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674B1 - Eco-friendly stone net using barbed anchor panel and u-shaped shackle, preventing a scouring of the slope of river and ford - Google Patents
Eco-friendly stone net using barbed anchor panel and u-shaped shackle, preventing a scouring of the slope of river and fo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4674B1 KR101824674B1 KR1020170063861A KR20170063861A KR101824674B1 KR 101824674 B1 KR101824674 B1 KR 101824674B1 KR 1020170063861 A KR1020170063861 A KR 1020170063861A KR 20170063861 A KR20170063861 A KR 20170063861A KR 101824674 B1 KR101824674 B1 KR 1018246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 panel
- anchor
- slope
- stone
- wire ne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9991 scour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971 till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108091006146 Channels Protein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02000010637 Aquapor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8010063290 Aquapor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82 man-made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3 craw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및 여울 사면의 세굴을 방지하는 미늘형 앵커판넬 및 U자형 샤클을 이용한 친환경 스톤네트에 관한 것으로서, 하천 및 여울의 천단부에서 기단부까지 사면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바닥철망부(10), 이와 적층되어 수중 식생 공간 및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식생토낭부(20) 및 사면에 수로 및 어도를 형성하는 석재부(30)를 포함하는 친환경 스톤네트에 있어서, 복수개의 타공형 유로부(41) 및 이의 절개 후 남아 있는 미늘(barb)이 절곡되어 형성된 미늘형 앵커부(42)를 포함하는 앵커판넬부(40), 그리고 상기 타공형 유로부(41)에 U자의 절곡부위가 연결되어지는 U자형 샤클부(51) 및 이의 양측단부를 고정결속 시키기 위한 샤클 고정부(52)를 포함하는 앵커판넬 고정부(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앵커판넬부(40)는 별도 공정이 없이 자연적으로 다수의 앵커 핀이 형성되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지면과의 결합력을 높여줌으로써 구조적으로 종래의 선형의 앵커 핀보다 안정적이고 시공 시 파손의 발생이 적어 경제적으로도 불량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stone net using a barbed anchor panel and a U-shaped shackle for preventing scouring of rivers and shallow slopes, and a bottom wire netting unit (10) installed across the entire slope from the root to the base end of the stream and sheath, , A vegetation tongue (20) stacked with the vegetation tongue (20) for providing habitat of aquatic vegetation space and fishes, and a stone part (30) forming a waterway and an island on a slope, wherein the plurality of pore- And an anchor panel part 40 having a barbed anchor part 42 formed by bending the remaining barb after the incision is cut and connected to the bending part of the U- And an anchor panel fixing portion 50 including a shank fixing portion 52 for fixedly fastening both side ends of the U-shaped shackle portion 51 and both end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chor panel part 40 has an effect of forming a plurality of anchor pins naturally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 and 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with the ground, it is more structurally stable than the conventional linear anchor pin There is little occurrence of breakage during construct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st due to poor construction can be economically re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천 및 여울 사면의 세굴을 방지하는 미늘형 앵커판넬 및 U자형 샤클을 이용한 친환경 스톤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및 여울의 천단부에서 기단부까지 사면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바닥철망부(10), 이와 적층되어 수중 식생 공간 및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식생토낭부(20) 및 사면에 수로 및 어도를 형성하는 석재부(30)를 포함하는 친환경 스톤네트에 있어서, 복수개의 타공형 유로부(41) 및 이의 절개 후 남아 있는 미늘(barb)이 절곡되어 형성된 미늘형 앵커부(42)를 포함하는 앵커판넬부(40), 그리고 상기 타공형 유로부(41)에 U자의 절곡부위가 연결되어지는 U자형 샤클부(51) 및 이의 양측단부를 고정결속 시키기 위한 샤클 고정부(52)를 포함하는 앵커판넬 고정부(50)로 구성되는 하천 및 여울 사면의 세굴을 방지하는 미늘형 앵커판넬 및 U자형 샤클을 이용한 친환경 스톤네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stone net using a barbed anchor panel and a U-shaped shackle for preventing scouring of rivers and shallow slopes, and more particularly, (10), a vegetation tongue (20) stacked on the vegetation tongue (20) for providing aquatic vegetation space and fish habitat, and a stone part (30) forming a waterway and an island on a slope, An
일반적으로 스톤네트는 철망의 상부에 다수개의 자연석을 고정하여 형성하며, 하천의 사면보호 및 생태환경 조성을 위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하상 바닥에 여울 보를 형성하여 하상 세굴방지 및 어도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친환경 구조물을 말한다.
In general, Stone net is formed by fixing a plurality of natural stones on the upper part of a wire net. It is installed for protecting the slope of the river and creating an ecological environment, or forming a beam on the bottom of the river bed, Structures.
상기 스톤네트는 보통 사면이나 여울의 바닥면에 설치되어지는데, 홍수시 급속한 유량의 유입으로 인해 유속이 증가하게 되면, 사면이나 여울의 바닥면에 설치된 스톤네트가 지면과 견고히 결합되지 못하여 유실되거나 말리는 형상이 발생하게 되어 하자 발생의 빈도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The stone nets are usu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slope or a shoe. When the flow rate is increased due to a rapid flow of the flood, the stone net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ope or the shoe are not firmly engaged with the ground,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defects occurs very frequently.
특히 유속으로 인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천단부와 기단부, 그리고 사면과 접하는 시점부에는 이러한 현상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비단 스톤네트 공법뿐만이 아니라 하천에 설치되는 공법의 대다수에서 존재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Especially, this phenomenon occurs intensively in the section of the ceiling, the base end, and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slope, which are directly affected by the flow velocity, 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exists in most of the construction methods installed in the river as well as in the stone- have.
이러한 종래의 공법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면과 일축방향의 선 형태로 앵커 핀을 설치하고 스톤네트 철망과 앵커 핀을 와이어로 묶어서 스톤네트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꾀하고 있으나, 앵커 핀을 지면에 삽입하기 위하여 장비로 앵커 핀의 상부를 타격하게 되는데, 이때 앵커 핀이 손상되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an anchor pin is provided in a line form uniaxially to the ground, and the stony net wire and the anchor pin are connected by wire to provid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tone net. However, The anchor pin is struck on the upper part of the anchor pin to insert the pin into the anchor pin, and the anchor pin is damaged.
또한 앵커 핀을 타격하여 시공 시 앵커 핀이 땅속으로 적정 깊이까지 들어갔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면에 자갈 등이 섞여있는 경우에는 앵커 핀이 땅속으로 들어가지 않아 그냥 묻어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nchor pin can not be visually confirmed whether the anchor pin has entered the ground to an appropriate depth when hitting the anchor pin, and when the gravel is mixed with the slope, the anchor pin does not enter the ground and is buried The problem still exists.
또한 구조적 안정을 위해서는 사면과 넓은 면적으로 흙과 최대한 접하여 토압을 강하게 하여 유속에 충분히 저항하여야하지만, 앵커 핀은 일축의 선 방향으로 시공되어 토압에 저항하는 힘이 다소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앵커 핀과 철망을 연결하는 와이어는 시공 시 장비나 돌에 의한 파손으로 인장력이 약화되어 연결부가 매우 위약하며, 이러한 취약점을 보강하기 위해 다수의 앵커핀을 과다하게 시공함에 따라 공사비 또한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Also, for structural stabilit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soil pressure to be as strong as possible by making the soil contact with the soil as much as possible with slopes and large area, but the anchor pin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uniaxial axis, and the force against the earth pressure is somewhat weak. In addition, the wire connecting the anchor pin and the wire net is severely damaged due to the weakening of the tensile force due to the breakage due to the equipment or the stone during construction,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due to excessive construction of the anchor pins in order to reinforce the weakness The problem still exists.
한편 여울에 시공되는 스톤네트 공법은 기존 보를 스톤네트로 시공하면서 여울 보의 기능과 어도의 기능을 동시에 수반하기 위하여 종종 시공되고 있으나, 종래의 공법은 어도가 별도로 확보되지 않아 갈수기에는 제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소상하는 물고기나 기어다는 종류의 생물이 원활하게 소통하기가 어려워 어도로서의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one net construction method which is applied to the shoal is often applied in order to carry out the function of the beam and the function of the island while constructing the existing beam stone net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a fish or a crawling type of living creature is difficult to communicate smoothly, and thus the function as an adult can not be performed perfectly.
이에 본 출원인은, 스톤네트가 사면 또는 하상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수중 생물의 생태계조성이 가능하도록 어도의 조성이 간편한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스톤네트 기술에 대해 고민하고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ntemplated an eco-friendly stonet technology of a new structure that is easy to construct in order to enable ecosystem composition of aquatic organisms to be able to be firmly fixed to slopes or bottoms of a river bed, and invented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및 여울의 천단부에서 기단부까지 사면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바닥철망부(10), 이와 적층되어 수중 식생 공간 및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식생토낭부(20) 및 사면에 수로 및 어도를 형성하는 석재부(30)를 포함하는 친환경 스톤네트에 있어서, 복수개의 타공형 유로부(41) 및 이의 절개 후 남아 있는 미늘(barb)이 절곡되어 형성된 미늘형 앵커부(42)를 포함하는 앵커판넬부(40), 그리고 상기 타공형 유로부(41)에 U자의 절곡부위가 연결되어지는 U자형 샤클부(51) 및 이의 양측단부를 고정결속 시키기 위한 샤클 고정부(52)를 포함하는 앵커판넬 고정부(50)로 구성되는 하천 및 여울 사면의 세굴을 방지하는 미늘형 앵커판넬 및 U자형 샤클을 이용한 친환경 스톤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botto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천 및 여울의 천단부에서 기단부까지 사면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홍수 또는 폭우 시 빠른 유속에 의한 사면의 세굴을 방지하는 바닥철망부(10); 상기 바닥철망부(10)와 하천 및 여울의 사면 사이에 적층되어져 수중 식생 공간 및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식생토낭부(20); 와셔 및 앵커를 통해 고정결합 하여 상기 바닥철망부(10)의 상부 다수 위치에 설치되어져 상기 바닥철망부(10)의 자중을 증대시키며 사면에 수로 및 어도를 형성하는 석재부(30);를 포함한 친환경 스톤네트에 있어서, 상기 스톤네트는 상기 바닥철망부(10)의 하측으로 하천 및 여울의 사면 내부에 매입설치 되어지며, 상기 사면 내부의 토양과 넓은 면적으로 접하도록 사각의 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져 터파기 시 상기 천단부 및 기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유속에 대한 스톤네트의 저항력을 증진하는 앵커판넬부(40); 및 상기 앵커판넬부(40)와 바닥철망부(10)를 결속시키기 위한 앵커판넬 고정부(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앵커판넬부(40)는 상기 앵커판넬 고정부(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사각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타공형 유로부(41)와, 상기 타공형 유로부(41)의 절개 후 남아 있는 미늘(barb)이 하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사면과 소정의 각을 이루어 절곡되는 미늘형 앵커부(42)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판넬 고정부(50)는 상기 앵커판넬부(40) 중 사면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타공형 유로부(41)에 U자의 절곡부위가 연결되어지는 U자형 샤클부(51)와, 상기 사면 상부로 돌출되어 바닥철망부(10)를 통과하는 U자형 샤클부(51)의 양측단부를 고정결속 시키기 위한 작은 철판으로 이루어진 샤클 고정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철망부(10)는 홍수, 폭우 시 빠른 유속에 의한 석재부(30)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바닥철망부(10)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끊어지거나 또는 교차된 와이어간의 결속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융아연도금으로 제작된 고장력 와이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movement of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생토낭부(20)는 씨앗 등 종자의 식생을 위한 흙이 내부에 충진 되며, 흙이 채워지는 종방향 너비만큼 개방된 입구의 일측단부(21a)가 길게 연장형성 되는 토낭(21); 토낭(21)의 연장형성 된 일측단부(21a)에 구비되어, 상기 토낭(21)의 입구로부터 흙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토낭(21)의 폐단부 방향으로 상기 일측단부(21a)를 잡아당기는 탄성로프(22); 상기 탄성로프(22)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로프(22)에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철망부(10)에 고정되어지는 걸이부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토낭(21)의 내부에 흙을 채운 상태에서 길게 연장형성 된 일측단부(21a)를 상기 토낭(21)의 폐단부 방향으로 잡아당겨 개방된 입구를 덮고, 상기 일측단부(21a)가 하천 및 여울의 사면과 면접하도록(면과 면이 맞닿도록) 상기 토낭(21)을 바닥에 눕힌 상태에서 상기 탄성로프(22)를 잡아당겨 장력을 가한 후, 상기 걸이부재(23)를 바닥철망부(10)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토낭(21)의 자중에 의해 상기 일측단부(21a)는 개방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탄성로프(22)에 가해진 장력이 상기 바닥철망부(10)를 하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석재부(30)에 의한 스톤네트의 고정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낭(21)의 상부면에는 식물의 씨앗을 저장할 수 있도록 부직포재질의 종자포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d pockets made of non-woven fabric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석재부(30)는 자연석 또는 가공석을 이용하여 지그재그(zigzag) 패턴으로 배치하여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석재부(30)는 바닥철망부(10)의 중앙부에 대해 좌우 양 측을 따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져 그 중앙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열을 이루어 수로형 어도부(6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수로형 어도부(60)는 어류의 이동경로가 ‘ㄹ’자의 평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복수개의 어도블록(61)이 좌우측 석재부(30)로부터 번갈아가며 연장설치 되어져 느린 유속 경로 및 어류의 쉼터 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공형 유로부(41)는 사면 내부 토양에 매입된 앵커판넬부(40)를 통과하는 지하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앵커판넬부(40)의 전체에 걸쳐 복수개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미늘형 앵커부(42)는 직선형 또는 반 U자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전부 상기 앵커판넬부(40)의 일측면으로부터만 절곡되거나 일측면 및 타측면으로부터 양 면을 번갈아가며 절곡되어 형성되어지며, 상기 절곡된 각도는 상기 앵커판넬부(40)와 30도 내지 60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홍수, 폭우 시 빠른 유속에 의해 상기 석재부(30)가 흔들림에 따라 상기 바닥철망부(10)가 느슨해진 경우, 상기 천단부 또는 기단부의 사면 내부 토양에 매입된 앵커판넬부(40)의 인장력이 보강해야 하는 수준인지 인장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력표시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력표시부(70)는 샤클 고정부(52) 상부면에 로드셀을 구비한 압력감지판(71)을 덧대고 그 위에 탄성가압 돌기판(72)을 적층하여 밀착시킨 후, 내부에 변형게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가압 돌기판(72)을 매개로 전달된 압력감지판(71)에 현재 가해진 무게 또는 인장력에 대해서 축방향 변형을 측정하여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압력표시판(73)을 그 상부면에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샤클 고정부(52)의 단부를 너트로 조여 고정결속 시킴으로써 상기 앵커판넬부(40)의 최초 인장상태를 체크하여 홍수, 폭우 시 상기 변형게이지가 줄어든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es " or " hav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및 여울 사면의 세굴을 방지하는 미늘형 앵커판넬 및 U자형 샤클을 이용한 친환경 스톤네트는 종래기술 대비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The eco-friendly stone net using the barbed anchor panel and the U-shaped shackle to prevent scouring of the river and shallow s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첫째, 본 발명의 앵커판넬부(40)는 별도 공정이 없이 자연적으로 다수의 앵커 핀이 형성되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지면과의 결합력을 높여줌으로써 구조적으로 종래의 선형의 앵커 핀보다 안정적이고 시공 시 파손의 발생이 적어 경제적으로도 불량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First, the
둘째, 스톤네트의 천단부 및 기단부 등 양 시점부에 시공되어지고 스톤네트를 설치하기 위한 토공사의 터파기 시 앵커판넬부(40)의 설치를 같이 할 수 있어 별도의 복잡한 공정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Secon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스톤네트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식생토낭부 및 앵커판넬부를 확대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수로형 어도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식생토낭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판넬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판넬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판넬 고정부를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표시부를 도시한 참고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tone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vegetation cover part and the anchor panel part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water-channel type air conditioner of Fig. 1,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vegetative crow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nchor pan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nchor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anchor panel fix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tens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스톤네트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식생토낭부 및 앵커판넬부를 확대도시한 측면도이다.
FIG. 1 is a side view of an eco-friendly stone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vegetation earthen part and the anchor panel part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스톤네트는 기본적으로 바닥철망부(10)와 식생토낭부(20)와 석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an eco-friendly stone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bottom
상기 바닥철망부(10), 식생토낭부(20), 석재부(30)는 종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술에 기초하므로 이의 제원 및 기본적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과제를 해결하도록 구성되어진다.
Since the bottom
먼저, 바닥철망부(10)는 하천 및 여울의 천단부에서 기단부까지 사면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홍수 또는 폭우 시 빠른 유속에 의한 사면의 세굴을 방지한다.
First, the bottom
이때, 홍수 또는 폭우 시 빠른 유속이 발생하게 되면, 물의 흐름에 부딪힌 석재부(30)는 조금씩 움직이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바닥철망부(10)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끊어지거나 또는 교차된 와이어간의 결속이 느슨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융아연도금으로 제작된 고장력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철망부(10)를 형성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At this time, when a fast flow rate occurs in the event of flood or heavy rain, the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가장 바깥의 틀을 형성하는 외곽철망은 6mm 용융아연도금철선을 사용하여 단위규격의 스톤네트 프레임을 제작하고, 안쪽에는 4mm 용융아연도금철선을 사용하여 내부철망을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most wire mesh forming the outermost frame is made of a 6 mm hot-dip galvanized iron wire, and a 4 mm hot-dip galvanized iron wire is used inside An inner wire mesh can be formed.
상기에서 예로 설명한 철선의 직경은 현장의 여건 또는 해당 설치지역의 평균유속 내지 연중 최대유속을 고려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용융아연도금철선을 사용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에 그 외 스톤네트의 규격을 변경하거나 외곽철망 및 내부철망의 직경을 동일 또는 달리하는 등 여타 형상적인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모두 균등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The diameter of the wire described in the above example can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s of the site or the average flow rate or the maximum flow rate during the year, and it is essential to use the hot-dip galvanized wire. Therefore, Other geometric variations, such as the diameters of the wire mesh and the inner wire mesh being the same or different, should all be regarded as equivalen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식생토낭부(20)는 상기 바닥철망부(10)와 하천 및 여울의 사면 사이에 적층되어져 수중 식생 공간 및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한다.
Next, th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식생토낭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vegetative wa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식생토낭부(20)는 다시 토낭(21)과 탄성로프(22) 및 걸이부재(23)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먼저, 토낭(21)은 씨앗 등 종자의 식생을 위한 흙이 내부에 충진 되며, 흙이 채워지는 종방향 너비만큼 개방된 입구의 일측단부(21a)가 길게 연장형성 된다.
First, the
즉, 상기 개방된 입구는 높이가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철망부(10)와 면접하는 일측면의 단부는 하천 및 여울의 사면과 맞닿는 타측면의 단부보다 훨씬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That is, the open mouth is not formed in a circle having the same height, but an end of one sid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wire netting 10 is formed much longer than the end of the other side in contact with the slope of the river and the heel.
이때, 상기 일측단부(21a)의 길이는 상기 토낭(21)의 종방향 너비와 동일하거나 약간 짧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one
그리고, 탄성로프(22)는 토낭(21)의 연장형성 된 일측단부(21a)에 구비되어, 상기 토낭(21)의 입구로부터 흙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토낭(21)의 폐단부 방향으로 상기 일측단부(21a)를 잡아당긴다.
The
즉, 상기 탄성로프(22)는 길게 연장형성 된 일측단부(21a)가 헐렁하게 늘어지지 않도록 팽팽하게 당기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마지막으로, 걸이부재(23)는 상기 탄성로프(22)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로프(22)에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철망부(10)에 고정되어진다.
Lastly, the hook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식생토낭부(20)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바닥철망부(10)와 하천 및 여울의 사면 사이에 적층되어짐으로써 스톤네트의 고정을 보강하게 된다.
The
먼저, 토낭(21)의 내부에 흙을 채운 상태에서 길게 연장형성 된 일측단부(21a)를 상기 토낭(21)의 폐단부 방향, 즉 토낭(21)의 하단으로 잡아당겨 개방된 입구를 덮는다.
First, one
이때, 상기 일측단부(21a)는 토낭(21)의 종방향 너비와 동일하거나 조금 짧게 형성되는 만큼, 흙이 채워진 토낭(21)의 굴곡을 따라 끝부분보다는 모자라게 일측면을 감싸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one
그리고, 상기 일측단부(21a)가 하천 및 여울의 사면과 면접하도록(면과 면이 맞닿도록) 상기 토낭(21)을 바닥에 눕힌 상태에서 상기 탄성로프(22)를 잡아당겨 장력을 가한다.
Then, the
즉, 상기 일측단부(21a)가 토낭(21)의 개방된 입구가 덮히도록 일측면을 감싸 눕혀지게 되므로 내부에 충진된 흙은 유실되어지지 않고 더욱이 토낭(21)의 무게에 의해 1차적으로 상기 입구부분이 헐렁해지거나 느슨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one
그리고, 2차적으로 상기 일측단부(21a)의 끝부분에 구비된 탄성로프(22)를 상기 토낭(21)의 하단부로 더 잡아당김으로써 그 장력에 의해 상기 일측단부(21a)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한다.
Secondarily, th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재(23)를 바닥철망부(10)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토낭(21)의 자중에 의해 상기 일측단부(21a)는 개방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탄성로프(22)에 가해진 장력이 상기 바닥철망부(10)를 하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이다.
In this state, by fixing the hooking
한편, 상기 토낭(21)의 상부면에는 식물의 씨앗을 저장할 수 있도록 부직포재질의 종자포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종자포켓 내부에 해당 설치지역의 식생환경 및 조경에 어울리는 종자를 선택적으로 채울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eed pockets made of non-woven material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더욱이, 상기 종자는 종자포켓의 하측으로는 뿌리를 내려 하천 및 여울의 사면 방향으로 뻗어나가고, 종자포켓의 상측으로는 줄기와 잎이 자라나감에 따라 석재부(30) 사이사이에 자연스런 식생이 이루어지고 또한 종래 기술의 식생부가 별도로 심어져 스톤네트와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장점이 있다.
Furthermore, the seeds extend downward to the lower side of the seed pocket and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slopes of the rivers and shoals, and at the upper side of the seed pockets, natural vegetation is formed between the
다음으로, 석재부(30)는 와셔 및 앵커를 통해 고정결합 하여 상기 바닥철망부(10)의 상부 다수 위치에 설치되어져 상기 바닥철망부(10)의 자중을 증대시키며 사면에 수로 및 어도를 형성한다.
Next, the
이때, 상기 석재부(30)는 자연석 또는 가공석을 이용하여 지그재그(zigzag) 패턴으로 배치하여 설치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기능과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석재부(30)를 삼각형 배열, 바둑판 배열, 랜덤 배열 등 시공 현장의 상황에 맞게 배치하는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The
한편, 도 3은 도 1의 수로형 어도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FIG. 3 is a plan view of the water-rope-shaped body of FIG. 1 enlarg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석재부(30)는 바닥철망부(10)의 중앙부에 대해 좌우 양 측을 따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져 그 중앙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열을 이루어 수로형 어도부(60)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3, the
즉, 시공자는 석재부(30)를 바닥철망부(10) 상부에 빽빽이 채워 스톤네트를 조성하는 것이 아닌, 상기 바닥철망부(10)의 중앙에 일렬로 빈 공간이 만들어지도록 상기 빈 공간의 좌우측으로만 석재부(30)를 배치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structor does not form the stone net by filling the
이에 따라, 상기 좌우측 석재부(30) 사이 중앙에는 장애물이 전혀 없어 다른 공간보다 유속이 빠른 유로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Accordingly, there is no obstacle at the center between the left and
한편, 상기 수로형 어도부(60)는 어류의 이동경로가 ‘ㄹ’자의 평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복수개의 어도블록(61)이 좌우측 석재부(30)로부터 번갈아가며 연장설치 되도록 한다.
Meanwhile, the water channel type
여기서 상기 어도블록(61)은 콘크리트 제품으로 프리캐스트 제작되어진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며 그 형상과 사이즈에 제한을 두진 않는다.
Here, the above-mentioned
다만,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어도블록(61)을 평단면에서 봤을 때 상기 어로가 ‘ㄹ’자 형상으로 보이도록 길목마다 배치함으로써, 어류들이 서로 충분히 소통할 수 있을 정도의 느린 유속의 경로를 형성하고 또한 쉼터 공간을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fish blocks 61 are viewed from a flat cross-section, the fishes are arranged along the path so as to be seen in the form of an "e" shape, thereby forming a path of a slow flow velocity And also create a shelter space.
상기에서는 ‘ㄹ’자 형상으로 수로형 어도부(60)의 평단면 형상을 설명하였으나, 전체 어도 구간의 길이에 따라 굽이진 길목을 더 추가하거나 그 형상을 변형하는 것은 스톤네트 중앙에 수로형 어도를 형성하는 기술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상기에서 설명한 수로형 어도부(60)의 일실시예 이외에도, 상기 복수개의 어도블록(61)은 계단식 어도 또는 도벽식(rock-ramp) 어도의 구조로 배치되어질 수도 있으며 나아가 노치(notch) 형으로도 변형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channel-type air-
추가적으로, 상기 수로형 어도부(60)의 하부에는 잠공을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provide a pneumatic movemen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channel type air-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판넬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판넬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판넬 고정부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nch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nchor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앵커판넬부(40)와 앵커판넬 고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 to 8,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상기 앵커판넬부(40)는 상기 바닥철망부(10)의 하측으로 하천 및 여울의 사면 내부에 매입설치 되어지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사면 내부의 토양과 넓은 면적으로 접하도록 사각의 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Here, the
그리고, 스톤네트의 토공사 터파기 시에 하천, 여울 등의 천단부 및 기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유속에 대한 스톤네트의 저항력을 증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at the time of destroying the earth soil of the stone net, it is installed at the ceiling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of the river, the shoelace, etc., and plays a role of enhancing the resistance of the stone net to the flow velocity.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판넬부(40)는 타공형 유로부(41)와 미늘형 앵커부(42)를 포함하며, 상기 타공형 유로부(41)는 상기 앵커판넬 고정부(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사각으로 절개하여 형성되어지고, 상기 미늘형 앵커부(42)는 상기 타공형 유로부(41)의 절개 후 남아 있는 미늘(barb)이 하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사면과 소정의 각을 이루어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The
이때, 상기 타공형 유로부(41)는 사면 내부 토양에 매입된 앵커판넬부(40)를 통과하는 지하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앵커판넬부(40)의 전체에 걸쳐 복수개 위치에 형성되어진다.
At this time, the perforated
즉, 만약 본 발명에 따른 타공형 유로부(41)가 앵커판넬부(40) 상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사면 내부에서 흐르는 지하수는 넓은 면적으로 매입된 앵커판넬부(40)를 통과하지 못하고 그 전체를 우회하여 지나가야 하므로 그 외곽 경로를 따라 세굴이 발생된다.
That is, if the perforated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긴 우회로 대신 앵커판넬부(40) 상의 곳곳의 위치에 타공형 유로부(41)를 형성함으로써, 분산된 짧은 유로를 따라 지하수가 통과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면 내부 토양의 세굴은 방지하되 앵커로서의 기능은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으로, 상기 미늘형 앵커부(42)는 직선형 또는 반 U자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전부 상기 앵커판넬부(40)의 일측면으로부터만 절곡되거나 일측면 및 타측면으로부터 양 면을 번갈아가며 절곡되어 형성되어진다.
Next, the
즉, 상기 앵커판넬부(40)는 먼저 복수개의 소정 위치에 부분적인 절개를 가하여 타공형 유로부(41)를 형성하고, 절개되지 않은 모서리를 기준선으로 하여 일측면 방향 또는 타측면 방향으로 미늘(barb)을 직선형 내지 곡선형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미늘형 앵커부(42)를 제작하는 것이다.
That is, the
이외에도, 상기 미늘(barb)에 좀 더 복잡한 형상을 가하는 방법도 가능하나, 앵커판넬부(40)를 제작하는데 투입되는 시간 및 인력을 고려할 때 그 형상에 변화를 가하는 것 보다는 상기 미늘형 앵커부(42)의 절곡되는 각도를 변형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more complicated shape to the barb, but rather than to change the shape of the
이때, 상기 절곡된 각도는 상기 앵커판넬부(40)와 30도 내지 60도를 이루는 것이 빠른 유속에 대한 스톤네트의 저항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나, 생커판넬부(40)가 설치되는 사면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각도범위를 벗어나도록 미늘형 앵커부(42)를 절곡하여 사용하는 것 또한 미늘형 앵커판넬 기술이 적용된다는 측면에서 본 발명의 보호범주라고 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bent angle of 30 ° to 60 ° with the
다음으로, 앵커판넬 고정부(50)는 상기 앵커판넬부(40)와 바닥철망부(10)를 서로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Next, the anchor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판넬 고정부(50)는 U자형 샤클부(51)와 샤클 고정부(52)로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anchor
먼저, U자형 샤클부(51)는 상기 앵커판넬부(40) 중 사면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타공형 유로부(41)에 U자의 절곡부위가 연결되어지는 구성요소이다.
First, the
다음으로, 상기 샤클 고정부(52)는 상기 사면 상부로 돌출되어 바닥철망부(10)를 통과하는 U자형 샤클부(51)의 양측단부를 고정결속 시키기 위한 작은 철판으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The
즉, U자형 샤클부(51)를 사면 내부 토양에 매입된 앵커판넬부(40)에 걸은 후 바닥철망부(10)를 통과시키고, 사면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U자형 샤클부(51)의 양측단부를 상기 바닥철망부(10)의 상측으로 위치시키고 샤클 고정부(52)를 관통시켜 너트 등을 이용하여 단단히 결속시키게 된다.
That is, the
이로 인해, 가장 밑에서부터 U자형 샤클부(51)의 절곡부 - 앵커판넬부(40) - 바닥철망부(10) - 샤클 고정부(52) 순으로 안정적으로 연결되어짐으로써, 전체 스톤네트의 인장강도는 증진되고 분리 파손 위험은 감소되어진다.
Thus, the bending portion-
즉, 앵커판넬부(40)는 미늘(barb)이 구비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면 내부의 토양과 가장 넓은 면적으로 면접하여 유속에 저항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U자형 샤클부(51)를 이용하여 앵커판넬부(40) 및 바닥철망부(10)를 단단히 결속시킴으로써 전체 스톤네트의 세굴을 방지하도록 한 구조적으로 안정한 공법이라고 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표시부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9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tens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홍수, 폭우 시 빠른 유속에 의해 상기 석재부(30)가 흔들림에 따라 상기 바닥철망부(10)가 느슨해진 경우, 상기 천단부 또는 기단부의 사면 내부 토양에 매입된 앵커판넬부(40)의 인장력이 보강해야 하는 수준인지 인장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력표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상기 장력표시부(70)는 스톤네트 설치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앵커판넬부(40)의 저항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인장력이 가해진 사면 내부 토양이 점점 약해지게 되어 상기 앵커판넬부(40)가 사면 방향으로 상승될 경우, 이를 점검자가 확인토록 하여 보수 또는 보강할 수 있도록 조치하기 위함이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장력표시부(70)는 압력감지판(71)과 탄성가압 돌기판(72) 및 압력표시판(73)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이때, U자형 샤클부(51)의 양측단부가 관통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압력감지판(71), 탄성가압 돌기판(72), 압력표시판(73)의 소정의 위치에는 관통홀이 구비되며, 그 위치는 샤클 고정부(52)의 관통홀의 위치와 대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rough-holes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먼저, 상기 압력감지판(71)은 내부에 로드셀을 구비하며 강한 인장력에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인장강도를 가진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the
상기 압력감지판(71)은 샤클 고정부(52) 상부면에 가장 먼저 적층되어지고, 다시 그 상부면에는 탄성소재로 제작되며 밀착된 타 부재에 가해진 압력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가압 돌기판(72)이 적층되어진다.
The
상기 탄성가압 돌기판(72)은 하기에서 서술하는 압력표시판(73)과 상기 압력감지판(71)의 사이에서 완충 기능을 수행하여 양 부재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압력전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elastic
다음으로, 압력표시판(73)은 내부에 변형게이지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가압 돌기판(72)을 매개로 전달된 압력감지판(71)에 현재 가해진 무게 또는 인장력에 대해서 축방향 변형을 측정하여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부재이다.
Next, the
상기 압력표시판(73)은 다시 상기 탄성가압 돌기판(72)의 상부면에 밀착하여 적층되어지며,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샤클 고정부(52)의 단부를 너트로 조여 단단히 고정결속 시킴으로써 인장력이 가해진 스톤네트 최초 설치상태에 놓이게 된다.
The
이때의 앵커판넬부(40)의 최초 인장상태, 즉 압력표시판(73) 내부의 변형게이지를 체크하여 기록해두고, 홍수, 폭우 시 비가 전부 그치고 나면 상기 변형게이지를 확인하여 최초 인장상태와 비교하여 줄어든 정도를 통해, 하천 및 여울의 천단부 또는 기단부 사면 내부 토양에 매입된 앵커판넬부(40)의 인장력이 이전 강우로 인해 보강해야 하는 수준인지 아닌지 변형된 인장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initial tension state of the
따라서, 점검자 또는 시공확인자는 큰 강우가 있은 후 상기 장력표시부(70)를 확인함으로써 기준치 이상의 인장력이 매입된 앵커판넬부(40)에 유지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톤네트의 보수 또는 보강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spector or the construction inspector can determine whether the tensile force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is retained in the
또한, 상기 장력표시부(70)는 손쉽게 제작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스톤네트의 설치에서부터 사후관리까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Also, since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바닥철망부 20 : 식생토낭부
30 : 석재부 40 : 앵커판넬부
50 : 앵커판넬 고정부 60 : 수로형 어도부
70 : 장력표시부10: bottom wire mesh part 20:
30: Stone part 40: Anchor panel part
50: anchor panel fixing part 60:
70:
Claims (8)
상기 바닥철망부(10)와 하천 및 여울의 사면 사이에 적층되어져 수중 식생 공간 및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식생토낭부(20);
와셔 및 앵커를 통해 고정결합 하여 상기 바닥철망부(10)의 상부 다수 위치에 설치되어져 상기 바닥철망부(10)의 자중을 증대시키며 사면에 수로 및 어도를 형성하는 석재부(30);
상기 바닥철망부(10)의 하측으로 하천 및 여울의 사면 내부에 매입설치 되어지며, 상기 사면 내부의 토양과 넓은 면적으로 접하도록 사각의 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져 터파기 시 상기 천단부 및 기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유속에 대한 스톤네트의 저항력을 증진하는 앵커판넬부(40);
상기 앵커판넬부(40)와 바닥철망부(10)를 결속시키기 위한 앵커판넬 고정부(50);
바닥철망부(10)의 중앙부에 대해 좌우 양 측을 따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져, 그 중앙에 소정의 폭을 가지는 열을 이루어 느린 유속 경로 및 어류의 쉼터 공간을 조성하는 수로형 어도부(60);를 포함한 친환경 스톤네트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스톤네트는
홍수, 폭우 시 빠른 유속에 의해 상기 석재부(30)가 흔들림에 따라 상기 바닥철망부(10)가 느슨해진 경우, 상기 천단부 또는 기단부의 사면 내부 토양에 매입된 앵커판넬부(40)의 인장력이 보강해야 하는 수준인지 인장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력표시부(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앵커판넬부(40)는
상기 앵커판넬 고정부(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사각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타공형 유로부(41);
상기 타공형 유로부(41)의 절개 후 남아 있는 미늘(barb)이 하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사면과 소정의 각을 이루어 절곡되는 미늘형 앵커부(42);를 포함하되,
상기 타공형 유로부(41)는 사면 내부 토양에 매입된 앵커판넬부(40)를 통과하는 지하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앵커판넬부(40)의 전체에 걸쳐 복수개 위치에 형성되어지고,
상기 미늘형 앵커부(42)는 직선형 또는 반 U자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전부 상기 앵커판넬부(40)의 일측면으로부터만 절곡되거나 일측면 및 타측면으로부터 양 면을 번갈아가며 상기 앵커판넬부(40)와 30도 내지 60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지며,
상기 앵커판넬 고정부(50)는
상기 앵커판넬부(40) 중 사면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타공형 유로부(41)에 U자의 절곡부위가 연결되어지는 U자형 샤클부(51);
상기 사면 상부로 돌출되어 바닥철망부(10)를 통과하는 U자형 샤클부(51)의 양측단부를 고정결속 시키기 위한 작은 철판으로 이루어진 샤클 고정부(52);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표시부(70)는
샤클 고정부(52) 상부면에 로드셀을 구비한 압력감지판(71)을 덧대고 그 위에 탄성가압 돌기판(72)을 적층하여 밀착시킨 후,
내부에 변형게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가압 돌기판(72)을 매개로 전달된 압력감지판(71)에 현재 가해진 무게 또는 인장력에 대해서 축방향 변형을 측정하여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압력표시판(73)을 그 상부면에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샤클 고정부(52)의 단부를 너트로 조여 고정결속 시킴으로써 상기 앵커판넬부(40)의 최초 인장상태를 체크하여 홍수, 폭우 시 상기 변형게이지가 줄어든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여울 사면의 세굴을 방지하는 미늘형 앵커판넬 및 U자형 샤클을 이용한 친환경 스톤네트.
A bottom wire mesh part 10 installed over the entire slope from the ceiling to the base of the stream and the shoehorn to prevent scouring of the slope due to a rapid flow rate in case of flood or heavy rain;
A vegetation tillage part 20 laminated between the bottom wire netting part 10 and slopes of a river and a shoal for providing aquatic vegetation space and fish habitat;
A stone part 30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bove the bottom wire netting part 10 by being fixedly coupled through washers and anchors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bottom wire netting part 10 and form a waterway and an island on a slope;
The bottom of the bottom wire netting unit 10 is embedded in the slope of the river and the bottom of the shovel, and has a rectangular panel shape so as to contact with the soil inside the slope. An anchor panel portion 40 for enhancing the resistance of the stone net to the flow velocity;
Anchor panel fixing part 50 for connecting the anchor panel part 40 and the bottom wire netting part 10;
A water channel type air conditioner 6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wire netting unit 10 so as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forming a slow flow path and a shelter space for the fish by forming a hea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t the center thereof; Wherei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stone net comprises
When the floor portion 10 is loosened due to the swinging of the stone portion 30 due to a rapid flow rate in the event of flooding or heavy rain, the tensile force of the anchor panel portion 40 embedded in the soil inside the slope of the ceiling portion or the base end portion And a tension display unit (70) for confirming the state of the tensile force to be reinforced,
The anchor panel portion 40
A perforated channel portion 41 cut out in a square shap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anchor panel fixing portion 50;
And a barbed anchor part (42), wherein the barb remaining after the incision of the perforated channel part (41)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lower edge from the lower edge,
The perforated flow path portion 41 is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throughout the anchor panel portion 40 so that the groundwater passing through the anchor panel portion 40 embedded in the slope inner soil can be easily discharged,
The barbed anchor portion 42 may have a straight or semi-U-shaped curved shape and may be bent only from one side of the anchor panel portion 40 or alternate between the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anchor panel portion 40 ) To 30 degrees to 60 degrees,
The anchor panel fixing part (50)
A U-shaped shackle portion 51 to which a bent portion of a U-shape is connected to a perforated flow path portion 41 formed at a position closest to the oblique surface of the anchor panel portion 40;
And a shackle fixing part (52) made of a small iron plate for fixing the both ends of the U-shaped shackle part (51) protruded above the slope surface and passing through the bottom wire netting part (10)
The tension display part (70)
A pressure sensing plate 71 having a load cell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haky tube fixing unit 52 and the elastic pressing stone substrate 72 is laminated on the pressure sensing plate 72,
A pressure display plate 71 having a strain gauge inside thereof and measuring an axial strain with respect to a weight or a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ing plate 71 via the elastic pressing stone substrate 72, (73) is provided on its upper surface,
And the initial tension state of the anchor panel section (40) is checked by fixing the end of the shakla fixing section (52) by tightening with a nut so as to confirm the degree of reduction of the strain gauge at the time of flood and heavy rain. And an eco-friendly stone net with a barbed anchor panel and a U-shaped shackle to prevent scouring of the shallow slope.
상기 바닥철망부(10)는
홍수, 폭우 시 빠른 유속에 의한 석재부(30)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바닥철망부(10)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끊어지거나,
또는 교차된 와이어간의 결속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융아연도금으로 제작된 고장력 와이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여울 사면의 세굴을 방지하는 미늘형 앵커판넬 및 U자형 샤클을 이용한 친환경 스톤네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wire netting portion 10
Even if a movement of the stone part 30 occurs due to a rapid flow rate in the event of flooding or heavy rain, the wire constituting the bottom wire netting part 10 is broken,
And a high-tension wire made of hot-dip galvanized steel is used to prevent loosening of the bond between the crossed wires. The steel wire anchor panel for preventing scouring of the river and shallow slope and the eco- Stone N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024168 | 2017-02-23 | ||
KR1020170024168 | 2017-02-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4674B1 true KR101824674B1 (en) | 2018-02-01 |
Family
ID=6123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3861A Active KR101824674B1 (en) | 2017-02-23 | 2017-05-24 | Eco-friendly stone net using barbed anchor panel and u-shaped shackle, preventing a scouring of the slope of river and fo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467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81253B1 (en) * | 2023-12-07 | 2025-03-12 | 김희운 | Stone net system that meets anti-rolling and flexibility through supporting modu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7248B1 (en) * | 2009-09-09 | 2010-03-11 | 주식회사 석송 | A stone structure for the protection of slop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1649454B1 (en) * | 2015-12-24 | 2016-08-18 | (주) 일신네이쳐 | Fishway with biological habitat by use of eco-friendly gabion |
KR101665563B1 (en) * | 2015-11-06 | 2016-10-12 | 주식회사 청솔엔지니어링 | Eco-friendly vegetation soil-bag baske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
2017
- 2017-05-24 KR KR1020170063861A patent/KR10182467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7248B1 (en) * | 2009-09-09 | 2010-03-11 | 주식회사 석송 | A stone structure for the protection of slop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1665563B1 (en) * | 2015-11-06 | 2016-10-12 | 주식회사 청솔엔지니어링 | Eco-friendly vegetation soil-bag baske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KR101649454B1 (en) * | 2015-12-24 | 2016-08-18 | (주) 일신네이쳐 | Fishway with biological habitat by use of eco-friendly gab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81253B1 (en) * | 2023-12-07 | 2025-03-12 | 김희운 | Stone net system that meets anti-rolling and flexibility through supporting modu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7534B1 (en) | Earth anchors used for the greening structure of the surface | |
US6547493B2 (en) | Modular fiber log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barrier | |
US11459721B2 (en) | Erosion control apparatus | |
US11492771B2 (en) | Erosion control apparatus | |
KR200448984Y1 (en) | Steel plate anchor fixing device used for greening structure of front surface | |
US20230002988A1 (en) | Erosion control apparatus | |
US20040005198A1 (en) | Modular reinforced fiber log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barrier | |
KR20100138967A (en) | Rockfall prevention structures, rockfall prevention methods, and design methods of rockfall prevention structures | |
KR100756375B1 (en) | Slope protection method using wire net and device therefor | |
US11306455B2 (en) | Erosion control apparatus | |
KR100844925B1 (en) | Device for fixing natural stone | |
US12043973B2 (en) | Erosion control apparatus | |
KR101824674B1 (en) | Eco-friendly stone net using barbed anchor panel and u-shaped shackle, preventing a scouring of the slope of river and ford | |
US12234619B2 (en) | Erosion control apparatus | |
KR20090087775A (en) | Steel plate anchor fixing device used for greening structure of front surface | |
JP4630851B2 (en) | Anchor for slope | |
KR101138723B1 (en) | The wedge for fixing wire mesh that use buid a dike eco friendly | |
KR20100010797A (en) | Retaining wall | |
JP3241680B2 (en) | Concrete block aggregate for slope protection | |
KR101149876B1 (en) | Prefabricated Cover for Formation of Levee | |
US20240376680A1 (en) | Erosion control apparatus | |
JP3088648U (en) | Inspection frame for legal frame formation | |
KR100545940B1 (en) | Road slope block installation structure | |
JP3862606B2 (en) | Slope stabilization method using tree root bearing and its slope stabilization device | |
CA2419694C (en) | A modular reinforced fiber log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barr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6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