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6446B1 -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446B1
KR101826446B1 KR1020160166638A KR20160166638A KR101826446B1 KR 101826446 B1 KR101826446 B1 KR 101826446B1 KR 1020160166638 A KR1020160166638 A KR 1020160166638A KR 20160166638 A KR20160166638 A KR 20160166638A KR 101826446 B1 KR101826446 B1 KR 101826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wire
insertion tube
main body
rear e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준
Original Assignee
최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준 filed Critical 최원준
Priority to KR102016016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4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회용으로 출혈부위의 봉합을 위해 클립을 체내에 삽입노출시켜 봉합하기 직전 과정에서 출혈이 멈추게 되는 등 봉합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경우에는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인출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는, 본체(11)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에 전후 이동하게 결합설치하는 삽입관(20)과, 전·후단에 클립(62)의 후단과 스테인리스 강선으로 되는 와이어(50)의 전단을 걸어 연결하는 걸이공(611)과 고리(612)를 구비하는 연결핀(61)과, 관 형태로 되며 삽입관의 후측부 외면에 결합설치되는 제어부재(30)와, 스테인리스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가 내부에 삽입되고 전단은 삽입관의 전단부 내에 위치하고 후단은 본체의 결합구 내단 측에 결합되어 본체와 함께 회전하지 않게 설치되는 지지관(40) 및 중간부에 격리형성되는 좌우의 결속편(71)(71')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전단과 제어부재의 후단 사이에 개재되게 삽입관(20)의 후측부에 결합설치하는 격리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Endoscope clip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회용으로 출혈부위의 봉합을 위해 클립을 체내에 삽입노출시켜 봉합하기 직전 과정에서 출혈이 멈추게 되는 등 봉합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경우에는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인출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a에서와 같이 삽입관(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와이어(2)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편(3a)와 상기 연결편의 선단에 결합되는 클립(3b) 및 상기 연결편의 둘레에 끼워진 가압관(3c)으로 되는 클립조립체(3)가 상기 삽입관의 선단 내에 수용된 상태의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후단이 전단부 내에 삽입되는 조작부재(4)를 함께 멸균포장하여 1회용으로 사용하게 제공함으로써 처치기구를 반복 사용함에 따른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일체형 일회용 내시경용 클립처치장치(등록특허 제10-1667744호)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클립처치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포장을 뜯고 꺼내서 삽입관(1)을 내시경의 채널 내로 삽입하여 선단이 환부에 근접되게 한 상태에서 조작부재(4)를 조작하여 와이어(2)를 전진시켜 도 1b에서와 같이 클립조립체(3)가 상기 삽입관으로부터 빠져나와 클립(3b)이 벌어지게 한 다음, 상기 와이어를 후퇴시켜 도 1c에서와 같이 클립조립체가 함께 후퇴하여 삽입관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금속링(1a)에 가압관(3c)의 걸림날개(3')가 걸리는 위치까지 후퇴하게 하고, 상기 와이어를 더 후퇴시켜 금속링에 걸림날개가 걸린 상태에서 도 1d에서와 같이 가압관이 연결편(3a)의 둘레에서 상기 클립의 루프부(3")의 둘레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가압관이 루프부를 가압하여 클립이 더욱 개방되게 한 후, 상기 삽입관의 위치를 미세조정하여 와이어를 회전시켜 벌어진 클립을 봉합하고자 하는 점막에 정확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와이어를 더욱 후퇴시켜 삽입관의 선단에 걸림날개가 걸린 가압관이 연결편의 둘레에서 클립의 둘레로 완전히 이동되어 도 1e에서와 같이 가압관이 클립을 가압하여 오므려주어 점막을 파지하게 한 다음, 상기 와이어를 더욱 후퇴시켜 연결편의 파단부(3'")가 파단되어 도 1f에서와 같이 상기 클립은 가압관에 의해 가압되어 점막을 파지한 상태로 생체 내에 머물러 있고 연결편의 일부는 와이어에 결합된 상태로 삽입관 내로 유입되게 한 상태에서 삽입관·와이어· 조작부재·일부의 연결편만 남은 클립처치장치를 내시경의 채널로부터 인출하여 재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폐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클립처치장치는 1회 사용하고 폐기하는 것이므로 비록 처치기구를 반복 사용함에 따른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는 얻을 수 있었으나,
도 1b,c에서와 같이 클립조립체(3)가 삽입관(1)으로부터 빠져나와 클립(3b)이 벌어지게 한 다음에 와이어(2)를 후퇴시키면 클립조립체(3)가 함께 후퇴하여 가압관(3c)의 걸림날개(3')가 상기 삽입관의 선단에 결합된 금속링(1a)에 걸려서 상기 클립조립체는 다시 삽입관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지혈을 위해 상기 클립조립체를 삽입관으로부터 밀어내서 벌어진 클립을 봉합하고자 하는 점막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봉합을 하려는 과정에서 출혈이 봉합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잦아들어 곧 멈추게 될 상태이거나 멈추어서 봉합할 필요가 없게 되었을 때에도 클립이 벌어져 있는 상태로는 내시경의 채널로부터 인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종래에는 한번 벌어진 클립은 봉합이 필요 없어도 점막을 파지하게 하여 클립조립체가 체내에 남아 있게 한 후에 남은 부분을 인출하여야 한다.
이렇게 되면, 연결편(3a)에서 파단부(3'")의 후측부분을 제외한 클립조립체(3)의 거의 전체가 불필요하게 점막을 파지한 상태에서 체내를 길게 가로지르는 형태로 자연탈락하여 배출되기 전까지 그대로 장기간 남아있게 되므로 파지한 점막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클립(3b)이나 파단부(3'")의 불규칙한 절단면에 의해 그 주변의 노출된 혈관이나 점막 등이 찢어져 출혈을 더욱 조장하게 되거나 다른 병변의 치료나 내시경이 병변주변으로 접근할 수 없게 방해하는 장애물이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비용절감을 위해 와이어(2)와 연결편(3a)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임은 물론 상기 와이어는 지름이 가늘고 길이가 대략 230mm 내외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그 형태와 탄성이 쉽게 변형 또는 변질이 초래되기 때문에 조작부재(4)의 조작으로 상기 와이어를 전후진 및 회전시키는 동작이 클립결합체(3)에 그대로 신속·정확하게 전달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클립이 출혈부위의 점막을 시술자가 의도하는 상태로 정확히 파지하여 봉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제품불량이 빈발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와이어(2)와 연결편(3a)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진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별도로 성형한 후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연결편의 타단에는 와이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결합공을 일정깊이로 형성하고 와이어의 선단에는 결합공에 대응하는 지름과 길이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결합공에 결합돌기를 삽입 하고 인체에 무해한 접합제로 접합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바, 이렇게 접합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지름이 작은 결합공이나 결합돌기에 일일이 별도의 접합제를 도포한 후에 삽입접합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불량하고 생산성이 크게 저하됨은 물론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비용절감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일체형 일회용 내시경용 클립처치장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1회용으로 출혈부위의 봉합을 위해 클립을 체내에 삽입노출시켜 봉합하기 직전 과정에서 출혈이 봉합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잦아들어 곧 멈추게 될 상태이거나 멈추어서 봉합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경우에는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인출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체의 중간부를 가로지르게 천공되는 슬릿과 후단이 본체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를 관통하여 결속되는 와이어를 전후진 및 회전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조작부재와,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게 수용되는 삽입관과, 후단과 전단에 와이어와 클립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핀을 구비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1회사용하고 폐기하게 구성되는 내시경용 처치기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은 후단부를 본체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에 결합하여 전후 이동하게 결합설치되며, 상기 연결핀은 후단에 스테인리스 강선으로 되는 상기 와이어의 전단을 걸어서 연결하게 천공되는 걸이공과 전단부에 클립의 후단을 걸어서 연결하게 형성되는 고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내면 지름이 상기 삽입관의 외면지름에 대응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삽입관의 후측부 외면에 결합설치되는 제어부재와, 스테인리스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되며 내부에는 스테인리스 강선으로 되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게 삽입결합되고 전단은 삽입관의 전단부 내에 위치하고 후단은 삽입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본체의 결합구 내단 측에 결합되어 본체와 함께 회전하지 않게 설치되는 지지관과, 중간부에 전후로 가로지르게 지그재그로 절개하여 격리형성되는 좌우의 결속편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전단과 제어부재의 후단 사이에 개재되게 좌우의 결속편을 벌려서 삽입관의 후측부에 결합설치하는 격리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출혈부위의 봉합을 위해 클립을 체내에 삽입노출시켜 봉합하기 직전 과정에서 출혈이 멈추게 되는 등 봉합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경우에는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인출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는, 지혈을 위해 체내에 삽입노출시킨 클립으로 출혈부위를 봉합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경우에는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인출하여 폐기하는 것이므로, 체내에 사용하지 않은 클립이 남아있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클립이 필요없이 점막을 파지하여 남아있게 되었을 때 파지한 점막은 물론 주변의 노출된 혈관이나 점막 등이 찢어져 출혈을 더욱 조장하게 되거나 다른 병변의 치료나 내시경이 병변주변으로 접근할 수 없게 방해하던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 강선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는 띠 형태의 스테인리스 강편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지지관의 내부를 관통하게 결합하여 설치되는 것이므로, 조작부재의 조작으로 와이어를 전후진 및 회전시키는 동작이 클립결합체에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클립이 출혈부위의 점막을 시술자가 의도하는 상태로 정확하게 파지하여 봉합할 수 있어 처치효과를 크게 향상시켜 주게 되는 등의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일회용 내시경용 클립처치장치를 일부 생략하여 보인 평면도
도 2a~f는 도 1의 종래 일체형 일회용 내시경용 클립처치장치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를 일부 분리 및 생략하여 보인 사시도
도 4a~e는 도 3의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의 사용상태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를 일부 분리 및 생략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는 조작부재(10)·삽입관(20)·제어부재(30)·지지관(40)·와이어(50)·클립부재(60) 및 격리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멸균포장하여 제공되어 1회 사용하고 폐기하는 것이다.
조작부재(1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본체(11)와, 상기 본체의 중간부를 가로지르게 천공되는 슬릿(12)과, 와이어(50)를 전후진 및 회전시키게 본체에 결합설치되는 슬라이더(13)와, 상기 본체의 후단에 회동하게 결합설치되며 슬라이더를 조작할 때 손가락을 끼워서 잡는 파지링(14)과, 상기 슬릿의 전단 내면과 슬라이더의 전면사이에 개재되어 와이어의 후단측이 관통하게 설치되어 압축시키면 발생하는 반발력이 슬라이더를 후방으로 밀어주는 코일스프링(15)를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조작부재(10)는, 그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이 종래의 일체형 일회용 내시경용 클립처치장치에서의 조작부재에 대응된다.
삽입관(20)은 합성수지로 지름이 대략 2.8mm로 되게 형성되며, 후단부를 본체(11)의 전단 중앙에서 슬릿(12)의 전단면 사이를 관통하게 구비되는 결합구에 삽입하여 전후로 이동하게 설치된다.
제어부재(30)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내면 지름이 삽입관(20)의 외면지름에 대응하는 소정길이의 관 형태로 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의 후측부 외면에 결합설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삽입관을 전후이동시킬 때 손잡이 기능도 한다.
이러한 제어부재(30)를 삽입관(20)의 후측부 외면에 결합설치하면,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관에 밀착되기 때문에 파지하고 삽입관을 이동시킬 때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설치됨에 따라 지름이 작은 삽입관을 원활히 이동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지지관(40)은 두께가 얇은 스테인리스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지름이 삽입관(20)의 내부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후단은 상기 삽입관을 관통하여 본체(11)의 결합구 내단 측에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회전하지 않게 설치되고, 전단은 상기 삽입관의 전단부 내에 위치하게 된다.
와이어(50)는 지름이 작은 스테인리스 강선으로 되며, 후단은 지지관(40)과 조작부재(10)의 결합구를 관통하여 슬라이더(13)의 내면에 결속되고, 전단은 지지관(40)의 전단부 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강선으로 되는 와이어(50)는 지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면에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하는 지지관(40)의 지름은 강선에 대응하는 정도로 작게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를 지지관에 결합하면 이들의 사이에 지름차이에 비례하는 간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50)는 상기 간격에 대응하는 지름으로 되게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수용관(50a)의 내부를 관통하게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립부재(60)는, 후단부에 와이어(50)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핀(61)과, 상기 연결핀의 전단부에 후단을 연결하는 클립(62)과, 상기 연결핀과 클립의 후단부가 수용되게 관 형태로 형성되는 가압관(63)을 구비하여 된다.
연결핀(61)은 스테인리스나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후단에 와이어(50)의 전단을 걸어서 연결하게 천공되는 걸이공(611)과, 전단부에 클립(62)의 후단을 걸어서 연결하는 고리(612)를 구비하여 된다.
한편, 와이어(50)는 전단을 훅 형태로 되게 형성하여 걸이공(611)에 걸어주거나 스테인리스 스트립으로 전단에 훅이 구비되게 형성한 연결편(51)의 후단에 상기 와이어의 전단을 부착하여 연결편의 훅으로 걸이공에 걸어주어도 된다.
클립(62)은, 스테인리스 스트립을 알파 형태로 구부려서 일체로 형성되며 후단부를 고리(612)에 걸어주는 루프(621)와 점막을 클램핑하는 양측의 암(622)을 구비하며, 상기 루프를 가압하면 양측 암이 더욱 벌어지고 양측 암을 가압하면 좁혀져서 점막을 단단히 클림핑하게 된다.
이러한 클립(62)은, 그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이 종래의 일체형 일회용 내시경용 클립처치장치에서의 클립에 대응된다.
가압관(63)은 지름이 지지관(40)의 내면지름에 대응하게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그 길이는 연결핀(61)과 상기 연결편의 후단과 전단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50)의 전단부와 루프(621)의 후단이 내부에 수용되게 하는 길이로 된다.
또한, 가압관(63)은 외면 후측부에 자체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는 걸림날개(631)들을 구비하게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날개들은 가압관이 지지관(40)의 전단부 내에 위치할 때는 오므려져 있게 된다.
그리고, 가압관(63)의 후단에는 스테인리스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링캡(632)을 결합하여 루프(621)의 가압작용이 강화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관(63)은, 그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이 종래의 일체형 일회용 내시경용 클립처치장치에서의 가압관에 대응된다.
격리부재(70)는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판으로 되며, 중간부에 전후로 가로지르게 지그재그로 절개하여 격리형성되는 좌우의 결속편(71)(71')을 구비하여 된다.
이와 같은 격리부재(70)는, 조작부재(10)의 전단과 제어부재(30)의 후단 사이에 개재되게 좌우의 결속편(71)(71')들을 벌려서 삽입관(20)의 후측부에 결합하여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삽입관(20)의 후단은 격리부재(70)의 전후길이에 비례하는 만큼 본체(11)에 형성된 결합구의 내단 면과 격리되며, 이때 격리되는 간격만큼 상기 삽입관이 전측으로 이동하므로 그 전단부 내에 수용되는 클립부재(60)는 상기 삽입관의 이동간격에 비례하여 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렇게 삽입관(20)을 격리부재(70)의 전후길이에 비례하는 만큼 전측으로 이동되어 있게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손으로는 제어부재(30)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조작부(10)를 잡고 슬라이더(13)를 조작하여 클립부재(60)를 전측으로 완전히 이동시켜서 걸림날개(631)들의 후단은 지지관(40)의 전단에 걸어지고 클립(62)의 암(621)들은 상기 삽입관의 전단 외측으로 노출되어 벌어져 있어도 상기 걸림날개들은 삽입관의 전단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립(62)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경우에는, 제어부재(30)를 잡은 손으로 삽입관(20)을 전측으로 더 이동시켜 주면 노출되어 벌어져 있던 암(621)들이 상기 삽입관의 전단부 내로 들어가면서 오므려져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클립(62)을 사용하지 않고도 내시경의 손상 없이 채널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 4a~e는 도 3의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 클립처치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멸균포장을 뜯고 꺼낸 초기의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슬라이더(13)와 클립부재(60)는 후진되어 있고 조작부재(10)의 전단과 제어부재(30)의 후단 사이에는 격리부재(70)가 개재되어 삽입관(20)이 상기 격리부재의 전후길이에 비례하는 간격만큼 전측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전단부 내에 수용되는 클립부재(60)는 상기 삽입관이 이동한 간격에 비례하여 후측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클립처치기구를 내시경의 채널 내로 삽입하여 삽입관(20)의 전단이 출혈부위에 근접되게 한 다음 슬라이더(13)를 조작하여 와이어(50)를 완전히 전진시키면, 도 4b에서와 같이 클립조립체(2)가 지지관(40)을 빠져나오게 됨과 동시에 걸림날개(631)들이 자체 탄성에 의해 벌어져서 그 후단이 상기 지지관의 전단에 걸어지므로 클립조립체는 슬라이더의 전진으로 압축된 코일스프링(15)의 반발력이 작용하여도 지지관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되며, 이때 암(622)들의 전단부는 상기 삽입관의 전단으로부터 노출되어 그 전단의 내면지름에 걸어지는 범위에서 벌어진 상태로 출혈부위를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출혈이 계속되고 있어 클립(62)을 꼭 사용하여야 할 때에는, 삽입관(20)에 결합되어 있는 격리부재(70)를 분리시킨 다음 제어부재(30)를 잡고 상기 삽입관의 후단이 본체(11)에 형성된 결합구의 내단 면에 받쳐지질 때까지 후진시켜 주면 도 4c에서와 같이 암(622)들이 상기 삽입관의 전단으로 완전히 노출 및 벌어지게 된다.
다음에 슬라이더(13)를 조작하여 와이어(50)를 후진시키면 클립부재(60)도 후진하게 되는데, 이때 걸림날개(631)들의 후단이 지지관(40)의 전단에 걸어져 있기 때문에 가압관(62)은 후진하지 않고 연결핀(61)과 클립(62)만 상기 가압관의 내부에서 후진하게 되므로 도 4d에서와 같이 암(622)들의 간격이 완전히 오므려져서 출혈부위의 점막을 단단히 파지하여 봉합하게 된다.
이렇게 암(622)들이 점막을 파지한 상태에서도 와이어(50)를 더 후진시켜 주면, 연결핀(61)의 걸이공(611)에 걸어진 상기 와이어의 전단이 펴져서 걸이공으로부터 이탈하므로 도 4e에서와 같이 클립(62)이 점막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클립부재(60)는 체내에 남고, 상기 와이어의 전단은 지지관(4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걸이공(611)에 걸어진 상기 와이어(50)의 전단이 펴지게 하는데 필요한 힘은 클립(62)이 점막을 파지한 상태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후, 와이어(50)와 지지관(40)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삽입관(20)을 내시경의 채널로부터 인출하여 처치기구를 재사용하지 않고 폐기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처치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내시경의 채널 내로 삽입하여 삽입관(20)의 전단이 출혈부위에 근접되게 한 다음 슬라이더(13)를 조작하여 와이어(50)를 완전히 전진시켜 도 4b에서와 같이 하는 봉합하기 직전 과정에서 출혈이 봉합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잦아들어 곧 멈추게 될 상태이거나 멈추어서 봉합할 필요가 없게 되어 클립(62)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삽입관(20)에 결합되어 있는 격리부재(70)를 분리하지 않고 제어부재(30)를 잡고 상기 삽입관을 전측으로 이동시켜 준다.
이렇게 하면, 삽입관(10)이 전측으로 이동하면서 그 전단에서 노출되어 벌어져 있는 암(622)들을 가압하여 오므려주기 때문에 상기 암들을 포함한 클립부재(60)가 다시 삽입관의 전단부 내로 유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한 다음, 클립부재(60)·와이어(50)·지지관(40)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삽입관(20)을 내시경의 채널로부터 인출하여 처치기구를 재사용하지 않고 폐기하면 된다.
이와 같이 1회용으로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기구는, 체내에 삽입하여 클립(62)으로 점막을 클램핑하기 직전에 출혈이 멈추는 등 사용이 필요 없게 되었을 때에는 상기 클립을 체내에 남기거나 내시경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인출하여 폐기토록 함으로써 클립이 필요없이 점막을 파지하여 체내에 남아있게 되었을 때 파지한 점막은 물론 주변의 노출된 혈관이나 점막 등이 찢어져 출혈을 더욱 조장하게 되거나 다른 병변의 치료나 내시경이 병변주변으로 접근할 수 없게 방해하는 등의 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스테인리스 강선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는 띠 형태의 스테인리스 강편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지지관의 내부를 관통하게 결합설치되는 것이므로, 조작부재의 조작으로 와이어를 전후진 및 회전시키는 동작이 클립결합체에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클립이 출혈부위의 점막을 시술자가 의도하는 상태로 정확하게 파지하여 봉합할 수 있어 처치효과를 크게 향상시켜 주게 된다.
10 : 조작부재 13 : 슬라이더
20 : 삽입관 30 : 제어부재
40 : 지지관 50 : 와이어
50a : 수용관 60 : 클립부재
61 : 연결편 62 : 클립
63 : 가압관 611 : 걸이공
612: 고리

Claims (2)

  1. 본체(11)의 중간부를 가로지르게 천공되는 슬릿(12)과 후단이 상기 본체(11)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를 관통하여 결속되는 와이어(50)를 전후진 및 회전시키는 슬라이더(13)를 구비하는 조작부재(10)와, 내부에 상기 와이어(50)가 관통하게 수용되는 삽입관(20)과, 후단과 전단에 와이어(50)와 클립(62)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핀(61)을 구비하는 클립부재(60)를 포함하여 1회사용하고 폐기하게 구성되는 내시경용 처치기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20)은, 후단부를 상기 본체(11)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에 결합하여 전후 이동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핀(61)은, 후단에 스테인리스 강선으로 되는 상기 와이어(50)의 전단을 걸어서 연결하게 천공되는 걸이공(611)과, 전단부에 클립(62)의 후단을 걸어서 연결하는 고리(612)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내면 지름이 상기 삽입관(20)의 외면지름에 대응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20)의 후측부 외면에 결합설치되는 제어부재(30):와
    스테인리스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50)가 관통하게 삽입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삽입관(20)의 전단부 내에 위치하고 후단은 삽입관(20)의 내부를 관통하여 본체(11)의 결합구 내단 측에 결합되어 본체(11)와 함께 회전하지 않게 설치되는 지지관(40); 및
    중간부에 전후로 가로지르게 지그재그로 절개하여 격리형성되는 좌우의 결속편(71)(71')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11)의 전단과 제어부재(30)의 후단 사이에 개재되게 좌우의 결속편(71)(71')들을 벌려서 삽입관(20)의 후측부에 결합설치하는 격리부재(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50)는, 스테인리스 강선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50)가 내부를 관통하게 결합하는 수용관(50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
KR1020160166638A 2016-12-08 2016-12-08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 Active KR101826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638A KR101826446B1 (ko) 2016-12-08 2016-12-08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638A KR101826446B1 (ko) 2016-12-08 2016-12-08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446B1 true KR101826446B1 (ko) 2018-02-06

Family

ID=6122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638A Active KR101826446B1 (ko) 2016-12-08 2016-12-08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882A1 (ko) * 2018-08-28 2020-03-05 부산대학교병원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
EP3876814A4 (en) * 2018-11-08 2022-08-17 Cedars-Sinai Medical Center A novel tool for hemostasis and tissue approxim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668A (ja) 2004-12-07 2006-06-22 Olympus Corp 内視鏡用処置装置
JP2010042200A (ja) 2008-08-18 2010-02-25 Fujifilm Corp クリップ処置具用操作ハンドル、これを用いるクリップ処置具、連発式クリップ処置具、および、ワイヤ突出状態保持方法
WO2014181678A1 (ja) 2013-05-07 2014-11-1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処置具
KR101667744B1 (ko) 2015-04-23 2016-10-19 노홍주 일체형 일회용 내시경용 클립 처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668A (ja) 2004-12-07 2006-06-22 Olympus Corp 内視鏡用処置装置
JP2010042200A (ja) 2008-08-18 2010-02-25 Fujifilm Corp クリップ処置具用操作ハンドル、これを用いるクリップ処置具、連発式クリップ処置具、および、ワイヤ突出状態保持方法
WO2014181678A1 (ja) 2013-05-07 2014-11-1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処置具
JP5750620B2 (ja) 2013-05-07 2015-07-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処置具
KR101667744B1 (ko) 2015-04-23 2016-10-19 노홍주 일체형 일회용 내시경용 클립 처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882A1 (ko) * 2018-08-28 2020-03-05 부산대학교병원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
EP3876814A4 (en) * 2018-11-08 2022-08-17 Cedars-Sinai Medical Center A novel tool for hemostasis and tissue approxi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6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ndoscopic application of self-closing medical clips
JP5297816B2 (ja) 把持装置
JP6956199B2 (ja) 医療用組織クリップ釈放装置
JP4790549B2 (ja) 縫合具
WO2013067662A1 (zh) 一种夹持或结扎装置
WO2006068242A1 (ja) 結紮装置
JP2008504053A5 (ko)
WO2017028037A1 (zh) 软组织夹
CN106419992B (zh) 一种夹持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826446B1 (ko)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
KR101667744B1 (ko) 일체형 일회용 내시경용 클립 처치 장치
CN110944588A (zh) 内窥镜用牵引夹具
JP6432175B2 (ja) 内視鏡用処置具
CN108635007B (zh) 一种一次性可重复开合内镜止血夹
JP6294016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
CN111084647A (zh) 一种用于闭合消化道穿孔的内镜双臂闭合夹
WO2017059598A1 (zh) 可清理出血点渗血的止血夹
JPH04102450A (ja) 生体組織の留置クリップ装置
CN215018331U (zh) 止血夹用的夹头组件及止血夹
CN107735034B (zh) 外科手术缝合设备、耦接单元以及提供外科手术缝合设备的方法
KR101851115B1 (ko) 내시경용 일회용 클립처치기구
CN217365980U (zh) 一种配合内窥镜使用的无磁止血夹
CN217338676U (zh) 缝合装置
CN204562277U (zh) 一种夹合消化道内软组织的软组织夹
CN217365979U (zh) 止血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