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8942B1 - Tong crane apparatus having wire rope buffer stop module of self-weight type - Google Patents

Tong crane apparatus having wire rope buffer stop module of self-weight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942B1
KR101818942B1 KR1020160029870A KR20160029870A KR101818942B1 KR 101818942 B1 KR101818942 B1 KR 101818942B1 KR 1020160029870 A KR1020160029870 A KR 1020160029870A KR 20160029870 A KR20160029870 A KR 20160029870A KR 101818942 B1 KR101818942 B1 KR 101818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uide plate
unit
sheave
plat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6611A (en
Inventor
박흥원
지용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이앤아이
Priority to KR102016002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942B1/en
Publication of KR2017010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6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94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로서, 상기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은, 베이스 몸체와, 가장자리 둘레부에 와이어의 장착을 위한 홈이 형성되며, 소정의 축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상에 구비되는 시브(Sheave)유닛 및 상기 시브유닛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시브유닛에 장착된 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된 와이어의 변위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통 크레인의 슬라브 파지를 위한 동작상에서 통 크레인 자체의 상대적으로 세밀하고 신중한 조작에 의하지 않고서도, 통 크레인과 슬라브 상호간의 충돌로 인한 충격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type crane device equipped with a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wherein the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comprises a base body and a groove for mounting a wire on the periphery thereof, A sheave unit provided on the base body so as to enable the sheave unit and a sheave unit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heave unit so as to prevent the wire attached to the sheave unit from being separated, And a guide plate unit provided on the base body so as to guide the main body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impact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barrel crane and the slabs, even when the barrel crane itself is relatively finely and carefully operated in operation for gripping the slab of the barrel crane.

Description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 {Tong crane apparatus having wire rope buffer stop module of self-weight typ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g crane apparatus equipped with a self-centering wire breakaway prevention module,

본 발명은 자중식 와이어의 이탈방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로프 결속 구조를 가지는 이송수단 상에 자중식의 와이어 이탈방지 수단이 탑재하여 효과적이고 용이한 와이어 이탈방지가 가능한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having self-contained wire detachment preventing means mounted on a transfer means having a wire rope fasten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cket cranage device equipped with a departure prevention module.

산업현장에서 제작하는 각종 대상물들은 목적에 따라 후공정으로 이송 수단에 의하여 이송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송수단으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이 바로 통 크레인이다. 슬라브(Slab)의 경우 연주공정을 통해 제조되며 통 크레인과 같은 이송수단에 의하여 파지된 상태로 운반 또는 장입된다. 통상적인 통 크레인은 파지된 슬라브를 연주공정으로부터 이송하는데, 그 목적지가 단거리에서부터 비교적 장거리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이송 과정에서의 작업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통 크레인의 슬라브 파지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Various objects manufactured in the industrial field should be transferred by the transfer means to the post-process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most commonly used transport means is a barrel crane. In the case of slabs, they are manufactured through a casting process and are carried or loaded in a gripped state by a conveying means such as a barrel crane. Conventional barrel cranes transport the gripped slab from the playing process, where the destination is from a short distance to a relatively long distance. In order to improv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during the transportation process, slab gripping of the crane should be performed quickly.

그리고 크레인은 통이 슬라브를 파지한 후에 소정의 픽업수단에 의하여 이송시 픽업수단과 크레인은 상호간에 와이어에 의하여 결속된다. 여기서, 픽업수단을 통해 크레인을 이송하는 경우, 크레인과 크레인에 파지된 슬라브 등에 걸리는 하중으로 인하여, 픽업수단과 통 크레인 상호간의 와이어는 특정방향으로 쏠리거나, 전체적으로 흔들림이 발생되어 불안정한 상태가 유지된다. 더욱이, 이송 대상물인 슬라브를 다양한 위치로 신속하게 이송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픽업수단으로부터 크레인 상에 흔들림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되어 결국 통 크레인과 픽업수단 사이의 와이어 결속 부분에서 와이어 이탈이 발생되고 마는 문제점이 있다.And the crane is engaged by the wire between the pick-up means and the crane when transported by a predetermined pickup means after the barrel grips the slab. Here, when the crane is fed through the pick-up means, the wire between the pick-up means and the crane is shaken in a specific direction due to the load applied to the crane and the slab gripped by the crane, . Further, when the slab, which is the object to be conveyed, is to be quickly transferred to various positions, the swinging on the crane is relatively large from the pick-up means, and as a result, the wire breakage occurs in the wire- .

이러한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대다수가 이러한 와이어 이탈 방지라는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효과가 미흡하거나, 설치비용이 높아 비효율 적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in order to prevent the wire from escaping. However, most of them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ffective enough to achieve the purpose of preventing wire deviation,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resulting in inefficiency.

따라서, 대상물 이송을 위한 이송수단의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운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effective and stable operation of the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object is not easy.

한국공개특허 제 2004-0044016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44016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 결속 구조를 가지는 이송수단 상에 자중식의 와이어 이탈방지 수단이 탑재되어 효과적이고 용이한 와이어 이탈방지가 가능한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rrel crane device equipped with self-contained wire detachment preventing means mounted on a conveying means having a wire rope binding structure, .

본 발명은,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로서,상기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은, 베이스 몸체와, 가장자리 둘레부에 와이어의 장착을 위한 홈이 형성되며, 소정의 축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상에 구비되는 시브(Sheave)유닛 및 상기 시브유닛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시브유닛에 장착된 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된 와이어의 변위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type crane device equipped with a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wherein the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comprises a base body and a groove for mounting a wire on the periphery thereof, A sheave unit provided on the base body so as to enable the sheave unit and a sheave unit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heave unit so as to prevent the wire attached to the sheave unit from being separated, And a guide plate unit provided on the base body so as to guide the main body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rane unit with the self-contained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픽업수단을 통해 크레인을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 픽업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크레인 상에 흔들림 등으로 인하여 결속 부분 상에 와이어 이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when the crane is to be transported through the pick-up mea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und portion due to shaking or the like on the crane generated from the pick-up means.

둘째, 복잡한 구조가 아닌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와이어의 이탈 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from coming off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rather than a complicated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의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과 와이어가 유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의 스토퍼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의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상에서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barrel crane device equipped with an automatic wire breakaway preven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barrel crane device mounted with the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according to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plate unit and a wire of a slave crane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according to FIG. 1 are flowing.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stopper of a barrel crane apparatus mounted with the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according to FIG. 1;
5 to 7 ar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a wire is guided on a guide plate unit of a barrel crane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according to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1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따른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1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따른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100)의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과 와이어(W)의 유동하는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따른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100)의 스토퍼(S)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도 1에 따른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100)의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에 의하여 와이어(W)가 가이드 되는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barrel crane apparatus 100 mounted with an automatic wire breakaway preven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rel- A side view of the crane apparatus 100 is shown.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guide plate unit 130 and the wire W of the barrel crane apparatus 100 equipped with the self-centering wire deviation prevention module shown in FIG. 1 are flowing.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stopper S of the crane unit 100 with the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shown in FIG. 1 mounted thereon. 5 to 7 show a state in which the wire W is guided by the guide plate unit 130 of the barrel crane apparatus 100 equipped with the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according to FIG.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100)는 베이스 몸체(110)와, 시브(Sheave) 유닛과,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과, 결속유닛(140)을 포함한다.1 to 7, a crane unit 100 having a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body 110, a sheave unit, (130), and a binding unit (140).

상기 베이스 몸체(110)는 상기 시브유닛(120)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과, 상기 결속유닛(140)과, 이송수단 상호 간의 와이어(W) 결속을 위한 각종 설치물이 수용된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 몸체(110)의 크기와 형상은 필요에 알맞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body 110 receives various fixtures for binding the wire W between the sheave unit 120, the guide plate unit 130, the binding unit 140, and the transfer means. The size and shape of the base body 110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상기 시브유닛(120)은 가장자리 둘레부에 와이어(W)의 장착을 위한 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홈의 너비와 형상은 와이어(W)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된다. 상기 시브유닛(120)은 소정의 축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110) 상에 구비된다.The sheave unit 120 is formed with a groove for mounting the wire W at the peripheral edge thereof. Here, the width and shape of the groove ar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wire (W) standard. The sheave unit 120 is provided on the base body 110 so as to be rotatable on a predetermined axis.

상기 시브유닛(120)은 하나 이상으로서 구비되는데,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시브유닛(120) 상호간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동축 선상에서 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When the plurality of sheave units 120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sheave units 12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may be rotated coaxially with respect to one another.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은 상기 시브유닛(12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시브유닛(120)에 장착된 와이어(W)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은 상기 시브유닛(120) 상에 장착된 와이어(W)의 변위 유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110) 상에서 상기 시브유닛(120)과 이웃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유닛(130)은 내측을 향하여 라운드지는 반폐쇄형 고리 형상으로서 상호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된다.The guide plate unit 130 is position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heave unit 120 to prevent the wire W mounted on the sheave unit 120 from being detached. The guide plate unit 13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heave unit 120 on the base body 110 so as to guide the displacement flow of the wire W mounted on the sheave unit 120 . The guide plate unit 130 has a semi-closed loop shape and has at least a pair of mutually opposed faces.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은 상기 시브유닛(120)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 마주하도록 위치되며, 와이어(W) 외측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재(131)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은 와이어(W)가 상기 시브유닛(120)의 외측을 향하여 유동하는 경우, 와이어(W)에 대응하여 소정의 제1위치로부터 소정의 제2위치로 일정하게 유동한다. 그리고, 이 후에는 자중에 의하여 와이어(W)를 상기 시브유닛(120)의 내측방향으로 당기며 상기 제1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e guide plate unit 130 is positioned to face at least one side of the sheave unit 120 and one or more guide members 131 for guiding the outside of the wire W are formed. That is, when the wire W flows toward the outside of the sheave unit 120, the guide plate unit 130 moves from the predetermined fir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 W to the predetermined second position Flow. Thereafter, the wire W is pulled inward of the sheave unit 120 by its own weight and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은 각각 상기 시브유닛(120)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라운드지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간에 대칭하도록 구비된다. Here, the pair of guide plate units 130 are each formed in a ring shape that is round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heave unit 120, and are provid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은 상기 일단부가 상기 결속구(140)에 결속되되, 시브유닛(120)의 중심축을 향하여 대략적인 C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의 타단은 시브유닛(120)의 외측을 향하여 일정하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one end of the guide plate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binding member 140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toward the center axis of the sheave unit 120. The other end of the guide plate unit 130 may protrude toward the outside of the sheave unit 120.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은 상기 각 시브유닛(120)들의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구비되거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시브유닛(120)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이 상기 시브유닛(120)을 두고 결속된다.The guide plate unit 130 may be provided on either side of each of the sheave units 120 or on both sides thereof. When the guide plat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heave unit 120, the guide plate unit 130 is engaged with the sheave unit 120.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은 상호 간에 상기 가이드부재(131)로 결속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31)에는 상기 시브유닛(120)과 유사하게 와이어(W)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31)로는 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는 와이어(W)가 거치되며, 와이어(W)의 변위유동에 의한 가이드부재의 유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을 유동시키게 된다.Here, the guide plate unit 130 is bound to the guide member 131 with each other. The guide member 131 is formed with a groove for receiving the wire W, similar to the sheave unit 120. The guide member 131 may include a roller or the like. The guide member moves the guide plate unit 130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guide member due to the displacement flow of the wire W,

상기 결속구(140)는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이 상기 시브유닛(120)에 장착된 와이어(W)의 변위유동에 대응하여 일정하게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과 결속된다.The binding member 140 is provided on the base body so that the guide plate unit 130 can constantly flow in response to the displacement flow of the wire W mounted on the sheave unit 120, And is coupled to the plate unit 130.

여기서, 상기 결속구(140)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이 와이어(W)의 변위유동에 대응하여 설정 각도 이상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S)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의 일단부와 상기 결속구(140)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을 받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binding member 140 is provided with a stopper S for restricting the guide plate unit 130 from flowing above a predetermined angle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flow of the wire W. [ The stopper S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guide plate unit 130 between one end of the guide plate unit 130 and the binding opening 140.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은 별도의 함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시브유닛(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소정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이 상기 결속구(140)로부터 의 보다 급격하게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guide plate unit 130 may have a separate depressed portion so that the guide plate unit 130 can smoothly flow toward the sheave unit 120. In addition, a predetermined protrusion may be formed to allow the guide plate unit 130 to flow more rapidly than the binding port 140.

상기 스토퍼(S)는 상기 와이어(W)의 변위유동을 적절하게 제한할 수 있도록 그 두께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스토퍼(S)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과 상기 결속구(140) 사이에서만 위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형태로 적용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130)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topper (S) can adjust the thickness and height of the wire (W) so as to suitably restrict the displacement flow of the wire (W). However, the stopper S is not limited to being positioned only between the guide plate unit 130 and the binding hole 140, and may be applied i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flow of the guide plate unit 13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W : 와이어
S : 스토퍼
110 : 베이스 몸체
120 : 시브유닛
130 :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
131 : 함입부
132 : 돌출부
133 : 절곡부
140 : 결속유닛
W: Wire
S: Stopper
110: Base body
120:
130: guide plate unit
131:
132: protrusion
133:
140: binding unit

Claims (6)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로서,
상기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은, 베이스 몸체와, 가장자리 둘레부에 와이어의 장착을 위한 홈이 형성되며,
소정의 축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상에 구비되는 시브유닛 및 상기 시브유닛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시브유닛에 장착된 다수의 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된 와이어의 변위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며,
소정의 결속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유닛은 내측을 향하여 라운드지는 반폐쇄형 고리 형상으로서 상호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시브유닛은 상기 와이어에 대응하여 상호 이웃하도록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유닛은 시브유닛을 사이에 두도록 다수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은,
상기 시브유닛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 마주하도록 위치되며, 와이어 외측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와이어가 외측을 향하여 유동하는 경우 와이어에 대응하여 소정의 제1위치로부터 소정의 제2위치로 일정하게 유동한 뒤, 자중에 의하여 와이어를 당기며 상기 제1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은,
각각 상기 시브유닛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라운드지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지되, 상호간에 대칭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결속구는,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이 상기 시브유닛에 장착된 와이어의 변위유동에 대응하여 일정하게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결속되며,
상기 결속구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이 와이어의 변위유동에 대응하여 설정 각도 이상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상기 시브유닛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시브유닛 상에 장착된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자중식 와이어 이탈 방지 모듈이 탑재된 통 크레인 장치.
A barrel crane device equipped with a self-centering wire breakaway prevention module,
The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has a base body and a groove for mounting a wire on the periphery of the base body,
A sheave unit disposed on the base body so as to be rotatable on a predetermined axis, and a plurality of wire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heave unit, the plurality of wires being mounted on the sheave unit, And a guide plate unit provided on the base body to guide a displacement flow of the guide plate unit,
Further comprising a predetermined coupling means,
Wherein the guide plate unit has a semi-closed loop shape having at least a pair of opposing opposite sides,
The sheave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heave units,
The guide plate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units,
The guide plate unit includes:
At least one guide member positioned to fac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heave unit and guiding the outer side of the wire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a predetermined fir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 to a predetermined second position And then returns to the first position by pulling the wire by its own weight,
Wherein the pair of guide plate units comprises:
Each of the round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heave unit is formed in a ring shape,
Preferably,
The guide plate unit is coupled to the guide plate so that the guide plate unit can constantly flow in response to the displacement flow of the wire mounted on the sheave unit,
Wherein the binding means is provided with a stopper for limiting the flow of the guide plate unit above a predetermined angle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flow of the wire,
Wherein the guide plate un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heave unit via the guide member and is equipped with a self-centering wire detachment prevention module for preventing the wir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heave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29870A 2016-03-11 2016-03-11 Tong crane apparatus having wire rope buffer stop module of self-weight type Active KR101818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870A KR101818942B1 (en) 2016-03-11 2016-03-11 Tong crane apparatus having wire rope buffer stop module of self-weight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870A KR101818942B1 (en) 2016-03-11 2016-03-11 Tong crane apparatus having wire rope buffer stop module of self-weight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611A KR20170106611A (en) 2017-09-21
KR101818942B1 true KR101818942B1 (en) 2018-03-02

Family

ID=6003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870A Active KR101818942B1 (en) 2016-03-11 2016-03-11 Tong crane apparatus having wire rope buffer stop module of self-weight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94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570A (en) * 2005-04-28 2006-11-09 Hitachi Ltd Elevator governor
KR100955692B1 (en) 2002-06-04 2010-05-03 매니토웍 크레인 그룹 프랑스 Device for changing the rigging of the pulley block of the cra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92B1 (en) 2002-06-04 2010-05-03 매니토웍 크레인 그룹 프랑스 Device for changing the rigging of the pulley block of the crane
JP2006306570A (en) * 2005-04-28 2006-11-09 Hitachi Ltd Elevator govern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611A (en)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6916B1 (en) Overhead transport vehicle
US20080116161A1 (en) Crane
WO2007005122A3 (en) A self-erecting suspension platform system
KR101818942B1 (en) Tong crane apparatus having wire rope buffer stop module of self-weight type
JP2008545112A (en) Chain conveyor
KR102576462B1 (en) Gripper for hoist
KR20170003629U (en) Lashing bridge
US11059704B2 (en) Counterweight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EP1076032A1 (en) Crane apparatus
US8141725B2 (en) Jib crane
EP3260408A1 (en) A lifting system and a carrier element for such a lifting system
KR102486580B1 (en) Overhead Hoist Transport Vehicle
KR101919525B1 (en) Deivce for preventing sheave wire derailment
US6619624B2 (en) Hoisting mechanism
KR101492775B1 (en) Clamping equipment for steel sheet coil
CN213505539U (en) Anti-collision electric permanent magnet lifting device
JP5934011B2 (en) Crane brace
JP6996695B2 (en) Trolley and cargo handling method by trolley
KR101954972B1 (en) Hook device capable of horizontal lifting
CN213010797U (en) Plate stacking lifting guide mechanism
KR20200000837U (en) Jig tool of cable drum
JP2012153455A (en) Lifting device, shake preventing implement, and hanging implement
KR101432534B1 (en) Lifting apparatus for lifting through center of gravity
KR20140016586A (en) Balance control type transporting apparatus
KR101927894B1 (en) Coil packing material roll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9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12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