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9654B1 - Solution process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ed structure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olution process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ed structure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654B1
KR101819654B1 KR1020150072178A KR20150072178A KR101819654B1 KR 101819654 B1 KR101819654 B1 KR 101819654B1 KR 1020150072178 A KR1020150072178 A KR 1020150072178A KR 20150072178 A KR20150072178 A KR 20150072178A KR 101819654 B1 KR101819654 B1 KR 101819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ubstrate
laser
inkjet
nozz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37264A (en
Inventor
장원석
지석영
정소희
김덕종
우창수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7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654B1/en
Publication of KR20160137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2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65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8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 H01L21/0228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printing, e.g. ink-jet pri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8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는 기판에 잉크를 프린팅하는 잉크젯 프린팅부, 상기 잉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잉크를 가공하는 레이저 가공부, 상기 기판, 잉크젯 프린팅부 및 레이저 가공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 잉크젯 프린팅부 및 레이저 가공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jet printing unit for printing ink on a substrate, a laser processing unit for irradiating the ink with the ink to process the ink,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substrate, the inkjet printing unit, And a moving stag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the inkjet printing unit, and the laser processing unit.

Description

용액 공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SOLUTION PROCESS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ED STRUCTURE DEVICE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

본 발명은 용액 공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structural element using the same.

실리콘 기반 반도체 산업의 비용적 또는 환경적 문제점에 의해 대체 기술에 의한 소자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용액 공정을 이용한 소자 패턴 구현 기술은 많은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용액 공정(Solution process)은 액체 상태의 재료를 프린팅하여 평판 표시 장치 등의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종래에 소자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증착 공정(deposition process)은 재료 사용 효율이 10% 정도로 낮으며, 공정이 복잡하고, 대면적 소자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용액 공정은 재료 사용 효율이 이론적으로 100%에 가까워 비용이 절감되고, 공정이 단순하며, 대면적 소자에도 적용하기 쉽다. Due to cost or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silicon-based semiconductor industry, development of devices by alternative technologies is underway. Among them, many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the device patterning technology using the solution process. The solution process is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device such a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by printing a liquid material. Conventionally, a deposition process used for manufacturing a device has a low material utilization efficiency of about 10%, has a complicated process, and is difficult to apply to a large-area device. However, the solution process is theoretically 100% in terms of the material utilization efficiency, so that the cost is reduced, the process is simple, and it is easy to apply to a large-sized device.

이러한 용액 공정을 이용한 소자에서 단층 구조의 패턴은 상용화되어 현재 많은 산업에서 사용을 하고 있지만 다층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장비와 여러 공정을 거쳐 제작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In this device using a solution process, the pattern of a single layer structure is commercialized and used in many industries at present. However, in order to form a multi-layer structu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must be manufactured through a lot of equipment and various processes.

즉, 용액 공정을 이용하여 단층 구조 소자의 패턴을 만들기 위해서는 증착, 레이저 소결 등의 기술을 사용하고, 다층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하층과 상층을 연결하기 위해 식각 공정을 별도로 진행하여 하층과 상층을 연결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각 공정마다 다른 장치를 사용하게 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또한, 3차원 구조는 2차원 구조와 달리 기판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소자 구현이 어려운 점이 있다.That is, in order to form a pattern of a single-layer structure element using a solution process, a technique such as vapor deposition or laser sintering is used. In order to form a multi-layer structure, an etching process is separately performed to connect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 This method is time consuming and costly because different processes are used for each process. In addition, unlike a two-dimensional structur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difficult to implement by a step formed on a substrate.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 비용이 낮고 제조 공정 속도가 빠른 용액 공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low manufacturing cost and a high manufacturing process spe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structural ele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는 기판에 잉크를 프린팅하는 잉크젯 프린팅부, 상기 잉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잉크를 가공하는 레이저 가공부, 상기 기판, 잉크젯 프린팅부 및 레이저 가공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 잉크젯 프린팅부 및 레이저 가공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jet printing unit for printing ink on a substrate, a laser processing unit for irradiating the ink with the ink to process the ink,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substrate, the inkjet printing unit, And a moving stag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the inkjet printing unit, and the laser processing unit.

상기 이동 스테이지는 상기 기판을 지지하며 상기 기판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 스테이지, 상기 잉크젯 프린팅부 및 상기 레이저 가공부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수직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stage may include a horizontal stage that supports the substrate and adjusts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substrate, the inkjet printing portion, and a vertical stage to which the laser processing portion is attached and control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ubstrate.

상기 수직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의 단차 데이터를 측정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단차 데이터를 상기 수직 스테이지에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or installed on the vertical stage for measuring step data of the substrate and a data transceiv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tep data measured by the touch sensor to the vertical stage.

상기 잉크젯 프린팅부는 상기 기판에 상기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젯 노즐, 상기 잉크젯 노즐에 상기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젯 펌프, 상기 잉크젯 노즐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노즐은 라인 프린팅 노즐, 드롭 온 디맨드 노즐, 스프레이 코팅 노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Wherein the inkjet printing unit includes an inkjet nozzle for jetting the ink onto the substrate, an inkjet pump for supplying the ink to the inkjet nozzle, and a voltage supplier for supplying a voltage to the inkjet nozzle, An on-demand nozzle, and a spray coating nozzle.

상기 레이저 가공부는 상기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기, 상기 레이저의 형상을 조절하는 레이저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ser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laser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laser, and a laser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상기 레이저 조절 부재는 상기 레이저를 단속시키는 빔 셔터, 상기 빔 셔터를 통과한 레이저의 초점 거리를 변동시키는 빔 익스펜더, 상기 빔 익스펜더를 통과한 레이저를 집속시키는 집속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ser control member may include a beam shutter for interrupting the laser, a beam expander for changing a focal distance of the laser beam passing through the beam shutter, and a focusing lens for focusing the laser beam passing through the beam expand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기판에 잉크를 프린팅하는 잉크젯 프린팅부, 상기 잉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잉크를 가공하는 레이저 가공부, 상기 기판, 잉크젯 프린팅부 및 레이저 가공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 잉크젯 프린팅부 및 레이저 가공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용액 공정 장치에서 상기 잉크젯 프린팅부의 잉크젯 노즐을 이용하여 제1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기판에 하층 잉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가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하층 잉크 패턴을 소결하여 하층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잉크젯 노즐을 이용하여 제2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기판 및 상기 하층 전극 패턴을 덮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가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하층 전극 패턴의 일부를 노출하는 연결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잉크젯 노즐을 이용하여 제3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연결 구멍을 채우는 상층 잉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가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상층 잉크 패턴을 소결하여 상층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jet printing unit printing an ink on a substrate, a laser processing unit irradiating the ink with the ink to process the ink, the substrate, the inkjet printing unit, And a moving stag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the inkjet printing unit, and the laser processing unit, the first ink is jetted using the inkjet nozzle of the inkjet printing unit, Forming an ink pattern, forming a lower layer electrode pattern by sintering the lower layer ink pattern using the laser processing portion, injecting a second ink using the inkjet nozzle to form an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substrate and the lower layer electrode pattern Forming a dielectric layer on the insulating layer; Forming a connection hole for exposing a part of the lower layer electrode pattern, forming an upper layer ink pattern filling the connection hole by injecting a third ink using the inkjet nozzle, And sintering the ink pattern to form an upper electrode pattern.

상기 용액 공정 장치에 설치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의 단차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suring the step data of the substrate using a touch sensor provided in the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ubstrate using the step data.

상기 하층 전극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잉크젯 노즐을 이용하여 제4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하층 전극 패턴의 일부를 덮는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ming the lower layer electrode pattern, and forming a semiconductor layer covering a part of the lower layer electrode pattern by ejecting the fourth ink using the inkjet nozzle.

상기 제1 잉크 및 상기 제3 잉크는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잉크는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잉크는 용액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k and the third ink may include metal nanoparticles, the second ink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fourth ink may include a solution semiconductor material.

상기 잉크젯 프린팅부의 분사 모드는 라인 프린팅 모드(line printing mode), 드롭 온 디맨드 모드(drop on demand mode), 스프레이 코팅 모드(spray coating mo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잉크 및 제3 잉크는 상기 라인 프린팅 모드로 분사하고, 상기 제2 잉크는 스프레이 코팅 모드(spray coating mode)로 분사하며, 상기 제4 잉크는 드롭 온 디맨드 모드로 분사할 수 있다.Wherein the jetting mode of the inkjet printing unit includes any one selected from a line printing mode, a drop on demand mode, and a spray coating mode, Ink is sprayed in the line-printing mode, the second ink is sprayed in a spray coating mode, and the fourth ink is sprayed in a drop-on-demand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은 레이저 가공부 및 잉크젯 프린팅부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잉크 프린팅, 잉크 소결 공정, 그리고 하층 전극 패턴과 상층 전극 패턴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멍을 형성하는 패터닝 공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The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structural element using the same include both a laser processing unit and an inkjet printing unit, thereby performing ink printing, ink sinter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realize a patterning process for forming a connection hole for the contact hole.

따라서, 레이저 가공 및 잉크젯 프린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용액 공정 장치를 최소화하여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신속하게 다층 구조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ime and cost by minimizing the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laser processing and the inkjet printing, and can rapidly manufacture the multi-layered el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의 잉크젯 프린팅부의 분사 모드 중 라인 프린팅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의 잉크젯 프린팅부의 분사 모드 중 드롭 온 디맨드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의 잉크젯 프린팅부의 분사 모드 중 스프레이 코팅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유니폴라 모드(Unipolar mode)의 고전압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바이폴라 모드(Biopolar mode)의 고전압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도 9, 도 11, 도 13, 도 15, 도 17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를 이용한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다층 구조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8, 도 10, 도 12, 도 14, 도 16, 도 18 및 도 20은 각각 도 7의 VIII-VIII선, 도 9의 X-X선, 도 11의 XII-XII선, 도 13의 XIV-XIV선, 도 15의 XVI-XVI선, 도 17의 XVIII-XVIII선, 및 도 19의 XX-XX선을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printing mode of an ink-jet printing unit of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op-on-demand mode of an injection mode of an ink-jet printing unit of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pray coating mode among the spray modes of the inkjet printing unit of the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high voltage waveform in a unipolar mode.
6 is a diagram showing a high voltage waveform in a bipolar mode.
7, 9, 11, 13, 15, 17, and 19 ar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structural element using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10, 12, 14, 16, 18 and 20 are respectively a line VIII-VIII, a line XX in FIG. 9, a line XII-XII in FIG. 11, Line, XVI-XVI line in Fig. 15, XVIII-XVIII line in Fig. 17, and XX-XX line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의 잉크젯 프린팅부의 분사 모드 중 라인 프린팅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의 잉크젯 프린팅부의 분사 모드 중 드롭 온 디맨드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의 잉크젯 프린팅부의 분사 모드 중 스프레이 코팅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printing mode in an ink-jet printing unit of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op-on-demand mode of an ink-jet printing unit of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Mode in the spray coating mod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는 기판(10)에 잉크(20)를 프린팅하는 잉크젯 프린팅부(100), 잉크(20)에 레이저(L)를 조사하여 잉크(20)를 가공하는 레이저 가공부(200), 기판(10), 잉크젯 프린팅부(100) 및 레이저 가공부(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 스테이지(300)를 포함한다.1,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jet printing unit 100 for printing ink 20 on a substrate 10, And a moving stage 300 for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laser processing unit 200, the substrate 10, the inkjet printing unit 100, and the laser processing unit 200.

이동 스테이지(300)는 기판(10), 잉크젯 프린팅부(100) 및 레이저 가공부(200)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 스테이지(300)는 기판(10)을 지지하며 기판(10)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 스테이지(310), 잉크젯 프린팅부(100) 및 레이저 가공부(200)가 부착되어 있으며 기판(10)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수직 스테이지(320)를 포함한다. The moving stage 300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10, the inkjet printing unit 100, and the laser processing unit 200. The moving stage 300 includes a horizontal stage 310 for supporting the substrate 10 and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substrate 10, an inkjet printing unit 100 and a laser processing unit 200, And a vertical stage 320 fo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vertical stage 320.

수평 스테이지(310)의 이동 속도는 1.0 mm/s 내지 2.0 m/s이고, 수직 스테이지(320)의 이동 속도는 1.0 mm/s 내지 2.0 m/s이므로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The moving speed of the horizontal stage 310 is 1.0 mm / s to 2.0 m / s, and the moving speed of the vertical stage 320 is 1.0 mm / s to 2.0 m / s. Thus, the manufacturing process time can be shortened.

수직 스테이지(320)에는 터치 센서(410) 및 데이터 송수신기(420)가 설치되어 있다. 터치 센서(410)는 기판(10)의 단차 데이터를 측정하며, 데이터 송수신기(420)는 터치 센서에서 측정된 단차 데이터를 외부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송신한다. 그리고, 외부 컴퓨터는 단차 데이터를 수직 스테이지(320)에 송신하여 수직 스테이지(320)는 기판(10)의 수직 위치를 조절한다. 따라서, 기판(10)에 단차가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다층 구조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The vertical stage 320 is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410 and a data transceiver 420. The touch sensor 410 measures the step data of the substrate 10, and the data transceiver 420 transmits the step data measured by the touch sensor to an external computer (not shown). Then, the external computer transmits the step data to the vertical stage 320, so that the vertical stage 320 adjust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ubstrate 10. Therefore, even when the substrate 10 has a step, a multi-layered element can be easily manufactured.

잉크젯 프린팅부(100)는 기판(10)에 잉크(20)를 분사하는 잉크젯 노즐(110), 잉크젯 노즐(110)에 잉크(20)를 공급하는 잉크젯 펌프(120), 잉크젯 노즐(110)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기(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kjet printing unit 100 includes an inkjet nozzle 110 for jetting the ink 20 onto the substrate 10, an inkjet pump 120 for supplying the ink 20 to the inkjet nozzle 110, And a voltage supplier 130 for supplying a voltage.

잉크젯 펌프(120)는 수직 스테이지(320)에 부착되어 있으며, 미세 주사기 펌프(micro syringe pump)일 수 있다. 따라서, 분사되는 잉크(20)의 양을 마이크로 단위까지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The inkjet pump 120 is attached to the vertical stage 320 and may be a micro syringe pump. Therefore, the amount of the ink 20 to be ejected can be precisely adjusted up to the unit of the micro-scale.

잉크젯 노즐(110)은 수직 스테이지(320)에 부착되어 있으며, 잉크젯 노즐(110)은 라인 프린팅 노즐(line printing nozzle)(111), 드롭 온 디맨드 노즐(drop on demand nozzle)(112), 스프레이 코팅 노즐(spray coating nozzle)(11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라인 프린팅 노즐(111)과 드롭 온 디맨드 노즐(112)은 동일한 노즐을 사용하여 원하는 선폭(0.5㎛ 내지 100㎛) 또는 원하는 잉크 양에 따라 노즐의 직경을 변경하여 만들 수 있으며, 스프레이 코팅 노즐(spray coating nozzle)(113)은 라인 프린팅 노즐(111) 및 드롭 온 디맨드 노즐(112)과 다른 별도의 노즐이다. 이러한 잉크젯 노즐(110)은 분사 모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The inkjet nozzle 110 is attached to the vertical stage 320 and the inkjet nozzle 110 includes a line printing nozzle 111, a drop-on-demand nozzle 112, A spray coating nozzle 113, and the like. The line printing nozzle 111 and the drop-on-demand nozzle 112 can be formed by changing the diameter of the nozzle according to a desired line width (0.5 to 100 mu m) or a desired amount of ink using the same nozzle, coating nozzle 113 is a separate nozzle from the line printing nozzle 111 and the drop-on-demand nozzle 112. The inkjet nozzle 110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jection mode.

분사 모드는 잉크(20)가 라인(line) 형상으로 기판(10)에 형성되는 라인 프린팅 모드(line printing mode), 잉크(20)가 소정 패턴으로 프린팅되는 드롭 온 디맨드 모드, 잉크(20)가 넓은 면적에 코팅되는 스프레이 코팅 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jection mode is a line printing mode in which the ink 2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 in a line form, a drop-on-demand mode in which the ink 20 is print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 spray coating mode in which a large area is coated.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인 프린팅 모드(line printing mode)에 적용되는 라인 프린팅 노즐(111)은 잉크(20)를 라인 형상으로 기판(10)에 형성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롭 온 디맨드 모드에 적용되는 드롭 온 디맨드 노즐(112)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형상으로 잉크(20)를 적하시킬 수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코팅 모드에 적용되는 스프레이 코팅 노즐은 잉크(20)를 넓은 면적에 코팅할 수 있다. 2, the line printing nozzle 111 applied to the line printing mode forms the ink 20 in the form of a line on the substrate 10, and as shown in FIG. 3, Similarly, the drop-on-demand nozzle 112 applied to the drop-on-demand mode can drop the ink 20 into a desired shape at a desired position, and as shown in Fig. 4, The ink 20 can be coated on a large area.

전압 공급기(130)은 잉크젯 노즐(110)과 기판(10) 사이에 전기장(E)을 형성하기 위해 잉크젯 노즐(110)에 고전압(High Voltage)을 걸어주는 장치이다. 잉크젯 노즐(110)과 기판(10) 사이에 걸린 전기장(E)에 의해 잉크젯 노즐(110)에서 + 전하를 띤 잉크(20)가 - 전하를 띤 기판(10)으로 흘러가게 되며, 이러한 방법을 EHD(Electro hydro dynamic)이라고 한다. 전압 공급기(130)를 이용하여 전압의 세기는 100V에서 10kV까지 변화시킬 수 있으며, 전압 인가 주기는 10 Hz에서 1 kHz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The voltage supplier 130 is a device for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inkjet nozzle 110 to form an electric field E between the inkjet nozzle 110 and the substrate 10. The electric charge E charged in the inkjet nozzle 110 flows to the charged substrate 10 by the electric field E between the inkjet nozzle 110 and the substrate 10, It is called Electro hydro dynamic (EHD). By using the voltage supplier 130, the voltage intensity can be changed from 100 V to 10 kV, and the voltage application period can be changed from 10 Hz to 1 kHz.

직류 모드(DC mode), 유니폴라 모드(Unipolar mode) 및 바이폴라 모드(Biopolar mode)의 고전압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 전압이 일정한 직류를 공급하는 직류 모드는 주로 라인 프린팅 모드에 적용되며, +입력 전압과 0V를 각각 최고 전압 및 최저 전압으로 가지는 전압 파형인 디지털 교류를 공급하는 유니폴라 모드(Unipolar mode)와, +입력 전압과 -입력 전압을 각각 최고 전압 및 최저 전압으로 가지는 전압 파형인 디지털 교류를 공급하는 바이폴라 모드(Biopolar mode)는 드롭 온 디맨드 모드에 적용된다. High voltage of DC mode, Unipolar mode and Biopolar mode can be used. The direct current mode, which supplies DC with constant input voltage, is mainly applied to the line printing mode. The unipolar mode, which supplies the digital AC, which is the voltage waveform having the + input voltage and 0V as the maximum voltage and the lowest voltage respectively, Biopolar mode, which supplies digital alternating current, a voltage waveform with + input voltage and - input voltage as the highest and lowest voltages, respectively, applies to drop-on-demand mode.

도 5는 유니폴라 모드(Unipolar mode)의 고전압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바이폴라 모드(Biopolar mode)의 고전압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high voltage waveform in a unipolar mode,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high voltage waveform in a bipolar mod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폴라 모드에서는 예컨대, 5kv에서 전기장이 형성되어 잉크를 뿌리며, 0kv에서는 전기장이 형성되지 않아 잉크가 분사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폴라 모드에서는 예컨대, +5kv 및 -5kv에서 전기장이 형성되어 잉크를 뿌리며, 0kv의 짧은 시간동안 전기장이 형성되지 않아 잉크가 분사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5, in the unipolar mode, for example, an electric field is formed at 5 kv to sprinkle ink, and at 0 kv, no electric field is formed and ink is not ejected. Then, as shown in Fig. 6, in the bipolar mode, an electric field is formed at +5 kv and -5 kv, for example, to sprinkle ink, and an electric field is not formed for a short time of 0 kv, so that no ink is ejected.

레이저 가공부(200)는 레이저(L)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기(210), 레이저(L)의 형상을 조절하는 레이저 조절 부재(220)를 포함한다. The laser processing unit 200 includes a laser generator 210 for generating a laser L and a laser adjusting member 220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L. [

레이저 발생기(210)는 레이저(L)의 파워를 조절할 수 있다. 레이저 파워는 50mW 내지 2W까지 조절할 수 있으며, 소결 공정 또는 패터닝 공정에 맞는 파워를 사용할 수 있다.The laser generator 210 can adjust the power of the laser L. [ The laser power can be adjusted from 50 mW to 2 W, and power suitable for the sintering process or the patterning process can be used.

레이저 조절 부재(220)는 레이저(L)를 단속시키는 빔 셔터(beam shutter)(221), 빔 셔터를 통과한 레이저(L)의 초점 거리를 변경시키는 빔 익스펜더(beam expander)(222), 빔 익스펜더를 통과한 레이저(L)를 집속시키는 집속 렌즈(focusing lense)(223)를 포함한다. 빔 스플리터(222)와 집속 렌즈(223) 사이의 광 경로 상에는 복수개의 광학 렌즈(224)가 설치될 수 있다. The laser control member 220 includes a beam shutter 221 for interrupting the laser L, a beam expander 222 for changing the focal length of the laser L passing through the beam shutter, And a focusing lens 223 for focusing the laser L passing through the expander. A plurality of optical lenses 224 may be provided o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beam splitter 222 and the focusing lens 223.

빔 익스펜더(222)는 빔 셔터와 집속 렌즈 사이의 광 경로 상에 위치한다. 빔 익스펜더(222)는 레이저(L)의 초점 거리를 8배까지 넓혀 줄 수 있으며, 빔 익스펜더(222)를 통과한 레이저(L)는 기판(10)에 포커싱될 수 있다.The beam expander 222 is located o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beam shutter and the focusing lens. The beam expander 222 can widen the focal length of the laser L by 8 times and the laser 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eam expander 222 can be focused on the substrate 10. [

집속 렌즈(focusing lense)(223)는 빔 스플리터(222)와 기판(10) 사이의 광 경로 상에 위치하며, 레이저(L)를 집속시켜 기판(10)에 조사한다. A focusing lens 223 is located o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beam splitter 222 and the substrate 10 and focuses the laser L to irradiate the substrate 10.

따라서, 레이저 가공부(200)는 이동 스테이지(300)를 이용하여 레이저(L)가 기판(10)에 주사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L)를 정확한 위치에 조사하여 기판(10)에 형성된 하층 잉크 패턴(21) 및 상층 잉크 패턴(51)을 정확하게 소결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이저(L)를 정확한 위치에 조사하여 기판(10)에 형성된 절연층(40)에 연결 구멍(41)를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laser processing unit 200 can adjust the position at which the laser L is scanned on the substrate 10 by using the moving stage 30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sinter the lower layer ink pattern 21 and the upper layer ink pattern 51 formed on the substrate 10 by irradiating the laser L to the correct position. In addition, the connection hole 41 can be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40 formed on the substrate 10 by irradiating the laser L to the correct position.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를 이용한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structure device using the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 도 9, 도 11, 도 13, 도 15, 도 17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를 이용한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다층 구조 소자의 사시도이고, 도 8, 도 10, 도 12, 도 14, 도 16, 도 18 및 도 20은 각각 도 7의 VIII-VIII선, 도 9의 X-X선, 도 11의 XII-XII선, 도 13의 XIV-XIV선, 도 15의 XVI-XVI선, 도 17의 XVIII-XVIII선, 및 도 19의 XX-XX선을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7, 9, 11, 13, 15, 17, and 19 ar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structural element using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Fig. 10, Fig. 12, Fig. 14, Fig. 16, Fig. 18 and Fig. 20 respectively show line VIII-VIII, line XX in Fig. 9, line XII- XIV line in FIG. 13, XVI-XVI line in FIG. 15, XVIII-XVIII line in FIG. 17, and XX-XX line in FIG.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액 공정 장치에 설치된 터치 센서(410)를 이용하여 기판(10)의 단차 데이터를 측정한다. 그리고, 단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판(10)의 수직 위치를 조절한다. First, as shown in FIG. 1, step data of a substrate 10 is measured using a touch sensor 410 installed in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ubstrate 10 is adjusted using the step data.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팅부(100)의 잉크젯 노즐(110)을 이용하여 제1 잉크를 분사하여 기판(10)에 하층 잉크 패턴(21)을 형성한다. 하층 잉크 패턴(21)은 반도체 소자 패턴일 수 있다. 이 때, 잉크젯 노즐(110)은 잉크를 라인 형상으로 기판(10)에 형성할 수 있는 라인 프린팅 노즐(line printing nozzle)(111)이며, 제1 잉크는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first ink is jetted by using the inkjet nozzle 110 of the inkjet printing unit 100 to form the lower layer ink pattern 21 on the substrate 10. The lower layer ink pattern 21 may be a semiconductor element pattern. At this time, the inkjet nozzle 110 is a line printing nozzle 111 capable of forming ink in a line form on the substrate 10, and the first ink may include metal nanoparticles.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가공부(200)를 이용하여 하층 잉크 패턴(21)을 소결하여 하층 전극 패턴(22)을 형성한다. 즉, 연속파 레이저(continuous laser)의 열을 이용하여 하층 잉크 패턴(21)을 소결시켜 하층 전극 패턴(22)을 형성한다. 레이저(L)로 소결되지 않은 부분은 용매(solvent)를 사용하여 클리닝한다.Next,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lower layer ink pattern 21 is formed by sintering the lower layer ink pattern 21 by using the laser processing portion 200. Next, as shown in Figs. That is, the lower layer ink pattern 21 is formed by sintering the lower layer ink pattern 21 using the heat of a continuous laser (continuous laser). The portion not sintered with the laser (L) is cleaned using a solvent.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젯 노즐(110)을 이용하여 제4 잉크를 분사하여 하층 전극 패턴(22)의 일부를 덮는 반도체층(30)을 형성한다. 이 때, 잉크젯 노즐(110)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형상으로 잉크를 적하시킬 수 있는 드롭 온 디맨드 노즐(drop on demand nozzle)(112)이며, 제4 잉크는 용액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fourth ink is jetted using the inkjet nozzle 110 to form a semiconductor layer 30 covering a part of the lower electrode pattern 22. At this time, the inkjet nozzle 110 is a drop-on-demand nozzle 112 capable of dropping ink into a desired shape at a desired position, and the fourth ink may include a solution semiconductor material.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젯 노즐(110)을 이용하여 제2 잉크를 분사하여 기판(10), 하층 전극 패턴(22) 및 반도체층(30)을 덮는 절연층(40)을 형성한다. 이 때, 잉크젯 노즐(110)은 잉크(20)를 넓은 면적에 코팅할 수 있는 스프레이 코팅 노즐(spray coating nozzle)(113)이며, 제2 잉크는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second ink is jetted using the inkjet nozzle 110 to form an insulating layer (not shown) covering the substrate 10, the lower electrode pattern 22 and the semiconductor layer 30 40 are formed. At this time, the inkjet nozzle 110 is a spray coating nozzle 113 capable of coating the ink 20 over a large area, and the second ink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가공부(200)를 이용하여 절연층(40)을 패터닝하여 하층 전극 패턴(22)의 일부를 노출하는 연결 구멍(41)을 형성한다. 이 때, 절연층(40)을 패터닝할 수 있도록 레이저 가공부(200)의 레이저 발생기(210)의 파워 및 레이저 조절 부재(220)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층 전극 패턴(520과 하층 전극 패턴(2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구멍(41)을 용액 공정 장치에 설치된 레이저 가공부(20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상층 전극 패턴과 하층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insulating layer 40 is patterned by using the laser processing unit 200 to form a connection hole 41 exposing a part of the lower layer electrode pattern 22 . At this time, the power of the laser generator 210 of the laser processing unit 200 and the laser adjusting member 220 are adjusted so that the insulating layer 40 can be patterned. Since the connection holes 41 connecting the upper electrode patterns 520 and the lower electrode patterns 22 to each other can be easily formed using the laser processing unit 200 provided in the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The time can be minimized and a multilayered structure element including the upper electrode pattern and the lower electrode pattern can be manufactured quickly.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젯 노즐(110)을 이용하여 제3 잉크를 분사하여 연결 구멍(41)을 채우는 상층 잉크 패턴(51)을 형성한다. 이 때, 잉크젯 노즐(110)은 라인 프린팅 노즐(line printing nozzle)(111)이며, 제3 잉크는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upper ink layer pattern 51 is formed by jetting the third ink using the inkjet nozzle 110 to fill the connection hole 41. Next, as shown in Figs. At this time, the inkjet nozzle 110 may be a line printing nozzle 111, and the third ink may include metal nanoparticles.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가공부(200)를 이용하여 상층 잉크 패턴(51)을 소결하여 상층 전극 패턴(52)을 형성한다. 레이저(L)로 소결되지 않은 부분은 용매(solvent)를 사용하여 클리닝한다.Next, as shown in Figs. 19 and 20, the upper layer ink pattern 51 is formed by sintering the upper layer ink pattern 51 by using the laser processing portion 200. Next, as shown in Figs. The portion not sintered with the laser (L) is cleaned using a solvent.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technology field will understand easily.

10: 기판 20: 잉크
21: 하층 잉크 패턴 22: 하층 전극 패턴
30: 반도체층 40: 절연층
51: 상층 잉크 패턴 52: 상층 전극 패턴
100: 잉크젯 프린팅부 110: 잉크젯 노즐
120: 잉크젯 펌프 200: 레이저 가공부
210: 레이저 발생기 220: 레이저 조절 부재
300: 이동 스테이지 310: 수평 스테이지
320: 수직 스테이지
10: substrate 20: ink
21: lower layer ink pattern 22: lower layer electrode pattern
30: Semiconductor layer 40: Insulating layer
51: upper layer ink pattern 52: upper layer electrode pattern
100: inkjet printing unit 110: inkjet nozzle
120: inkjet pump 200: laser machining part
210: laser generator 220: laser control member
300: Moving stage 310: Horizontal stage
320: vertical stage

Claims (11)

기판에 잉크를 프린팅하는 잉크젯 프린팅부,
상기 잉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잉크를 가공하는 레이저 가공부,
상기 기판, 잉크젯 프린팅부 및 레이저 가공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 잉크젯 프린팅부 및 레이저 가공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 스테이지
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프린팅부는
상기 기판에 상기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젯 노즐,
상기 잉크젯 노즐에 상기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젯 펌프,
상기 잉크젯 노즐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기
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노즐은 라인 프린팅 노즐, 드롭 온 디맨드 노즐, 스프레이 코팅 노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이동 스테이지는
상기 기판을 지지하며 상기 기판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 스테이지,
상기 잉크젯 프린팅부 및 상기 레이저 가공부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수직 스테이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의 단차 데이터를 측정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단차 데이터를 상기 수직 스테이지에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기
를 더 포함하는 용액 공정 장치.
An inkjet printing unit for printing ink on the substrate,
A laser processing unit for irradiating the ink with a laser to process the ink,
An inkjet printing unit, and a laser processing unit, the moving stage being configured to control a position of the substrate, the inkjet printing unit, and the laser processing unit,
Lt; / RTI >
The inkjet printing unit
An ink jet nozzle for jetting the ink onto the substrate,
An inkjet pump for supplying the ink to the inkjet nozzle,
A voltage supplier for supplying a voltage to the ink-
Lt; / RTI >
The inkjet nozzle is any one selected from a line printing nozzle, a drop-on-demand nozzle, and a spray coating nozzle,
The moving stage
A horizontal stage for supporting the substrate and adjusting a horizontal position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inkjet printing unit and the laser processing unit are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vertical stage
/ RTI >
A touch sensor installed on the vertical stage for measuring the step data of the substrate,
A dat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tep data measured by the touch sensor to the vertical stage;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레이저 가공부는
상기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기,
상기 레이저의 형상을 조절하는 레이저 조절 부재
를 포함하는 용액 공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aser processing unit
A laser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laser,
A laser control member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laser,
.
제5항에서,
상기 레이저 조절 부재는
상기 레이저를 단속시키는 빔 셔터,
상기 빔 셔터를 통과한 레이저의 초점 거리를 변동시키는 빔 익스펜더,
상기 빔 익스펜더를 통과한 레이저를 집속시키는 집속 렌즈
를 포함하는 용액 공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laser control member
A beam shutter for interrupting the laser,
A beam expander for changing the focal distance of the laser beam passed through the beam shutter,
A focusing lens for focusing a laser beam passed through the beam expander,
.
기판에 잉크를 프린팅하는 잉크젯 프린팅부, 상기 잉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잉크를 가공하는 레이저 가공부, 상기 기판, 잉크젯 프린팅부 및 레이저 가공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 잉크젯 프린팅부 및 레이저 가공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용액 공정 장치에서 상기 잉크젯 프린팅부의 잉크젯 노즐을 이용하여 제1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기판에 하층 잉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가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하층 잉크 패턴을 소결하여 하층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잉크젯 노즐을 이용하여 제2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기판 및 상기 하층 전극 패턴을 덮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가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하층 전극 패턴의 일부를 노출하는 연결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잉크젯 노즐을 이용하여 제3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연결 구멍을 채우는 상층 잉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가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상층 잉크 패턴을 소결하여 상층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
An inkjet printing unit for printing ink on a substrate, a laser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ink by irradiating the ink with the ink, a substrate, an inkjet printing unit, and a laser processing unit, Forming a lower layer ink pattern on the substrate by spraying a first ink using an inkjet nozzle of the inkjet printing unit in a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moving stage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substrate,
Forming a lower layer electrode pattern by sintering the lower layer ink pattern using the laser processing portion;
Forming an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substrate and the lower electrode pattern by spraying a second ink using the inkjet nozzle,
Patterning the insulating layer using the laser processing unit to form a connection hole exposing a part of the lower layer electrode pattern,
Jetting a third ink using the inkjet nozzle to form an upper layer ink pattern filling the connection hole,
And sintering the upper layer ink pattern using the laser processing portion to form an upper layer electrode pattern.
제7항에서,
상기 용액 공정 장치에 설치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의 단차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Measuring step data of the substrate using a touch sensor installed in the solution processing apparatus,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ubstrate using the step data;
≪ / RTI >
제8항에서,
상기 하층 전극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잉크젯 노즐을 이용하여 제4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하층 전극 패턴의 일부를 덮는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semiconductor layer covering a part of the lower layer electrode pattern by spraying a fourth ink using the inkjet nozzle after forming the lower layer electrode pattern.
제9항에서,
상기 제1 잉크 및 상기 제3 잉크는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잉크는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잉크는 용액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ink and the third ink comprise metal nanoparticles, the second ink comprises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fourth ink comprises a solution semiconductor material.
제9항에서,
상기 잉크젯 프린팅부의 분사 모드는 라인 프린팅 모드(line printing mode), 드롭 온 디맨드 모드(drop on demand mode), 스프레이 코팅 모드(spray coating mo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잉크 및 제3 잉크는 상기 라인 프린팅 모드로 분사하고, 상기 제2 잉크는 스프레이 코팅 모드(spray coating mode)로 분사하며, 상기 제4 잉크는 드롭 온 디맨드 모드로 분사하는 다층 구조 소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jetting mode of the inkjet printing unit includes any one selected from a line printing mode, a drop on demand mode, and a spray coating mode,
The first ink and the third ink are sprayed in the line printing mode, the second ink is sprayed in a spray coating mode, and the fourth ink is sprayed in a drop-on-demand mode. Gt;
KR1020150072178A 2015-05-22 2015-05-22 Solution process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ed structure device using the same Active KR1018196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178A KR101819654B1 (en) 2015-05-22 2015-05-22 Solution process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ed structure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178A KR101819654B1 (en) 2015-05-22 2015-05-22 Solution process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ed structure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264A KR20160137264A (en) 2016-11-30
KR101819654B1 true KR101819654B1 (en) 2018-01-17

Family

ID=5770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178A Active KR101819654B1 (en) 2015-05-22 2015-05-22 Solution process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ed structure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6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839B1 (en) * 2017-08-10 2019-08-30 한국기계연구원 Laser patter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112271B1 (en) * 2018-01-25 2020-05-18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for printing electrode and method for printing electrode
KR20220121540A (en) * 2021-02-25 2022-09-01 참엔지니어링(주) Composite ejection type ink ejection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8148A (en) 2004-09-30 2006-04-20 Seiko Epson Corp PATTERN FORMING STRUCTURE, PATTERN FORMING METHOD,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DEVICE
JP2012213761A (en) * 2011-03-25 2012-11-08 Fujifilm Corp Functional liquid discharge device and imprint system, and functional liquid discharge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8148A (en) 2004-09-30 2006-04-20 Seiko Epson Corp PATTERN FORMING STRUCTURE, PATTERN FORMING METHOD,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DEVICE
JP2012213761A (en) * 2011-03-25 2012-11-08 Fujifilm Corp Functional liquid discharge device and imprint system, and functional liquid discharg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264A (en)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 et al. High-resolution ac-pulse modulated electrohydrodynamic jet printing on highly insulating substrates
KR102273617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jetting viscous medium on workpieces
CN105772722A (en) Control device,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hydrodynamics printing resolution
KR101819654B1 (en) Solution process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ed structure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307892A1 (en) Apparatus for printing on 3-dimensional surface using electrohydrodynamic force
KR101535207B1 (en) Ink ejection apparatus for forming pattern line by electrohydrodynamics and forming method of pattern by electrohydrodynamics
GB2352688A (en) Method of forming a masking or spacer pattern on a substrate using inkjet droplet deposition
CN103753956B (en) A kind of Table top type electrofluid ink-jet print system and method
TW201815245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inting high-viscosity materials
WO2016116921A1 (en) Angled lift jetting
US20210138794A1 (en) Dual channel jetting apparatus for 2d/3d electrohydrodynamic (ehd) printing
KR101599037B1 (en) Repair apparatus using electro hydro dynamic inkjet
KR1014541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pattern line by electrohydrodynamics
Yang et al. Optimization of pulsed voltage waveform for electrohydrodynamic jetting on-demand
JP2015217360A (en) Film forming device of phosphor layer and film forming method of phosphor layer
US11040531B2 (en) Jetting devices with energy output devic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me
JP2014180590A (en) Electrospray device and electrospray method
KR101599040B1 (en) Repair apparatus using electro hydro dynamic inkjet
Laurila et al. Statistical analysis of E-jet print parameter effects on Ag-nanoparticle ink droplet size
KR1016802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pattern line
JP2012196604A (en) Prin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device
CN105773965B (en) A kind of three-dimensional jet printing appts of inversion type single electrode electrofluid
JP5707953B2 (en) Inkjet coating method and coating apparatus
JP2010058098A (en) Pattern forming method and pattern forming apparatus
KR102768681B1 (en) The apparatus of additive manufacturing and the method threr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