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112B1 - Shipwreck artificial reef with concrete tunnel - Google Patents
Shipwreck artificial reef with concrete tun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1112B1 KR101831112B1 KR1020170104617A KR20170104617A KR101831112B1 KR 101831112 B1 KR101831112 B1 KR 101831112B1 KR 1020170104617 A KR1020170104617 A KR 1020170104617A KR 20170104617 A KR20170104617 A KR 20170104617A KR 101831112 B1 KR101831112 B1 KR 1018311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pipe
- hull
- passage
- shi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41000270322 Lepidosauri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031 feed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938605 Crocodyl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875 Eboni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7 needle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47 pulmonary arter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9486 Phragmites australis subsp austr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8—Arrangements for sinking or mooring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6—Artificial reefs or seaweed; Restoration or protection of coral reef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내측 바닥공간에 밸러스트 콘크리트를 타설한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침설하여 인공어초로 활용토록 한 침선어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선측 하부에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플랜지구멍을 형성시키는 한편, 각각의 플랜지구멍마다 침수플랜지를 연결시키고, 좌,우측 침수플랜지가 선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통로파이프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통로파이프를 밸러스트 콘크리트 내부로 매입시키되, 통로파이프의 상측에 연결된 스탠드파이프는 밸러스트 콘크리트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침수플랜지의 선단 입구측 역시 선체 외부로 노출시켜 해당 부위에 플랜지커버 또는 개폐밸브를 조립시킴으로서, 폐선박의 침설에 필요한 하중만을 제공하였던 기존의 밸러스트 콘크리트 내부에 수생생물의 은신과 먹이활동 및 다이버의 수중체험이나 훈련 등에 적합한 통로구조물을 추가로 제공하는 동시에, 침선어초의 시설시에는 침수플랜지의 입구를 개방시켜 해당 통로구조물로 해수가 유입되게 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폐선박을 해저면까지 신속하고 안전하게 가라앉힐 수 있도록 하며, 밸러스트 콘크리트가 포함된 폐선박의 전체 하중을 줄여 폐선박의 예인에 필요한 시간과 연료량을 절감시키고, 폐선박의 침설시에는 통로구조물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하여 충분한 침강하중이 확보되도록 한 콘크리트 터널을 가지는 침선어초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cking reed for inflating a wrecked ship having a ballast concrete placed in an inner bottom space of a hull into the sea floor to utilize the artificial reed as an artificial reed, and more particularly, The flooded flanges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flange holes and the left and right flood flan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assage pip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The stand pip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assage pip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llast concrete and the front entrance side of the flooding flange is also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ull so as to assemble the flange cover or the on- In the existing ballast concrete, In addition to providing a passage structure suitable for water escape and feeding activities and diver's underwater experience or training, the simple operation of opening the inlet of the flooding flange and introducing seawater into the passage structure at the time of the installation of the catching reptile, To reduce the total load of the waste ship containing ballast concrete to reduce the time and amount of fuel required for towing the ship, and to prevent the seawater from entering the aisl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ral reed having a concrete tunnel in which a sufficient sedimentation load can be secur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체의 내측 바닥공간에 밸러스트 콘크리트를 타설한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침설하여 인공어초로 활용토록 한 침선어초에 관한 것으로서, 폐선박의 침설에 필요한 하중만을 제공하였던 기존의 밸러스트 콘크리트 내부에 수생생물의 은신과 먹이활동 및 다이버의 수중체험이나 훈련 등에 적합한 통로구조물을 추가로 제공하는 동시에, 침선어초의 시설시에는 선체 외부로 노출된 통로구조물 입구측의 커버판을 분리하거나 개폐밸브를 개방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폐선박을 해저면까지 신속하고 안전하게 가라앉힐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터널을 가지는 침선어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oon reed for inflating a wrecked ship having a ballast concrete placed in the inner bottom space of a hull into the sea floor and utilizing it as an artificial ree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assage structure suitable for biological escape and feeding activities and diver's underwater experience or training while at the same time providing a cover plate on the entrance side of the passage structu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ull or opening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mhole reed having a concrete tunnel capable of quickly and safely sinking a wrecked ship to the seabed with a simple operation.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각종 어류나 패,조류(貝藻類) 등과 같은 수생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바닷속에 설치하는 인공구조물로서, 어획능력이 큰 저인망이나 권현망 등으로부터 어장을 보호하고 각종 어류나 패류의 산란장 및 은신처를 조성하여 어자원을 육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artificial fish is an artificial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the sea to provide habitat for aquatic organisms such as various fishes, plaques, and algae. It protects the fisheries from the trawler with high fishing ability,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nurturing fishery resources by establishing spawning grounds and hiding place for shellfish.
상기와 같은 인공어초는, 해저지반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침설형(沈設型)과 바닷속에 구조물을 계류(繫留)시키는 부표형 어초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상기 침설형 어초로서는 콘크리트 재질의 사각형 인공어초나 반구형 인공어초 또는 강철재 프레임을 소재로 하여 약 10m 내외의 높이를 가지는 다층의 골조구조물로 형성시킨 강제어초(鋼製魚礁)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The artificial fish as described above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a sink type in which a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seabed ground and a buoy type fish reed in which the structure is moored in the sea. Typical examples are forced fish reefs (steel fish reefs) formed of multi-layered frame structures having a height of about 10 m or so, using a super- or hemispherical artificial reef or steel frame.
이와 더불어, 또 다른 침설어초로서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가라앉혀 인공어초로 활용토록 한 침선어초의 경우는, 폐선박에 잔존하는 오일(Oil)이나 페인트 성분 또는 기타 유해한 성분 등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로 말미암아 그 시설이 점차 줄어들었으나, 최근에 들어 다이버들을 위한 수중체험이나 침선낚시터 조성 등의 목적으로 침선어초의 활용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needlework reptiles that are used as artificial reeds by submerging the wrecked ship to the seafloor as another submerged reptil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oil, paint components or other harmful components remaining in the wrecked ship The facility has been gradually reduced, but recently, the use of needlework reptiles has been highlighted for the purpose of underwater experience for divers and the formation of fishing rods.
상기와 같은 침선어초는 갑판(甲板)과 좌,우 선측(船側) 및 선저(船底)가 포함된 선체로부터 조타실이 포함된 상층구조물에 이르기까지 폐선박의 전체적인 외관은 그대로 유지시키되, 선체의 내부 중 엔진실과 같이 주된 오염원을 포함하는 일부분을 잘라내어 빈 공간으로 조성시키거나, 선체의 내부 전체를 빈 공간으로 조성시켜 오염원을 제거한 다음, 선체의 내측 바닥에 밸러스트 콘크리트(Ballast concrete)를 타설하는 한편, 좌,우 선측 및 갑판에는 해수의 소통과 다이버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를 여러 개소에 걸쳐 형성시키게 된다.The above-mentioned sinking reptiles are to maintain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abandoned ship, from the hull including the deck and the left, right and bottom, to the upper structure including the wheelhouse, A part of the main pollutant source such as engine room is cut out to form an empty space or the inside of the hull is formed as an empty space to remove the pollution source and then a ballast concrete is laid on the inner bottom of the hul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on the deck, openings for the communication of seawater and access to the diver are formed in several places.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육상에서의 사전 준비작업이 완료된 이후, 해당 폐선박을 바지선으로 예인하여 침선어초의 시설이 요구되는 수역(水域)으로 이동시킨 다음,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폐선박의 좌,우 선측 일부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선체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게 함으로서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가라 앉히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바지선에 설치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폐선박의 직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고, 필요시 바지선에 펌프를 설치하여 폐선박의 선체 내부로 해수를 추가 유입시킬 수도 있다.After completion of preparatory work on the ground in the above manner, the ship is towed to the barge and moved to the water area where the facility of the needle bed is required. Th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ip are cu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seawate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hull so that the wrecked ship is submerged to the sea floor. In this process, , And if necessary, a pump may be installed on the barge line to further inflow seawater into the hull of the waste ship.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방식으로 침선어초를 시설할 경우, 폐선박의 침설하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많은 량의 밸러스트 콘크리트가 타설됨에 따라 폐선박의 전체 하중이 매우 무겁게 됨으로서, 바지선을 이용한 폐선박의 예인작업에 많은 시간과 연료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좌,우 선측 하부를 절단하여 해수유입용 대형구멍을 형성시키는 해상작업 자체가 숙련된 기술을 요하는 매우 위험하고 까다로운 작업이 될 뿐만 아니라, 해당 작업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 또한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폐선박의 신속하고 안전한 침설작업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as described above, since a large amount of ballast concrete is installed so as to sufficiently secure the load of the pulsating vessel, the total load of the pulsating vessel becomes very heav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required for towing of the waste ship is consumed a lot of time and fuel, and the marine work which forms the large hole for inflowing seawater by cutting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 is itself a very dangerous and demanding work requiring skilled skill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isk of various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work was also very high, which resulted in a problem of rapid and safe incursion of the waste ship.
다른 한편으로, 기존의 침선어초에 적용되었던 밸러스트 콘크리트는 폐선박의 침설에 필요한 하중을 제공토록 하는 용도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함에 따라, 선체의 내측 바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것이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에 장어나 문어 등의 다양한 수생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쉘터(Shelter) 구조물을 밸러스트 콘크리트와 일체화시킨 침선어초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10-2015-0111425,10-2015-0163133) 및 특허등록(10-1572415,10-1624469) 되어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ballast concrete applied to the existing needle bar reel does not provide any function other than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load required for the inflow of the waste ship,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ly utilizing the inner bottom space of the hull In order to remedy such a problem,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patula reel in which a shelter structure in which a variety of aquatic organisms such as eel and octopus are inhabi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ast concrete is integrated with the ballast concrete, (10-2015-0111425, 10-2015-0163133) and patent registration (10-1572415,10-1624469).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출원에 있어서도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예인작업의 지연 및 연료의 낭비와, 선체의 좌,우 선측 하부를 절단하여 해수유입용 대형구멍을 형성시키는 해상작업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밸러스트 콘크리트상의 쉘터구조물 주변으로 다양한 수생생물을 위집시켜 다이버들에게 우수한 수중체험용 공간을 제공토록 하였으나, 쉘터구조물 주변을 단순히 유영하는 방식이 아닌 터널이나 굴 형태의 수중통로를 따라 유영하는 방식의 수준높은 체험이나 다이버의 훈련 등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었다.However, even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delays in towing operation due to the load of the ballast concrete, waste of fuel, and cutting of the left and right side lower portions of the hull are accompanied by marine work for forming large holes for introducing seawater , And to provide diver with a good underwater experience space by attracting various aquatic creatures to the vicinity of the shelter structure on the ballast concrete. However, the method of swimming along the underwater passage of tunnels or oysters instead of simply swimming around the shelter structures There was a somewhat lack of application to high-level experience or diver train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좌,우 선측 하부에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플랜지구멍을 형성시키는 한편, 각각의 플랜지구멍마다 침수플랜지를 연결시키고, 좌,우측 침수플랜지가 선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통로파이프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통로파이프를 밸러스트 콘크리트 내부로 매입시키되, 통로파이프의 상측에 연결된 스탠드파이프는 밸러스트 콘크리트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침수플랜지의 선단 입구측 역시 선체 외부로 노출시켜 해당 부위에 플랜지커버 또는 개폐밸브를 조립시킴으로서, 폐선박의 침설에 필요한 하중만을 제공하였던 기존의 밸러스트 콘크리트 내부에 수생생물의 은신과 먹이활동 및 다이버의 수중체험이나 훈련 등에 적합한 통로구조물을 추가로 제공하는 동시에, 침선어초의 시설시에는 침수플랜지로부터 플랜지커버를 분리시키거나 침수플랜지의 개폐밸브를 개방시켜 통로구조물로 해수가 유입되게 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폐선박을 해저면까지 신속하고 안전하게 가라앉힐 수 있도록 하며, 밸러스트 콘크리트가 포함된 폐선박의 전체 하중을 줄여 폐선박의 예인에 필요한 시간과 연료량을 절감시키고, 폐선박의 침설시에는 통로구조물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하여 충분한 침강하중이 확보되도록 한 콘크리트 터널을 가지는 침선어초를 제공하는 것이 그 주된 기술적 과제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ll structure, in which flange holes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 lower sides of the hull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water immersed flan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assage pip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the stand pip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assage pip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llast concrete, The flange cover was also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ull and the flange cover or opening / closing valve was assembled to expose the inlet of the flange to the outside of the hull. Additional passage structures suitable for experience or training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flange cover from the submerged flange or to open the submergence flange opening valve when the submerged reptile facility is installed, so that the marine vessel can be quickly and securely submerged In order to reduce the total load of the ship with ballast concret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ime and amount of fuel required for towing the ship. In case of seepage of the ship, The main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spatulate reed with a tunnel.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선체의 내측 바닥공간에 밸러스트 콘크리트를 타설한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침설하여 인공어초로 활용토록 한 침선어초에 있어서, 상기 선체를 이루는 좌,우 선측 하부에는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최소 2개 이상의 플랜지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선체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플랜지구멍에는 침수플랜지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침수플랜지는 해당 플랜지구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선체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플랜지파이프와, 선체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플랜지파이프의 선단측 플랜지부에 수밀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플랜지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커버는 폐선박을 해저면으로 침설시키는 작업시 플랜지파이프와 분리되는 것이며, 상기 선체의 내측 바닥공간에는 좌측 침수플랜지의 플랜지파이프와 우측 침수플랜지의 플랜지파이프를 선체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최소 2개 이상의 통로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통로파이프는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타설시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내부로 매설되는 것이며, 상기 각각의 통로파이프 상측에는 밸러스트 콘크리트를 거쳐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되는 최소 2개 이상의 스탠드파이프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spool reeling system in which a waste ship in which a ballast concrete is placed in an inner bottom space of a hull is infiltrated into a seabed surface and utilized as an artificial reef, At least two flange holes are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ship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so as to penetrate the hull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a flooded flang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lange holes. The flooded flange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flange hole And a flange cover which is assembled so as to be watertightly mounted on the front end side flange portion of the flange pipe projecting to the outside of the hull, Is separated from the flange pipe during the embedding operation, and the inner bottom At least two passage pipes for connecting the flange pipe of the left side flooded flange and the flange pipe of the right side floatation flan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are installed in the space and each of the passage pipes is embedded in the ballast concrete when the ballast concrete is poured At least two stand pipes extending outwardly by a predetermined length ar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passageways through ballast concrete.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통로파이프는 30~80cm의 직경을 가지는 어류용 통로파이프와, 120~150cm의 직경을 가지는 다이버용 통로파이프로 구분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어류용 통로파이프의 좌,우측단 입구 내측에는 수직 방향의 타원구멍이 절개 형성된 입구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타원구멍은 동일한 치수 또는 서로 다른 치수로 하여 해당 입구판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내지 4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이버용 통로파이프의 상측에는 다이버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보조통로관이 추가로 연결 설치되거나, 상기 스탠드파이프가 보조통로관의 기능을 병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침수플랜지의 플랜지커버는, 플랜지파이프의 선단측 플랜지부를 덮는 수밀용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을 플랜지파이프의 선단측 플랜지부와 맞대어 조립시키기 위한 장착링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침수플랜지는 해당 플랜지구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선체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플랜지파이프와, 선체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플랜지파이프의 선단측 플랜지부에 수밀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passage pipe is divided into a fish passage pipe having a diameter of 30 to 80 cm and a diver passage pipe having a diameter of 120 to 150 cm, and the fish passage pipe And an elliptical hole having a vertical elliptical hol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let port. The elliptical holes have the same or different dimensions, Wherein the diver passage pipe is further connected to an auxiliary passage pipe for providing a diver moving path, or the stand pipe functions as an auxiliary passage pipe, The flange cover of the immersion flange includes a waterproof cover plate which covers the flange portion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flange pipe, And a mounting ring for assembling the front flange portion of the flange pipe to the front flange portion of the flange pip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ded flange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ull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lange hole A flange pipe, and an open / close valve assembled so as to be watertight to the front end side flange portion of the flange pip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ul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통로파이프에 의하여 제공되는 빈 공간만큼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폐선박의 전체 하중을 기존의 경우보다 가볍게 하여 폐선박의 예인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연료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폐선박의 침설시에는 각각의 통로파이프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하여 폐선박의 침강하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mount of the ballast concrete can be relatively reduced as much as the empty space provided by each passage pipe, the total load of the waste ship is made lighter than the conventional ca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conomical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time and the amount of fuel required and provides a sufficient effect of securing the sedimentation load of the used ship by the seawater flowing into each passage pipe at the time of infiltration of the waste ship .
이와 더불어, 폐선박의 침설에 필요한 하중만을 제공토록 하였던 기존의 밸러스트 콘크리트 내부에 수생생물의 은신과 먹이활동 뿐만 아니라, 다이버의 수준높은 수중체험 및 훈련 등에 적합한 터널이나 굴 형태의 수중통로 구조물을 추가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앞서 설명되어진 선출원의 쉘터구조물을 밸러스트 콘크리트상에 접목시켜 활용하는 방안 등을 통하여 한층 더 우수한 기능의 침선어초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a tunnel or an oyster-type waterway structure suitable for diver's high-level underwater experience and training was added to the existing ballast concrete which provided only the load necessary for the inflow of the wrecked ship,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ore excellent function of the spatulate reel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shelter structure to the ballast concrete.
특히, 침선어초의 시설이 요구되는 수역으로 폐선박을 예인시킨 다음, 각각의 침수플랜지로부터 플랜지커버를 분리시키거나 각 침수플랜지의 개폐밸브를 개방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각각의 통로파이프 및 이와 연결된 스탠드파이프를 거쳐 선체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 선측 하부를 해상에서 절단하여 해수유입용 대형구멍을 형성시키도록 한 기존의 방식보다 폐선박의 침설작업을 한층 더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Particularly, by relatively simple operation of towing the waste vessel to the water area requiring the facilities of the needle bed reed, and then separating the flange cover from each immersion flange or opening the opening / closing valve of each immersion flange, Since the sea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hull through the pipe, the incineration work of the waste vessel is much quick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 lower portions are cut at the sea to form large holes for inflow of seawater And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safely.
또한, 어류용 통로파이프의 양측 입구판에 어류의 몸통 형상과 대응되는 수직 방향의 타원구멍을 형성시킨 경우에는, 많은 어종들이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해당 통로파이프의 내부로 유인되어 서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다이버용 통로파이프에 수직 방향의 보조통로관을 추가로 설치한 경우에는, 다이버들의 유영 및 탈출경로를 보다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러한 잇점들을 모두 집약시켜 침선어초의 기능성과 활용성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orming vertical oval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sh body shape on both inlet plates of the fish passage pipe, many fish species can be attracted to the inside of the channel pipe without feeling rejection, In the case where a supplementary passage pipe perpendicular to the diver passage pipe is additionally provided, it is possible to secure diver's various ways of swimming and escape, and it is possible to collect all of these advantages, It is possible to maximize functionality and us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선어초의 일부 절개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식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선어초의 사용상태도.
도 5의 (가) 내지 (라)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통로파이프를 종류별로 나타낸 예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wicking r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nlarged plan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 Fig.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needle-catching rep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to 5 (D)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the passage pip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터널을 가지는 침선어초(10)는 도 1 내지 도 4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과 좌,우 선측 및 선저가 포함된 선체(2)로부터 조타실이 포함된 상층구조물에 이르기까지 폐선박(1)의 전체적인 외관은 그대로 유지시키되, 선체(2)의 내부 중 엔진실과 같이 주된 오염원을 포함하는 일부분을 잘라내어 빈 공간으로 조성시키거나, 선체(2)의 내부 전체를 빈 공간으로 조성시켜 오염원을 제거한 다음, 선체(2)의 내측 바닥에 밸러스트 콘크리트(3)를 타설하는 한편, 좌,우 선측 및 갑판에는 해수의 소통과 다이버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4)를 여러 개소에 걸쳐 형성시킨 것으로서, 이는 앞선 종래기술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본 발명의 실질적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선체(2)를 이루는 좌,우 선측 하부에 선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최소 2개 이상(도면상 좌,우 각각 9개)의 플랜지구멍(15)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선체(2)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플랜지구멍(15)에는 침수플랜지(6)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침수플랜지(6)는 해당 플랜지구멍(15)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선체(2)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플랜지파이프(Flange pipe)(8)와, 선체(2)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플랜지파이프(8)의 선단측 플랜지부에 수밀(水密)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플랜지커버(Flange cover)(12)로 이루어진다.As a substantia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r more (nine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in the drawing) flange holes (not shown in the drawing)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 플랜지커버(12)는 폐선박(1)을 해저면으로 침설시키는 작업시 플랜지파이프(8)와 분리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하면, 플랜지파이프(8)의 선단측 플랜지부를 덮는 원판 형태의 수밀용 커버판(9)과, 상기 커버판(9)을 플랜지파이프(8)의 선단측 플랜지부와 맞대어 조립시키기 위한 장착링(11)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플랜지부와 커버판(9) 및 장착링(11)에는 조립볼트(13)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8)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응 형성되어 있다.2 and 3, the
상기와 같이 침수플랜지(6)용 플랜지커버(12)를 커버판(9)과 장착링(11)으로 구분시켜 제작하게 되면, 커버판(9) 자체는 경질의 고무판이나 얇은 두께의 플라스틱판으로 하고, 장착링(11) 부분만을 금속 재질로 하여 수밀 기능을 최대한으로 확보하면서도 플랜지커버(12)의 무게와 제작비용은 크게 줄일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폐선박(1)의 침설작업시 각각의 침수플랜지(6)로부터 플랜지커버(12)를 보다 손쉽게 분리시키도록 하는 측면에서도 유리한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If the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플랜지커버(12)를 커버판(9)과 장착링(11)으로 구분시키지 않고 플랜지커버(12) 자체를 소정 두께의 원판 형태로 제작하여 플랜지파이프(8)의 선단 플랜지부와 직접 조립시키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플랜지커버(12)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폐선박(1)의 침설작업을 위하여 플랜지파이프(8)로부터 분리된 플랜지커버(12)는 바지선으로 전량(全量) 회수하여 또 다른 침선어초(10)의 시설작업에 재사용토록 하는 것이 보다 경제적이며, 커버판(9)을 경질 고무판으로 한 경우, 장착링(11)을 분리시키지 않고 커버판(9) 자체를 절개시키는 방식의 침설작업 역시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The
또한, 상기 플랜지파이프(8)는 금속 재질로 하여 플랜지부를 제외한 후방측 몸통 부분이 플랜지구멍(15)을 따라 삽입되도록 한 다음, 플랜지파이프(8)의 선단측 외주연부를 선체(2)와 일체로 용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하여 도 2의 확대부에 용접부(14)를 나타낸 것이며, 폐선박(1)이 소형 선박일 경우에 한하여 앞서 설명되어진 용접식이 아닌 끼움식이나 체결식으로 침수플랜지(6)의 플랜지파이프(8)를 해당 플랜지구멍(15)에 조립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어떠한 경우에라도, 플랜지파이프(8)의 선단측 플랜지부가 선체(2)의 외부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은 피하고, 가급적 해당 플랜지부가 선체(2)의 외측면과 거의 맞닿는 수준이 되도록 함으로서, 바지선을 이용한 폐선박(1)의 예인작업시 선체(2)의 외부로 돌출되는 침수플랜지(6) 부분에 의한 수력저항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랜지파이프(8)와 플랜지커버(12)의 조립볼트(13)를 아이볼트(Eye bolt: 볼트 헤드가 고리 모양의 손잡이를 이루는 것)로 하여 플랜지커버(12)의 조립작업이나 분리작업을 보다 손쉽게 수행토록 할 수도 있다.In any case, the leading end flange portion of the
상기 침수플랜지(6)의 다른 일례로서, 플랜지파이프(8)의 선단 입구측 플랜지부에 상기 플랜지커버(12)를 대신하여 개폐밸브를 설치한 것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개폐밸브로서는 선체(2)의 외부로 침수플랜지(6)가 돌출되는 길이를 최대한으로 줄이면서도 밸브의 개폐작동은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버터플라이밸브가 가장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글로브밸브나 게이트밸브 또는 볼밸브와 같은 다른 여러 가지의 공지된 밸브기구가 적용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상기 개폐밸브는 폐선박(1)의 침설작업시 이를 분리 및 회수하는 것이 아니라 폐선박(1)과 함께 수중으로 가라 앉히는 것이므로, 플랜지커버(12)에 비하여 그 활용에 따른 경제성은 다소 저하되지만, 플랜지커버(12)를 설치한 방식과 비교할 경우 폐선박(1)의 침설작업은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폐선박(1)의 침설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다이버를 투입하여 각각의 개폐밸브를 분리 및 회수토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Since the opening / closing valve is not separated and collected at the time of infusion of the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선체(2)의 내측 바닥공간에는 좌측 침수플랜지(6)의 플랜지파이프(8)와 우측 침수플랜지(6)의 플랜지파이프(8)를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최소 2개 이상(도면상 9개)의 통로파이프(5)가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통로파이프(5)는 그 양측 끝단부가 해당 침수플랜지(6)의 플랜지파이프(8)와 연결된 상태로 밸러스트 콘크리트(3)의 타설시 밸러스트 콘크리트(3)의 내부로 매설(埋設)되는 것이다.The
상기 각각의 통로파이프(5)도 금속 재질의 파이프로 하여 침수플랜지(6)의 플랜지파이프(8)와 일체로 용접시킴으로서, 밸러스트 콘크리트(3)의 타설시 콘크리트 성분이 통로파이프(5)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하여 각 통로파이프(5)의 직경은 해당 침수플랜지(6)의 플랜지파이프(8)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침수플랜지(6)의 플랜지파이프(8)와 해당 통로파이프(5)의 단부측이 끼움 결합식으로 조립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Each of the
또한, 각각의 통로파이프(5) 상측에는 밸러스트 콘크리트(3)를 거쳐 소정의 길이, 예를 들어 20~50m 정도의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되는 수직 방향의 스탠드파이프(Stand pipe)(7)가 연결 설치됨으로서, 침수플랜지(6)로부터 플랜지커버(12)를 분리하는 폐선박(1)의 침설작업시 각각의 통로파이프(5)로부터 스탠드파이프(7)를 거쳐 선체(2)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였으며, 도 1을 기준으로 하면, 각각의 통로파이프(5)마다 4개의 스탠드파이프(7)가 연결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스탠드파이프(7)의 설치갯수와 돌출길이는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고, 스탠드파이프(7)의 전체 높이는 50cm~1m, 그 직경은 10~20cm 정도가 바람직하다.A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상기 통로파이프(5)를 어류용과 다이버용으로 구분시켜 설치하는 것이고, 도 1과 도 2를 기준으로 하면 6개의 어류용 통로파이프(5)와 3개의 다이버용 통로파이프(5)가 적용되어 있는 바, 어류용 통로파이프(5)와 다이버용 통로파이프(5)의 설치갯수나 배치상태 역시 도면에 도시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어류용 통로파이프(5)의 직경은 30~80cm 정도가 바람직하고, 다이버용 통로파이프(5)의 직경은 120~150cm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이 또한 필요에 따라 그 치수의 조정이 가능한 사항이다.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이와 더불어, 도 3에서와 같이 어류용 통로파이프(5)의 좌,우측단 입구 내측에는 어류의 몸통 형상과 대응되도록 수직 방향의 타원구멍(17)이 절개 형성된 입구판(16)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타원구멍(17)은 동일한 치수 또는 서로 다른 치수로 하여 해당 입구판(16)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내지 4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타원구멍(17)의 높이는 20~50cm, 그 절개폭은 5~10cm 정도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다이버용 통로파이프(5)의 상측에는 다이버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보조통로관(19)을 추가로 연결 설치하거나, 상기 스탠드파이프(7) 자체가 보조통로관(19)의 기능을 병행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조통로관(19)은 통로파이프(5)로부터 선체(2) 내부공간을 통한 다이버의 추가적인 이동경로 뿐만 아니라 유사시의 탈출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보조통로관(19)의 전체 높이는 1m 내외로 하고, 그 직경은 110cm~120cm 정도가 바람직하다.4, an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선체(2)의 폭 방향에 걸쳐 직선 형태로 설치되는 통로파이프(5)가 선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대표적인 일례로 하였으나, 상기 통로파이프(5)는 도 5의 (가)에서와 같은 지그재그식 통로, 도 5의 (나)에서와 같은 교차식 통로, 도 5의 (다)에서와 같은 병렬식 통로, 도 5의 (라)에서와 같은 연결식 통로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축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1 to 4, the
다시 말해서, 선체(2)의 좌,우측에 입출구가 놓이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선체(2)의 내측 바닥공간에 통로파이프(5)를 배치하는 방식은 선체(2)의 폭과 길이 및 외관 형태 등에 맞추어 무수하게 많은 실시예가 도출될 수 있고, 이렇듯 무수히 많은 실시예를 도면에 모두 기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대표적인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종류별로 나타내었다는 것이며, 다이버용 통로파이프(5)는 도 5에 도시된 수준의 통로구조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어류용 통로파이프(5)는 도 5에 도시된 수준보다 복잡한 형태의 미로식(迷路式) 통로구조물이 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a method of arranging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침선어초(10)를 해저면으로 가라 앉혀 설치하기 까지의 과정을 육상작업과 해상작업의 순서대로 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sinking and installing the needle-
먼저, 오염원의 제거작업이 완료된 폐선박(1)의 좌,우 선측 하부면을 따라 요구하는 위치에 요구하는 개수의 플랜지구멍(15)을 형성시킨 다음, 각각의 플랜지구멍(15)마다 플랜지커버(12) 또는 개폐밸브가 조립된 상태의 침수플랜지(6)를 용접 연결시키는 한편, 선체(2)의 내측 바닥공간에는 좌,우측 침수플랜지(6)의 플랜지파이프(8)가 입출구를 제공하도록 임의 형태의 통로파이프(5)를 선체(2)의 폭 방향에 걸쳐 배치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통로파이프(5)를 해당 플랜지파이프(8)와 용접식으로 연결 설치하게 된다.First, the required number of
그 다음 단계로서, 각 통로파이프(5)의 스탠드파이프(7)와 보조통로관(19)이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노출되도록 선체(2)의 내측 바닥공간으로 밸러스트 콘크리트(3)를 타설하되, 어류용 통로파이프(5)의 매설 높이에 맞추어 밸러스트 콘크리트(3)를 일차 타설 및 경화시킨 후, 이를 베이스로 하여 다이버용 통로파이프(5)의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해당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추가 타설 및 경화시켜 다이버용 통로파이프(5)를 최종 매설시키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도 1에서와 같은 형태의 밸러스트 콘크리트(3)가 선체(2)의 내측 바닥공간에 형성된다.The
상기와 같은 밸러스트 콘크리트(3)의 타설작업시 스탠드파이프(7)와 보조통로관(19)의 상단측에 비닐커버 등을 덧씌워 스탠드파이프(7)나 보조통로관(19)으로 콘크리트 성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절차를 거쳐 육상에서의 폐선박(1) 처리작업이 완료된 이후, 바지선을 이용하여 해당 폐선박(1)을 침선어초(10)의 시설이 요구되는 수역으로 이동시킨 다음, 해수면에 떠 있는 폐선박(1)의 선체(2) 좌,우측으로 다이버들을 투입하여 침수플랜지(6)의 조립볼트(13)를 풀어내도록 함으로서, 각각의 플랜지커버(12)를 해당 침수플랜지(6)와 분리시키게 되며, 침수플랜지(6)에 개폐밸브가 설치된 경우는 각각의 개폐밸브를 개방시키게 된다.A vinyl cover or the like is overlaid o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각각의 침수플랜지(6)로부터 플랜지커버(12)를 분리시키거나 각 침수플랜지(6)의 개폐밸브를 개방시키게 되면, 각각의 통로파이프(5)와 스탠드파이프(7) 및 보조통로관(19)을 거쳐 선체(2)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됨에 따라, 밸러스트 콘크리트(3)와 해수의 하중에 의하여 폐선박(1)이 해수면으로부터 해저면을 향하여 가라앉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폐선박(1)의 침설작업시 바지선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당 폐선박(1)이 직립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가라 앉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통로파이프(5)에 의하여 제공되는 빈 공간만큼 밸러스트 콘크리트(3)의 타설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폐선박(1)의 전체 하중을 기존의 경우보다 가볍게 하여 폐선박(1)의 예인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연료량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폐선박(1)의 침설시에는 각각의 통로파이프(5)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하여 폐선박(1)의 침강하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mount of the
이와 더불어, 폐선박(1)의 침설에 필요한 하중만을 제공토록 하였던 기존의 밸러스트 콘크리트(3) 내부에 수생생물의 은신과 먹이활동 뿐만 아니라, 다이버의 수준높은 수중체험 및 훈련 등에 적합한 터널이나 굴 형태의 수중통로 구조물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되어진 선출원의 쉘터구조물을 밸러스트 콘크리트(3)상에 접목시켜 활용하는 방안 등을 통하여 한층 더 우수한 기능의 침선어초(10)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ballast concrete (3), which provided only the load necessary for the inflow of the wasted ship (1), has tunnel or oyster type suitable for the high level of underwater experience and training of diver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vide an underwater passage structure of the
특히, 침선어초(10)의 시설이 요구되는 수역으로 폐선박(1)을 예인시킨 다음, 각각의 침수플랜지(6)로부터 플랜지커버(12)를 분리시키거나 각 침수플랜지(6)의 개폐밸브를 개방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각각의 통로파이프(5) 및 이와 연결된 스탠드파이프(7)와 보조통로관(19)을 거쳐 선체(2)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 선측 하부를 해상에서 절단하여 해수유입용 대형구멍을 형성시키도록 한 기존의 경우보다 폐선박(1)의 침설작업을 한층 더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Particularly, after the
또한, 어류용 통로파이프(5)의 양측 입구판(16)에 어류의 몸통 형상과 대응되는 수직 방향의 타원구멍(17)을 형성시킨 경우에는, 많은 어종들이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해당 통로파이프(5)의 내부로 유인되어 서식할 수 있고, 다이버용 통로파이프(5)에 수직 방향의 보조통로관(19)을 추가로 설치한 경우에는, 다이버들의 유영 및 탈출경로를 보다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잇점들을 모두 집약시켜 침선어초(10)의 기능성과 활용성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1 : 폐선박 2 : 선체 3 : 밸러스트 콘크리트
4 : 개구부 5 : 통로파이프 6 : 침수플랜지
7 : 스탠드파이프 8 : 플랜지파이프 9 : 커버판
10 : 침선어초 11 : 장착링 12 : 플랜지커버
13 : 조립볼트 14 : 용접부 15 : 플랜지구멍
16 : 입구판 17 : 타원구멍 18 : 체결공
19 : 보조통로관1: Waste ship 2: Hull 3: Ballast concrete
4: opening 5: passage pipe 6: flooded flange
7: stand pipe 8: flange pipe 9: cover plate
10: spool reed 11: mounting ring 12: flange cover
13: Assembly bolt 14: Welded part 15: Flange hole
16: inlet plate 17: elliptical hole 18: fastening hole
19: auxiliary passage tube
Claims (7)
상기 선체(2)를 이루는 좌,우 선측 하부에는 선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최소 2개 이상의 플랜지구멍(15)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선체(2)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플랜지구멍(15)에는 침수플랜지(6)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침수플랜지(6)는 해당 플랜지구멍(15)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선체(2)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플랜지파이프(8)와, 선체(2)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플랜지파이프(8)의 선단측 플랜지부에 수밀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플랜지커버(12)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커버(12)는 폐선박(1)을 해저면으로 침설시키는 작업시 플랜지파이프(8)와 분리되는 것이며,
상기 선체(2)의 내측 바닥공간에는 좌측 침수플랜지(6)의 플랜지파이프(8)와 우측 침수플랜지(6)의 플랜지파이프(8)를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최소 2개 이상의 통로파이프(5)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통로파이프(5)는 밸러스트 콘크리트(3)의 타설시 밸러스트 콘크리트(3)의 내부로 매설되는 것이며,
상기 각각의 통로파이프(5) 상측에는 밸러스트 콘크리트(3)를 거쳐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되는 최소 2개 이상의 스탠드파이프(7)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터널을 가지는 침선어초.In a needle bed reed (10) in which a waste ship (1) having a ballast concrete (3) laid in an inner bottom space of a hull (2)
At least two flange holes (15) ar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2) so as to pass through the hull (2) A flooded flange (6) is connected to the flange hole (15)
The flooded flange 6 has a flange pipe 8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hull 2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lange hole 15 and a flange pipe 8 projecting outwardly of the hull 2, And the flange cover 12 is separated from the flange pipe 8 during an operation of letting the waste ship 1 into the sea floor,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lange pipe 8 of the left side flood flange 6 and the flange pipe 8 of the right flood flange 6 are connected to the inside bottom space of the hull 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2, A passage pipe 5 is installed and each of the passage pipes 5 is embedded in the ballast concrete 3 when the ballast concrete 3 is poured,
Wherein at least two stand pipes (7) extending outwardly by a predetermined length via ballast concrete (3) ar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each passage pipe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4617A KR101831112B1 (en) | 2017-08-18 | 2017-08-18 | Shipwreck artificial reef with concrete tun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4617A KR101831112B1 (en) | 2017-08-18 | 2017-08-18 | Shipwreck artificial reef with concrete tunn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1112B1 true KR101831112B1 (en) | 2018-02-23 |
Family
ID=6138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4617A Active KR101831112B1 (en) | 2017-08-18 | 2017-08-18 | Shipwreck artificial reef with concrete tunn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1112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5747Y1 (en) | 2006-06-28 | 2006-09-07 | 주식회사 해중 | Underwater Fantasia Leisure Structure |
KR101547443B1 (en) | 2015-03-23 | 2015-08-25 | 해주이엔씨 (주) | A sunken ship-reef with H-beam based concrete roof device |
KR101572415B1 (en) | 2015-08-07 | 2015-11-26 | 해주이엔씨 (주) | Shipwreck reef with shelter device combined with ballast concrete |
KR101624469B1 (en) | 2015-11-20 | 2016-05-25 | 해주이엔씨 (주) | Shipwreck reef with shelter device combined with ballast concrete |
-
2017
- 2017-08-18 KR KR1020170104617A patent/KR1018311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5747Y1 (en) | 2006-06-28 | 2006-09-07 | 주식회사 해중 | Underwater Fantasia Leisure Structure |
KR101547443B1 (en) | 2015-03-23 | 2015-08-25 | 해주이엔씨 (주) | A sunken ship-reef with H-beam based concrete roof device |
KR101572415B1 (en) | 2015-08-07 | 2015-11-26 | 해주이엔씨 (주) | Shipwreck reef with shelter device combined with ballast concrete |
KR101624469B1 (en) | 2015-11-20 | 2016-05-25 | 해주이엔씨 (주) | Shipwreck reef with shelter device combined with ballast concre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23547B2 (en) | Semi-submersible aquaculture system | |
CA3052568C (en) | A floating plant | |
US8869746B2 (en) | Mooring structure with habitat features for marine animals | |
EP2787806B1 (en) | Floating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a buoyancy system | |
JP2017176082A (en) | Seabed installation type net fish preserve for breeding abalones | |
CN114902983B (en) | Abalone farming equipment and methods | |
JP2010104237A (en) | Floatable and sinkable fish-breeding reef of organic material | |
CN1982542A (en) | Method for getting fishes through dam | |
JP2008237225A (en) | Method for catching and/or carrying living fish and barge for carrying the same | |
KR101831112B1 (en) | Shipwreck artificial reef with concrete tunnel | |
KR101572415B1 (en) | Shipwreck reef with shelter device combined with ballast concrete | |
KR101547443B1 (en) | A sunken ship-reef with H-beam based concrete roof device | |
GB2437642A (en) | Net array for fish farming | |
KR101877184B1 (en) | Installation method of shipwreck artificial reef using air-bag | |
KR101624469B1 (en) | Shipwreck reef with shelter device combined with ballast concrete | |
AU2013203731B2 (en) | A submersible structure | |
JP2024541745A (en) | Pumping and cleaning system for fish farms | |
KR101316511B1 (en) | Channel cage facility with flow reduction system | |
JP2013141426A (en) | Ship-towed net | |
KR100943540B1 (en) | Artificial fishing reef to be conveyed bt floating, method for constructing it and method for carrying out it | |
JP2018040236A (en) | On-water swimming pool | |
KR101833172B1 (en) | Submerged Marine Debris location marking device | |
KR102308034B1 (en) | A floating movable eco-friendly artificial reefs | |
KR100992806B1 (en) | Artificial reef | |
JP2552098Y2 (en) | Aquaculture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0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