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807B1 - Piston ring and engine comprising said piston ring - Google Patents
Piston ring and engine comprising said piston 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3807B1 KR101823807B1 KR1020167014342A KR20167014342A KR101823807B1 KR 101823807 B1 KR101823807 B1 KR 101823807B1 KR 1020167014342 A KR1020167014342 A KR 1020167014342A KR 20167014342 A KR20167014342 A KR 20167014342A KR 101823807 B1 KR101823807 B1 KR 1018238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ue portion
- piston ring
- tongue
- circumferential surface
- pist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12—Details
- F16J9/14—Joint-clos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5/00—Piston rings, e.g. associated with piston cr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Abstract
제 1 텅부와 제 2 텅부의 비중첩 영역에서의 연소 가스의 고압 및 고속으로의 블로바이가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가스 타이트 형식의 피스톤 링 및 그 피스톤 링을 구비하는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피스톤 링 (10) 은, 본체부 (10a) 와, 본체부 (10a) 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고,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서 축선 방향의 일방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끼워맞춤홈 (12c) 이 형성된 제 1 텅부 (12) 와, 본체부 (10a) 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연장되고, 끼워맞춤홈 (12c) 에 끼워맞춤으로써 제 1 텅부 (12) 와 함께 합구부 (11) 를 형성하는 제 2 텅부 (13) 와, 축선을 따른 방향에서 제 1 텅부 (12) 와 제 2 텅부 (13) 가 서로 겹치지 않는 비중첩 영역 (S1, S2) 에서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및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고, 축선 방향으로 연통하는 연통홈 (G1, G2) 을 구비한다. A piston ring of a gas-tight type in which the high-pressure and high-speed blowing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non-overlapping regions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are suppressed and the durability is improved, and an engine provided with the piston ring The piston ring 10 includes a body portion 10a and a pair of piston rings 10a and 10b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a to the other end and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of the body portion 10a and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The first tongue portion 12 is formed with a first tongue portion 12 and a second tongue portion 12b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0a at one end and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12c. Overlapping regions S1 and S2 in which the first tongue portion 12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13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e direction along the axial line of the first tongue portion 12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d of the second tongue 1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d of the second tongue 13, And, it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groove (G1, G2) which communicates in the axial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스톤 링 및 그 피스톤 링을 구비하는 엔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ston ring and an engine equipped with the piston ring.
피스톤 링은, 피스톤 외주부에 형성된 피스톤 링 홈에 장착된다. 피스톤 링은 탄성을 갖고, 실린더의 내주면에 적당한 면압을 갖고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피스톤, 실린더 내주면 및 실린더 헤드에 의해 형성되는 연소실 내의 압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The piston ring is mounted in the piston ring groov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ston. The piston ring has elasticity and has a function of maintaining the press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formed by the pist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and the cylinder head by sliding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with an appropriate surface pressure.
피스톤 링은, 링 형상을 갖는데, 둘레 방향의 일부에 합구부 (合口部) 로 칭해지는 불연속 부분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가스 타이트 형식의 합구부는, 피스톤 링의 둘레 방향에서 일단측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타단측에 형성되는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겹치도록 끼워맞춰진다. The piston ring has a ring shape, and a discontinuous portion called a fitting portion is formed in a part of the piston r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example, the gas tight type fitting portion as described in
엔진 운전 중, 피스톤 링은 연소 가스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에 고온이 된다. 이 때 피스톤 링의 외주측은 상대적으로 저온인 실린더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링의 내주측의 온도가 외주측의 온도보다 높아진다. 이 때문에, 피스톤 링의 열팽창량은 외주측보다 내주측 쪽이 커지고, 피스톤 링의 합구부가 피스톤 링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듯이 열변형된다. During operation of the engine, the piston rings become hot due to being heated by the combustion gas. At this time, since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piston ring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relatively low-temperatur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er,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piston ring become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ide. Therefore, the amou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piston ring becomes larg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tha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and thermally deforms such that the summed portion of the piston ring bulg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iston ring.
이와 같은 열변형에 의해, 합구부를 구성하는 오목부 (제 1 텅부) 및 볼록부 (제 2 텅부) 와 실린더 내주면의 접촉면압이 높아져, 합구부 근방에서 실린더 내주면에 편마모가 발생한다. 한편, 열변형에 의해 제 1 텅부 및 제 2 텅부의 선단측이 직경 방향 외방으로 부풀어 오르려고 함으로써, 제 1 텅부 및 제 2 텅부의 곡률 반경이 실린더 내주면의 곡률 반경보다 커지고, 제 1 텅부 및 제 2 텅부의 근원측이 실린더 내주면으로부터 떨어지기 쉬워진다. Such thermal deformation increases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between the concave portion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second tongue portion) constituting the merging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and imbalance occur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in the vicinity of the merging por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tip end side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are about to bulg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due to thermal deformatio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becomes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The root side of the two tongues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이 때문에, 열변형에 의해 실린더 내주면에 편마모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열변형된 제 1 텅부 및 제 2 텅부의 근원측과 실린더 내주면 사이에 근소한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고온의 연소 가스는, 제 1 텅부 및 제 2 텅부의 근원 근방, 바꾸어 말하면 제 1 텅부와 제 2 텅부가 서로 겹치지 않는 영역 (비중첩 영역) 에서, 그 발생한 근소한 간극을 연소실측에서 크랭크실측으로 고압 및 고속으로 빠져나간다. 이러한 연소 가스의 블로바이에 의해, 비중첩 영역에서, 피스톤 링의 외주면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For this reason, in the case where uneven wear occur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due to thermal deformation, a slight ga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root side of the thermally deformed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Then, the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is introduced into the region near the root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that is, in the region where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do not overlap each other (non-overlapping region) To the high pressure and high speed. Such blowing of the combustion gas causes a problem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ring is damaged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지고, 제 1 텅부와 제 2 텅부의 비중첩 영역에서의 연소 가스의 고압 및 고속으로의 블로바이가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가스 타이트 형식의 피스톤 링 및 그 피스톤 링을 구비하는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s-tight piston ring in which durability is improved by suppressing high-pressure and high-speed blowing of combustion gas in non- overlap regions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gine having a piston ring.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피스톤 링은,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piston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축선 둘레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부와,A body portion extending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axis,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서 상기 축선 방향의 일방측에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끼워맞춤홈이 형성된 제 1 텅부와, A first tongue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o the other end and having a fitting groove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본체부의 상기 타단에서 상기 일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워맞춤홈에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제 1 텅부와 함께 합구부를 형성하는 제 2 텅부와, A second tongue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to the one end and forming a joint portion together with the first tongue portion by fitting into the fitting groove;
상기 제 1 텅부와 상기 제 2 텅부가 서로 겹치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서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통하는 연통홈을 구비한다. And a communicating groove formed in at least on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ongue portion in a non-overlapping region in which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이 구성에 의하면, 비중첩 영역에서 제 1 텅부의 외주면 및 제 2 텅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방에 미리 적극적으로 연통홈을 형성함으로써, 연통홈을 통하여 연소 가스를 내보낼 수 있고, 비중첩 영역에 있어서 고온의 연소 가스가 고압 및 고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이 결과, 비중첩 영역에 있어서의 손상이 억제되어, 피스톤 링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by forming the communication groove in advance in at least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ongue portion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in advance, the combustion gas can be e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groove, Is prevented from escaping at a high pressure and at a high speed. As a result, the damage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is suppres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iston ring is improved.
또, 연통홈을 형성함으로써, 제 1 텅부 및 제 2 텅부 중 적어도 일방의 강성이 저하되고, 실린더 내주면에 대한 피스톤 링의 접촉면압이 균일화된다. 그 결과로서, 피스톤 링이나 실린더 내주면 (2a) 의 편마모가 억제되어, 피스톤 링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Further, by forming the communication groove, the rigidit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is lowered, and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of the piston ring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made uniform. As a result, uneven wear of the piston ring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In some embodiments,
상기 연통홈은,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의 양방에 형성된다. The communication groove is formed on bo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ongue portion.
이 구성에 의하면, 비중첩 영역에서 제 1 텅부의 외주면 및 제 2 텅부의 외주면의 양방에 연통홈을 형성함으로써, 이들 2 개의 비중첩 영역에 있어서의 고온의 연소 가스의 고속 및 고압의 블로바이가 억제되어, 피스톤 링의 손상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forming the communication grooves in bo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ongue portion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high-speed and high-pressure blowing of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gas in these two non- So that the damage of the piston ring can be further prevented.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홈의 단면 (斷面) 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cross-section of the communication groove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이 구성에 의하면, 축선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연통홈의 단면 형상을 반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연통홈 근방의 단면 형상의 변화가 매끄러워진다. 이 결과, 연통홈 근방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이 완화되어, 피스톤 링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line has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nea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ross-section is smooth.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stress in the vicinity of the communication groove is relax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iston ring can be improved.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홈의 단면적은, 상기 축선 방향에서 일방의 측으로부터 타방의 측을 향하여 증대하고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groove in the radial direction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축선을 따른 방향에서 일방의 측으로부터 타방의 측을 향하여 연통홈의 단면적이 증대함으로써, 일방의 측으로부터 타방의 측을 향하여 연소 가스가 흐르는 경우, 연통홈의 타방의 측으로부터 유출되는 연소 가스의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 링의 옆에 다른 피스톤 링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다른 피스톤 링으로의 연소 가스의 충돌 압력을 경감시킬 수 있고, 다른 피스톤 링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ombustion gas flow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groov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the direction along the axial lin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peed of the combustion gas. Therefore, when another piston ring is disposed beside the piston ring, the impact pressure of the combustion gas on the other piston ring can be reduced, and the durability of the other piston ring is improved.
본 발명에 관련된 엔진은, 상기한 어느 하나의 피스톤 링을 구비하고 있다. The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y one of the above piston rings.
이 구성에 의하면, 피스톤 링에 있어서, 제 1 텅부와 제 2 텅부의 비중첩 영역에서의 연소 가스의 고압 및 고속으로의 블로바이가 억제되어, 피스톤 링의 내구성이 향상됨으로써, 엔진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piston ring, the high-pressure and high-speed blowing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non-overlapping regions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is suppres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iston ring is improved, do.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홈의 단면적은, 상기 축선 방향에서 엔진의 연소실측으로부터 크랭크실측을 향하여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groove in the radial direction is configured to increase from the combustion chamber side of the engine toward the crank chamb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연소실측으로부터 크랭크실측을 향하여 연소 가스가 흐르려고 할 때, 연통홈의 크랭크실측으로부터 유출되는 연소 가스의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ombustion gas flows from the combustion chamber side toward the crank chamber side, the speed of the combustion gas flowing out from the crank chamber side of the communication groove can be reduced.
이 때문에, 피스톤 링의 크랭크실측에 다른 피스톤 링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다른 피스톤 링으로의 연소 가스의 충돌 압력을 경감시킬 수 있어, 다른 피스톤 링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Therefore, when another piston ring is disposed on the crank chamber side of the piston ring, the impact pressure of the combustion gas on the other piston ring can be reduced, and the durability of the other piston ring is improved.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텅부와 제 2 텅부의 비중첩 영역에서의 연소 가스의 고압 및 고속으로의 블로바이가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가스 타이트 형식의 피스톤 링 및 그 피스톤 링을 구비하는 엔진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s-tight type piston ring in which the high-pressure and high-speed blowing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non-overlapping regions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are suppress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and an engine equipped with the piston ring / RTI >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피스톤 링이 적용된 엔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실린더의 일부와 함께, 도 2 의 영역 A 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영역 A 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의 도 4 에 상당하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의 도 4 에 상당하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의 도 4 에 상당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ngine to which a piston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piston r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area A of FIG. 2 together with a part of the cylinde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area A of Fig. 2.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4 of the piston r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4 of the piston rin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4 of the piston ring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단,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However, the dimensions, materials, shapes, relative positions, and the like of the constituent par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o the specific examples, and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thereof.
(제 1 실시형태) (First Embodiment)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 (10) 이 적용된 엔진 (1)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엔진 (1) 은, 예를 들어 선박용 2 사이클 대형 디젤 엔진 등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엔진 (1) 은, 실린더 (2) 와, 실린더 (2) 내에 자유롭게 왕복동할 수 있게 배치된 피스톤 (3) 과, 실린더 (2) 의 일단을 덮는 실린더 헤드 (4) 를 구비한다. 실린더 (2) 의 일단측에는, 실린더 (2), 피스톤 (3) 및 실린더 헤드 (4) 에 의해 연소실 (5) 이 구획되어 있다. The
엔진 (1) 은 예를 들어 크로스 헤드 구조를 갖고, 피스톤 (3) 의 연소실 (5) 과 반대측으로부터는 피스톤봉 (3a) 이 연장되고, 피스톤봉 (3a) 은 실린더 (2) 의 타단측을 관통하고 있다. 피스톤봉 (3a) 의 피스톤 (3) 과 반대측은, 도시하지 않지만, 크로스 헤드 및 연접봉을 통하여 크랭크실 내의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있다. 엔진 (1) 이 예를 들어 유니플로 소기 형식인 경우, 실린더 헤드 (4) 에 배기 포트가 형성되고, 실린더 (2) 의 타단측에 도시하지 않은 소기 포트가 형성된다. The
피스톤 링 (10) 은, 피스톤 (3) 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 (3) 의 외주부에는, 피스톤 링 홈 (6) 이 형성되고, 피스톤 링 (10) 은 피스톤 링 홈 (6) 에 끼워맞춰져 있다. 또한, 피스톤 링 (10) 은, 실린더 (2) 및 피스톤 (3) 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피스톤 링 (10) 의 축선 (CL) 은, 실린더 (2) 및 피스톤 (3) 의 축선과 일치하고 있다. The piston ring (10)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piston (3). Concretely, a
피스톤 링 (10) 은, 피스톤 (3) 의 직경 방향에서 피스톤 (3) 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실린더 (2) 의 내주면 (실린더 내주면) (2a) 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외주면을 갖는다. 따라서, 실린더 내주면 (2a) 과 피스톤 (3) 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은, 피스톤 링 (10) 에 의해 폐색되고, 피스톤 링 (10) 에 의해 연소실 (5) 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 링 (10) 의 외에, 3 개의 피스톤 링 (60, 70 및 80) 이 축선 (CL) 을 따른 방향 (이하, 축선 방향이라고도 한다) 으로 간격을 두고 피스톤 (3) 에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 링 (10) 은, 축선 방향에서 연소실 (5) 의 가장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링의 총 수는 4 개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3 개여도 된다. In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도 2 는, 피스톤 링 (10) 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링 (10) 은, 본체부 (10a), 그리고, 합구부 (11) 를 형성하는 제 1 텅부 (12) 및 제 2 텅부 (13) 를 구비하고 있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본체부 (10a) 는, 축선 (CL) 둘레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The
도 3 은, 도 2 중의 영역 A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 는, 도 2 중의 영역 A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rea A in Fig. 2,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rea A in Fig.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텅부 (12) 는, 둘레 방향에서 본체부 (10a) 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 1 텅부 (12) 는, 피스톤 링 (10) 의 내주측을 형성하는 내주편 (12a) 과, 내주편 (12a)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연소실 (5) 측으로부터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되는 맞닿음편 (12b) 을 구비하고 있다. 내주편 (12a) 및 맞닿음편 (12b) 은,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L 자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워맞춤홈 (12c) 을 형성하고 있다. 끼워맞춤홈 (12c) 은,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크로스 헤드측 (크랭크실측) 에 위치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제 2 텅부 (13) 는, 둘레 방향에서 본체부 (10a) 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제 2 텅부 (13) 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텅부 (13) 는, 내주편 (12a) 의 직경 방향 외측의 면 및 맞닿음편 (12b) 의 축선 방향 크로스 헤드측의 면과 각각 대향하는 2 개의 측면을 갖는다. 피스톤 링 (10) 이 피스톤 (3)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 2 텅부 (13) 를 끼워맞춤홈 (12c) 에 끼워맞춤으로써, 제 1 텅부 (12) 및 제 2 텅부 (13) 가 가스 타이트 형식의 합구부 (11) 를 형성한다. 합구부 (11) 에서는, 피스톤 링 (10) 의 외주면은, 제 1 텅부 (12) 의 측면 (12d) 및 제 2 텅부 (13) 의 측면 (13d)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텅부 (12) 의 측면 (12d) 은, 맞닿음편 (12b) 의 측면이다. The
제 1 텅부 (12) 의 측면 (12d) 은,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측면 (12d) 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피스톤 링 (10) 이 피스톤 (3)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실린더 내주면 (2a) 과 대향된다. 이하에서는, 제 1 텅부 (12) 의 측면 (12d) 을 외주면 (12d) 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은, 맞닿음편 (12b) 의 측면이다. The
마찬가지로, 제 2 텅부 (13) 의 측면 (13d) 은,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측면 (13d) 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피스톤 링 (10) 이 피스톤 (3)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실린더 내주면 (2a) 과 대향된다. 이하에서는, 제 2 텅부 (13) 의 측면 (13d) 을 외주면 (13d) 이라고도 칭한다. Similarly, the
제 1 텅부 (12) 의 끼워맞춤홈 (12c) 에 제 2 텅부 (13) 를 끼워맞춘 상태에서는, 본체부 (10a) 의 일단측의 단면 (端面) (10b) 과 제 2 텅부 (13) 의 선단면 (13f), 및 제 1 텅부 (12) 의 선단면 (12f) 과 본체부 (10a) 의 타단측의 단면 (10c) 이, 각각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이들 간극에 의해, 피스톤 링 (10) 이 연소실 (5) 의 연소 가스의 열에 의해 팽창되고, 피스톤 링 (10) 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둘레 방향의 연장을 흡수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은 간극을 본체부 (10a) 의 단면 (10b) 과 제 2 텅부 (13) 의 선단면 (13f)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합구부 (11) 에는, 제 1 텅부 (12) 와 제 2 텅부 (13) 가 축선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는 비중첩 영역 (S1) 이 제 1 텅부 (12) 의 근원 근방에 존재한다. 이 비중첩 영역 (S1) 에 있어서의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즉 맞닿음편 (12b) 의 외주면에는, 연통홈 (G1) 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홈 (G1) 은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축선 방향에서 제 1 텅부 (12) 의 맞닿음편 (12b) 의 양측에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연통홈 (G1) 은, 축선 방향에서 연소실 (5) 측과 크랭크실측을 연통하고 있다. 또 연통홈 (G1) 은, 직경 방향에서 외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By forming such a gap between the
엔진 (1) 의 운전 중, 피스톤 링 (10) 은 연소 가스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에 고온이 된다. 이 때 피스톤 링 (10) 의 외주측은 상대적으로 저온인 실린더 내주면 (2a) 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링 (10) 의 내주측의 온도가 외주측의 온도보다 높아진다. 이 때문에, 피스톤 링 (10) 의 열팽창량은 외주측보다 내주측 쪽이 커지고, 피스톤 링 (10) 의 합구부 (11) 가 피스톤 링 (10) 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부풀어 오르듯이 열변형된다. During operation of the
이와 같은 열변형에 의해, 합구부 (11) 를 구성하는 제 1 텅부 (12) 및 제 2 텅부 (13) 와 실린더 내주면 (2a) 의 접촉면압이 높아져, 합구부 (11) 근방에서 실린더 내주면 (2a) 에 편마모가 발생한다. 한편, 열변형에 의해 제 1 텅부 (12) 및 제 2 텅부 (13) 의 선단측이 직경 방향 외방으로 부풀어 오르려고 함으로써, 제 1 텅부 (12) 및 제 2 텅부 (13) 의 곡률 반경이 실린더 내주면 (2a) 의 곡률 반경보다 커지고, 제 1 텅부 (12) 및 제 2 텅부 (13) 의 근원측이 실린더 내주면 (2a) 으로부터 떨어지기 쉬워진다. Such a thermal deformation increases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between the
이 때문에, 열변형에 의해 실린더 내주면 (2a) 에 편마모가 발생한 경우에는, 열변형된 제 1 텅부 (12) 및 제 2 텅부 (13) 의 근원측과 실린더 내주면 (2a) 사이에 근소한 간극 (δ1, δ2)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3 참조). 연통홈 (G1)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고온의 연소 가스는, 제 1 텅부 (12) 의 근원 근방, 바꾸어 말하면 제 1 텅부 (12) 와 제 2 텅부 (13) 가 서로 겹치지 않는 비중첩 영역 (S1) 에서, 그 발생한 근소한 간극 (δ1) 을 연소실 (5) 측으로부터 크로스 헤드측으로 고압 및 고속으로 빠져나간다. 이러한 연소 가스의 블로바이에 의해, 비중첩 영역 (S1) 에서 피스톤 링 (10) 의 외주면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Therefore, when an uneven wear occurs in the cylinder inner
이에 반하여,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하면, 비중첩 영역 (S1) 에서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에 미리 적극적으로 연통홈 (G1) 을 형성함으로써, 연통홈 (G1) 을 통하여 연소 가스를 내보낼 수 있고, 비중첩 영역 (S1) 에 있어서 고온의 연소 가스가 고압 및 고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이 결과, 비중첩 영역 (S1) 에 있어서의 손상이 억제되어, 피스톤 링 (10) 의 내구성이 향상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mmunication grooves G1 are formed in advance in the outer
또, 연통홈 (G1) 을 형성함으로써, 제 1 텅부 (12) 의 강성이 저하되고, 실린더 내주면 (2a) 에 대한 피스톤 링 (10) 의 접촉면압이 균일화된다. 그 결과로서, 피스톤 링 (10) 이나 실린더 내주면 (2a) 의 편마모가 억제되어, 피스톤 링 (10) 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Further, by forming the communication groove G1, the rigidity of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선 (CL) 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연통홈 (G1) 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축선 (CL) 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연통홈 (G1) 의 단면 형상을 반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연통홈 (G1) 근방의 단면 형상의 변화가 매끄러워진다. 이 결과, 연통홈 (G1) 근방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이 완화되어, 피스톤 링 (10) 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mmunication groove G1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s CL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mmunication groove G1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line CL is made semicircular, so that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shape near the communication groove G1 becomes smooth. As a result, stress concentration in the vicinity of the communication groove (G1) is alleviated, and durability of the piston ring (10) can be improved.
(제 2 실시형태) (Seco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 (20) 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는, 동일한 명칭 또는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Hereinafter, the piston ring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names or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or simplified.
도 5 는, 피스톤 링 (20) 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피스톤 링 (20) 은, 제 1 텅부 (12) 와 제 2 텅부 (13) 가 축선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는 제 2 텅부 (13) 의 근원 근방의 비중첩 영역 (S2) 에서,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에 연통홈 (G2) 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piston ring 20 in an enlarged manner. In the piston ring 20,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S2 near the root of the
연통홈 (G2) 은,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축선 방향에서 제 2 텅부 (13) 의 양측에 개구되어 있다. 또 연통홈 (G2) 은,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에서 외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The communication grooves G2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are open at both sides of the
이 구성에 의하면, 비중첩 영역 (S2) 에서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에 미리 적극적으로 연통홈 (G2) 을 형성함으로써, 연통홈 (G2) 을 통하여 연소 가스를 내보낼 수 있고, 비중첩 영역 (S2) 에 있어서 고온의 연소 가스가 고압 및 고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이 결과, 비중첩 영역 (S2) 에 있어서의 손상이 억제되어, 피스톤 링 (20) 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forming the communication groove G2 in advance in the outer
또, 연통홈 (G2) 을 형성함으로써, 제 2 텅부 (13) 의 강성이 저하되고, 실린더 내주면 (2a) 에 대한 피스톤 링 (20) 의 접촉면압이 균일화된다. 그 결과로서, 피스톤 링 (20) 이나 실린더 내주면 (2a) 의 편마모가 억제되어, 피스톤 링 (20) 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By forming the communication groove G2, the rigidity of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선 (CL) 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연통홈 (G2) 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축선 (CL) 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연통홈 (G2) 의 단면 형상을 반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연통홈 (G2) 근방의 단면 형상의 변화가 매끄러워진다. 이 결과, 연통홈 (G2) 근방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이 완화되어, 피스톤 링 (20) 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mmunication groove G2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s CL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mmunication groove G2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line CL is made semicircular, so that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shape near the communication groove G2 is smooth. As a result, stress concentration in the vicinity of the communication groove (G2) is relaxed, and durability of the piston ring (20) can be improved.
(제 3 실시형태) (Thir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 (30) 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도 6 은, 피스톤 링 (30) 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피스톤 링 (30) 은, 제 1 텅부 (12) 와 제 2 텅부 (13) 가 축선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는 비중첩 영역 (S1, S2) 에서,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및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에 연통홈 (G1, G2) 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이 구성에 의하면, 비중첩 영역 (S1, S2) 에서 제 1 텅부 (12) 의 외주면 (12d) 및 제 2 텅부 (13) 의 외주면 (13d) 의 양방에 연통홈 (G1, G2) 을 형성함으로써, 이들 2 개의 비중첩 영역 (S1, S2) 에 있어서의 고온의 연소 가스의 고속 및 고압의 블로바이가 억제되어, 피스톤 링 (30) 의 손상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mmunication grooves G1 and G2 are formed in both the outer
(제 4 실시형태) (Four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스톤 링 (40) 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도 7 은, 피스톤 링 (40) 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 (CL) 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연통홈 (G3, G4) 의 단면적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에서의 연통홈 (G3, G4) 의 단면적) 이, 축선 (CL) 을 따른 방향에서 일방의 측으로부터 타방의 측을 향하여 증대하고 있다.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또한, 연통홈 (G3, G4) 은,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축선 방향에서 제 1 텅부 (12) 의 맞닿음편 (12b) 및 제 2 텅부 (13) 의 양측에 각각 개구되어 있다. 또, 연통홈 (G3, G4) 은, 본체부 (10a) 의 직경 방향에서 외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The communication grooves G3 and G4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are respectively opened at both sides of the
이 구성에 의하면, 축선 (CL) 을 따른 방향에서 일방의 측으로부터 타방의 측을 향하여 연통홈 (G3, G4) 의 단면적이 증대함으로써, 일방의 측으로부터 타방의 측을 향하여 연소 가스가 흐르는 경우, 연통홈 (G3, G4) 의 타방의 측으로부터 유출되는 연소 가스의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홈 (G3, G4) 의 단면적이, 연소실 (5) 측으로부터 크로스 헤드측 (크랭크실) 을 향하여 증대함으로써, 연소실 (5) 측으로부터 크랭크실측을 향하여 연료가 흐르는 경우, 연통홈 (G3, G4) 의 크로스 헤드측으로부터 유출되는 연소 가스의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ombustion gas flow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grooves G3, G4 from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direction along the axis CL, The speed of the combustion gas flowing out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mmunication grooves G3 and G4 can be lowered. For example,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grooves G3 and G4 increases from the
이 때문에,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링 (10) 의 옆, 예를 들어 크랭크실측에 다른 피스톤 링 (60) 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다른 피스톤 링 (60) 으로의 연소 가스의 충돌 압력을 경감시킬 수 있어, 다른 피스톤 링 (60) 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Therefore, when another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고, 이들 실시형태에 변형을 가한 형태나, 이들 실시형태를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ourth embodiments, but include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and combinations of these embodiments.
예를 들어, 연통홈 (G1, G2) 의 단면 형상으로는, 반원 형상이 바람직하지만, V 자 형상이나 사각형 형상 등이어도 된다.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mmunication grooves G1 and G2 is preferably a semicircular shape, but may be a V-shape or a rectangular shape.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피스톤 링은, 선박용 2 사이클 대형 디젤 엔진에 바람직하지만, 다른 엔진 등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iston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a marine two-cycle large diesel engine, but may be applied to other engines.
1 : 엔진
2 : 실린더
2a : 실린더 내주면
3 : 피스톤
3a : 피스톤봉
4 : 실린더 헤드
5 : 연소실
6 : 피스톤 링 홈
10 : 피스톤 링
10a : 본체부
10b : 단면
10c : 단면
11 : 합구부
12 : 제 1 텅부
12a : 내주편
12b : 맞닿음편
12c : 끼워맞춤홈
12d : 외주면
12f : 선단면
13 : 제 2 텅부
13d : 외주면
13f : 선단면
G1, G2, G3, G4 : 연통홈
S1, S2 : 비중첩 영역
δ1, δ2 : 간극1: engine
2: Cylinder
2a: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3: Piston
3a: Piston rod
4: Cylinder head
5: Combustion chamber
6: Piston ring groove
10: Piston ring
10a:
10b: section
10c: section
11:
12: First tongue
12a:
12b:
12c: fitting groove
12d: outer peripheral surface
12f:
13: 2nd tongue
13d: outer peripheral surface
13f:
G1, G2, G3, G4: communicating groove
S1, S2: Non-overlapping area
δ1, δ2: Clearance
Claims (6)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서 상기 축선 방향의 일방측에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끼워맞춤홈이 형성된 제 1 텅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타단에서 상기 일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워맞춤홈에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제 1 텅부와 함께 합구부를 형성하는 제 2 텅부와,
상기 제 1 텅부와 상기 제 2 텅부가 서로 겹치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서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통하는 연통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A body portion extending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axis,
A first tongue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o the other end and having a fitting groove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 second tongue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to the one end and forming a joint portion together with the first tongue portion by fitting into the fitting groove;
And a communicating groove formed in at least one of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ongue portion in a non-overlapping region where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second tongue portion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
상기 연통홈은, 상기 제 1 텅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 2 텅부의 외주면의 양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groove is formed on bo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ongue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ongue portion.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홈의 단면은,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ross-section of the communication groove in the radial direction is a semicircular shape.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홈의 단면적은, 상기 축선 방향에서 일방의 측으로부터 타방의 측을 향하여 증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groove in the radial direction is increased from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other side.
상기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홈의 단면적은, 상기 축선 방향에서 연소실측으로부터 크랭크실측을 향하여 증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groove in the radial direction is increas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side toward the crank chamb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33803A JP6062382B2 (en) | 2014-02-25 | 2014-02-25 | Piston ring and engine including the piston ring |
JPJP-P-2014-033803 | 2014-02-25 | ||
PCT/JP2014/071441 WO2015129074A1 (en) | 2014-02-25 | 2014-08-14 | Piston ring and engine comprising said piston r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9066A KR20160079066A (en) | 2016-07-05 |
KR101823807B1 true KR101823807B1 (en) | 2018-01-30 |
Family
ID=5400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14342A Active KR101823807B1 (en) | 2014-02-25 | 2014-08-14 | Piston ring and engine comprising said piston ring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062382B2 (en) |
KR (1) | KR101823807B1 (en) |
CN (1) | CN105934612A (en) |
WO (1) | WO2015129074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3112B1 (en) * | 2022-03-02 | 2023-08-03 | 만 에너지 솔루션즈, 필리알 아프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티스크란드 | Piston ring for a large two-stroke turbo-charged uniflow-scavenged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889472B1 (en) * | 2020-04-02 | 2024-06-19 | Winterthur Gas & Diesel Ltd. | Piston ring package |
JP7307778B2 (en) * | 2021-09-30 | 2023-07-12 | Tpr株式会社 | Combination of piston ring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41357A (en) | 2000-02-28 | 2001-09-07 | Nippon Piston Ring Co Ltd | Combination of piston ring and piston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494140A (en) * | 1921-07-12 | 1924-05-13 | Frank E Small | Piston packing |
JPS5566543U (en) * | 1978-11-01 | 1980-05-08 | ||
JPS55166947U (en) * | 1979-05-18 | 1980-12-01 | ||
IT1121553B (en) * | 1979-06-01 | 1986-04-02 | Cattaneo Leopoldo | ELASTIC BANDS AND / OR SCRAPER FOR THERMAL ENGINES AND / OR FOR SEALS OF ANY KIND, WITH PERIPHERAL RIGIDITY AND DEFORMATION IN HOT OPERATION CONTROLLED THROUGH CARVINGS, HOLES, LIGHTENINGS AND CRACKS PRACTICED ON THE SURFACES OF THE LEVEL OF THE LEVEL OF THE FLEE LEAD OF THE PASTA LEAD. FOR THEIR PRODUCTION |
JP2550254Y2 (en) * | 1990-06-12 | 1997-10-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piston ring |
JPH07332496A (en) | 1994-06-08 | 1995-12-22 | Toyota Motor Corp | Piston r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US5934680A (en) * | 1995-05-31 | 1999-08-10 | Ntn Corporation | Split resin seal ring with chamfered end connection structures |
US5779243A (en) * | 1996-11-21 | 1998-07-14 |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 Piston ring set for reciprocating engines |
DE10111122C1 (en) * | 2001-03-08 | 2003-01-16 | Man B&W Diesel A/S, Copenhagen Sv | Piston ring for a reciprocating machine and reciprocating machine |
CN2523973Y (en) * | 2001-12-26 | 2002-12-04 | 杨武成 | Mono-directional sealed piston ring |
CN201065795Y (en) * | 2007-08-08 | 2008-05-28 | 宋长英 | Piston ring |
JP5781332B2 (en) * | 2011-02-28 | 2015-09-24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piston ring |
-
2014
- 2014-02-25 JP JP2014033803A patent/JP6062382B2/en active Active
- 2014-08-14 KR KR1020167014342A patent/KR101823807B1/en active Active
- 2014-08-14 CN CN201480073889.4A patent/CN105934612A/en active Pending
- 2014-08-14 WO PCT/JP2014/071441 patent/WO201512907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41357A (en) | 2000-02-28 | 2001-09-07 | Nippon Piston Ring Co Ltd | Combination of piston ring and piston us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3112B1 (en) * | 2022-03-02 | 2023-08-03 | 만 에너지 솔루션즈, 필리알 아프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티스크란드 | Piston ring for a large two-stroke turbo-charged uniflow-scavenged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9066A (en) | 2016-07-05 |
JP2015158247A (en) | 2015-09-03 |
JP6062382B2 (en) | 2017-01-18 |
WO2015129074A1 (en) | 2015-09-03 |
CN105934612A (en) | 2016-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81332B2 (en) | piston ring | |
KR101823807B1 (en) | Piston ring and engine comprising said piston ring | |
CN105518356B (en) | Piston ring | |
CN110506173B (en) | Piston and piston r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01876104B1 (en) | Piston ring | |
JP6389865B2 (en) | Pist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CN107269417A (en) | Piston with variable depth root of notch | |
JP6093407B2 (en) | piston ring | |
JP5940642B2 (en) | piston ring | |
JP6514216B2 (en) | Piston ring groove, in particular a piston having a compression groove | |
JPH09203463A (en) | Piston ring | |
JP2015129463A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piston | |
JP4889975B2 (en) | Piston device | |
JPH0121165Y2 (en) | ||
JP2015072071A5 (en) | ||
JP6397709B2 (en) | engine | |
JP6480709B2 (en) | Piston ring and engine including the piston ring | |
JP2021042751A (en) | Pist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14009620A (en) | Piston r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0130583A (en) | Compound double piston ring for pressure ring | |
JP2017009102A (en) | Combination piston ring | |
KR20090131028A (en) | Reciprocating eng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5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