결속하며,
    상기 가이드수단(620)은,
    상기 지지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이드판(621);
    상기 지지판(610)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판(621)을 지지하는 탄성부재(622); 및
    상기 가이드판(6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지중배전선로(1)가 안착되는 복수의 롤러(62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622)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판(6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면서 상기 지지판(610)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판(621)을 지지하는 한편,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복수의 롤러(623)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수평지지부(600)는,
    상기 지지판(610)과 상기 가이드판(621)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수단(6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수단(640)은,
    상부가 상기 가이드판(621)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610)을 관통하는 조절바(641); 및
    상기 지지판(6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절바(641)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642)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642)는,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622)가 수축,이완되면서 상기 지지판(610)과 상기 가이드판(621) 간의 이격거리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지중배전선로(1)가 상기 지중선 삽입구(501)로 수평을 유지하며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636)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610)의 후단부 양측을 상기 하우징(631)에 연결하되, 상기 하우징(631)이 상기 그랩 체결수단(500)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610)이 상기 하우징(631)에 결합된 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
KR1020170077308A 2017-06-19 2017-06-19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 Active KR101831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08A KR101831254B1 (ko) 2017-06-19 2017-06-19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08A KR101831254B1 (ko) 2017-06-19 2017-06-19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254B1 true KR101831254B1 (ko) 2018-02-23

Family

ID=6138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308A Active KR101831254B1 (ko) 2017-06-19 2017-06-19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2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375B1 (ko) * 2019-07-25 2020-04-03 홍현자 지중 배전선로의 케이블 접속장치
CN111965463A (zh) * 2020-08-25 2020-11-20 国网青海省电力公司海北供电公司 一种基于在线取电的配电线路智能监测装置
KR20200136694A (ko) * 2019-05-28 2020-12-08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공법용 점퍼선 가이드
CN117080824A (zh) * 2023-10-18 2023-11-17 成都速易联芯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高速差分的高速连接器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79B1 (ko) * 2013-08-22 2013-11-20 (주)에스케이이에스그룹 배전용 지중전선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한 고정브래킷
KR101418092B1 (ko) * 2014-02-14 2014-07-10 (주)한국엔지니어링 지중 송전과 배전 및 변전 선로 보호형 접속장치
KR101594161B1 (ko) * 2015-09-30 2016-02-15 (주)아현건설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79B1 (ko) * 2013-08-22 2013-11-20 (주)에스케이이에스그룹 배전용 지중전선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한 고정브래킷
KR101418092B1 (ko) * 2014-02-14 2014-07-10 (주)한국엔지니어링 지중 송전과 배전 및 변전 선로 보호형 접속장치
KR101594161B1 (ko) * 2015-09-30 2016-02-15 (주)아현건설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694A (ko) * 2019-05-28 2020-12-08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공법용 점퍼선 가이드
KR20240110787A (ko) * 2019-05-28 2024-07-16 한국전력공사 점퍼선의 유동을 방지하는 간접활선공법용 점퍼선 가이드
KR20240110930A (ko) * 2019-05-28 2024-07-16 한국전력공사 점퍼선에 체결되는 간접활선공법용 점퍼선 가이드
KR102685861B1 (ko) 2019-05-28 2024-07-18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공법용 점퍼선 가이드
KR20240113444A (ko) * 2019-05-28 2024-07-22 한국전력공사 절연성 재질의 간접활선공법용 점퍼선 가이드
KR102696948B1 (ko) 2019-05-28 2024-08-21 한국전력공사 점퍼선에 체결되는 간접활선공법용 점퍼선 가이드
KR102697402B1 (ko) 2019-05-28 2024-08-22 한국전력공사 절연성 재질의 간접활선공법용 점퍼선 가이드
KR102759266B1 (ko) 2019-05-28 2025-01-24 한국전력공사 점퍼선의 유동을 방지하는 간접활선공법용 점퍼선 가이드
KR102096375B1 (ko) * 2019-07-25 2020-04-03 홍현자 지중 배전선로의 케이블 접속장치
CN111965463A (zh) * 2020-08-25 2020-11-20 国网青海省电力公司海北供电公司 一种基于在线取电的配电线路智能监测装置
CN117080824A (zh) * 2023-10-18 2023-11-17 成都速易联芯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高速差分的高速连接器及其使用方法
CN117080824B (zh) * 2023-10-18 2024-01-09 成都速易联芯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高速差分的高速连接器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914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시스템
KR101831254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
US9373919B1 (en) Adjustable metal-clad cable/flexible metallic conduit electrical connector
KR102255226B1 (ko) 안정적 전력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장치
KR101899985B1 (ko)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장치
KR100964278B1 (ko) 광접속함체
KR101553323B1 (ko) 초고압 변전소용 피뢰기 단자 결합장치
KR101794324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1317908B1 (ko)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
KR102040544B1 (ko) 송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US4768963A (en) Ground adapter
US9385442B2 (en) Integral grounding hub
KR101317904B1 (ko) 지중배전선로 연결용 배전커넥터
KR10209637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케이블 접속장치
US6203384B1 (en) Multi-tap pad mount connector
CN111755976A (zh) 一种套筒式双侧开口紧线器
KR10209830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CN210350125U (zh) 一种箱内电缆接地装置
KR102350854B1 (ko) 단자함
JPH0722761A (ja) 歪み軽減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243314B1 (ko) 케이블 고정장치
CN212726325U (zh) 一种通讯电缆防护装置
JP7185599B2 (ja) 円筒形高圧カットアウトの誤挿入防止カバーおよび高圧配電線路用接地装置
KR100604575B1 (ko) 케이블 파지 장치 및 케이블 견인 장치
CN209448276U (zh) 一种带有防电缆拉扯装置的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