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0521B1 - 민달팽이 포집기 - Google Patents

민달팽이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521B1
KR101830521B1 KR1020160105319A KR20160105319A KR101830521B1 KR 101830521 B1 KR101830521 B1 KR 101830521B1 KR 1020160105319 A KR1020160105319 A KR 1020160105319A KR 20160105319 A KR20160105319 A KR 20160105319A KR 101830521 B1 KR101830521 B1 KR 101830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g
liquid
attracted
soil
ho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숙
Original Assignee
김성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숙 filed Critical 김성숙
Priority to KR102016010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52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에 피해를 주는 민달팽이를 특유의 유인액을 약제통에 수납하고 한쌍의 상,하부 흡습포(吸濕布) 사이에 유인액이 분출되는 구조체를 형성하여 별도의 동력 없이 유인액의 자중에 의해 유인액 구조체에 가공된 분출홀을 통하여 유인액이 흡습포(1) 사이로 분출되면 민달팽이가 흡습포가 설치된 바닥의 하부에 모이도록 유인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민달팽이를 손쉽게 유인하여 작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토양해충 민달팽이 포집기는 농약이나 인력의 투입없이 장치의 간단한 설치만으로 주변의 민달팽이를 포획 가능한 기구를 제시하며, 토양 바닥에 두 겹의 흡습포를 깔고, 흡습포 사이에 유인액이 분출되는 분출홀이 구비된 공급호스 구조체를 끼워넣고,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와 유인액이 담겨져 있는 약제통(6) 사이를 유도호스(4)로 연결하여, 장치설치 후 약제통(6)에 유인액을 보충하도록 하여 민달팽이를 포집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특유의 유인액과 습한 곳을 좋아하는 민달팽이의 습성을 이용하여 유인액이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도록 흡습제를 구성하여 토양 바닥에 설치하므로 장치가 설치된 토양의 흡습포 바닥 하부에 민달팽이가 모여서 작업자가 일정한 간격으로 장치를 관리할 때 민달팽이를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약제통(6) 하부에 연결된 유도호스(4)에는 사용환경에 따라 유인액의 분출량을 조절 할 수 있도록 유인액 조절밸브(5)를 구비하여 여러 다양한 사용환경에서도 유인액의 분출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치 관리상의 편이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민달팽이 포집기 {Slug Collector}
본 발명은 작물에 많은 피해를 주는 민달팽이를 상단에 설치된 약제통(6)의 유인액을 토양바닥에 설치된 두 겹의 흡습포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두개방향 이상으로 유인액 분출이 되도록 미세한 분출홀이 구비된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로 공급하여 오랜 시간 동안 작업자의 인력투입이나 별도의 기계장치 없이 일정한 유인액의 분출 작용을 통하여 민달팽이를 유인하여 흡습포 하부의 포획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인액에 의해 흡습포 하부의 토양으로 모이게 된 민달팽이는 유인액의 작용과 흡습포로 인한 습한 환경에 의해 오랜 시간동안 장치 하부의 토양에 모여 있게 되어, 작업자가 일정한 간격으로 포획작업을 수행하면 됨에 따라 토양오염을 유발시키지 않는 민달팽이 포집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요즘 유기농법으로 농사 짓는 농가가 늘어나는 추세로 이러한 농법은 작물에 피해를 주는 민달팽이가 잘 번식하는 생리가 있고, 땅속은 먹이조건이 풍부하고 외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은신처가 된다.
현행 민달팽이 등 해충제거에 소요되는 방제 방법은 거의 농약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고, 농약 사용량이 증가되면서 우리나라의 농약 소비량은 10년 사이에 두 배가 증가하여 지구환경 보호차원에서도 농약사용량 절감이 시급한 상황에 놓여있다.
기존의 제품들은 나뭇가지 등에 걸어 놓아 날아다니는 성충, 나방류를 포집하는 형태로 기어다니는 민달팽이 등을 제거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 발생하고, 상부걸이형으로 포집가능한 것들이 대부분이며 나방, 성충 등 비행해충에만 국한, 기어다니는 민달팽이를 포집하는 기능은 구조적으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
종래에는 특허출원 제 20-2014-0003740 호로 출원되어 등록된 기술이 있는 바, 이는 낮에 활동하는 해충인 파리와 밤에 활동하는 모기를 모두 포획할 수 있는 해충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상단부의 발광부, 하단부의 해충유인부, 중간부의 포획부로 구성하여 상기 유인부를 통해 들어온 해충들은 해충포획부로 이동하여 자연사되어 박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날아다니는 해충을 포집하기 위한 기술로 작물의 잎이나 토양에 기어다니면서 농작물에 해를 많이 끼치는 민달팽이에 대한 포집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농약의 사용없이 특유의 유인액과 유인액의 분출을 통하여 민달팽이를 포집하여 흡습포가 설치된 하부 토양에 모여있는 민달팽이를 포획하거나 자연사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뭇가지에 약제통(6)을 걸수 있는 나뭇가지 걸이고리(8)가 상부에 결합; 길쭉한 원통모양의 통안에 특유의 유인액이 수납되어 있는 약제통(6); 상기 약제통(6)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유인액이 자중에 의해 토양에 설치되어 있는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로 유인액을 유도하여 전달하는 유도호스(4); 상기 약제통(6) 하부의 유도호스(4) 부분에 부착되어 일정간격동안의 유인액 분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인액 조절밸브(5); 상기 유도호스(4)와 결합되어 두개방향 이상으로 분리, 병렬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 상기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의 호스부분에 미세하여 두개방향 이상으로 다수 가공되어 유인액이 외부로 분출 될 수 있도록 하는 유인액 분출홀(3-a); 상기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를 상, 하부로 감싸는 형태의 두 겹의 흡습포판 상부(1); 흡습포판 하부(2)인 흡습포로 이루어지는 토양바닥 설치를 특징으로 하는 민달팽이 포집기에 있어서,
약제통(6)에 수납되어 있는 특유의 유인액이 자중에 의해 유인액 조절밸브(5)의 간격에 의해 일정한 양으로 유도호스를 통하여 토양에 덮여져 있는 두 겹의 흡습포 내부에 설치된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의 두개방향 이상으로 분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일정하게 분출이 되게 되므로, 유인액의 유인작용과 흡습포 또는 흡습포로 인한 습한 환경의 조성으로, 흡습포가 설치된 토양의 하부에 민달팽이가 유인되어 포집되게 된다.
본 발명의 민달팽이 포집기에 따르면, 농약의 사용 없이 유인액과 두 겹의 흡습포를 이용하여 민달팽이를 포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유인액의 자중을 이용한 공급과 조절밸브를 통한 간단한 조작으로 분출량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인액의 수납과 보충, 민달팽이의 포획이 용이하며 실용적이다.
또한 바닥에 설치된 유인공급호스에 유인액을 공급하는 약제통(6)을 과수 등 나뭇가지에 걸어 둘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이 간편하며 농약(제초제, 살충제, 살균제 등) 및 유독물질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토양 오염원을 원천 저감시켜 농약사용을 배제함으로써 살충제 사용에 따른 유용미생물 훼손 없어 땅심 제고효과 발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정면도와 공급호스 구조체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흡습포와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흡습포 또는 흡습포와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의 설치 구상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약제통과 유인액 조절밸브, 나뭇가지 걸이고리의 결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 흡습포 또는 흡습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의 유인액 공급호스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민달팽이 포집기 약제통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9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본 발명은 나뭇가지에 걸 수 있는 약제통(6)에 수납된 유인액이 자중에 의해 유도호스를 통하여 토양바닥에 설치되어 토양과 접하는 두 겹의 흡습포 내부에 설치된 유인액공급호스 구조체(3)에 두개방향 이상으로 미세하게 다수 가공되어 있는 분출홀을 통하여 유인액이 분출되면 흡습포에 스며들게 되어 유인액의 작용과 습환환경 조성으로 인하여 민달팽이가 흡습포 하부와 토양에 접하는 곳에 모여들게 되는 원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민달팽이 포집기는 도 2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의 호스 외부에 두개방향 이상으로 미세한 분출홀이 다수 가공되어 외부로 분출되어 민달팽이를 유인함으로써 손쉽게 포집할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기계장치나 인력투입, 농약의 사용 없이 민달팽이를 포집할 수 있으면서도 유인액 조절밸브(5)의 조작을 통하여 일정한 양으로 유인액 분출이 가능하므로, 농약의 사용이나 별도의 장치 없이 유인액과 습한 환경의 조성으로 민달팽이가 외부로 탈출하지 않고, 장시간 모여있게 되도록 유도하여 민달팽이의 포집이 손쉽게 수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뭇가지에 약제통(6)을 걸 수 있는 나뭇가지 걸이고리(8); 상기 나뭇가지 걸이고리(8)가 상부에 결합되고, 길쭉한 원통모양의 통안에 특유의 유인액이 수납되어 있는 약제통(6); 상기 약제통(6)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유인액이 자중에 의해 토양에 설치되어 있는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로 유인액을 유도하여 전달하는 유도호스(4); 상기 약제통(6) 하부의 유도호스(4) 부분에 부착되어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분출홀과; 유인액 분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인액 조절밸브(5); 상기 유도호스(4)와 결합되어 두개방향 이상으로 분리, 병렬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 상기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의 호스부분에 미세하여 두개방향 이상으로 다수 구비되어 유인액이 외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인액 분출홀(3-a); 상기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를 상, 하부로 감싸는 형태의 한쌍의 흡습포판 상부(1), 흡습포판 하부(2)로 이루어지는 토양바닥 설치를 특징으로 하는 민달팽이 포집기를 통하여 약제통(6)에 수납되어 있는 특유의 유인액이 자중에 의해 유인액 조절밸브(5)의 간격에 의해 일정한 양으로 유도호스(4)를 통하여 토양에 덮여져 있는 두 겹의 흡습포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의 두개방향 이상의 분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일정하게 분출되도록 유도하고, 유인액의 유인작용과 흡습포 또는 흡습포로 인한 습한 환경 조성으로, 흡습포 또는 흡습포가 설치된 토양의 하부에 모여 있도록 유도시켜 민달팽이가 유인되어 포집되는 친환경 유인포집장치이다.
1: 흡습포 상부 2: 흡습포 하부
3: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 3-a: 유인액 분출홀
3-b: 유도호스 결합부 4: 유도호스
5: 유인액조절밸브 6: 약제통
6-a: 약제통 뚜껑 결합부 6-b: 나뭇가지 걸이고리 결합부
6-c: 유도호스 결합부
7: 약제통 뚜껑 8: 나뭇가지 걸이고리

Claims (2)

  1. 두 겹으로 된 흡습포 내부에 두개 방향 이상으로 분출이 가능한 분출홀이 구비된 호스가 구비된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를 구성하여,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를 통해 유인액이 분출되면 흡습포에 스며들게 되어 흡습포 하부(2)와 토양표면과의 접하는 부분에 민달팽이가 유인하여 포획되도록 하고,
    상단에 약제통(6)을 구비하여, 상기 약제통(6)에 채워진 유인액이 자중에 의해 약제통 하단 일측에 연결된 유도호스(4)를 통하여 다수의 미세한 분출홀이 형성된 유인액 공급호스 구조체(3)로 공급되도록 하여 토양바닥에 덮여져 있는 흡습포 내부에 유인액 분출이 두개 방향이상으로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약제통의 유인액이 유인액 조절밸브(5)의 약제 공급량 조절에 의해 일정한 양으로 유인액이 토양에 설치된 흡습포로 분출이 되어 흡습포가 설치된 토양바닥으로 민달팽이가 유인 및 포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달팽이 포집기.
  2. 삭제
KR1020160105319A 2016-08-19 2016-08-19 민달팽이 포집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830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319A KR101830521B1 (ko) 2016-08-19 2016-08-19 민달팽이 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319A KR101830521B1 (ko) 2016-08-19 2016-08-19 민달팽이 포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521B1 true KR101830521B1 (ko) 2018-02-21

Family

ID=6152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3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830521B1 (ko) 2016-08-19 2016-08-19 민달팽이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5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930A (ko) 2021-01-21 2022-07-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달팽이 자동 방제 트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3461B2 (ja) * 2003-08-21 2009-03-04 アース製薬株式会社 腹足類害虫用駆除具および腹足類害虫駆除方法
KR101140671B1 (ko) * 2010-05-17 2012-05-07 남건우 해충 유인 퇴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3461B2 (ja) * 2003-08-21 2009-03-04 アース製薬株式会社 腹足類害虫用駆除具および腹足類害虫駆除方法
KR101140671B1 (ko) * 2010-05-17 2012-05-07 남건우 해충 유인 퇴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930A (ko) 2021-01-21 2022-07-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달팽이 자동 방제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60906T3 (es) Aparato y método para atrapar plagas de insectos voladores
Glass et al. Sex pheromone trapping red-banded leaf roller moths and development of a long-lasting polyethylene wick
KR101945815B1 (ko) 토양 바닥 설치형 일회용 토양 서식 해충 포집기
US3303599A (en) Insect trap
KR101140671B1 (ko) 해충 유인 퇴치기
WO2006046067A1 (en) Biological control of insect pests
KR101830521B1 (ko) 민달팽이 포집기
KR20170139389A (ko) 땅 속 매립식 해충 포집기
KR101852962B1 (ko) 과수나무 장착식 민달팽이 포집기
KR101677727B1 (ko) 산림 해충 유인포집장치
CN103704186A (zh) 果实蝇诱捕器
KR200478938Y1 (ko) 해충 포획기
JP6879735B2 (ja) 飛翔害虫捕獲器
CN201248333Y (zh) 一种昆虫诱捕器
KR101755008B1 (ko) 해충 트랩 장치
KR101835679B1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KR102642149B1 (ko)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CN212306574U (zh) 一种具有集虫瓶的天牛诱捕器
CN104798751A (zh) 一种蚊虫防制装置
EP3772278A1 (en) Device and process for olive pick paste catching - horizontal tubular model
KR20230099514A (ko) 방충성을 발현하는 저장 농산물용 기능성 방향물
KR200488825Y1 (ko) 해충 제거 모듈
CN215582964U (zh) 一种天牛诱捕装置
CN209330963U (zh) 一种茶叶种植用害虫诱杀装置
KR102516460B1 (ko) 친환경 달팽이 자동 방제 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