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3666B1 -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666B1
KR101823666B1 KR1020160049358A KR20160049358A KR101823666B1 KR 101823666 B1 KR101823666 B1 KR 101823666B1 KR 1020160049358 A KR1020160049358 A KR 1020160049358A KR 20160049358 A KR20160049358 A KR 20160049358A KR 101823666 B1 KR101823666 B1 KR 101823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templat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887A (ko
Inventor
전영준
최원익
Original Assignee
파파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파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파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66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6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04W4/185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by embedding added-value information into content, e.g. geo-ta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된 특정 지역에 대하여 체험으로 습득되거나 학습되어 인지된 다양한 정보를 색상, 마크, 기호, 표식 등으로 디자인된 템플릿에 연계시켜 문자, 영상, 음성으로 등록하고 SNS로 선택된 다수의 상대방과 실시간 공유하거나 메시지 형태로 전송 제공하고 또한, URL에 QR code 등으로 접속한 타인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써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본이 되는 전자지도와 공간지도앱을 무선으로 다운로드 받고 현재 지역이거나 특정 지역에 대하여 체험하거나 학습된 지역환경정보를 전자지도의 해당 위치에 디자인된 템플릿과 연계시켜 표시한 사용자지도를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업로드하고 SNS로 선택된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최신버전의 상기 공간지도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하며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 및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와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제어에 의하여 SNS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제공하는 SNS 운용서버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디자인된 템플릿과 연계된 정보를 전자지도의 해당 위치에 등록하고 SNS로 선택된 특정 다수의 상대방과 실시간 공유하거나 메지시 형태로 제공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Upload system of map spatial information with desig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택된 특정 지역에 대하여 체험으로 습득되거나 학습되어 인지된 다양한 정보를 색상, 마크, 기호, 표식 등으로 디자인된 템플릿에 연계시켜 문자, 영상, 음성으로 등록하고 SNS로 선택된 다수의 상대방과 실시간 공유하거나 메시지 형태로 전송 제공하고 또한, 해당 인터넷 주소(URL)에 큐알코드(QR code) 등으로 접속한 타인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써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자, 통신, 부품, 생산 기술 등의 급속한 발달에 의하여 성능 좋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개발이 활발하며 또한, 각 개인마다 소유하고자 하는 수요 증가에 의하여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낮은 가격 대비 우수한 성능의 휴대단말기는 손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동통신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등록된 휴대단말기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서비스이고, 휴대단말기는 소형이면서 경량화 개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휴대단말기는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는 통신을 위하여 24 시간 휴대하지만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통신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시간은 매우 짧아 활용성이 매우 낮은 문제를 일부 해결하기 위하여 SMS, MMS, 전화번호관리, 티비, 녹음기, 계산기, 카메라, GPS 등의 부가기능이 포함되는 상태로 개발 공급되고, 최근에는 소형 컴퓨터 기능이 부가된 스마트폰(smart phone)이 개발되어 있으며, PDA, 태블릿 PC 등에 이동통신기능이 부가된 형태, 건강진단 등과 같은 다른 독립적 기능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컨버전스(mobile convergence)로 개발이 진행되는 추세에 있다.
한편, 데스크탑 PC 등에서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목적지 또는 특정 지역을 검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로 지도의 메타정보(일 예로 지명, 좌표정보, 축적 등)를 직접 입력하여 특정 목적지를 검색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97994호(2015.02.25.)에 의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지도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방법’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지도 공간정보를 제공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의한 종래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단말기(100), GPS(110), PC(120), 서비스서버(130), 지도서버(1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휴대단말기(100)는 사진촬영 등의 부가기능부, GPS(1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추출부, 부가기능부에서 생성한 사진파일 데이터, 촬영된 시점의 위치정보를 연동 저장하는 저장부, PC(120)에 데이터 송수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PC(120)는 인터넷 등의 서비스를 수행하며, PC(120)를 조작하여 서비스서버(130)에서 제공하는 블로그나 개인홈페이지 검색 등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다.
서비스서버(130)는 휴대단말기(100)의 저장부에 저장된 사진파일과 촬영된 위치정보등의 데이터 정보를 지도서버(140)의 지도데이터와 결합하여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므로 사진이 지도상 어느 지점에서 찍었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특정 사진이 어느 지점에서 촬영되었는지를 알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지도(전자지도) 상의 특정 위치나 경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자지도에서의 특정 위치 또는 지역에 대하여 경험하거나 습득한 정보를 디자인된 템플릿에 연계시켜 SNS 상의 특정 상대방과 실시간 공유하거나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97994호(2015.02.25.)에 의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지도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을 방문하여 직접 경험한 체험, 공부하여 습득한 다양한 지역주변 정보 등을 색상, 마크, 기호, 표식 등으로 디자인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문자, 영상, 음성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연계시켜 등록하고 SNS로 선택된 특정 다수의 상대방과 실시간 공유하거나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으로써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지역주변정보를 인터넷의 특정 사이트에 게재하고 바코드(bar code), 큐알코드(QR code) 등으로 해당 인터넷 사이트 주소(URL)에 접속되도록 하며,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된 타인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써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은 기본이 되는 전자지도와 공간지도앱을 무선으로 다운로드 받고 현재 지역이거나 특정 지역에 대하여 체험하거나 학습된 지역환경정보를 전자지도의 해당 위치에 디자인된 템플릿과 연계시켜 표시한 사용자지도를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업로드하고 SNS로 선택된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최신버전의 상기 공간지도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하며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 및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와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제어에 의하여 SNS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제공하는 SNS 운용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요청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지역이거나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현재 위치하는 지역의 기본적인 해당 전자지도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제공하는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특정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전자지도와 디자인된 템플릿에 연계된 지역환경정보로 이루어진 사용자지도 정보를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로부터 지도환경프레임으로 실시간 업로드하여 입력받고 지도환경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지도를 추출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과 실시간 제공하며 지정된 유알엘 주소와 연계시켜 기록 저장하고 상기 유알엘 주소 검색에 의하여 사용자지도를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시켜 제공하는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상기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되고 검색된 상기 사용자지도를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며 상대방으로 지정된 제2 지도휴대단말기에 메시지로 전송하는 공간지도메시지서버; 및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요청에 의하여 엘비에스 서비스에 의한 엘비에스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엘비에스서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는 상기 템플릿공간지도관리서버와 통신망을 경유하여 하나 이상 다수의 통신 방식으로 동시에 무선접속하고 각종 정보를 송신과 수신하는 지도정보무선통신부; 상기 지도정보무선통신부와 접속하고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전체 운용을 제어와 감시하며 공간지도앱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설치하여 활성화 상태로 운영하는 지도휴대단말제어부;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피에스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하고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지피에스좌표정보로 실시간 출력하는 지피에스위치정보부;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엘비에스 신호를 입력하고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좌표정보를 추출 엘비에스좌표정보로써 실시간 출력하는 엘비에스위치정보부; 및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같은 시각에 추출하고 출력한 상기 지피에스좌표정보와 상기 엘비에스좌표정보를 각각 입력하고 산술 평균 연산하여 평균좌표정보로 실시간 출력하는 산술평균연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는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 입력된 색상, 마크, 기호, 표식,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디자인된 템플릿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는 템플릿디자인부;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지역환경정보를 오디오와 비디오와 기호문자가 포함되는 이미지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로 입력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는 지역환경정보부;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 또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1 내지 20 킬로미터 범위 지역의 해당 전자지도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 입력받고 상기 템플릿디자인부로부터 입력된 템플릿이 지정된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연계시켜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축소 또는 확대된 상태로 표시하는 전자지도처리부;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와 SNS 통신경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하고 관리하며 송신되는 사용자지도는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고 수신되는 지도환경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지도를 추출하는 에스엔에스프레임변환부; 및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오디오와 비디오와 기호문자가 포함되는 이미지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력과 출력하고 터치 신호를 입력하는 멀미입출력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도환경프레임은 상기 지도환경프레임이 시작되는 정보와 전송시작시간, 발송지, 해당 좌표정보, 도착지 정보가 기록되는 2 워드로 이루어지는 시작필드영역; 상기 지역환경정보가 기록되거나 기록되지 않는 공란으로 유지되고 4 워드로 이루어지는 제 1 내지 제 7 필드영역; 상기 지역환경정보가 중복 기록되거나 기록되지 않는 공란으로 유지되고 6 워드로 이루어지는 제 1 내지 제 3 복사필드영역; 상기 지도환경프레임에 기록되어 전송된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를 시알시(CRC) 체크 방식으로 확인하고 해밍코드 방식에 의하여 자체 복구가 어려운 경우 상기 지도환경프레임의 재전송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며 10 워드로 이루어지는 체크필드영역; 상기 지도환경프레임이 종료되는 정보와 전송종료시간, 경유지, 해당 좌표정보, 기재된 데이터 비트의 숫자가 기록되며 2 워드로 이루어지는 종료필드영역; 을 포함하되, 하나의 워드는 25 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바이트는 21 비트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비콘,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RFID 방식 무선기능부를 모두 구비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2 개 이상의 무선기능부를 동시에 활성화 시켜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 지도휴대단말기에 각각 접속하여 동시에 통신하는 지도액세스포인트;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제1 지도휴대단말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 SNS 운용서버,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 공간지도메시지서버, 엘비에스서버, 지도액세스포인트, 제2 지도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공간지도앱을 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최신버전의 공간지도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기록, 설치, 운용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지피에스좌표정보와 엘비에스좌표정보를 각각 동일한 시각에 추출하고 산술평균 연산하여 평균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지피에스좌표정보와 상기 엘비에스좌표정보와 상기 평균좌표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SNS 통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와 실시간 접속되고 정보 공유 상태가 설정되어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도정보를 편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 또는 특정 위치의 지도정보를 다운로드 받고 디자인된 템플릿을 특정된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특정된 지역의 지역환경정보를 멀티미디어로 입력하고 모두 연계시켜 사용자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며 전송시켜 기록되도록 제어 감시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지도 정보를 지정된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에 메시지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지도 정보가 메시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지도 정보를 유알엘 주소와 연계된 상태로 저장하는 경우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지도 정보와 상기 유알엘 주소를 연계된 상태로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지도정보를 편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위치 또는 지정된 특정 위치의 지도정보를 상기 베이스전자지도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도록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를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401 과정;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의하여 템플릿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선택된 색상, 마크, 기호, 표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템플릿을 디자인하고 상기 지도정보의 지정된 특정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402 과정;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지역환경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지정된 특정 지역의 지역환경정보를 오디오와 비디오와 기호문자가 포함되는 이미지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로 입력하고 상기 지도정보와 상기 템플릿과 상기 지역환경정보를 연계시켜 사용자지도를 생성하고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전송하므로 상기 지도유알엘레이어서버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403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제1 지도휴대단말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 SNS 운용서버,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 공간지도메시지서버, 엘비에스서버, 지도액세스포인트, 제2 지도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운용중인 앱을 검색하고 앱이 운용중인 경우는 최신 버전의 앱으로 갱신시키며 앱이 운용되지 않고 있으면 최신 버전의 앱을 다운로드로 제공하여 자동으로 설치되고 운용되도록 제어하는 제 11 단계;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엘비에스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엘비에스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엘비에스 서비스로 확인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 12 단계;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지도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특정 좌표정보 기준 소정 반경의 지도정보를 상기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로부터 검색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제공하는 제 13 단계; 및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SNS 접속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SNS 운용서버를 제어하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와 통신경로를 접속하고 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 14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사용자지도 정보를 업로드하여 입력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를 제어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고 업로드되어 입력된 유알엘 주소를 연계된 상태로 기록 저장하는 제 15 단계;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지도를 메시지로 지정된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공간지도메시지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지도 정보가 메시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 16 단계; 및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 상기 제2 지도휴대단말기, 상기 지정된 상대방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유알엘 주소로 접속하는 경우 상기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유알엘 주소에 연계되어 저장된 상기 사용자지도를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17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1 단계는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서 운용중인 앱을 검색하는 제 1101 과정; 및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서 공간지도앱이 운용중인지 판단하고, 공간지도앱이 운용중이면 최신버전인지를 판단하고 최신버전이 운용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공간지도앱이 운용되지 않고 있으면 최신버전의 공간지도앱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고 운용되도록 제어와 감시하는 제 1102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특정 지역 또는 위치에서 직접 체험하거나 습득한 다양한 정보를 색상, 마크, 기호, 표식 등으로 디자인된 템플릿에 연계시켜 전자지도의 해당 위치에 문자, 영상, 음성 등으로 등록하고 SNS로 선택된 특정 다수의 상대방과 실시간 공유하거나 메지시 형태로 제공하는 사용상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바코드(bar code), 큐알코드(QR code) 등으로 해당 인터넷 사이트 주소(URL)에 접속된 타인에게 해당 지역환경정보를 검색하도록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지도 공간정보를 제공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제 1 지도휴대단말기의 세부 기능 구성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지도액세스포인트의 세부 기능 구성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의 세부 기능 구성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지도환경프레임의 필드 구성상태 설명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에 구성된 제1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에 구성된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자지도와 지도는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업로드는 송신 또는 전송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하며, 통신은 각종 정보를 송신과 수신하는 의미로 기재하기로 하고, 제1 지도휴대단말기는 지정된 상대방과 제2 지도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의미로 기재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제 1 지도휴대단말기의 세부 기능 구성 설명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지도액세스포인트의 세부 기능 구성 설명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의 세부 기능 구성 설명도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지도환경프레임의 필드 구성상태 설명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900)은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 통신망(2000), 지도액세스포인트(250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3000), 에스엔에스(SNS) 운용서버(4000),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5000),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6000), 공간지도메시지서버(7000), 엘비에스서버(8000),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앱(App)은 응용(Applicatuon) 프로그램(S/W, program)의 한 종류이며 어플(Appl) 또는 어플릿(Applit)으로도 불리고, 매우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되며, CPU와 메모리와 기타 연관된 기능부(자원) 성능이 작거나 낮은 레벨의 노트북, 데이터단말기, 스마트폰 등에서 사용되는 작은 용량의 응용프로그램을 지칭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또한, 앱(app)은 응용분야가 매우 다양하고 종류도 매우 많으므로 응용분야에 적합하고 부르기 쉬운 이름을 사용자 또는 개발자 등이 임의로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지도(전자지도)에 관한 것이고 지도는 공간정보에 관한 것이므로 앱의 이름을 ‘공간지도앱’으로 호칭하기로 한다.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와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0)는 동일한 구성, 기능 및 작용이므로 중복 설명을 파히기 위하여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는 기본이 되는 전자지도와 공간지도앱을 무선으로 다운로드 받고 현재 지역이거나 특정 지역에 대하여 체험하거나 학습된 지역환경정보를 전자지도의 해당 위치에 디자인된 템플릿과 연계시켜 표시하므로 편집된 사용자지도를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업로드하고 SNS로 선택된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도록 제어한다.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는 지도정보무선통신부(1010),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 지피에스위치정보부(1030), 엘비에스위치정보부(1040), 산술평균연산부(1050), 템플릿디자인부(1060), 지역환경정보부(1070), 전자지도처리부(1080), 에스엔에스프레임변환부(1090), 멀미입출력부(11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지도정보무선통신부(1010)는 통신망(2000) 및 지도액세스포인트(2500)를 경유하여 템플릿공간지도관리서버(3000)와 접속하고 각종 정보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구성이고, 다수의 무선통신 기능부를 구비하고 2 개 이상의 복수 무선기능부를동시에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활성화 상태로 설정한 해당 무선기능부를 통하여 동일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그러므로 송신과 수신되는 정보의 오류 발생을 최소화 하는 장점이 있다.
지도정보무선통신부(1010)는 일 예로, CDMA 방식과 W-CDMA 방식과 TRS 방식과 SSB 방식의 무선통신기능부를 모두 구비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을 활성화 상태로 운용하여 통신망(2000)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한다. 이때, 통신망(2000)에서도 CDMA 방식과 W-CDMA 방식과 TRS 방식과 SSB 방식을 모두 구비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을 활성화 시켜 통신에 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통신은 각종 정보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의미로 설명한다.
한편, 지도정보무선통신부(1010)는 지도액세스포인트(2500)와 접속하고 통신하기 위하여 비콘,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RFID 방식 무선기능부를 모두 구비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2 개 이상의 무선기능부를 동시에 활성화 시켜 지도액세스토인트(2500)와 무선접속하고 통신한다. 여기서도 지도액세스토인트(2500)는 비콘,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RFID 방식 무선기능부를 모두 구비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2 개 이상의 무선기능부를 동시에 활성화 시켜 통신에 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는 지도정보무선통신부(1010)와 접속하고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며 공간지도앱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설치하여 활성화 상태로 운영한다.
지피에스위치정보부(1030)는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피에스(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GPS 신호를 입력하고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지피에스좌표정보로 실시간 출력한다. 좌표정보에는 현재 위치의 경도, 위도, 해발 값이 기본적으로 포함되며 시간값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엘비에스위치정보부(1040)는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5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통신망(2000) 또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엘비에스(LBS) 신호를 입력하고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좌표정보를 추출 엘비에스좌표정보로써 실시간 출력한다.
지피에스(GPS)를 이용하여 위치(좌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과 엘비에스(LBS)를 이용하여 위치(좌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산술평균연산부(1050)는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같은 시각에 추출된 지피에스좌표정보와 엘비에스좌표정보를 각각 입력하고 산술 평균 연산하여 평균좌표정보로써 실시간 출력한다.
여기서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는 지피에스 좌표정보와 엘비에스 좌표정보와 평균좌표정보의 오차를 분석하여 오차범위가 큰 어느 하나의 값을 제외한 2 개의 좌표정보 값을 다시 산술평균 연산하여 정밀평균좌표정보로써 추출하고 추출된 정밀평균좌표정보를 좌표정보 값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산술평균연산부(1050)는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0.1초 내지 1초 범위의 간격으로 평균좌표정보를 추출하는 산술평균연산을 반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초 간격으로 산술평균연산된 평균좌표정보를 반복 추출하되, 최소 3 회 이상 반복하여 추출된 평균좌표정보를 다시 산술평균한 2 차 평균좌표정보를 추출하므로 정밀도와 신뢰성을 높인 2차 평균좌표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는 지피에스 좌표정보, 엘비에스 좌표정보, 평균좌표정보, 정밀평균좌표정보, 2차 평균좌표정보를 각각 연산하여 모두 추출하고 최상의 값과 최하의 값을 제외한 나머지 3 개의 좌표정보를 또 다시 산술평균연산하여 최종좌표정보로 적용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이와 같이 좌표(위치)정보의 정밀성을 높이는 것은 밀집된 도시 지역에서는 층마다 다른 상가가 위치하고, 동일한 층에서도 수 미터 옆으로 이동하는 경우 다른 상가가 위치하는 등 밀도가 매우 높으므로 정밀한 좌표정보를 필요로 하는 요구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템플릿디자인부(1060)는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 입력된 색상, 마크, 기호, 표식,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디자인된 템플릿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한다. 템플릿에는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과 같이 연속되어 움직이는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지역환경정보부(1070)는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역환경정보를 오디오와 비디오와 기호문자가 포함되는 이미지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로 입력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한다.
여기서 지역환경정보는 해당 지역의 소개, 안내, 설명, 교통정보, 지형정보, 위치정보, 숙박정보, 상가정보 등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단순히 이미지로 표현되거나 문자로 표현되거나 오디오로 표현되거나 비디오로 표현되거나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거나 또는 이러한 표현 수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전자지도처리부(1080)는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 또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1 내지 20 킬로미터 범위의 지역에 해당하는 전자지도 정보를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3000)에 요청하고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3000)의 해당 제어에 의하여 수신 및 입력받는다.
전자지도처리부(1080)는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템플릿디자인부(1060)로부터 입력된 템플릿이 지정된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연계시켜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바탕이 되는 지도정보와 대응 상태로 축소 또는 확대되어 표시된다.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는 템플릿디자인부(1060)에서 디자인된 템플릿과 지역환경정보부(1070)에서 생성된 지역환경정보와 전자지도처리부에서 처리된 지도정보를 모두 연계시켜 사용자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한다.
에스엔에스프레임변환부(1090)는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와 SNS 통신경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하고 관리하며 송신되는 사용자지도 정보는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고 수신되는 지도환경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지도를 추출하여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에 전달한다.
선택된 상대방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노트북, 팜컴퓨터, 데이터 단말기 등이 포함되고,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0)와 함께 하나 이상 다수가 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지도환경프레임은 첨부된 도 6 에 상세히 잘 도시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frame)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일정한 크기로 정형화된 포맷(format) 또는 틀에 삽입시켜 송수신, 기록, 저장, 검색 등이 용이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한편, 프레임의 크기는 개발자 등에 의하여 임의의 크기로 결정할 수 있으며, 프레임에 기록하는 것은 프레임으로 변환 또는 암호화 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고, 프레임에 기록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복호화 또는 해독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정보를 프레임에 기록하는 것은 타인이 부당하게 프레임 정보를 취득하였다 하여도 프레임의 크기를 알지 못하면 해독 또는 복호화를 하지 못하므로 기록된 정보를 추출할 수 없게 되어 정보의 보안성이 매우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필드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각 필드는 기록되는 정보의 내용에 의하여 특정한 이름이 주어질 수 있고, 프레임이 사용되는 기술분야 또는 목적에 따라 특정한 이름이 부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지도환경프레임’으로 호칭하기로 한다.
지도환경프레임은 시작필드 영역, 제 1 내지 제 7 필드 영역, 제 1 내지 제 3 복사필드 영역, 체크필드 영역, 종료필드 영역으로 구성된다. 시작필드 영역에는 2 워드(word)가 할당되고, 제 1 내지 제 7 필드 영역에는 각각 4 워드가 할당되며, 제 1 내지 제 3 복사필드 영역에는 각각 6 워드가 할당되고, 체크필드 영역에는 10 워드가 할당되며, 종료필드 영역에는 2 워드가 할당되어 총 60 워드(word)로 이루어진다. 지도환경프레임에서의 1 워드는 25 바이트(byte)로 이루어지며, 1 바이트는 21 비트(bit)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비트는 디지털(digital) 신호에서 0 과 1을 표현하는 최소 단위의 디지트 이다.
시작필드영역은 지도환경프레임이 시작되는 위치를 알려주는 정보 또는 데이터와 지도환경프레임이 만들어진 시간과 발송지의 지리적 정보, 발송지의 좌표정보, 발송지의 인터넷 포트 정보, 목적지로 전송이 시작된 시간정보, 도착지 정보, 프레임모드가 기록된다.
제 1 내지 제 7 필드영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필드영역에는 송신하거나 수신할 사용자지도 정보가 기록된다. 선택되지 못한 필드영역은 공란(공백)으로 유지된다. 즉, 제 1 내지 제 7 필드영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필드 영역이 선택될 수 있으므로 필드영역의 선택에 의하여 7 개의 프레임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복사필드영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복사필드영역에는 송신하거나 수신할 사용자지도 정보가 동일하게 복사되어 반복 기록된다. 선택되지 못한 복사필드영역은 공란으로 유지된다. 반복 기록되는 이유는 전송오류를 줄이므로 전송 성공률을 높이게 된다. 한편, 제 1 내지 제 3 복사필드영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복사필드 영역이 선택될 수 있으므로 복사필드 영역의 선택에 의하여 3 개의 프레임모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필드영역의 선택에 의한 7 개 프레임모드와 복사필드 영역의 선택에 의하여 3 개 프레임모드의 조합에 의하여 총 21 개의 프레임모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측에서는 송신된 프레임모드를 모르게 되면 기록된 정보를 읽거나 추출하지 못하게 되므로 보안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체크필드영역은 지도환경프레임에 기록되어 전송된 사용자지도 정보에 전송 도중 오류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시알시(CRC : chech redundancy check) 체크 방식으로 확인 및 복구하고 해밍코드 방식에 의하여 다시 오류 확인 및 복구하며, 이러한 2 단계에 걸친 자체 복구로 극복되기 어려운 전송오류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내장되고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해당 프로그램에 의하여 지도환경프레임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종료필드영역에는 지도환경프레임이 종료되는 위치정보와 전송종료시간 정보 또는 목적지에 도착한 시간정보, 전송되는 과정에서 기록되는 경유지 정보, 경유지의 인터넷 포트 정보와 지리정보와 좌표정보, 도착한 목적지의 인터넷 포트 정보와 지리정보와 좌표정보가 포함되어 기록된다.
멀미입출력부(1100)는 지도휴대단말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오디오와 비디오와 기호문자가 포함되는 이미지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력과 출력하고 외부의 물리력에 의한 터치 신호를 입력한다. 멀미입출력부(1100)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신호는 명령, 데이터, 제어, 선택 등의 신호가 포함된다.
통신망(2000)은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이 포함되고 무선통신망의 경우 CDMA 방식과 W-CDMA 방식과 TRS 방식과 SSB 방식에 의한 이동통신 기능을 모두 구비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방식을 활성화 시켜 통신에 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지도액세스포인트(2500)는 비콘,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RFID 방식 무선기능부를 모두 구비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2 개 이상의 무선기능부를 동시에 활성화 시켜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0)와 무선접속하고 통신한다. 비콘,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RFID 방식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도액세스포인트(2500)는 지도 액세스포인트(AP : access point) 제어부(2510), 비콘무선부(2520), 와이파이무선부(2530), 불루투스부(2540), 지그비부(2550), 알에프아이디(RFID)부(2560), 적외선부(257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지도액세스포인트제어부(2510)는 지도액세스포인트(2500)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의 운용을 감시하고 제어한다.
비콘무선부(2520)는 지도액세스포인트제어부(251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 상태로 운영되고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와 비콘 통신방식으로 접속하여 사용자지도 정보가 기록된 지도환경프레임이 포함된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한다.
와이파이무선부(2530)는 지도액세스포인트제어부(251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 상태로 운영되고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와 와이파이 통신방식으로 접속하여 사용자지도 정보가 기록된 지도환경프레임이 포함된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한다.
불루투스부(2540)는 지도액세스포인트제어부(251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 상태로 운영되고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와 불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접속하여 사용자지도 정보가 기록되고 지도환경프레임이 포함된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한다.
지그비부(2550)는 지도액세스포인트제어부(251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 상태로 운영되고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와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여 사용자지도 정보가 기록되고 지도환경프레임이 포함된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한다.
알에프아이디부(2560)는 지도액세스포인트제어부(251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 상태로 운영되고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와 알에프아이디 통신방식으로 접속하여 사용자지도 정보가 기록되고 지도환경프레임이 포함된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한다.
적외선부(2570)는 지도액세스포인트제어부(251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 상태로 운영되고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와 적외선 통신방식으로 접속하여 사용자지도 정보가 기록되고 지도환경프레임이 포함된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한다.
비콘은 최신의 불루투수 통신 기술이고, 블루투스는 종래에 사용되는 통신방식으로 설명한다.
그러므로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0)는 통신망(2000)과 CDMA 방식, W-CDMA 방식, TRS 방식, SSB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접속하는 동시에 지도액세스포인트(2500)와는 비콘,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RFID 통신방식으로 동작하는 기능부 중에서 선택된 2 개 이상의 무선통신 기능부와 동시에 무선접속한다. 그러므로 한 번에 최소 3 개 방식의 무선 채널(경로)을 통하여 동시 접속하고 각각의 경로로 동일한 신호를 동시에 송신 또는 수신하므로 전송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건물 등에 의하여 무선환경이 좋지 않은 환경에서도 전송오류없이 사용자지도 정보를 송신과 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통신망(2000)은 지도액세스포인트(25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문맥에 적합하게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3000)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와 통신망(2000) 또는 지도액세서포인트(2500)를 경유하여 접속하고 최신버전의 공간지도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제공하며,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900)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한다.
SNS 운용서버(4000)는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3000)와 통신망(2000)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의 제어 또는 요청에 의하여 SNS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활성화 상태로 제공한다.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5000)는 기본이 되는 전자지도 정보를 모두 기록 저장하며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와 통신망(2000)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제어 또는 요청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지역이거나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가 현재 위치하는 지역의 기본적인 해당 전자지도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제공한다.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5000)는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3000)의 제어에 의하여 지정된 좌표정보를 중심으로 1 내지 20 킬로미터(Km) 반경의 5000 분에 1 축적 상태 지도정보를 제공한다. 좌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다시 변경된 좌표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반경의 지도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한정된 메모리 자원을 구비한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에 메모리 부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6000)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와 통신망(2000)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특정 위치에 해당되는 전자지도와 디자인된 템플릿에 연계된 지역환경정보로 이루어진 사용자지도 정보를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로부터 지도환경프레임으로 실시간 업로드하여 입력받고 지도환경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지도를 추출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과 실시간 제공하며 지정된 유알엘(URL) 주소와 연계시켜 기록 저장하고 유알엘(URL : uniform resource locaton) 주소 검색이 있으면 해당 사용자지도 정보를 60 워드로 이루어지는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시켜 제공한다.
유알엘(URL) 주소는 인터넷의 사이트 주소이며, 해당 주소를 직접 입력할 수 있으나 큐알(QR) 코드, 바(BAR) 코드 등으로 인식되도록 하여 자동 입력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6000)는 지도유알엘레이어제어부(6010)와 프레임변환부(6020)와 사용자지도 기록부(6030)와 유알엘 기록부(60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지도유알엘레이어제어부(6010)는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6000)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를 제어하고 감시한다.
프레임변환부(6020)는 지도유알엘레이어제어부(601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용자지도 정보를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거나 지도환경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지도 정보를 추출한다.
사용자지도 기록부(6030)는 지도유알엘레이어제어부(601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프레임변환부(6020)가 추출한 사용자지도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검색에 의하여 제공한다. 검색되어 제공되는 사용자지도 정보는 지도유알엘레이어제어부(601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프레임변환부(6020)에 인가되므로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된 상태로 제공된다.
유알엘기록부(6040)는 지도유알엘레이어제어부(601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용자지도 기록부(6030)에 기록 저장되는 각 사용자지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 또는 URL 주소가 기록 저장되고, 이와 같이 기록 저장되는 URL 주소는 사용자지도 기록부(6030)에 기록 저장되는 해당 사용자지도와 연계된 상태로 기록 저장된다.
공간지도메시지서버(7000)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와 통신망(2000)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3000)의 해당 제어에 의하여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600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되고 검색된 사용자지도를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며 상대방으로 지정된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0)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방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엘비에스서버(8000)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와 통신망(2000)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요청에 의하여 엘비에스(LBS) 서비스에 의한 엘비에스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엘비에스 서비스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에 구성된 제1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에 구성된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지도휴대단말기(1000), 통신망(2000), 지도액세스포인트(250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3000), SNS 운용서버(4000),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5000),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6000), 공간지도메시지서버(7000), 엘비에스서버(8000), 제2 지도휴대단말기(9000)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의하여 공간지도앱을 운용하는 해당 제어신호 또는 요청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010).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의하여 공간지도앱을 운용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최신버전의 공간지도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기록하고, 설치하여 운용한다(S1020).
여기서 제1 지도휴대단말기는 이미 최신 버전의 공간지도앱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거나 최신 버전이 운용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경우 현재 위치에서의 지피에스좌표정보와 엘비에스좌표정보를 각각 동일한 시각에 수신, 분석하여 추출하고 각각을 산술평균 연산하여 평균좌표정보로 추출한다(S1030).
제1 지도휴대단말기는 지피에스좌표정보와 엘비에스좌표정보와 평균좌표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지도휴대단말기는 소정 주기의 시간 단위, 일 예로, 0.1 초 내지 1 초 단위로 지피에스좌표정보와 엘비에스좌표정보와 평균좌표정보와 이미 설명된 정밀평균좌표정보와 2차 평균좌표정보를 추출하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좌표정보는 현재 위치에서의 위치(좌표) 정보로 활용되고, 이와 같이 정확성을 높인 좌표정보는 지도정보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1 지도휴대단말기는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SNS 통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104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와 실시간 접속되고 정보를 공유 상태가 설정되어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S1050).
제1 지도휴대단말기는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지도정보를 편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 또는 특정 위치의 지도정보를 다운로드 받고 디자인된 템플릿을 특정된 위치에 표시하며, 특정된 지역의 지역환경정보를 멀티미디어로 입력하고 모두 연계시켜 사용자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며 전송시켜 기록되도록 제어하고 감시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지도정보를 편집하는 제어 또는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1060),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위치하는 현재 위치 또는 입력되어 지정된 특정 위치의 지도정보를 상기 베이스전자지도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도록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를 제어하고 감시한다(S1070).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의하여 템플릿을 디자인하는 제어 또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1080),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색상, 마크, 기호, 표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템플릿을 디자인하고 지도정보의 지정된 특정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와 감시한다(S1090).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지역환경정보를 입력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1100), 지정된 특정 지역의 지역환경정보를 오디오와 비디오와 기호문자가 포함되는 이미지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로 입력한다(S1110).
제1 지도휴대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신호로 입력된 지역환경정보를 지정된 템플릿과 지도정보에 연계시켜 사용자지도를 생성하고(S1120), 생성된 사용자지도 정보를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여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전송하므로 지도유알엘레이어서버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S1130).
제1 지도휴대단말기는 분석된 명령신호가 사용자지도 정보를 지정된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에 메시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로 판단되면(S114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지도 정보가 메시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S1150).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의하여 분석된 명령신호가 사용자지도 정보를 유알엘 주소와 연계된 상태로 저장하는 제어신호로 판단되면(S116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지도 정보와 유알엘 주소를 연계된 상태로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S1170).
한편,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의하여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면(S2010),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서 운용 중인 앱 프로그램을 원격 무선접속에 의하여 검색한다(S202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의하여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서 공간지도앱이 설치되어 운용중인 것으로 판단되면(S2030), 앱의 버전을 확인하고(S2040), 최신 버전인지를 판단한다(S205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의하여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서 운용중인 앱이 최신버전이 아니거나 또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서 공간지도앱이 운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최신버전의 공간지도앱을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송되어 자동 설치와 운용되도록 제어한다(S206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엘비에스(LBS)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로 판단되면(S2070), 엘비에스서버에 접속하여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엘비에스 서비스로 확인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한다(S208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기본이 되는 지도정보의 요청 신호로 판단되면(S2090), 입력된 특정 좌표정보를 기준으로 소정 반경의 지도정보를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로부터 검색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제공한다(S210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SNS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로 판단되면(S2110), SNS 운용서버를 제어하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와 통신경로를 접속하고 활성화 상태로 설정시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S212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지도 정보를 업로드하여 입력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면(S2130),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를 제어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고 함께 업로드되어 입력된 유알엘 주소를 연계된 상태로 기록 저장한다(S214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지도를 메시지로 변환하여 지정된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150), 공간지도메시지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지도 정보가 메시지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2160).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유알엘(URL) 주소로 접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170),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에 접속하고 유알엘 주소에 연계되어 저장된 해당 사용자지도를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한다(S2180).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900 :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1000 : 제1 지도휴대단말기 2000 : 통신망
2500 : 지도액세스포인트 3000 :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
4000 : SNS 운용서버 5000 :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
6000 :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 7000 : 공간지도메시지서버
8000 : 엘비에스서버 9000 : 제2 지도휴대단말기

Claims (11)

  1. 삭제
  2. 기본이 되는 전자지도와 공간지도앱을 무선으로 다운로드 받고 현재 지역이거나 특정 지역에 대하여 체험하거나 학습된 지역환경정보를 전자지도의 해당 위치에 디자인된 템플릿과 연계시켜 표시한 사용자지도를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업로드하고 SNS로 선택된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1 지도휴대단말기;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최신버전의 상기 공간지도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하며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 및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와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제어에 의하여 SNS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제공하는 SNS 운용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요청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지역이거나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현재 위치하는 지역의 기본적인 해당 전자지도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제공하는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특정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전자지도와 디자인된 템플릿에 연계된 지역환경정보로 이루어진 사용자지도 정보를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로부터 지도환경프레임으로 실시간 업로드하여 입력받고 지도환경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지도를 추출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과 실시간 제공하며 지정된 유알엘 주소와 연계시켜 기록 저장하고 상기 유알엘 주소 검색에 의하여 사용자지도를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시켜 제공하는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상기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되고 검색된 상기 사용자지도를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며 상대방으로 지정된 제2 지도휴대단말기에 메시지로 전송하는 공간지도메시지서버; 및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하고 요청에 의하여 엘비에스 서비스에 의한 엘비에스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엘비에스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상기 통신망은 각각 CDMA 방식과 W-CDMA 방식과 TRS 방식과 SSB 방식의 무선통신기능부를 모두 구비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을 활성화 상태로 운용하여 무선접속 통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는
    상기 템플릿공간지도관리서버와 통신망을 경유하여 다수의 통신 방식으로 동시에 무선접속하고 각종 정보를 송신과 수신하는 지도정보무선통신부;
    상기 지도정보무선통신부와 접속하고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전체 운용을 제어와 감시하며 공간지도앱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설치하여 활성화 상태로 운영하는 지도휴대단말제어부;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피에스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하고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지피에스좌표정보로 실시간 출력하는 지피에스위치정보부;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엘비에스 신호를 입력하고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좌표정보를 추출 엘비에스좌표정보로써 실시간 출력하는 엘비에스위치정보부; 및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같은 시각에 추출하고 출력한 상기 지피에스좌표정보와 상기 엘비에스좌표정보를 각각 입력하고 산술 평균 연산하여 평균좌표정보로 실시간 출력하는 산술평균연산부; 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는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 입력된 색상, 마크, 기호, 표식,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디자인된 템플릿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는 템플릿디자인부;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지역환경정보를 오디오와 비디오와 기호문자가 포함되는 이미지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로 입력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는 지역환경정보부;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 또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1 내지 20 킬로미터 범위 지역의 해당 전자지도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 입력받고 상기 템플릿디자인부로부터 입력된 템플릿이 지정된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연계시켜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축소 또는 확대된 상태로 표시하는 전자지도처리부;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와 SNS 통신경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하고 관리하며 송신되는 사용자지도는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고 수신되는 지도환경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지도를 추출하는 에스엔에스프레임변환부; 및
    상기 지도휴대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오디오와 비디오와 기호문자가 포함되는 이미지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력과 출력하고 터치 신호를 입력하는 멀미입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환경프레임은
    상기 지도환경프레임이 시작되는 정보와 전송시작시간, 발송지, 해당 좌표정보, 도착지 정보가 기록되는 2 워드로 이루어지는 시작필드영역;
    상기 지역환경정보가 기록되거나 기록되지 않는 공란으로 유지되고 4 워드로 이루어지는 제 1 내지 제 7 필드영역;
    상기 지역환경정보가 중복 기록되거나 기록되지 않는 공란으로 유지되고 6 워드로 이루어지는 제 1 내지 제 3 복사필드영역;
    상기 지도환경프레임에 기록되어 전송된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를 시알시(CRC) 체크 방식으로 확인하고 해밍코드 방식에 의하여 자체 복구가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도환경프레임의 재전송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며 10 워드로 이루어지는 체크필드영역;
    상기 지도환경프레임이 종료되는 정보와 전송종료시간, 경유지, 해당 좌표정보, 기재된 데이터 비트의 숫자가 기록되며 2 워드로 이루어지는 종료필드영역; 을 포함하되,
    하나의 워드는 25 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바이트는 21 비트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비콘,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RFID 방식 무선기능부를 모두 구비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2 개 이상의 무선기능부를 동시에 활성화 시켜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 지도휴대단말기에 각각 접속하여 동시에 통신하는 지도액세스포인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7. 제1 지도휴대단말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 SNS 운용서버,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 공간지도메시지서버, 엘비에스서버, 지도액세스포인트, 제2 지도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공간지도앱을 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최신버전의 공간지도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기록, 설치, 운용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지피에스좌표정보와 엘비에스좌표정보를 각각 동일한 시각에 추출하고 산술평균 연산하여 평균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지피에스좌표정보와 상기 엘비에스좌표정보와 상기 평균좌표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SNS 통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와 실시간 접속되고 정보 공유 상태가 설정되어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도정보를 편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 또는 특정 위치의 지도정보를 다운로드 받고 디자인된 템플릿을 특정된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특정된 위치의 지역환경정보를 멀티미디어로 입력하고 모두 연계시켜 사용자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며 전송시켜 기록되도록 제어 감시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지도 정보를 지정된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에 메시지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지도 정보가 메시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지도 정보를 유알엘 주소와 연계된 상태로 저장하는 경우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지도 정보와 상기 유알엘 주소를 연계된 상태로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의 운용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지도정보를 편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위치 또는 지정된 특정 위치의 지도정보를 상기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도록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를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401 과정;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의하여 템플릿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선택된 색상, 마크, 기호, 표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템플릿을 디자인하고 상기 지도정보의 지정된 특정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402 과정;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지역환경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지정된 특정 지역의 지역환경정보를 오디오와 비디오와 기호문자가 포함되는 이미지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로 입력하고 상기 지도정보와 상기 템플릿과 상기 지역환경정보를 연계시켜 사용자지도를 생성하고 지도환경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에 전송하므로 상기 지도유알엘레이어서버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403 과정; 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의 운용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1 지도휴대단말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 SNS 운용서버,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 공간지도메시지서버, 엘비에스서버, 지도액세스포인트, 제2 지도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운용중인 앱을 검색하고 앱이 운용중인 경우는 최신 버전의 앱으로 갱신시키며 앱이 운용되지 않고 있으면 최신 버전의 앱을 다운로드로 제공하여 자동으로 설치되고 운용되도록 제어하는 제 11 단계;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엘비에스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엘비에스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엘비에스 서비스로 확인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 12 단계;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지도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특정 좌표정보 기준 소정 반경의 지도정보를 상기 베이스전자지도 관리서버로부터 검색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제공하는 제 13 단계; 및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SNS 접속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SNS 운용서버를 제어하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와 통신경로를 접속하고 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 14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사용자지도 정보를 업로드하여 입력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를 제어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고 업로드되어 입력된 유알엘 주소를 연계된 상태로 기록 저장하는 제 15 단계;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지도를 메시지로 지정된 상대방 또는 제2 지도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공간지도메시지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지도 정보가 메시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 16 단계; 및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 상기 제2 지도휴대단말기, 상기 지정된 상대방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유알엘 주소로 접속하는 경우 상기 지도유알엘레이어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유알엘 주소에 연계되어 저장된 상기 사용자지도를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 17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표정보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지피에스 좌표정보와 엘비에스 좌표정보와 평균좌표정보의 오차를 분석하여 오차범위가 가장 큰 어느 하나의 값을 제외한 2 개의 좌표정보 값을 다시 산술평균 연산한 값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1 단계는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가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서 운용중인 앱을 검색하는 제 1101 과정; 및
    상기 템플릿공간지도 관리서버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지도휴대단말기에서 공간지도앱이 운용중인지 판단하고, 공간지도앱이 운용중이면 최신버전인지를 판단하고 최신버전이 운용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공간지도앱이 운용되지 않고 있으면 최신버전의 공간지도앱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고 운용되도록 제어와 감시하는 제 1102 과정; 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60049358A 2016-04-22 2016-04-22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823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58A KR101823666B1 (ko) 2016-04-22 2016-04-22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58A KR101823666B1 (ko) 2016-04-22 2016-04-22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887A KR20170120887A (ko) 2017-11-01
KR101823666B1 true KR101823666B1 (ko) 2018-01-31

Family

ID=6038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3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23666B1 (ko) 2016-04-22 2016-04-22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967B1 (ko) 2021-02-09 2021-08-12 신성이앤에스주식회사 Gis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자원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730137B1 (ko) * 2023-04-10 2024-11-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Nft 기반의 체험활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880B1 (ko) 2014-09-24 2015-09-01 톡크 주식회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의 모바일 위치기반 공개정보 공유서비스 어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880B1 (ko) 2014-09-24 2015-09-01 톡크 주식회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의 모바일 위치기반 공개정보 공유서비스 어플리케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887A (ko)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082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지도기반 사용자생성콘텐츠 개인정보단말기, 공유시스템 및 운용방법
US7519376B2 (en) Navigating method for cell phone with positioning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CN101340500B (zh) 用于产生具有物体信息的图像文件的方法和装置
CN101087308B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设备以及信息处理方法
US89760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mark on electronic map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US20080104649A1 (en) Automatic association of reference data with primary process data based on time and shared identifier
CN105229634A (zh) 数据迁移框架
SE522917C2 (sv) Mobilkommunikationssystem vilket möjliggör positionsassocierade medelanden
US20050213551A1 (en) Method of managing and viewing image data
US20120317202A1 (en) GPS Pathfinder Cell Phone And Method
US20100293255A1 (en) Open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open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centr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CN101510208A (zh) 一种基于高精度定位的旅游景点智能导游系统
KR101785327B1 (ko) 지도기반 낙서와 트래킹 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 및 운용방법
CN101019404A (zh) 用于从多个源无线下载媒体对象的能力的系统和方法
US200200851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CN103473253A (zh) 经地理编码的数据的检测及用于其的用户界面
KR20140018635A (ko) 위치기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커뮤니티 기반의 음식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10225151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lassifying digital media files based on associated geographical identification metadata
KR101823666B1 (ko) 지도정보를 템플릿으로 디자인하고 업로드하여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1624133B1 (ko) 위치 기반의 컨텐츠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CN101179643A (zh) 传送影像文件位置信息并在地理信息系统中识别的方法
EP1534024B1 (en) Retrieval of positional data for a location by a mobile station from an information service
US20040224699A1 (en) Targeted information access via portable device
CN116092098B (zh) 模型训练方法和终端设备
KR20170112707A (ko)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401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125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