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6239B1 - 건물 장식용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장식용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239B1
KR101826239B1 KR1020170096818A KR20170096818A KR101826239B1 KR 101826239 B1 KR101826239 B1 KR 101826239B1 KR 1020170096818 A KR1020170096818 A KR 1020170096818A KR 20170096818 A KR20170096818 A KR 20170096818A KR 101826239 B1 KR101826239 B1 KR 101826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main body
curved
cover plate
alumin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열
Original Assignee
김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열 filed Critical 김명열
Priority to KR102017009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2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4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r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이나 벽면에 부착된 알루미늄 스크린 루바의 실내 쪽을 향하는 면이 곡면을 이루게 한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면서 건물의 천정 또는 벽면체에 설치되는 설치면과, 설치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면서 실내쪽을 향하는 곡선의 장식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본체를 성형하는 본체 성형과정과, 상기 본체의 장식면에 결합되어 장식면을 매끈한 곡면으로 만들어 주는 커버판 성형과정 및, 상기 커버판을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완성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곡선 장식면을 이루는 성형과정이 원판을 곡면 재단선에 따라 자른 다음, 다수개의 절편을 형성시키고, 이 절편을 수직으로 꺾어 커버판이 결합되는 절곡 선단편이 곡선면을 이루어지게 하며, 이 절곡선단편에 기다란 커버판을 끼워 넣어 하나의 완전한 곡면을 이루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완전한 곡면 스크린 루바를 만들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값비싼 드로잉 기기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알루미늄 금속판의 선단을 절편의 형태로 잘게 잘라 구부려 주고, 절편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이루는 선단편에 커버판이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완전한 곡면을 이루는 알루미늄 스크린 루바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장식용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curved screen louver for decorating a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천정면 혹은 벽면을 장식할 때 사용하는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정이나 벽면에 부착된 알루미늄 스크린 루바의 실내 쪽을 향하는 면을 장식용 곡면으로 이룰 수 있게 한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지을 때 실내외의 천정 또는 벽면을 마감 처리하는데 여러 가지 수단을 사용할 수가 있지만, 통상 천정면 또는 벽면을 입체적이고 웅장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 스크린 루바(screen louver)를 많이 사용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루바(louver)라는 용어는 비교적 좁고 얇은 직육면체의 기다란 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만든 구조를 칭하는 것으로서, 격자 구조의 창이나 그릴 같은 곳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편, 스크린 루바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루바의 기본적인 구조를 건물의 천정면이나 벽면에 적용시킨 것을 구조물을 뜻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스크린 루바는 여러 개의 얇은 판자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는 구조적인 특징 때문에 바람이나 소음의 파동을 억제하여 바람과 소리가 전파되는 것을 막아줌과 더불어,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조명등이 직접 보이지 않게 하여 건물의 천정면이나 벽면이 세련되게 보이게 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등에서 비추어지는 불빛이 간접적으로 비추어지게 함으로써 실내의 분위기를 부드럽고 안락하게 만들 수가 있다는 점 등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필요가 있는 고급 호텔이나 갤러리 등과 같은 곳의 로비와 같은 곳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스크린 루바는 실내 장식을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는바, 이 때문에 성형성이 좋은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면 원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가 있다는 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재질 자체의 저급함으로 인하여 품격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화재에 약하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지 못하여 사용이 극히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비교적 성형성이 좋은 나무 재질을 사용하여 만드는 경우도 있는데, 나무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면 무게가 무거워 여러 개의 스크린 루버를 촘촘한 간격으로 건물의 천정면에 매달아 설치하기가 곤란하고, 이러한 나무 재질 역시 화재에 취약하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재료가 가벼우면서 다루기가 좋고 화재에도 비교적 강한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인데, 알루미늄 재질로 만든 스크린 루바는 얇은 알루미늄 판을 직사각형의 형태로 절곡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알루미늄판은 얇고 가볍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금속이기 때문에 성형성이 좋지 않아 통상적으로 그냥 일반적으로 좁고 기다란 직육면체의 단순한 형상으로만 만들어 사용한다.
즉, 도면 10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상태인 알루미늄 철판을 절곡하여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직육면체의 알루미늄 루바를 만들 때 벽면 또는 천정면에 설치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완전한 직육면체를 만들지 않고, 좁은 폭의 한쪽 측면은 완전하게 연결된 매끈한 평면인 완전면(101)을 이루게 하고, 반대쪽의 다른 한쪽 측면은 철판의 선단이 약간의 간격을 두고 만나는 불완전면(102)을 이루게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기다란 직육면체의 알루미늄 루바를 천장에 매달 때 완전면(101)이 실내 쪽을 향하게 하고, 철판의 절곡 선단이 위치하는 불완전면(102)은 천장 쪽으로 배치되게 하면서, 이 불완전면(102)에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행거 또는 연결구를 장착하여 천장의 프레임에 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 장식용 스크린 루바는 실내쪽을 향하고 있는 면을 평면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파형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 필요가 있는데, 알루미늄 재질로 만든 루바는 금속의 물리적 특성 때문에 절곡 성형하여 파형면을 만들기가 어려우므로, 통상적으로 평면인 완전면(101)이 실내쪽을 향하게 하여 평면이 전면을 이루게 하고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재질로 만든 루바로 스크린 루바를 만들면 평면적인 구조로 밖에 만들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 재질로 만든 스크린 루바의 노출면인 한쪽 면을 곡면 형태로 만든 것에 관한 선행기술은 전혀 없어 비교를 할 수가 없었다.
다만,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846145호의 "갤러리 창호"라는 발명에 루버를 곡면으로 한다는 내용이 게시되어 있기는 하나, 이 발명 내용은 기본적으로 직육면체로 이루어져 벽면에 설치하게 이루어진 스크린 루버에 관한 것이 아니고, 단지 갤러리 창호의 빛을 조절하는 루버가 곡면으로 되어 있다는 것에 관한 것이어서 기본적으로 이 출원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과 크게 다른 것이라 하겠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8-0010229호의 "조명등이 투시창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광등 루버"라는 발명이 있는바, 이 발명은 형광등 전구 불빛이 투시창에 반사되지 않게 하기 위해 형광등의 불빛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루버를 특이한 형상의 곡면으로 함으로써 그 효과를 높이게 한 것인바, 이러한 발명의 내용 역시 직육면체로 이루어져 벽면에 설치하게 이루어진 스크린 루버에 관한 것이 아니고, 단지 갤러리 창호의 빛을 조절하는 루버가 곡면으로 되어 있다는 것에 관한 것이어서 기본적으로 이 출원 발명과 크게 다른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이 출원 발명의 실제적인 내용과 같이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스크린 루버의 실내쪽을 향하는 면을 곡면으로 형성시킨 구조 또는 방법에 관한 선행기술은 찾아 볼 수가 없었다.
(특허문원1) 국내 특허등록 10-0846145 "갤러리 창호" 2008. 07. 14. 공고 (특허문원2) 국내 공개특허 10-2008-0010229 "조명등이 투시창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광등루버" 2008. 01. 30.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알루미늄 스크린 루바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만든 스크린 루바의 실내쪽을 향하는 한쪽 모서리 면이 다양한 곡선의 장식면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이 장식면의 곡선 표면을 매끈하게 꾸밀 수 있게 한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스크린 루바의 제조과정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면서 건물의 천정 또는 벽면체에 설치되는 설치면과, 설치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면서 실내쪽을 향하는 곡선의 장식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본체를 성형하는 본체 성형과정과,
상기 본체의 장식면에 결합되어 장식면을 매끈한 곡면으로 만들어 주는 커버판 성형과정 및,
상기 커버판을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완성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 성형과정은,
직사각형의 알루미늄 원판인 철판의 양쪽 측면 가장자리 일부를 성형하고자 하는 곡면 형상에 따라 그은 재단선을 따라 곡선으로 잘라 내는 곡선재단 단계와,
상기 곡선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양쪽 재단선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절곡선을 표시하고, 이 절곡선을 따라 일정 폭의 내측에 펀칭홈을 형성시켜 다수개의 절편을 형성시키는 절편형성단계와,
상기 절편형성과정에서 제거된 펀칭홈 사이 사이의 절편을 직각으로 절곡시켜 철판의 본체의 양쪽 측면 선단에 절곡 선단편을 형성시키는 절편 절곡단계와,
상기 절곡 선단편이 형성된 알루미늄 철판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성형하고자 하는 루바의 설치면 폭에 맞추어 2개의 성형 절곡선을 형성시키는 절곡선 작업단계와,
상기 2개의 절곡선 내부에 본체를 건물 천정의 엠버에 걸어 주기 위한 행거를 펀칭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펀칭 형성단계와,
상기 절곡선 작업과정에 맞추어 그어진 절곡선을 따라 알루미늄 철판의 중앙부를 절곡하여 천정에 설치하는 설치면과 장식을 위한 불연속적인 장식면을 갖춘 본체를 이루게 하는 절곡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판 성형과정은
직사각형의 알루미늄 철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절곡용 펀칭홈을 형성시키는 펀칭홈 형성단계와,
상기 펀칭홈이 형성된 알루미늄 철판의 양쪽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접어 오목레일이 형성되게 하는 레일홈 형성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판을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완성 과정은
상기 본체의 절곡 선단편을 커버판의 오목 레일홈 속에 끼워 장식면에 길이 전체에 커버판이 끼워지게 하여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장식면이 매끈한 곡면이 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의 본체 성형과정에서 절편형성단계와 절편 절곡단계를 하나의 과정으로 만들어 절편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이 절편을 절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값비싼 장비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금속 재질인 알루미늄 철판을 여러 가지 입체적 곡면으로 성형시킬 수가 있으므로,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진 곡면 스크린 루바를 저렴하면서 편리하게 생산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곡면 스크린 루바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스크린 루바를 제조하기 전인 알루미늄 원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원하는 바의 곡면을 이루게 하기 위한 곡선으로 자른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면 2과 같이 절단된 철판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선단편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면 3에와 같이 절단된 선단편을 직각으로 구부려 절곡 선단편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면 4의 과정을 통하여 절곡 선단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면 5의 과정에서 절곡 선단편이 형성된 평판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2줄의 절곡선을 긋고, 이 절곡선의 내부에 행거를 일체로 펀칭하여 형성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도면 6에서 표시한 2줄의 절곡선을 따라 직각으로 평판을 절곡하여 스크린 루바의 양쪽 설치면이 형성되게 하는 과정을 나타낸 본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성형시켜 만든 커버판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완성시킨 곡면 스크린 루바를 천정의 엠바에 걸어 고정한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종래의 일반적인 알루미늄 스크린 루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스크린 루바의 제조 방법에 따른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만들어지는 곡면 스크린 루바의 구조를 먼저 설명하여 전체적인 제조 과정을 좀 더 이해하기 쉽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만들어지는 곡면 스크린 루바는 도면 1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 판체로 만들어지면서 폭이 좁고 기다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천장 또는 벽면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결합되어 하나의 완전한 스크린 루바를 이루게 하는 커버판(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는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 부착되는 설치면(11)과, 이 설치면(11)의 반대쪽에 위치하면서 곡면으로 이루어져 여러 가지 장식 패턴을 나타내게 하는 장식면(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면(11)은 전체가 완전하게 연결된 통상의 일반적인 평면을 이루고, 그 반대쪽의 장식면(12)은 직육면체의 양쪽 측벽(13,14)의 아래쪽 선단에서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구부려져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양쪽의 절곡 선단편(15,16)과, 상기 양쪽 절곡 선단편(15,16)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형성하는 틈새(17)로 이루어진 불완전면으로 되어 있다.
이 출원 발명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상기한 바의 절곡 선단편(15,16)을 입체적인 곡면으로 만드는 것과, 이 절곡 선단편(15,16)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불완전면을 완전하게 연결시킴과 더불어 매끈한 곡선면의 장식면(12)을 만드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이러한 곡선면의 장식면(12)을 만드는 과정을 자세하게 살펴 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스크린 루바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면서 천정 또는 벽면체에 설치되는 설치면(11)과, 곡선의 장식면(12)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본체(1)를 성형하는 본체 성형과정과, 상기 본체(1)의 장식면(12)에 결합되어 장식면(12)을 매끈한 곡면으로 만들어 주는 커버판(2)을 성형하는 커버판 성형과정 및, 상기 커버판(2)을 본체(1)의 절곡 선단편(15,16)에 결합시키는 결합완성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 성형과정은 먼저 도면 2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은 일반적인 직사각형의 알루미늄 원판인 철판(31)의 양쪽 측면 가장자리 일부를 성형하고자 하는 곡면 형상에 따른 재단선(32)을 따라 잘라 곡선 재단단계로부터 시작한다.
상기 곡선재단 단계에서 재단된 양쪽 재단선(32)의 내측에 도면 3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절곡선(33)을 표시하고, 이 절곡선(33)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프레스 등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펀칭홈(33a)을 형성시키서 다수개의 절편(34)이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형성하는 펀칭홈(33a) 자체의 폭은 절편(34)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통상 2~3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절편(34) 하나의 폭은 15~20mm 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펀칭홈(33a)의 형성은 다음 과정에서 설명하는 절편(34)를 직각으로 구부릴 때 서로 이웃하는 절편(34)이 부딪혀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펀칭홈(33a)은 상기 재단선(32)의 굴곡이 심한 부분, 즉 급격하게 굴곡이 이루어지는 부분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편(34)의 폭의 크기는 전체 스크린 루바 자체의 장식면(12)이 얼마나 부드럽게 만들어지는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바, 이 절편(34)은 하나하나가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절편(34)의 폭을 너무 넓게 하면 장식면(12)이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되지 않고 거칠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절편(34)의 폭을 너무 좁게 하면 작업과정에서 다루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다음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내 바와 같이, 프레스와 컷터(35)를 사용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절편(34)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스크린 루바의 양쪽 측벽(13,14)의 선단에 절곡 선단편(15,16)이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절편(34)이 직각으로 꺾여지면 절곡 선단편(15,16)이 되는 것이다.
이때 절곡하는 양쪽 측벽(13,14)의 아래에 지지대(36)를 받쳐 놓아 컷터(35)가 절편(34)를 직각으로 잘 꺾여지게 할 수가 있다. 도면 5는 이렇게 절곡 선단편(15,16)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만들어지는 절곡 선단편(15,16)의 크기는 폭이 15~25mm이고, 돌출 부분의 길이가 3~5mm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 선단편(15,16)의 치수를 이보다 크게 하면, 절곡 선단편(15,16)을 전체적으로 곡선화하기가 어렵고, 최종단계에서 커버판(2)을 절곡 선단편(15,16)에 끼워 결합할 때 부드럽고 잘 끼워져 커버판(2)이 장식면(2)의 곡선을 따라 자유롭게 변형되면서 결합되게 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제시한 치수보다 작으면 성형하는 과정과 다루는 작업 과정에서 너무 치수가 작기 때문에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작업 능률로 크게 오르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 다음 도면 6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곡 선단편(15,16)이 완성된 알루미늄 철판(31)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도면 1에서의 설치면(11)을 형성시키기 위한 2개의 성형 절곡선(37, 38)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절곡선(37,38) 사이에 루바를 건물 천정에 설치된 엠바에 걸어 주기 위한 행거(18)를 펀칭하여 만들어 주는데, 이 행거(18)는 본체(1)의 설치면 일부를 펀칭하여 따내고 남은 나머지 일부가 걸림편(19)을 이루게 하여 구성되며, 상기 걸림편(19)이 설치면(11)과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상기 걸림편(19)을 사용하여 전체 스크린 루바를 걸어 줄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상기 절곡선(37,38)을 따라 알루미늄 철판(31)의 중앙부를 길이 방향으로 절곡 성형하면 도면 7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에 설치하는 완전한 연속면인 설치면(11)과 장식을 위한 불연속면인 장식면(12)을 갖춘 본체(1)가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판(2)을 만드는 성형과정은 도면 8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알루미늄 철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절곡용 펀칭홈(26)을 형성하고, 이 펀칭홈(26)이 형성된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안쪽으로 접어 오목한 레일홈(22,23)이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형성하는 펀칭홈(26)은 그 간격을 1~1.3mm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나의 펀칭홈(26)과 다음 펀칭홈(26) 사이의 간격은 10~15mm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커버판(2)을 본체(1)에 결합시키는 결합완성 과정은 상기 본체(1)의 아래쪽에 만들어진 양쪽 절곡 선단편(15, 16)이 커버판(2)의 오목 레일홈(22,23)속에 끼워 밀어 넣으면, 길이가 기다란 커버판(2)이 본체(1)의 장식면(12) 전체에 끼워지게 되어 이 발명에 따른 곡면 스크린 루바가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커버판(2)을 본체(1)의 절곡 선단편(15,16)속으로 밀어 넣을 때, 상기 펀칭홈(26))의 여유로 인해 기다란 커버판(2)의 부드럽게 곡선면(12)을 따라 굽혀지면서 삽입되어 커버판(2)이 본체(1)의 아래쪽에 곡면을 형성시키면서 뚫려 있는 부분을 막아 줌으로써 매끈하고 완전한 곡면 스크린 루바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에 커버판(2)을 끼워 결합시킨 다음에 필요에 따라 본체(1)의 내부에 롤러를 넣고, 커버판의 아래쪽에도 롤러를 배치하여, 커버판(2)의 양쪽에 구비된 플랜지(25)가 눌려져 완전하게 절곡 선단편(15,16)에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압착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압착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좀 더 완전한 형태의 스크린 루바를 얻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금속재인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면서 스크린 루바가 설치된 실내 쪽의 면은 원하는 바의 다양한 파도형과 같은 곡면을 이루게 하고, 그 표면도 매끈하고 깨끗한 알루미늄 고면 스크린 루바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1 - 본체 2 - 커버판
3 - 엠바 11 - 설치면
12 - 장식면 13, 14 - 측벽
15, 16 - 절곡선단편 17 - 틈새
18 - 행거 19 - 걸림편
19a - 펀칭홈 21- 바닥면
22,23 - 레일홈 24,25 - 플랜지
26 - 펀칭홈 31 - 알루미늄 원판
32 - 재단선 33 - 펀칭홈
34 - 절편 35 - 컷터
36 - 지지대 37, 38 - 절곡선

Claims (2)

  1.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면서 건물의 천정 또는 벽면체에 설치되는 설치면과, 곡선의 장식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본체를 성형하는 본체 성형과정과,
    상기 본체의 장식면에 결합되어 장식면을 매끈한 곡면으로 만들어 주는 커버판 성형과정 및,
    상기 커버판을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완성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본체 성형과정은
    직사각형의 알루미늄 원판인 철판의 양쪽 측면 가장자리 일부를 성형하고자 하는 곡면 형상에 따른 재단선을 따라 곡선으로 잘라 내는 곡선재단 단계와,
    상기 곡선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양쪽 재단선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절곡선을 표시하고, 이 절곡선을 따라 일정 폭의 내측에 펀칭홈을 형성시켜 다수개의 절편을 형성시키는 절편 형성단계와,
    상기 절편 형성과정에서 제거된 펀칭홈 사이 사이의 절편을 직각으로 절곡시켜 철판의 양쪽 곡면 선단에 절곡 선단편을 형성시키는 절편 절곡단계와,
    상기 절곡 선단편이 형성된 알루미늄 철판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성형하고자 하는 루바의 폭에 맞추어 2개의 성형 절곡선을 형성시키는 절곡선 작업단계와,
    상기 2개의 절곡선 내부에 본체를 건물 천정에 구비된 엠버에 걸어 주기 위한 행거를 펀칭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펀칭 형성단계와,
    상기 절곡선 작업단계에서 그어진 절곡선에 맞추어 알루미늄 철판의 중앙부를 절곡하여 천정에 설치하는 완전한 연속면인 설치면과, 장식을 위한 불연속면인 장식면을 갖춘 본체를 이루게 하는 절곡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판 성형과정은
    직사각형의 알루미늄 철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절곡용 펀칭홈을 형성시키는 펀칭홈 형성단계와,
    상기 펀칭홈이 형성된 알루미늄 철판의 양쪽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접어 오목레일이 형성되게 하는 레일홈 형성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판을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완성 과정은
    상기 본체의 절곡 선단편을 커버판의 오목 레일홈 속에 끼워 장식면에 길이 전체에 커버판이 끼워지게 하여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장식면이 매끈한 곡면이 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건물 장식용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바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커버판을 끼워 결합시킨 다음 본체의 내부에 롤러를 넣고, 커버판의 아래쪽에도 롤러를 배치하여, 커버판의 양쪽에 구비된 플랜지가 상기 롤러에 의해 완전하게 눌려져 절곡 선단편에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압착하는 공정이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장식용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바의 제조 방법
KR1020170096818A 2017-07-31 2017-07-31 건물 장식용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제조 방법 Active KR10182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18A KR101826239B1 (ko) 2017-07-31 2017-07-31 건물 장식용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18A KR101826239B1 (ko) 2017-07-31 2017-07-31 건물 장식용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239B1 true KR101826239B1 (ko) 2018-02-06

Family

ID=6122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818A Active KR101826239B1 (ko) 2017-07-31 2017-07-31 건물 장식용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23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8813B2 (en) Ceiling panel
CA2579978C (en) Muntin bar clip and muntin bar assembly
US20160069071A1 (en) Casing accessories
US2695430A (en) Luminous panel
CN105178497A (zh) 用于天花板格栅的夹持式挤压成形件
RU2005141507A (ru) Профильная направляющая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фильной направляющей
RU2001121083A (ru) Конструкция ограждения с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активным удалением влаги и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ой фасадов (варианты), Z-образный, П-образный и ступенчатые профили, нащельные планки (варианты), рейки (варианты) и профилированные металлические фасадные панели (варианты) для нее
US12331511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acoustic curved ceiling baff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1826239B1 (ko) 건물 장식용 곡면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제조 방법
KR101851194B1 (ko)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KR101772688B1 (ko) 건물 천정용 판넬
KR101564199B1 (ko) 천장재 이탈방지 마감몰딩
JP2021123848A (ja) 建築板
KR100348534B1 (ko) 건축용 복합판넬
CN205088892U (zh) 拉定件及设有该拉定件的天花板
CN112815278A (zh) 一种灯槽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07989240B (zh) 一种大截面大跨度遮阳百叶安装结构
CN220686629U (zh) 一种带灯光装饰的装配式转角件
KR200251411Y1 (ko) 천장 장식판
CN213806308U (zh) 一种集成墙板v缝金属拼接线
EP1439921B1 (en) Method and tool for providing convexities
CN214739489U (zh) 一种树脂吊顶板
CN204647981U (zh) 一种室内灯具
CN114687523B (zh) 不锈钢板的曲面定型装置、外墙装饰结构及其制作方法
JP2024116436A (ja) 有孔スクリーン構築用金属板製有孔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3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