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871B1 - Supporting devic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upporting devic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0871B1 KR101820871B1 KR1020170063538A KR20170063538A KR101820871B1 KR 101820871 B1 KR101820871 B1 KR 101820871B1 KR 1020170063538 A KR1020170063538 A KR 1020170063538A KR 20170063538 A KR20170063538 A KR 20170063538A KR 101820871 B1 KR101820871 B1 KR 1018208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rmanent
- plate
- support
- girder
- concre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의 바닥판(1)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켄틸레버부 영구거푸집(10)을 지지하는 본 발명의 영구 지지구조물(A)은 영구거푸집(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영구거푸집(10)에 인접한 거더(20)의 복부 외측면에 설치되는 받침부(100); 거더(20)의 상부플랜지(21)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재(30)에 결합하되, 연결부재(30)연결부재(30)되도록 끼움결합되는 끼움부(200); 받침부(100)의 외측 가장자리와 끼움부(200)에 양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영구 지지구조물은 기존의 거푸집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동바리 등의 지지대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 속도가 빠르고, 거더(20)의 상부에서 작업자가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추락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구 지지구조물은 바닥판(1)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영구 구조물로서, 철거공정이 발생하지 않는다.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upporting a cantilevered part permanent mold 10 installed for the installation of a bottom plate 1 of a bridge is provided in the permanent mold 10 so as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permanent mold 10, A pedestal 100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bdomen of the adjacent girder 20; A fitting part 200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30 formed on the upper flange 21 of the girder 20 and is fitted to be fit into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a supporting part 300 hinged to the outer edge of the receiving part 100 and both ends of the receiving part 200.
As shown in FIG. 4,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upporting stand such as a tile used for installing a conventional formwork, and therefore can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irder 20,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manent structure that is embedded in concrete when the bottom plate 1 is poured into concrete, and the demolition process does not occur.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영구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the same.
거더교는 거더를 설치하고, 거더의 상면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성하는 교량 기술로서, 교대 및 교각에 거더를 거치하고,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거더에 설치하게 된다.The girder bridges are girder bridges, which are constructed by installing girders and placing bottom plate concrete on top of the girders. The girders are mounted on alternating and piercings, and the formwork is installed on the girders for laying the bottom plate concrete.
거푸집은 바닥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경화되면 제거되는데, 대부분이 고공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formwork is removed when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laid and cured, most of which is done by high work.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a safety problem of the operator may occur, and it takes a long time to install and dismantle the form, so that the entir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아래 종래기술의 기술구성, 명칭 및 도면번호는 그 종래기술의 설명에 한정되어 사용한다.The technical structure, name and drawing number of the prior art are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한국특허 제10-2006-0089387호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은 패널지지판 및 보강리브로 구성된 패널거푸집을 교량용 거더의 상부면에 미리 고정시킨 지지고정수단에 결속시켜 최종 교량바닥판 캔틸레버부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거푸집과 동바리 없이도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No. 10-2006-0089387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Cantilever Portion of Bridge Deck'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nel form composed of a panel support plate and a reinforcing rib is bound to a support fixing means previous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a bridge gir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tilever portion mount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cantilever portion of a bridge deck so that a cantilever portion of a bridge deck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a separate form and a tie.
한국특허 제10-2015-0100845호 '공장 제작된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I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은 교대 또는 교각에 상기 I형 강재거더(300)를 거치하는 I형 강재거더 거치단계;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데크(100)를 준비하는 데크준비단계; 상기 I형 강재거더(300)에 선행하중이 작용하도록 상기 I형 강재거더(300)의 하부에 상기 데크(100)를 설치하는 데크설치단계; 상기 데크(100)를 작업대로 이용하여 상기 바닥판(1)의 설치를 위한 거푸집(A)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상기 거푸집(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바닥판(1)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 및 상기 데크(100)를 제거하여 상기 교량에 상향력을 도입하는 데크제거단계;를 포함한다.Korean Patent No. 10-2015-0100845 " Method of constructing an I-shaped steel girder bridge using a factory concrete deck " is an I-shaped steel girder mounting step in which the I-
한국특허 제10-2002-0059357호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은 길이방향의 하부 양측면에 ㄷ형강(52)이 체결 볼트(56)로 고정된 상태로 교각 상부에 다수본(本)이 거치되는 한편, 수 본(本)의 피.에스.씨-빔(50)중 폭 방향 외측에 거치되는 피.에스.씨-빔(50)에는 상부 일측면에 체결 볼트홀(58)이 형성되고, 피.에스.씨-빔(50)의 하부 고정된 ㄷ형강(52)에는 내측을 관통하도록 체결 볼트홀(54)이 형성되며, 수 본의 피.에스.씨-빔(50)이 설치된 사이에는 하부 받침틀(60)과 하부 슬래브 받침대(7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형성되어 ㄷ형강(52)의 내측에 하부 받침틀(60)이 삽입되어 안착된 형태로 설치되고, 하부 슬래브 받침대(70)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길이조정 받침대(80)가 설치되고, 그 길이조정 받침대(80)의 상부에는 상부 슬래브 받침대(90)가 볼팅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되며, 상부 슬래브 받침대(90)의 상부에는 슬래브 바닥판(100)이 안착되고, 그 슬래브 바닥판(100)은 폭 방향의 양측에 절곡부(102)가 형성되며, 피.에스.씨-빔(50)의 ㄷ형강(52)에는 F 자 형태로 제작된 캔틸레버 하부 받침틀(110)이 누운 형태로 삽입된 상태에서 장경의 체결 볼트(112)로 체결되고, 캔틸레버 하부 받침틀(110)에는 일측 상부에 캔틸레버 슬래브 받침대(120)가 설치되는 때 하부가 체결 볼트(56)로 체결되는 한편, 상기의 캔틸레 버 슬래브 받침대(120)는, 상부가 피.에스.씨-빔(50)의 상부 체결 볼트홀(58)에 체결 볼트(56)가 체결되어 고정되고, 캔틸레버 슬래브 받침대(120)에는 상부에 슬래브 측면 거푸집(140)이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되는 구조로 슬래브 측면 거푸집(140), 캔틸레버 슬래브 받침대(120), 슬래브 바닥판(100)이 연접되게 설치된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판 슬래브(150)를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Korean Patent No. 10-2002-0059357, a pseudo-steel structure for supporting a slab supporting a top plate slab of a P-S, C-beam bridge is constructed such that a c-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시간이 짧고,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며, 설치 후 일부가 영구 구조물로 사용되는 영구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을 제시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has a short installation time, secures the safety of an operator, and is partially used as a permanent structure, present.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교량의 바닥판(1)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켄틸레버부 영구거푸집(10)을 지지하는 본 발명의 영구 지지구조물(A)은 상기 영구거푸집(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영구거푸집(10)에 인접한 거더(2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받침부(100); 상기 거더(20)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재(30)에 결합하되, 상기 연결부재(30)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끼움결합되는 끼움부(200); 상기 받침부(100)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끼움부(200)의 상측 영역에 양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300);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ing the cantilever part permanent formwork (10) install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bottom plate (1) of the bridge supports the lower face of the permanent
상기 받침부(100)는 상기 거더(20)의 외측면에 내측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10);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플레이트(120); 상기 돌출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결합된 받침플레이트(130); 상기 영구거푸집(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플레이트(130)의 상면에 결합된 상측플레이트(140); 상기 상측플레이트(140)의 외측 상면 가장자리부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부(300)와 결합되는 결합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받침플레이트(130)와 상기 상측플레이트(140)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바닥판(1) 타설이후 분리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상기 끼움부(200)의 외면 상부에는 상기 지지부(300)와 결합되는 지지부결합부(21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upport
상기 받침플레이트(130)가 상기 상측플레이트(140)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끼움부(200)와 상기 연결부재(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끼움부(200)의 내측에는 몰탈(400)이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상기 영구거푸집(10)은 상기 거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 설치되되, 상기 받침플레이트(130)의 상면에 거치되는 바닥부(11); 상기 바닥부(11)의 외측 가장자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꺽임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은 복수의 상기 영구거푸집(10)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영구거푸집(10) 사이 영역(B)에 설치되며, 상기 상측플레이트(140)는 사이 영역(B)이 상기 상측플레이트(140)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영구거푸집(10)의 가장자리부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결합부(150)는 상기 사이 영역(B)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the
상기 지지부(300)가 결합된 상기 결합부(150)는 상기 바닥부(11)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거더(20)는 상부플랜지(21); 복부(22); 하부플랜지(23);를 포함하는 강재거더(20a) 이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는 상기 복부(22)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돌출플레이트(12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플랜지(21)가 삽입되는 돌출부 홈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플레이트(140)의 내측 하면이 상기 상부플랜지(21)의 외측 상면에 올려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연결부재(30)는 스터드 볼트이고, 상기 끼움부(200)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외주면(C)과 상기 상부플랜지(21)가 용접되고, 상기 상측플레이트(140)의 내측 측면(D)과 상기 상부플랜지(21)가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상기 거더(20)는 콘크리트 상부플랜지(24); 콘크리트 복부(25); 콘크리트 하부플랜지(26);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더(20b) 이고, 상기 상측플레이트(1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1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는 상기 콘크리트 상부플랜지(24)의 외측면에 접촉되며, 상기 돌출부(141)가 상기 콘크리트 상부플랜지(24)의 상면에 올려지는 구조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구 지지구조물(A)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은 상기 강재거더(20a)를 거치하는 강재거더설치단계; 상기 거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플랜지(21)가 상기 홈부(121)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30)에 상기 끼움부(200)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을 설치하는 지지구조물설치단계; 상기 끼움부(200)의 내측에 상기 몰탈(400)을 충전하는 몰탈충전단계;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과 상기 강재거더(20a)를 용접하는 용접단계; 한 쌍의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에 의해 지지가 되도록, 상기 영구거푸집(10)을 설치하는 영구거푸집설치단계; 상기 영구거푸집(1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바닥판(1)을 형성하는 바닥판형성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using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installing a steel girder (20a) for mounting the steel girder (20a);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구 지지구조물(A)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은 상기 콘크리트 거더(20b)를 거치하는 콘크리트거더설치단계; 상기 콘크리트 거더(2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141)가 상기 상부플랜지(24) 상면에 올려지고, 상기 연결부재(30)에 상기 끼움부(200)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을 설치하는 지지구조물설치단계; 상기 끼움부(200)의 내측에 상기 몰탈(400)을 충전하는 몰탈충전단계; 한 쌍의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에 의해 지지가 되도록, 상기 영구거푸집(10)을 설치하는 영구거푸집설치단계; 상기 영구거푸집(1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바닥판(1)을 형성하는 바닥판형성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comprising: a concrete girder installation step of mounting the concrete girder (20b); The
본 발명인 영구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은 바닥판 타설을 위한 지지구조물의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nd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nstallation time because the support structure for the bottom plate installation is easy to install.
또한, 지지구조물의 설치가 안정적이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structure is stably instal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of the operator.
본 발명의 영구 지지구조물은 일부가 바닥판 타설시 매립되는 구조이므로 영구거푸집의 철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Since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is embedded when the bottom plate is poured, the demolition time of the permanent formwork can be shortened.
도 1은 한국특허 제10-2006-0089387호의 캔틸레버부 교량 바닥판 사시도.
도 2는 한국특허 제10-2015-0100845호의 공장 제작된 콘크리트 데크 단면도.
도 3은 한국특허 제10-2002-0059357호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구 지지구조물이 설치된 교량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구 지지구조물이 강재거더에 설치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구 지지구조물과 영구거푸집이 설치된 강재거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구 지지구조물 용접부가 표현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가 결합된 받침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끼움부에 몰탈이 충전된 강재거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구거푸집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구거푸집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보강플레이트와 수직보강플레이트가 결합된 지지구조물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구조의 지지부가 결합된 영구지지구조물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재거더설치단계 공정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설치단계 공정도.
도 17과 도 18은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구거푸집설치단계 공정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판형성단계 공정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거더설치단계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구조물설치단계 사시도.
도 24와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구거푸집설치단계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더에 결합된 영구 지지구조물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ntilever part bridge deck of Korean Patent No. 10-2006-0089387.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actory-made concrete deck of Korean Patent No. 10-2015-0100845.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rmetic structure for supporting a slab of a top plate of Korean Patent No. 10-2002-0059357.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idge with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steel girder.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girder with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nd a permanent d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w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portion with a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girder in which a mortar is filled in a fi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rmanent mol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ide view of a permanent mol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structure in which a lower reinforcement plate and a vertical reinforcement plate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ide view of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with a support portion of a wi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rocess diagram of a step of installing a steel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rocess diagram of a supporting structure installa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7 and 18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for installing a permanent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rocess diagram of a bottom plate 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side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girder installation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structure installation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and 25 are perspective views of a permanent mold installation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side view of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coupled to a concrete gi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영구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These and / or other asp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구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교량의 바닥판(1)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켄틸레버부 영구거푸집(10)을 지지하는 본 발명의 영구 지지구조물(A)은 영구거푸집(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영구거푸집(10)에 인접한 거더(2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받침부(100); 거더(20)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재(30)에 결합하되, 연결부재(30)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끼움결합되는 끼움부(200); 받침부(100)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끼움부(200)의 상측 영역에 양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300);를 포함한다.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upporting a cantilevered part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영구 지지구조물은 기존의 거푸집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 속도가 빠르고, 거더(20)의 상부에서 지지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추락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or FIG. 5, since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tile used for the conventional formwork installation, the construction speed is fast and the support structure can be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영구 지지구조물(A)은 받침부(10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지지부(300)가 설치된다.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지지부(300)는 연결부재(3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200)와 결합되는 구조로서, 거더 상부에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upporting
받침부(100)는 거더(20)의 외측면에 내측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10); 지지플레이트(110)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플레이트(120); 돌출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결합된 받침플레이트(130); 영구거푸집(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받침플레이트(130)의 상면에 결합된 상측플레이트(140); 상측플레이트(140)의 외측 상면 가장자리부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지지부(300)와 결합되는 결합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받침플레이트(130)와 상측플레이트(140)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바닥판(1) 타설이후 분리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끼움부(200)의 외면 상부에는 지지부(300)와 결합되는 지지부결합부(21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upport
받침플레이트(130)가 상측플레이트(140)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본 발명의 받침부(100)는 거더(20)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The support p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irder (20).
도 13과 같이, 받침부(100)는 받침플레이트(130)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보강플레이트(160)와 받침플레이트(130)의 측면부에 결합하되, 받침플레이트(130)의 하면과 하부보강플레이트(160)의 상면에 상면과 하면이 각각 결합되는 수직보강플레이트(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3, the receiving
끼움부(200)와 연결부재(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끼움부(200)의 내측에는 몰탈(400)이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이 경우, 끼움부(200)의 내측에는 몰탈(400)이 충전되어 끼움부(200)와 연결부재(3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몰탈(400)은 급속경화 몰탈을 사용하여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영구거푸집(10)은 거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 설치되되, 받침플레이트(130)의 상면에 거치되는 바닥부(11); 바닥부(11)의 외측 가장자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꺽임부(12);를 포함하고, 영구 지지구조물(A)은 복수의 영구거푸집(10)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영구거푸집(10) 사이 영역(B)에 설치되며, 상측플레이트(140)는 사이 영역(B)이 상측플레이트(140)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이웃하는 한 쌍의 영구거푸집(10)의 가장자리부 하면을 지지하고, 결합부(150)는 사이 영역(B)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 경우, 도 18 및 도 25와 같이 영구 지지구조물(A)은 설치될 복수의 영구거푸집(10) 중 이웃하는 영구거푸집(10)의 양 가장자리부 하측 영역에 설치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8 and 25,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is installed in a region below both edge portions of the adjacent
즉, 영구거푸집(10)은 한 쌍의 영구 지지구조물(A)에 가장자리부가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That is, the
지지부(300)가 결합된 결합부(150)는 바닥부(11)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는 바닥판(1) 콘크리트 타설시 결합부(150)를 콘크리트에 매립시키기 위함이다.This is for embedding the
거더(20)는 상부플랜지(21); 복부(22); 하부플랜지(23);를 포함하는 강재거더(20a) 이고, 지지플레이트(110)는 복부(22)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돌출플레이트(120)의 내측 상부에는 상부플랜지(21)가 삽입되는 돌출부 홈부(121)가 형성되며, 상측플레이트(140)의 내측 하면이 상부플랜지(21)의 외측 상면에 올려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5 및 도 9와 같이 영구 지지구조물은 돌출플레이트(120)의 내측 상부에 상부플랜지(21)가 끼움 결합되는 돌출부 홈부(121)가 형성되기 때문에 강재거더(20a)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As shown in FIGS. 5 and 9,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is stably coupled to the
이 경우, 영구 지지구조물의 지지부(300)가 파단 도는 손상되어도 영구 지지구조물이 낙하되지 않는다.In this case, even if the supporting
연결부재(30)는 스터드 볼트이고, 끼움부(200)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외주면(C)과 상부플랜지(21)가 용접되고, 상측플레이트(140)의 내측 측면(D)과 상부플랜지(21)가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영구 지지구조물(A)의 구조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주면(C)과 측면(D)을 용접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 and the side surface (D) are welded to improv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거더(20)는 콘크리트 상부플랜지(24); 콘크리트 복부(25); 콘크리트 하부플랜지(26);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더(20b) 이고, 상측플레이트(140)는 지지플레이트(110)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141)를 더 포함하고, 지지플레이트(110)는 콘크리트 상부플랜지(24)의 외측면에 접촉되며, 돌출부(141)가 콘크리트 상부플랜지(24)의 상면에 올려지는 구조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콘크리트 거더(20b)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영구 지지구조물은 도 20 및 도 26과 같이 콘크리트 상부플랜지(24)의 상면에 돌출부(141)가 올려지는 구조로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20 and 26,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구 지지구조물(A)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은 강재거더(20a)를 거치하는 강재거더설치단계; 거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플랜지(21)가 홈부(121)에 삽입되고, 연결부재(30)에 끼움부(200)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의 영구 지지구조물(A)을 설치하는 지지구조물설치단계; 끼움부(200)의 내측에 몰탈(400)을 충전하는 몰탈충전단계;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과 강재거더(20a)를 용접하는 용접단계; 한 쌍의 영구 지지구조물(A)에 의해 지지가 되도록, 영구거푸집(10)을 설치하는 영구거푸집설치단계; 영구거푸집(1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바닥판(1)을 형성하는 바닥판형성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installing a steel girder to support a steel girder (20a); The
이 경우, 용접단계는 몰탈충전단계 이전에 실시되고, 지지구조물설치단계는 받침부(100), 끼움부(200), 지지부(300)가 모두 결합된 상태에서 끼움부(200)를 연결부재(30)에 결합하는 끼움부설치단계; 상부플랜지(21)에 돌출부 홈부(121)가 끼워지도록 받침부(100)를 설치하는 받침부설치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welding step is performed before the mortar filling step, and in the supporting structure mounting step, the
또한, 바닥판(1) 형성이 완료된 후에는 받침플레이트(130)와 상측플레이트(140)에 결합된 볼트를 제거하여 지지플레이트(110), 돌출플레이트(120), 받침플레이트(130)를 제거할 수 있다.After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구 지지구조물(A)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거더(20b)를 거치하는 콘크리트거더설치단계; 콘크리트 거더(2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141)가 상부플랜지(24) 상면에 올려지고, 연결부재(30)에 끼움부(200)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의 영구 지지구조물(A)을 설치하는 지지구조물설치단계; 끼움부(200)의 내측에 몰탈(400)을 충전하는 몰탈충전단계; 한 쌍의 영구 지지구조물(A)에 의해 지지가 되도록, 영구거푸집(10)을 설치하는 영구거푸집설치단계; 영구거푸집(1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1)을 형성하는 바닥판형성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girder installation step for mounting a concrete girder (20b); The projecting
바닥판형성단계 이후, 받침플레이트(130)와 상측플레이트(140)에 결합된 볼트를 제거하여 지지플레이트(110), 돌출플레이트(120), 받침플레이트(130)를 제거하는 제거단계;가 더 포함된다.Removing the supporting
A : 영구 지지구조물 B : 사이 영역
C : 외주면 D : 측면
1 : 바닥판 10 : 영구거푸집
11 : 바닥부 12 : 꺽임부
20 : 거더 20a : 강재거더
20b : 콘크리트 거더 21 : 상부플랜지
22 : 복부 23 : 하부플랜지
24 : 콘크리트 상부플랜지 25 : 콘크리트 거더
26 : 콘크리트 하부플랜지 30 : 연결부재
100 : 받침부 110 : 지지플레이트
120 : 돌출플레이트 121 : 돌출부 홈부
130 : 받침플레이트 140 : 상측플레이트
141 : 돌출부 150 : 결합부
200 : 끼움부 210 : 지지부결합부
300 : 지지부 400 : 몰탈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B: interspace
C: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D: side surface
1: bottom plate 10: permanent mold
11: bottom part 12:
20:
20b: Concrete girder 21: Upper flange
22: abdomen 23: lower flange
24: Concrete upper flange 25: Concrete girder
26: concrete lower flange 30: connecting member
100: Support part 110: Support plate
120: protrusion plate 121: protrusion groove portion
130: receiving plate 140: upper plate
141: protrusion 150:
200: fitting part 210: supporting part coupling part
300: support part 400: mortar
Claims (13)
상기 영구거푸집(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영구거푸집(10)에 인접한 거더(2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받침부(100);
상기 거더(20)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재(30)에 결합하되, 상기 연결부재(30)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끼움결합되는 끼움부(200);
상기 받침부(100)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끼움부(200)의 상측 영역에 양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100)는
상기 거더(20)의 외측면에 내측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10);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플레이트(120);
상기 돌출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결합된 받침플레이트(130);
상기 영구거푸집(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플레이트(130)의 상면에 결합된 상측플레이트(140);
상기 상측플레이트(140)의 외측 상면 가장자리부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부(300)와 결합되는 결합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130)와 상기 상측플레이트(140)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바닥판(1) 타설이후 분리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지지구조물.
A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for supporting a cantilevered permanent formwork (10) installed for installation of a bottom plate (1) of a bridge,
A pedestal 100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irder 20 adjacent to the permanent form 10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permanent form 10;
A fitting portion 200 coupled to a connecting member 3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irder 20 and fitt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a support part (300) hinged to the outer edge part of the receiving part (100) and the upper end part of the fitting part (200), respectively,
The receiving unit 100 includes:
A support plate 110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girder 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thereof;
A protruding plate 120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0 and protruding outward;
A support plate 130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plate 120;
An upper plate 140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130 to support a lower surface of the permanent mold 10;
And an engaging part 150 protruded upward from an upper side edge of the upper plate 140 and engaged with the supporting part 300,
Wherein the support plate (130) and the upper plate (140) are coupled by bolts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fter the bottom plate (1) is poured.
상기 끼움부(200)의 외면 상부에는
상기 지지부(300)와 결합되는 지지부결합부(21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지지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200
And a support part coupling part (210) coupled with the support part (300) is protruded outwardly.
상기 받침플레이트(130)가 상기 상측플레이트(140)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지지구조물.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ort plate (130) further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upper plate (140).
상기 끼움부(200)와 상기 연결부재(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끼움부(200)의 내측에는 몰탈(400)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지지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In order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tting portion 200 and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a mortar (400)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fitting part (200).
상기 영구거푸집(10)은
상기 거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 설치되되,
상기 받침플레이트(130)의 상면에 거치되는 바닥부(11);
상기 바닥부(11)의 외측 가장자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꺽임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은 복수의 상기 영구거푸집(10)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영구거푸집(10) 사이 영역(B)에 설치되며,
상기 상측플레이트(140)는
사이 영역(B)이 상기 상측플레이트(140)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영구거푸집(10)의 가장자리부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결합부(150)는 상기 사이 영역(B)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지지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ermanent mold (10)
A plurality of girders 20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s 20,
A bottom part 11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130;
And a bent portion 12 extending upward from an outer edge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1,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is installed in a region (B) between a pair of adjacent permanent molds (10) of the plurality of permanent molds (10)
The upper plate (140)
(B) is position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140) to support the edge portions of a pair of adjacent permanent molds (10)
Wherein the coupling part (150) is installed to protrude into the interspace (B).
상기 지지부(300)가 결합된 상기 결합부(150)는 상기 바닥부(11)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지지구조물.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upling part (150) to which the support part (300) is coupled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art (11).
상기 거더(20)는
상부플랜지(21);
복부(22);
하부플랜지(23);를 포함하는 강재거더(20a) 이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는 상기 복부(22)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돌출플레이트(12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플랜지(21)가 삽입되는 돌출부 홈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플레이트(140)의 내측 하면이 상기 상부플랜지(21)의 외측 상면에 올려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지지구조물.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irder (20)
An upper flange 21;
Abdomen 22;
Is a steel girder (20a) including a lower flange (23)
The support plate 11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bdomen 22,
A protruding groove 12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plate 120 to receive the upper flange 21,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40)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
상기 연결부재(30)는 스터드 볼트이고,
상기 끼움부(200)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외주면(C)과 상기 상부플랜지(21)가 용접되고,
상기 상측플레이트(140)의 내측 측면(D)과 상기 상부플랜지(21)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지지구조물.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necting member 30 is a stud bol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 of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200 and the upper flange 21 are welded,
Wherein an inner side surface (D) of the upper plate (140) and the upper flange (21) are welded.
상기 거더(20)는
콘크리트 상부플랜지(24);
콘크리트 복부(25);
콘크리트 하부플랜지(26);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더(20b) 이고,
상기 상측플레이트(1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1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는 상기 콘크리트 상부플랜지(24)의 외측면에 접촉되며, 상기 돌출부(141)가 상기 콘크리트 상부플랜지(24)의 상면에 올려지는 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지지구조물.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irder (20)
A concrete upper flange 24;
A concrete abdomen 25;
A concrete lower flange 26, and a concrete girder 20b,
The upper plate (140)
And further includes a projection 141 projecting further inward than the support plate 110
Wherein the suppor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upper flange and the protrusion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upper flange.
상기 강재거더(20a)를 거치하는 강재거더설치단계;
상기 거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플랜지(21)가 상기 홈부(121)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30)에 상기 끼움부(200)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을 설치하는 지지구조물설치단계;
상기 끼움부(200)의 내측에 상기 몰탈(400)을 충전하는 몰탈충전단계;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과 상기 강재거더(20a)를 용접하는 용접단계;
한 쌍의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에 의해 지지가 되도록, 상기 영구거푸집(10)을 설치하는 영구거푸집설치단계;
상기 영구거푸집(1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바닥판(1)을 형성하는 바닥판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방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according to claim 10,
A steel girder installation step for mounting the steel girder 20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20,
The upper flange 2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1 and the plurality of permanent support structures A are installed at mutually spaced intervals so that the fitting part 200 is fitted to the connecting member 30, Stage of structure installation;
A mortar filling step of filling the mortar (400) inside the fitting part (200);
A welding step of welding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and the steel girder (20a);
A permanent mold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permanent mold (10) so as to be supported by a pair of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s (A);
And forming a bottom plate (1) by placing concrete on top of the permanent mold (10).
상기 콘크리트 거더(20b)를 거치하는 콘크리트거더설치단계;
상기 콘크리트 거더(2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141)가 상기 상부플랜지(24) 상면에 올려지고, 상기 연결부재(30)에 상기 끼움부(200)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을 설치하는 지지구조물설치단계;
상기 끼움부(200)의 내측에 상기 몰탈(400)을 충전하는 몰탈충전단계;
한 쌍의 상기 영구 지지구조물(A)에 의해 지지가 되도록, 상기 영구거푸집(10)을 설치하는 영구거푸집설치단계;
상기 영구거푸집(1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바닥판(1)을 형성하는 바닥판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방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 (A) according to claim 11,
A concrete girder mounting step for mounting the concrete girder 20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girder 20b,
A plurality of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s A are installed at mutually spaced intervals so that the projecting portions 141 are rai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4 and the fitting portion 200 is fitted to the connecting member 30 A support structure mounting step;
A mortar filling step of filling the mortar (400) inside the fitting part (200);
A permanent mold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permanent mold (10) so as to be supported by a pair of the permanent support structures (A);
And forming a bottom plate (1) by placing concrete on top of the permanent mold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4807 | 2017-04-06 | ||
KR20170044807 | 2017-04-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0871B1 true KR101820871B1 (en) | 2018-01-22 |
Family
ID=6109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3538A Active KR101820871B1 (en) | 2017-04-06 | 2017-05-23 | Supporting devic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0871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72875A (en) * | 2019-12-13 | 2020-05-19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deck and supporting device thereof |
KR102280432B1 (en) * | 2020-12-17 | 2021-07-22 | (주)공명 | Variable steel girder structure for deflection prevention |
KR102342075B1 (en) * | 2020-10-13 | 2021-12-22 | 강윤희 | Connecting structure for steel cross-beam |
KR20230034002A (en) * | 2021-09-02 | 2023-03-09 | (주)이알코리아 | Bridge support integrated cantilever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658930B1 (en) * | 2024-01-03 | 2024-04-18 | (주)효명피씨 | Cantilever bracket and gfrp deck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4224B1 (en) * | 2007-05-18 | 2008-08-25 | (주)한맥기술 | Half section precast cantilever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1699888B1 (en) * | 2016-08-11 | 2017-01-26 | (주) 효성 | Cantilever part of bridge and method thereof |
-
2017
- 2017-05-23 KR KR1020170063538A patent/KR1018208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4224B1 (en) * | 2007-05-18 | 2008-08-25 | (주)한맥기술 | Half section precast cantilever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1699888B1 (en) * | 2016-08-11 | 2017-01-26 | (주) 효성 | Cantilever part of bridge and method thereof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72875A (en) * | 2019-12-13 | 2020-05-19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deck and supporting device thereof |
KR102342075B1 (en) * | 2020-10-13 | 2021-12-22 | 강윤희 | Connecting structure for steel cross-beam |
KR102280432B1 (en) * | 2020-12-17 | 2021-07-22 | (주)공명 | Variable steel girder structure for deflection prevention |
KR20230034002A (en) * | 2021-09-02 | 2023-03-09 | (주)이알코리아 | Bridge support integrated cantilever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516513B1 (en) | 2021-09-02 | 2023-03-31 | (주)이알코리아 | Bridge support integrated cantilever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658930B1 (en) * | 2024-01-03 | 2024-04-18 | (주)효명피씨 | Cantilever bracket and gfrp deck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0871B1 (en) | Supporting devic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883413B1 (en) | Supporting bracket structure | |
KR102477955B1 (en) | Bridge pi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maintained concrete mold | |
KR101198812B1 (en) | composite rahmen bridge using a preflex girder | |
KR101312759B1 (en) | Safety construction method against overturning of steel cross beam using psc curved girder | |
KR101983719B1 (en) | Permanent form for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693256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psc bridge | |
KR102206783B1 (en) | Temporary Fixing System for Prestressed Concrete Spliced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
KR101991930B1 (en) | Rahma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3844743B2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665482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Long Span Continuous Bridge of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without Temporary Supports | |
KR20170125768A (en) | Separable fixing support bracket and cantilever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101591224B1 (en) |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Concrete Member With Assembly Plate And Fixing Channel | |
KR101852578B1 (en) | Segment type arch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102005970B1 (en) |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05002B1 (en) |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954387B1 (en) |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20190014813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antilever in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 |
KR101415981B1 (en) | By connecting members with composite rigid frame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653283B1 (en) | Conne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
KR102568981B1 (en) | Composite Girder Structure using Precast For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824963B1 (en) | Hybrid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20210004289A (en) | Transf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U-shaped Steel Girder | |
KR101872274B1 (en) |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upper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lower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 |
KR101858972B1 (en) |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without concrete between the upper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lower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5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