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9993B1 -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 Google Patents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993B1
KR101819993B1 KR1020170048616A KR20170048616A KR101819993B1 KR 101819993 B1 KR101819993 B1 KR 101819993B1 KR 1020170048616 A KR1020170048616 A KR 1020170048616A KR 20170048616 A KR20170048616 A KR 20170048616A KR 101819993 B1 KR101819993 B1 KR 101819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coupling
support
support holder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락
Priority to KR1020170048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9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25Snap fit feature for mounting or assembly of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켓 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커플링에 구비되는 가스켓을 고정하는 홀더를 구비하여 유체커플링을 분리하는 경우에 가스켓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켓 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커플링을 구성하는 서로 대면하는 두 개의 블록에 형성된 유로의 연결부에 장착되는 가스켓; 상기 두 개의 블록의 결합면에 밀착하여 결합되도록 판상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스켓의 외주면을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홀더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GASKET FOR FLUID COUPLING WITH SUPPORT HOLDER}
본 발명은 가스켓 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커플링에 구비되는 가스켓을 고정하는 홀더를 구비하여 유체커플링을 분리하는 경우에 가스켓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켓 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 등에 이용되는 유체제어장치에는 서로 대면하여 접합하는 커플링부재 사이에 환상의 가스켓이 구비되어 상기 커플링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반도체 제조장치의 유체제어장치에 적용되는 가스켓 구조에 관한 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76567호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체 커플링이 사용되는 유체제어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반도체 제조장치 등에 사용되는 유체제어장치(4)는 질량유량제어기(3) 및 상기 질량유량제어기(3)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차단개방기(1, 2)로 구성되고, 각 차단개방기(1, 2)의 하면에는 입구 및 출구가 구비된 복수의 밸브(6, 7, 8, 9, 10)와, 각각의 밸브(6, 7, 8, 9, 10)가 상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밸브장착베이스부(28, 29)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장착베이스부(28, 29)는 일단측에 배치된 밸브(6, 8)의 입구로 통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유입통로형성부재(30, 34)와, 인접하는 밸브(6, 7, 8, 9, 10)의 입구와 출구를 연결하여 통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통로형성부재(33, 3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체크밸브(5, 11)는 커플링부(40, 41, 60, 61)가 설치된 좌측 밸브 본체(22, 25)와, 중앙 밸브 본체(23, 26) 및 우측 밸브 본체(24, 27)로 구성되며, 보조통로형성부재(32, 35, 37)는 커플링유지부재(47, 51, 53) 및 커플링부(43, 52, 54)로 구성되며, 직방체형 돌출부(49, 50)는 질량유량제어기(3)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또한 이 돌출부에는 하향 개방된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개폐 밸브(6, 7, 8, 9, 10)는 밸브본체(12, 14, 16, 18, 20) 및 이것에 상측으로부터 장착되어 밸브 본체(12, 14, 16, 18, 20) 내의 유로를 적절하게 차단 개방하는 액츄에이터(13, 15, 17, 19, 21)로 구성되어, 밸브본체(12, 14, 16, 18, 20)의 하단부에 설치된 위에서 보아 장방형인 플랜지부(12a, 14a, 16a, 18a, 20a)가 상방으로부터 체결된 나사(미도시)에 의해 밸브장착베이스부(28, 29)에 결합된다.
상기 각각의 차단 개방기(1, 2)에 있어서, 유로형성부재(30, 38)는 복수 부재(42, 43, 44, 45, 46, 55, 56, 57, 58, 59)의 조합에 의해서 U자형 통로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로형성부재(31, 33, 34, 36, 39)가 V자형 통로(31a, 34a, 36a, 39a)를 갖는 블록형 커플링 부재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블록형 커플링부재(31, 33, 34, 36, 39)는 부품수의 저감과 히터에 의해 용이하게 가열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유체제어장치는 저차압(低差壓)의 시스템이나 큰 유량(大流量)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압력손실을 줄여 유량을 증가시킬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V자형 통로(31a, 33a, 34a, 36a, 39a)가 마련된 블록형 커플링부재(31, 33, 34, 36, 39)를 이용하는 경우, U자형 통로를 갖는 유로 형성 부재와 비교해서, 그 개구부의 직경이 같더라도 유로 지름이 작아지기 때문에 유량 상승의 측면에서 불리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유체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에는 제1 개폐밸브의 밸브본체(12) 및 제2 개폐밸브의 밸브본체(14)와 연결통로형성부재(31)의 접합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의 (b)는 제1 개폐밸브의 밸브본체(12)와 연결통로형성부재(31)의 접합부를 더욱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제1 개폐밸브의 밸브본체(12)와 연결통로형성부재(31)의 접합 단면에는 각각 원형 단면의 오목부(69)가 마련되고, 각 오목부(69, 70)의 저면에는 선단에 가스켓 압박용 환상돌기(71a, 72a)가 있는 원통형 돌출부(71, 72)가 마련되어 있다. 양 부재(12, 31) 사이에는 리테이너(74)에 유지된 둥근 환상 가스켓(73)이 개재된다. 리테이너(74)는 연결통로형성부재(31)의 접합부도 완전히 동일하게 구성된다. 연결통로형성부재(31)의 V자형 통로(31a)에는 양 개구부로부터 경사방향의 구멍이 뚫려있고, 상기 통로(31a)의 하단에서 구멍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체커플링의 가스켓은 기판이 수직인 경우에 커플링부재를 체결하는 볼트를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볼트가 축부의 삽입관통구멍으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고, 가스켓을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스켓이 결합부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589921 B1 KR 10-057656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켓이 장착되는 밸브본체와 연결통로형성부재의 결합면에 가스켓을 지지하는 지지홀더를 구비하여 상기 가스켓이 안정적으로 지지 및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조립이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커플링을 구성하는 서로 대면하는 두 개의 블록에 형성된 유로의 연결부에 장착되는 가스켓; 상기 두 개의 블록의 결합면에 밀착하여 결합되도록 판상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스켓의 외주면을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홀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가스켓은 둘레방향의 외주면에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홀더에는 상기 가스켓의 장착홈에 대응하는 가스켓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스켓의 장착홈에 상기 가스켓결합부가 장착되면서 상기 가스켓의 외주면을 지지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가스켓결합부는 일단이 상기 지지홀더의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홀더의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자유단으로 구성된 최소한 2개 이상의 지지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단의 끝단이 상기 가스켓의 장착홈의 대면하는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가스켓결합부는 상기 가스켓의 일측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단과 상기 가스켓의 타측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단이 상기 가스켓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지지홀더에는 볼트결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볼트결합부의 내측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지지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볼트결합부의 내측에 3개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이 체결볼트의 나사골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은 가스켓이 지지홀더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조립이나 정비 등에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홀더가 밸브본체와 연결통로형성부재의 결합면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지지홀더의 볼트결합부에 체결볼트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홀더를 구비하여 체결볼트가 두 개의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상기 지지홀더가 체결볼트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체 커플링이 사용되는 유체제어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유체커플링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홀더가 구비된 가스켓이 유체 커플링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홀더가 구비된 가스켓과 유로가 형성된 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홀더와 가스켓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홀더가 구비된 가스켓이 유체 커플링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홀더가 구비된 가스켓과 유로가 형성된 블록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홀더와 가스켓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커플링(10)용 가스켓은 가스켓(100)과 상기 가스켓(100)을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홀더(130)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홀더(130)에 상기 가스켓(10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체 커플링(10)을 구성하는 유로형성부재(도 3에서 하부블록(15))과 밸브본체(도 3에서 상부블록(13) 사이에 장착되어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홀더가 구비된 가스켓은 주로 반도체 제조장치 등에 사용되어 유체 제어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반도체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유체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9921호 및 제10-0576567호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10)용 가스켓은 두 개의 블록이 결합하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유체 커플링(10)에 적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반도체 제조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스켓(100)은 유체 커플링(10)을 구성하는 하나의 블록(15, 예를 들어, 유로형성부재)과 다른 블록(13, 예를 들어, 밸브본체)이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블록(1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유로(20)를 연결하면서 기밀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스켓(100)은 가운데 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로에 대응하는 통공(115)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방향의 외주면에는 장착홈(110)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110)에 후술하여 설명할 가스켓결합부(15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스켓(100)은 두 개의 블록(10)에 각각 형성된 유로(20)의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블록(10)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상기 가스켓(100)이 장착되는 가스켓안착홈(30)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안착홈(30)에 상기 가스켓(100)의 길이방향의 일부가 삽입된다.
지지홀더(130)는 얇은 판상의 구조를 가지며, 내측에는 가스켓결합부(150)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홀더(130)는 상기 가스켓결합부(150)가 구비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장치의 유체제어장치는 사각형의 유로형성부재가 밸브본체와 대면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지지홀더(130) 또한 밸브본체의 결합면에 대응하는 사각형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지지홀더를 예시로 설명한다.
가스켓결합부(150)는 가스켓(100)이 장착되는 곳으로 상기 가스켓(10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가스켓(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가스켓결합부(150)도 원형 또는 원형에 대응하는 가상의 연결선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가스켓(100)의 둘레방향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110)에 가스켓결합부(150)의 내측이 대면하도록 장착되면서 결합한다. 이때, 가스켓결합부(150)는 가스켓(100)의 둘레방향에 대응하는 완전한 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또는 양측에 절개부(155)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부(155)는 가스켓(100)이 가스켓결합부(150)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하며, 탈부착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가스켓결합부(150)는 지지홀더(130)의 본체로부터 연장된 최소한 2개 이상의 지지단(160)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단(160)의 끝단이 가스켓(100)의 둘레방향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110)에 대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홀더(130)가 사각형의 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홀더(130)의 가운데 부분 양측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가스켓결합부(150)가 구비되는 경우에 각각의 가스켓결합부(150)는 최소한 2개 이상의 복수의 지지단(160)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단(160)의 단부가 가스켓(100)의 장착홈(110)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거나 상기 지지단(160)의 단부를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장착홈(110)에 대응하는 형상이 되도록 한다. 지지단(160)은 일단이 지지홀더(130)의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홀더(130)의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지지단(160)이 가스켓(100)의 외주면의 양측에서 가스켓(100)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지지단(160)의 끝단이 가스켓(100)의 장착홈(110)에 삽입되면서 상기 가스켓(100)을 지지 및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가스켓결합부(150)는 가스켓(100)의 일측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단(160)과 상기 가스켓(100)의 타측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단(1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지단(160)이 상기 가스켓(100)의 양측면을 대칭하는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홀더(130)의 타측방향에서 연장된 두 가닥의 지지단(160)이 가스켓(100)의 타측면의 양측을 지지하고, 지지홀더(130)의 일측방향에서 연장된 두 가닥의 지지단(160)이 가스켓(100)의 일측면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일측 방향의 지지단(160)과 타측방향의 지지단(160)은 서로 이격되고 어느 정도 유연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가스켓(100)을 장착하거나 분리하기도 용이하다. 지지단(160)은 필요에 따라 한 측 방향에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단(16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100)에 대하여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가스켓(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반드시 대칭되는 구조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지지홀더(130)에 형성되는 가스켓결합부(15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지지홀더(130)에 하나의 가스켓결합부(150)를 형성하여 대면하는 블록에 형성된 하나의 유로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홀더(130)에 2개 이상의 가스켓결합부(150)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홀더(130)에 하나의 가스켓결합부(15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가스켓(100)의 양측을 자유단으로 지지하는 지지단(160) 외에 상기 지지단(160)을 연결하는 구조의 본체가 될 필요가 있다.
지지홀더(130)에는 볼트결합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볼트결합부(170)는 지지홀더(130)가 설치되는 서로 대면하는 두 개의 블록을 볼트로 체결하는 경우에 체결볼트(173)가 관통하면서 결합한다. 이때, 볼트결합부(170)의 내측에는 결합돌기(17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173)에 대응하는 원형의 볼트결합부(170)의 내측에 복수의 결합돌기(175)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볼트결합부(170)는 최소한 체결볼트(173)의 나사 산과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구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75)의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은 체결볼트(173)의 나사 골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체결볼트(173)가 회전하면서 볼트결합부(170)를 통과할 때 상기 결합돌기(175)가 체결볼트(173)의 나사 골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지지홀더(130)가 구비된 두 개의 블록을 체결하는 체결볼트(173)를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결합돌기(175)가 체결볼트(173)의 끝단에 걸려서 상기 지지홀더(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체결볼트(173)를 회전시켜 두 개의 블록을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체결볼트(173)를 끝까지 회전하더라도 최소한 복수의 체결볼트(173) 중 일부에 결합돌기(175)의 일부가 걸려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결합돌기(175)는 볼트결합부(170)의 내측에 3개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홀더(130)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의 결합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지지홀더(130)의 가스켓결합부(150)에 가스켓(100)을 장착한다. 가스켓결합부(150)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단(160)이 대칭되는 방향에서 가스켓(100)의 둘레방향의 외측면에 형성된 장착홈(110)에 장착되면서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가스켓결합부(150)에 가스켓(100)을 가볍게 밀어넣으면 상기 지지단(160)의 일부가 휘어지거나 벌어지면서 쉽게 장착된다. 그런 후에 모든 지지단(160)이 가스켓(100)의 장착홈(110)에 대면하도록 결합되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단(160)이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가스켓(100)을 지지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가스켓(100)이 장착된 지지홀더(130)는 상기 가스켓(100)이 서로 대면하는 블록의 유로에 일치하도록 하여 장착한다. 서로 대면하는 블록에 형성된 유로의 입구에는 가스켓(100)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장착되도록 확장된 가스켓안착홈(30)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켓(100)은 상기 가스켓안착홈(30)에 삽입되면서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블록(15)에 지지홀더(130)에 장착된 가스켓(100)을 장착하고, 다른 하나의 블록(13)을 상부에 결합하면 상기 가스켓(100)은 두 개의 블록(10)에 형성된 유로(20)의 결합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홀더(130)는 양 측면이 각각 두 개의 블록(10)에 대면하게 된다. 이때, 지지홀더(130)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결합부(170)는 두 개의 블록(10)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50)와 일치하는 위치가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체결볼트(173)를 이용하여 두 개의 블록을 체결하며, 이때 체결볼트(173)가 볼트결합부(170)를 통과할 때는 체결볼트(173)의 나사 골을 따라 결합돌기(175)가 이동하면서 결합 된다.
한편, 두 개의 블록을 분리할 때 체결볼트(173)를 회전시키면 볼트결합부(170)의 내측에 구비된 결합돌기(175)도 나사골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풀리게 되는데, 상기 체결볼트(173)는 하부블록(15)의 암나사로부터 먼저 이탈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돌기(175)의 일부가 여전히 나사 골에 걸려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가스켓(100)은 지지홀더(130)에 걸려있기 때문에 체결볼트(173)를 분리하더라도 블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종래에는 두 개의 블록을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가스켓(100)이 블록으로부터 이탈하면서 바닥에 떨어져서 오염되거나 유실되는 경우가 많았다. 가스켓(100)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작업자가 분리하는 과정에서 쉽게 유실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지지홀더(130)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은 상기 지지홀더(130)가 결합돌기(175)와 나사 골의 결합에 의하여 대부분 체결볼트(173) 방향으로 분리되고, 지지홀더(130)와 복수의 가스켓(100)이 하나로 결합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분리하거나 결합하기 용이하여 분실이나 이탈의 우려가 적다.
100: 가스켓
110: 장착홈
130: 지지홀더
150: 가스켓결합부
160: 지지단
170: 볼트결합부
173: 체결볼트
175: 결합돌기

Claims (6)

  1. 커플링을 구성하는 서로 대면하는 두 개의 블록에 형성된 유로의 연결부에 장착되는 가스켓; 및
    상기 두 개의 블록의 결합면에 밀착하여 결합되도록 판상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스켓의 외주면을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가스켓은 둘레방향의 외주면에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홀더에는 상기 가스켓의 장착홈에 대응하는 가스켓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스켓의 장착홈에 상기 가스켓결합부가 장착되면서 상기 가스켓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스켓결합부는,
    상기 지지홀더의 한 변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 및
    일단이 상기 지지홀더의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홀더의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타단이 상기 가스켓의 장착홈의 대면하는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최소한 2개의 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지지단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상기 가스켓를 기준으로 한 측 방향에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2개 이상으로 구성된 상기 지지단은 상기 가스켓을 기준으로 상호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결합부는 상기 가스켓의 일측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단과 상기 가스켓의 타측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단이 상기 가스켓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에는 볼트결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볼트결합부의 내측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볼트결합부의 내측에 3개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이 체결볼트의 나사골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KR1020170048616A 2017-04-14 2017-04-14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Active KR101819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16A KR101819993B1 (ko) 2017-04-14 2017-04-14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16A KR101819993B1 (ko) 2017-04-14 2017-04-14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993B1 true KR101819993B1 (ko) 2018-01-19

Family

ID=6102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616A Active KR101819993B1 (ko) 2017-04-14 2017-04-14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4898A (zh) * 2018-11-23 2020-06-02 株式会社 Unilok 复合过滤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0448A (en) 1997-01-03 1998-03-24 Eg&G Pressure Science, Inc. Seal retainer plate
US6845984B2 (en) 2000-11-27 2005-01-25 Michael Doyle Keeper for positioning ring se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0448A (en) 1997-01-03 1998-03-24 Eg&G Pressure Science, Inc. Seal retainer plate
US6845984B2 (en) 2000-11-27 2005-01-25 Michael Doyle Keeper for positioning ring se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4898A (zh) * 2018-11-23 2020-06-02 株式会社 Unilok 复合过滤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7170B1 (en) Couplings for fluid controllers
US6868867B2 (en) Fluid control apparatus
KR100473038B1 (ko) 유체제어기
EP1925870A1 (en) Fluid controller
TWI485342B (zh) 膜片閥
US8281816B2 (en) Fluid control apparatus
US7467640B2 (en) Valve for an expandable gas or liquid distribution system
KR20020002335A (ko) 유체 제어 장치
US9982795B2 (en) Modular fluid control system
JP2011064329A (ja) 拡張可能な気体又は液体分配システム
JP2017002919A (ja) 流体機器
JP6347969B2 (ja) 流体制御装置および流体制御装置用継手部材
KR101819993B1 (ko)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US7322616B2 (en) Tubing connecting device
CA2289282C (en) Fluid coupling
WO2009113345A1 (ja) コネクタ
KR102403885B1 (ko) 밸브 장치 및 유체 제어 장치
JP5527641B2 (ja) 流体圧機器の接続具
US7194911B2 (en) Pressure gage for an expandable gas or fluid distribution system
KR100511746B1 (ko) 매니폴드 레귤레이터
JP6175300B2 (ja) 流体制御装置用継手部材および流体制御装置
JP2007170484A (ja) 流量制御機器の取付構造
KR102284009B1 (ko) 유체 분배기
CN206360957U (zh) 连接设备和连接设备系统
JP6827273B2 (ja) ブロック継手の閉止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