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524B1 - Cable tie - Google Patents
Cable ti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7524B1 KR101827524B1 KR1020150138117A KR20150138117A KR101827524B1 KR 101827524 B1 KR101827524 B1 KR 101827524B1 KR 1020150138117 A KR1020150138117 A KR 1020150138117A KR 20150138117 A KR20150138117 A KR 20150138117A KR 101827524 B1 KR101827524 B1 KR 1018275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portion
- coupling
- present
- fitting hole
- cable ti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F16L3/2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 F16L3/233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having two or more locking ba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가 끼움공에 삽입되어 통과하게 됨에 따라 결속돌기부가 끼움공을 통과하여 걸림으로써, 복수 개의 케이블을 일체로 묶어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고, 결속돌기부와 결합부가 끼움공을 반대방향으로 통과하게 됨에 따라 분리되어 원래의 형태로 복귀됨으로써, 반복적으로 재사용 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is passed there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is passed through the fitting hole to thereby securely faste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ble tie which can be repeatedly reused by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and passing through the fitting hol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shap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복적으로 재사용 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able ties that can be reused repeatedly.
일반적으로, 각종 통신케이블 및 전원케이블 등과 같은 복수 개의 케이블을 일체로 묶어 고정시키는 것으로 케이블 타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cable ties are widely used by bundling and fixing a plurality of cables such as various communication cables and power cables.
도 1은 종래 케이블 타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ble ti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 타이(A)는 긴 띠 형태이며 일면에 톱니부(22)가 마련되는 몸체부(2)와, 몸체부(2)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스토퍼(42)를 갖는 끼움공(40)이 형성된 결합부(4)로 구성된다.1, the conventional cable tie A has a
이와 같은 케이블 타이(A)는 케이블을 묶는 몸체부(2)가 결합부(4)의 끼움공(40)에 관통됨과 동시에 결합부(4)의 스토퍼(42)에 몸체부(2)의 톱니부(22)가 걸려 고정됨으로써 묶음 상태를 이루게 된다.In such a cable tie A, the
이때, 결합부(4)의 끼움공(40)에 관통된 몸체부(2)는 일방향으로 삽입되며 케이블이 묶이도록 조여질 수 있으나 반대방향으로 빼내는 조작은 불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케이블을 묶고 있는 케이블 타이(A)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 케이블 타이(A)를 절단하여야 하며, 절단된 케이블 타이(A)는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release the cable tie A holding the cable, the cable tie A must be cut, and the cut cable tie A becomes impossible to be reused.
이에 따라, 케이블 타이(A)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1회용으로 한정되어 자원 및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able tie A is limited to one-time use that can not be reused, resulting in a problem of waste of resources and costs.
이를 감안하여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0052호(2004.01.28. 공고)에는 내부에 물림돌기(11)가 형성된 헤드부(10)와, 헤드부(10)에 연장 형성되며 케이블을 감싼 후 헤드부(10)에 삽입시 물림돌기(11)와 엇물림되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된 몸체부(20)로 구성되되 헤드부(10)의 물림돌기(11)에는 물림돌기(11)를 들어올려 걸림돌기(21)의 결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손잡이(12)가 외부로 구부러져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 해제 가능한 케이블타이가 개시된다.In view of this, for example,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0052 (published on Jan. 28, 2004), a head portion 10 having a bite protrusion 11 formed therein and a head portion 10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10, And a body portion 20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21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1 when the locking protrusion 11 is inserted into the rear head portion 10. The locking protrusion 11 of the head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1, And a release handle (12)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latching protrusion (21) is bent and extended outward.
그러나, 종래 결속 해제 가능한 케이블타이는 별도의 해제손잡이가 마련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able tie which can be unbonded in the related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requires a separate release handle, so that the cable tie is complicated in construction and requires a lot of manufacturing work.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결합부가 끼움공에 삽입되어 통과하게 됨에 따라 결속돌기부가 끼움공을 통과하여 걸림으로써, 복수 개의 케이블을 일체로 묶어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고, 결속돌기부와 결합부가 끼움공을 반대방향으로 통과하게 됨에 따라 분리되어 원래의 형태로 복귀됨으로써, 반복적으로 재사용 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ble connector for a cable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cables can be integrally bundled and fixed firmly by engaging a coupling protrusion through a fitting hole, And the coupl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as it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hape, thereby providing a cable tie that can be repeatedly reused.
또한, 결속돌기부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끼움공을 통과하여 걸림 고정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케이블 타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tie which is firmly fixed at the time of passing through the fitting hole and fixe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wedge shape.
또한, 몸체부에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됨으로써, 절개 도구 없이 손쉽게 절개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부에 절개홈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케이블 타이를 분리하여 각각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비용이 절감되는 케이블 타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body portion, the cutting groove can be easily cut without using the cutting tool, and the width of the cutting groove is gradually narrow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the body por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tie which can be used separately by separating the tie, thereby reducing the cos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띠 형태이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끼움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끼움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통과하며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를 제공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ody having a band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rip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fitting holes to be passed through and joined or separated from the fit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끼움공에 삽입되어 통과하게 됨에 따라 상기 끼움공을 통과하여 걸리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속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upl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oupl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and is passed through the fitting hole or separated from the fitting hole. .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결속돌기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wedge-shaped, gradually narrowing in wid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are symmetrical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일측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coupling part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body part to the other side en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몸체부의 끼움공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끼움공에 삽입되어 통과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smoothly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of the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ut-away groove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몸체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groove is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ody par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파지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파지하였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grip portion are formed with protrusions or grooves so as not to slip when gripp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는 고인열 강도를 가지는 실리콘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is a silicone rubber having a high heat intensit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보다 강도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higher strength than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결합부가 끼움공에 삽입되어 통과하게 됨에 따라 결속돌기부가 끼움공을 통과하여 걸림으로써, 복수 개의 케이블을 일체로 묶어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고, 결속돌기부와 결합부가 끼움공을 반대방향으로 통과하게 됨에 따라 분리되어 원래의 형태로 복귀됨으로써, 반복적으로 재사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and is passed therethrough, the engaging protrusion is caught by passing through the fitting hole, so that a plurality of cables can be integrally bundled and fixed firmly. As the insertion hole passes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separat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so that it can be reused repeatedly.
또한, 결속돌기부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끼움공을 통과하여 걸림 고정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coupling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a wedge shap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upling protruding portion is fixed more firmly than when the coupling protruding portion is fixed through the fitting hole.
또한, 몸체부에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됨으로써, 절개 도구 없이 손쉽게 절개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부에 절개홈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케이블 타이를 분리하여 각각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body portion, the cutting groove can be easily cut without using the cutting tool, and the width of the cutting groove is gradually narrow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the body portion, As the tie is separated and can be used separately, the cost is reduced.
도 1은 종래 케이블 타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ble ti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le t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able t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use state of a cable t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op view of a cable ti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cable ti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사용상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t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cable t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o be.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100)는, 띠 형태이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끼움공(112)이 형성되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파지부(120) 및 몸체부(1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끼움공(11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통과하며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결합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a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100)는 몸체부(110), 파지부(120),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몸체부(110), 파지부(120), 결합부(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몸체부(110)는 띠 형태이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끼움공(112)이 형성된다.The
몸체부(11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 몸체부(110)는 고인열 강도를 가지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진다.The
이와 같이 몸체부(110)가 고인열 강도를 가지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짐으로써, 후술하는 결속돌기부(114)가 몸체부(110)에 형성된 끼움공(112)을 통과시에는 끼움공(112)의 크기가 증가된 형태로 변형되었다가 결속돌기부(114)가 끼움공(112)을 통과한 후에는 끼움공(112)의 크기가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게 된다.When the
다시말해, 끼움공(112)은 결합부(130) 및 결속돌기부(114)가 삽입되어 통과함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이때, 몸체부(110)는 파지부(120) 및 결합부(1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파지부(120) 및 결합부(130)가 결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몸체부(110)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는 결합부(130)가 끼움공(112)에 삽입되어 통과하게 됨에 따라 끼움공(112)을 통과하여 걸리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통과하며 분리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속돌기부(114)가 형성된다.Here, the
즉, 결합부(130)가 끼움공(112)에 삽입되어 통과하게 됨에 따라 결속돌기부(114)가 끼움공(112)을 통과하여 걸림으로써, 복수 개의 케이블(C)을 일체로 묶어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고, 결속돌기부(114)와 결합부(130)가 끼움공(112)을 반대방향으로 통과하게 됨에 따라 분리되어 원래의 형태로 복귀됨으로써, 케이블 타이(100)를 반복적으로 재사용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본 발명에서 결속돌기부(114)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몸체부(110)의 폭방향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고, 끼움공(112)을 통과하여 걸림 고정시 일체로 묶인 복수 개의 케이블(C)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더불어, 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는 복수 개의 케이블(C)을 일체로 묶어 견고하게 고정 시키거나 또는 원래의 형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붙잡을 수 있는 파지부(120)가 형성되며, 파지부(12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파지하였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부(122)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여기서, 미끄럼방지부(122)는 파지하였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볼록한 형상의 돌기 또는 오목한 형상의 홈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Here, the
이어서, 몸체부(110)의 타측 단부에는 결합부(130)가 형성되며, 결합부(130)는 몸체부(110)가 복수 개의 케이블(C)을 일체로 묶어 견고하게 고정 시키도록 복수 개의 끼움공(11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통과하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통과하며 분리된다.The
즉, 파지부(120)를 잡고 몸체부(110)로 복수 개의 케이블(C)을 일체로 묶은 상태에서 결합부(130)를 복수 개의 끼움공(112)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여 결속돌기부(114)가 끼움공(112)에 끼워지도록 조임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110)의 일부가 끼움공(112) 삽입되어 조여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본 발명에서 결합부(130)는 몸체부(110)와 연결되는 일측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며, 몸체부(110)보다 강도가 높게 형성되어 끼움공(112)의 크기를 몸체부(110) 및 결속돌기부(114)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변화시키는 역활을 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이와 더불어, 결합부(130)의 단부에는 결합부(130)가 몸체부(110)의 끼움공(112)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몸체부(110)의 끼움공(112)에 삽입되어 통과하는 가이드부(132)가 형성된다.The
이때, 가이드부(132)의 외경은 끼움공(11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가이드부(132)는 결합부(130)가 끼움공(112)을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타이(1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of using the
먼저, 케이블 타이(100)의 파지부(120)를 잡고 몸체부(110)로 복수 개의 케이블(C)을 일체로 묶어 복수 개의 끼움공(112) 중 어느 하나에 가이드부(132)를 삽입한다.First, the
그리고, 가이드부(132)를 당기면 결합부(130)가 통과하며 몸체부(110) 및 결속돌기부(114)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끼움공(112)의 크기를 변화시키게 된다.When the
이때, 결속돌기부(114)가 몸체부(110)에 형성된 끼움공(112)을 통과시에는 끼움공(112)의 크기가 증가된 형태로 변형되었다가, 결속돌기부(114)가 끼움공(112)을 통과한 후에는 끼움공(112)의 크기가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따라서, 몸체부(110)에 형성된 결속돌기부(114)가 끼움공(112)에 걸려 조여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the
여기서, 케이블 타이(100)를 해제시, 결속돌기부(114)와 결합부(130)가 끼움공(112)을 반대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여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도록 복귀시키면 된다.Here, when the
따라서, 케이블 타이(100)를 반복적으로 재사용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100)의 평면도이다.5 is a top view of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 외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몸체부의 구성과 작동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Other than the body portion in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body portion will be described since it is the same as th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도 5을 참조하여 특징적인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부(110')는 띠 형태이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끼움공(112)이 형성된다.5, the body 110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12 formed in a band shape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몸체부(11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 몸체부(110')는 고인열 강도를 가지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진다.The body portion 110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10' is made of a silicone rubber having a high heat intensity.
이와 같이 몸체부(110')가 고인열 강도를 가지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짐으로써, 후술하는 결속돌기부(114)가 몸체부(110')에 형성된 끼움공(112)을 통과시에는 끼움공(112)의 크기가 증가된 형태로 변형되었다가 결속돌기부(114)가 끼움공(112)을 통과한 후에는 끼움공(112)의 크기가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게 된다.When the
다시말해, 끼움공(112)은 결합부(130) 및 결속돌기부(114)가 삽입되어 통과함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이때, 몸체부(110')는 파지부(120) 및 결합부(1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파지부(120) 및 결합부(130)가 결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여기서, 몸체부(110')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는 결합부(130)가 끼움공(112)에 삽입되어 통과하게 됨에 따라 끼움공(112)을 통과하여 걸리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통과하며 분리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속돌기부(114)가 형성된다.Here, the
즉, 결합부(130)가 끼움공(112)에 삽입되어 통과하게 됨에 따라 결속돌기부(114)가 끼움공(112)을 통과하여 걸림으로써, 복수 개의 케이블(C)을 일체로 묶어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고, 결속돌기부(114)와 결합부(130)가 끼움공(112)을 반대방향으로 통과하게 됨에 따라 분리되어 원래의 형태로 복귀됨으로써, 케이블 타이(100)를 반복적으로 재사용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engaging
본 발명에서 결속돌기부(114)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몸체부(110')의 폭방향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고, 끼움공(112)을 통과하여 걸림 고정시 일체로 묶인 복수 개의 케이블(C)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절개홈(116)이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cut-out
이와 같은 절개홈(116)은 몸체부(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이와 같이, 몸체부(110')에 복수 개의 절개홈(116)이 형성됨으로써, 절개 도구 없이 손쉽게 절개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부(110')에 절개홈(116)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케이블 타이(100)를 분리하여 각각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body portion 110 'has a plurality of cut-out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100)의 평면도이다.6 is a top view of a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끼움공(112)은 파지부(120")에 형성되거나 또는 파지부(120")와 몸체부(110")의 일부에 형성되어 몸체부(110")의 인열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6,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몸체부 112 : 끼움공
114 : 결속돌기부 116 : 절개홈
120 : 파지부 122 : 미끄럼방지부
130 : 결합부 132 : 가이드부110: body part 112:
114: coupling protrusion 116: incision groove
120: grip part 122: non-slip part
130: engaging portion 132: guide portion
Claims (10)
띠 형태이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끼움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끼움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통과하며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하나의 케이블 타이를 분리하여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은 상기 몸체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시 새로운 결합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As cable ties,
A body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grip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to be passed through and joined to or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Lt; / RTI >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are formed in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cutout groove is formed in a shape gradually narrow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ody so as to provide a new coupling part at the time of incision.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끼움공에 삽입되어 통과하게 됨에 따라 상기 끼움공을 통과하여 걸리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속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be engaged or separated through the fitting hole as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and passed through the fitting hole. .
상기 결속돌기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in a wedge-like shape gradually narrowing in wid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are symmetrical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일측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its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to the other side edge.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몸체부의 끼움공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끼움공에 삽입되어 통과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por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body portion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body portion.
상기 파지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파지하였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protrusions and the groove is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grip portion so as not to slip when gripped.
상기 몸체부는 고인열 강도를 가지는 실리콘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is a silicone rubber having a high heat intensity.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보다 강도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higher strength than the body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8117A KR101827524B1 (en) | 2015-09-30 | 2015-09-30 | Cable ti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8117A KR101827524B1 (en) | 2015-09-30 | 2015-09-30 | Cable ti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8560A KR20170038560A (en) | 2017-04-07 |
KR101827524B1 true KR101827524B1 (en) | 2018-02-09 |
Family
ID=5858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8117A Active KR101827524B1 (en) | 2015-09-30 | 2015-09-30 | Cable ti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752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0106U (en) * | 2022-07-08 | 2024-01-16 | 신동은 | strand fastner for earth anchor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26927B2 (en) | 2019-01-07 | 2021-02-23 | Panduit Corp. | Cushion sleeve |
US20220411151A1 (en) * | 2021-06-26 | 2022-12-29 | Michael A. Gladkin | Wire Management Device and System |
KR102548138B1 (en) * | 2022-08-30 | 2023-06-28 | 여상혁 | Support of the crop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6248Y1 (en) * | 2006-02-09 | 2006-05-15 | 강판규 | Cable ties for easy engagement and releas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0052Y1 (en) | 2003-10-29 | 2004-01-28 | 이호섭 | the cable tie which is remove a blockade |
-
2015
- 2015-09-30 KR KR1020150138117A patent/KR10182752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6248Y1 (en) * | 2006-02-09 | 2006-05-15 | 강판규 | Cable ties for easy engagement and releas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0106U (en) * | 2022-07-08 | 2024-01-16 | 신동은 | strand fastner for earth anchoring |
KR200498611Y1 (en) * | 2022-07-08 | 2024-12-10 | 신동은 | strand fastner for earth anchor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8560A (en) | 2017-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7524B1 (en) | Cable tie | |
AU2009270321B2 (en) | Improved cable tie | |
US8739387B1 (en) | Reusable cable tie | |
US8516660B2 (en) | Cable tie | |
US20110167594A1 (en) | Plastic clamp | |
US20120180268A1 (en) | Tie strap structure | |
KR101990778B1 (en) | Reusable Cable Ties | |
EP2815990B1 (en) | Highly flexible cable tie | |
TWI770403B (en) | Cable tie | |
JP6097161B2 (en) | Cable ties and ties | |
TWI576530B (en) | Reusable tie belt | |
KR200485555Y1 (en) | Cabletie | |
JP2016031116A (en) | Binding band | |
KR101242723B1 (en) | Cable tie | |
TWM526543U (en) | Reusable bundling stripe | |
JP2017226451A (en) | Reusable binding band | |
JP6445309B2 (en) | Cable ties | |
KR102347139B1 (en) | Fixed band with locking structure | |
WO2017204108A1 (en) | Band tool and compound band tool | |
JP3206198U (en) | Reusable cable ties | |
KR101918091B1 (en) | a cable tie | |
JPH0627613U (en) | cable tie | |
EP2527271B1 (en) | Cable tie | |
KR20170021498A (en) | A multi-purpose metal cable tie which the recycle is possible | |
CN106516419B (en) | A kind of energy-saving cable fixed cable tie and its applic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