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628B1 - 선행 차량 인식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선행 차량 인식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6628B1 KR101826628B1 KR1020170042929A KR20170042929A KR101826628B1 KR 101826628 B1 KR101826628 B1 KR 101826628B1 KR 1020170042929 A KR1020170042929 A KR 1020170042929A KR 20170042929 A KR20170042929 A KR 20170042929A KR 101826628 B1 KR101826628 B1 KR 1018266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jectory
- vehicle
- information
- host vehicle
- preceding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06V20/584—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of vehicle lights or traffic lights
-
- G06K9/00825—
-
- G06K9/00798—
-
- G06K9/52—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2—Glob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the whole pattern, e.g. using frequency domain transformations or autocorrel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행 차량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호스트 차량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차선 정보와 객체 위치 정보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중첩 궤적이 생성된 객체를 체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중첩 궤적이 생성된 객체 간의 관계를 테이블 형태로 보인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좌/우의 두 차선과 객체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해당 각체가 각 차로에 존재할 확률을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식한 선행 차량을 HUD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120 : 센서부
130 : 제어부
140 : 정보 입력부
150 : 정보 출력부
Claims (22)
- 제어부가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차선 정보와 객체들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객체들을 각기 추적하여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객체들에 중첩 궤적이 생성되었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차선 정보가 산출되면, 상기 제어부가 호스트 차량을 기준으로 좌/우 차선과 각 객체 간의 거리를 추정하고, 해당 객체가 호스트 차량이 있는 차로에 있을 확률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하거나 생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지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호스트 차량의 선행 차량을 추정하되, 각 객체별 위치 확률 중 호스트 차량이 존재하는 가운데 차로 확률이 미리 정해 놓은 임계치 이상이 되면 해당 객체를 선행 차량으로 인식하고, 객체가 2개 이상일 경우에는 가까운 객체를 선행 차량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선 정보가 검출되지 않았거나, 확률 기반으로 선행 차량을 인식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궤적 기반으로 선행 차량 후보 객체를 선정하고, 상기 선행 차량 후보 객체가 다른 객체의 궤적을 중첩하는지를 체크하여, 상기 선행 차량 후보 객체가 다른 객체의 궤적을 중첩할 경우 호스트 차량도 해당 궤적을 중첩하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호스트 차량도 해당 궤적을 중첩할 경우 상기 후보 객체를 선행 차량으로 판단하며, 상기 호스트 차량이 해당 궤적을 중첩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후보 객체는 선행 차량으로 판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지정된 정보는,
차선 정보, 객체의 궤적 정보, 및 객체가 있는 해당 차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정보와 객체들의 위치 정보는,
호스트 차량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궤적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좌표 변환을 수행하여 호스트 차량의 시작 위치에서 상대좌표계를 만들고,
상기 제어부는, 호스트 차량의 이동량과 헤딩(heading) 정보를 보상하여 상기 상대좌표계에서의 객체 위치 정보와 차선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차량의 이동량과 헤딩(heading) 정보는,
차속 센서 정보, 조향각 센서 정보, 및 요(Yaw)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객체를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각 객체별 아이디(ID)를 지정할 수 있으며, 선행 차량의 표시를 위해서 각 객체별 색상을 지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정보를 안정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필터를 이용하여 차선의 노이즈를 제거하며, 또한
저장 공간의 용량을 줄이고, 연산 과정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차선을 기 지정된 일정 간격으로 샘플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연속된 영상의 프레임 간의 객체들을 거리와 궤적방향 기반으로 추적하여, 연속성이 있는 객체를 '추적 객체'로서 마스킹하고, 신규 생성된 객체를 '생성 객체'로서 마스킹하며,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객체를 '소멸 객체'로서 각기 마스킹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들을 각기 추적하여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궤적은 객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며,
상기 제어부는,
추적 객체에 대한 궤적 생성 시 필요한 저장 공간의 용량을 줄이고, 연산 과정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기 지정된 일정 간격으로 객체의 이동 경로를 샘플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궤적이 생성되는지 체크하는 단계는,
어느 하나의 객체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두 개의 궤적 샘플을 찾고, 상기 두 개의 궤적 샘플을 연결한 선분과 객체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미리 정해 놓은 임계치 이하가 되는지 여부에 따라 중첩 궤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률을 연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정한 객체와 차선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각 객체의 위치에서 정규 분포로 확률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방법.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 기반으로 선행 차량 후보를 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호스트 차량 위치에서 각 객체의 궤적들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가 되는 궤적들을 찾고, 상기 임계치 이하가 되는 궤적이 1개 이면 해당 궤적의 객체를 선행 차량 후보로 선정하며, 상기 임계치 이하가 되는 궤적이 2개 이상이면 다른 객체의 궤적에 중첩하고 있는 객체를 선행 차량 후보 객체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방법.
- 호스트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호스트 차량의 이동량과 헤딩(heading) 정보 검출을 위한 차속 센서, 조향각 센서, 및 요(Yaw)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전방 영상을 처리하여 차선 정보와 객체들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객체들 중 호스트 차량이 있는 차로에 있는 객체들을 추정하고, 상기 호스트 차량이 있는 차로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 객체들 중 상기 호스트 차량에 가장 가까운 객체를 선행 차량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 정보가 검출되지 않았거나 확률 기반으로 선행 차량을 인식할 수 없을 경우, 궤적 기반으로 선행 차량 후보를 선정하되,
상기 선행 차량 후보 객체가 다른 객체의 궤적을 중첩하는지를 체크하여, 상기 선행 차량 후보 객체가 다른 객체의 궤적을 중첩할 경우 호스트 차량도 해당 궤적을 중첩하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호스트 차량도 해당 궤적을 중첩할 경우 상기 후보 객체를 선행 차량으로 판단하며, 상기 호스트 차량이 해당 궤적을 중첩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후보 객체는 선행 차량으로 판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차량을 기준으로 좌/우 차선과 각 객체 간의 거리를 추정하여 해당 객체가 호스트 차량이 있는 차로에 있을 확률을 연산하고,
각 객체별 위치 확률 중 호스트 차량이 존재하는 가운데 차로 확률이 미리 정해 놓은 임계치 이상이 되면 해당 객체를 선행 차량으로 인식하되, 객체가 2개 이상일 경우에는 가까운 객체를 선행 차량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상기 호스트 차량의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으로서,
상기 호스트 차량의 바로 앞에서 주행하는 객체가 선행 차량이 되고, 상기 선행 차량에 해당하는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객체는 모두 전방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장치.
- 호스트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호스트 차량의 이동량과 헤딩(heading) 정보 검출을 위한 차속 센서, 조향각 센서, 및 요(Yaw)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전방 영상을 처리하여 차선 정보와 객체들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객체들을 각기 추적하여 궤적을 생성하며, 상기 객체들에 중첩 궤적이 생성되었는지 체크하고, 상기 호스트 차량을 기준으로 좌/우 차선과 각 객체 간의 거리를 추정하여 해당 객체가 호스트 차량이 있는 차로에 있을 확률을 연산하고, 상기 추정한 차선 정보, 객체 궤적 정보, 및 객체가 있는 해당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호스트 차량의 선행 차량을 추정하되, 각 객체별 위치 확률 중 호스트 차량이 존재하는 가운데 차로 확률이 미리 정해 놓은 임계치 이상이 되면 해당 객체를 선행 차량으로 인식하고, 객체가 2개 이상일 경우에는 가까운 객체를 선행 차량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궤적을 생성하기 위하여, 좌표 변환을 수행하여 호스트 차량의 시작 위치에서 상대좌표계를 만들고,
상기 호스트 차량의 이동량과 헤딩(heading) 정보를 보상하여 상기 상대좌표계에서의 객체 위치 정보와 차선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 정보를 안정화하기 위하여, 익스포넨셜 필터(exponential filter)나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하여 차선 정보의 노이즈를 제거하며, 또한
저장 공간의 용량을 줄이고, 연산 과정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차선을 기 지정된 일정 간격으로 샘플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첩 궤적이 생성되는지 체크하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객체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두 개의 궤적 샘플을 찾고, 상기 두 개의 궤적 샘플을 연결한 선분과 객체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미리 정해 놓은 임계치 이하가 되는지 여부에 따라 중첩 궤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객체가 호스트 차량이 있는 차로에 있을 확률을 연산함에 있어서,
상기 추정한 객체와 차선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각 객체의 위치에서 정규 분포로 확률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 인식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2929A KR101826628B1 (ko) | 2017-04-03 | 2017-04-03 | 선행 차량 인식 방법과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2929A KR101826628B1 (ko) | 2017-04-03 | 2017-04-03 | 선행 차량 인식 방법과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6628B1 true KR101826628B1 (ko) | 2018-02-08 |
Family
ID=6123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2929A Active KR101826628B1 (ko) | 2017-04-03 | 2017-04-03 | 선행 차량 인식 방법과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662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32578B2 (en) | 2017-02-28 | 2020-11-10 | Mando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 prevention |
US11501539B2 (en) | 2019-06-14 | 2022-11-15 | Hl Klemove Corp. | Vehicle control system, sensing device and sensing data processing method |
KR20240008223A (ko) * | 2022-07-11 | 2024-01-18 | 주식회사 이화네트웍스 | 커넥티드 카 환경에서의 전방 차량 인식 모듈 및 전방 차량 인식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55699B2 (ja) * | 2005-02-01 | 2010-10-0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先行車認識装置 |
JP2017056783A (ja) * | 2015-09-15 | 2017-03-23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
-
2017
- 2017-04-03 KR KR1020170042929A patent/KR10182662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55699B2 (ja) * | 2005-02-01 | 2010-10-0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先行車認識装置 |
JP2017056783A (ja) * | 2015-09-15 | 2017-03-23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32578B2 (en) | 2017-02-28 | 2020-11-10 | Mando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 prevention |
US10916143B2 (en) | 2017-02-28 | 2021-02-09 | Mando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intersection collision prevention |
US11501539B2 (en) | 2019-06-14 | 2022-11-15 | Hl Klemove Corp. | Vehicle control system, sensing device and sensing data processing method |
KR20240008223A (ko) * | 2022-07-11 | 2024-01-18 | 주식회사 이화네트웍스 | 커넥티드 카 환경에서의 전방 차량 인식 모듈 및 전방 차량 인식 방법 |
KR102700666B1 (ko) | 2022-07-11 | 2024-08-29 | 주식회사 이화네트웍스 | 커넥티드 카 환경에서의 전방 차량 인식 모듈 및 전방 차량 인식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678113B1 (en) | Travel control method and travel control device for driving-assist vehicle | |
JP5747787B2 (ja) | 車線認識装置 | |
US10019017B2 (en) | Autonomous driving system | |
EP3678110B1 (en) | Method for correcting positional error and device for correcting positional error in a drive-assisted vehicle | |
CN107646114B (zh) | 用于估计车道的方法 | |
US11526173B2 (en) | Traveling trajectory correction method, traveling control method, and traveling trajectory correction device | |
EP0810569B1 (en) | Lane detection sensor and naviga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 |
US8380382B2 (en) | Unmanned transport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6665614B2 (en) | Vehicle surroundings monitoring apparatus and vehicle traveling control system incorporating the apparatus | |
JP6416293B2 (ja) | 自動車に接近する対象車両を自動車のカメラシステムにより追跡する方法、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 |
KR101573764B1 (ko) | 차량의 주행 차로 인식 시스템 및 방법 | |
US9676412B2 (en) |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 |
US9786172B2 (en) | Warning guidance system, method, and program that provide information to vehicle navigation systems | |
US20170066445A1 (en) | Vehicle control apparatus | |
CN108367722A (zh) | 停车辅助方法及装置 | |
US20180012083A1 (en) | Demarcation line recognition apparatus | |
JP2004531424A (ja) | 車用の感知装置 | |
US2021040299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planned trajectory | |
CN106373417A (zh) | 生成并从主车辆向车对车网络传送车道信息的系统和方法 | |
CN112644489A (zh) | 车道跟随控制设备和方法 | |
JP2017146724A (ja) | 地図情報出力装置 | |
KR101826628B1 (ko) | 선행 차량 인식 방법과 장치 | |
KR20180039900A (ko) | 진행경로 시나리오에 따라 충돌가능성을 판단하고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
KR101588787B1 (ko) | 전방차량의 횡방향 거리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 |
JP2007178271A (ja) | 自位置認識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