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835B1 - Dual type nebulizer - Google Patents
Dual type nebuliz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0835B1 KR101820835B1 KR1020170047992A KR20170047992A KR101820835B1 KR 101820835 B1 KR101820835 B1 KR 101820835B1 KR 1020170047992 A KR1020170047992 A KR 1020170047992A KR 20170047992 A KR20170047992 A KR 20170047992A KR 101820835 B1 KR101820835 B1 KR 1018208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erosol
- switching slider
- unit
- guide member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5—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using ultrasonic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24B15/303—Plant extracts other than tobacco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 A24F47/008—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61M15/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ultrasonic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Toxic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형 네블라이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력을 가하면 흡입력에 의해 스위칭유닛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전원이 인가되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갖는 약제가 기화되어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복수의 약제를 수용하면서 사용자의 기분이나 약효를 고려하여 원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nibil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nibilizer in which when a user applies a suction force through a mouthpiece, a switching unit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a suction force to apply a power source, and a medicine having a beneficial component is vaporiz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dual type nebulizer capable of selectively sucking a desired drug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mood or medicinal effect while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medicines.
일반적으로 담배는 기호품이기는 하나 인체에 여러 가지 질병을 초래함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연가들의 경우, 사회생활의 다양성과 대인관계 때문에 습관적으로 피워오던 기호성 담배를 끊는다는 것은 매우 힘든 과제중의 하나다. 특히 담배는 각종 발암 유발물질인 니코틴, 타르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폐암이나 순환기 질환(후두암 및 혈관 수축에 의한 버거씨병 등)과 같은 각종 질병 및 사망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특히 주변 사람들에게는 간접흡연에 의한 피해를 주고 있다.In general, although cigarettes are a delicacy, it is well known that it causes various diseases in human body. Nonetheless, in the case of smokers, it is one of the toughest tasks to stop smoking cigarettes that have been habitually habituated due to social divers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particular, tobacco contains various harmful substances such as nicotine and tar, which are various carcinogenic substances, and causes various diseases such as lung cancer and circulatory diseases (Burger's disease caused by laryngeal cancer and vasoconstriction) and death, People are suffering from secondhand smoke.
따라서, 금연운동이 사회적으로 널리 전개되고 있으나 이미 흡연을 하고 있는 애연가들은 그 중독성과 습관성 때문에 쉽사리 끊지 못하고 있어서 큰 실효를 거두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Therefore, although the smoking cessation movement is spreading socially widely, the smokers who have already smoked are not easily able to break due to their addictive and addictive nature, so they are not doing much good.
최근에는 담배를 끊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금연담배 및 금연 보조파이프 등과 같은 보조기구가 많이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있으며, 금연담배의 경우 담배를 피울 때 대부분 담배 맛이 쓰게 하거나 담배 특유의 향취가 상실되게 함으로써 애연가들의 흡연 의욕을 단계적으로 상실시켜 담배를 서서히 끊도록 하고 있다.Recently, many aids such as smoking cigarettes and smoking pipe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to help quit cigarettes. In the case of smoking cigarettes, most of the cigarettes are consumed or the smell unique to the cigarettes is lost, Smoking cigarettes are being gradually phased out.
하지만 이러한 전자담배 역시 최근 들어 유해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니코틴 성분 대신 인체에 유익한 한약재나 천연유래 성분의 약액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흡입할 수 있는 다양한 네블라이저가 개발되었다.However, this electronic cigarette has recently been controversial. Therefore, a variety of Neblie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generate and inhale aerosols by vaporizing herbal medicines or naturally occurring ingredients, which ar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instead of nicotine.
종래의 네블라이저는 사용자가 직접 네블라이저 본체에 마련된 스위치버튼을 누르거나 네블라이저 본체 내부에 마련된 기류센서나 스위칭장치가 흡입력을 감지하면, 발열히터나 초음파 진동자, 고주파 진동자 등에 전원을 인가하여 약액을 가열하거나 초음파 진동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생성된 에어로졸을 마우스피스의 노즐을 통해 배출하여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Conventionally, when a user presses a switch button provided directly on a nebulizer main body or an air flow sensor or a switch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nebulizer body senses a suction force, the conventional nebulizer applies power to a heating heater, an ultrasonic vibrator, a high frequency oscillator, The aerosol is generated by heating or ultrasonic vibration, and the generated aerosol is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of the mouthpiece so that the user can inhale the aerosol.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네블라이저에서 전원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류센서나 스위치 장치는 에어로졸의 흡입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므로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영역의 후방에 배치되며, 이로 인해 흡입력이 기류센서나 스위치 장치에 도달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큰 흡입력이 요구되어 천식이 있거나 흡입력이 약한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nebulizer, the air flow sensor or the switch device for operating the power supply device should not obstruct the suction of the aerosol, so that the air flow sensor is disposed behind the area where the aerosol is generated, And it is difficult for a user having asthma or a weak suction force to use it because of a large suction force.
또한, 종래의 네블라이저에는 수용된 한 가지 약제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만을 획일적으로 공급하는 관계로 사용자의 기분이나 약효를 고려하여 흡입하고자 하는 약제의 종류를 선택하는 등의 운용이 불가능하였다.In addition, since conventional nebulizers uniformly supply aerosols generated from a single medicament contained therein, it is impossible to select a kind of medicament to be inhaled in consideration of the mood or the efficacy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력을 가하면 흡입력에 의해 스위칭유닛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전원이 인가되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갖는 약제가 기화되어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복수의 약제를 수용하면서 사용자의 기분이나 약효를 고려하여 원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witching unit by a suction force when a user applies a suction force through a mouthpie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al type nebulizer that allows a user to inhale a drug while allowing the user to inhale the drug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mood or the efficacy of the user while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medicin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는, 본체와; 기화된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유닛과; 상기 전원공급유닛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약제를 기화시키는 기화유닛과;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에어로졸이 유입될 수 있는 통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전원공급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발생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와 접촉하면서 양극전극체와 음극전극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흡입력에 의해 이동했을 때 상기 통기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공기 및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위칭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상기 스위칭슬라이더와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의 접촉 또는 이격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유닛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면서 기화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기화유닛은, 중간 격벽에 의해 형성된 제1챔버 및 제2챔버를 구비하여 두 종류의 약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부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에어로졸생성부와, 에어로졸생성부 내로 공급된 약제를 초음파 진동시키는 제1초음파 진동자 및 제2초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초음파 진동자 및 제2초음파 진동자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거나 둘 모두가 작동되도록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가 더 포함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두 종류의 약제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모두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al type Nebulizer comprising: a main body; A mouthpiece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vaporized aerosol is discharged; 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vaporization unit for vaporizing the medicine by a power source a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A guide member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ort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erosol can flow; An anode electrode member and a cathode electrode memb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n an inn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The air electrode assembly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guide member and moves by the air suction force generat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o electrically connect the anod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thode electrode assembly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anod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thode electrode assembly, And a switching slider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ir and an aerosol pass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vent hole when the switching slider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ing slider, The power supply unit is turned on or off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vaporization unit. The vaporization unit includes a first chamber and a second chamber formed by intermediate partition walls,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med to communicate with one end of the cartridge and through which the aerosol is discharged; A first ultrasonic vibrator and a second ultrasonic vibrator for ultrasonically vibrating the medicine suppli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wherein one of the first ultrasonic vibrator and the second ultrasonic vibrator is operated And a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both to operate, so that the aerosol generated from any one or both of the two types of medicines contained in the cartridge can be suck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입에 대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스위칭슬라이더가 이동하여 양극전극체와 음극전극체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져 기화유닛에 전원이 공급되고, 기화된 에어로졸이 스위칭 동작을 구현하는 스위칭슬라이더와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를 통과하여 토출구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pplies a suction force to the mouthpiece, the switching slider moves and the anod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thode electrode assembl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to supply power to the vaporization unit, Can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through the switching slider, the anode electrode body, and the cathode electrode body implementing the switching operation.
따라서 사용자의 흡입과 거의 동시에 기화유닛이 작동하여 기화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으므로 약한 흡입력으로도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vaporizing unit can operate at almost the same time as the suction of the user, so that the vaporized aerosol can be sucked, so that a sufficient amount of the aerosol can be sucked even with a weak suction force.
나아가 본 발명은 약효가 다르거나 맛 혹은 향이 다른 복수의 약제를 수용하면서 그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에어로졸 형태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약효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혹은 사용자의 기호를 더욱 배려하기 위하여 다양한 운용이 가능하다. 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medicines having different medicinal effects or different flavors or fragrances, the medicines can be sucked in an aerosol form by selecting a desired one of the medicines.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medicinal effect, It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로, 흡입 이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ual type four-bl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dual type four-blader shown in Fig. 1, showing a pre-suction state.
FIGS. 3 to 6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ual type Nebuliz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A dual type nebuliz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actually shown in a smaller scale than the actual dimens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ematic structure.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the terms first and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dual type nebuliz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는, 속이 빈 통 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마우스피스(20)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유닛(30)과, 상기 전원공급유닛(30)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약제를 기화시키는 기화유닛(40)과,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가이드부재(50)와, 상기 가이드부재(50)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성 재질로 된 원통형의 스위칭슬라이더(70)와, 상기 가이드부재(50) 내측에 설치되어 스위칭슬라이더(70)와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유닛(30)이 기화유닛(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dual type Nebu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상기 본체(10)는 중공의 원통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외에도 직육면체 등의 다각면체 형태, 담배 파이프와 같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상기 본체(10)의 후단부에는 본체(10) 내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사용자가 입으로 흡입하는 노즐의 기능을 하는 마우스피스(20)가 설치된다. 상기 마우스피스(20)는 본체(10)와 개별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본체(10)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20)는 사용자가 입으로 물고 흡입하는 부분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예를 들어 연성의 실리콘 수지 또는, 규소와 산소 또는 유기물이 서로 혼합된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e rear end of the
상기 마우스피스(20)에는 에어로졸이 토출되는 토출구(2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21)의 전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재(50)의 후단부와 연통된다. The mouthpiece (20)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21) through which the aerosol is discharged so as to exten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port (21) communicates with the rear end of the guide member (50).
상기 전원공급유닛(30)은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와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가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즉 온(ON) 상태가 되면 기화유닛(40)에 전원을 인가하고, 스위칭슬라이더(70)가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와 분리되어 오프(OFF) 상태가 되면 기화유닛(4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유닛(30)은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배터리(31)와, 상기 배터리(31),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31)의 전원을 기화유닛(40)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컨트롤러(32)를 포함한다. When the
상기 배터리(31)는 일반적인 건전지나 리튬이온전지, 반복적인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32)는 상기 배터리(31)의 전원을 기화유닛(40)과 네블라이저에 구성되는 다양한 전기부품, 예를 들어 LED 나 디스플레이 소자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회로와 전자 칩, 저항 소자 등을 구비하는 회로기판(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상기 기화유닛(40)은 상기 전원공급유닛(30)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액상이나 겔(gel)상, 또는 고형체의 약제를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화유닛(40)은 예를 들어 상기 약제를 가열하여 기화시키거나, 초음파 진동 또는 고주파 진동 방식으로 약제를 무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시간 내에 약제를 무화시킬 수 있는 초음파 진동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초음파 진동자(45a) 및 제2초음파 진동자(45b)를 적용하여 기화유닛(40)을 구성하였다. The
좀 더 상세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상기 기화유닛(40)은, 중간 격벽(41c)에 의해 서로 액상인 두 종류의 약제(A,B)가 수용된 제1챔버(41a) 및 제2챔버(41b)를 갖는 카트리지(41)와, 상기 카트리지(41)의 일단부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측면과 상부면에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43)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에어로졸생성부(42), 상기 카트리지(41)와 에어로졸생성부(42) 사이에 배치되어 제1챔버(41a) 및 제2챔버(41b)의 약제(A,B)를 각각 소량씩 에어로졸생성부(42)로 공급하는 제1섬유체(44a) 및 제2섬유체(44b)와, 상기 전원공급유닛(30)의 컨트롤러(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섬유체(44a) 및 제2섬유체(44b)를 따라 에어로졸생성부(42) 내로 공급된 약제를 초음파 진동시키는 제1초음파 진동자(45a) 및 제2초음파 진동자(45b)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이같은 기화유닛(40)의 구성에서 주목할 수 있는 점은 액상인 두 종류의 약제(A,B)를 수용하여 무화시킬 수 있도록 제1챔버(41a) 및 제2챔버(41b)를 갖는 카트리지(41), 제1섬유체(44a) 및 제2섬유체(44b), 제1초음파 진동자(45a) 및 제2초음파 진동자(45b)가 구비되었는 점이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90)의 조작을 통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약제(A,B)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종류의 약제를 한꺼번에 무화시키면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종류의 약제(A,B)는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흡입하면 최상의 약효가 발휘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약효가 다른 것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기호를 배려하여 약효는 같지만 맛 혹은 향만 다른 것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약효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혹은 사용자의 기호를 배려한 다양한 운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약제가 겔상이나 고형체로 된 것을 사용할 경우, 에어로졸 생성을 위해서 초음파 진동자를 사용하는 것보다 발열체를 사용하여 약제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는 사용자가 흡연 후 구취를 제거하거나 인체에 유용한 작용을 할 수 있는 성분을 가진 약제학적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감초, 당귀, 맥문동 및 야관문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흡연 후 흡입용 폐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민트, 로즈마리, 바질, 페퍼민트, 쥬니퍼, 제라늄, 클라리세이지, 일랑일랑, 라벤딘, 로즈우드, 라벤다, 레몬, 캐모마일, 스피아민트, 브띠그레인, 파인니들, 미르, 메이창, 시나몬, 오렌지비터, 쟈스민, 장미, 제라늄, 자몽, 패출리, 피톤치드허브 등의 식물이나 열매에서 추출된 천연유래성분을 포함한 약액을 이용할 수도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medicament is in the form of a gel or a solid, it is preferable to use an exothermic body to heat the medicament to generate an aerosol rather than to use an ultrasonic vibrator in order to generate aerosol. The medicament may be made from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a component that can remove bad breath after a user smokes or may be useful to the human body. For example, the licorice, Angelica,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pulmonary disease after inhalation smoking, which comprises a mix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rk, bamboo, bamboo, astragalus, gardenia and gol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various flavors such as mint, rosemary, basil, peppermint, juniper, geranium, clarysege, ylang ylang, lavendin, rosewood, lavender, lemon, chamomile, spearmint, bisgrain, pine needle, mir, , Jasmine, rose, geranium, grapefruit, patchouli, phytoncide herb, and the like.
상기 가이드부재(50)는 전방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관 형태로 되어 상기 마우스피스(20)의 토출구(21)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0)는 마우스피스(20)와 개별체로 만들어져 마우스피스(20)의 토출구(21)에 연결될 수 있지만, 마우스피스(20)와 일체로 성형되어 토출구(2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상기 가이드부재(50)의 측면에는 상기 기화유닛(4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유입될 수 있는 통기공(5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공(51)은 가이드부재(50)의 측면에 복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50)와 본체(10) 사이에는 흡입되는 에어로졸을 상기 통기공(51) 쪽으로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유동가이드(55)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A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는 상기 가이드부재(5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관 형태로 되어, 상기 토출구(21)를 통해 발생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해 가이드부재(50)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50)의 통기공(51)과 연통 가능한 복수의 연통공(71)이 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공(71)은 스위칭슬라이더(70)가 가이드부재(50) 내측에서 후방으로 이동했을 때 가이드부재(50)의 통기공(51)과 연통되며, 스위칭슬라이더(70)가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통기공(51)과 어긋나 가이드부재(50)의 측면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의 후방면 중앙에는 공기 및 에어로졸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72)이 형성되어 있다. The switching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는 가이드부재(50)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80)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따라서 마우스피스(20)의 토출구(21)를 통해 흡입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스위칭슬라이더(70)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고, 토출구(21)를 통해 흡입력이 발생하면 탄성부재(80)가 탄성 변형되면서 스위칭슬라이더(7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가이드부재(50)의 전단부와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의 전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스위칭슬라이더(70)를 전방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지만, 이와 다르게 탄성부재(80)로서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의 후방에 배치되어 가이드부재(50)에 대해 스위칭슬라이더(70)에 전방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The switching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는 전체가 구리 등의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도전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4에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전체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후단부에만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전성 금속으로 된 스위칭단자(73)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단자(73)는 중앙에 공기 및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관통공(72)이 형성된 링 형태를 갖는다. The switching
상기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는 각각 전선(63, 64)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유닛(30)의 컨트롤러(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이드부재(50)의 후방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의 후방면 또는 스위칭슬라이더(70)의 후방면에 장착된 스위칭단자(73)(도 4 참조)와 접촉하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상기 양극전극체(61)와 음극전극체(62)는 서로 180ㅀ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가이드부재(50)의 후방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작용과 함께 스위칭슬라이더(7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의 작용도 하게 된다. Sinc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The dual-type nebu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structed operates as follows.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먼저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90)를 스위칭하여 A 약제를 선택한 후 마우스피스(20)를 입에 대고 흡입을 하면, 흡입력이 토출구(21)를 통해 가이드부재(50) 내측의 스위칭슬라이더(70)에 전달되고, 스위칭슬라이더(70)가 탄성부재(80)의 탄성력을 이기고 가이드부재(5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2, when the user first switches the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위칭슬라이더(70)의 연통공(71)과 가이드부재(50)의 통기공(51)이 서로 일치하면서 연통됨과 동시에 스위칭슬라이더(70) 후방면 또는 스위칭슬라이더(70)의 후방면에 설치된 스위칭단자(73)(도 4 참조)가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와 접촉하면서 양극전극체(61)와 음극전극체(6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32)의 전기 회로가 연결되어 배터리(31)의 전원이 기화유닛(40)의 제1초음파 진동자(45a)로 인가되어 제1초음파 진동자(45a)가 작동한다. The communicating
상기 제1초음파 진동자(45a)가 작동함에 따라 제1섬유체(44a)를 통해 에어로졸생성부(42) 내로 공급된 A 약제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무화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도 3과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에어로졸생성부(42)의 측면과 상부면에 형성된 배출구(43)를 통해 본체(10)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된 후 흡입력에 의해 가이드부재(50)의 통기공(51)과 스위칭슬라이더(70)의 연통공(71)과 관통공(72)을 차례로 통과한 후 토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흡입하게 된다. As the first
사용자가 흡입을 멈추면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는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스위칭슬라이더(70)의 연통공(71)은 가이드부재(50)의 내측면에 의해 차폐된다. When the user stops the suction, the switching
한편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90)를 스위칭하여 B 약제를 선택한 후 마우스피스(20)를 입에 대고 흡입을 하면, 흡입력이 토출구(21)를 통해 가이드부재(50) 내측의 스위칭슬라이더(70)에 전달되고, 스위칭슬라이더(70)가 탄성부재(80)의 탄성력을 이기고 가이드부재(5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witches the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위칭슬라이더(70)의 연통공(71)과 가이드부재(50)의 통기공(51)이 서로 일치하면서 연통됨과 동시에 스위칭슬라이더(70) 후방면 또는 스위칭슬라이더(70)의 후방면에 설치된 스위칭단자(73)(도 6 참조)가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와 접촉하면서 양극전극체(61)와 음극전극체(6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32)의 전기 회로가 연결되어 배터리(31)의 전원이 기화유닛(40)의 제2초음파 진동자(45b)로 인가되어 제2초음파 진동자(45b)가 작동한다. The communicating
상기 제2초음파 진동자(45b)가 작동함에 따라 제2섬유체(44b)를 통해 에어로졸생성부(42) 내로 공급된 B 약제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무화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도 5와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에어로졸생성부(42)의 측면과 상부면에 형성된 배출구(43)를 통해 본체(10)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된 후 흡입력에 의해 가이드부재(50)의 통기공(51)과 스위칭슬라이더(70)의 연통공(71)과 관통공(72)을 차례로 통과한 후 토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흡입하게 된다. As the second
사용자가 흡입을 멈추면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는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스위칭슬라이더(70)의 연통공(71)은 가이드부재(50)의 내측면에 의해 차폐된다. When the user stops the suction, the switch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20)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토출구(21)의 바로 전방에 배치된 스위칭슬라이더(7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양극전극체(61)와 음극전극체(62)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져 기화유닛(40)에 전원이 공급되고, 기화된 에어로졸이 스위칭 동작을 구현하는 스위칭슬라이더(70)와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를 통과하여 토출구(21)로 토출된다.When the dual type Neblae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suction force through the
따라서 사용자의 흡입과 거의 동시에 기화유닛(40)이 작동하여 기화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으므로 약한 흡입력으로도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선택 스위치(90)에 의해 두 종류의 약제(A,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두 종류 모두를 선택하여 에어로졸 형태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vaporizing
한편, 상기 기화유닛(40)의 카트리지(41)에 수용되는 약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0040] The medicament contained in the
상기 약제는 자감초, 당귀, 맥문동 및 야관문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흡연 후 흡입용 폐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다. The above-mentioned medicines are used for preventing inhalation lung disease after smoking, which comprises as an active ingredient, a mixed extract which is mainly composed of Zygomycetes, Angelica keiskei, Maekmoongdong, and Yabukamuni extract and which can further contain alfalfa, Bokyeong, 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rapeutic use.
상기 조성물에는 절패모, 행인, 오미자, 길경, 자완, 백작약, 대추, 건강, 과루인, 금은화, 박하, 홍화, 목단피, 세신, 숙지황, 우슬, 노근 및 반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weet potato, passerine, omija, gakyung, jawan, white peony, jujube, health, ginseng, ginseng, mint, safflower, And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자감초, 당귀, 맥문동, 야관문 외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절패모, 행인, 오미자 및 길경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 목단피, 세신, 숙지황, 우슬, 노근 및 반하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a mixed extract comprising a mixture of Zaenchu, Janggui, Maekmundong, Yabuanmun, Sambuchei, Bepyeong, . 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include a mix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which further comprises a herbal extract, a sesquicifier, a water extract, a watery extract, a brow, and an infertile extract.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자완, 백작약, 대추, 건강, 과루인, 금은화, 박하 및 홍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목단피, 세신, 숙지황, 우슬, 노근 및 반하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a mix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cluding a herbal extract, a veterinary medicine, a jujube, a health, a plant extract, a ginseng, a mint, and a safflower extract. It is also preferable to include a mixed extract further containing an anhydro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또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모두를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s, as an active ingredient, a mixed extract obtained by mixing all of the above extracts.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자감초, 당귀, 맥문동, 야관문 외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 추출물을 각각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contain 5 to 12% by weight of each of the above-mentioned Zygomycetes, Angelica keiskei, Maekmoongdong, Yambuanmunum, Sangbokpyeon, Baekryeong, Chunmunmok, Gardenia and Golden extracts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천연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사용하며, 특히 당귀와 맥문동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이 항암, 항산화, 항염증 효능을 갖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es a mixed extract of the natural extract.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contains Angelica keiskei keiskei and Makkumong dong, so that the composition has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또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i) 자감초, 당귀, 맥문동, 야관문 외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기화시키면서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을 통해 액화시켜 증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증류 추출물을 소이왁스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고체화시키거나 아가올리고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겔(gel)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i) liquefying the vapor generated by vaporizing the mixed extracts including Zygomycorrhizae, Angelica keiskei, Maekmoongdong, Yabanmunum, Albaephyphi, Bokyeong, ; And (ii) mixing the distillation extract with soy wax to solidify the composition or mix it with agarooligos to gel the composition.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고체화 또는 겔화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소이왁스 또는 아가올리고를 사용하여 고체화 또는 겔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solidifying or gelling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by methods used in the art, but it is preferable to solidify or gellify using soy wax or agarooligos.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열수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The extract of the abov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and isolating from nature using an extraction and separation method known in the art. The 'extract'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xtracted using an appropriate solvent, For example, hot water extract, polar solvent-soluble extract or non-polar solvent-soluble extract.
상기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As the solvent, any solvent acceptable in the art may be used, and water or an organic solvent may be used.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purified water,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butylene glycol, acetone, ether, Various solvents such as benzene, chloroform,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hexane, and cyclohexan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However, It does not.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As the extraction method, any one of the methods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method, cold extraction method, reflux cooling extraction method, solvent extraction method, steam distillation method,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elution method and compression method can be selected and used. In addition, the desired extract may be further subjected to a conventional fractionation process or may be purified using a conventional purification method.
생성된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하거나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액상 형태로 얻거나, 얻어진 액상 형태의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다.The resulting extract can be obtained in the form of a liquid in which impurities are removed by filtration or centrifuga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r the obtained liquid form extract can be obtained in powder form by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 or drying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method.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적으로(예를 들면, 복용 또는 흡입) 또는 비경구적으로(예를 들면, 주사, 침착, 이식, 좌약) 투여될 수 있으며, 주사는 예를 들면, 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내주사 또는 복강내주사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따라, 정제, 캡슐제, 과립제, 파인 서브틸래(fine subtilae), 분제, 설하 정제, 좌약, 연고, 주사제, 유탁액제, 현탁액제, 시럽제, 분무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여러 가지 형태의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각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를 사용하여 공지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disintegrating agent), 윤활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장제(isotonic agent), 완충제, 피막제, 감미제, 용해제, 기제(base), 분산제, 습윤제, 현탁화제, 안정제, 착색제 등을 포함한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e.g., by ingestion or inhalation) or parenterally (e.g., by injection, sedation, implantation, suppository), and the injection may be by intravenous, , Intramuscular injection or intraperitoneal injec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into tablets, capsules, granules, fine subtilae, powders, sublingual tablets, suppositories, ointments, injections, emulsions, suspensions, syrups, . The various forms of the abov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may be prepared by known techniques using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customarily used in each formulation. Examples 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re excipients such as excipients, binders, disintegrating agents, lubricants, preservatives, antioxidants, isotonic agents, buffers, encapsulating agents, sweeteners, solubilizers, bases, , Suspending agents, stabilizers, coloring agents and the like.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약 0.01 내지 95 중량%로 포함한다.Although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pharmaceutical, it contains about 0.01 to 95% by weight of the extract or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투여량은 치료되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종류, 체중, 성별,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하루에 체중 1kg당 활성성분 0.01 내지 50 mg이 투여되고, 비경구투여의 경우에는 하루에 체중 1kg당 활성성분 0.01 내지 10 mg이 투여된다. 상기 총 일일 투여량은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한번에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The specific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kind of mammal including the person to be treated, body weight, sex, degree of disease, judgment of a doctor, and the like. Preferably, 0.01 to 50 mg of active ingredient per kilogram of body weight per day is administered per day for oral administration, and 0.01 to 10 mg of active ingredient per kilogram of body weight per day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The total daily dose may be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judgment of the physician, and the like.
이하, 상기 약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medica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실시예 1: 혼합 추출물의 제조 Example 1: Preparation of mixed extract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은 추출물을 증류시킨 증류액을 사용하며, 혼합 추출물을 한번 더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과정에서 나오는 증기를 냉각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이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자연 성분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므로, 부작용 없이 폐질환을 예방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xed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distillation of distillation of the extract and cooling the steam resulting from the vaporization of the mixed extract once more. Accordingly,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prevent or alleviate pulmonary disease without side effects because it contains a natural component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as an effective ingredient.
또한 증류액 사용으로 인해, 한약의 냄새를 억제하어 비위가 약한 사용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색깔은 투명하게 처리되어 색소침착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use of distillation liquid, the smell of herbal medicine can be suppress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to weak noodles, and the color can be treated transparently to prevent pigmentation.
혼합 추출물 증류액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였다.The mixed extract distillate was prepared as follows.
1) 자감초, 당귀, 맥문동, 야관문,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으로 구성되는 총 9종의 건조된 약재를 각각 10g씩 준비하였다. 1) We prepared 10 kinds of dried medicinal materials consisting of 9 kinds of dried medicinal materials, each of which consisted of Ganjanggwa, Angelica, Maekmundong,
2) 이 약재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2) This medicinal material was pulverized by a pulverizer and pulverized.
3) 9종의 약재혼합 분말을 거름망보자기에 잘 넣어 분말이 추출물에 침전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였다. 3) Mixed powders of 9 kinds of medicinal materials were placed in a sieve cloth to prevent the powder from being precipitated in the extract.
4) 열수추출기에 혼합분말이 들어있는 보자기를 잘 넣은 다음, 물 1L를 넣고. 100℃ 이상의 온도에서 2~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였다. 4) Put the crepe containing mixed powder into the hot water extractor well and put 1L of water. And then subjected to hot water extraction at a temperature of 100 ° C or higher for 2 to 3 hours.
5) 열수추출이 끝난 후, 추출물을 필터페이퍼를 사용하여 침전물을 걸러내었다.5) After the hot water extraction, the extract was filtered using a filter paper.
6) 침전물의 걸러진 추출물을 증류장치에 넣어 증류된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받아내었다. 6) The filtered extract of the precipitate was put into a distillation apparatus to distill the distilled mixture.
7) 상기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냉장보관하였다. 7) The mixed extracts were stored in a refrigerator.
실시예 2: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형상 조성물의 제조 Example 2: Preparation of solid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extract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의 증류액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gel화 하였다.The distillate of the mixed extract prepared in Example 1 was gelated by the following method.
1) 냉장보관중인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상온에 일정시간 방치하였다.1) The distilled mixture of mixed extracts was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a certain time.
2) 물 1L에 중량비 10%가 되도록 아가올리고 분말을 넣고 끓였다.2) Agar was added to 1 L of water so as to have a weight ratio of 10%, powder was added and boiled.
3) 아가올리고 분말이 녹은 용액을 50~60℃의 온도를 유지시켜 gel로 굳어지지 않게 하였다.3) The solution in which agar and powder were melted was kept at a temperature of 50 to 60 ° C to prevent gelation.
4) 상온에 방치중인 증류액을 교반기에 넣고 교반기를 작동시켰다. 교반기의 온도는 50~60℃를 유지 시켰다.4) The distillation solution left at room temperature was put into a stirrer and the stirrer was operated. The temperature of the stirrer was maintained at 50 to 60 ° C.
5) 아가올리고 분말 용액을 증류액의 중량대비 3% 넣어주었다.5) The agarooligosaccharide solution was added at 3% of the weight of the distillate.
6) 증류액과 아가올리고를 잘 섞은 후 고형화틀에 주입하였다.6) The distillate and agarooligos were mixed well and injected into a solidification mold.
7) 2시간 후 고형화틀에 주입한 혼합액이 식으면 gel을 회수하여 포장 후 보관하였다.7) After 2 hours, when the mixture solution was cooled, the gel was collected, packed and stored.
또한,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의 증류액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고형화 하였다.The distillate of the mixed extract prepared in Example 1 was solidified by the following method.
1) 냉장보관중인 증류액을 상온에 일정시간 방치하였다.1) The distillate stored in the refrigerator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a certain time.
2) 소이왁스를 60~70℃로 유지가 되는 교반기안에 넣은 후 작동시켜 녹였다.2) Soy wax was put into a stirrer maintained at 60 to 70 ° C, and operated to dissolve.
3) 증류액을 소이왁스 중량비의 9% 넣어주었다.3) The distillate was put in 9% by weight of soya wax.
4) 교반기로 잘 섞은 후 고형화틀에 부어 형태를 만들었다.4) Mix well with a stirrer and pour into a solidification mold to make a shape.
5) 16~24시간 후 틀에서 제거 후 고형화 된 증류액을 포장 후 보관하였다. 5) After 16 ~ 24 hours, the solidified distillate was removed from the frame and packaged.
실험예 1: 독성 및 부작용 확인Experimental Example 1: Identification of toxicity and side effects
성체 흰쥐 30 마리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사람에게 투여하는 용량비율(즉, 체중 1kg 당 1.5-2㎖의 투여량)로 90일 동안 경구 투여한 다음, 이 후 30일 동안 매일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외견상의 생리적 이상은 물론 해부학적 소견상의 어떤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다.30 adult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for 90 days at a dose ratio (i.e., a dose of 1.5-2 ml per 1 kg of body weight) of the mixed extract distillate prepared in Example 1 to human, Daily conditions were observed for days. As a result, no abnormality was found in the anatomical findings as well as the apparent physiological abnormalities in all experimental groups.
실험예 2: 니코틴에 의한 폐세포 독성 억제 실험 Experimental Example 2: Nicotine-induced inhibition of lung cytotoxicity
먼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동결건조하여 PBS 완충용액에 농도가 각각 500, 1000㎍/㎖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또한, 니코틴을 구입하여 같은 방법으로 각각 500, 1000㎍/㎖이 되게 희석하였다. 그런 다음, 폐세포 실험에 자주 사용되는 MRC-9라는 정상 폐세포에 상기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2시간 후에 니코틴 희석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폐세포를 배양시킨 다음, 세포의 생존도를 MTT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First, the distilled solution of the mixed extract prepared in Example 1 was lyophilized and diluted to a concentration of 500 μg / ml in PBS buffer solution. Nicotine was also purchased and diluted to 500 and 1000 μg / ml,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Then, the mixed extracts were treated with MRC-9 normal lung cells frequently used in lung cell experiments, and after 2 hours, the nicotine dilutions were treated by concentration. Then, lung cells were cultured in a 5% CO 2 incubator at 37 ° C for 24 hours, and the viability of the cells was measured by MTT assay.
MTT assay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세포군에 MTT 시약을 처리하고 4시간 후면 살아있는 세포는 보라색의 formazan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formazan을 모아서 DMSO에 녹인 다음,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der를 이용하여 540㎚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The MTT assay method is as follows. The MTT reagent is treated with MTT reagent and after 4 hours, the living cells form a purple formazan. The formazan is collected and dissolved in DMSO. The absorbance is measured at 540 nm using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측정 결과, 1000, 500㎍/㎖의 니코틴 희석물로 처리한 세포군은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군에 비해서 세포 생존도가 각각 25.8%, 6.7% 감소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선처리한 세포군에서는 세포 생존도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니코틴에 의한 폐세포 독성을 예방 및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cell viability was reduced by 25.8% and 6.7%,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ells treated with 1000 and 500 μg / ml of nicotine dilution. However, the cell survival rate of the pretreated mixed extract distil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ffective in preventing and suppressing nicotine-induced lung cytotoxicity.
실험예 3: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한 폐세포 독성 억제 실험 EXPERIMENTAL EXAMPLE 3: Inhibition of lung cytotoxicity by pharmaceutical composition
10g의 담배(Marlboro medium, Philip Morris)를 100㎖의 영양배지와 혼합하여 2시간 동안 37℃에 보관한 다음, 이 혼합물을 450ㅧ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만을 모아서 다시 13,000ㅧg에서 2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얻어진 결과물로부터 상층액 분리한 후, 5N NaOH로 pH 7.4로 조절한 다음 0.22㎛ 마이크로필터를 이용하여 무균상태의 담배추출물을 준비하였다.10 g of tobacco (Marlboro medium, Philip Morris) were mixed with 100 ml of nutrient medium and stored at 37 ° C for 2 hours. The mixture was then centrifuged at 450 ㅧ g for 10 minutes, and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gain at 13,000 ㅧ g And centrifuged for 2 hours. The supernatant was separated from the resultant, adjusted to pH 7.4 with 5N NaOH, and then sterilized to prepare an aseptic tobacco extract using a 0.22 μm microfilter.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예 1에 따른 혼합 추출물 증류액 100㎍/㎖을 폐세포에 처리하고, 2시간 후에 영양배지를 모두 제거한 다음 상기 담배추출물을 영양배지로 1/4로 희석하고 세포에 처리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에 따른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동일한 농도로 다시 세포군에 처리하였다. 48시간이 경과한 다음, MTT assay를 실시하여 세포의 생존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100 μg / ml of the mixed extract according to Example 1 was treated with lung cells and after 2 hours, all of the nutrient medium was removed, and the tobacco extract was diluted 1/4 with nutrient medium. Respectively. Then, the mixed extract distillate according to Example 1 was treated again with the same concentration. After 48 hours, MTT assay was performed to measure cell viabilit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측정 결과, 담배추출물을 희석하여 처리한 세포군은 23.2%의 낮은 세포 생존도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먼저 처리한 세포군은 담배추출물을 단독 처리한 세포군보다 세포 생존도가 증가하였다.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cell group treated with the tobacco extract diluted had a low cell viability of 23.2%, but the cell group treated with the mixed extract distil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higher cell viability than the cell group treated with the tobacco extract Respectivel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담배에 함유된 여러 종류의 화합물에 의한 폐세포 독성을 예방 및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흡연 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통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흡연으로 인한 폐질환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Thu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mixed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nd inhibit lung cytotoxicity by various kinds of compounds contained in tobacco.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by inhaling air through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moking, it is very effective in preventing or alleviating lung disease caused by smoking.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belong t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본체 20 : 마우스피스
21 : 토출구 30 : 전원공급유닛
31 : 배터리 32 : 컨트롤러
40 : 기화유닛 41 : 카트리지
42 : 에어로졸생성부 43 : 배출구
44a : 제1섬유체 44b : 제2섬유체
45a : 제1초음파 진동자 45b : 제2초음파 진동자
50 : 가이드부재 51 : 통기공
55 : 유동가이드 61 : 양극전극체
62 : 음극전극체 63, 64 : 전선
70 : 스위칭슬라이더 71 : 연통공
72 : 관통공 73 : 스위칭단자
80 : 탄성부재 90 : 선택 스위치10: main body 20: mouthpiece
21: Discharge port 30: Power supply unit
31: battery 32: controller
40: vaporizing unit 41: cartridge
42: aerosol generating unit 43:
44a:
45a: first
50: guide member 51: vent hole
55: flow guide 61: anode electrode body
62:
70: switching slider 71: communication hole
72: Through hole 73: Switching terminal
80: elastic member 90: selection switch
Claims (6)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본체 내에서 기화된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유닛과;
상기 전원공급유닛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약제를 에어로졸로 기화시키는 기화유닛과;
상기 토출구의 전방에서 토출구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측면에 에어로졸이 유입될 수 있는 통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통 형상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전원공급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
상기 가이드부재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발생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와 접촉하면서 양극전극체와 음극전극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흡입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통기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 중앙에는 상기 통기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을 통과한 공기 및 에어로졸을 마우스피스의 토출구 쪽으로 통과시켜주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통 형상의 스위칭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상기 스위칭슬라이더와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의 접촉 또는 이격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유닛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면서 기화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기화유닛은, 중간 격벽에 의해 병렬 형성된 제1챔버 및 제2챔버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약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부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측면과 상부면에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에어로졸생성부와, 상기 카트리지와 에어로졸생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각각 에어로졸생성부로 공급하는 제1섬유체 및 제2섬유체와, 상기 전원공급유닛의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섬유체 및 제2섬유체를 따라 에어로졸생성부 내로 공급된 약제를 초음파 진동시키는 제1초음파 진동자 및 제2초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초음파 진동자 및 제2초음파 진동자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거나 둘 모두가 작동되도록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가 더 포함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두 종류의 약제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모두로부터 선택적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A hollow cylindrical main body;
A mouthpiece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vaporized aerosol in the main body;
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 vaporization unit for aerosolizing the medicament by a power source a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A tubular guide member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ort in front of the discharge port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erosol can flow;
An anode electrode member and a cathode electrode memb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n an inn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The air electrode assembly is slid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inside of the guide member, moves backward by an air suction force generat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contacts the anod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thode electrode assembly whi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node assembly and the cathode assembly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ion hole when the ventilation hole is moved backward by a suction force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 and air and aerosol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ion hole are passed through the center of the rear end toward the outlet of the mouthpiece And a tubular switching slide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The power supply unit is turned on or off by contact or separation between the switching slider and the anode electrode body and the cathode electrode body so as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vaporization unit,
The vaporization unit comprises a cartridge having a first chamber and a second chamber which are formed in parallel by intermediate partition walls to accommodate two different types of medicaments, and a cartridge which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one end of the cartridge and has aerosol An aerosol generating unit that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exhaust ports are formed so as to pass therethrough; and a first fiber body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cartridge and the aerosol generating unit and supplies the medicines contained i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And a second ultrasonic vibrat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of the power supply unit to ultrasonically vibrate the medicine suppli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along the first fibrous body and the second fibrous body, Lt; / RTI >
Further comprising a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either one of the first ultrasonic vibrator and the second ultrasonic vibrator to operate or both to selectively generate an aerosol from either or both of the two types of medicines contained in the cartridge So that it can be sucked.
상기 토출구를 통한 흡입력이 제거될 때 스위칭슬라이더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스위칭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resiliently supporting the switching slider so that the switching slider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suction for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removed.
상기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는 가이드부재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ode electrode member and the cathode electrode member are provided so as to protrude radially inwardly of the guide member.
상기 스위칭슬라이더는 전체가 도전성 금속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slider is made entirely of a conductive metal.
상기 스위칭슬라이더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스위칭슬라이더의 중앙에 공기 및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로 되어 상기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와 접촉하게 되는 도전성 금속으로 된 스위칭단자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ing slider is made of a resin material and has a ring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ir and an aerosol pas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witching slider and a switching terminal made of a conductive metal to be in contact with the anode electrode body and the cathode electrode body is attached And a second type nibbler.
자감초, 당귀, 맥문동 및 야관문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Liquorice, Angelica, Maekmundong Wherein the composition comprises a mix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falfa, bamboo, astragalus, gourd, and gol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7992A KR101820835B1 (en) | 2017-04-13 | 2017-04-13 | Dual type nebuliz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7992A KR101820835B1 (en) | 2017-04-13 | 2017-04-13 | Dual type nebuliz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0835B1 true KR101820835B1 (en) | 2018-01-23 |
Family
ID=6107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79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820835B1 (en) | 2017-04-13 | 2017-04-13 | Dual type nebuliz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083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11052A (en) * | 2018-08-15 | 2018-12-18 | 佛山市第人民医院(中山大学附属佛山医院) | Novel nasal sprayer |
CN109758652A (en) * | 2019-03-29 | 2019-05-17 | 孙瀚聪 | A smart atomizer |
WO2021036837A1 (en) * | 2019-08-26 | 2021-03-04 |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Electronic cigarette atomizer |
KR20230048987A (en) | 2021-10-05 | 2023-04-12 |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 Nebuliz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34021A (en) * | 2003-07-17 | 2005-02-10 | Seiko Epson Corp | Electronic Cigarette |
-
2017
- 2017-04-13 KR KR1020170047992A patent/KR1018208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34021A (en) * | 2003-07-17 | 2005-02-10 | Seiko Epson Corp | Electronic Cigarett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11052A (en) * | 2018-08-15 | 2018-12-18 | 佛山市第人民医院(中山大学附属佛山医院) | Novel nasal sprayer |
CN109758652A (en) * | 2019-03-29 | 2019-05-17 | 孙瀚聪 | A smart atomizer |
WO2021036837A1 (en) * | 2019-08-26 | 2021-03-04 |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Electronic cigarette atomizer |
US12161166B2 (en) | 2019-08-26 | 2024-12-10 | China Tobacco Hunan Industrial Co., Ltd. | Electronic cigarette atomizer |
KR20230048987A (en) | 2021-10-05 | 2023-04-12 |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 Nebuliz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0827B1 (en) | Aerosol Generator for Portable Vaporizing And Inhaling Device, And Portable Vaporizing And Inhaling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820835B1 (en) | Dual type nebulizer | |
AU777789B2 (en) | Liquid composition to be vaporized for inhibiting increase in blood sugar level, vaporizer for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 |
WO2021003467A1 (en) | Metered do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psychedelic compounds | |
AU2002319422B8 (en) | Aerosol formulations of delta8 tetrahydrocannabinol | |
WO2021017137A1 (en) | Chewing gum, e-liquid and use thereof | |
CN110367581A (en) | It is a kind of by industrial hemp extract the ingredient containing cannabinoids composition and its purposes in tobacco product | |
KR101820825B1 (en) | Portable Vaporizing And Inhaling Device | |
AU2002319422A1 (en) | Aerosol formulations of delta8 tetrahydrocannabinol | |
KR101820841B1 (en) | Expansion and contraction type nebulizer easy to carry | |
WO2014076643A1 (en) | Compound particularly for treating depression and anxiety | |
JP7629236B2 (en) | Oral and nasal electronic cigarettes | |
CN110214972A (en) | A kind of additive in cigarette and the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 |
CN107260710B (en) | Application of cedrol in preparation of medicine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relieving alopecia | |
AU2014296065A1 (en) | Compositions and their use for smoking cessation and other treatments | |
US20200268824A1 (en) | Crocus sativus inhalation apparatus | |
CN102000073B (en) | Application of coptisine in preventing and curing myocardial ischemic diseases | |
CN101292976B (en) | Medicament combination containing 1,8-eudesmin and flavanones, and uses thereof | |
KR20110023949A (en) | Combustible atomizing solution for smoking cessation | |
KR20210057634A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ring loss comprising extract or fraction of Castanopsis echinocarpa | |
KR0156039B1 (en) | Method for preparing a pharmaceutical extract from the manufacturing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ntaining the extract | |
CN116474032A (en) |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ssential oi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uenza virus and its application | |
CN114209772A (en) | Pummelo peel atomized liqui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20130048108A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sthma containing selaginella tamariscina spring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 |
CN102772587A (en) | Preparation with cough relieving and phlegm reduction function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