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8589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589B1
KR101818589B1 KR1020100105315A KR20100105315A KR101818589B1 KR 101818589 B1 KR101818589 B1 KR 101818589B1 KR 1020100105315 A KR1020100105315 A KR 1020100105315A KR 20100105315 A KR20100105315 A KR 20100105315A KR 101818589 B1 KR101818589 B1 KR 10181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light source
submodules
reflecting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3986A (ko
Inventor
김민상
장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58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5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분할 구동이 가능한 로컬 디밍(local dimming)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광학시트와, 광학시트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와 반사부의 적어도 한 일측에 배치되어 반사부의 반사면으로 광을 보내는 광원을 포함하고, 수평면의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서브 모듈과, 다수의 서브 모듈 중 서로 인접하는 서브 모듈들을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실시예는 분할 구동이 가능한 로컬 디밍(local dimming)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
자발광 방식의 PDP와는 다르게 LCD는 자체적인 발광소자의 부재로 인해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이 필수적이다.
LCD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엣지(edge)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과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분되는데, 엣지 방식은 LCD 패널의 좌우 측면 또는 상하 측면에 광원을 배치하고 도광판을 이용하여 빛을 전면에 고르게 분산시키므로 빛의 균일성이 좋고 패널 두께의 초박형화가 가능하다.
직하 방식은 보통 2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기술로써, 패널 하부에 광원을 복수개로 배치하므로 엣지 방식에 비해 광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고휘도를 요구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에 주로 사용된다.
기존 엣지 방식이나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CCFL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항상 CCFL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상당량의 전력이 소모되며, CRT에 비해 약 70% 수준의 색 재현율, 수은이 첨가됨에 따른 환경 오염 문제들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체품으로 현재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LED를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 경우, LED 어레이의 국부적인 온/오프가 가능하여 소모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RGB LED의 경우,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 재현 범위 사양의 100%를 상회하여 보다 생생한 화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공정으로 제작되는 LED는 환경에 무해한 것이 특징이다.
현재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진 LED를 채용한 LCD제품들이 속속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기존 CCFL 광원과 구동 메커니즘이 상이하므로, 구동 드라이버, PCB 기판 등이 고가이다.
따라서, LED 백라이트 유닛은 아직 고가의 LCD 제품에만 적용되고 있다.
실시예는 광원과,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서브 모듈들을 결합하여 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함으로써, 분할 구동이 가능한 로컬 디밍(local dimming)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광학시트와, 광학시트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와 반사부의 적어도 한 일측에 배치되어 반사부의 반사면으로 광을 보내는 광원을 포함하고, 수평면의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서브 모듈과, 다수의 서브 모듈 중 서로 인접하는 서브 모듈들을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시트와 서브 모듈의 반사부 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모듈은 광학시트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와, 반사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광학시트 표면에 대해 평행한 고정부와, 고정부 위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에 연결되어 광원의 광을 반사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 반사 미러의 표면 일부에는 고정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및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반사 미러의 표면 일부에는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반사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및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반사부의 표면 일부에는 이웃하는 서브 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및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의 표면 일부에는 반사 미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및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모듈은 광학시트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와, 반사부의 반사면 양 끝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반사부의 반사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제 1, 제 2 돌출부와, 제 1 돌출부의 측면과 제 1 돌출부에 인접한 반사부의 반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광원과, 반사부의 반사면과 마주보도록 반사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떨어져 배치되는 반투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투과막은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에 지지되고, 반사부의 반사면과 평행한 표면을 가지며, 반투과막은 제 1 돌출부에 지지되고, 반사부의 반사면에 대해 곡률을 갖는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반투과막과 반사부의 반사면 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을 가질 수 있다.
이어, 반사부는 반사면과 마주하는 하부면 일부에 돌출되어 반사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데, 고정부의 일측면은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일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들의 광원이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열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들의 광원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각 서브 모듈의 반사부가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광원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인접하는 서브 모듈들마다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어, 결합부는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들을 연결하는 제 1 결합 부재와,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들을 연결하는 제 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제 1, 제 2 결합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 서브 모듈의 반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 모듈은 광학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은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서브 모듈들을 결합하여 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함으로써, 분할 구동이 가능한 로컬 디밍(local dimming)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전체적인 무게가 가벼우며,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 유닛의 경제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서브 모듈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a의 서브 모듈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3a는 수평형 구조의 광원을 보여주는 도면
도 3b는 수직형 구조의 광원을 보여주는 도면
도 3c는 하이브리드형 구조의 광원을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2a의 반사부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반사부를 갖는 서브 모듈이 배열된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e는 도 2a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
도 8a 내지 도 8d는 반사 미러와 광원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실시예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서브 모듈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서브 모듈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 도 12a 및 도 12b는 광학시트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a의 서브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반투과막을 갖는 도 13a의 서브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곡률을 갖는 반투과막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a 및 도 16b은 도 14의 서브 모듈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 도 18a 및 도 18b는 광학시트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a 내지 19e는 광투과 서포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
도 21 및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서브 모듈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a은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은 다수의 서브 모듈(100)과, 그들을 연결하는 결합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서브 모듈(200) 상부에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제어하는 광학시트(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모듈(100)은 광원(102) 및 반사부(104)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반사 미러(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모듈(100)은 광원(102)을 중심으로 광원(102)의 일측에는 반사 미러(106)가 위치하고, 광원(102)의 타측에는 반사부(104)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반사부(104)는 광학시트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반사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모듈(100)의 반사부(104) 상부에 위치하는 광학시트와 서브 모듈(100)의 반사부(104) 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을 가질 수 있다.
이어, 각 서브 모듈(100)은 광학시트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에 대해,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 모듈(100)은 광학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 결합부(200)는 다수의 서브 모듈(100) 중 서로 인접하는 서브 모듈(100)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결합부(200)는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들을 연결하는 제 1 결합 부재(202, 204)와,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들을 연결하는 제 2 결합 부재(2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제 2 결합 부재(202, 204, 2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 서브 모듈(100)의 반사부(104)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a의 서브 모듈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서브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의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모듈(100)은 광원(102) 및 반사부(1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반사 미러(106)와 고정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02)은 반사부(104)의 적어도 한 일측에 배치되고, 반사부(104)의 반사면(110)으로 광을 진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광원(102)은 지지층(112) 위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층(112)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102)이 실장되는 기판일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미도시)와 광원(102)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의 상면에는 광원(102)과 어댑터(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층(11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실리콘(Si) 등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광원들(102)이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 있으며,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광원(102)은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일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칩은 블루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블루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화이트 LED 칩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한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이트 LED는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Yellow phosphor)을 결합하거나, 블루 LED 상에 레드 인광(Red phosphor)과 그린 인광(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02)은 구조에 따라 수평형, 수직형, 및 하이브리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a는 수평형 구조의 광원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b는 수직형 구조의 광원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c는 하이브리드형 구조의 광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 구조의 광원은 최하부에 실리콘 또는 사파이어로 이루어진 기판(9)이 위치한다.
그리고, 기판(9) 위에 n형 반도체층(2)이 위치할 수 있으며, n형 반도체층(2)은 예를 들어, n-Ga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n형 반도체층(2) 위에 활성층(3)이 위치할 수 있으며, 활성층(3)은 예를 들어, InGaN (웰층)/GaN (베리어층)으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활성층(3) 위에 p형 반도체층(4)이 위치할 수 있으며, p형 반도체층(4)은 예를 들어, p-Ga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p형 반도체층(4) 위에 p형 전극(5)이 위치할 수 있으며, p형 전극(5)은 예를 들어, 크롬, 니켈 또는 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형 반도체층(2) 위에는 n형 전극(6)이 위치할 수 있으며, n형 전극(6)은 예를 들어, 크롬, 니켈 또는 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구조의 광원은 반사면(5a)을 갖는 p형 전극(5), p형 반도체층(4), 활성층(3), n형 반도체층(2) 및 n형 전극(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소자는 p형 전극(5)과 n형 전극(6)에 전압이 인가되면, 활성층(3)에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면서, 전도대와 가전대의 높이차(에너지 갭)에 해당하는 빛 에너지를 방출하는 원리로 작동될 수 있다.
다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형 구조의 발광 소자는 기판(9) 위에 n형 반도체층(2), 활성층(3), p형 반도체층(4)이 형성된다.
그리고, n형 반도체층(2) 위에는 n형 전극(6)이 형성되고, p형 전극(5)은 기판(9)과 n형 반도체층(2) 사이에 형성되어 n형 반도체층(2) 및 활성층(3)을 거쳐 p형 반도체층(4)에 콘택된다.
즉, p형 전극(5)은 n형 반도체층(2) 및 활성층(3)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홀을 통해 p형 반도체층(4)에 콘택된다.
그리고, 홀의 측면에는 절연막(7)이 코팅되어 p형 전극(5)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러한 구조의 광원은 실시예로서, Al2O3 기판, 반도체 기판, 광추출구조를 갖는 도전성 기판 등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기판을 사용할 수 있고, 기판 위에는 GaN, AlN, AlGaN, InGaN/GaN SLS(Superlattices) 등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버퍼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버퍼층 위에는 GaN, AlGaN, InGaN, InAlGaN, AlInN, Superlattices(SLS) layer 등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제 1 N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N형 반도체층은 InxAlyGa1-(x+y)N (0≤x≤1, 0 ≤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Si, Ge, Sn 등의 n형 도펀트가도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N형 반도체층 위에는 InGaN/GaN SLS, AlGaN/GaN SLS, InGaN/InGaN SLS, AlGaN/InGaN SLS(약 3 - 10층) 등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제 2 N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고, 제 2 N형 반도체층 위에는 InGaN/GaN 또는 InGaN/InGaN 웰(well)/베리어(barrier) 층 등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활성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층은 단일양자우물구조, 다중양자우물구조(Multi Quantum Well), 양자점구조 또는 양자선구조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 활성층 위에는 AlGaN, AlGaN/GaN SLS (약 30nm 이하) 등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제 1 P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고, 제 1 P형 반도체층 위에는 GaN, AlGaN/GaN, Superlattices(SLS) layer 등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제 2 P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InxAlyGa1-(x+y)N (0≤x≤1, 0 ≤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Mg, Zn, Ca, Sr, Ba 등의 p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도 있다.
다음, 제 1 전극(n-electrode), 제 2 전극 패드(p-electrode pad), 제 2 전극(ohmic contact layer or transparent layer)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IAZO(indium aluminum zinc oxide),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IGTO(indium gallium tin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rOx, RuOx, RuOx/ITO, Ni, Ag, Ni/IrOx/Au, 또는 Ni/IrOx/Au/ITO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원(102)은 다양한 형태의 발광소자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반사부(104)는 광학시트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반사면(110)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반사부(104)는 백라이트 유닛의 바텀 커버 플레이트(bottom cover plate)일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104)의 반사면(110)은 광원(10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부의 광학시트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반사부(104)는 반사면(110)이 광원(10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축에 대해 약 0 - 85도의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부(104)은 광의 반사율이 높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비전도성 물질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반사부(104)의 광반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반사부(104)의 반사면(110) 위에는 반사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사층은 필름 형태로 제작된 반사 코팅 필름일 수도 있고, 반사물질이 증착된 반사 코팅 물질층일 수도 있다.
반사층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은(Ag), 금(Ag) 또는 이산화 티타늄(TiO2)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층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반사부(104)의 반사면(110) 위에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증착하는 방법으로는 열증착법, 증발법 또는 스퍼터링법과 같은 진공증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코팅 또는 인쇄하는 방법으로는 프린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실크 스크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사층은 필름 또는 시트(sheet) 형태로 제작되어, 반사부(104)의 반사면(110) 위에 접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반사층은 그 표면에 소정 형태의 반사 패턴을 가질 수도 있고, 반사부(104)의 반사면(110) 자체에 소정 형태의 반사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반사부(104)는 도 2a와 같이, 바텀 커버 플레이트를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제작하거나 또는 반사 시트를 경사지도록 제작할 수도 있지만, 다양한 형상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는 도 2a의 반사부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04)는 하부면에 대해 약 0 - 85도 정도의 각도로 경사진 반사면(110)을 갖는 반사체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반사체 구조물의 단면은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반사부(104)의 두께는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반사체 구조물은 바텀 커버 플레이트 등과 같은 외부 덮개(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반사부를 갖는 서브 모듈이 배열된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 반사체 구조물로 이루어진 반사부(104)가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광원(102)는 반사부(104)의 일측에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04)는 광원(102)으로부터 먼 영역에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광원(102)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1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단면이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 반사체 구조물로 이루어진 반사부(104)는 일측면이 오목한 형태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홈 내에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광원(102)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부(104)의 커버부(130)는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광원(102)을 마주하는 표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곡면 위에 반사층(132)이 형성되어 반사 미러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반사층(132)이 형성된 커버부(130)는 반사 미러와 같이, 광원(102)의 광을 반사부(104)의 반사면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광원(102)으로부터 생성된 광의 일부를 차광하여 상부로 반사되는 광이 균일한 휘도를 갖도록 차광막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104) 및 광원(102)는 바텀 커버 플레이트 등과 같은 외부 덮개(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6b의 백라이트 구조는 도 6a의 백라이트 구조에 비해, 반사 미러(106)를 추가할 필요가 없어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반사부(104)는 광원(102)에 인접한 영역의 두께와 광원(102)으로부터 먼 영역의 두께가 다르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반사부(104)의 표면 일부에는 이웃하는 서브 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및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04)는 제 1 결합 부재(202, 204)와 제 2 결합 부재(206)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결합 부재(202, 204)는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 2 결합 부재(206)는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결합 부재(202, 204)는 반사부(204)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반사부(204)의 일측면에는 홈 형태의 제 1 결합 부재(204)가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는 타측면에는 돌출 형태의 제 1 결합 부재(20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홈 형태의 제 1 결합 부재(204)는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반사부(104) 측면에 형성되는 돌출 형태의 제 1 결합 부재(202)와 대응되어 결합되고, 돌출 형태의 제 1 결합 부재(202)는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반사부(104) 측면에 형성되는 홈 형태의 제 1 결합 부재(204)와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 부재(206)는 광원(102)으로부터 먼 영역에 위치하는 반사부(104) 끝단 하부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서브 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와 같이, 반사부(104) 하부에 형성된 제 2 결합 부재(206)인 결합돌기는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반사 미러(106)의 상부에 형성된 제 3 결합 부재(208)인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과 돌기 형태의 결합 부재를 사용하였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결합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a에서, 고정부(108)는 반사부(104)의 일측에 연결되어 반사부(104)를 고정시키고, 광원(102)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이 가능하다.
여기서, 고정부(108)은 광학시트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고정부(108) 일측에 연결된 반사부(104)는 고정부(108)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108)은 반사부(104)의 일측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도 있지만, 다양한 실시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e는 도 2a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7a는 반사부(104)의 경사면 상측에 고정부(108)가 결합된 구조로서, 수평면에 대해 약 0 - 85도 정도의 각도로 경사진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104)의 상측 영역에 수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부(108)가 결합된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도 7b는 반사부(104)의 경사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부(108a, 108b)가 장착된 구조로서, 수평면에 대해 약 0 - 85도 정도의 각도로 경사진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104)의 하측 영역에 제 1 고정부(108a)가 결합되고, 반사부(104)의 상측 영역에 수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고정부(108b)가 결합된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2개의 고정부를 갖는 반사부 구조는 1개의 고정부를 갖는 반사부 구조보다 더 안정적일 수 있지만, 반사부의 무게가 더 무거운 단점이 있다.
이어, 도 7c는 반사부(104)의 반사면 하부 영역에 고정부(108)가 위치하고 있는 구조로서, 반사부(104)의 하부 표면과 고정부(108)의 상부 표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반사부(104)와 고정부(108)가 연결된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사부(104)의 하부 표면과 고정부(108)의 상부 표면 사이의 거리는 점차적으로 멀어지는 구조이다.
다음, 도 7d 및 도 7e는 반사부(104)가 외부 충격에 의해 반사면의 경사 각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7d와 같이, 반사부(104)의 하부 표면과 고정부(108)의 상부 표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spacer)(125)를 추가로 장착하거나, 또는 도 7e와 같이, 반사부(104)의 하부 표면과 고정부(108)의 상부 표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127)를 추가로 장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탄성체(127)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구조물일 수도 있고, 고분자 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탄성체일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도 2a와 같이, 고정부(108)에 연결되어, 광원(102)의 광을 반사부(104)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 미러(106)의 표면 일부에는 고정부(108)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및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 미러(106)의 표면 일부에는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반사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및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반사 미러(106)는 외부 상부 표면에 제 3 결합 부재(108)인 결합 홈이 형성되고, 하부 표면에는 제 4 결합 부재(110)인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 미러(106)의 제 3 결합 부재(108)인 결합 홈은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반사부(104)의 제 2 결합 부재(206)인 결합 돌기와 결합될 수 있고, 반사 미러(106)의 제 4 결합 부재(110)인 결합 돌기는 고정부(108)의 제 5 결합 부재(212)인 결합 홈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 미러(106)는 반사부(104)가 배치되는 방향만 개방되도록 광원(102)의 일측 및 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 미러(106)를 사용하는 이유는 광원(102)의 광 지향각을 줄여 광이 수평적으로 출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사 미러(106)는 광원(102)의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제외한 광원(102) 전면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02)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반사부(104)의 반사면(110)을 향해 직접적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반사 미러(106)에 반사되어 반사부(104)의 반사면(110)을 향해 간접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원(102)에서 출사된 광은 반사 미러(106)에 의해, 지향각이 작아지므로, 대부분 광들은 반사부(104)의 반사면(110)을 향해 수평적으로 진행하게 되고, 반사부(104)의 반사면(110)에서 반사된 광은 광학시트를 거쳐 디스플레이 패널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반사 미러와 광원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반사 미러(106)가 광원(102)의 광출사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구조이고, 도 8c 내지 도 8d는 반사 미러(106)가 광원(102)의 광출사면과 반대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도 8a는 수직형 광원(102)의 광출사면이 반사 미러(106)과 마주하는 구조이고, 반사 미러(106)는 광원(102)의 광출사면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오픈(open)된 반구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도 8b는 수평형 광원(102)의 광출사면이 반사 미러(106)과 마주하는 구조이고, 반사 미러(106)는 광원(102)의 광출사면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오픈(open)된 반구형상을 갖는다.
다음, 도 8c는 수직형 광원(102)의 광출사면이 반사 미러(106)와 마주하지 않는 구조이고, 반사 미러(106)는 광원(102)의 광출사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오픈(open)된 반구형상을 갖는다.
이어, 도 8d는 수평형 광원(102)의 광출사면이 반사 미러(106)과 마주하지 않는 구조이고, 반사 미러(106)는 광원(102)의 광출사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오픈(open)된 반구형상을 갖는다.
이외에도 반사 미러(106)의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면을 갖는 다각형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광원(102)의 광을 평행하게 만들기 위해, 반사 미러(106)를 사용하였지만, 반사 미러(106) 대신에 광원(102)의 광 출사면 앞에 렌즈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광원(102)의 광 출사면이 오픈된 특정 형상의 구조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반사 미러 또는 렌즈 등을 이용하여,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만들어 줌으로써, 광원의 광 지향각을 줄일 수 있어 휘도가 균일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하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서브 모듈은 수평면의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들의 광원이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들의 광원(102)이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각 서브 모듈의 반사부(104)가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광원(102)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들의 광원(102)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서브 모듈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들의 광원(102)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각 서브 모듈의 반사부(104)가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광원(102)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9의 실시예는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인접하는 서브 모듈들마다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서브 모듈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0a는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인접하는 서브 모듈들마다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한 서브 모듈들은 반사부(104)의 상단면이 서로 대응하도록 연결되고, 고정부(108)와 반사 미러(106)가 서로 대응하도록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서브 모듈들이 배열된 백라이트 유닛은 서브 모듈 상부에 광학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시트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광원에 인접한 영역과 광원으로부터 먼 영역의 연신율이 다른 편광판이나 광원에 인접한 영역과 광원으로부터 먼 영역의 차광 패턴이 다른 차광막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형광물질로 이루어진 형광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광학시트는 서브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고, 서브 모듈에 접촉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1, 도 12a 및 도 12b는 광학시트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1은 백라이트 유닛의 서브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광학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a는 백라이트 유닛의 서브 모듈에 접촉되는 광학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b는 서브 모듈과 광학시트 사이의 지지돌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160)은 백라이트 유닛의 서브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고,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160)는 백라이트 유닛의 서브 모듈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는데, 광학시트(160)와 서브 모듈의 반사부(104) 사이에는 진공이나, 공기 또는 가스가 채워진 에어 갭을 가질 수 있으며, 투명 레진층(16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투명 레진층(164)은 광원(10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확산시켜, 광원(10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투명 레진층(164)은 광투과성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투명 레진층(164)은 상기한 물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원(10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확산되어 백라이트 유닛이 균일한 휘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투명 레진층(164)은 약 1.4 내지 1.6의 굴절율을 갖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레진층(164)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틸렌(PS), 폴리에폭시(PE), 실리콘,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투명 레진층(164)은 광원(102) 및 반사부(104)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접착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레진층(164)은 불포화 폴리에스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미드,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혹은 삼원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투명 레진층(164)은 액상 또는 겔(gel)상의 수지를 광원(102) 및 반사부(104) 상에 도포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투명 레진층(164)은 광원(102)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2a와 같이, 광학시트(160)는 백라이트 유닛의 서브 모듈에 접촉되는 경우, 도 12b와 같이, 서브 모듈의 반사부(104) 상단에 지지돌기(162)를 형성하여, 반사부(104)와 광학시트(160) 사이의 접촉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a의 서브 모듈은 광원의 광 출사 방향에 대해, 반사부의 반사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지만, 서브 모듈은 광원의 광 출사 방향에 대해, 반사부의 반사면이 평행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즉, 광원을 반사부의 반사면과 평행하도록 배치하고, 반사부와 광원을 함께 광학시트와 평행한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a의 서브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3a는 서브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의 단면도이며, 도 13c는 도 13a의 평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모듈은 광원(102), 반사부(104), 제 1, 제 2 돌출부(171, 17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고정부(108)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부(104)는 상부에 배치되는 도 11의 광학시트(160)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반사면(110)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제 2 돌출부(171, 173)은 반사부(104)의 반사면(110) 양 끝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반사부(104)의 반사면(110)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어, 광원(102)은 제 1 돌출부(171)의 측면과 제 1 돌출부(171)에 인접한 반사부(104)의 반사면(11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광원(102)은 광의 출사 방향이 반사부(104)의 반사면(110)과 평행하도록, 반사부(104)의 반사면(1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08)는 반사면(110)과 마주하는 반사부(104)의 하부면 일부에 돌출되어 반사부(104)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8)의 일측면은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일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서브 모듈은 반사부(104)의 상부에 반투과막(180)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4는 반투과막을 갖는 도 13a의 서브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과막(180)은 반사부(104)의 반사면(110)과 마주보도록 반사면(110)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반투과막(180)은 제 1 돌출부(171)와 제 2 돌출부(173)에 지지되고, 반사부(104)의 반사면(110)과 평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반투과막(180)은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광원에 인접한 영역과 광원으로부터 먼 영역의 연신율이 다른 편광판이나 광원에 인접한 영역과 광원으로부터 먼 영역의 차광 패턴이 다른 차광막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형광물질로 이루어진 형광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반투과막(180)은 수직 입사 가시광의 약 30 - 90% 정도를 반사하고, 나머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반반사 필름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얇은 금속 미러, 얇은 금속이 코팅된 필름, 얇은 금속이 도포된 기판, 여러층의 간섭 미러들이 적층된 다층 중합체 미러 필름 등일 수 있다.
이어, 반투과막(180)은 편광 상태에 대응하는 광만 투과하는 반사 편광기, 반사 입자들이 분산된 투명 접착 필름 등일 수 있으며, 미세한 구멍 또는 개구의 패턴을 구비한 반사 필름일 수 있으며, 선형 프리즘, 피라미드형 프리즘, 원뿔형 프리즘, 타원형 프리즘 등과 같은 미세 구조물이 배치된 필름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반투과막(180)과 반사부(104) 사이에는 진공이나, 공기 또는 가스가 채워진 에어 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돌출부(173)는 광원(102)과 마주하는 측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어 광원(102)에서 출사된 광을 재반사시킴으로써, 광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이웃하는 서브 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들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반투과막(180)은 반사부와 대응하는 표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15는 곡률을 갖는 반투과막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과막(180)은 광원(102)에 인접한 영역이 제 1 돌출부(171)에 지지되고, 광원(102)으로부터 먼 영역이 제 2 돌출부(173)에 인접한 반사부(104)의 반사면(110)에 지지된다.
따라서, 반투과막(180)은 반사부(104)의 반사면(110)과 마주보는 표면이 광원(102)에서 멀어질수록 수렴하는 곡률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반투과막(180)은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광원에 인접한 영역과 광원으로부터 먼 영역의 연신율이 다른 편광판이나 광원에 인접한 영역과 광원으로부터 먼 영역의 차광 패턴이 다른 차광막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형광물질로 이루어진 형광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반투과막(180)은 수직 입사 가시광의 약 30 - 90% 정도를 반사하고, 나머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반반사 필름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얇은 금속 미러, 얇은 금속이 코팅된 필름, 얇은 금속이 도포된 기판, 여러층의 간섭 미러들이 적층된 다층 중합체 미러 필름 등일 수 있다.
이어, 반투과막(180)은 편광 상태에 대응하는 광만 투과하는 반사 편광기, 반사 입자들이 분산된 투명 접착 필름 등일 수 있으며, 미세한 구멍 또는 개구의 패턴을 구비한 반사 필름일 수 있으며, 선형 프리즘, 피라미드형 프리즘, 원뿔형 프리즘, 타원형 프리즘 등과 같은 미세 구조물이 배치된 필름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반투과막(180)과 반사부(104) 사이에는 진공이나, 공기 또는 가스가 채워진 에어 갭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률을 갖는 반투과막(180)은 광의 확산 효과가 더 우수하여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은 도 14의 서브 모듈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6a은 평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단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은 도 14의 서브 모듈들이 수평면의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 서브 모듈(100)에서, 광원(102)은 광의 출사 방향이 반사부(104)의 반사면과 평행하도록, 반사부(104)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08)는 반사면과 마주하는 반사부(104)의 하부면 일부에 돌출되어 반사부(104)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8)의 일측면은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일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고정부(108)의 일측면은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제 1 돌출부(171)에 접촉되어 이웃하는 서브 모듈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정의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100)은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100)들의 광원(102)이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그들은 결합부(2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100)은 각 서브 모듈(100)의 반사부(104)가 이웃하는 서브 모듈(100)의 광원(102)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각 서브 모듈(100)의 고정부(108)는 이웃하는 서브 모듈(100)을 지지하도록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어, 각 서브 모듈(100)의 반사부(104)의 상부에 반투과막(180)이 배치되고, 각 서브 모듈(100)의 광원(102) 상부에 위치하는 반투과막(180)은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반사부(104)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100)은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100)들의 광원(102)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100)은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100)들의 광원(102)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100)은 각 서브 모듈(100)의 반사부(104)가 이웃하는 서브 모듈(100)의 광원(102)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100)에서 출사되는 광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100)은 인접하는 서브 모듈(100)들마다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서로 인접한 서브 모듈들은 반사부(104)의 상단면이 서로 대응하도록 연결되고, 고정부(108)가 서로 대응하도록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서브 모듈(100)들이 배열된 백라이트 유닛은 서브 모듈(100) 상부에 광학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시트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광원에 인접한 영역과 광원으로부터 먼 영역의 연신율이 다른 편광판이나 광원에 인접한 영역과 광원으로부터 먼 영역의 차광 패턴이 다른 차광막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형광물질로 이루어진 형광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광학시트는 서브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고, 서브 모듈에 접촉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7, 도 18a 및 도 18b는 광학시트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7은 백라이트 유닛의 서브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광학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a는 백라이트 유닛의 서브 모듈에 접촉되는 광학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8b는 서브 모듈과 광학시트 사이의 지지돌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160)은 백라이트 유닛의 서브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고,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160)는 백라이트 유닛의 서브 모듈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는데, 광학시트(160)와 서브 모듈의 반사부(104) 사이에는 진공이나, 공기 또는 가스가 채워진 에어 갭을 가질 수 있으며, 투명 레진층(16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투명 레진층(164)은 광원(10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확산시켜, 광원(10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투명 레진층(164)은 도 11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a와 같이, 광학시트(160)는 백라이트 유닛의 서브 모듈에 접촉되는 경우, 도 18b와 같이, 서브 모듈의 반사부(104) 상단에 지지돌기(162)를 형성하여, 반사부(104)와 광학시트(160) 사이의 접촉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a의 서브 모듈은 광원의 광 출사 방향에 대해, 반사부의 반사면이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즉, 광원을 반사부의 반사면과 평행하도록 배치하고, 반사부와 광원을 함께 광학시트와 평행한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투과 서포터(supporter)(5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9a 내지 19e는 광투과 서포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광 투과 서포터(500)는 반사부(104)와 광학시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광원(10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광학시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의 서브 모듈에 광 투과 서포터(500)을 적용할 경우, 반투과막(18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 1, 제 2 돌출부(171, 173)들을 생략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광투과 서포터(500)는 도 19a와 같이, 반사부(104)의 열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로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투과 서포터(500)는 광원(102)에 인접한 영역의 폭 W1과 광원으로부터 먼 영역의 폭 W2가 거의 동일하다.
광 투과 서포터(500)는 광투과성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광 투과 서포터(500)는 상기한 물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 투과 서포터(500)은 광원(10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약 1.4 내지 1.6의 굴절율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 투과 서포터(50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틸렌(PS), 폴리에폭시(PE), 실리콘,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 투과 서포터(500)는 광학시트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고분자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광 투과 서포터(500)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미드,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혹은 삼원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 투과 서포터(500)는 액상 또는 겔(gel)상의 수지를 도포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19b는광투과 서포터(500)의 상부면 폭은 광원(102)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즉, 광 투과 서포터(500)은 광원(102)에 인접한 영역의 상부면 폭 W1보다 광원(102)으로부터 먼 영역의 상부면 폭 W2이 더 작아진다.
이와 같이, 제작하는 이유는 광원(102)에 인접한 영역의 휘도를 줄이고, 광원(102)에서 먼 영역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즉, 광원(102)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광 투과 서포터(500)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광의 확산 및 밝기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광원(102)으로부터 먼 영역에서는 광 투과 서포터(500)의 면적이 좁기 때문에 광의 확산 및 밝기를 향상 또는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백라이트를 얻을 수 있다.
도 19c는 광 투과 서포터(500)의 개별 단위들이 반사부(104)의 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구조이다.
도 19c와 같이, 광 투과 서포터(500)를 다수의 개별 단위로 분리하는 이유는 스트라이프 형태의 광 투과 서포터(500)를 사용한 백라이트에 비해 전체적으로 광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19d는 광 투과 서포터(500)의 개별 단위들이 반사부(104)의 열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구조이다.
이어, 도 19e는 광 투과 서포터(500)의 개별 단위들의 개수가 반사부(104)의 열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구조이다.
도 19e의 구조의 경우, 광원(102)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광 투과 서포터(500)의 개별 단위 수를 늘려 광의 확산 및 밝기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광원(102)으로부터 먼 영역에서는 광 투과 서포터(500)의 개별 단위 수를 줄였기 때문에 광의 확산 및 밝기를 향상 또는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백라이트를 얻을 수 있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은 디스플레이 패널(800) 및 백라이트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800)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필터 기판(810)과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820)을 포함하며, 상기 두 기판(810, 820)의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컬러필터 기판(810)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며, 광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픽셀들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픽셀로 구성될 수 있으나,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W) 서브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등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FT 기판(820)은 스위칭 소자들이 형성된 소자로서 화소 전극(미도시)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전극(미도시) 및 화소 전극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소정 전압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들의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액정 분자들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그 배열을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70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액정층의 분자 배열의 변화에 상응하여 컬러필터 기판(810)에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80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상부 편광판(830) 및 하부 편광판(8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컬러필터 기판(810)의 상면에 상부 편광판(830)이 배치되고, TFT 기판(820)의 하면에 하부 편광판(84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800)의 측면에는 패널(8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800)에 백라이트 유닛(700)을 밀착하여 배치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700)은 디스플레이 패널(800)의 하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편광판(840)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하부 편광판(840)과 백라이트 유닛(700) 사이에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700)을 디스플레이 패널(800)에 밀착하여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켜 외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700)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의 구조물이 제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700)과 디스플레이 패널(800) 사이의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공간으로의 이물질의 침투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동작 또는 디스플레이 영상의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700)은 복수의 기능층들이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기능층들 중 적어도 한 층은 복수의 광원들(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700)이 디스플레이 패널(800)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700), 보다 자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700)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능층들은 각각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800)은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의 그레이 피크값 또는 색 좌표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백라이트 유닛(700)의 영역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밝기, 즉 해당 광원의 밝기가 조절되어 디스플레이 패널(800)의 휘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700)은 디스플레이 패널(800)의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분할 구동 영역으로 구분되어 동작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20),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둘러싸는 프론트 커버(30) 및 백 커버(35), 백 커버(35)에 구비된 구동부(55) 및 구동부(55)를 감싸는 구동부 커버(40)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30)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전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 패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보호하며, 디스플레이 모듈(2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켜 디스플레이 모듈(2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한다.
또한, 프론트 커버(30)는 창(30a)이 없는 평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론트 커버(30)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 일 예로 사출 성형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이처럼, 프론트 커버(30)를 평판으로 형성하면, 프론트 커버(30)에서 프레임을 제거할 수가 있다.
백 커버(35)는 프론트 커버(30)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보호할 수 있다.
백 커버(35)의 일면에는 구동부(55)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55)는 구동 제어부(55a), 메인보드(55b) 및 전원공급부(55c)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55a)는 타이밍 컨트롤러로 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20)의 각 드라이버 IC에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구동부이고, 메인보드(55b)는 타이밍 컨트롤러에 V싱크, H싱크 및 R, G, B 해상도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이며, 전원 공급부(55c)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부이다.
구동부(55)는 백 커버(35)에 구비되어 구동부 커버(4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백 커버(35)에는 복수의 홀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20)과 구동부(55)가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하는 스탠드(60)가 구비될 수 있다.
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5)의 구동 제어부(55a)는 백 커버(35)에 구비되고, 메인보드(55b)와 전원보드(55c)는 스탠드(6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부 커버(40)는 백 커버(35)에 구비된 구동부(55)만을 감쌀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메인보드(55b)와 전원보드(55c)를 각각 따로 구성하였으나, 하나의 통합보드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광학시트;
    상기 광학시트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의 적어도 한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으로 광을 보내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면의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서브 모듈; 그리고,
    상기 다수의 서브 모듈 중 서로 인접하는 서브 모듈들을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모듈은,
    상기 광학시트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 양 끝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제 1, 제 2 돌출부;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떨어져 배치되는 반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제 1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제 1 돌출부에 인접한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와 상기 서브 모듈의 반사부 사이 및
    상기 반투과막과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 사이에 에어 갭(air gap)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모듈은,
    상기 반사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광학시트 표면에 대해 평행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반사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고정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 미러는 상기 반사부가 배치되는 방향만 개방되도록 상기 광원의 일측 및 상부를 둘러싸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미러의 표면 일부에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및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표면 일부에는 반사 미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및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미러의 표면 일부에는 상기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반사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및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의 표면 일부에는 상기 이웃하는 서브 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및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에 인접한 영역의 두께와 상기 광원으로부터 먼 영역의 두께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막은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에 지지되고,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과 평행한 표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막은 상기 제 1 돌출부에 지지되고,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에 대해 곡률을 갖는 표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반사면과 마주하는 하부면 일부에 돌출되어 상기 반사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은 상기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표면 일부에는 상기 이웃하는 서브 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 및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들의 광원이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열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서브 모듈들의 광원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상기 각 서브 모듈의 반사부가 이웃하는 서브 모듈의 광원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은 인접하는 서브 모듈들마다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평면의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들을 연결하는 제 1 결합 부재와, 상기 수평면의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서브 모듈들을 연결하는 제 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 2 결합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각 서브 모듈의 반사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 모듈은 상기 광학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105315A 2010-10-27 2010-10-27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1818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15A KR101818589B1 (ko) 2010-10-27 2010-10-27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15A KR101818589B1 (ko) 2010-10-27 2010-10-2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986A KR20120043986A (ko) 2012-05-07
KR101818589B1 true KR101818589B1 (ko) 2018-01-15

Family

ID=4626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315A Active KR101818589B1 (ko) 2010-10-27 2010-10-2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5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713B1 (ko) 2012-10-23 2019-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어진 표시 장치
US20160230955A1 (en) * 2014-05-27 2016-08-11 El Lighting Co., LTD. Optical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5695A (ja) * 2005-10-20 2007-05-10 Ind Technol Res Inst バックライト構造
WO2009016950A1 (ja) * 2007-07-27 2009-02-05 Sharp Kabushiki Kaish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5695A (ja) * 2005-10-20 2007-05-10 Ind Technol Res Inst バックライト構造
WO2009016950A1 (ja) * 2007-07-27 2009-02-05 Sharp Kabushiki Kaish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986A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9735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USRE45805E1 (en) Display device
JP5628918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785642B1 (ko) 컬러필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2640309A (zh) 背光源装置、使用该背光源装置的液晶显示装置和在它们中使用的发光二极管
KR10247340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356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185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6993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797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70757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9365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1965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74944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67241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71856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181859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797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0440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581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0483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4881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185485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048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1104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0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