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6739B1 -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 Google Patents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739B1
KR101826739B1 KR1020160155185A KR20160155185A KR101826739B1 KR 101826739 B1 KR101826739 B1 KR 101826739B1 KR 1020160155185 A KR1020160155185 A KR 1020160155185A KR 20160155185 A KR20160155185 A KR 20160155185A KR 101826739 B1 KR101826739 B1 KR 10182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radiation unit
light irradiation
mirror
laser
laser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백
반민성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16015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739B1/ko
Priority to US15/816,042 priority patent/US20180141269A1/en
Priority to CN201711168447.XA priority patent/CN10808160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7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B29C64/153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using layers of powder being selectively joined, e.g. by selective laser sintering or me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29C64/129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characterised by the energy source therefor, e.g. by global irradiation combined with a mask
    • B29C64/135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characterised by the energy source therefor, e.g. by global irradiation combined with a mask the energy source being concentrated, e.g. scanning lasers or focused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5Enclosures for the building material, e.g. powde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64Arrangements for irradiation
    • B29C64/268Arrangements for irradiation using laser beams; using electron beams [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003Moulding articles between moving mould surfaces, e.g. turn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20Post-treatment, e.g. curing, coating or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9Multifaceted or polygonal mirrors, e.g. polygonal scanning mirrors; Fresnel mirr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7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design data to control NC machines, e.g. CAD/CAM
    • G05B19/4099Surface or curve machining, making 3D objects, e.g. desktop 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5Optical devices external to the laser cavity, specially adapted for lasers, e.g. for homogenisation of the beam or for manipulating laser pulses, e.g. pulse shaping
    • H01S3/0071Beam steering, e.g. whereby a mirror outside the cavity is present to change the b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3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la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9Nc machine tool, till multiple
    • G05B2219/490233-D printing, layer of powder, add drops of binder in layer, new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된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조형 대상물을 지지하는 베드; 상기 베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드 이송 유닛; 상기 수조에 저장된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조형 대상물로 경화시키는 광 조사 유닛;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광 조사 유닛을 이동시키는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 상기 광 조사 유닛,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 및 상기 베드 이송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수조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이다.

Description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3D printer using linear laser source}
본 발명은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3차원 물체를 조형하는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형상을 가진 시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의존하여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목합 제작 방식과 CNC 밀링에 의한 제작 방법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목합 제작 방식은 수작업에 의하므로 정교한 수치제어가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CNC 밀링에 의한 제작 방법은 정교한 수치제어가 가능하지만 공구 간섭으로 인해 가공하기 어려운 형상이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제품의 설계자가 CAD나 CAM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 형상의 시제품을 제작하는 이른바 3차원 프린팅 방법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3D 프린터를 산업, 생활,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3D 프린터는 재료의 연속적인 레이어를 2차원 프린터와 같이 출력하여 이를 적층함으로써 대상물을 만드는 제조장치이다. 3D 프린터는 디지털화된 도면 정보를 바탕으로 빠르게 대상물을 제작할 수 있어서 프로토타입 샘플 제작 등에 주로 사용된다.
3D 프린터의 제품 성형방식은 광경화성 재료에 레이저 광선을 주사하여 광주사된 부분을 물체로 성형하는 광경화수지 조형 방식(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또는 열가소성 필라멘트를 용융하여 적층하는 선택적 레이저 용융 방식(SLM; Selective laser melting) 등이 있다.
이러한 3D 프린터의 성형 방식 중에서 광경화수지 조형 방식의 3D 프린터는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된 수조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액체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3차원 물체를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수단은 레이저 광원과 3차원 물체가 성형되는 베드 사이에 갈바노 미러(galvanometer mirror)를 설치하고, 이 갈바노 미러를 X-Y축 제어하고 이와 동시에 베드를 Z축 제어하면서 3차원 물체를 성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3D 프린터는 X-Y축으로 제어되는 갈바노 미러의 구조에 의해 광 조사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갈바노 미러 및 베드의 제어로 인해 콘트롤러의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1: 일본등록특허공보 제3404379호
선행기술문헌 2: 일본등록특허공보 제54706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광 조사 수단의 제어가 간단하고 장치의 크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된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조형 대상물을 지지하는 베드; 상기 베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드 이송 유닛; 상기 수조에 저장된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조형 대상물로 경화시키는 광 조사 유닛;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광 조사 유닛을 이동시키는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 상기 광 조사 유닛,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 및 상기 베드 이송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수조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광 조사 유닛 본체;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에 내장되고, 일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에 내장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을 상기 수조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반사시키는 폴리곤 미러; 및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와 상기 수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폴리곤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수조 내부의 광경화성 액체 수지로 굴절시키는 굴절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곤 미러는 상기 수조 내의 액체 수지의 수면과 수직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구비하여 액체 수지의 수면과 평행한 회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폴리곤 미러의 반사면에 집광시키는 원통형 렌즈; 및 상기 폴리곤 미러와 상기 굴절 미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폴리곤 미러의 반사면에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조 측으로 집광시키는 제1 F-θ 렌즈; 및 상기 제1 F-θ 렌즈와 상기 굴절 미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폴리곤 미러의 반사면에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조 측으로 집광시키는 제2 F-θ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폴리곤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광하여 조형 대상물의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빔 디텍팅 센서; 상기 폴리곤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빔 디텍팅 센서로 반사시키는 빔 디텍팅 미러; 및 상기 빔 디텍팅 미러와 상기 빔 디텍팅 센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빔 디텍팅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집광하는 빔 디텍팅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는 상기 폴리곤 미러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들은 상기 폴리곤 미러의 한 지점에 레이저 광이 중첩되도록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상기 수조 내에서 조형되는 조형 대상물의 상부면을 평탄하게 만들고, 상기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광 조사 유닛과 일체로 이동하는 블레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된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조형 대상물을 지지하는 베드; 상기 베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드 이송 유닛; 상기 수조에 저장된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조형 대상물로 경화시키는 광 조사 유닛; 및 상기 광 조사 유닛 및 상기 베드 이송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수조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광 조사 유닛 본체;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에 내장되고, 일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에 내장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을 상기 수조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반사시키는 폴리곤 미러; 및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와 상기 수조 사이에서 상기 수조의 수면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폴리곤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수조 내부의 광경화성 액체 수지로 굴절시키는 굴절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굴절 미러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직 하방으로 굴절시키는 제1 미러; 상기 제1 미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미러로부터 굴절된 레이저 광을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 측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제2 미러; 및 상기 제2 미러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미러로부터 굴절된 레이저 광을 수직 하방으로 굴절시켜 수조의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제3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미러와 제2 미러는 일체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3 미러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액체 수지까지의 레이저의 광로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미러 및 제2 미러와는 다른 속도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조사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광이 선형적으로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갈바노 미러를 X-Y 축 제어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레이저 광 조사 시간을 단축하여 3차원 물체의 조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 및 베드 이송 유닛만을 제어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제어 유닛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의 베드 및 베드 이송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의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의 광 조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의 광 조사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의 광 조사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레이저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의 블레이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와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로서, 이동식 굴절 미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는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되는 수조(100), 수조(100)의 내부에서 조형 대상물을 지지하는 베드(200), 베드(200)를 이동시키는 베드 이송 유닛(300),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조형 대상물로 경화시키는 광 조사 유닛(400), 광 조사 유닛(400)을 이동시키는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500) 및 광 조사 유닛(400),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500), 베드 이송 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600)을 포함한다.
수조(100)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수조(100)의 내부에는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된다.
베드(200)는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레이저 광에 의해 경화되어 생성되는 조형 대상물, 즉 3차원 물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베드(200)는 후술되는 베드 이송 유닛(300)에 의해 수조(10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베드 이송 유닛(300)은 수직 이송 레일(310) 및 수직 이송 레일(3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 부재(320)를 포함한다. 수직 이송 레일(310)은 본체 프레임(10)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송 부재(320)는 일단이 수직 이송 레일(3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이 베드(200)와 결합되어 베드(2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 5 참조).
광 조사 유닛(400)은 수조(100)에 저장된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설정된 패턴에 따라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3차원 조형 대상물로 경화시킨다. 여기서, 광 조사 유닛(400)은 수조(100)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후술되는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500)에 의해 수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500)은 수평 이송 레일(510) 및 수평 이송 레일(510)을 따라 수평방향, 즉 수조(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플레이트(520)를 포함한다. 수평 이송 레일(510)은 본체 프레임(10)에 정면 및 배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동 플레이트(520)는 한 쌍의 수평 이동 레일(510) 사이에 설치되고, 구동축(530)을 따라 구동되는 기어 모터(540)에 의해 수평 이송 레일(510)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 플레이트(520)의 상면에는 광 조사 유닛(400)이 고정된다(도 6 참조).
제어 유닛(600)은 본체 프레임(10)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입력된 조형 대상물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 조사 유닛(400),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500) 및 베드 이송 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입력된 조형 대상물이 생성되도록 한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광 조사 유닛(400)은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광 조사 유닛 본체(410), 광 조사 유닛 본체(4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레이저 다이오드(420), 폴리곤 미러(430) 및 굴절 미러(440;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광 조사 유닛 본체(410)는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500)의 이동 플레이트(520) 상에 고정되고, 이동 플레이트(520)와 함께 수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레이저 다이오드(420)는 광 조사 유닛 본체(410)에 내장되고, 폴리곤 미러(430)가 설치된 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 여기서, 레이저 다이오드(420)는 대략 380 ~ 420nm 파장 및 대략 580 ~ 620mW 출력을 갖는 자외선 광을 조사한다.
폴리곤 미러(430)는 광 조사 유닛 본체(410)에 내장되고, 모터(431)에 의해 회전하면서 레이저 다이오드(42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을 반사시킨다. 여기서, 폴리곤 미러(430)는 6개의 반사면(43)을 구비하고, 모터(431)는 20,000 ~ 43,000rpm의 속도로 폴리곤 미러(43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폴리곤 미러(430)는 그 회전축이 수조(100) 내에 충진된 액체 수지의 수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광 조사 유닛 본체(410)에 설치된다. 따라서, 폴리곤 미러(430)의 회전면은 액체 수지의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폴리곤 미러(430)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은 폴리곤 미러(430)의 회전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수조(100)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반사된다.
굴절 미러(4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조사 유닛(400)과 수조(100) 사이에 설치되고, 폴리곤 미러(430)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조(100) 내부의 광경화성 액체 수지 측으로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420)로부터 조사되는 단파장의 고출력 레이저 광은 폴리곤 미러(430)에 반사되면서 수조(100)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인 레이저 광선(L)을 형성하고, 광 조사 유닛(400)의 수평 이동에 의해 2차원 평면 상에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베드(200)의 수직 이동에 의해 3차원 조형 대상물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3차원 조형 대상물을 조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는 광 조사 유닛(400)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광이 수조(100) 내의 액체 수지의 수면과 수평을 이루는 회전면을 가지는 폴리곤 미러(430)에 반사되어 선형적으로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갈바노 미러를 X-Y 축 제어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액체 수지의 수면과 경사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회전면을 갖는 폴리곤 미러를 사용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폴리곤 미러의 회전 품질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레이저 광 조사 시간을 단축하여 3차원 물체의 조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500) 및 베드 이송 유닛(300)만을 제어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제어 유닛(600)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 조사 유닛(400)은 레이저 다이오드(42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광을 집광하기 위한 렌즈들(450, 461, 462), 예를 들면, 원통형 렌즈(450), 제1 F-θ 렌즈(461) 및 제2 F-θ 렌즈(462)를 포함한다.
원통형 렌즈(450)는 레이저 다이오드(420)와 폴리곤 미러(430) 사이에 설치되고, 레이저 광을 폴리곤 미러(430)의 반사면에 상하방향으로 집광시킨다. 제1 F-θ 렌즈(461)는 폴리곤 미러(430)와 굴절 미러(440) 사이에 설치되고, 폴리곤 미러(430)의 반사면에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조 측으로 집광시킨다. 그리고, 제2 F-θ 렌즈(462)는 제1 F-θ 렌즈(461)와 굴절 미러(440) 사이에 설치되고, 폴리곤 미러(430)의 반사면에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조 측으로 집광시킨다. 여기서, 제1 F-θ 렌즈(461)와 제2 F-θ 렌즈(462)는 2개의 렌즈가 한 세트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집광된 레이저 광은 Ø0.1mm의 크기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광 조사 유닛(400)은 빔 디텍팅 센서(470), 빔 디텍팅 미러(480) 및 빔 디텍팅 렌즈(490)를 더 포함하여, 제어 유닛(600)으로 하여금 조형 대상물의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시작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빔 디텍팅 센서(470)는 폴리곤 미러(430)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광하여 수광 정보를 제어 유닛(600)에 전달한다. 빔 디텍팅 미러(480)는 폴리곤 미러(430)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빔 디텍팅 센서(470) 측으로 반사시킨다. 그리고, 빔 디텍팅 렌즈(490)는 빔 디텍팅 미러(480)와 빔 디텍팅 센서(470) 사이에 설치되고, 빔 디텍팅 미러(480)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광을 집광하여 빔 디텍팅 센서(470)에 원활하게 수광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600)은 빔 디텍팅 센서(470)로부터 수신된 수광 정보를 기초로 하여 조형물의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시작위치를 결정한다. 즉, 제어 유닛(600)은 각 조형 레이어(layer) 간의 레지스트를 동기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레이저 다이오드(420)는 폴리곤 미러(430)의 반사면의 어느 한 지점(R)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들(421, 422, 423, 424, 425,...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레이저 다이오드들(421, 422, 423, 424, 425,...n)은 폴리곤 미러(430)의 반사면 상의 한 지점에 레이저 광이 중첩되도록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따라서 반사면을 통해 수조(100)의 광경화성 수지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출력이 증가되면서 이에 비례하여 광경화 조형 속도가 증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는 수조(100)에서 조형되는 3차원 조형물의 상부면, 즉 조형면의 높이를 균일하게 하는 블레이드 유닛(700)을 더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유닛(700)은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500)의 수평 이송 레일(510)에 결합되는 이동 바(710) 및 수조(100)를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된 블레이드(720)를 포함한다. 이동 바(710)는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500)에 의해 광 조사 유닛(400)과 일체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블레이드(72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조형 대상물의 상부면을 접촉하면서 조형면을 평탄하게 만든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 유닛(700)은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500)에 의해 광 조사 유닛(40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장치의 구성 및 제어가 간단하다.
대안적으로, 도 12와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는 광 조사 유닛 본체(410)가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조(100)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여기서, 광 조사 유닛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한다).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광 조사 유닛 본체(410)는 본체 프레임(10)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이동 불가능하다. 그리고, 굴절 미러(440)는 광 조사 유닛 본체(410)와 수조(100) 사이에 설치되고, 수조(100)의 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광 조사 유닛 본체(410)는 고정되어 있고, 굴절 미러(440)만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굴절 미러(440)는 수조(100)의 상부에서 고속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굴절 미러(440)의 중량이 광 조사 유닛 본체(410)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이동시에 관성 및 진동 등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어, 광 조사 품질 면에서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다이오드(420)로부터 굴절 미러(440)를 거쳐 수조(100)의 액체 수지로 조사되는 레이저의 광로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굴절 미러(440)는 3개의 미러들(441,442, 443)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굴절 미러(440)는 레이저 다이오드(42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조(100)를 향하여 수직 하방으로 굴절시키는 제1 미러(441); 제1 미러(441)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1 미러(441)로부터 굴절된 레이저 광을 광 조사 유닛 본체(410) 측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제2 미러(442); 및 제2 미러(442)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고, 제2 미러(442)로부터 굴절된 레이저 광을 수직 하방으로 굴절시켜 수조(100)의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제3 미러(4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미러(441)와 제2 미러(442)는 일체로, 즉 같은 속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3 미러(443)는 제1,2 미러들(441, 442)과는 다른 속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레이저 다이오드(420)로부터 3개의 미러들(441, 442, 443)을 거쳐 액체 수지까지 조사되는 레이저의 광로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1,2 미러들(441, 442) 및 제3 미러(443)의 이동 속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액체 수지에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초점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액체 수지의 광경화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된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조형 대상물을 지지하는 베드;
    상기 베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드 이송 유닛;
    상기 수조에 저장된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조형 대상물로 경화시키는 광 조사 유닛;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광 조사 유닛을 이동시키는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
    상기 광 조사 유닛,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 및 상기 베드 이송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수조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광 조사 유닛 본체;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에 내장되고, 일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에 내장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을 상기 수조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반사시키는 폴리곤 미러; 및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와 상기 수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폴리곤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수조 내부의 광경화성 액체 수지로 굴절시키는 굴절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는 상기 폴리곤 미러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들은 상기 폴리곤 미러의 한 지점에 레이저 광이 중첩되도록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곤 미러는 상기 수조 내의 액체 수지의 수면과 수직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구비하여 액체 수지의 수면과 평행한 회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폴리곤 미러의 반사면에 집광시키는 원통형 렌즈; 및
    상기 폴리곤 미러와 상기 굴절 미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폴리곤 미러의 반사면에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조 측으로 집광시키는 제1 F-θ 렌즈; 및
    상기 제1 F-θ 렌즈와 상기 굴절 미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폴리곤 미러의 반사면에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조 측으로 집광시키는 제2 F-θ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폴리곤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광하여 조형 대상물의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빔 디텍팅 센서;
    상기 폴리곤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빔 디텍팅 센서로 반사시키는 빔 디텍팅 미러; 및
    상기 빔 디텍팅 미러와 상기 빔 디텍팅 센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빔 디텍팅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집광하는 빔 디텍팅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상기 수조 내에서 조형되는 조형 대상물의 상부면을 평탄하게 만들고, 상기 광 조사 유닛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광 조사 유닛과 일체로 이동하는 블레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6.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된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조형 대상물을 지지하는 베드;
    상기 베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드 이송 유닛;
    상기 수조에 저장된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조형 대상물로 경화시키는 광 조사 유닛; 및
    상기 광 조사 유닛 및 상기 베드 이송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수조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 조사 유닛은: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광 조사 유닛 본체;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에 내장되고, 일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에 내장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을 상기 수조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반사시키는 폴리곤 미러; 및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와 상기 수조 사이에서 상기 수조의 수면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폴리곤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수조 내부의 광경화성 액체 수지로 굴절시키는 굴절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는 상기 폴리곤 미러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들은 상기 폴리곤 미러의 한 지점에 레이저 광이 중첩되도록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 미러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직 하방으로 굴절시키는 제1 미러;
    상기 제1 미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미러로부터 굴절된 레이저 광을 상기 광 조사 유닛 본체 측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제2 미러; 및
    상기 제2 미러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미러로부터 굴절된 레이저 광을 수직 하방으로 굴절시켜 수조의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제3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러와 제2 미러는 일체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3 미러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액체 수지까지의 레이저의 광로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미러 및 제2 미러와는 다른 속도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55185A 2016-11-21 2016-11-21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82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185A KR101826739B1 (ko) 2016-11-21 2016-11-21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US15/816,042 US20180141269A1 (en) 2016-11-21 2017-11-17 3d printer using linear laser source
CN201711168447.XA CN108081600A (zh) 2016-11-21 2017-11-21 利用线性激光光源的3d打印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185A KR101826739B1 (ko) 2016-11-21 2016-11-21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739B1 true KR101826739B1 (ko) 2018-02-08

Family

ID=6123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1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826739B1 (ko) 2016-11-21 2016-11-21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41269A1 (ko)
KR (1) KR101826739B1 (ko)
CN (1) CN1080816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0132A (zh) * 2018-09-29 2018-12-25 上海黑焰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3d生物打印机的uv光固化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7850B (zh) * 2016-09-30 2019-08-16 三纬国际立体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光固化立体打印装置
CN108705774A (zh) * 2018-08-03 2018-10-26 上海梓域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用准直均匀的光源系统及打印系统
PH12021551762A1 (en) * 2019-01-24 2022-05-23 Stephen Kay Systems, methods, and materials for ultra-high throughput additive manufacturing
CN114734636B (zh) * 2022-04-20 2023-12-19 浙江正向增材制造有限公司 光固化打印装置及打印方法
USD1034720S1 (en) * 2024-03-15 2024-07-09 Shenzhen Elegoo Technology Co., Ltd. 3D prin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171B1 (ko) * 2005-11-08 2007-04-18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빔 분할을 이용한 레이저 가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489A (en) * 1987-12-30 1989-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f·θ correction system in a laser printer
US5963243A (en) * 1993-11-10 1999-10-05 Kabushiki Kaisha Tec Exposing device for correcting an fθ error of a rotatable polygon mirror without using an fθ lens
JPH08240767A (ja) * 1995-03-01 1996-09-17 Ricoh Co Ltd 走査結像レンズおよび光走査装置
JPH10197812A (ja) * 1997-01-06 1998-07-31 Asahi Optical Co Ltd カスケード走査光学系の書き出し位置調整装置
JP3514058B2 (ja) * 1997-01-17 2004-03-31 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ーザー走査装置
JP3627781B2 (ja) * 1997-01-29 2005-03-0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レーザー走査装置
JP4585062B2 (ja) * 1999-09-28 2010-11-2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マルチビーム制御方法
JP2004021133A (ja) * 2002-06-20 2004-01-22 Canon Inc 走査光学装置
JP2005062570A (ja) * 2003-08-15 2005-03-10 Brother Ind Ltd マルチビームスキャナ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35725A (ja) * 2004-07-29 2006-02-09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440760B2 (ja) * 2004-12-22 2010-03-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808004B2 (ja) * 2005-10-26 2011-11-02 株式会社リコー 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767110B1 (ko) * 2006-01-27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빔 차단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80001430A (ko) * 2006-06-29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장치 및 이 광주사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080007841A (ko) * 2006-07-18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곤 미러 및 광주사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E102006034906A1 (de) * 2006-07-28 2008-01-31 Carl Zeiss Microimaging Gmbh Laser-Scanning-Mikroskop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JP2008076474A (ja) * 2006-09-19 2008-04-03 Ricoh Co Ltd 光学装置と画像形成装置
DE102006055078A1 (de) * 2006-11-22 2008-06-05 Eos Gmbh Electro Optical Systems Vorrichtung zum schichtweisen Herstellen eines dreidimensionalen Objekts
US8081363B2 (en) * 2007-08-23 2011-12-20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 beam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73182B2 (ja) * 2011-02-24 2013-08-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光走査装置
US9075409B2 (en) * 2011-06-28 2015-07-07 Global Filtr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objects using linear solidification
JP5449302B2 (ja) * 2011-12-08 2014-03-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4010195A (ja) * 2012-06-28 2014-01-20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光走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DE102013004869B4 (de) * 2013-03-21 2016-06-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Ausbildung einer Strukturierung an Oberflächen von Bauteilen mit einem Laserstrahl
DE202013004745U1 (de) * 2013-05-23 2014-08-26 Exentis-Knowledge Ag Anlage zur Herstellung von dreidimensionalen Siebdrucken
US9170411B2 (en) * 2013-10-11 2015-10-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canning optical microscope
JP6150438B2 (ja) * 2014-06-20 2017-06-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390898B2 (ja) * 2014-08-22 2018-09-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基板の製造方法、加工対象物の切断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JP2016145890A (ja) * 2015-02-06 2016-08-12 株式会社リコー 走査線調整機構、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204451225U (zh) * 2015-02-10 2015-07-08 北京化工大学 Lcd屏幕选择性光固化3d打印机
TWI540163B (zh) * 2015-03-10 2016-07-01 國立臺灣科技大學 立體列印用光硬化樹脂組成物
US9902112B2 (en) * 2015-04-07 2018-02-27 Global Filtr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objects using linear solidification and a vacuum blade
US10364341B2 (en) * 2015-04-08 2019-07-30 Are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3d printing of nano-filler/polymer composites
US20160311160A1 (en) * 2015-04-24 2016-10-27 Global Filtration Systems, A Dba Of Gulf Filtration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objects using scanning axis compensation and dynamic offs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171B1 (ko) * 2005-11-08 2007-04-18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빔 분할을 이용한 레이저 가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0132A (zh) * 2018-09-29 2018-12-25 上海黑焰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3d生物打印机的uv光固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41269A1 (en) 2018-05-24
CN108081600A (zh)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739B1 (ko) 선형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JP5018076B2 (ja) 光造形装置及び光造形方法
CN108312518B (zh) 一种内部立体直接光固化成型3d打印设备及其控制方法
TW201811542A (zh) 控制用於積層製造的能量束之強度分佈
WO1999024241A1 (en) Optical formation device and method
KR20180125801A (ko) Sla 3d 프린터
KR101365805B1 (ko) 필름절단장치 및 필름절단방법
JP2016511713A (ja) 3次元物体の作製
US20210221060A1 (en) 3d printer
JP2009113293A (ja) 光造形装置及び光造形方法
JP2009113294A (ja) 光造形装置及び光造形方法
US20230055545A1 (en) Irradiation devices with laser diode arrays for additively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objects
KR101367481B1 (ko) 필름절단장치 및 필름절단방법
JP2009083240A (ja) 光造形装置
KR102044854B1 (ko) 광집적모듈 및 이를 적용한 3d 프린터
EP3508332B1 (en) 3d printer with cooling function
KR102357850B1 (ko) 광 전달율 조정 3d 프린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42659B1 (ko) 다중 레이저의 중첩을 이용한 레이저 고출력 변환장치
JP2017114011A (ja) 立体形状物の造形装置及び製造方法
KR102171813B1 (ko) 3d 프린터의 광조사 장치
JP4639322B2 (ja) 光造形装置及び方法
KR101948587B1 (ko) 유리섬유를 이용한 3d프린터
KR20160065437A (ko) 선택적 소결을 위한 레이저 분배장치
WO2018096960A1 (ja) 造形装置および造形物の製造方法
KR102078571B1 (ko) 3차원 프린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