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446B1 - Apparatus for concentrating phytoplankt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centrating phytoplankt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8446B1 KR101818446B1 KR1020170108751A KR20170108751A KR101818446B1 KR 101818446 B1 KR101818446 B1 KR 101818446B1 KR 1020170108751 A KR1020170108751 A KR 1020170108751A KR 20170108751 A KR20170108751 A KR 20170108751A KR 101818446 B1 KR101818446 B1 KR 1018184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movable
- pipe
- intake
- phytoplankt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6761 Bacillari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2700 Cyano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5 chlorophyl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52 cla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5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2—Separating microorganisms from the culture medium; Concentration of biom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2—Photobiore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플랑크톤 농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플랑크톤이 포함된 시험수를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농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는, 내부에 플랑크톤이 포함된 물이 담겨지는 수용 공간이 구비된 수조; 상기 수조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외부로 연장된 배수부가 구비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수조 외측 배수부에 구비된 개폐수단; 상기 배수관의 연결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수조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취수공이 구비된 가동취수관; 및 상기 가동취수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취수공이 물의 상층부에 위치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and aims to provide a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without consuming any energy, and is capable of rapidly concentrating test water containing plankton at low cost.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tank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water containing plankton is contained; A drain pip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d having a connection portion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one side and a drain portion extending outward at the other side; Opening / closing means provided in a drainage outside portion of the water tub; A movable water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e pip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having a water intake hole for allowing water in the water tank to flow therein; And a float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water intake pipe to provide buoyancy such that the water intake hole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 시료에 함유된 식물 플랑크톤을 농축하여 단위 부피당 세포 수를 증가시키는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for concentrating phytoplankton contained in a water sample to increase the number of cells per unit volume.
수중생물 중에서 운동능력이 전혀 없거나 매우 약해 물에 떠돌며 생활하는 생물 군을 플랑크톤이라 하며, 식물 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으로 구별한다. 식물 플랑크톤은 체내에 클로로필 등의 색소를 갖고 광합성에 의해 독립영양을 영위하고, 동물플랑크톤은 다른 생물이나 그 파편을 포식하는 종속영양을 영위한다. Among aquatic organisms, a group of living creatures that have no or limited ability to exercise is called a plankton and distinguishes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Phytoplankton has a pigment such as chlorophyll in the body and carries out independent nutrition by photosynthesis, and zooplankton carries heterotrophic nourishment of other organisms and their fragments.
식물 플랑크톤으로는 규조류, 남조류, 녹조류, 편모조류 등이 있으며, 햇빛이 유효하게 도달하는 표층에 주로 분포한다. 해마다 해양에서는 플랑크톤의 대량 증식으로 인해 적조가 발생하여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하천이나 호소 등의 내수에서는 특히 식물성 플랑크톤의 대량 증식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Phytoplankton include diatoms, cyanobacteria, green algae, and monocotyledonous birds, which are distributed mainly on the surface layer where sunlight reaches effectively. Every year in the oceans, red tide occurs due to the mass proliferation of plankton, causing many damages. In the domestic water such as rivers and lakes, damage due to massive growth of phytoplankton is occurring.
플랑크톤의 대량 증식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수역의 수질 상태와 플랑크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수중에서의 생태계 해명, 특히 수산자원의 과학적 관리를 위해서도 플랑크톤에 관한 연구 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플랑크톤을 채집하여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행하는 다양한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실험수의 단위 체적당 플랑크톤의 세포수가 증가되도록 실험수를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massive growth of plankton, research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water quality and plankton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 In addition, studies on plankton are needed for ecosystem clarification in the water, especially for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fisheries resource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oncentrate the experimental water to increase the number of plankton cells per unit volume of the experiment water for this study.
종래에도 플랑크톤이 포함된 물을 농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제10-1738548호에는, 미세조류 공급부; 상기 미세조류 공급부와 연결되고, 내부 공간에 산화전극을 포함하는 미세조류 농축부; 상기 미세조류 농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미세조류 농축부와의 경계에서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환원전극을 포함하는 미세조류의 분리 잔액 배출부; 및 상기 미세조류 농축부의 상부 전체 또는 일부에 연결되고 미세조류 농축부로부터 부유한 미세조류가 농축되어 분리되는 미세조류 분리부를 포함하는 미세조류 농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농축 장치는 산화전극에 전기에너지를 가하여 생성된 금속 이온을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응집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적인 시스템을 통해 미세조류를 부유 및 수확하는 것으로, 장치의 작동 구조가 복잡하고 가동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Conventionally, various methods for concentrating water containing plankton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738548 discloses a microalgae supply unit; A micro algae concentrating unit connected to the microalgae supply unit and including an oxidizing electrode in an inner space; And a reducing electrode connected to the micro-algae concentration unit and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surface of the micro-algae concentration unit at a boundary with the micro-algae concentration unit; And a micro-algae concentrating unit connected to all or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micro-algae concentrating unit and concentrating and separating the micro-algae floating from the micro-algae concentrating unit. This enrichment apparatus suspends and harvests microalgae through an electrochemical system including coagulation of microalgae using metal ions generated by applying electrical energy to an oxidizing electrode. There is a problem that consumes a lot of energy.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0-0888897호에는, 미세조류나 미생물을 배양시켜 제1차농축조에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양조와, 공급밸브와 유량조절밸브가 결합된 제1차 농축조와, 외측하부의 배출관에 드레인 밸브가 결합된 제2차 농축조와, 주입밸브가 결합된 주입관이 제1차 농축조에 연결되는 탈염용 세척수 탱크와, 펌프에 의해 이송관을 경유하여 공급되는 여과액을 수용하고 하부에 역세척 펌프 및 세척관이 결합된 여과액 탱크와, 세정밸브가 결합된 세정관이 여과액 탱크 하부의 세척관에 연결되는 화학세정탱크와, 에어 공급관이 이송관 및 보조 이송관과 연결되는 에어 콤프레셔로 구성된 미세조류 및 미생물 분리 농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미세조류 또는 미생물이 생물상태에서의 활성을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에 주된 목적을 두는 것으로, 역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에너지 소모가 심하여 실험용 농축 장치로의 활용은 어렵다.Korean Patent No. 10-0888897 discloses a culture tank for culturing microalgae or microorganisms and supplying the culture medium to a first concentration tank, a first concentration tank coupled with a supply valve and a flow rate control valv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and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 pump for receiving the filtrate supplied through the pipe, A chemical cleaning tank in which a cleaning pipe having a cleaning valve coupled to a cleaning pipe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rate tank is connected to the cleaning tank and an air compressor for connecting the air supply pipe to the transfer pipe and the auxiliary transfer pipe, And a microbial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apparatus for separating microorganisms. However, this is mainly aimed at keeping microalgae or microorganisms in the state of activity in the biological state, and it is also difficult to utilize them as a laboratory concentration device because of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device and the high energy consump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플랑크톤이 포함된 시험수를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농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structure without consuming extra energy, thereby enabling to rapidly concentrate test water containing plankton at low cos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는, 내부에 플랑크톤이 포함된 물이 담겨지는 수용 공간이 구비된 수조; 상기 수조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외부로 연장된 배수부가 구비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수조 외측 배수부에 구비된 개폐수단; 상기 배수관의 연결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수조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취수공이 구비된 가동 취수관; 및 상기 가동취수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취수공이 물의 상층부에 위치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tank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water containing plankton is contained; A drain pip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d having a connection portion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one side and a drain portion extending outward at the other side; Opening / closing means provided in a drainage outside portion of the water tub; A movable water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e pip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having a water intake hole for allowing water in the water tank to flow therein; And a float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water intake pipe to provide buoyancy such that the water intake hole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취수공의 외부에 식물 플랑크톤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취수공은 가동취수관의 상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통 형성되고, 상기 취수공의 외부에 식물 플랑크톤의 유입을 차단하는 환형 필터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for blocking inflow of phytoplankton may be provided outside the water intake hole. In this case, the water intake hole may be formed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movable intake pipe in a radial direction, and an annular filter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water intake hole to block the inflow of phytoplankt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취수관의 주위를 감싸 식물 플랑크톤의 유입을 차단하는 원통형의 필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원통형 필터는 상단부가 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rical filter that surrounds the movable intake pipe and blocks the inflow of phytoplankton may be provided. The cylindrical filter is preferably installed such that its upper end is located higher than the water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취수관의 상부에 넓은 깔때기 형태의 취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취수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연통된 다수의 취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취수부재의 하부에 상기 취수공을 통한 플랑크톤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는 상기 취수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중공체 또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de funnel-type intake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intake pipe, and a plurality of intake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member in the up-and-down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is case, a filter for blocking the inflow of plankton through the water intake hole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intake member. The float may be formed of a hollow body or a foamed resin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ter intake memb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부력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가동취수관의 상부에 취수공을 형성하여 플랑크톤이 함유량이 매우 적은 표층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통해 에너지의 소모 없이 저렴하고 신속하게 시험수의 농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in the surface layer portion having a very small content of plankt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forming a water intake hol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water intake pipe moved up and down by buoyanc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st water can be concentrated at low cost and quickly without consuming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에서 취수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operating state of the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withdrawal port in the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FIG.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ve concept, an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example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and 2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플랑크톤 농축장치는, 플랑크톤이 함유된 물이 담기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구비된 수조(100), 이 수조(100)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관(110), 이 배수관(110)의 유입부 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취수관(120), 이 가동취수관(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float)(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수조(100)는 식물 플랑크톤이 포함된 물을 담아 실험을 행할 수 있게 하는 저장조로서, 원통형 구조, 입방체형 구조 등 내부에 물을 수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수조(10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량화 면에서 유리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조(100)의 내부 또는 외부 벽면에는 수심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눈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필요에 따라, 상기 수조(100)는 상부가 개방되지 않은 일체형 탱크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수조(100)의 일측에 급수를 위한 투입구가 구비된다. 또한, 수조의 하부 일측에 플랑크톤이 농축된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한 배출구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상기 배수관(110)은 수조(100) 내에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부(112)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배수부(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112)는 수조(100) 전체에서 고르게 취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급적 수조(1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부(111)는 충분한 양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가급적 수조(100)의 하부에 위치된다. The
상기 배수관(110)의 수조(100)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개폐수단으로서 밸브(140)가 설치된다. 이 밸브(140)는 간단한 개폐식 밸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배수량의 조절이 가능한 밸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
상기 가동취수관(120)은 배수관(110)의 연결부(112)와 서로 삽입 결합되어 연결부(11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가동취수관(120)과 연결부(112)의 결합부에는 돌기나 홈 형태의 가이드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마찰력 감소를 위한 롤러 형태의 가동 지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동취수관(120)과 연결부(112)의 사이에 수밀을 위한 실링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상기 가동취수관(120)의 상부에는 수조(100)에 수용된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취수공(121)이 형성된다. 이 취수공(121)은 가급적 상측에 위치되어 식물 플랑크톤이 가장 적게 포함된 표층수가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상기 부유체(130)는 상기 가동취수관(120)이 수위 변화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중공의 입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발포수지와 같은 저밀도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float 130 provides buoyancy so that the movab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식물 플랑크톤 농축장치는 밸브(140)가 폐쇄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0)의 수위가 높은 상태에서는 부유체(130)의 부력에 의해 가동취수관(120)이 상향 위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는 물의 취수 및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1, the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loses the
이 상태에서, 배수관(110)의 밸브(140)를 개방하면 수조(100)에 담긴 물이 취수공(121)을 통해 가동취수관(120)의 내부로 유입되고 배수관(110)을 따라 흘러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가 지속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0)의 수위는 낮아지고,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부유체(130)가 하향 이동하여 가동취수관(120)이 함께 배수관(110)의 연결부(112)를 따라 하향 이동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이 과정에서 가동취수관(120)의 상단부에 위치된 취수공(121)을 통해 수조(100)의 물이 유입되므로, 수조(100)의 물 중에서 표층에 가까운 위치의 물이 상기 취수공(121)을 통해 가동취수관(120)에 유입된 후 배수관(110)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식물 플랑크톤은 주로 수조(100)의 하부에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취수공(121)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는 매우 적은 양의 식물 플랑크톤이 포함되고, 대부분의 식물 플랑크톤은 수조(100)의 하부에 모여 결과적으로 플랑크톤이 농축된다. 따라서, 간단한 장치를 통해 에너지의 소모 없이 저렴하고 신속하게 시험수의 농축이 가능하게 된다. The water in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수조(100), 배수관(110), 가동취수관(120) 및 부유체(130)를 구비하되, 가동취수관(120)의 취수공(121) 주위에 식물 플랑크톤을 차단하는 환형의 필터(150)가 설치된 것이다.FIG. 3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이러한 구조는 표층부의 물에 포함된 미소량의 식물 플랑크톤이 상기 취수공(121)을 통해 가동취수관(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험수의 농축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Such a structure can prevent a small amount of phytoplankton contained in water in the surface layer from flowing into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농축 장치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수조(100), 배수관(110), 가동취수관(120) 및 부유체(130)를 구비하되, 가동취수관(120)의 주위에 원통형의 필터(250)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필터(150)는 표층 부분의 플랑크톤 유입까지 차단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수면 상부에 위치하도록 높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취수관(220)의 하향 이동 시에도 주변으로 플랑크톤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배수관(110)과 근접하도록 낮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FIG. 4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이러한 구조는 수조에 담긴 물의 수심 대부분의 영역에 대하여 가동취수관(120) 주위로 식물 플랑크톤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플랑크톤의 농축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is structure blocks the introduction of phytoplankton into the vicinity of th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농축 장치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수조(100) 및 배수관(110)을 구비하되, 가동취수관(120)의 상부에 넓은 깔때기 형태의 취수부재(320)가 구비되고, 이 취수부재(320)에 상하로 연통된 다수의 취수공(321)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취수부재(320)의 저면에 상기 취수공(321)을 통한 플랑크톤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350)가 설치된다. 5 and 6 show a fourth embodiment of the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이러한 경우, 부유체(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취수부재(32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취수부재(320)의 저면이나 외주부에 부유체(330)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취수부재(320) 자체가 중공체 또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져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수단이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전술한 제4실시예의 플랑크톤 농축장치는 부력에 의해 취수부재(320)가 물의 표층 부분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취수부재(320)의 가급적 많은 부분이 물과 접하여 보다 넓은 영역에 구비된 취수공(321)을 통해 물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유체(330)의 부력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140)를 개방하면, 취수공(321)을 통해 수조(100)의 물이 취수부재(320)의 상부로 유입되고, 경사진 취수부재(320)의 상면을 따라 중앙측으로 흘러 가동취수관(120)으로 유입된 후 배수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취수부재(320) 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다른 취수공(321)을 지나지 않도록 반경 방향의 동일 직선 상에 둘 이상의 취수공(321)이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방식으로 시험수의 플랑크톤 농축이 이루어지며, 필터(350)에 의해 플랑크톤이 여과되어 농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plankton thickening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intains the state wher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수조
110 : 배수관
111 : 배수부
112 : 연결부
120 : 가동취수관
121, 321 : 취수공
130, 330 : 부유체
140 : 밸브
150, 250, 350 : 필터
320 : 취수부재100: water tank
110: Water pipe
111:
112:
120: Operation intake pipe
121, 321:
130, 330: float
140: Valve
150, 250, 350: filter
320:
Claims (8)
상기 수조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외부로 연장된 배수부가 구비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수조 외측 배수부에 구비된 개폐수단;
상기 배수관의 연결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수조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취수공이 구비된 가동취수관; 및
상기 가동취수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취수공이 물의 상층부에 위치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취수공은 상기 수조 내의 상층부 물과 접하도록 상기 부유수단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취수공의 외부에 식물 플랑크톤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
A water tank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storing water containing plankton therein;
A drain pip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d having a connection portion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one side and a drain portion extending outward at the other side;
Opening / closing means provided in a drainage outside portion of the water tub;
A movable water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e pip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having a water intake hole for allowing water in the water tank to flow therein; And
And a float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intake pipe to provide buoyancy such that the water intake hole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Wherein the water intake hol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means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water i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and a filter for blocking inflow of phytoplankton is provided outside the water intake hole.
상기 취수공은 가동취수관의 상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통 형성되고, 상기 취수공의 외부에 식물 플랑크톤의 유입을 차단하는 환형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ntake hole is formed communicating with an upper end portion of the movable intake water pipe in a radial direction, and an annular filter is installed outside of the water intake hole to block inflow of phytoplankton.
상기 가동취수관의 주위를 감싸 식물 플랑크톤의 유입을 차단하는 원통형의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ylindrical filter for enclosing the periphery of the movable intake pipe and for blocking inflow of phytoplankton is installed.
상기 원통형 필터는 상단부가 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ylindrical filter is installed such that its upper end is located higher than the water surface.
상기 가동취수관의 상부에 넓은 깔때기 형태의 취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취수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연통된 다수의 취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arge funnel-shaped intake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intake pipe, and a plurality of intake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member in the up-and-down direction are formed.
상기 취수부재의 하부에 상기 취수공을 통한 플랑크톤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a filter for blocking inflow of plankton through the water intake hol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intake member.
상기 부유수단은 상기 취수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중공체 또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플랑크톤 농축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loating means comprises a hollow body or a foamed resin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ter intake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751A KR101818446B1 (en) | 2017-08-28 | 2017-08-28 | Apparatus for concentrating phytoplankt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751A KR101818446B1 (en) | 2017-08-28 | 2017-08-28 | Apparatus for concentrating phytoplankt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8446B1 true KR101818446B1 (en) | 2018-01-16 |
Family
ID=6106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8751A Active KR101818446B1 (en) | 2017-08-28 | 2017-08-28 | Apparatus for concentrating phytoplankt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844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85791A (en) * | 2019-10-23 | 2019-12-20 | 苏州圣敏天立生物科技有限公司 | Filter equipment is used in microorganism collection |
CN117147204A (en) * | 2023-09-07 | 2023-12-01 |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 Phytoplankton test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6430B1 (en) * | 1999-11-01 | 2003-11-19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Density concentrating device for examining the aquatic microalgae |
-
2017
- 2017-08-28 KR KR1020170108751A patent/KR10181844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6430B1 (en) * | 1999-11-01 | 2003-11-19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Density concentrating device for examining the aquatic microalga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85791A (en) * | 2019-10-23 | 2019-12-20 | 苏州圣敏天立生物科技有限公司 | Filter equipment is used in microorganism collection |
CN117147204A (en) * | 2023-09-07 | 2023-12-01 |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 Phytoplankton test device |
CN117147204B (en) * | 2023-09-07 | 2024-02-20 |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 Phytoplankton tes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5528306U (en) | Float water processing system that 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this equipment of application are synthesized to formula | |
US2013013325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in Liquids | |
US874816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pulse flow circulation for algae cultivation | |
CN108455726B (en) | Double-circulation anaerobic reactor | |
CN203152265U (en) | Culture water circulating and purifying device | |
CN207219825U (en) | The New aquarium for improving filter effect based on water circulation system | |
DK180233B1 (en) | Installation and method for farming of fish | |
CN105400688B (en) | A kind of marine microorganism in-situ enrichment device | |
CN109220965B (en) | Circulating water culture container and culture system | |
KR101818446B1 (en) | Apparatus for concentrating phytoplankton | |
KR20180137284A (en) | Apparatus for removing of floating material | |
US20100031561A1 (en) | Raceways for Cultivating Algae | |
CN210620371U (en) | Potential energy biological sewage purifier | |
CN107428576A (en) | Moving-bed bioreactor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 |
CN209861987U (en) | Circulating water culture container and culture system | |
CN207219827U (en) | The New aquarium with oxygen-increasing device based on water circulation system | |
CN110250088B (en) | A dual-channel inflow system with variable flow rate circulation and effective sewage discharge at the bottom of the pool | |
CN108014643A (en) | A kind of salt algae solution immersion ultrafiltration system and salt algae solution method for concentration | |
CN102960295A (en) | Process flow of water circulation of culture pond | |
KR101317854B1 (en) | Plankton cultureing apparatus to control water bloom for culturing natural enemy | |
CN206843183U (en) | ABR anaerobic ponds for biological sewage processing | |
CN213848268U (en) | Industrial aquaculture microcirculation culture system | |
CN210620372U (en) | Modified potential energy reoxygenation biological rotating disk | |
CN109098159B (en) | A simple and efficient device for salvaging cyanobacteria colonies in culture ponds | |
CN203467435U (en) | Aquiculture pond with rotational flow blowdow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9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109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09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