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4680B1 - 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680B1
KR101824680B1 KR1020110081709A KR20110081709A KR101824680B1 KR 101824680 B1 KR101824680 B1 KR 101824680B1 KR 1020110081709 A KR1020110081709 A KR 1020110081709A KR 20110081709 A KR20110081709 A KR 20110081709A KR 101824680 B1 KR101824680 B1 KR 101824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airbag
inflated
guide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9627A (ko
Inventor
문건웅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6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6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승객간의 충돌 및 승객의 측면거동을 구속할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어 시트에 앉은 승객의 측면으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접혀져서 내측에 배치되고, 외측은 상기 시트의 프레임에 맞대어져서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연결되어, 팽창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서, 팽창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승객을 지지할 수 있도록 팽창된 상기 에어백 쿠션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장치{A SIDE 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간의 충돌 및 승객의 측면거동을 구속할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에어백은 차체 측면에 장착되어 승객의 측면을 보호해준다. 차량 사고시 에어백 쿠션이 유입된 가스에 의해 팽창되고, 그 팽창된 에어백 쿠션이 측면으로 거동되는 승객을 쿠션작용으로 보호해준다.
그런데, 상기 에어백 쿠션으로 1차 거동된 승객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쿠션력에 반작용되어 반대방향으로 2차 거동되면서, 옆자리의 승객에 부딪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승객간의 충돌로 인한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승객간의 충돌 및 승객의 측면거동을 구속할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어 시트에 앉은 승객의 측면으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접혀져서 내측에 배치되고, 외측은 상기 시트의 프레임에 맞대어져서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연결되어, 팽창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서, 팽창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승객을 지지할 수 있도록 팽창된 상기 에어백 쿠션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가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서,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지지하여 주기 때문에, 상기 팽창된 에어백 쿠션에 승객이 로딩되어도 상기 팽창된 에어백 쿠션이 상기 승객에 의해 밀리지 않고 상기 승객을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승객간의 충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팽창된 에어백 쿠션이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어, 승객의 측면 거동이 구속되기 때문에, 승객이 측면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승객이 정면 에어백의 올바른 위치에 로딩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시트에 장착된 상태의 작동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 및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시트에 장착된 상태의 작동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 및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10)과, 지지 플레이트(20)와, 가이드 플레이트(30)와, 에어백 하우징(40)을 포함한다.
에어백 쿠션(10)은 시트(60)의 측면에 장착되어 시트(60)에 앉은 승객의 측면으로 전개되어서 그 승객을 보호한다.
시트(60)는 승객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부와,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한다. 에어백 쿠션(10)은 시트(60)의 등받이부의 측면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물론, 에어백 쿠션(10)은 시트(60)의 착석부의 측면에 장착되어 위로 전개될 수도 있다.
에어백 쿠션(10)은 접혀져서 에어백 하우징(40)의 내측에 수납되어 배치되고, 에어백 하우징(40)의 외측은 시트(60)의 프레임(65)에 맞대어져서 프레임(65)에 체결된다.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50)가 삽입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는 인플레이터(50)와 결합되는 체결부재(55)가 삽입되고, 이 체결부재(55)가 에어백 쿠션(10) 및 에어백 하우징(40)을 차례로 관통하여 시트(60)의 프레임(65)에 체결됨으로서, 에어백 쿠션(10)은 시트(60)에 장착된다.
자동차 사고시에, 인플레이터(50)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 쿠션(10) 내로 유입되면 에어백 쿠션(10)은 팽창되면서 시트(6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에어백 쿠션(10)은 시트(60)의 측면에 장착되어, 승객간의 충돌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는 운전석시트가 배치되고, 그 운전석시트 옆에 조수석시트가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 쿠션(10)은 상기 운전석시트 중 상기 조수석시트를 향하는 측에 장착되거나, 상기 조수석시트 중 상기 운전석시트를 향하는 측에 장착되거나, 상기 운전석시트 중 상기 조수석시트를 향하는 측과 상기 조수석시트 중 상기 운전석시트를 향하는 측에 각각 장착되어서, 상기 운전석시트에 앉은 승객과 상기 조수석시트에 앉은 승객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0)은 팽창되어 시트(60)의 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시트(60)에 앉은 승객이 전개된 에어백 쿠션(10)에 로딩되면, 에어백 쿠션(10)은 그 승객의 하중에 의해 시트(60)의 외측으로 젖혀질려는 힘을 받게 된다.
에어백 쿠션(10)이 시트(60)의 외측으로 젖혀지지 않고 승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20)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10)을 지지하여서, 에어백 쿠션(10)이 승객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지 플레이트(20)가 팽창된 에어백 쿠션(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에어백 하우징(40)의 내측에는 가이드 플레이트(30)가 결합되고, 지지 플레이트(20)는 가이드 플레이트(3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에어백 쿠션(10)과 연결된다.
지지 플레이트(20)는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1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30)로부터 돌출되어서, 팽창된 에어백 쿠션(10)을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20)의 측면이 가이드 플레이트(30)의 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30)가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20)가 가이드 플레이트(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이 팽창될 때 지지 플레이트(20)는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1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30)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돌출된다.
지지 플레이트(20)는, 가이드 플레이트(30)의 내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지지부(22)와, 제1 지지부(22)의 내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지지부(24)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22)는 에어백 쿠션(10)과 연결되어서, 에어백 쿠션(10)이 팽창될 때 에어백 쿠션(1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지지 플레이트(20)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제2 지지부(24)도 에어백 쿠션(10)과 연결되어서, 에어백 쿠션(10)이 팽창될 때 에어백 쿠션(1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1 지지부(22)로부터 돌출된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20)는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 두 개 만으로 구성되지 않고, 가이드 플레이트(30)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에어백 쿠션(10)과 연결되어 에어백 쿠션(10)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구조라면, 세 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에어백 쿠션(10)에는 지지 플레이트(20)와 연결되는 이음부(15)가 형성된다. 이음부(15)에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홀과 결합될 수 있는 고리(미도시)가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에 각각 형성되어서,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는 에어백 쿠션(10)과 연결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0)이 에어백 하우징(40)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제1 지지부(22)가 지지 플레이트(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야 하고, 제2 지지부(24)가 제1 지지부(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야 하므로, 상기 고리는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 각각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되면 지지 플레이트(20)는, 시트(60)에 앉은 승객의 어깨와 접촉되는 에어백 쿠션(10)의 맞은편에 배치되어서, 에어백 쿠션(10)이 승객의 어깨에 의해 시트(60)의 외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에어백 쿠션(10)을 지지한다.
에어백 하우징(40)의 외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60)의 프레임(65)에 맞대어져서 프레임(65)에 체결된다.
에어백 하우징(40)은, 프레임(65)에 맞대어져서 프레임(65)에 체결되는 체결부(42)와, 체결부(42)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30)가 내측에 결합되는 플레이트결합부(44)와, 체결부(42)의 일단과 플레이트결합부(44)의 일단을 연결하여 체결부(42) 및 플레이트결합부(44)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46)를 포함한다.
체결부재(55)는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서 일측이 인플레이터(50)에 결합되고, 타측은 에어백 쿠션(10) 및 체결부(42)를 차례로 관통하여, 시트(60)의 프레임(65)에 체결된다.
에어백 쿠션(10)은 접혀져서 체결부(42) 및 플레이트결합부(4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차 사고가 발생되면, 에어백 쿠션(10)은 인플레이터(50)로부터 발생된 가스에 의해 팽창되어 승객(1)의 측면으로 전개되면서 시트(6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0)는 에어백 쿠션(1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30)로부터 돌출되어, 에어백 쿠션(10)이 시트(60)로부터 외측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승객(1)이 맞은편 시트(미도시)에 앉은 승객(미도시)을 향해 측면으로 이동되면서 에어백 쿠션(10)에 로딩되더라도, 에어백 쿠션(10)은 지지 플레이트(20)에 의해 지지되어, 맞은편 시트에 앉은 승객을 향해 젖혀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60)에 앉은 승객(1)이 에어백 쿠션(10)에 의해 지지되어 맞은편 시트에 앉은 승객을 향해 거동되지 않게 되어, 승객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팽창된 에어백 쿠션(10)이 지지 플레이트(20)에 의해 지지되어, 승객(1)의 측면 거동이 구속되기 때문에, 승객(1)이 측면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승객(1)이 정면 에어백의 올바른 위치에 로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에어백 쿠션 15: 이음부
20: 지지 플레이트 22: 제1 지지부
24: 제2 지지부 30: 가이드 플레이트
40: 에어백 하우징 42: 체결부
44: 플레이트결합부 46: 연결부
50: 인플레이터 55: 체결부재
60: 시트 65: 시트프레임

Claims (10)

  1.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어 시트에 앉은 승객의 측면으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접혀져서 내측에 배치되고, 외측은 상기 시트의 프레임에 맞대어져서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연결되어, 팽창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서, 팽창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승객을 지지할 수 있도록 팽창된 상기 에어백 쿠션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에 연결되어, 팽창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에 연결되어, 팽창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에 맞대어져서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플레이트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플레이터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 및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이음부가 형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부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결합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접혀져서 상기 체결부 및 플레이트결합부 사이에 수납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 하우징은 상기 체결부 및 플레이트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81709A 2011-08-17 2011-08-17 사이드 에어백 장치 Active KR101824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709A KR101824680B1 (ko) 2011-08-17 2011-08-17 사이드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709A KR101824680B1 (ko) 2011-08-17 2011-08-17 사이드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627A KR20130019627A (ko) 2013-02-27
KR101824680B1 true KR101824680B1 (ko) 2018-02-02

Family

ID=4789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709A Active KR101824680B1 (ko) 2011-08-17 2011-08-17 사이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659B1 (ko) 2016-07-28 2017-12-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641413B1 (ko) * 2019-01-08 2024-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거동제어 에어백장치
KR102167432B1 (ko) * 2019-01-16 2020-10-1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승객 구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4050A1 (en) * 2003-02-21 2004-09-02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unit
KR100599574B1 (ko) 2005-06-14 2006-07-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개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의 쿠션부 지지장치
JP2007230310A (ja) 2006-02-28 2007-09-13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9056836A (ja) * 2007-08-30 2009-03-19 Takata Corp 乗員拘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4050A1 (en) * 2003-02-21 2004-09-02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unit
KR100599574B1 (ko) 2005-06-14 2006-07-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개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의 쿠션부 지지장치
JP2007230310A (ja) 2006-02-28 2007-09-13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9056836A (ja) * 2007-08-30 2009-03-19 Takata Corp 乗員拘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627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1650B (zh) 用于车辆的气囊和相关的车辆
CN110126777B (zh) 用于车辆的中央帘式气囊
KR102476217B1 (ko) 에어백 장치
KR10108072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장치
EP3280620B1 (en) Airbag assemblies for vehicles with generous leg room
CN106687339B (zh) 驾乘人员约束装置
US11498512B2 (en) Airba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of a motor vehicle
CN111055800B (zh) 用于车辆的工作台的安全气囊
KR20120126647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9545893B2 (en) Far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CN104512369A (zh) 车辆
KR20230082657A (ko) 에어백 장치
CN111762121A (zh) 乘员保护装置
US20060175880A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2020066422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840173B2 (en) Removable vehicle seating
KR101824680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19123446A (ja) 車両用シート
KR20120118233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6537169B2 (ja) 乗員保護装置
JP2023014147A (ja) 乗物用シート
KR101697920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CN110871765B (zh) 气囊装置
JP2011121578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6512697B2 (ja) 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8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8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