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182B1 - Ringer stand for kids - Google Patents
Ringer stand for ki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2182B1 KR101822182B1 KR1020160103732A KR20160103732A KR101822182B1 KR 101822182 B1 KR101822182 B1 KR 101822182B1 KR 1020160103732 A KR1020160103732 A KR 1020160103732A KR 20160103732 A KR20160103732 A KR 20160103732A KR 101822182 B1 KR101822182 B1 KR 1018221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support
- child
- handle
- ringer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group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01100480515 Caenorhabditis elegans tag-76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1100328086 Caenorhabditis elegans cla-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80 postop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7—Holders or handles for hanging up infusion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이동 받침부와, 상기 이동 받침부 상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 상단에 결합되어 링거를 거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일측에는 'D' 형상의 어린이용 손잡이부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보다 높은 위치에 'D' 형상의 어른용 손잡이부가 결합되는데,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와 어른용 손잡이부가 전체적으로 'S'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이동식 링거 거치대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nger cradle including a movable movable support portion, a vertical support coupled to the movable support portion, and a stationary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to support the ringer, 'Shape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Wherein the mobile station is a mobile st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링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링거를 거치하여 이동할 수 있고 어린이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어린이용 이동식 링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nger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ild portable ranger stand which can be moved by a ringer and can be conveniently and safely used by children.
일반적으로 병원에서는 환자에게 수액을 지속적으로 투여할 수 있도록 링거를 사용하기 때문에 링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필요하다.Generally, hospitals require a cradle to mount the ringer because the patient uses the ringer to continuously administer the fluid.
링거 거치대는 거동이 어려운 환자의 경우 침상이나 휠체어에 고정하는 고정식과 거동이 가능하여 진료 또는 수술 후 운동 등으로 이동이 필요한 환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이 있다.In the case of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in moving, the Ringer cradle can be fixed and fixed to a bed or a wheelchair. Thus, there is a movable type that can be used by patients who need to move to a medical treatment or post-operative exercise.
그런데 현재의 링거 거치대는 모두 성인에 맞춰서 제작된 것으로 어린이들이 쓰기에는 불편하거나 위험한 점이 많다. However, all of the current Ringer stands are made for adults, and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or risks to children's writing.
왜냐하면, 어린이 환자의 경우 어른과 비교해서 신체 사이즈의 급격한 차이를 보이고 자제력이 성인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에 링거 거치대로 인해 위험한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Because children's patients show a dramatic difference in body size compared to adults and a lack of self-control compared to adults, a risky situation can arise with the Ringer cradle.
성인용 링거 거치대는 어린이가 혼자 이동시키기에 무거워 불편하기도 하고 힘을 잘못 사용하여 거치대가 넘어질 수도 있다. 또 이동시에도 장난을 치는 아이들로 인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고, 여러 개의 링거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 링거튜브이 서로 엉켜 링거튜브의 혼선을 유발할 수도 있다.Adult ringer cradles can be inconvenient for a child to move alone, or they can fall over with a misuse of force. In addition, dangerous situations may arise from children playing with the child when they are moving, and when the user needs to use several lingers, the lingering tubes may be entangled with each other and cause the lingering tube to interfere.
뿐만 아니라 링거튜브에 어린이가 걸리거나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문제도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that a child gets caught or falls on the ringer tub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린이를 위한 링거 거치대가 공지된 바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a ringer holder for children has been known.
도 1은 종래 어린이 전용 링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hildhood ringer stand.
도시된 바에 의하면,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링거 거치대에 있어서, 하부에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가 구비되고 위생용품 및 환자나 보호자의 소지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 받침대부(500); 상기 받침대부의 상부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지지부(400);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으로 삽입되어 높이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200); 상기 수직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핸들부(300); 상기의 높이조절부 상단에 형성되어 수액을 걸 수 있도록 걸이가 구비된 거치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ringer cradle designed to be safely used by children is provided with a caster for freely moving the cradle, and a
공지된 종래기술은 일반적인 링거 거치대를 어린이 전용으로 개선한 것이지만, 보호자나 다른 성인이 잡아야 하는 상황일 때 쉽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 형태가 아니다.The known prior art is an improvement to a general ringer rest for children only, but it is not a handle that can be easily gripped when the guardian or other adult needs to hold it.
그리고 핸들부에 링거튜브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어, 링거튜브가 벌어지기 때문에 정리가 불완전한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ringer tube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the ringer tube is opened and the arrangement is incomplet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와 어른 모두 잡을 수 있도록 편리하게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어린이용 이동식 링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ild-friendly portable ringer cradle that has a convenient and improved structure for catching both children and adults.
또 다른 목적은 링거튜브가 엉키거나 벌어지지 않고 수직지지대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어린이용 이동식 링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child portable movable stand that can be securely fixed to a vertical support without tangling or widening the ringer tub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어린이용 이동식 링거 거치대는 이동 가능한 이동 받침부와, 상기 이동 받침부 상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 상단에 결합되어 링거를 거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일측에는 'D' 형상의 어린이용 손잡이부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보다 높은 위치에 'D' 형상의 어른용 손잡이부가 결합되는데,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와 어른용 손잡이부가 전체적으로 'S'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mobile stationary child rearing station comprising a movable movable receiving unit, a vertical support unit coupled to the movable support unit, and a mounting unit for receiving the ringer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unit , A 'D' shaped grip for a chil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and a 'D' shaped grip for an adul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hild support for a child, And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in an overall shape of 'S' shape.
여기서,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는 양측이 벤딩된 형상의 어린이 손잡이와, 일측이 상기 어린이 손잡이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1상부결합구와, 일측이 상기 어린이 손잡이 하단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1하부결합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른용 손잡이부는 양측이 벤딩된 형상의 어른 손잡이와, 일측이 상기 어른 손잡이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2상부결합구와, 일측이 상기 어른 손잡이 하단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2하부결합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상부결합구, 제1하부결합구, 제2상부결합구 및 제2하부결합구는 각각 상기 수직지지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hild's knob includes a child's handle having a bend shape on both sides, a first upper joint having a cylindrical shape such that one side thereof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hild's handle and the vertical support is inserted, And a first lower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part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part can be inserted therein, wherein the adult pulling part has an adult handle with a bended shape on both sides, And a second lower coupling part having a cylindrical shape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adult handle and the vertical support is inserted, , The first lower coupling hole, the second upper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lower coupling hole are respectively rotatable with the vertical support Can be combined.
그리고 상기 제1하부결합구 또는 제2상부결합구 중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딩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끼움홈에는 장탈착이 가능한 링거튜브 고정구가 구비될 수 있다.A sliding fitting groove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fitting holes, and the sliding fitting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 ringer tube fixing member capable of being inserted and removed.
또 거치부 상부에는 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환자인식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patient recognition unit for identifying a patien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 상에는 장탈착 가능한 비상벨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mergency bell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어린이용 손잡이부와 어른용 손잡이부가 다른 높이에 별도로 구비되어, 겸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하여 상대적인 위치변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for a child and the handle for an adult are separately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and can be used in combination, can be used together, and can be rotated to change a relative position.
그리고 링거튜브가 수직지지대에 밀착되기 때문에 링거튜브로 인한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lso, since the Ringer tube is closely attached to the vertical suppo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Ringer tube can be reliably prevented.
또 어린이에게 친근한 다양한 캐릭터가 구현된 환자인식부는 병원이 주는 차가운 느낌을 상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ient recognition department, which has a variety of characters familiar to children, can offset the cold feeling of hospitals.
또한, 비상벨을 달아 비상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보조수납부가 더 구비되기 때문에 편의성이 이전보다 크게 증대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bell can be used to quick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convenience is further enhanced because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further provided.
도 1은 종래 어린이 전용 링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어린이용 이동식 링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어린이용 손잡이부와 어른용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링거튜브 고정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환자인식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비상벨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hildhood ringer cradl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ld portable ranger st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ld's knob portion and an adult's knob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nger ' s tub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tient recogni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ergency be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어린이용 이동식 링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ld portable ranger st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동 받침부(10), 수직지지대(20), 거치부(30) 및 어린이용 손잡이부(40)와 어른용 손잡이부(5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ving
먼저, 상기 이동 받침부(10)는 상기 수직지지대(20), 거치부(30), 어린이용 손잡이부(40) 및 어른용 손잡이부(50)를 모두 안정되게 받쳐주는 베이스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동 가능하고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The
따라서,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상의 수납 받침대(12)와 상기 수납 받침대(12)의 외측에 장착되어 이동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이동바퀴(14)로 이루어져,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어린이가 상기 이동 받침부(10)를 디디고 올라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rry the article while the child is moving, while being made of a container-
참고로, 상기 수납 받침대(12)의 중앙은 상기 수직지지대(20)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다.For reference, the center of the
다음으로 상기 수직지지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받침부(10) 상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20)는 연장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구(2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다음으로 거치부(30)에 대해 설명하자면,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수직지지대(20)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링거를 걸어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이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made as to the mounting
상세하게는 상기 수직지지대(20)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몸체(32)와, 상기 고정몸체(32)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링거를 거는 복수개의 고리(34)로 구성될 수 있다.A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나타나는 어린이용 손잡이부와 어른용 손잡이부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handle for a child and the handle for an adult, in whic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will be described.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40)는 상기 수직지지대(20)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어린이 손잡이(42)와 제1상부결합구(44) 및 제1하부결합구(46)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어린이 손잡이(42)는 장봉의 양측을 일부 벤딩시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재질과 컬러를 사용하여 기존의 차가운 느낌을 배제할 수 있다.The child's
그리고 상기 제1상부결합구(44)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지지대(20)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며 일측에 상기 어린이 손잡이(42)의 상단과 결합된다. The first
마찬가지로, 상기 제1하부결합구(46)도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지지대(20)가 삽입,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일측에 상기 어린이 손잡이(42)의 하단과 결합된다.Likewise, the first
이러한 결합구조로 인해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40)는 전체적으로 대략 'D'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Due to such a coupling structure, the
한편, 상기 어른용 손잡이부(50)는 상기 수직지지대(20)의 타측에 결합되되, 어른 손잡이(52)와 제2상부결합구(54) 및 제2하부결합구(56)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어른 손잡이(52)도 장봉의 양측을 일부 벤딩시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재질과 컬러를 사용하여 기존의 차가운 느낌을 배제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제2상부결합구(54)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지지대(20)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며 일측에 상기 어른 손잡이(52)의 상단과 결합된다. The second
마찬가지로, 상기 제2하부결합구(56)도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지지대(20)가 삽입,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일측에 상기 어른 손잡이(52)의 하단과 결합된다.Likewise, the second
이러한 결합구조로 인해 상기 어른용 손잡이부(50)도 전체적으로 대략 'D'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Due to such a coupling structure, the
중요한 것은, 본 발명에서 상기 어른용 손잡이부(50)는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40)보다 높은 위치에 결합되고,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40)와 반대로 향하도록 결합되어 도시된 것과 같이 대략 'S'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mportant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것은 일반적으로 어른의 키가 크기 때문에 위에 배치되고, 어린이와 어른이 양측에서 동시에 잡을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물론 어른용 손잡이부는 키가 큰 어린이가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It is generally placed on top of an adult because of its height, and is a structure that allows both children and adults to catch on both sides simultaneously. Of course, the handle for adults can be used by children who are tall.
여기서, 상기 제1상부결합구(44), 제1하부결합구(46), 제2상부결합구(54) 및 제2하부결합구(56)는 각각 상기 수직지지대(20)와 끼움 결합할 수도 있지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제1상부결합구(44), 제1하부결합구(46), 제2상부결합구(54) 및 제2하부결합구(56)와 상기 수직지지대(20)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오링(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The first
따라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어른용 손잡이부(50)를 적절하게 회전시켜 사용에 용이한 위치로 선택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40)의 제1하부결합구(46)나 어른용 손잡이부(50)의 제2상부결합구(54)에는 링거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링거튜브 고정구(60)가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결합구(46)나 제2상부결합구(54)에는 내측으로 폴딩된 형상의 슬라이딩 끼움홈(54a,46a)이 형성되고, 상기 링거튜브 고정구(6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끼움홈(54a,46a)에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 장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끼움홈(54a,46a)에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 슬라이더(64)가 형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그리고 상기 링거튜브 고정구(60)의 끼움 슬라이더(64) 반대측에는 링거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62)이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한 것은 상기 링거튜브 고정구(60)의 재질이 실리콘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링거튜브를 용이하게 끼워 넣거나 뺄 수 있는 구조가 적합할 것이다.A fixing
따라서, 링거튜브는 상기 수직지지대(20)에 밀착되어서 엉키거나 꼬이지 않고 거동에 방해되지 않아서 안전하다.Therefore, the ringer tube is secured to the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30) 상부에는 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환자인식부(7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환자인식부(70)는 환자의 인적사항이 투약내용 등의 정보가 기록되는 것으로 캐릭터표시판(72)과 탄성클립판(74) 및 태그(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릭터표시판(72)은 상기 거치부(30) 상부, 다시 말해 상기 고정몸체(32)의 상부에 세워지도록 결합되고 표면에 다양한 캐릭터들이 인쇄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클립판(74)도 상기 고정몸체(32) 상부에 상기 캐릭터표시판(72)과 인접하게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구성으로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캐릭터표시판(72)과의 사이에 상기 태그(76)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때, 상기 태그(76)는 카드 타입일 수 있고 환자의 정보가 기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도 6은 본 발명의 비상벨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mergency bel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20)에는 비상시에 간호사나 의사를 호출할 수 있는 비상벨(80)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비상벨(80)은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the
이때, 상기 비상벨(80)은 장탈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직지지대(20)에 부착할 수 있는 구조이다.At this time, the emergency bell (8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vertical support (20)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emergency bell (80) can be detached.
또 상기 이동 받침부(10)의 수납 받침대(12) 상부에는 보조 수납부(90)가 추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납부(90)도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Further,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 : 이동 받침부 12 : 수납 받침대
14 : 이동바퀴
20 : 수직지지대 22 : 높이조절구
30 : 거치부 32 : 고정몸체
34 : 고리
40 : 어린이용 손잡이부 42 : 어린이 손잡이
44 : 제1상부결합구 46 : 제1하부결합구
46a : 슬라이딩 끼움홈
50 : 어른용 손잡이부 52 : 어른 손잡이
54 : 제2상부결합구 54a : 슬라이딩 끼움홈
56 : 제2하부결합구
60 : 링거튜브 고정구 62 : 고정홈
64 : 끼움 슬라이더
70 : 환자인식부 72 : 캐릭터표시판
74 : 탄성클립판 76 : 태그
80 : 비상벨
90 : 보조 수납부10: movable base part 12: storage base
14: Moving wheels
20: vertical support 22: height adjuster
30: mounting part 32: fixing body
34: Ring
40: a child's knob 42: a child's knob
44: first upper coupling hole 46: first lower coupling hole
46a: Sliding fitting groove
50: handle for adults 52: adult handle
54: second
56: second lower coupling hole
60: ringer tube fixture 62: fixing groove
64: Fit slider
70: patient recognition section 72: character display panel
74: elastic clip plate 76: tag
80: emergency bell
90: auxiliary storage part
Claims (5)
상기 수직지지대의 일측에는 'D' 형상의 어린이용 손잡이부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보다 높은 위치에 'D' 형상의 어른용 손잡이부가 결합되는데,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와 어른용 손잡이부가 전체적으로 'S'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어린이용 손잡이부는 양측이 벤딩된 형상의 어린이 손잡이와, 일측이 상기 어린이 손잡이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1상부결합구와, 일측이 상기 어린이 손잡이 하단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1하부결합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른용 손잡이부는 양측이 벤딩된 형상의 어른 손잡이와, 일측이 상기 어른 손잡이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2상부결합구와, 일측이 상기 어른 손잡이 하단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2하부결합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상부결합구, 제1하부결합구, 제2상부결합구 및 제2하부결합구는 각각 상기 수직지지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이동식 링거 거치대.A vertical support coupled to the movable support, and a moun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to support the ringer,
A 'D' shaped child pull handl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And a 'D' shaped pull handle for the adul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hild handle,
The child-use handle portion and the adult-use handle portion are formed in an overall 'S' shape,
A first upper joint part having a cylindrical shape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coupled with an upper end of the child's knob and the vertical support is inserted, and a second upper joint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hild's knob And a first lower coupling hole having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can be inserted,
Wherein the pull handle for adults has an adult handle having a bended shape on both sides thereof, a second upper engagement hole having a cylindrical shape so that one end thereof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adult handle and the vertical support can be inserted, And a second lower coupling part having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can be inserted,
Wherein the first upper coupling aperture, the first lower coupling aperture, the second upper coupling aperture, and the second lower coupling aperture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respectively.
상기 제1하부결합구 또는 제2상부결합구 중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딩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끼움홈에는 장탈착이 가능한 링거튜브 고정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이동식 링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liding fitting groove is formed in any one of the first lower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upper coupling hole, and a ringer tube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sliding fitting groove to enable the insertion of the ringer tube.
상기 거치부 상부에는,
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환자인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이동식 링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patient recognition unit for identifying a patient.
상기 수직지지대 상에는 장탈착 가능한 비상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이동식 링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Wherein the vertical suppor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mergency bell which is detacha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3732A KR101822182B1 (en) | 2016-08-16 | 2016-08-16 | Ringer stand for ki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3732A KR101822182B1 (en) | 2016-08-16 | 2016-08-16 | Ringer stand for kid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2182B1 true KR101822182B1 (en) | 2018-03-08 |
Family
ID=6172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3732A Active KR101822182B1 (en) | 2016-08-16 | 2016-08-16 | Ringer stand for ki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218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7019B1 (en) * | 2021-07-20 | 2022-02-08 | 김낭래 | Ringer stand with removable handle |
KR20230042971A (en) | 2021-09-23 | 2023-03-30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Ringer stand for sick children |
KR20240076090A (en) | 2022-11-23 | 2024-05-30 | 손채영 | Cover for ringer stan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58750A1 (en) | 2010-11-01 | 2012-05-10 | 2240978 Ontario Inc. | Carrier for patient fluids |
KR101409592B1 (en) * | 2012-07-27 | 2014-06-20 | 김동준 | Ringer's solution holder with rotating acceptance |
-
2016
- 2016-08-16 KR KR1020160103732A patent/KR10182218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58750A1 (en) | 2010-11-01 | 2012-05-10 | 2240978 Ontario Inc. | Carrier for patient fluids |
KR101409592B1 (en) * | 2012-07-27 | 2014-06-20 | 김동준 | Ringer's solution holder with rotating acceptanc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7019B1 (en) * | 2021-07-20 | 2022-02-08 | 김낭래 | Ringer stand with removable handle |
KR20230042971A (en) | 2021-09-23 | 2023-03-30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Ringer stand for sick children |
KR20240076090A (en) | 2022-11-23 | 2024-05-30 | 손채영 | Cover for ringer stan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12703B2 (en) | Rollator | |
KR101822182B1 (en) | Ringer stand for kids | |
US8968110B2 (en) | Free-standing jumping device | |
US7287768B2 (en) | Multi-mode child entertain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KR101653733B1 (en) | IV Pole for kids | |
WO2017123099A1 (en) | Detachable and transportable cpap hose holder | |
US20170251832A1 (en) | Toy bar assembly | |
KR20100008121A (en) | Buckle equipped with a whistle | |
CN212466736U (en) | Multifunctional infusion support | |
EP3616569B1 (en) | Improved bed | |
KR101578852B1 (en) | IV pole for support on shoulder | |
JP3132348U (en) | Sitting position retainer | |
KR20230009589A (en) | Ringer Hanger | |
TWM583303U (en) | Multifunctional intravenous drip stand | |
CN215083250U (en) | Handheld infusion support for outpatient department and pediatrics department | |
JP3099159U (en) | Baggage table | |
JP6436561B2 (en) | Leg structure and drip stand | |
KR200496969Y1 (en) | Multipurpose board | |
CN215915974U (en) | Infusion support for pediatric surgical nursing | |
CN222238389U (en) | Cup holder and disinfection cabinet | |
CN215194465U (en) | Internal medicine nursing is with convenient movable infusion support | |
KR20230057611A (en) | Tube-type portable IV holder to prevent children's safety accidents | |
JP4138755B2 (en) | Portable goods such as portable equipment, button part hooking means and mobile phones | |
JPH0319384Y2 (en) | ||
CN210096182U (en) | Movable sharp instrument box sup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