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0966B1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966B1
KR101830966B1 KR1020110095113A KR20110095113A KR101830966B1 KR 101830966 B1 KR101830966 B1 KR 101830966B1 KR 1020110095113 A KR1020110095113 A KR 1020110095113A KR 20110095113 A KR20110095113 A KR 20110095113A KR 101830966 B1 KR101830966 B1 KR 10183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ode
depth information
content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499A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966B1/ko
Priority to US13/543,087 priority patent/US9459785B2/en
Priority to EP12005041.4A priority patent/EP2574061A3/en
Priority to CN201210323334.3A priority patent/CN103019504B/zh
Publication of KR2013003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04N13/117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the virtual viewpoint locations being selected by the viewers or determined by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깊이 정보가 반영되도록 각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표시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입체 영상으로 표시하는 제2 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 기기의 움직임을 토대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간의 전환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genera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전자 기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최근 입체 영상의 표시를 지원하는 기능을 탑재한 전자 기기의 공급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입체로 즐기고 싶어 하는 사용자의 욕구 또한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외부 컨텐츠 제공 업자에 3차원 컨텐츠 공급의 많은 부분을 의존하고 있어 다양한 3차원 컨텐츠를 전자 기기에서 즐기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기기에서 자유롭게 3차원 컨텐츠를 제작하고 배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전자 기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자 기기에서 입체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 기기는,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sion)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깊이 정보가 반영되도록 각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표시하며, 상기 각 객체의 위치 이동을 토대로 상기 각 객체의 깊이 정보를 가변하는 제1 모드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전자 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sion)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깊이 정보가 반영되도록 각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표시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입체 영상으로 표시하는 제2 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 기기의 움직임을 토대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간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 기기는,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sion)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입체 객체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2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입체 객체를 상기 제2 영역으로 복사하면, 상기 선택된 입체 객체를 2차원 객체로 변경하여 상기 제2 영역에 배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깊이 정보가 반영되도록, 각 객체와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기 설정된 기준선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거리를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전자 기기의 움직임에 의해 특정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입체 영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은, 전자 기기에서 입체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전자 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한 입체 영상(stereoscopic image)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의 컨텐츠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 컨텐츠에 포함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 입체 객체를 컨텐츠에 추가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의 입체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 가상의 입체 공간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가 2차원 객체인 경우의 제1 모드에서의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 가상의 입체 공간 내에서 객체의 깊이 정보를 가변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 제1 모드에서 화면의 일부 영역에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 제2 모드에서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 제1 모드에서 컨텐츠를 추가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컨텐츠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입체 객체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배치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일, 일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전자 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전자 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자 기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자 기기(100)와 전자 기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전자 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전자 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포인트(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포인트(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기기(100)의 개폐 상태, 전자 기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전자 기기의 방위, 전자 기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전자 기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전자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전자 기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전자 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전자 기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전자 기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전자 기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 기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전자 기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전자 기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 기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모듈은 전자 기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자 기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자 기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전자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한 입체 영상(stereoscopic image)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lenticular lens array)를 이용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도 3은 패럴랙스(parallax barrier)를 이용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는 사람의 좌안과 우안이 사물을 보는 시각의 차이를 의미한다. 사람의 뇌에서 좌안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면, 그 합성된 영상은 사람에게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아래에서는, 사람이 양안시차에 따라 입체감을 느끼는 현상을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sion)'라 명명하여 사용하고, 입체시를 일으키는 영상을 '입체 영상(stereoscopic image)'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또한, 영상에 포함된 특정 객체(object)가 입체시를 일으키는 경우, 해당 객체를 '입체 객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또한, 입체시를 일으키도록 제작된 컨텐츠를 '입체 컨텐츠'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입체 컨텐츠로는 입체 영상, 입체 객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양안시차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은 특수 안경이 필요한 안경식과 안경이 필요 없는 무안경식으로 구분된다.
안경식은 파장 선택성이 있는 색안경을 이용하는 방식, 편광차에 따른 차광 효과를 이용한 편광 안경 방식, 눈의 잔상 시간 내에 좌우의 화상을 교대로 제시하는 시분할 안경 방식 등이 있다. 이외에도 좌우안에 각각 투과율이 다른 필터를 장착하여 투과율의 차로부터 오는 시각계의 시간차에 따라서 좌우 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입체감을 얻는 방식이 있다.
그리고, 관찰자 쪽이 아닌 영상 표시면 쪽에서 입체감이 발생하는 방식인 무안경식에는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또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microlens array) 방식 등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11a)를 포함한다.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11a)는 좌안(1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12b)에 입력될 픽셀(R)이 가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표시면(13)과 좌우안(12a, 12b) 사이에 위치하며, 좌안(1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12b)에 입력될 픽셀(R)에 대한 광학적인 변별 지향성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11a)를 통과한 영상은 좌안(12a)과 우안(12a)에서 분리되어 관찰되고, 사람의 뇌는 좌안(12a)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12b)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 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수직 격자 모양의 패럴랙스 배리어(11b)를 포함한다. 패럴랙스 배리어(11b)는 좌안(1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12b)에 입력될 픽셀(R)이 가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표시면(13)과 좌우안(12a, 12b) 사이에 위치하며, 수직 격자 모양의 개구(aperture)를 통해 좌안(12a)과 우안(12b)에서 영상이 분리되어 관찰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람의 뇌는 좌안(12a)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12b)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 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이러한 패럴랙스 배리어(11b)는 입체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온(on) 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하고, 평면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프(off)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양안시차를 이용한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전자 기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문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입체시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전술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 방식 또는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입체시를 구현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입체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구비된 패널을 활성화시키는 상태를 '입체 영상 표시 모드'라 명명하여 사용하고, 입체시 구현을 위한 패널을 비활성화시킨 상태로 영상을 표시하는 상태를 '2차원 영상 표시 모드'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입체시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은 부분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화면을 부분적으로 입체 영상 표시 모드 또는 2차원 영상 표시 모드로 동작하도록 패널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터치스크린(151)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은, 정보 표시 기능과 정보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본 문서에서 터치 제스처는 터치 스크린(151)를 접촉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여 구현되는 제스처를 의미하며, 터치 입력은 터치 제스처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터치 제스처는 동작에 따라 태핑(tapping), 드래그(drag), 플리킹(flicking), 프레스(press), 멀티 터치(multi touch),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으로 구분된다.
태핑은 터치 스크린(151)을 가볍게 한번 눌렀다 떼는 동작으로, 일반 컴퓨터에서의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터치 제스처를 의미한다.
또한, 드래그는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떼는 동작으로, 객체를 드래그하는 경우, 해당 객체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플리킹은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 후 접점을 떼는 동작을 의미하며, 이동 단말기(100)는 플리킹에 의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플리킹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플리킹 방향을 토대로 전자 책(e-book)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는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멀티 터치는 터치 스크린(151)의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핀치 인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또한, 핀치 아웃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상기 센싱부(140)는 자이로 센서(Gyroscope),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을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전자 기기(100)의 축 선상에서의 회전 즉, 전자 기기(100)의 회전에 따른 회전 속도 또는 각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전자 기기(100)의 움직임에 따른 중력 가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지자기 센서는 나침반처럼 전자 기기(100)의 방위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30)의 자이로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각속도,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중력 가속도 및 지자기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전자 기기(100)의 방위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전자 기기(100)의 움직임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의 움직임은 전자 기기의 기울어짐(tilting), 수평상태, 회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객체의 입체시에 따른 깊이(depth) 정보를 반영하도록 가상의 입체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배치하고, 가상의 입체 공간 내에서의 위치를 이용하여 각 객체의 깊이 정보를 가변하는 모드를 '제1 모드'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프리뷰(preview) 이미지를 입체 영상으로 표시하는 모드를 '제2 모드'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컨텐츠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컨텐츠 생성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화면 상에 배치한다(S101).
상기 S101 단계에서, 상기 객체는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객체이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객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객체는 입체 객체이거나 2차원 객체일 수 있다.
도 5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컨텐츠 생성에 사용 가능한 객체들의 리스트를 화면의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객체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객체(OB1)가 선택되고, 선택된 객체(OB1)가 제2 영역(A2)으로 드래그되면, 해당 객체(OB1)를 컨텐츠에 추가한다. 즉,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객체(OB1)를 컨텐츠 편집에 사용되는 제2 영역(A2)에 배치한다.
한편, 도 5는 컨텐츠 생성에 사용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컨텐츠 생성에 사용되는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컨텐츠에 객체를 추가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 중 일부를 컨텐츠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즉, 컨텐츠 생성을 위해 제2 영역(A2)에 배치된 객체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객체를 제거함으로써, 해당 객체를 컨텐츠에서 제거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보면, 상기 S101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컨텐츠 생성에 사용되는 객체들을 선택하면,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선택된 객체들의 표시 특성을 가변할 수도 있다. 여기서, 표시 특성은, 표시 크기, 표시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컨텐츠 생성을 위해 화면에 배치된 객체의 표시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컨텐츠 생성을 위해 화면에 배치된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101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컨텐츠 생성을 위해 선택된 객체가 입체 객체인 경우, 해당 입체 객체의 깊이 정보를 그대로 반영하거나, 해당 객체를 2차원 객체로 변환하여 컨텐츠에 포함시킬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입체 객체의 깊이를 디스플레이 면에 해당하는 'depth 0'으로 변경하여 선택된 입체 객체를 2차원 객체로 변환하고, 변환된 2차원 객체를 컨텐츠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입체 객체를 컨텐츠에 추가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체 객체(SOB1)가 컨텐츠 편집을 위한 제2 영역(A2)으로 드래그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된 입체 객체(SOB1)를 제2 영역(A2)에 배치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입체 객체(SOB1) 배치 시, 입체 객체(SOB1)의 깊이 정보를 그대로 반영하여 제2 영역(A2)에 표시한다. .
도 7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체 객체(SOB1)가 컨텐츠 편집을 위한 제2 영역(A2)로 드래그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객체(SOB1)를 2차원 객체(OB1)로 변환한 뒤, 제2 영역(A2)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선택된 입체 객체(SOB1)의 깊이를 2차원 객체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경한 뒤, 제2 영역(A2)에 배치한다.
다시, 도 4를 보면, 상기 S101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컨텐츠 생성에 사용되는 객체로 이미지가 선택되면, 선택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출하여 컨텐츠 생성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로부터 객체들을 추출하여 컨텐츠 생성에 사용하는 경우, 컨텐츠 편집 시 특정 객체만을 별도로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컨텐츠 내에서 특정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특정 객체만을 확대/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객체의 깊이 정보를 별도로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 생성에 사용되는 객체로 선택된 이미지가 입체 이미지인 경우,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객체들은 입체 객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추출되는 각 객체의 깊이 정보(depth)을 함께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입체 객체 배치 시와 마찬가지로, 추출된 입체 객체의 깊이 정보를 그대로 반영하여 배치하거나, 추출된 입체 객체를 2차원 객체로 변환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보면, 제어부(180)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S102), 각 객체들의 깊이 정보를 가변하기 위한 제1 모드에 진입한다.
제1 모드에 진입하면, 제어부(180)는 각 객체들의 깊이 정보를 직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가상의 입체 공간을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 또한, 각 객체의 깊이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가상의 입체 공간 내에서 각 객체가 배치되는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를 토대로 대응하는 객체를 배치한다(S103).
상기 S102 단계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아래와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전자 기기(10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전자 기기(10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전자 기기(10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전자 기기(100)의 자세가 수평 상태 등과 같이 특정 상태가 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전자 기기(100)의 기울어짐을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전자 기기(100)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입력부(130)에 포함된 특정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특정 영역이 터치됨에 따라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전자 기기(100) 바디의 특정 부분에 대한 태핑 동작을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전자 기기(100) 바디의 후면이 태핑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상기 S103 단계에서, 가상의 입체 공간은, 입체 영상 표시 모드로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양안시차에 의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도 8은 가상의 입체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가상의 입체 공간을 측면에서 바라본 이미지를 표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객체들(OB11, OB12, OB13)이 포함된 입체 영상을 입체 영상 표시 모드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면, 입체 영상은 디스플레이 면(151a)을 기준으로 앞, 뒤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가상의 입체 공간(VS1) 내에,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객체들(OB11, OB12, OB13)이 보여지는 입체시를 사용자에게 발생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제1 모드에 진입하면, 사용자가 상기 가상의 입체 공간(VS1)을 특정 방향에서 바라보는 경우의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시선 방향 즉 정면에서 바라본 입체 공간(VS1)의 이미지를 시각화할 경우, 사용자는 각 객체(OB11, OB12, OB13)의 화면 내 위치를 토대로 수평(width), 수직(height)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가능하다. 반면에, 각 객체(OB11, OB12, OB13)의 화면 내 위치를 토대로, 각 객체(OB11, OB12, OB13)의 깊이(depth)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제2 시선 방향 즉, 위쪽에서 바라본 입체 공간(VS1)의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표시함으로써, 각 객체(OB11, OB12, OB13)의 화면 내 위치를 토대로, 객체들(OB11, OB12, OB13)의 깊이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도 9는 가상의 입체 공간을 제2 시선 방향에서 바라본 이미지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2 시선 방향에서 도 8에 도시된 가상의 입체 공간(VS1)을 바라보는 경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
한편, 제2 시선 방향에서 가상의 입체 공간을 바라본다고 가정하면, 객체(OB11, OB12, OB13)들의 정면 이미지 대신 객체(OB11, OB12, OB13)들을 시선 방향에 따라 회전시켜 바라본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시선 방향에서 가상의 입체 공간을 바라보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객체(OB11, OB12, OB13)들은 시선 방향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회전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보면, 제2 시선 방향에서 가상의 입체 공간(VS1)을 바라본 이미지 상에서의, 각 객체(OB11, OB12, OB13)의 표시 위치는 각 객체(OB11, OB12, OB13)의 깊이 정보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객체(OB11, OB12, OB13) 간의 상대적인 위치는 각 객체간의 상대적인 깊이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제1 객체(OB11)는 제2 객체(OB12)에 비해 화면 하단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1 객체(OB11)는 제2 객체(OB12)에 비해 앞쪽으로 돌출되어 보이는 깊이 정보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9에서 제3 객체(OB13)는 제2 객체(OB12)에 비해 화면 상단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3 객체(OB13)는 상기 제2 객체(OB12)의 뒤쪽으로 들어가 보이는 깊이 정보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의 입체 공간을 제2 방향에서 바라본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각 객체의 가상의 입체 공간 내 위치를 토대로 각 객체의 깊이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객체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영역에 기준선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깊이 정보 표시에 이용되는 기준선은, 특정 깊이의 지점들을 이어 놓은 선으로서, 각 객체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선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준선이 디스플레이 면 즉, 'depth 0'인 지점들을 이어 놓은 선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된 기준선을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면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각 객체가 디스플레이 면을 기준으로 가상의 입체 공간 내에서 어느 정도의 깊이를 가지는지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9를 예로 들면, 제어부(18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면(151a)에 대응하는 기준선(RL1)을 표시한다. 또한, 각 객체(OB11, OB12, OB13)의 깊이 정보를 반영하여 기준선과 객체(OB11, OB12, OB13)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거리를 토대로 각 객체(OB11, OB12, OB13)를 배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준선을 토대로, 제1 객체(OB11)가 디스플레이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보이고, 제3 객체(OB13)가 디스플레이 면을 기준으로 들어가 보이도록 깊이가 설정되었음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는 사용자가 제2 시선 방향에서 바라보는 경우를 가정하고, 가상의 입체 공간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 면에 해당하는 기준선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에 설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기준선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보면, 상기 S103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 중 깊이 정보를 가지는 입체 객체에 대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 정보가 반영되도록 화면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깊이 정보가 없는 2차원 객체에 대해서는, 해당 객체의 깊이를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객체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깊이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2차원 객체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면에 대응하는 'depth 0'을 해당 객체의 깊이로 설정하고, 화면 상에서 'depth 0'에 해당하는 위치에 해당 객체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0은 컨텐츠 생성을 위해 선택된 객체가 2차원 객체인 경우의 제1 모드에서의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컨텐츠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2차원 객체들(OB21, OB22, OB23)을 화면에 배치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제1 모드에 진입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입체 공간 내에 2차원 객체들(OB21, OB22, OB23)을 배치한다. 즉, 2차원 객체들(OB21, OB22, OB23)의 깊이를 'depth 0'으로 설정하고, 'depth 0'에 해당하는 위치에 2차원 객체들(OB21, OB22, OB23)을 표시한다.
다시, 도 4를 보면, 제1 모드에 진입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각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객체의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된 위치를 토대로 각 객체의 깊이 정보를 가변한다(S104).
상기 S104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객체가 이동되면, 객체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등을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객체의 깊이 정보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가 화면 하단으로 이동할수록, 해당 객체가 사용자에게 가깝게 보이도록 깊이 정보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객체가 화면 상단으로 이동할수록, 해당 객체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져 보이도록 깊이 정보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영역에 기준선이 설정된 경우, 객체가 기준선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느냐에 따라, 해당 객체가 디스플레이 면에서 돌출되어 보이거나 들어가 보이도록 깊이 정보를 가변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가상의 입체 공간 내에서 객체의 깊이 정보를 가변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객체(OB22)가 화면 하단으로 이동됨에 따라, 해당 객체(OB22)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획득한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해당 객체(OB22)가 이전 보다 사용자에게 가깝게 보이는 입체시가 구현되도록 객체(OB22)의 깊이 정보를 변경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객체(OB22)가 화면 상단으로 이동됨에 따라, 해당 객체(OB22)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획득한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객체(OB22)가 이전 보다 사용자로부터 멀어져 보이는 입체시가 구현되도록 객체(OB22)의 깊이 정보를 변경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객체의 깊이 정보가 가변됨에 따라, 가변된 깊이 정보를 토대로 각 객체의 표시 크기 또한 자동으로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객체가 사용자에게 가까워 보이도록 깊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의 표시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객체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깊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의 표시 크기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가 이동되면, 컨텐츠 내에서 해당 객체가 배치되는 위치 또한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을 예로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제2 객체(OB22)가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움직인 경우, 해당 객체(OB22)의 표시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2 객체(OB22)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우측으로 움직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2 객체(OB22)가 실제 컨텐츠 내에 배치되는 위치 또한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변경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의 입체 공간 내에서 객체들의 깊이 정보뿐만 아니라 위치 또한 자유롭게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4를 보면, 상기 S104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각 객체의 위치 이동에 따른 변화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화면의 일부 영역을 프리뷰 영역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화면의 일부 영역에 화면에 배치된 객체들이 포함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뷰 영역에 표시되는 프리뷰 이미지는, 현재 가상의 입체 공간에 배치된 객체들이 컨텐츠로 생성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실제로 보여지는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로서, 입체 영상 표시 모드 또는 2차원 영상 표시 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영상 표시 모드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프리뷰 영역에 대해서만 입체시 구현을 위한 패널을 활성화 시킬 수 도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제1 모드에서 화면의 일부 영역에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제어부(180)는 각 객체(OB21 ~ OB24)의 깊이 정보가 반영되도록 객체들(OB21 ~ OB24)을 배치하고, 객체들(OB21 ~ OB24)을 이동시켜 각 객체(OB21 ~ OB24)의 깊이 정보를 가변하기 위한 가상의 입체 공간(VS1)을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객체(OB21 ~ OB24)을 포함하여 생성되는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를 화면의 일부 영역(A3)에 표시한다. 프리뷰 영역(A3)에는, 현재 가상의 입체 공간에 배치된 객체들(OB21 ~ OB24)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된다.
한편, 제어부(180)는 가상의 입체 공간(VS1) 내에서 객체들(OB21 ~ OB24)의 위치, 표시 크기 등이 변경되면, 변경된 위치, 표시 크기 등이 반영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객체 이동으로 인해 객체의 표시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표시 크기를 토대로 프리뷰 이미지 내 해당 객체의 표시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리뷰 이미지가 입체 영상 표시 모드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객체 이동으로 인해 변경된 깊이 정보를 반영하도록 프리뷰 이미지 내 해당 객체의 표시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특정 객체(OB22)가 화면의 우측 하단으로 이동됨에 따라, 해당 객체(OB22)가 이전보다 사용자에게 가깝게 보이는 입체시가 구현되도록 객체(OB22)의 깊이 정보를 변경한다. 또한, 해당 객체(OB22)가 사용자에게 더욱 가까워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객체(OB22)의 표시 크기를 증가시키고, 해당 객체의 표시 위치 또한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변경한다.
또한, 해당 객체(OB22)의 변경된 표시 크기 및 표시 위치가 반영되도록 프리뷰 영역(A3)에 표시되는 해당 객체(OB22)의 표시 특성을 제어한다. 즉, 가상의 입체 공간 내에 표시되는 해당 객체(OB22)의 표시 크기가 증가하였으므로, 프리뷰 영역(A3)에서 대응하는 객체(OB22')의 표시 크기 또한 증가시켜 표시한다.
또한, 가상의 입체 공간 내에 표시되는 해당 객체(OB22)의 표시 위치가 우측으로 이동하였으므로, 프리뷰 영역(A3)에서 대응하는 객체(OB22')의 위치 또한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도 14에서는 프리뷰 이미지가 2차원 표시 모드로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프리뷰 이미지는 입체 영상 표시 모드로 표시될 수도 있다. 프리뷰 이미지가 입체 영상 표시 모드로 표시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OB22)의 깊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변경된 깊이 정보를 반영하여 프리뷰 영역(A3)에서 대응하는 객체(OB22')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보면, 객체들의 깊이 정보를 토대로 가상의 입체 공간에 객체들을 표시하는 제1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S105), 제어부(180)는 제1 모드에서 설정된 각 객체의 표시 위치 및 깊이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또한,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2 모드에 진입한다. 제2 모드에 진입하면, 제어부(180)는 제1 모드에서 설정된 각 객체의 표시 위치 및 깊이 정보를 토대로, 객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를 입체 영상 표시 모드로 화면에 표시한다(S106).
상기 S105 단계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전자 기기(10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전자 기기(10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전자 기기(10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전자 기기(100)의 자세가 수직 상태 등과 같이 특정 상태가 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전자 기기(100)의 기울어짐을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전자 기기(100)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입력부(130)에 포함된 특정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특정 영역이 터치됨에 따라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전자 기기(100) 바디의 특정 부분에 대한 태핑 동작을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전자 기기(100) 바디의 후면이 태핑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도 15는 제2 모드에서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2 모드에 진입하면, 제1 모드에서 설정된 각 객체(OB21~OB24)의 깊이 정보, 표시 위치 등을 반영하여 컨텐츠(C1)를 생성한다. 즉, 제1 모드에서 설정된 각 객체(OB21~OB24)의 깊이 정보, 표시 위치 등을 토대로, 객체들(OB21 ~ OB24)이 포함된 컨텐츠(C1)를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컨텐츠(C1)의 프리뷰 이미지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한다.
다시, 도 4를 보면, 제어부(180)는 제2 모드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확인한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저장을 요청하면(S107),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를 메모리(160)에 저장한다(S108).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선택한 이후에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제1 모드로 진입하고, 제1 모드에서 객체의 깊이 정보, 표시 위치 등을 변경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가상의 입체 공간을 표시하는 제1 모드에서 컨텐츠에 포함되는 객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제1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객체를 가상 입체 공간에 추가하거나 가상 입체 공간에서 선택된 객체를 삭제함으로써, 컨텐츠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도 16은 제1 모드에서 컨텐츠를 추가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각 객체의 깊이 정보가 반영되도록 객체들을 배치하고, 객체을 이동시켜 각 객체의 깊이 정보를 가변하기 위한 가상의 입체 공간(VS1)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컨텐츠에 추가 가능한 객체들의 리스트를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또한,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객체(OB25)가 선택되고, 선택된 객체(OB25)가 가상의 입체 공간(VS1)으로 드래그되면,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객체(OB25)를 가상의 입체 공간(VS1)에 배치한다.
한편, 도 16의 (b)에서는 객체(OB25)가 드래그되는 위치에 따라, 해당 객체(OB25)의 깊이 정보가 정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즉, 객체(OB25)가 드래그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가 해당 객체(OB25)의 깊이 정보로 초기 설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객체(OB25)가 가상의 입체 공간(VA1)으로 드래그되면, 드래그되는 위치와 상관 없이 해당 객체(OB25)에 기 설정되어 있는 깊이 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객체(OB25)를 배치할 수도 있고, 해당 객체(OB25)의 깊이를 디폴트 값으로 초기 설정한 뒤 해당 객체(OB25)를 배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입체시를 일으키는 컨텐츠의 생성을 위해, 컨텐츠에 포함되는 객체들을 선택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상의 입체 공간 내에서 객체를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해당 객체의 깊이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객체 간의 상대적인 위치, 디스플레이 면에 해당하는 기준선과 객체와의 거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각 객체의 깊이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깊이 정보, 표시 크기 등의 변경으로 인해 컨텐츠가 어떻게 바뀌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프리뷰 이미지를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컨텐츠 편집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컨텐츠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입체 객체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2 영역을 제공한다(S201).
상기 제1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체 객체가 입체 표시 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제1 영역에서 선택된 객체를 미리 배치해보고 그 표시 크기를 확인하기 위한 영역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된다.
상기 S201 단계에서,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제2 영역이 2차원 영상 표시 모드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구비된 패널의 일부 영역만을 비활성화 시키거나, 제2 영역에 표시되는 프리뷰 이미지의 깊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면에 해당하는 'depth 0'으로 설정함으로써,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를 2차원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17을 보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입체 객체를 제2 영역으로 복사하라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S202), 선택된 입체 객체를 2차원 객체로 변환한 뒤 제2 영역에 표시한다(S203). 즉, 선택된 입체 객체의 깊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면에 해당하는 'depth 0'으로 변경함으로써, 2차원 객체로 변경한 이후에 제2 영역에 표시된 프리뷰 이미지에 추가한다.
여기서, 제1 영역의 입체 객체를 제2 영역으로 복사하라는 사용자 입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의 입체 객체를 제2 영역으로 복사하라는 사용자 입력은,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입체 객체를 제2 영역으로 드래그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입체 객체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배치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1)에 입체 객체(OB31, OB32)들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편집 중인 컨텐츠(C2)의 프리뷰 이미지를 제2 영역(A12)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입체 객체들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1 영역(A11)에 표시하거나, 기 저장된 입체 객체들의 리스트를 제1 영역(A11)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입체 객체(OB31, OB32)들을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1)에서 입체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1 입체 객체(OB31)가 복사되고, 해당 객체(OB31)를 제2 영역(A12)에 복사하라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이미지(OB31)를 2차원 이미지(OB31')로 변환하여 제2 영역(A12)의 컨텐츠에 추가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1)에 표시된 입체 객체(OB31, OB32)들 중 입체 텍스트 해당하는 제2 입체 객체(OB32)가 복사되고, 해당 객체(OB32)를 제2 영역(A12)에 복사하라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해당 텍스트(OB32)를 2차원 텍스트(OB32')로 변환하여 제2 영역(A12)에 배치한다.
다시, 도 17을 보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어느 하나의 객체가 복사되면, 제2 영역에 새롭게 추가된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해당 객체의 표시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S204). 여기서, 객체의 표시 특성은 객체의 표시 위치, 표시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에 새롭게 추가된 객체의 표시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객체에 대응되어 있는 깊이 정보 또한 변경된 크기를 토대로 자동으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2 영역에 새롭게 추가된 객체의 표시 크기가 증가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객체가 사용자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해당 객체의 깊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도 17을 보면, 제어부(180)는 제2 영역에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입체 객체가 추가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저장이 요청되면(S205), 컨텐츠를 메모리(160)에 저장한다(S206).
상기 S206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컨텐츠 저장 시 제2 영역에 2차원 이미지로 표시되는 프리뷰 이미지가 아닌 원본 컨텐츠를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복사된 객체 또한 입체 객체로 컨텐츠에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만, 프리뷰 이미지로 제2 영역에서 표시된 상태에서, 표시 특성, 깊이 정보 등이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표시 특성, 깊이 정보 등을 반영하여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체시를 일으키는 입체 객체를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객체의 입체감으로 인해, 실제 해당 객체가 디스플레이 면에 어떻게 표시되는지 즉, 어떤 크기로 어떤 위치에 표시되는지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 객체를 추가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에, 추가하고자 하는 입체 객체를 2차원 객체로 변환하여 미리 배치해봄으로써, 실제 해당 객체가 디스플레이 면에 어떻게 표시되는지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기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 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드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Claims (14)

  1.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sion)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깊이 정보가 반영되도록 각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표시하며, 상기 각 객체의 위치 이동을 토대로 상기 각 객체의 깊이 정보를 가변하는 제1 모드를 제공하고, 특정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깊이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입체 영상으로 표시하는 제2 모드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상기 컨텐츠에 입체 객체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추가된 입체 객체의 깊이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추가된 입체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입력은 상기 전자 기기의 움직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움직임을 토대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간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제1 객체의 깊이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제1 객체의 깊이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객체의 표시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컨텐츠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2차원 객체가 추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에 진입하면 기 설정된 값을 깊이 정보로 반영하여 상기 추가된 2차원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기준선을 설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깊이 정보가 반영되도록 상기 각 객체와 상기 기준선과의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화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컨텐츠의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제1 객체가 이동되면, 상기 제1 객체의 위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제1 객체의 표시 특성을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95113A 2011-09-21 2011-09-21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83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113A KR101830966B1 (ko) 2011-09-21 2011-09-21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US13/543,087 US9459785B2 (en) 2011-09-21 2012-07-06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generation method thereof
EP12005041.4A EP2574061A3 (en) 2011-09-21 2012-07-06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generation method thereof
CN201210323334.3A CN103019504B (zh) 2011-09-21 2012-09-04 电子设备及其内容生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113A KR101830966B1 (ko) 2011-09-21 2011-09-21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99A KR20130031499A (ko) 2013-03-29
KR101830966B1 true KR101830966B1 (ko) 2018-02-22

Family

ID=46754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113A Expired - Fee Related KR101830966B1 (ko) 2011-09-21 2011-09-21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59785B2 (ko)
EP (1) EP2574061A3 (ko)
KR (1) KR101830966B1 (ko)
CN (1) CN1030195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8578B2 (en) 2012-02-03 2015-03-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improved image preview functionality
USD752099S1 (en) * 2012-10-31 2016-03-22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screen with graphic user interface
EP2806404B1 (en) * 2013-05-23 2018-10-10 AIM Sport AG Image conversion for signage
KR102098277B1 (ko) 2013-06-11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인성 개선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US20150082145A1 (en) * 2013-09-17 2015-03-19 Amazon Technologies, Inc. Approaches for three-dimensional object display
US10067634B2 (en) 2013-09-17 2018-09-04 Amazon Technologies, Inc. Approaches for three-dimensional object display
US10592064B2 (en) 2013-09-17 2020-03-17 Amazon Technologies, Inc. Approaches for three-dimensional object display used in content navigation
US9591295B2 (en) * 2013-09-24 2017-03-07 Amazon Technologies, Inc. Approaches for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US9437038B1 (en) 2013-09-26 2016-09-06 Amazon Technologies, Inc.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using depth relationships among planes of content
CN103995361B (zh) * 2014-06-17 2017-01-11 上海新视觉立体显示科技有限公司 裸眼3d显示像素单元及多视图裸眼3d图像显示设备
US10073600B1 (en) * 2014-12-22 2018-09-11 Dassault Systemes Solidworks Corporation Selecting large and small entities on a computer display
KR102423175B1 (ko) 2017-08-18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심도 맵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CN109542307B (zh) * 2018-11-27 2021-12-03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5147540A1 (en) * 2024-01-03 2025-07-10 Apple Inc.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1206A1 (en) * 2000-06-19 2004-05-27 Shinji Morimoto Preview image display method, and preview image display device
US6795068B1 (en) * 2000-07-21 2004-09-2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Prop input device and method for mapping an object from a two-dimensional camera image to a three-dimensional space for controlling action in a game program
SE523636C2 (sv) 2001-07-22 2004-05-04 Tomer Shalit Ab Portabelt datoriserat handhållet organ och förfarande för hantering av ett på en skärm visat objekt
US7043701B2 (en) * 2002-01-07 2006-05-09 Xerox Corporation Opacity desktop with depth perception
JP2004145832A (ja) * 2002-08-29 2004-05-20 Sharp Corp コンテンツ作成装置、コンテンツ編集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作成方法、コンテンツ編集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作成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通信端末
NZ525956A (en) * 2003-05-16 2005-10-28 Deep Video Imaging Ltd Display control system for use with multi-layer displays
GB0328005D0 (en) * 2003-12-03 2004-01-0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2D/3D Displays
EP1804154A3 (en) * 2005-12-27 2012-08-08 Poston Timothy Computer input device enabling three degrees of freedom and related input and feedback methods
US20080094398A1 (en) * 2006-09-19 2008-04-24 Bracco Imaging, S.P.A.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ng with a 3D visualization system using a 2D interface ("DextroLap")
US8471873B2 (en) * 2006-10-17 2013-06-25 Oracle America, Inc. Enhanced UI operations leveraging derivative visual representation
JP2008108200A (ja) * 2006-10-27 2008-05-08 Canon Inc 情報抽出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TWI322969B (en) 2006-12-15 2010-04-01 Quanta Comp Inc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orming 2d image into 3d image
US20090265671A1 (en) * 2008-04-21 2009-10-22 Invensense Mobile devices with motion gesture recognition
KR100894874B1 (ko) * 2007-01-10 2009-04-24 주식회사 리얼이미지 그물 지도를 이용한 이차원 영상으로부터의 입체 영상 생성장치 및 그 방법
US20090002368A1 (en) * 2007-06-26 2009-01-01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tilizing a graphical processing unit to provide depth information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JP5087632B2 (ja) * 2007-10-01 2012-12-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5213500B2 (ja) * 2008-04-04 2013-06-19 任天堂株式会社 画像変換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変換装置
US8289316B1 (en) * 2009-04-01 2012-10-16 Perceptive Pixel Inc. Controlling distribution of error in 2D and 3D manipulation
JP4587237B1 (ja) * 2009-06-17 2010-11-24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10157155A1 (en) * 2009-12-31 2011-06-30 Disney Enterprises, Inc. Layer management system for choreographing stereoscopic depth
US8232990B2 (en) * 2010-01-05 2012-07-31 Apple Inc. Working with 3D objects
JP5572494B2 (ja) * 2010-07-07 2014-08-13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US8972879B2 (en) * 2010-07-30 2015-03-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ordering the front-to-back positions of objects
US8913056B2 (en) * 2010-08-04 2014-12-16 Apple Inc.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effects on a display by using properties of motion
US20120176413A1 (en) * 2011-01-11 2012-07-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obile device display mode selection based on motion di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69937A1 (en) 2013-03-21
EP2574061A3 (en) 2015-12-02
US9459785B2 (en) 2016-10-04
KR20130031499A (ko) 2013-03-29
CN103019504B (zh) 2017-07-04
EP2574061A2 (en) 2013-03-27
CN103019504A (zh)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966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KR10184644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EP249816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66919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7287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679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859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637392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1649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800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72864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7313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47928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yment method thereof
KR10173904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입체 영상 표시 방법
KR1019000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6425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19934B1 (ko) 이동 단말기, 그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표시 시스템
KR101864698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673409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2013039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30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01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824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10136131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3008709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9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