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832B1 - Separato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 Google Patents
Separato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2832B1 KR101822832B1 KR1020160110999A KR20160110999A KR101822832B1 KR 101822832 B1 KR101822832 B1 KR 101822832B1 KR 1020160110999 A KR1020160110999 A KR 1020160110999A KR 20160110999 A KR20160110999 A KR 20160110999A KR 101822832 B1 KR101822832 B1 KR 1018228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wby gas
- duct
- combustion engine
- internal combustion
- fil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0705 motor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8—Separating lubricant from air or fuel-air mixture before entry into cylind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033—Breather inlet-air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내연기관의 행정에 의해 발생하는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분리하는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로서, 내연기관의 헤드커버에 설치되고 블로바이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덕트 본체와 상기 덕트 본체의 상부를 차폐하고 블로바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블로바이가스가 상기 유입구에서 배출구로 흐를 수 있게 유로가 형성된 덕트 커버로 이루어진 덕트와 상기 덕트의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블로바이가스에 회류를 유도하여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분리하는 회류유도수단 및 상기 회류유도수단의 후방에 설치되며 블로바이가스와의 충돌에 의해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분리하며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임팩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가 개시된다.Disclosed is a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separates evaporative engine oil from blowby gas generated by the strok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separator is provided on a head cov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has an inlet port through which blowby gas is introduced A duct including a duct body and a duct cover for shielding an upper portion of the duct body and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 blowby gas is discharged so that blowby gas can flow from the inlet to the discharge port, A reflux induction means for introducing a reflux stream into the blowby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separating the evaporated engine oil from the blowby gas and a reflux induction means provided in the rear of the reflux induction means for causing the evaporation engine Separation of oil and filtration of foreign matter contained in blow- The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is star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연기관의 행정에 의해 발생하는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매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pable of highly efficiently separating evaporative engine oil from blowby gas generated by the strok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과 같은 내연기관은 폭발행정시 유입공기와 연료 및 약간의 엔진오일 등이 실린더의 내부에서 함께 폭발한다. 이때, 실린더는 유입공기와 불완전 연소된 연료 및 증발된 약간의 증발엔진오일이 혼합된 블로바이가스가 생성된다.Generally,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n engine of a vehicle explodes the intake air, fuel, and a little engine oil together in the cylinder during the explosion stroke. At this time, the cylinder produces blowby gas mixed with the inflow air, incompletely combusted fuel, and a little evaporated engine oil.
이러한 블로바이가스는 대부분 배기메니폴더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일부의 블로바이가스는 배기메니폴더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린더 상부의 헤드커버로 유입된다. 따라서, 내연기관은 헤드커버로 유입되는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된 엔진오일을 회수하는 동시에 블로바이가스를 실린더로 재공급하기 위해 세퍼레이터가 설치된다.Most of these blowby gase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manifold. However, some of the blowby gas can not be discharged to the exhaust manifold and flows into the head cover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Accordingly,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provided with a separator for recovering the engine oil evaporated in the blowby gas flowing into the head cover, and for re-supplying the blowby gas to the cylinder.
본 발명에 선행된 세퍼레이터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4035호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054035 entitled "Sepa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as a separator preceded by the present invention.
선행기술의 세퍼레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연기관의 헤드커버(HC)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유입구(52)로 유입되는 블로바이가스를 배플(54)에 의해 증발엔진오일을 1차로 분리하는 덕트(50)와, 덕트(50)를 경유한 블로바이가스를 원형유로(62)를 통해 회전시키면서 증발엔진오일을 2차로 분리하는 원심분리기(60)와, 배출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됨에 따라 블로바이가스를 와류시키면서 증발엔진오일을 3차로 분리하는 사이클론(70)과, 블로바이가스의 압력을 댐핑하면서 배출공(82)을 갖는 댐핑챔버(80) 및 블로바이가스를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하는 레귤레이터(90)로 구성된다.The separator of the prior art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head cover HC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shown in Fig. 1, and the blowby gas introduced into the
이러한 선행기술의 세퍼레이터는 유입구로 유입된 블로바이가스가 원심분리기(60) 및 사이클론(70)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댐핑챔버(80)를 통해 배출공(82)으로 배출되면서 증발엔진오일이 분리되어 사이클론(70)에 마련된 오일공(72)으로 배출되는 구성이다.In this prior art separator, the blowby gas introduced into the inlet flows sequentially through the
하지만, 선행기술의 세퍼레이터는 블로바이가스로부터 증발엔진오일을 1차로 분리하는 덕트(50)가 평면적 구조를 갖기 때문에 블로바이가스와 덕트(50)의 접촉면적이 부족하여 증발엔진오일을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eparator, since the
또한, 선행기술의 세퍼레이터는 블로바이가스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가 마련되지 않아 이물질을 여과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블로바이가스가 유입구에서 배출공으로 이동하는 중에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 세퍼레이터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의 벽면에 고착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parator of the prior art does not have a separate filter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blowby gas, it is difficult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and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blowby gas during the blowby gas movement from the inlet to the exhaust ho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flow path formed inside the separa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으며, 블로바이가스와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와류의 발생을 활발하게 하여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는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has an object of providing a vacuum cleaner having a simple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separating and recovering evaporative engine oil in blowby gas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blowby ga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또한,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여과하여 세퍼레이터에 형성된 유로의 벽면에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pable of easily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blowby gas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adhering to the wall surface of the flow path formed in the separator.
또한, 블로바이가스의 유속에 따라 세퍼레이터의 유로 흐름이 체류하지 않도록 가변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varied so that the flow of a flow of a separator does not stagnate according to the flow velocity of the blowby ga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내연기관의 행정에 의해 발생하는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분리하는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로서, 내연기관의 헤드커버에 설치되고 블로바이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덕트 본체와 상기 덕트 본체의 상부를 차폐하고 블로바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블로바이가스가 상기 유입구에서 배출구로 흐를 수 있게 유로가 형성된 덕트 커버로 이루어진 덕트와 상기 덕트의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블로바이가스에 회류를 유도하여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분리하는 회류유도수단 및 상기 회류유도수단의 후방에 설치되며 블로바이가스와의 충돌에 의해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분리하며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임팩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ch separates evaporative engine oil from blowby gas generated by the strok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separator being provided on a head cover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duct cover formed with a duct for shielding an upper portion of the duct body and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blowby gas is discharged so that the blowby gas can flow from the inlet to the discharge port, Which is provided in a flow path of the blow-by gas and induces a flow of the blow-by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o separate the evaporative engine oil from the blow-by gas, and a blow- It separates the evaporating engine oil from the blowby gas and removes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blowby gas. Wherein the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es an impactor for filtering.
여기서, 상기 회류유도수단은 상기 덕트에 물결형태의 유로를 형성하여 블로바이가스를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부 및 상기 각각의 안내부 표면에서 돌출되고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도록 간극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flux induction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for guiding blowby gas by forming wave-shaped flow paths in the duct, a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urfaces of the guide portions and forming gaps for allowing the blowby gas to pass therethrough .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부의 표면에서 블로바이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blow-by gas is introduced from the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또한, 상기 회류유도수단은 상기 덕트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제각기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formed in the duct and the slits through which the blowby gas passes are formed on the partition walls.
그리고, 상기 격벽은 블로바이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decreases as the blowby gas is discharged.
이때, 상기 격벽에 제각기 형성되는 슬릿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lits formed on the barrier ribs are preferably stagger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임팩터는 상기 회류유도수단을 향하는 일면에 복수의 유입노즐이 형성된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전방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며 그 하부에 상기 블로바이가스가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된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전방 플레이트와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며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며 이물질을 여과하는 다공성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pactor may further include a fron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nozzle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facing the return induction unit, a rear plate spaced from the front plate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blowby gas is discharged, And a filter made of a porous material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through the blowby gas.
또한, 상기 전방 플레이트는 그 배면에 상기 필터를 상기 후방 플레이트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ront plate has a pressing protrusion formed on the back surface thereof for pressing the filter toward the rear plate.
또한, 상기 후방 플레이트는 상기 필터의 양 측면을 폐쇄하는 차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차폐 돌기는 그 하부에 상기 필터가 안치되는 지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ar plate includes a shielding protrusion for closing both sides of the filter, and the shielding protrusion is formed with a support protrusion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그리고, 상기 덕트 본체는 그 상면에 상기 임팩터의 하단 형태에 상응하는 안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임팩터가 상기 안치 홈에 안치되어 초음파 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uct bod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with an intern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hape of the impactor, and the impactor is placed in the internal groove to be ultrasonically welded.
또한, 상기 임팩터는 상기 회류유도수단을 향하는 일면에 복수의 유입노즐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노즐을 통과한 블로바이가스가 상부에 형성된 그릴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차폐된 구조를 갖는 임팩트 챔버와 상기 임팩트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유입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블로바이가스의 유속에 따라 피벗 회전하는 필터 프레임 및 상기 필터 프레임에 장착되고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며 이물질을 여과하는 다공성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pactor includes an impact cha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inflow nozzl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mpactor toward the reflux inducing means and the blowby gas passing through the inflow nozzle is shielded to be discharged only through a grill formed on the impactor, And a porous filter mounted on the filter frame and passing through the blowby gas and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the filter frame being pivotally rotated according to the flow velocity of the blowby gas flowing through the inflow nozzle .
또한, 상기 필터 프레임은 그 상단 양측에 힌지 핀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핀에 상응하여 상기 임팩트 챔버의 상단 양측에 힌지 블록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 프레임이 상기 임팩트 챔버의 내부에서 피벗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frame is formed with hinge pins on both sides of its upper end and a hinge block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impact chamber corresponding to the hinge pin so that the filter frame pivots inside the impact chamber .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블로바이가스가 회류유도수단을 지나면서 증발엔진오일을 1차적으로 분리하게 되고, 회류유도수단을 지난 블로바이가스는 임팩터를 지나면서 증발엔진오일을 2차적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블로바이가스에 함유된 이물질이 필터에 여과되어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pa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by gas passes through the return induction means to primarily separate the evaporating engine oil, and the blowby gas passing through the return inducing means passes the impactor, And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blowby gas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to effectively separate and recover the evaporated engine oil from the blowby ga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임팩터에 개재된 필터에 의해 블로바이가스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때문에 이물질이 덕트의 내부 벽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blowby gas are filtered by the filter interposed in the impactor, th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sticking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uct.
도 1은 종래의 세퍼레이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 중 회류유도수단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 중 회류유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 중 회류우도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 중 임팩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임팩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임팩터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parator.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lux induction means of the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flux induction means of the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circulation likelihood means among the separator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mpactor of the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mpactor according to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mpactor according to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 중 회류유도수단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lux induction means in the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는, 덕트 본체(110)와 덕트 커버(120)로 이루어진 덕트(100), 덕트(10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에 설치되어 유로를 따라 흐르는 블로바이가스에 회류를 유도하여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분리하는 회류유도수단(130) 및 회류유도수단(130)의 후방에 설치되며 블로바이가스와의 충돌에 의해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분리하며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임팩터(140)로 구성된다.The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부연하자면, 덕트(100)는 내연기관의 헤드커버에 마련되어 블로바이가스를 이송하는 관체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덕트(100)는 헤드커버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헤드커버와 별도로 제조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덕트(100)는 내연기관의 헤드커버에 설치되고 블로바이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2)가 형성된 덕트 본체(110)와 상기 덕트 본체(110)의 상부를 차폐하고 블로바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122)가 형성되어 블로바이가스가 유입구(112)에서 배출구(122)로 흐를 수 있게 유로가 형성된 덕트 커버(120)로 이루어진다.The
덕트 본체(110)는 내연기관의 행정에 의해 발생한 블로바이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2)가 형성되고, 덕트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 커버(120)에 블로바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122)가 형성된다.The
즉, 유입구(112)는 덕트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되고, 이에 블로바이가스는 유입구(112)를 통해 상향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되며, 덕트 본체(110)의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블로바이가스는 덕트 커버(120)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이동하여 덕트 커버(120)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된다.In other words, the
그리고, 덕트 커버(120)에 형성된 배출구(122)에 인접한 덕트 본체(110)의 저면에 오일 드레인(116)이 형성되고, 오일 드레인(11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류유도수단(130)과 임팩터(140)를 거치면서 블로바이가스에서 분리된 증발엔진오일을 집유하는 오일 트랩과, 오일 트랩에 집유된 증발엔진오일을 배출하는 오일 배출구로 이루어진다.2 and 3, the
이와 같이 블로바이가스가 덕트(100)에 형성된 유입구(112)와 배출구(122)를 연결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하게 될 때 회류유도수단(130)에서 증발엔진오일을 1차적으로 분리하게 되고, 임팩터(140)는 회류유도수단(130)을 거친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2차적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게 된다.When the blowby gas moves along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회류유도수단(130)은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블로바이가스에 회류를 유도하여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1차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회류유도수단(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00)에 물결형태의 유로를 형성하여 블로바이가스를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부(131) 및 각각의 안내부(131) 표면에서 돌출되고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도록 간극을 형성하는 돌출부(132)로 구성된다.The reflux induction means 130 induces a reflux to the blowby gas introduced through the
이와 같이 덕트 본체(110)에 형성된 유입구(112)와 인접하여 회류유도수단(130)이 마련되면 유입구(112)를 통해 덕트(100)의 내부로 이동한 블로바이가스는 물결형태의 안내부(131)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안내부(131)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32)를 지나면서 와류가 발생하게 되어 블로바이가스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안내부(131)와 돌출부(132)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증발엔진오일이 1차적으로 분리된다.When the flow induction means 13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이렇게,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증발엔진오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내부(131)의 표면에서 상대편 안내부(131)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 돌출부(132)에 의해 분리될 수도 있지만 돌출부(13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131)의 표면에서 블로바이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evaporative engine oil contained in the blowby gas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2)가 안내부(131)의 표면에서 블로바이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돌출부(132)와 블로바이가스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블로바이가스의 유체 이동에 대한 저항이 증가하여 와류의 발생을 더욱 활발하게 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류의 발생이 활발하게 되면 블로바이가스가 안내부(131) 또는 돌출부(132)의 표면과 접촉하는 기회가 많아져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다.4, when the projecting
그리고, 상기와 같은 회류유도수단(130)은 물결형태의 안내부(131)와 돌출부(132)에 의해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이 분리될 수 있게 와류를 발생시킬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00)의 유로 상에 다수의 격벽(133)이 형성되고 격벽(133)에 제각기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는 슬릿(134)이 형성되어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1차적으로 분리할 수도 있다.The flow induction means 130 may generate a vortex so that the evaporative engine oil can be separated from the blowby gas by the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00)의 유로 상에 다수의 격벽(133)이 형성되고 격벽(133)에 제각기 슬릿(134)이 형성되는 경우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블로바이가스가 격벽(133)의 전방에서 와류를 일으키면서 슬릿(134)을 통과하게 되고, 슬릿(134)을 통과한 블로바이가스는 다음번 격벽(133)에서 다시 와류를 일으키는 이동을 반복하게 되면서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다.5, when a plurality of
이와 같이, 슬릿(134)이 형성된 다수의 격벽(133)은 덕트(100)의 유로에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바이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작아지게 되어 격벽(133)의 자유단과 덕트 본체(110) 간의 빈 공간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이와 같이 블로바이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격벽(133)의 높이가 작아지게 되어 격벽(133)의 자유단과 덕트 본체(110) 간의 공간이 증가하게 되면 블로바이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블로바이가스의 유체 이동에 대한 저항이 감소하게 되어 블로바이가스의 이동을 신속하게 하면서도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As the height of the
또한, 상기와 같이 다수의 격벽(133)이 형성될 때 격벽(133)에 제각기 형성되는 슬릿(134)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격벽(133)에 제각기 형성된 슬릿(134)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면 블로바이가스가 다수의 격벽(133)을 일순간에 통과하지 않고 격벽(133)과 격벽(133) 사이에서 와류를 일으킨 후 통과하기 때문에 격벽(133)의 표면과 블로바이가스의 접촉 기회가 증가되어 증발엔진오일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한편, 회류유도수단(130)의 후방에는 블로바이가스와의 충돌에 의해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2차적으로 분리하며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임팩터(14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n
이러한 임팩터(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플레이트(141)와 후방 플레이트(142) 및 전방 플레이트(141)와 후방 플레이트(142) 사이에 마련되는 필터(143)로 구성된다.2 and 3, the
부연하자면, 전방 플레이트(141)는 회류유도수단(130)을 향하는 일면에 복수의 유입노즐(141a)이 형성된 평판의 형태를 갖게 되는데, 회류유도수단(130)을 통과한 블로바이가스는 전방 플레이트(141)에 형성된 유입노즐(141a)로 인입되기 전에 와류를 발생시키게 되어 블로바이가스가 전방 플레이트(141)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증발엔진오일을 분리하게 된다.The
또한, 전방 플레이트(141)의 후방에는 전방 플레이트(141)와 이격되며 그 하부에 블로바이가스가 배출되는 개구(142a)가 형성된 후방 플레이트(142)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후방 플레이트(142)는 전방 플레이트(141)와 동일하게 평판의 형태를 갖는다.A
그리고, 필터(143)는 전방 플레이트(141)와 후방 플레이트(142) 사이에 마련되어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143)는 바람직하게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져 블로바이가스가 필터(143)를 통과하면서 증발엔진오일의 분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143)가 포집하게 된다.The
즉, 다공성 재질의 필터(143)는 전방 플레이트(141)와 후방 플레이트(142) 사이에 개재되어 전방 플레이트(141)에서 후방 플레이트(142)로 블로바이가스가 이동하는 중에 필터(143)를 통과하면서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분리시키게 된다.That is, the
상기와 같이, 필터(143)가 전방 플레이트(141)와 후방 플레이트(142)에 개재될 때 필터(143)는 덕트(1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후방 플레이트(142)는 필터(143)의 양 측면을 폐쇄하는 차폐 돌기(142b)가 형성되고, 차폐 돌기(142b)는 그 하부에 필터(143)가 안치되는 지지 돌기(142c)가 형성된다.When the
이렇게, 필터(143)가 지지 돌기(142c)에 의해 덕트 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면, 필터(143)와 덕트 본체(11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개구(142a)를 통해 전방 플레이트(141)와 후방 플레이트(142) 사이에서 분리된 증발엔진오일은 개구(142a)를 통해 오일 드레인(116)으로 원활하게 흘러나가는 유로를 형성하여 증발엔진오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When the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 플레이트(141)와 후방 플레이트(142) 사이에 필터(143)가 개재될 때 필터(143)가 후방 플레이트(142)에 밀착되도록 전방 플레이트(141)는 그 배면에 필터(143)를 후방 플레이트(142)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돌기(141b)가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이, 전방 플레이트(141)에 형성된 가압 돌기(141b)에 의해 필터(143)가 후방 플레이트(142)에 밀착되면 전방 플레이트(141)의 유입노즐(141a)을 통해 유입된 블로바이가스가 필터(143)를 완벽하게 통과하게 되면서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When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방 플레이트(141)와 후방 플레이트(142) 및 필터(143)로 구성된 임팩터(140)가 덕트 본체(110)의 상면에 설치될 때 임팩터(14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블로바이가스가 필터(143)를 통해 후방 플레이트(14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덕트 본체(110)의 상면에 임팩터(140)의 하단 형태에 상응하는 안치 홈(114)이 형성되어 임팩터(140)가 상기 안치 홈(114)에 안치되어 초음파 용착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의 작동을 설명하면, 덕트 본체(110)의 유입구(112)를 통해 블로바이가스가 덕트(100) 내로 상향으로 유입되면, 회류유도수단(130)을 지나면서 블로바이가스는 와류가 발생하게 되면서 회류유도수단(130)의 안내부(131) 및 돌출부(132)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블로바이가스 내에 함유된 증발엔진오일이 1차적으로 분리된다.When the blowby gas flows upward into the
그리고, 회류유도수단(130)을 통과한 블로바이가스는 임팩터(140)로 이동하여 전방 플레이트(141)에 형성된 유입노즐(141a)로 유입되고, 유입노즐(141a)로 유입된 블로바이가스는 필터(143)를 거치면서 증발엔진오일을 2차적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블로바이가스 내에 함유된 이물질이 필터에 여과되어 증발엔진오일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blowby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low inducing means 130 moves to the
그리고, 필터(143)를 통과한 블로바이가스는 후방 플레이트(142)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142a)를 통해 덕트 커버(12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전방 플레이트(141)와 필터(143)에 의해 블로바이가스에서 분리된 증발엔진오일은 덕트 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오일 드레인(116)으로 배출된다.The blowby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블로바이가스가 회류유도수단(130)을 지나면서 증발엔진오일을 1차적으로 분리하게 되고, 회류유도수단을 지난 블로바이가스는 임팩터(140)를 지나면서 증발엔진오일을 2차적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블로바이가스에 함유된 이물질이 필터(143)에 여과되어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blowby gas passes through the return induction means 130 to primarily separate the evaporative engine oil, and the blowby gas passing through the return induction means, 140. At the same tim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blowby gas is filtered by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임팩터(140)에 개재된 필터(143)에 의해 블로바이가스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때문에 이물질이 덕트(100)의 내부 벽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blowby gas are filtered by the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예를 들어, 임팩터(140)는 앞서 설명한 전방 플레이트(141)와 후방 플레이트(142) 및 필터(143)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를 도 6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For example,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 중 임팩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임팩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따른 임팩터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mpactor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mpactor according to FIG. 6, and FIG.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mpactor according to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블로바이가스가 과도한 유속으로 임팩터(140)로 유입되는 것에 따라 임팩터(140)에 설치된 필터(143)가 가변되어 블로바이가스의 일부가 필터(143)를 통과하지 않고 임팩터(140)를 통과할 수 있게 임팩터(140)는 임팩트 챔버(144)와 필터 프레임(145) 및 필터 프레임(145)에 장착되고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며 이물질을 여과하는 다공성 재질의 필터(143)로 구성된다.As the blowby gas flows into the
부연하자면, 임팩트 챔버(144)는 회류유도수단(130)을 향하는 일면에 복수의 유입노즐(144d)이 형성되되 유입노즐(144d)을 통과한 블로바이가스가 임팩트 챔버(144)의 상면에 형성된 그릴(144b)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차폐된 구조를 갖는다.The
또한, 필터 프레임(145)은 임팩트 챔버(144)와 임팩트 챔버(144)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입노즐(144d)을 통해 유입되는 블로바이가스의 유속에 따라 피벗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The
이를 위해, 필터 프레임(145)은 그 상단 양측에 힌지 핀(145a)이 형성되고, 힌지 핀(145a)에 상응하여 임팩트 챔버(144)의 상단 양측에 힌지 블록(144a)이 형성되어 필터 프레임(145)이 임팩트 챔버(144)의 내부에서 피벗 회전할 수 있게 된다.A
상기와 같이, 임팩트 챔버(144)에 힌지 블록(144a)이 형성될 때 필터 프레임(145)이 임팩트 챔버(144)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임팩트 챔버(144)의 일면과 인접한 상면에 필터 프레임(145)이 삽입되는 삽입 홀(144c)이 형성되고, 삽입 홀(144c)의 양측으로 힌지 블록(144a)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렇게, 임팩트 챔버(144)의 상부에 삽입 홀(144c)이 형성되고 삽입 홀(144c)의 양측으로 힌지 블록(144a)이 형성되면 필터 프레임(145)을 삽입 홀(144c)에 삽입시키면서 필터 프레임(145)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힌지 핀(145a)을 힌지 블록(144a)에 안치하게 된다.When the
그리고, 삽입 홀(144c)의 형성된 임팩트 챔버(14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146)을 설치하여 마감함으로써, 삽입 홀(144c)을 통해 블로바이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이와 같이, 임팩터(140)가 임팩트 챔버(144)와 필터 프레임(145) 및 필터(143)로 구성되어 필터 프레임(145)이 임팩트 챔버(144) 내에서 피벗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 내연기관의 행정에 의해 발생하는 블로바이가스가 과도한 유속으로 회류유도수단(130)을 거쳐 임팩터(140)로 유입되는 경우 블로바이가스의 유속에 의해 필터 프레임(145)의 하단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팩트 챔버(144)에 형성된 그릴(144b)을 향해 피벗 회전하게 되면서 블로바이가스의 일부가 필터(143)를 통과하지 않고 임팩터(140)를 통과하게 되어 블로바이가스가 임팩터(140) 내부에 체류하지 않고 신속하게 배출되어 블로바이가스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100 : 덕트 110 : 덕트 본체
112 : 유입구 114 : 안치 홈
116 : 오일 드레인 120 : 덕트 커버
122 : 배출구 130 : 회류유도수단
131 : 안내부 132 : 돌출부
133 : 격벽 134 : 슬릿
140 : 임팩터 141 : 전방 플레이트
141a : 유입노즐 141b : 가압 돌기
142 : 후방 플레이트 142a : 개구
142b : 차폐 돌기 142c : 지지 돌기
143 : 필터 144 : 임팩트 챔버
144a : 힌지 블록 144b : 그릴
144c : 삽입 홀 145 : 필터 프레임
145a : 힌지 핀 146 : 캡100: duct 110: duct body
112: inlet 114:
116: Oil drain 120: Duct cover
122: exhaust port 130:
131: guide part 132:
133: partition wall 134: slit
140: Impactor 141: Front plate
141a:
142:
142b: shielding
143: Filter 144: Impact chamber
144a:
144c: insertion hole 145: filter frame
145a: Hinge pin 146: Cap
Claims (5)
내연기관의 헤드커버에 설치되고 블로바이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덕트 본체와 상기 덕트 본체의 상부를 차폐하고 블로바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블로바이가스가 상기 유입구에서 배출구로 흐를 수 있게 유로가 형성된 덕트 커버로 이루어진 덕트;
상기 덕트의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블로바이가스에 회류를 유도하여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분리하는 회류유도수단; 및
상기 회류유도수단의 후방에 설치되며 블로바이가스와의 충돌에 의해 블로바이가스에서 증발엔진오일을 분리하며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임팩터;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터는
상기 회류유도수단을 향하는 일면에 복수의 유입노즐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노즐을 통과한 블로바이가스가 상부에 형성된 그릴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차폐된 구조를 갖는 임팩트 챔버;
상기 임팩트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유입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블로바이가스의 유속에 따라 피벗 회전하는 필터 프레임; 및
상기 필터 프레임에 장착되고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며 이물질을 여과하는 다공성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
1. A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ch separates evaporative engine oil from blowby gas generated by the strok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 duct body provided in the head cover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blowby gas flows,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duct body is shielded and blowby gas is discharged to allow the blowby gas to flow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 duct comprising a duct cover having a flow path formed therein;
A reflux inducing means provided in the duct of the duct for inducing a reflux to the blowby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o separate the evaporated engine oil from the blowby gas; And
And an impact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eflux inducing means for separating evaporative engine oil from the blowby gas by collision with the blowby gas and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blowby gas,
The impactor
An impact cha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inflow nozzl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mpact inducing unit facing the flow inducing unit and the blowby gas passing through the inflow nozzle is shielded to be discharged only through a grill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 filter frame installed inside the impact chamber and pivotally rotating according to a flow rate of the blowby gas flowing through the inflow nozzle; And
And a porous filter mounted on the filter frame and blowing the blowby gas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상기 회류유도수단은
상기 덕트에 물결형태의 유로를 형성하여 블로바이가스를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부; 및
상기 각각의 안내부 표면에서 돌출되고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도록 간극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for guiding the blowby gas by forming a wavy flow path in the duct; And
A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surfaces of the respective guide portions and forming gaps to allow blowby gas to pass therethrough.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부의 표면에서 블로바이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trusion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blow-by gas is introduced from the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상기 회류유도수단은
상기 덕트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제각기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Wherein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formed in the duct and a slit is formed in each of the partition walls to allow blowby gas to pass therethroug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0999A KR101822832B1 (en) | 2016-08-30 | 2016-08-30 | Separato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0999A KR101822832B1 (en) | 2016-08-30 | 2016-08-30 | Separato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2832B1 true KR101822832B1 (en) | 2018-01-29 |
Family
ID=6102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0999A Active KR101822832B1 (en) | 2016-08-30 | 2016-08-30 | Separato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283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29849A (en) * | 2018-08-24 | 2020-02-2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Oil separator unit |
US11015500B2 (en) | 2018-10-19 | 2021-05-25 | Hyundai Motor Company | Blow-by gas oil separator |
EP3891369A4 (en) * | 2018-12-06 | 2022-11-16 | Cummins Filtration IP, Inc. | CHIMNEY FOR IMPACT NOZZLES AND INTEGRATED ARRANGEMEN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1321884Y (en) * | 2008-11-12 | 2009-10-07 |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 Engine oil-gas prefilter |
JP2013053523A (en) * | 2011-08-31 | 2013-03-21 | Toyota Boshoku Corp | Oil separator |
JP2016098711A (en) * | 2014-11-20 | 2016-05-30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2016
- 2016-08-30 KR KR1020160110999A patent/KR10182283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1321884Y (en) * | 2008-11-12 | 2009-10-07 |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 Engine oil-gas prefilter |
JP2013053523A (en) * | 2011-08-31 | 2013-03-21 | Toyota Boshoku Corp | Oil separator |
JP2016098711A (en) * | 2014-11-20 | 2016-05-30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Internal combustion engin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29849A (en) * | 2018-08-24 | 2020-02-2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Oil separator unit |
US10837332B2 (en) | 2018-08-24 | 2020-11-17 | Honda Motor Co., Ltd. | Oil separator unit |
US11015500B2 (en) | 2018-10-19 | 2021-05-25 | Hyundai Motor Company | Blow-by gas oil separator |
EP3891369A4 (en) * | 2018-12-06 | 2022-11-16 | Cummins Filtration IP, Inc. | CHIMNEY FOR IMPACT NOZZLES AND INTEGRATED ARRANGEMENT |
US11969683B2 (en) | 2018-12-06 | 2024-04-30 | Cummins Filtration Ip, Inc. | Chimney for impactor nozzles and integrated assembly |
EP4324545A3 (en) * | 2018-12-06 | 2024-05-08 | Cummins Filtration IP, Inc. | Chimney for impactor nozzles and integrated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82449C (en) | oil separator | |
JP6790870B2 (en) | Oil mist separator | |
JP5847445B2 (en) | Oil sepa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01720557B1 (en) | Separato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 |
KR101822832B1 (en) | Separato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 |
JP2009121281A (en) | Oil sepa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6650865B2 (en) | Engine head cover | |
JP5772402B2 (en) | Oil separator | |
JP7000798B2 (en) | Oil separator | |
JP5895816B2 (en) | Oil mist separator | |
US10946320B2 (en) | Oil separating device | |
JP2010248934A (en) | Oil separator | |
JP2018531340A6 (en) | Oil separator | |
US20170072352A1 (en) | Oil separator including spiral members defining helical flow paths | |
JP4521140B2 (en) | Engine breather equipment | |
KR101544727B1 (en) | Separato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 |
JP4425951B2 (en) | Oil separator for blow-by gas | |
KR101317516B1 (en) | Engine oil separato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 |
JP5994362B2 (en) | Engine oil separator | |
KR101905972B1 (en) | Flow Accelerating Ventilation type Head Cover and Engine thereby | |
JP4708972B2 (en) | Oil sepa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6284904B2 (en) | Oil separator | |
CN108087059A (en) | The oil separating device of explosive motor | |
JP6236373B2 (en) | Oil separator | |
KR101314958B1 (en) | Engine oil separato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