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0785B1 -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785B1
KR101820785B1 KR1020170022772A KR20170022772A KR101820785B1 KR 101820785 B1 KR101820785 B1 KR 101820785B1 KR 1020170022772 A KR1020170022772 A KR 1020170022772A KR 20170022772 A KR20170022772 A KR 20170022772A KR 101820785 B1 KR101820785 B1 KR 101820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folded
panel
building
exteri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봉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헌
Priority to KR102017002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7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과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외장패널들 간의 조립시 수밀과 기밀 효과도 우수하게 되는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건축물의 벽면에 밀착되는 배면부와, 이 배면부의 양단으로부터 벽면의 반대쪽인 정면 쪽을 향해 연장되어 벽면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이 되는 양측면부와, 이 양측면부 사이에서 상기 배면부를 향해 뾰족한 V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도록 제1결합면과 이에 좌우 대칭인 제2결합면으로 이루어진 결합면을 구비한 빔을 구성 요소로 포함한다. 또, 빔의 정면 쪽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사각형의 제1판상면과, 이 제1판상면의 한쪽 측단에서 빔의 양측면부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1절곡면과, 이 제1절곡면의 말단에서 빔의 제1결합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구에 의해 고정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제2절곡면을 구비한 제1외장패널을 구성 요소로 포함한다. 또한, 빔을 상대로 제1외장패널의 제1판상면과 좌우 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제2판상면과, 이 제2판상면의 한쪽 측단에서 제1절곡면과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3절곡면과, 이 제3절곡면의 말단에서 빔의 제2결합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구에 의해 고정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제4절곡면을 구비한 제2외장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Structure for assembling exterior panel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과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외장패널들 사이로 빗물의 유입이나 결로현상 등을 방지하는 효과도 우수하게 되는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있어서 외장패널은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처리하는 재료로서, 유리, 알루미늄 시트, 복합 패널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외장패널은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지부재(support member)에 고정 설치되며, 지지부재는 통상적으로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등의 각형 강관 등이 사용되고 있다.
외장패널은 건축물의 외벽을 장식하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갖추어야 하며, 간편하고 쉽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 방풍 및 단열 효과도 우수하여야 한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는 '건축물의 장식재'라는 명칭으로 외장패널의 구성과 그 시공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며, 고정 패널을 이용하여 외장패널이 조립되는 특징이 나타나 있다. 즉, 고정 패널은 일측에 절곡편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에도 고정공이 구비된 절곡편이 형성되면서 절곡편의 단부에 요철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외장패널은 일측에 상부요홈 및 하부요홈이 형성되도록 지그재그로 절곡편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고정 패널의 요철부에 끼워지도록 절곡편의 단부에 고정턱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렇게 외장패널들 사이에 고정 패널을 개재시켜 외장패널의 절곡편에 형성된 고정턱을 고정 패널의 요철부에 끼우는 시공을 하는 데에는 작업 소요 시간이 길고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외장패널들 사이로 기밀과 수밀이 이루어지지 않아 빗물이 스며들거나 외풍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부착 프레임에 판재들을 결합시키되, 각각의 판재들은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결합홈과 측면확판을 구비함으로써 결합홈과 측면확판이 서로 끼움 결합되는 구조의 벽면 마감재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2의 구조에서는 협소한 결합홈에 측면확판을 끼워서 결합하기가 쉽지 않아 시공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3에는 건축물의 외벽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프레임의 날개편에 연결빔의 절곡편을 고정시키고, 연결빔에는 외장패널인 석재패널을 고정시키는 구조의 건축물의 외장벽 조립체가 나타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외장패널들 사이에 형성된 줄눈의 틈새가 커서 대류로 인한 열손실이 커지게 되고, 프레임의 날개편에 연결빔의 절곡편을 고정시킨 다음 연결빔에 외장패널을 고정시켜야 함과 아울러 프레임과 연결빔 사이에 완충패킹이 개재되므로 시공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1-0044332호(2001.06.0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2009호(2015.02.04. 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010797호(2007.01.24. 공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건축물용 외장패널을 시공함에 있어서 작업성이 떨어지거나 방수 및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빗물의 유입 및 결로현상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시공 작업의 어려움 또한 저감되며 작업성이 우수한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건축물의 벽면에 밀착되는 배면부와, 이 배면부의 양단으로부터 벽면의 반대쪽인 정면 쪽을 향해 연장되어 벽면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이 되는 양측면부와, 이 양측면부 사이에서 상기 배면부를 향해 뾰족한 V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도록 제1결합면과 이에 좌우 대칭인 제2결합면으로 이루어진 결합면을 구비한 빔을 구성 요소로 포함한다. 또, 상기 빔의 정면 쪽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사각형의 제1판상면과, 이 제1판상면의 한쪽 측단에서 빔의 양측면부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1절곡면과, 이 제1절곡면의 말단에서 빔의 제1결합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구에 의해 고정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제2절곡면을 구비한 제1외장패널을 구성 요소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빔을 상대로 제1외장패널의 제1판상면과 좌우 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제2판상면과, 이 제2판상면의 한쪽 측단에서 제1절곡면과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3절곡면과, 이 제3절곡면의 말단에서 빔의 제2결합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구에 의해 고정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제4절곡면을 구비한 제2외장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절곡면은 제1절곡면의 말단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단속적(斷續的)으로 형성이 되고, 상기 제4절곡면은 제3절곡면의 말단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절곡면과 상기 제4절곡면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외장패널에는 제1판상면의 상하단에 각각 벽면 쪽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 형성된 제5절곡면과 제6절곡면이 구비되고, 제5절곡면의 말단에는 상측에 인접하는 다른 제1외장패널의 제6절곡면 쪽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7절곡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외장패널에는 제2판상면의 상하단에 각각 벽면 쪽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 형성된 제8절곡면과 제9절곡면이 구비되고, 제8절곡면의 말단에는 상측에 인접하는 다른 제2외장패널의 제9절곡면 쪽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10절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1,2외장패널의 내/외부에 압력차가 존재하지 않고 등압상태를 유지하는 오픈 조인트 구조를 가짐으로써, 빗물의 유입과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우수한 단열 성능을 발휘할 수가 있다. 또한, 제1,2외장패널 사이의 줄눈 부위에 실란트를 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른 작업 공수와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제1,2외장패널들을 건축물의 벽면 측에 고정하거나 조립하는 작업 공수가 적고 구조도 간단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1외장패널과 제2외장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조립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1외장패널과 제2외장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시된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은 빔(10)과 제1외장패널(20) 및 제2외장패널(4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빔(1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배면부(11)를 구비하는데, 이 배면부는 건축물의 벽면(W)에 밀착이 되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배면부(11)의 양단으로부터는 벽면(W)의 반대쪽인 정면쪽을 향해 연장되어 벽면(W)에 스크류 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F)을 매개로 고정이 되는 양측면부(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F)은, 빔(10)의 양측면부(12) 중 어느 한 면과 벽면(W)에 각각 밀착되도록 'ㄱ'자형으로 형성된 브래킷(F1)과, 이 브래킷(F1)을 빔(10)의 양측면부(12) 중 어느 한 면에 고정시키는 비스(F2)와, 브래킷(F1)을 벽면(W)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볼트(F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빔(10)의 양측면부(12) 사이에는 결합면(13)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결합면(13)은 배면부(11)를 향해 뾰족한 V자형 단면 구조를 갖도록 좌우 대칭의 제1결합면(13a)과 제2결합면(13b)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외장패널(20)은 빔(10)의 정면 쪽을 상대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사각형의 제1판상면(2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판상면(21)의 한쪽 측단에서 빔(10)의 양측면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예각으로 절곡된 제1절곡면(2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절곡면(22)의 말단에는 빔(10)의 제1결합면(13a)에 밀착된 상태로 스크류와 같은 고정구(30)에 의해 고정이 되는 제2절곡면(23)이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외장패널(40)은 빔(10)을 상대로 제1외장패널(20)의 제1판상면(21)과 좌우 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제2판상면(41)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2판상면(41)의 한쪽 측단에는 제1외장패널(20)의 제1절곡면(22)과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예각으로 절곡된 제3절곡면(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절곡면(42)의 말단에는 빔(10)의 제2결합면(13b)에 밀착된 상태로 스크류와 같은 고정구(30')에 의해 고정이 되는 제4절곡면(43)이 절곡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외장패널(20)의 제2절곡면(23)은 제1절곡면(22)의 말단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단속적(斷續的)으로 형성이 될 수 있으며, 제2외장패널(40)의 제4절곡면(43) 역시 제3절곡면(42)의 말단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형성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제2절곡면(23)과 제4절곡면(43)이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는 하나의 연속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하여 소재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어 제조 단가 절감에 유리하다.
제1외장패널(20)의 제2절곡면(23)과 이에 대응하여 제2외장패널(40)의 제4절곡면(43)은 도 1의 실시예에 보이는 것처럼 엇갈리는 위치에서 형성이 될 수도 있고, 도 4의 실시예에 보이는 것처럼 서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이 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처럼 제2절곡면(23)과 제4절곡면(43)이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구조는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서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이 되는 구조에 비하여, 제1외장패널(20)과 제2외장패널(40)을 서로 정합시켜 정위치에서 빔(10)의 결합면(13)에 고정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도 3은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 구조물이 건축물의 벽면(W)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설치를 위한 시공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빔(10)의 양측면부(12)를 각각 고정수단(F)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면(W)에 견고하게 고정을 시키는데, 고정수단(F)의 브래킷(F1)을 빔(10)의 양측면부(12) 중 어느 한 면과 벽면(W)에 맞댄 상태에서 비스(F2)와 볼트(F)로 각각 고정시킨다.
그리고, 빔(10)의 정면 쪽에 제1외장패널(20)과 제2외장패널(40)을 각각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하되, 제1외장패널(20)의 제1판상면(21)과 제2외장패널(40)의 제2판상면(41)이 빔(10)의 정면 쪽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어서, 빔(10)의 결합면(13)을 향하여 제1외장패널(20)의 제2절곡면(23)과 제2외장패널(40)의 제4절곡면(43)을 삽입한다. 이때, 제1외장패널(20)의 제2절곡면(23)은 빔(10)의 제1결합면(13a)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3에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그려진 일점쇄선과 같이 공구를 집어넣어 고정구(30)로 제2절곡면(23)과 제1결합면(13a)을 서로 고정시킨다. 또한, 제2외장패널(40)의 제4절곡면(43)은 빔(10)의 제2결합면(13b)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3에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그려진 일점쇄선과 같이 공구를 집어넣어 고정구(30')로 제4절곡면(43)과 제2결합면(13b)을 서로 고정시킨다.
위와 같이 하여 시공이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의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은 이른바 오픈 조인트(Open Joint) 공법에 의하여 외장패널의 내/외부 압력이 등압상태에 놓이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오픈 조인트 공법은 건축물의 외벽이 외기의 온도, 태양광과 같은 직사광선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벽면과 외장패널 사이를 이격시켜 공기가 흐르는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외장패널들 사이의 줄눈은 밀폐시키지 않고 오픈시킴으로써 외장패널의 외부(대기)와 내부(이격 공간)로 공기가 유통되게 하여 외장패널의 내/외부 압력이 등압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등압이론에 의하면, 오픈된 줄눈을 통해 빗물이 이격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외장패널의 내/외부에 압력차가 존재함으로써 이격 공간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게 되면 빗물이 오픈된 줄눈을 통해 빨려들어오게 된다. 그러나, 외장패널의 내/외부에 압력차가 존재하지 않으면 빗물이 외장패널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 줄눈의 틈새 폭이 좁고, 틈새의 길이가 길면 빗물이 외장패널의 내부로 유입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은 위의 설명과 같이, 등압이론에 기초한 오픈 조인트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1,2외장패널(20,40)의 외부(대기)와 내부(이격 공간)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어, 제1,2외장패널(20,40)의 내/외부 압력이 등압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제1,2외장패널(20,40)의 내/외부에 압력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빗물이 제1,2외장패널(20,4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도 3에 보이는 것처럼 제1외장패널(20)의 제1절곡편(22)과 제2외장패널(40)의 제3절곡편(42)이 절곡된 각도로 인해, 제1외장패널(20)과 제2외장패널(40)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의 틈새 폭이 매우 작게 형성이 된다. 즉, 줄눈의 틈새 폭은, 제2절곡면(23)과 제1결합면(13a)을 고정구(30)로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3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선과 같이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 또는 제4절곡면(43)과 제2결합면(13b)을 고정구(30')로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만큼만 형성이 된다. 따라서, 빗물이 제1,2외장패널(20,4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압이론에 기초한 오픈 조인트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볼 수가 있다.
첫째, 종래의 클로즈드 조인트(Closed Joint) 공법에서는 줄눈의 틈새를 실란트로 밀폐시킴으로써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데 비해, 본 발명에서는 오픈 조인트 구조에 의해 제1,2외장패널(20,40)의 내/외부에 압력차가 존재하지 않는 등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란트를 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라 작업 공수와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오픈 조인트 구조로 인해 제1,2외장패널(20,40)의 내측 이격 공간으로 끊임없이 공기순환이 이루어져 제1,2외장패널(20,40)의 내측과 외부의 대기 온도가 거의 같은 온도를 유지할 수가 있어, 단열 성능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줄눈이 오픈된 상태로 실란트가 시공되지 않기 때문에, 석유화합물인 실란트 시공시 태양열이나 산성비 등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 인해 물성이 악화되면서 외장패널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실란트의 내구수명으로 인한 재시공이 불필요하므로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넷째, 종래의 클로즈드 조인트 구조에서는 줄눈 부위가 실란트로 마감처리됨으로 인해 실내의 온도 변화시 결로현상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줄눈이 오픈되어 있기 때문에 제1,2외장패널(20,40)의 내/외측으로 통풍이 가능하므로 온도 변화로 인한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조립 구조물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외장패널(20)에는 제1판상면(21)의 상하단에 각각 벽면(W) 쪽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 형성된 제5절곡면(24)과 제6절곡면(25)이 구비되고, 제5절곡면(24)의 말단에는 상측에 인접하는 다른 제1외장패널(20')의 제6절곡면(25') 쪽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7절곡면(2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외장패널(40)에는 제2판상면(41)의 상하단에 각각 상기 벽면(W) 쪽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 형성된 제8절곡면(44)과 제9절곡면(45)이 구비되고, 제8절곡면(44)의 말단에는 상측에 인접하는 다른 제2외장패널(40')의 제9절곡면(25') 쪽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10절곡면(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빔(10)의 결합면(13)을 상대로 복수 개의 제1외장패널(20)과 제2외장패널(40)을 상하 및 좌우로 고정시켰을 때, 아래/위로 인접하는 제1외장패널(20,20')들의 경우 하측의 제1외장패널(20)에 구비된 제5절곡면(24)이 상측의 제1외장패널(20')에 구비된 제6절곡면(25')에 맞닿게 됨과 아울러 하측 제1외장패널(20)의 제5절곡면(24)에 형성된 제7절곡면(26)이 상측 제1외장패널(20')의 제6절곡면(25') 모서리를 통해 제1외장패널(20')의 내측면에 대향하는 상태로 삽입되면서 제6절곡면(25')의 모서리와 밀착이 됨으로써, 상하 제1외장패널(20,20')들 사이에 수밀과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래/위로 인접하는 제2외장패널(40,40')들의 경우에도 하측의 제2외장패널(40)에 구비된 제8절곡면(44)이 상측의 제2외장패널(40')에 구비된 제9절곡면(45')에 맞닿게 됨과 아울러 하측 제2외장패널(40)의 제8절곡면(44)에 형성된 제10절곡면(46)이 상측 제2외장패널(40')의 제9절곡면(45') 모서리를 통해 제2외장패널(40')의 내측면에 대향하는 상태로 삽입되면서 제9절곡면(45')의 모서리와 밀착이 됨으로써, 상하 제2외장패널(40,40')들 사이에 수밀과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빔 11 : 배면부
12 : 양측면부 13 : 결합면
13a : 제1결합면 13b : 제2결합면
20 : 제1외장패널 21 : 제1판상면
22 : 제1절곡면 23 : 제2절곡면
24 : 제5절곡면 25 : 제6절곡면
26 : 제7절곡면 30,30' : 고정구
40 : 제2외장패널 41 : 제2판상면
42 : 제3절곡면 43 : 제4절곡면
44 : 제8절곡면 45 : 제9절곡면
46 : 제10절곡면 F : 고정수단
W : 벽면

Claims (4)

  1.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건축물의 벽면(W)에 밀착되는 배면부(11)와, 상기 배면부(11)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벽면(W)의 반대쪽인 정면 쪽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벽면(W)에 고정수단(F)을 매개로 고정이 되는 양측면부(12)와, 상기 양측면부(12) 사이에서 상기 배면부(11)를 향해 뾰족한 V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도록 제1결합면(13a)과 이에 좌우 대칭인 제2결합면(13b)으로 이루어진 결합면(13)을 구비한 빔(10);
    상기 빔(10)의 정면 쪽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사각형의 제1판상면(21)과, 상기 제1판상면(21)의 한쪽 측단에서 상기 빔(10)의 양측면부(12)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1절곡면(22)과, 상기 제1절곡면(22)의 말단에서 상기 빔(10)의 제1결합면(13a)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구(30)에 의해 고정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제2절곡면(23)을 구비한 제1외장패널(20);
    상기 빔(10)을 상대로 상기 제1외장패널(20)의 제1판상면(21)과 좌우 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제2판상면(41)과, 상기 제2판상면(41)의 한쪽 측단에서 상기 제1절곡면(22)과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3절곡면(42)과, 상기 제3절곡면(42)의 말단에서 상기 빔(10)의 제2결합면(13b)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구(30')에 의해 고정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제4절곡면(43)을 구비한 제2외장패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면(23)은 상기 제1절곡면(22)의 말단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단속적(斷續的)으로 형성이 되고, 상기 제4절곡면(43)은 상기 제3절곡면(42)의 말단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면(23)과 상기 제4절곡면(43)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장패널(20)에는 상기 제1판상면(21)의 상하단에 각각 상기 벽면(W) 쪽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 형성된 제5절곡면(24)과 제6절곡면(25)이 구비되고, 상기 제5절곡면(24)의 말단에는 상측에 인접하는 다른 제1외장패널(20')의 제6절곡면(25') 쪽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7절곡면(26)이 형성되며,
    상기 제2외장패널(40)에는 상기 제2판상면(41)의 상하단에 각각 상기 벽면(W) 쪽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 형성된 제8절곡면(44)과 제9절곡면(45)이 구비되고, 상기 제8절곡면(44)의 말단에는 상측에 인접하는 다른 제2외장패널(40')의 제9절곡면(45') 쪽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10절곡면(4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
KR1020170022772A 2017-02-21 2017-02-21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 Active KR101820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772A KR101820785B1 (ko) 2017-02-21 2017-02-21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772A KR101820785B1 (ko) 2017-02-21 2017-02-21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785B1 true KR101820785B1 (ko) 2018-01-23

Family

ID=6107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772A Active KR101820785B1 (ko) 2017-02-21 2017-02-21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721A (ko) 2019-06-13 2020-12-23 (주) 군월드 조립식 건축 외장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023U (ja) * 1991-04-12 1993-03-19 カクイチ建材工業株式会社 建築物用外装板
KR20110008339U (ko) * 2010-02-19 2011-08-25 (주)세화내장건설 벽체 구조
KR101671843B1 (ko) * 2016-06-08 2016-11-03 권오수 밀착형 판상 벽면 마감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023U (ja) * 1991-04-12 1993-03-19 カクイチ建材工業株式会社 建築物用外装板
KR20110008339U (ko) * 2010-02-19 2011-08-25 (주)세화내장건설 벽체 구조
KR101671843B1 (ko) * 2016-06-08 2016-11-03 권오수 밀착형 판상 벽면 마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721A (ko) 2019-06-13 2020-12-23 (주) 군월드 조립식 건축 외장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01084A1 (en) Curtain wall system
US8955270B2 (en) Window assemblies including bronze elements
KR20180024329A (ko) 엠보싱패널을 갖춘 벽체단열시스템조립체
JP7291576B2 (ja) 外壁パネルとサッシ窓の取合部構造
KR101697740B1 (ko)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820785B1 (ko) 건축물용 외장패널의 조립구조물
KR20100112418A (ko) 오픈 조인트를 갖는 건축물에서 스터드 볼트를 이용한 외장패널 고정장치
CN106703218A (zh) 一种装配式节能房屋型材
KR20180000675U (ko) 테라코타패널을 갖춘 벽체단열시스템조립체
US4016695A (en) Structural assemblies
US20090133341A1 (en) Window insul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ttaching
GB2386636A (en) Frame assembly arrangement
CN103857860A (zh) 外部隔热盖板
JP7291581B2 (ja) サイディング用取付具のコーナー部材
KR101697739B1 (ko) 복합 커튼월
JP4436524B2 (ja) 建築物等のパネル取付構造
KR102474848B1 (ko) 건축물 외장금속패널 시공구조
JP4246860B2 (ja) 建築物等のパネル取付構造
CN205558703U (zh) 门窗拼接结构
KR102734124B1 (ko) 내화 성능을 갖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모듈용 창틀구조체
KR102117407B1 (ko) 건물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N218541957U (zh) 一种断桥型材门框
GB2449439A (en) Solar Thermal Unit for standard window fitting
JP2000314275A (ja) 窓 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