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0832B1 - 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832B1
KR101820832B1 KR1020150100544A KR20150100544A KR101820832B1 KR 101820832 B1 KR101820832 B1 KR 101820832B1 KR 1020150100544 A KR1020150100544 A KR 1020150100544A KR 20150100544 A KR20150100544 A KR 20150100544A KR 101820832 B1 KR101820832 B1 KR 101820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uide holder
stopper
wall
slid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5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9095A (en
Inventor
김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5010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832B1/en
Publication of KR20170009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0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83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된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내주연에 삽입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홈이 배열된 제2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가능하도록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가 구비되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푸시스프링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스프링이 구비되는 가이드홀더와, 상기 가이드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토퍼의 상단면을 향해 탄성편향되어 상기 스토퍼를 하향하게 가압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푸시스프링에의해 평상시 상향하게 탄성편향되고 가압시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스토퍼 상단으로부터 후퇴시키는 해제부재가 형성된 푸시버튼을 포함한다.The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ipe having a coupling pa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second pipe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uide holder formed on the first pipe and having a stopper protruded downward so as to be insertable into the fixing groove and having a push spring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spring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topper being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topper by the pushing spring so as to be elastically biased upwardly by the pushing spring and to release the slide member from the top end of the stopper when pressed, Button.

Description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푸시버튼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by a simple operation of a push button.

진공청소기는 가정이나 업소에서 많이 사용되는 청소기의 일종으로, 공기의 압력을 이용한 강한 흡입력으로 주위에 떨어진 먼지나 쓰레기를 흡입한다. 구조는 흡입구, 모터, 회전날개, 필터, 먼지받이 케이스, 배기구 등으로 되어 있으며, 그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류자 전동기로 회전날개를 1만회 이상 회전시켜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먼지나 찌꺼기를 흡입구를 통해 빨아들인다. 빨아들인 먼지, 찌꺼기 등은 필터에서 걸러주고 공기는 배기구로 빠져나간다. A vacuum cleaner is a type of vacuum cleaner widely used in homes and businesses, and absorbs dirt and trash away from the surrounding area by strong suction force using air pressure.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an intake port, a motor, a rotating blade, a filter, a dust-collecting case, an exhaust port, and the like. The commutator motor rotates the rotating blades more than 10,000 times to make the inside vacuum, and sucks dust or debris through the intake port. The dirt, debris, etc. that are sucked are filtered from the filter, and the air escapes to the exhaust port.

이러한 진공청소기를 사용할 때에는 바닥에 흡입구가 닿도록 하고 사용자는 선 상태로 손잡이를 잡아 청소기를 밀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흡입구와 손잡이를 연결하는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파이프 길이 조절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When the vacuum cleaner is used, the suction por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oor, and the user holds the handle in a line state to push the vacuum cleaner.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pipe connecting the suction port and the handle, Respectively.

이러한 파이프 길이 조절 장치의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5687호 '진공청소기의 길이조절식 연장관'(1999.01.25. 공개)가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9-005687 entitled " Length Adjustable Extension Tub of Vacuum Cleaner " (published on Jan. 25, 1999) discloses such a conventional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이 종래의 기술은 흡입브러쉬를 선단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부를 갖추고, 후단부에 고정홈을 형성한 중공의 외관과, 상기 고정홈과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내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외관의 후단이 삽입되는 중공의 고정파이프와, 상기 고정파이프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선단부에 끼움홈을 형성하며, 후단부에 상기 손잡이가 장착되는 고정부를 형성한 중공의 내관과, 상기 끼움홈과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내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내관의 선단이 끼워져 상기 외관에 삽입되는 실링관을 연속하여 조립구성하는 진공청소기의 길이조절식 연장관을 제공한다.This conventional technique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llow outer tube having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uction brush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having a fixing groove formed at the rear end portion and a fixing projection engaging with the fixing groove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 hollow inner pipe which is inserted in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ipe and forms a fitting groove at a front end portion and has a fixing portion to which the knob is mounted at a rear end portion; And a sealing tube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is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so that the sealing tube is continuously assembled to provide a length adjustable extension tube of the vacuum cleaner.

그러나 이 종래의 기술은 내관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전체 조립길이를 자유롭게 늘이거나 줄이는 것으로, 동작이 신속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not fast because the inner tub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freely extend or reduce the entire assembly length.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간단한 가압동작만으로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청소기용 파이프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coupl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which can adjust the length of a pipe only by a simple pressing operation.

본 발명은 결합부가 형성된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내주연에 삽입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홈이 배열된 제2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가능하도록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가 구비되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푸시스프링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스프링이 구비되는 가이드홀더와, 상기 가이드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토퍼의 상단면을 향해 탄성편향되어 상기 스토퍼를 하향하게 가압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푸시스프링에의해 평상시 상향하게 탄성편향되고 가압시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스토퍼 상단으로부터 후퇴시키는 해제부재가 형성된 푸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having a first pipe formed with an engaging portion, a second pipe insertable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uide holder having a stopper protruding downwardly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topper, the guide spring including a push spring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spring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ush button which is provided with a slide member which presses the stopper downward and which is biased elastically upwardly by the push spring and which releases the slide member from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when pressed, Pipe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파이프의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홀더가 결합되는 조립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더는 상기 조립공의 내측면에 면접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장방형을 이루며 수직하게 돌출형성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양측단부에 홈으로 형성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더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에 끼움결합되도록 돌출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를 둘러싸며 결합되는 메인커버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ssembly hole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pipe to which the guide holder is coupled, and the guide holder has a fixing plat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And a main cover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guide holder and formed with a protruding and retreating portion to be fitted into the fixing portion and is surrounded and connected to the wall.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파이프의 결합부 내주연에는 원형관 형태인 파이프 홀더가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홀더는 상기 가이드홀더가 삽입결합되는 가이드홀더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더삽입공에는 상기 제1파이프가 끼워지는 슬릿이 형성된 끼움부재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pe holder in the form of a circular tube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pipe, the pipe holder includes a guide holder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guide holder is inserted, And a slit on which the first pipe is inser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홀더에는 상기 가이드스프링이 결합되는 보조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스프링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벽체 사이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하며, 상기 벽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전진을 막는 정지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보조벽체와 상기 정지부 사이에서 이동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holder is formed with an auxiliary wall to which the guide spring is coupled, one side is coupled to the guide spring, the slide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walls, A stopper portion for preventing advancement of the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slide member moves between the auxiliary wall and the stopper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메인커버 상단을 커버하는 가압부와, 상기 메인커버와 상기 가이드홀더의 벽체 사이를 상하운동하는 걸림벽이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button includes a pressing portion that covers an upper end of the main cover, and a locking wall that moves up and down between the main cover and the wall of the guide hold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벽체에서 상기 정지부와 보조벽체 사이에는 슬라이드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끼움공에 삽입되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단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버튼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경사부와 대응되는 경사로 형성된 해제부재가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가압가능하도록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e fit hole is formed in the wall between the stopper and the auxiliary wall, a lower end of the slide member is formed with a step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lide fit hole, Wherein the push button is formed with a releasing member formed at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lide member so as to press the slide me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홀더의 벽체 내측에는 수직삽입부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푸시버튼에는 상기 수직삽입부에 삽입가능한 수직부재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rtical insertion portion is recessed inside the wall of the guide holder, and a vertical member insertable into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push button.

본 발명은 푸시버튼을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파이프를 자유롭게 늘이거나 줄일 수 있으며, 파이프 이음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수를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줄임으로써 파이프 이음장치의 제조단가를 절약하고 유지 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extend or reduce a pipe by a simple operation of pushing a push button,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ipe joint device is remarkab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thereby sav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ipe joint device, .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측단면도.
도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제2파이프의 부분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부분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부분측단면도.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부분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부분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nn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of a second pipe in a pipe connection device for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nnect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1)는 일측에 결합부(11)가 형성된 제1파이프(10)와, 상기 제1파이프(10)의 내주연에 삽입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홈(21)이 배열된 제2파이프(20)와, 상기 제1파이프(10)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1)에 삽입가능하도록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35)가 구비되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푸시스프링(37)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스프링(39)이 구비되는 가이드홀더(30)와, 상기 가이드스프링(39)에 의해 상기 스토퍼(35)의 상단면을 향해 탄성편향되어 상기 스토퍼(35)를 하향하게 가압하는 슬라이드부재(40)와, 상기 푸시스프링(37)에 의해 평상시 상향하게 탄성편향되고 가압시 상기 슬라이드부재(40)를 상기 스토퍼(35) 상단으로부터 후퇴시키는 해제부재(71)가 형성된 푸시버튼(70)을 포함한다.A pipe connecting device 1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ipe 10 having a coupling part 1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pipe 10 which is insertable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pipe 10, A second pipe 20 in which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1 are arranged and a stopper 35 formed in the first pipe 10 and protruding downwar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1, A guide holder 30 provided with a push spring 37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spring 39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upper end surface of the stopper 35 by the guide spring 39 The slide member 40 is elastically biased upward by the push spring 37 and presses the slide member 40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topper 35 when the stopper 35 is biased elastically, (70) having a releasing member (71) for retracting the push button The.

여기서 상기 제1파이프(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파이프(20)를 내측에 삽입시키는 것으로, 일측에는 결합부(11)가 형성되는데, 이 결합부(11)는 후술될 가이드홀더(30)와 메인커버(50)와 푸시버튼(37)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조립공(11a)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파이프(10)의 평균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first pipe 10 inserts the second pipe 20 therein, and a coupling portion 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pipe 10, An assembling hole 11a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guide holder 30, the main cover 50 and the push button 37 are coupled with each other and is formed larger tha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first pipe 10.

상기 제1파이프(10)의 내주연에는 제2파이프(20)가 삽입되는데, 이 제2파이프(20)는 상기 제1파이프(10)에 얕게 삽입되면 상기 제1파이프(10)와 제2파이프(20)의 연결길이가 길어지고, 상기 제2파이프(20)가 상기 제1파이프(10)에 깊게 삽입되면 상기 제1파이프(10)와 제2파이프(20)의 연결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조정하기 위해 다수개의 고정홈(21)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A second pipe 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pipe 10 so that when the second pipe 20 is inserted shallowly into the first pipe 10, The connection length between the first pipe 10 and the second pipe 20 is shortened when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pipe 20 becomes long and the second pipe 20 is inserted deeply into the first pipe 10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1 are longitudinally arranged to adjust the depth of insertion.

이때, 상기 고정홈(21)은 후술될 스토퍼(35)가 자연스럽게 삽입 또는 삽입해제 가능하도록 가장자리가 경사져 형성되는 것일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groove 21 is formed with an inclined edge so that the stopper 35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or released naturally.

또한, 상기 다수개의 고정홈(21)을 통과하는 가이드레일(23)이 상기 다수개의 고정홈(21)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레일(23)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가이드홀더(30)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1파이프(10)가 상기 제2파이프(20)를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제1파이프(10)가 회전하지 않고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A guide rail 23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1 is longitudin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1. The guide rail 2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first pipe 10 can move linearly without rotating when the first pipe 10 moves along the second pipe 20 by moving the guide holder 30 to be described later .

상기 제1파이프(10)의 결합부(11)에 형성된 조립공(11a)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홀더(30)가 결합되는데, 이 가이드홀더(30)는,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21)에 삽입가능한 스토퍼(35)가 형성되어 상기 제1파이프(10)의 이동을 조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홀더(3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판상형의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 상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조립공(21) 내측에 위치하고 장방형으로 배열되는 벽체(33)와, 상기 벽체(33)의 양측단부에 홈으로 형성된 고정부(33a)와, 상기 벽체(33) 내측 양단에 위치하며 푸시스프링(37)이 삽입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스프링끼움부(37a)와, 상기 스프링끼움부(37a) 중 일측에 위치한 스프링 끼움부(37a)의 전면에는 상기 벽체(33)를 가로지르며 보조벽체(33c)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벽체(33c)에는 후술될 가이드스프링(39)이 결합되도록 수평하게 돌출형성된 가이드스프링끼움부(37a)가 형성된다. 4, a guide holder 30 is coupled to an assembly hole 11a formed in a coupling portion 11 of the first pipe 10, The guide holder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stopper 35 insertable into the fixing groove 21 is formed to adjust the movement of the first pipe 10, 8, a plate-like fixing plate 31 coupl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11, a fixing plate 3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1 and disposed inside the fitting hole 21 and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A fixed portion 33a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wall 33 and formed with grooves and a plurality of springs 33 disposed at both inner sides of the wall 33 and protruded to be inserted into the push spring 37, The fitting portion 37a and the spring fitting portion 37a, which are located at one side of the spring fitting portion 37a, The across the body 33 the auxiliary spring guide wall fitting portion (37a) (33c) is formed an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spring 39 is formed so that the horizontally projecting coupling the auxiliary wall (33c) is formed.

상기 가이드홀더(30)의 벽체(33)에는 후술될 슬라이드부재(40)가 끼워져 움직이는 슬라이드 끼움공(33e)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40)의 전진을 막는 정지부(33b)가 돌출형성되어 후술될 슬라이드부재(40)의 이동반경을 조정한다. The wall 33 of the guide holder 30 is provided with slide insertion holes 33e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which the slide member 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moves, 33b are protruded to adjust the movement radius of the slide member 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스토퍼(35)는,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홀더(30)에서 상기 고정판(31)의 하단면에 형성되는데, 이 스토퍼(35)는 머리부분(35b)이 상기 고정홈(21)에 삽입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머리부분이 상하로 움직여 상기 고정홈(21)에서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하는 탄성목부(35a)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35)의 머리부분(35b)은 상기 고정홈(21)으로부터 부드럽게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상기 고정홈(21)에 형성된 경사각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5 to 6, the stopper 35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1 in the guide holder 30. The stopper 35 has a head 35b, And is formed as an elastic neck portion 35a which is protrud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1 and the head portion is vertically moved to be inserted or removed in the fixing groove 21. [ At this time, the head 35b of the stopper 35 preferably has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in the fixing groove 21 so as to be smoothly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fixing groove 21.

상기 스토퍼(35)의 머리부분(35b) 상단에는 슬라이드부재(40)가 형성되는데, 이 슬라이드부재(4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스프링(39)에의해 평상시에는 탄성편향되어 상기 스토퍼(35)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토퍼(35)를 가압하며 스토퍼가 상기 고정홈(21)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스프링(39)이 가압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재(40)는 후퇴하여 상기 스토퍼(35)로부터 이탈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35)가 상향하게 움직이면서 상기 고정홈(21)으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상기 제2파이프(20)가 상기 제1파이프로(10)부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 slide member 4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ead portion 35b of the stopper 35. The slide member 40 is normally biased elastically by the guide spring 39 as shown in FIG. The stopper 35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35 so that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1. When the guide spring 39 is pressed, 40 are retracted and disengaged from the stopper 35, so that the stopper 35 is moved upward to be disengaged from the fixing groove 21. Thus, the second pipe 20 can freely move from the first pipe 10.

상기 슬라이드부재(40)는 상기 가이드스프링(39)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홀더(30)의 벽체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재(40)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스프링(39)이 삽입결합되도록 함몰형성되고, 상기 벽체(33)를 따라 이탈하지 않고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홀더(30)의 슬라이드끼움공(33e)에 삽입되는 단턱부(43)가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후술될 푸시버튼(70)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40)가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스프링(39)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41)가 형성된다. The slide member 4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coupled to the guide spring 39 and movable within the wall of the guide holder 30, bu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member 40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thereof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guide spring 39 so that the slide member 40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without detaching along the wall 33,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spring 39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tepped portion 43 so that the slide member 40 can be retracted when the push button 70 is pressed by a push button 70 The inclined portion 41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formed.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재(40)는 단턱부(43)가 상기 슬라이드 끼움공(33e)에 끼워져 전진 또는 후퇴 운동하며 상기 가이드홀더(30)의 정지부(33b)와 상기 보조벽체(33c)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40)가 가압되면 상기 보조벽체(33c)를 향해 상기 슬라이드부재(40)가 후퇴하고, 평상시에는 가이드스프링(39)에 의해 탄성편향되어 상기 스토퍼(35)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홈(21)에 삽입시킴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10)와 제2파이프(2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slide member 40 moves between the stopper 33b of the guide holder 30 and the auxiliary wall body 33c by moving the step portion 43 into the slide fitting hole 33e and moving forward or backward, When the slide member 40 is pressed, the slide member 40 is retracted toward the auxiliary wall body 33c and normally biased by the guide spring 39 to press the stopper 35, And the first pipe 10 and the second pipe 20 ar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1.

상기 제1파이프(10) 내주연에는 파이프홀더(6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 파이프홀더(60)는 상기 가이드홀더(3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홀더(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홀더 삽입공(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더 삽입공(61)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홀더(30)와 파이프홀더(60)와 제1파이프(10)를 체결하는 슬릿(63a)이 형성된 끼움부재(63)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파이프(10)의 결합부(11)에 형성된 조립공(11a)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홀더(30)가 결합되고, 상기 제1파이프(10) 내주연에는 파이프홀더(6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조립공(11a)을 통해서 가이드홀더(30)의 벽체(33)와 끼움부재(63)가 제1파이프(10)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A pipe holder 60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first pipe 10. The pipe holder 60 is formed to prevent the guide holder 30 from rotating. A guide holder insertion hole 61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lit for fastening the guide holder 30 and the pipe holder 60 to the first pipe 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holder insertion hole 61, And a fitting member 63 formed with a fitting portion 63a. 4, a guide holder 30 is coupled to an assembly hole 11a formed in a coupling portion 11 of the first pipe 10, (60). At this time, the wall 33 and the fitting member 63 of the guide holder 30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ipe 10 through the assembly hole 11a.

상기 가이드홀더(30)의 고정판(31)과 상기 파이프홀더(60)가 결합되면 원형관 형태가 완성되므로 상기 가이드홀더(30)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홀더(30)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홀더(30)의 고정판(31)과 상기 파이프홀더(60)가 결합되면 원형관 형태로 되고, 상기 제1파이프(10)가 상기 원형관 형태를 감싸게 되며, 제1파이프(10)의 결합부(11)에 형성된 조립공(11a)을 통해서 가이드홀더(30)의 벽체(33)가 제1파이프(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메인커버(50)는 제1파이프(10)의 조립공(11a)을 통해서 가이드홀더(30)가 제1파이프(10)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는 것이다.When the fixing plate 31 of the guide holder 30 is coupled with the pipe holder 60, the shape of the circular tube is completed, so that the guide holder 30 can not rotate any more, . That is, when the fixing plate 31 of the guide holder 30 is coupled with the pipe holder 60, the first pipe 10 is in the shape of a circular tube and the first pipe 10 surrounds the shape of the circular pipe. The wall 33 of the guide holder 3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ipe 10 through the assembly hole 11a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1 of the first pipe 10 The guide holder 30 is coupled to the protruded portion of the first pipe 10 through the assembling hole 11a of the first pipe 10.

상기 가이드홀더(30)에는 메인커버(50)가 결합되는데, 이 메인커버(50)는 상기 가이드홀더(30)의 벽체(33)를 둘러싸며 결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커버(50)는,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홀더(30)의 벽체(33)에 형성된 고정부(33a)가 끼움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된 돌출고정부(51)가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홀더(30)의 벽체(33)와 상기 메인커버(50) 사이에 푸시버튼(70)이 삽입되어 상하운동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푸시버튼(70)이 상기 메인커버(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단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이탈방지부(53)가 구비된다. The main cover 50 is coupled to the guide holder 30 so as to surround the wall 33 of the guide holder 30. The main cover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50 of the guide holder 30, 5 to 6, the cover 50 has a projecting and retreating portion 51 protruding to engage with the fixing portion 33a formed on the wall 33 of the guide holder 30, 7, a space is formed in which a push button 70 is inserted between the wall 33 of the guide holder 30 and the main cover 50 to move up and down, Preventing portion 53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upper end to prevent the push button 7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cover 50. [

상기 메인커버(50)의 상측에는 푸시버튼(70)이 씌워지는데, 이 푸시버튼(70)은 상기 가이드홀더(30)에 형성된 푸시스프링(37)과 가이드스프링(39)을 가압하는 것으로, 상측은 판형의 가압부(73)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73)의 가장자리에는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커버와 가이드홀더의 벽체 사이를 상하운동하는 걸림벽(75)이 형성된다.A push button 7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cover 50. The push button 70 presses the push spring 37 and the guide spring 39 formed on the guide holder 30, Shaped pressing portion 73. A locking wall 75 is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edge of the pressing portion 73 to vertically move between the wall of the main cover and the guide holder.

이 걸림벽(7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벽(75)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상기 이탈방지부(53)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하단이 돌출형성되며, 양측에 총 3개씩 6개의 걸림벽(75)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림벽(75)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7, the latching wall 7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atching wall 75 in the outer side And six hooking walls 75 are formed by three hooks on both sides. This is to facilitate operation even if one of the locking walls 75 is broken.

상기 푸시버튼(70)의 가압부(73) 하단면에는 상기 가이드홀더(30)의 스프링 끼움부(37a) 중앙에 삽입되는 삽입부재(73b)가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더(30)의 벽체(33)에 함몰형성된 수직삽입부(33d)에 삽입가능한 수직부재(73a)가 형성된다. 이 삽입부재(73b)와 수직부재(73a)는 상기 푸시버튼(70)이 흔들리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부재(73b)는 상기 푸시버튼(70)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73a)는 양측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insertion member 73b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pring fitting portion 37a of the guide holder 30 is vertically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pushing portion 73 of the push button 70, A vertical member 73a insertable into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 33d formed in the wall 33 is formed. The insertion member 73b and the vertical member 73a allow the push button 70 to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shaking. The insertion member 73b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ush button 70, (73a) are preferably formed on both sides.

상기 푸시버튼(70)의 가압부(73) 하단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40)를 가압하는 해제부재(71)가 형성되는데, 이 해제부재(71)는 상기 슬라이드부재(40)의 상단면인 경사부(41)을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40)를 후퇴시키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부재(40)의 상단면 경사와 대응되는 각도록 형성되어 상기 해제부재(71)가 하강하면 상기 해제부재(71)가 상기 슬라이드부재(40)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재(40)가 상기 스토퍼(35)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스토퍼(35)는 상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면서 상기 고정홈(21)으로부터 이탈되어 제1파이프(10)가 제2파이프(20)로 부터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A releasing member 71 for pressing the slide member 40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pushing portion 73 of the push button 70. The releasing member 71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lide member 40 When the releasing member 71 is lowered by forming the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member 40 by pushing the inclined portion 41 to retract the slide member 40, ) Pushes the slide member (40). The slide member 40 is released from the stopper 35 and the stopper 35 is moved upward so that the first pipe 10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21, As shown in Fi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이음장치(1)는 상향이동가능한 스토퍼(35)가 고정홈(21)에 끼워지고, 상기 스토퍼(35)를 가압하는 슬라이드부재(4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10)와 제2파이프(20)가 고정되며, 상기 스토퍼(35)를 가압하는 슬라이드부재(40)는 상기 푸시버튼(70)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해제부재(71)에의해 밀려 후퇴하면서 상기 스토퍼(35)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35)는 상향이동가능해짐에 따라 상기 고정홈(21)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1파이프(10)와 제2파이프(20)가 이동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ipe joint device 1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35, which is movable upward, is fitted in the fixing groove 21, and the slide member 40 The first pipe 10 and the second pipe 20 are fixed and the slide member 40 pressing the stopper 35 is pushed by the push button 70, The stopper 35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21 as the stopper 35 becomes upwardly movable so that the first pipe 10 and the second pipe 20 are separated from the stopper 35, (20) moves.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이음장치(10)는 단순한 가압 동작 만으로 상기 스토퍼(35)를 고정홈(21)으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제1파이프(10)와 제2파이프(20)가 이동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작동법이 매우 간단하며, 상기 수직부재(73a)와 삽입부재(73b)의 형성에 따라 상기 푸시버튼(70)이 흔들리지 않고 정확하게 상기 수직삽입부(33d)를 가압하여 동작의 정확성이 높으며, 가이드홀더(30)와 메인커버(50)와 푸시버튼(70)이라는 적은 수의 부품을 사용함에 따라 조립공수가 줄어 제작 비용이 저렴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vacuum pipe joint devi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stopper 35 from the fixing groove 21 by only a simple pressing operation, and the first pipe 10 and the second pipe 20 The push button 70 does not move in response to the formation of the vertical member 73a and the insertion member 73b and presses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 33d accurately And a small number of parts such as the guide holder 30, the main cover 50, and the push button 70 are used, which reduces the number of assembling operations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maintenance is easy.

1 : 청소기용 파이프 이음 장치 10 : 제1파이프
11 : 결합부 11a : 조립공
20 : 제2파이프 21 : 고정홈
23 : 가이드레일 30 : 가이드홀더
31 : 고정판 33 : 벽체
33a : 고정부 33b : 정지부
33c : 보조벽체 33d : 수직삽입부
33e : 슬라이드끼움공 35 : 스토퍼
35a : 탄성목부 35b : 머리부분
37 : 푸시스프링 39 : 가이드스프링
40 : 슬라이드부재 41 : 경사부
43 : 단턱 50 : 메인커버
51 : 돌출고정부 53 : 이탈방지부
60 : 파이프홀더 61 : 가이드홀더삽입공
63 : 끼움부재 63a : 슬릿
70 : 푸시버튼 71 : 해제부재
73 : 가압부 73a : 수직부재
73b : 삽입부재 75 : 걸림벽
1: pipe fitting for cleaner 10: first pipe
11: engaging portion 11a:
20: second pipe 21: fixing groove
23: guide rail 30: guide holder
31: fixing plate 33: wall
33a: Fixing portion 33b:
33c: auxiliary wall 33d: vertical insertion portion
33e: Slide-in ball 35: Stopper
35a: elastic neck portion 35b: head portion
37: push spring 39: guide spring
40: slide member 41:
43: Step 50: Main cover
51: protruding portion 53:
60: Pipe holder 61: Guide holder insertion hole
63: fitting member 63a: slit
70: push button 71: release member
73: pressing portion 73a: vertical member
73b: insertion member 75:

Claims (7)

결합부가 형성된 제1파이프; 상기 제1파이프의 내주연에 삽입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홈이 배열된 제2파이프; 상기 제1파이프의 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가능하도록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가 구비되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푸시스프링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스프링이 구비되는 가이드홀더; 상기 가이드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토퍼의 상단면을 향해 탄성편향되어 상기 스토퍼를 하향하게 가압하는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푸시스프링에의해 평상시 상향하게 탄성편향되고 가압시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스토퍼 상단으로부터 후퇴시키는 해제부재가 형성된 푸시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제1파이프의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홀더가 결합되는 조립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더는 상기 조립공의 내측면에 면접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장방형을 이루며 수직하게 돌출형성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양측단부에 홈으로 형성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더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에 끼움결합되도록 돌출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를 둘러싸며 결합되는 메인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파이프의 결합부 내주연에는 원형관 형태인 파이프 홀더가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홀더는 상기 가이드홀더가 삽입결합되는 가이드홀더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더삽입공에는 상기 제1파이프가 끼워지는 슬릿이 형성된 끼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홀더의 고정판과 상기 파이프홀더가 결합된 원형관 형태를 상기 제1파이프가 감싸게 되고, 상기 메인커버는 제1파이프의 조립공을 통해서 가이드홀더가 제1파이프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A first pipe having an engaging portion; A second pipe insert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uide holder having a push spring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spring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guide holder having a stopper formed in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pipe and protruding downwar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 slide member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top surface of the stopper by the guide spring to press down the stopper; And a push button which is elastically biased upward normally by the push spring and which releases the slide member from the top end of the stopper when pressurized,
Wherein the first pipe is formed with an assembly hole to which the guide holder is coupled, the guide holder includes a fixing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a wall formed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fixing plate, A main cover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holder and formed with a protruding / retreat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portion, the main cover being surrounded and connected to the wall,
A pipe holder in the form of a circular tube is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pipe, a guide holder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guide holder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first pipe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der insertion hole Wherein a sli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pipe is enclosed in a circular pipe shape in which the fixing plate of the guide holder and the pipe holde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main cover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irst pipe through the assembly hole of the first pipe Wherein the vacuum pipe connection device is a vacuum pipe conn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더의 벽체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스프링이 결합되는 보조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전진을 박는 정지부가 중앙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보조벽체와 상기 정지부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스프링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uxiliary wall to which the guide spring is coupled is formed between the walls of the guide holder,
Wherein the wall is provided with a stopper protruding in the center at a position for advancing the slide member,
Wherein the slide member is coupled to the guide spring between the auxiliary wall and the stop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서 상기 정지부와 보조벽체 사이에는 슬라이드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끼움공에 삽입되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단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버튼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경사부와 대응되는 경사로 형성된 해제부재가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가압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slide fit hole is formed in the wall between the stopper and the auxiliary wall,
A stepped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lide fitting hol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lide member,
An inclined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lide member,
Wherein the push button is formed with a releasing member formed at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portion of the slide member to press the slid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메인커버 상단을 커버하는 가압부와,
상기 메인커버와 상기 가이드홀더의 벽체 사이를 상하운동하는 걸림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 button includes a pressing portion that covers an upper end of the main cover,
And a hooking wall for vertically moving between the main cover and the wall of the guide holder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더의 벽체 내측에는 수직삽입부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푸시버튼에는 상기 수직삽입부에 삽입가능한 수직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ertical insertion portion is recessed and formed inside the wall of the guide holder,
Wherein the push button is formed with a vertical member insertable into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
KR1020150100544A 2015-07-15 2015-07-15 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 Active KR1018208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544A KR101820832B1 (en) 2015-07-15 2015-07-15 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544A KR101820832B1 (en) 2015-07-15 2015-07-15 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095A KR20170009095A (en) 2017-01-25
KR101820832B1 true KR101820832B1 (en) 2018-01-22

Family

ID=5799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544A Active KR101820832B1 (en) 2015-07-15 2015-07-15 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8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843A (en)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suction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of cordless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111B1 (en) * 2020-04-17 2022-06-15 윤종민 faucet with Cleaning tool
KR102646226B1 (en) * 2022-01-17 2024-03-11 김초희 Roll cleaner that removes the adhesive tap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267B1 (en) 1999-10-11 2007-10-23 오멕 에스.피.에이. Telescopic extension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CN204410732U (en) 2015-01-15 2015-06-24 天津希日博司塔金属有限公司 Expansion lin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267B1 (en) 1999-10-11 2007-10-23 오멕 에스.피.에이. Telescopic extension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CN204410732U (en) 2015-01-15 2015-06-24 天津希日博司塔金属有限公司 Expansion lin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843A (en)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suction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of cordless vacuum cleaner
KR102335476B1 (en) * 2019-12-12 2021-12-07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suction pipe length adjusting device of cordless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095A (en)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864B2 (en)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US9907446B2 (en)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US20140033470A1 (en)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US20140033473A1 (en)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KR20070032990A (en) Handle Assembly for Cleaners
KR101820832B1 (en) 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
US10857643B2 (en) Dust extractor
US20140033469A1 (en)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US20140033472A1 (en)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JP2003534024A (en) Vacuum cleaner foldable suction pipe assembly
CN221013122U (en) Attachment head, wand attachment and vacuum cleaner assembly
CN112971592A (en) Vertical dust collector
KR102485723B1 (en) 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2015320B1 (en) Vacuum Cleaner
CN117378959A (en) Vacuum cleaner assembly and adapter fitting therefor
KR101331719B1 (en) Cleaning kit and automatic cleaner comprising the same
CN217610904U (en) A sewage case and scrubber for scrubber
KR102328244B1 (en) Cleaner
CN211299783U (en) Vertical dust collector
WO2020143258A1 (en) 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CN216876184U (en) Handle of hand-held cleaner and cleaner with handle
KR101772164B1 (en) Connecting apparatus of Telescopic pipe for cleaner
JP4480595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200479158Y1 (en) A suction head assembly of vacuum cleaner
CN219422718U (en) Floor brush and dust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7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