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626B1 - Safety Apparatus Of Folding Door - Google Patents
Safety Apparatus Of Folding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9626B1 KR101829626B1 KR1020160119417A KR20160119417A KR101829626B1 KR 101829626 B1 KR101829626 B1 KR 101829626B1 KR 1020160119417 A KR1020160119417 A KR 1020160119417A KR 20160119417 A KR20160119417 A KR 20160119417A KR 101829626 B1 KR101829626 B1 KR 1018296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frame
- frame
- buffer
- door
- fast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도어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 서로 접촉되는 도어프레임 사이를 완충시켜 주도록 구현한 폴딩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삽입 설치되어, 도어프레임이 다른 도어프레임과 접촉 시에 다른 도어프레임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프레임부; 및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완충프레임부에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 folding door, which is provided to buffer a gap between door frames which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for the sake of safety of a user in a folding door, and which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door frame, A buffer frame portion for buffering other door frames; And a cushioning portion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buffer frame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폴딩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딩도어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 서로 접촉되는 도어프레임 사이를 완충시켜 주도록 구현한 폴딩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 folding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device for a folding door,
식당과 같은 협소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벽면 대용으로 개폐가 용이한 벽면대용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벽면대용도어는, 일측이 경첩에 의해 문틀에 고정되어 개방되는 일방향도어와, 천장부에 롤러가 설치되어 개방된 도어가 절첩되는 폴딩도어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접이식 도어로 이루어지며, 도어를 개방했을 때에 도어가 절첩됨으로써, 도어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한 줄일 수 있다. 특히, 아파트의 발코니와 거실의 경계부에 폴딩도어를 설치함으로써, 도어의 개방 시에 거실을 확장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발코니와 거실의 경계부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폴링도어는, 상/하부 및 좌/우측부에 프레임이 설치되고, 해당 도어프레임의 내측부에 강화유리나 그릴 망 등이 구비되어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the narrow space such as a restaurant, a door for a wall surface which is easy to open and close for the wall side is installed. Such a wall surface substitute door is made up of a one-way door whose one side is fixed to the door frame by a hinge and is opened, a folding door where the door is opened with a roller installed on the ceiling portion, and a folding door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guide rail And the door is folded when the door is opened, so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door can be minimized. Particularly, by providing a folding doo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alcony and the living room of the apartment, the same effect as that of extending the living room when the door is opened can be obtained, and a large number of living rooms are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alcony and the living room. Such a poling door is provided with a frame on the upper / lower portion and the left / right side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 reinforced glass, a grill net or the like on the inner side portion of the door frame.
한국등록특허 제10-1219095호(2012.12.31 등록)는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복수의 개별도어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경첩에 의해 연결되고 경첩을 중심으로 지그재그형으로 접철 가능한 폴딩도어에 있어서, 각 개별도어는 각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장방형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테두리 프레임에 의해 테두리가 구성되고, 테두리 프레임의 내부 영역 중 일부 영역에는 갤러리 창이 점유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수평한 구획프레임에 의해 갤러리 창의 영역과 구분되는 유리창이 점유되는 구성을 갖되, 갤러리 창은 횡장형으로 되며 상하방향으로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동 루버판, 가동 루버판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배치되는 상,하부 고정 루버판, 각 가동 루버판 및 각 고정 루버판의 양쪽 단부에 끼움 되며 외측면에 결합핀이 형성된 사이드 캡, 사이드 캡의 외측에 배치되며 각 결합핀이 관통 결합되는 다수의 핀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루버판들을 세트화하는 수직 플레이트, 각 수직 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직 플레이트와 인접하는 제1 공간부와, 제1 공간부와 구획되는 제2 공간부를 가진 채 테두리 프레임의 수직프레임 내면과 밀착되는 내부 수직프레임, 상부 고정 루버판의 상측 및 하부 고정 루버판의 하측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수평 플레이트, 각 수평 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평 플레이트와 인접하는 제3 공간부와, 제3 공간부와 구획되는 제4 공간부를 가진 채 테두리 프레임의 수평프레임 내면과 밀착되는 내부 수평프레임, 가동 루버판 전체의 각도를 일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갤러리 창을 이루는 루버를 90ㅀ범위 내에서 개폐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 개별도어의 내측에 회전식 핸들을 설치함으로써 개폐조작이 용이하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19095 (registered on Dec. 31, 2012) discloses a folding door having a gallery window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gle adjustment, wherein a plurality of individual doors are hing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 folding door capable of being folded in a zigzag manner, wherein each individual door comprises a frame formed by a frame frame formed by combining a pair of vertical frames and a horizontal frame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gallery window is occupied in some of the inner areas of the frame frame And a window pane separated from the gallery window area by a horizontal partition frame is occupied in the remaining area, wherein the gallery window has a plurality of movable louver plates arranged horizontally and partially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Upper and lower fixed louver plates disposed at the uppermost and lowermost ends, respective movable louver plates and respective fixed louver plates A side plate which is fitted to both end portions and has coupling pin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s thereof, a vertical plate which is disposed outside the side caps and in which a plurality of pin holes through which the coupling pins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et the louver plates, An inner vertical fram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frame and has a first space portion adjacent to the vertical plate and a second space portion defined by the first space portion, A horizontal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louver plates, a third space portion coupled to the outside of each of the horizontal plates, the third space portion being adjacent to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fourth space portion being partitioned from the third space portion An inner horizontal fram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of the frame frame, an angle adjustment for collective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entire operation louver pane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terial.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re facilitated by providing a rotary handle inside each individual doo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louver forming the gallery window can be adjusted within a range of 90 degrees.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12359호(2007.11.23 공개)는 개별 도어들 사이에 돌출형의 핸들을 갖는 핸들 프레임을 설치하여 개별 도어의 절첩 상태를 단속할 수 있는 폴딩도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도어 사이에 위치되며, 좌,우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회동축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 핸들 프레임과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인접된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판상의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외측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대응되는 핸들 프레임의 회동축에 결합되는 환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일측단에는 90도 각도 개방부가 형성된 가이더로 이루어진 회동 프레임과 핸들 프레임의 중심 외측에 90도 각도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며, 내측에는 회동에 의해 핸들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동되는 캐리어가 결합된 핸들과 캐리어에 각각 결합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문틀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상,하걸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112359 (published on November 23, 2007) discloses a folding door capable of interrupting a folded state of an individual door by providing a handle frame having a protruding handle between individual doors .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 plate-shaped plate,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doors, is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frame, the handle frame extending integr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otatable frame formed integrally with an outer end of the plate and formed with an annular guide groove coupled to a rotation shaft of a corresponding handle frame and formed with a guider having a 90 degree opening at one end, And a handle coupled to the carrier and coupled to the carrier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frame by pivoting, And an upper and a lower engaging plate selectively engaged and disengaged.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폴딩도어는, 서로 접촉되는 도어프레임 사이에 별도의 안전수단이 없으므로, 도어가 서로 절첩되어 개방 상태에 있다가 닫을 때에 도어의 벌어지는 틈 사이로 사용자의 신체나 물품 등이 끼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folding doo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separate safety means between the door frame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doors are folded together and are in the open state, when the door is closed, the user's body,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cause an accide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딩도어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 서로 접촉되는 도어프레임 사이를 완충시켜 주도록 구현한 폴딩도어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device for a folding door, which is implemented to provide a buffer between door frame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 the sake of safety of a user in a folding doo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삽입 설치되어, 도어프레임이 다른 도어프레임과 접촉 시에 다른 도어프레임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프레임부; 및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완충프레임부에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하는 폴딩도어의 안전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omprising: a buffer frame part inserted into one side of a door frame to buffer other door frames when the door frame contacts the other door frame; And a cushioning portion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for providing elasticity to the cushioning frame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으로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력수단; 및 상기 탄력수단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력수단에서 제공하는 탄력에 의해 상기 완충프레임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ffering portion includes elastic means for fixing one side of the door frame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and for providing elasticity to the other side thereof; And first coupling mean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ans for coupling with the buffer frame portion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mean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탄력수단은, 다른 일측으로 상기 제1결합수단에 탄력을 제공하여 상기 완충프레임부를 완충시켜 주며, 도어프레임이 다른 도어프레임과 접촉 시에 상기 제1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완충프레임부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means provides elasticity to the first coupling means to the other side to buffer the buffer frame portion, and when the door frame contacts the other door frame, And is a spring which is compressed by the frame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탄력수단은,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자석; 및 상기 제1결합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의 척력에 의해 상기 제1결합수단에 탄력을 제공하여 상기 완충프레임부를 완충시켜 주기 위한 제2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silient means includes: a first magnet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door frame; And a second magnet fixed to the first coupling means and providing a resilient force to the first coupling means by a repulsive force of the first magnet to buffer the buffer frame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탄력수단은, 다른 도어프레임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접근센서; 일측이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으로 상기 제1결합수단에 탄력을 제공하여 상기 완충프레임부를 완충시켜 주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접근센서의 접근 감지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제어수단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silient means comprises an access sensor for sensing the approach of another door frame; An actuator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on one side and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first coupling means on the other side to buffer the buffer frame part; And a pressur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actuator in accordance with the approach detection of the approach senso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딩도어의 안전장치는, 다른 도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도어프레임이 다른 도어프레임과 접촉 시에 상기 완충프레임부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afety device for the folding door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art fixed to the other door frame and fastened to the buffer frame part when the door frame contacts the other door fram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다른 도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완충프레임부와 체결하기 위한 제1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fastening means fixedly mounted to the other door frame; And a first fastening means fixed to the fixing means and fastened to the buffer frame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체결수단은, 양 측부에 상기 완충프레임부와 체결하기 위한 두 개의 체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means is provided with two fastening grooves for fastening the buffer frame portion to both side portion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완충프레임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수단; 상기 본체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걸림수단; 및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도어프레임이 다른 도어프레임과 접촉 시에 다른 도어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ffer frame portion includes: a body; Second coupling mean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for coupling with the cushioning portion; An engag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ngage with the engaging jaw formed inside the door frame; And second fastening mea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for fastening the other door frame when the door frame contacts the other door fram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체결수단은, 양 측부에 다른 도어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두 개의 체결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fastening means is characterized by having two fastening protrusions for fastening the other door frame to both sides.
본 발명에 의하면, 폴딩도어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 서로 접촉되는 도어프레임 사이를 완충시켜 주도록 구현한 폴딩도어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도어가 서로 절첩되어 개방 상태에 있다가 닫을 때에 서로 접촉되는 도어프레임 사이가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나 물품 등이 도어프레임 사이에 들어가더라도 끼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의 신체(특히, 손)가 다치거나 물품이 망가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device for a folding door that is configured to buffer between door frame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 the sake of safety of a user in a folding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body (particularly, a hand) from being accidentally caught in the door frame,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user's body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안전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완충프레임부, 완충부 및 체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완충부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완충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완충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afety device for a fol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uffer frame part, a buffer part and a fastening part in Fig. 1;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driving of the buffer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uffer portion shown in Fig. 2 as a second exampl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uffer portion shown in Fig. 2 as a third exampl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안전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folding door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안전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완충프레임부, 완충부 및 체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afety device for a fol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uffer frame part, a buffer part and a fastening part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폴딩도어의 안전장치(10)는, 완충프레임부(100), 완충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folding
완충프레임부(100)는, 내부 공간을 가진 도어프레임(11)의 일측에 삽입 설치되어, 도어프레임(11)이 다른 도어프레임(12)과 접촉 시에 완충부(200)로부터 탄력을 제공받아 다른 도어프레임(12)을 완충해 준다.The
일 실시 예에서, 완충프레임부(100)는, 도어프레임(11)과 접촉되는 도어틀프레임(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hock-absorbing
일 실시 예에서, 완충프레임부(100)는, 도어프레임(11)이 다른 도어프레임(12)과 접촉 시(또는, 도어프레임(11)과 도어틀프레임이 서로 접촉 시)에,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또는, 도어틀프레임) 사이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도록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또는, 도어틀프레임) 사이를 완충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신체나 물품 등이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또는, 도어틀프레임) 사이에 들어가더라도 끼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완충프레임부(100)는, 탄력을 가지는 소재(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등)로 형성되어, 다른 도어프레임(12)이 도어프레임(11)과 접촉한 후에 완충부(200)의 탄력을 이기는 힘에 의해서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또는, 도어틀프레임) 사이가 일정한 거리보다 더 가까워질 때에만 체결부(300)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The
일 실시 예에서, 완충프레임부(100)는, 완충부(200)로부터 탄력을 제공받아 일측이 도어프레임(11) 내부로 삽입 이동하거나 인출 이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ne side of the
일 실시 예에서, 완충프레임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제2결합수단(120), 두 개의 걸림수단(130), 제2체결수단(140)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본체(110)는, 일측에 제2결합수단(120)을 형성하며,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걸림수단(130)을 연장 형성하며, 다른 일측에 제2체결수단(140)을 형성한다.The
제2결합수단(120)은,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완충부(200)(즉, 제1결합수단(210))와 결합한다.The second coupling means 1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걸림수단(130)은, 본체(110)의 일측 양쪽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도어프레임(11)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13)에 걸린다.The
일 실시 예에서, 걸림수단(130)은, 완충프레임부(100)가 완충부(200)로부터 탄력을 제공받아 일측이 도어프레임(11) 내부로 삽입 이동하거나 외부로 인출 이동하더라도, 걸림턱(13)에 걸려 본체(11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tching means 130 is configured such that, even when one side of the
제2체결수단(140)은, 본체(1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도어프레임(11)이 다른 도어프레임(12)과 접촉 시에 다른 도어프레임(12)(즉, 제1체결수단(320))을 체결한다.The second fastening means 14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일 실시 예에서, 제2체결수단(140)은, 일정한 공간을 두고 양 측부에 형성하여, 다른 도어프레임(12)(즉, 제1체결수단(320))과 체결하기 위한 두 개의 체결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돌기는, 말단부가 제1체결수단(320)에 형성된 체결홈(321)에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단부가 탄력을 가지면서며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30도~ 60도)로 내부방향으로 꺾이도록 형성되어, 제1체결수단(320)에 형성된 체결홈(321)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체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fastening means 140 is formed on both sides with a certain space and has two fastening projections for fastening to the other door frame 12 (i.e., the first fastening means 320) . Here, the fastening protrusions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distal end portions are fitted in the fastening
완충부(200)는, 도어프레임(1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완충프레임부(100)에 탄력을 제공해 준다.The
일 실시 예에서, 완충부(200)는, 다른 도어프레임(12)이 도어프레임(11)과 접촉한 후에 탄력을 이기는 힘에 의해서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또는, 도어틀프레임) 사이가 일정한 거리보다 더 가까워질 때에 압축되었다가, 탄력을 이기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 복원될 수 있다.The
일 실시 예에서, 완충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수단(210), 탄력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제1결합수단(210)은, 탄력수단(220)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탄력수단(220)에서 제공하는 탄력에 의해 완충프레임부(100)와 결합한다.The first coupling means 21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일 실시 예에서, 제1결합수단(210)은, 완충프레임부(100)와 결합 설치되어, 탄력수단(220)에서 제공하는 탄력에 의해 완충프레임부(100)로 전달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means 210 may be coupled to the
탄력수단(220)은, 일측이 도어프레임(1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으로 제1결합수단(210)에 탄력을 제공해 준다.One side of the
일 실시 예에서, 탄력수단(220)은, 스프링으로서, 다른 일측으로 제1결합수단(210)에 탄력을 제공하여 완충프레임부(100)를 완충시켜 주며, 도어프레임(11)이 다른 도어프레임(12)과 접촉 시에 제1결합수단(210)을 통해 완충프레임부(100)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폴딩도어의 안전장치(10)는, 체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체결부(300)는, 다른 도어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되어, 도어프레임(11)이 다른 도어프레임(12)과 접촉 시에 완충프레임부(100)의 다른 일측과 체결한다.The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310), 제1체결수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고정수단(310)은, 제1체결수단(320)을 고정 설치하며, 다른 도어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된다.The fixing means 310 fixes the first fastening means 320 and is fixed to the
제1체결수단(320)은, 고정수단(310)에 고정 설치되어, 완충프레임부(100)와 체결한다.The first fastening means 320 is fixed to the fixing means 310 and fastened to the
일 실시 예에서, 제1체결수단(32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말단 측에는 해당 공간보다 폭이 넓은 공간을 가지고 단부가 탄력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완충프레임부(100)(즉, 제2체결수단(140))와 체결할 때에 완충프레임부(100)의 본체(110)와의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means 320 has a space inside and has a space wider than the space at the distal end so that the end has elasticity, so that the buffer frame 100 (i.e., The impact of the shock-absorbing
일 실시 예에서, 제1체결수단(320)은, 양 측부에 완충프레임부(100)(즉, 제2체결수단(140))와 체결하기 위한 두 개의 체결홈(321)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means 320 may have two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폴딩도어의 안전장치(1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 서로 접촉되는 도어프레임(11, 12) 사이를 완충시켜 주도록 완충프레임부(110)와 완충부(120)를 구현해 줌으로써, 도어가 서로 절첩되어 개방 상태에 있다가 닫을 때에 서로 접촉되는 도어프레임(11, 12) 사이가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나 물품 등이 도어프레임(11, 12) 사이에 들어가더라도 끼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의 신체(특히, 손)가 다치거나 물품이 망가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폴딩도어의 안전장치(10)는, 도어프레임(11)의 일측에 완충프레임부(100)를 삽입 설치하고, 다른 도어프레임(12)에 체결부(300)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도어프레임(11)이 다른 도어프레임(12)과 접촉 시에 체결부(300)가 완충프레임부(100)를 체결하여,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을 서로 체결시켜 줄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폴딩도어의 안전장치(10)는, 도어프레임(11)의 일측에 완충프레임부(100)를 삽입 설치하고, 도어프레임(11)이 설치된 도어틀프레임(또는, 벽)에 체결부(300)를 고정 설치(또는, 반대로 설치 가능)함으로써, 도어프레임(11)이 다른 도어프레임(12)과 접촉 시에 체결부(300)가 완충프레임부(100)를 체결하여, 도어프레임(11)과 도어틀프레임(또는, 벽)을 서로 체결시켜 줄 수 있다.The
도 3은 도 2에 있는 완충부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driving of the buffer shown in Fig. 2. Fig.
다른 도어프레임(12)이 좌측방향(즉, 도어프레임(11)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른 도어프레임(12)이 도어프레임(11)과 접촉한 다음에, 완충부(200)(즉, 탄력수단(220))의 탄력을 이기는 힘에 의해서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 사이가 일정한 거리보다 더 가까워질 때에 완충프레임부(100)(즉, 제2체결수단(140))가 체결부(300)(즉, 제1체결수단(320))에 체결되며, 그런 후에도 탄력수단(220)의 탄력을 이기는 계속적인 힘에 의해서 완충프레임부(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제1결합수단(210)이 탄력수단(220)을 밀어, 탄력수단(220)이 압축되며, 이때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프레임부(100) 일측이 도어프레임(11) 내부로 삽입 이동할 수 있다.The
다른 도어프레임(12)이 우측방향(즉, 도어프레임(1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다른 도어프레임(12)이 도어프레임(11)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멀어지는 경우에는, 탄력수단(220)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탄력수단(220)의 복원력에 의해서 완충프레임부(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제1결합수단(210)을 밀어주게 되며, 이때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프레임부(100) 일측이 도어프레임(11) 외부로 인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완충부(200)는, 완충프레임부(100)에 탄력을 제공하여 도어가 서로 절첩되어 개방 상태에 있다가 닫을 때에도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 사이를 일정한 거리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 사이가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나 물품 등이 도어프레임(11, 12) 사이에 들어가더라도 끼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의 신체(특히, 손)가 다치거나 물품이 망가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도 4는 도 2에 있는 완충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uffer portion shown in Fig. 2 as a second example.
도 4를 참조하면, 완충부(200)는, 제1결합수단(210), 탄력수단(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결합수단(210)은,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탄력수단(220)은, 제1자석(221), 제2자석(222)을 포함한다.The elastic means 220 includes a
제1자석(221)은, 도어프레임(1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제2 자석에 척력을 제공해 준다.The
일 실시 예에서, 제1자석(221)은, 제2자석(222)과 동일한 극성으로 형성되어, 서로 척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제2자석(222)을 밀어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제2자석(222)은, 제1결합수단(210)에 고정 설치되어, 제1자석(221)의 자력(즉, 척력)에 의해 제1결합수단(210)에 탄력을 제공하여 완충프레임부(100)를 완충시켜 준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완충부(200)는, 제1자석(221)의 척력에 의해 제1자석(221)이 제2자석(222)을 밀게 되며, 이때 일측이 완충프레임부(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제2자석(222)을 고정 설치한 제1결합수단(210)을 밀어주게 되며, 이에 완충프레임부(100) 일측이 도어프레임(11) 외부로 인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완충부(200)는, 제1자석(221)과 제2자석(222) 사이의 척력을 이기는 힘에 의해서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 사이가 일정한 거리보다 더 가까워질 때에 완충프레임부(100)(즉, 제2체결수단(140))가 체결부(300)(즉, 제1체결수단(320))에 체결되며, 그런 후에도 척력을 이기는 계속적인 힘에 의해서 제1결합수단(210)이 제2자석(222)을 밀어, 제1자석(221)과 제2자석(222) 사이가 압축되며, 이에 완충프레임부(100) 일측이 도어프레임(11) 내부로 삽입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도 5는 도 2에 있는 완충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uffer portion shown in Fig. 2 as a third example.
도 5를 참조하면, 완충부(200)는, 제1결합수단(210), 접근센서(230), 압력제어수단(240), 액추에이터(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결합수단(210)은,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5, the
접근센서(230)는, 다른 도어프레임(12)의 접근을 감지하여 압력제어수단(240)에 통보해 준다.The
일 실시 예에서, 접근센서(23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로서, 도어프레임(11)(또는, 도어틀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다른 도어프레임(12)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에 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압력제어수단(240)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압력제어수단(240)은, 접근센서(230)의 접근 감지에 따라 액추에이터(250)의 압력을 제어해 준다.The pressure control means 240 controls the pressure of the
일 실시 예에서, 압력제어수단(240)은, 접근센서(23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을 시에,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액추에이터(250)에 전달하여, 액추에이터(250)의 압력 세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압력제어수단(240)은, 접근센서(23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후에 일정 시간(예를 들어, 1~5초)이 경과한 다음에 액추에이터(250)의 압력 세기를 낮추어 도어가 서서히 닫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도어를 억지로 갑자기 닫으려 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 사이를 일정한 거리로 유지시켜, 사용자의 신체나 물품 등이 도어프레임(11, 12) 사이에 들어가더라도 보다 확실하게 끼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sure control means 240 generates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일 실시 예에서, 압력제어수단(240)은, 접근센서(230)로부터 더 이상 감지신호를 전달받지 않을 시에, 액추에이터(250)의 압력 세기를 원래의 세기로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sure control means 240 may control the pressure intensity of the
액추에이터(250)는, 일측이 도어프레임(1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으로 제1결합수단(210)에 탄력을 제공하여 완충프레임부(100)를 완충시켜 준다.One side of the
일 실시 예에서, 액추에이터(250)는, 도어프레임(1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및 제1결합수단(210)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력제어수단(240)의 압력 제어에 따라 제1결합수단(210)에 제공되는 탄력(공압 또는 유압)의 세기를 조절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액추에이터(250)는, 다른 도어프레임(12)이 도어프레임(11)에 접촉할 시에도 도어가 억지로 닫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압력을 기 설정하여 두고 있으며, 이에 평상시의 경우에는 도어를 억지로 갑자기 닫으려 할 때에도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 사이를 일정한 거리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액추에이터(250)는, 압력제어수단(24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압력의 세기를 낮추어 도어가 천천히 닫히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완충부(200)는, 액추에이터(250)에 기 설정되어 있는 압력에 의해 일측이 완충프레임부(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액추에이터(250)의 로드에 고정 설치된 제1결합수단(210)을 밀어주고 있는 상태를 유지시켜 주며, 이에 완충프레임부(100) 일측이 도어프레임(11) 외부로 인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완충부(200)는, 다른 도어프레임(12)이 도어프레임(11)에 접촉할 시에 완충프레임부(100)(즉, 제2체결수단(140))가 체결부(300)(즉, 제1체결수단(320))에 체결되나, 도어프레임(11)과 다른 도어프레임(12) 사이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도록 해 주며, 그런 다음에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액추에이터(250)의 압력 세기를 낮추어 줌으로써, 해당 낮추어진 액추에이터(250)의 압력을 이기는 계속적인 힘에 의해서 제1결합수단(210)이 액추에이터(250)의 로드를 천천히 밀어, 액추에이터(250)의 실린더를 압축하게 되며, 이에 완충프레임부(100) 일측이 도어프레임(11) 내부로 삽입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 폴딩도어의 안전장치
11: 도어프레임
12: 다른 도어프레임
13: 걸림턱
100: 완충프레임부
110: 본체
120: 제2결합수단
130: 걸림수단
140: 제2체결수단
200: 완충부
210: 제1결합수단
220: 탄력수단
221: 제1자석
222: 제2자석
230: 접근센서
240: 압력제어수단
250: 액추에이터
300: 체결부
310: 고정수단
320: 제1체결수단
321: 체결홈10: Safety device of folding door
11: Door frame
12: other door frame
13:
100: buffer frame part
110:
120: second engaging means
130:
140: second fastening means
200: buffer
210: first coupling means
220: elastic means
221: first magnet
222: second magnet
230: proximity sensor
240: pressure control means
250: Actuator
300: fastening part
310: Fixing means
320: first fastening means
321: fastening groove
Claims (10)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완충프레임부에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으로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력수단; 및 상기 탄력수단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력수단에서 제공하는 탄력에 의해 상기 완충프레임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탄력수단은, 다른 도어프레임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접근센서;
일측이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으로 상기 제1결합수단에 탄력을 제공하여 상기 완충프레임부를 완충시켜 주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접근센서의 접근 감지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안전장치.
A buffer fram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door frame to buffer other door frames when the door frame contacts the other door frame; And
And a cushioning portion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buffer frame portion,
The buffering portion includes elastic means for fixing one side of the door frame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and providing elasticity to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And first coupling mean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ans for coupling with the buffer frame portion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means,
The resilient means includes an approach sensor for sensing an approach of another door frame;
An actuator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on one side and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first coupling means on the other side to buffer the buffer frame part; And
And a pressur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actuator in accordance with the approach detection of the approach sensor.
다른 일측으로 상기 제1결합수단에 탄력을 제공하여 상기 완충프레임부를 완충시켜 주며, 도어프레임이 다른 도어프레임과 접촉 시에 상기 제1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완충프레임부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안전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spring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first coupling means to buffer the buffer frame part and to be compressed by the buffer frame part via the first coupling device when the door frame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door frame Of the folding door.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자석; 및
상기 제1결합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의 척력에 의해 상기 제1결합수단에 탄력을 제공하여 상기 완충프레임부를 완충시켜 주기 위한 제2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안전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magnet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door frame; And
And a second magnet fixedly secured to the first coupling means and providing a resilient force to the first coupling means by a repulsive force of the first magnet to buffer the buffer frame portion. Device.
다른 도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도어프레임이 다른 도어프레임과 접촉 시에 상기 완충프레임부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안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part fixed to the other door frame and fastened to the buffer frame part when the door frame contacts the other door frame.
다른 도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완충프레임부와 체결하기 위한 제1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안전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6,
Fixing means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door frame; And
And a first fastening means fixed to the fastening means and fastened to the buffer frame portion.
양 측부에 상기 완충프레임부와 체결하기 위한 두 개의 체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안전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fastening means comprises:
And two fastening grooves for fastening the buffer frame part to both sides of the folding door.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수단;
상기 본체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걸림수단; 및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도어프레임이 다른 도어프레임과 접촉 시에 다른 도어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안전장치.
2.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claim 1,
main body;
Second coupling mean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for coupling with the cushioning portion;
An engag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ngage with the engaging jaw formed inside the door frame; And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fasten the other door frame when the door frame contacts the other door frame.
양 측부에 다른 도어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두 개의 체결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안전장치.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means comprises:
And two fastening protrusions for fastening the other door frame to both sides of the folding do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9417A KR101829626B1 (en) | 2016-09-19 | 2016-09-19 | Safety Apparatus Of Folding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9417A KR101829626B1 (en) | 2016-09-19 | 2016-09-19 | Safety Apparatus Of Folding Do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9626B1 true KR101829626B1 (en) | 2018-02-19 |
Family
ID=6138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94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829626B1 (en) | 2016-09-19 | 2016-09-19 | Safety Apparatus Of Folding D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9626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4390B1 (en) * | 2005-08-19 | 2006-10-16 | 전정희 | Glass Door Handguards |
KR101405428B1 (en) * | 2013-06-20 | 2014-06-11 | 주식회사 우디스 | Draft inflow prevention and hand jamming prevention for sliding door |
-
2016
- 2016-09-19 KR KR1020160119417A patent/KR10182962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4390B1 (en) * | 2005-08-19 | 2006-10-16 | 전정희 | Glass Door Handguards |
KR101405428B1 (en) * | 2013-06-20 | 2014-06-11 | 주식회사 우디스 | Draft inflow prevention and hand jamming prevention for sliding do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38225B2 (en) | Rail concealed window device | |
KR101027310B1 (en) | Multifunctional sliding gap guard of sliding window | |
KR20130122484A (en) | The safety door | |
AU2015340758A1 (en) | Sealing device | |
KR101506559B1 (en) | Apparatus for closing of window | |
RU2687630C2 (en) | Damping or return device for sliding doors leafs or drawers | |
KR101668355B1 (en) | Speed control damper with relay type for two-ways slope type guide | |
KR102100231B1 (en) | Stoper for impact prevention of window frame | |
KR101990204B1 (en) | Damp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 |
KR101718484B1 (en) | Sliding Door Stopper | |
KR102014607B1 (en) | Mounting structure of damping apparatus for window and window having the same | |
KR101829626B1 (en) | Safety Apparatus Of Folding Door | |
KR101232283B1 (en) | A Door Hinge Unioned a Door shock-absorbing Unit | |
KR20110030258A (en) | Safety gate | |
EP2169173B1 (en) | Fire door | |
KR20130118136A (en) | Blocking structure of door without a doorsill | |
ATE413511T1 (en) | HORIZONTAL BLINDS | |
KR20130087797A (en) | Sliding window having airtight apparatus | |
KR101825080B1 (en) | Folding door by hook structure with fuction of speed control and auto-moving | |
KR101581203B1 (en) | Safe-Apparratus for Door | |
KR101462480B1 (en) | The door clearance closing device | |
KR101544144B1 (en) | Hinge Apparatus | |
KR20150054101A (en) | A door intercepting unit | |
KR101426130B1 (en) | Double sliding window | |
KR200380524Y1 (en) | Safe door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