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7513B1 -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513B1
KR101817513B1 KR1020150083463A KR20150083463A KR101817513B1 KR 101817513 B1 KR101817513 B1 KR 101817513B1 KR 1020150083463 A KR1020150083463 A KR 1020150083463A KR 20150083463 A KR20150083463 A KR 20150083463A KR 101817513 B1 KR101817513 B1 KR 101817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elargonic acid
natural
plant
powdery milde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338A (ko
Inventor
배순도
박지웅
김현주
윤영남
이영훈
강항원
박인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08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51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5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C05G3/0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곰팡이병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성분인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농약 제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 곰팡이병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애호박 흰가루병, 팥 흰가루병, 참깨 흰가루병, 딸기 잿빛곰팡이병 및 토마토 잎곰팡이병에도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며,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성분을 포함하여 부작용이 없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식물 곰팡이병의 방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plant fungal diseases}
본 발명은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향유와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 살균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농약 제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 곰팡이병의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 곰팡이병은 농작물뿐만 아니라 나무 등에도 잘 발생하며, 잡초에서도 흔히 나타난다. 대부분의 곰팡이는 균사체를 형성하고, 다시 성장하여 포자를 형성하며, 기주식물의 일부분 또는 식물 전체 조직의 괴저, 괴사 또는 이상분열 등을 일으킨다. 병에 걸린 식물은 잎 점무늬, 마름증상, 궤양, 가지마름, 뿌리썩음 등의 병징을 나타내며, 잎이나 줄기가 시들게 되고, 열매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화학 농약의 지나친 사용은 토양 오염 및 수질 오염을 악화시키고, 토양 미생물과 천적의 감소로 인한 생태계의 교란 등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주된 원인이다. 내성이 생긴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더 많은 농약을 사용하거나 독성이 더 강한 농약을 사용하게 되어 환경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하고, 농작물에 잔류한 농약은 인체에 치명적인 위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화학 살균제 펜티오피라드, 펜트라자마이드 등은 번식독성, 기형독성, 발암성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화학 농약의 대체물로서 저독성 또는 무독성의 천연 물질을 이용한 농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팥, 참깨 등의 재배시 발생하는 흰가루병에 대하여서도 다수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64335호에는 이질풀 및 로즈제라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식물 흰가루병을 방제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91741호에는 크리소파놀, 에모딘, 베르베린, 카데킨을 혼합한 조성물이 식물 흰가루병을 방제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성분으로 식물 곰팡이병을 방제하는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에 불과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성분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성분을 포함하는,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식물 곰팡이병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환경문제 없이 우수한 식물 방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정향유와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농약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 곰팡이병의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화학 살균제의 환경문제 및 여러 부작용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향유가 방부제 등의 의약분야에 사용되는 점에 착안하여,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성분인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여 흰가루병이 발생한 애호박, 팥 또는 참깨,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한 딸기, 또는 잎곰팡이병이 발생한 토마토에 살포한 결과, 세 식물체 모두에서 곰팡이병에 대해 80% 이상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학 농약과 동일한 정도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조성물이 애호박, 팥, 참깨, 딸기 또는 토마토의 곰팡이병 발생을 크게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조성물은 지금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고,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개발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정향유와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정향유(clove oil)"란, 도금양과의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의 여러 부분(예를 들어, 잎, 싹, 뿌리, 줄기, 씨 등)으로부터 공지의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는 휘발성 기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향유는 정향나무의 잎과 씨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정향유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음식물에 직접 첨가되는 물질과 동등한 수준의 안전한 식품이기도 하다. 정향유는 여러 가지 활성 성분이 있는데, 3가지 중요한 유효성분으로는 유게놀, 이소유게놀 및 메틸유게놀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정향유는 구체적으로 50 내지 90 중량%의 유게놀, 0 내지 50 중량%의 이소유게놀 및 메틸유게놀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유용한 정향유에 포함된 다른 성분으로는 b-카리오필렌(0 내지 15 중량%), a-후물렌(0 내지 10 중량%), 유게놀 아세테이트(0 내지 10 중량%), 벤질벤조에이트(0 내지 2 중량%)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정향유 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이란, 탄소수 9개의 노르말 사슬 포화 지방산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천연 성분을 통한 살균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상기 펠라르곤산을 유채씨로부터 추출하였다. 일반적으로, 상기 펠라르곤산은 식품을 다루는 시설에서 위생 처리를 위한 식품 접촉면의 성분으로 사용한다. 미국 식품약품청(FDA)은 합성 식품 방향제(21 CFR 172.515), 또는 식품 접촉 물질의 용도, 과일 또는 채소의 알칼리 박피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제 및 살균제로서 펠라르곤산의 사용을 허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식물 곰팡이병(plant fungal diseases)"이란, 곰팡이에 의해 발병되는 식물병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또는 잎곰팡이병 등이 곰팡이에 의한 식물병에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식물 곰팡이 병원균은 분생포자의 형태로 공기를 통해 다른 식물체에 전염되며, 균사의 형태로 월동 또는 월하하여 이듬해 전염원으로 존재한다. 약 1 만종 이상의 곰팡이가 식물병을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에리시페속(Erysiphe), 미크로스파이라속(Microsphaera), 포도스파이라속(Podosphaera), 필라크티니아속(Phillactinia), 스파이로테카속(Sphaerotheca), 웅키눌라속(Uncinula)에 속하는 병원균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곰팡이병이 발병되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 살균 조성물의 처리대상이 되는 식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서, 밀, 보리, 팥, 콩 등의 곡류 또는 파프리카, 가지, 오이, 양파, 박, 멜론, 수박, 토마토, 참외, 호박 등의 채소류 또는 딸기, 포도, 사과, 배, 블루베리 등의 과실류 또는 장미, 국화, 베고니아, 라일락 등의 화훼류 또는 단풍, 뿔남천, 구기자 등의 수목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방제(control)"란, 작물 등의 식물을 병해충 피해로부터의 예방, 발생한 병원체의 제거 또는 병원체의 파급을 저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병해충에 독성이 있는 살균제 또는 살충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뿐만 아니라 저항성 식물의 재배, 돌려짓기 등을 이용하여 병원체에 대해 부적절한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 식물체를 열처리하거나 토양을 증기 처리하여 병원체를 제거하는 방법, 유인물질이나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여 포살하는 방법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용어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이란, 상기 정향유와 펠라르곤산을 포함하여 곰팡이병의 발병을 예방하거나, 발병된 곰팡이병을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정향유와 펠라르곤산의 함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서 3:1 내지 5:1(w/w)이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4:1(w/w)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정향유와 펠라르곤산은 차가운 물에서는 불용이며, 정향유는 오일상을 형성하고, 펠라르곤산 또한 오일상을 형성하므로, 이들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정향유와 펠라르곤산의 혼합 및 분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데,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서 상기 조성물의 최종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정향유와 펠라르곤산의 혼합 및 분산도가 저하되어 결과적으로는 방제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면 유효성분인 정향유와 펠라르곤산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저하되어 방제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서, 친수성기와 소수성기의 분산을 향상시킬 수 있는 Tween-20(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40(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60(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80(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oeate) 또는 4급암모늄염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보조계면활성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등의 고분자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와 보조계면활성제의 혼합비는 3:1 내지 4:1(w/w)이 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계면활성제를 정향유 및/또는 펠라르곤산과 20 내지 60℃의 온도에서 가열 혼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용매로서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5 내지 40 중량%, 구체적으로 10 내지 20 중량%와 혼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계면활성제 Tween- 20와 혼합하여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정향유 단독 또는 펠라르곤산 단독을 계면활성제과 혼합하여 정향유 단독 또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상기 제조한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흰가루병이 발생한 애호박에 살포한 결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학 농약인 비터타놀 25WP를 살포했을 때와 동일한 정도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정향유 단독 또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및 표 1).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흰가루병이 발생한 팥에 살포한 결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학 농약인 펜티오피라드 20EC와 동일한 정도의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및 표 2).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흰가루병이 발생한 참깨에 살포한 결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학 농약인 펜티오피라드 20EC와 동일한 정도의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및 표 3).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한 딸기에 살포한 결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학 농약인 카벤다짐 60WP와 동일한 정도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정향유 단독 또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및 표 4).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잎곰팡이병이 발생한 토마토에 살포한 결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학 농약인 프로피네브 70WP와 동일한 정도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정향유 단독 또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및 표 5).
본 발명의 방제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살충제 또는 살균제에 함유되는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성분 이외에 부형제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고체 담체, 액체 담체, 액체 희석제, 액화된 기체 희석제, 고체 희석제 또는 기타 보조제 예를 들어 유화제, 분산제 또는 기포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용 조성물은 활성성분과 상기 부형제를 혼합하여 농업용 조성물로 제제화시켜 사용할 수 있고, 농업용 조성물로 제제화하는 방법으로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제용 조성물은 수화제, 입제, 분제, 유제, 스프레이상, 연막제, 캅셀형 및 젤상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조성물의 부력을 위해 도넛형과 같은 제형의 접촉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농약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농약"이란, 농작물의 보호와 생장에 사용되는 약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농작물의 재배, 저장 중 발생하는 병, 해충, 잡초, 병균, 선충, 응애 등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하기 위한 제제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 또는 억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생장조절제, 약효를 증진시키는 보조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비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비료"란 거름이라고도 불리며, 토지를 기름지게 하고 초목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영양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는 파종 전 토양과 혼화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농약 등의 살포시 함께 시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성분을 포함하는 친환경적인 조성물로서, 사람이나 가축 및 토양에 무해하므로 화학비료보다 안전하게 병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료를 사용할 수 있는 작물로는 식물 곰팡이병이 발병되는 식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 곰팡이병이 발병된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곰팡이병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방법은 식물 곰팡이병을 치료, 완화 또는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 곰팡이병이 발병된 작물에 살포하여 직접 접촉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작물이 재배되는 토양에 혼화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용 조성물은 우수한 식물 곰팡이병 방제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성분을 포함하여, 부작용이 없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식물 곰팡이병의 방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애호박 흰가루병에 대한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는 무처리, b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c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 d는 화학농약 프로피네브 70WP, e는 정향유 단독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f는 정향유 단독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 g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및 h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을 흰가루병이 발병한 애호박에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팥 흰가루병에 대한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는 상기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처리 전, b는 처리 후, 및 c는 무처리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참깨 흰가루병에 대한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는 상기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처리 전, b는 처리 후, 및 c는 무처리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딸기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는 무처리, b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c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 d는 화학농약 프로피네브 70WP, e는 정향유 단독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f는 정향유 단독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 g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및 h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을 잿빛곰팡이병이 발병한 딸기에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토마토 잎곰팡이병에 대한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는 무처리, b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c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 d는 화학농약 프로피네브 70WP, e는 정향유 단독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f는 정향유 단독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 g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및 h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을 잎곰팡이병이 발병한 토마토에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정향유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조성물 및 희석용액의 제조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40 중량%의 정향유, 10 중량%의 펠라르곤산 및 50 중량%의 계면활성제 Tween-20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1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또한, 정향유 단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40 중량%의 정향유 및 60 중량%의 계면활성제 Tween-20를 반응기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였고,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10 중량%의 펠라르곤산 및 90 중량%의 계면활성제 Tween-20를 반응기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여 천연 살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울러, 상기 제조된 살균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여 500배 및 1,000배의 희석용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정향유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조성물의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 분석
실시예 2-1. 시설애호박에 대한 흰가루병 방제 효과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시설애호박(새론)에 대한 흰가루병 방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천연 살균 조성물을 경남 진주시 집현면 봉강리의 시설애호박(새론)에 살포하여 방제가를 계산하였다.
먼저, 2015년 2월 20일부터 3월 3일까지 흰가루병이 발생하는 초기에 7일 간격으로 상기 천연 살균 조성물을 3회 살포하였다. 약제 살포 후, 15일째에 각 조성물을 살포한 시설애호박의 잎을 확인하고(도 1), 처리구별 5주씩 총 15엽의 병반면적율을 발병이 전혀 없는 경우 0, 발병이 적은 경우 1, 보통인 경우 2, 많은 경우 3, 심각한 정도로 발병율이 높은 경우 4의 발병지수로 조사하여, 하기식에 의해 구한 방제가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화학농약(비터타놀 25WP)을 1,000배로 희석한 것을 살포한 시설애호박(새론)을 사용하였다.
발병도(%)=Σ(발병수×계수)/4N×100
시설애호박 흰가루병에 대한 처리자재별 방제효과
처리자재 희석배수 발병도(%) 평균 유의차
DMRT 5%
방제가
(%)
1r 2r 3r
정향유(40%)+
펠라르곤산(10%)
500X 2.2 2.5 3.2 2.6 g 88.4
1,000X 4.1 3.8 3.6 3.8 f 83.0
정향유(40%) 500X 5.8 6.4 6.8 6.3 e 71.9
1,000X 9.8 11.2 11.1 10.7 c 52.2
펠라르곤산
(10%)
500X 7.4 8.6 7.8 7.9 d 64.7
1,000X 14.2 13.6 14.0 13.9 b 37.9
비터타놀 25WP 1,000X 2.4 2.5 2.4 2.4 g 89.2
무처리 - 19.1 25.3 22.9 22.4 a -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각 처리자재를 1,000배로 희석하여 살포했을 때,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혼합 천연 살균 조성물은 83.0%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정향유 단독(52.2%) 또는 펠라르곤산 단독(37.9%)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처리자재를 500배로 희석하여 살포했을 때에도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혼합 천연 살균 조성물이 단독 조성물보다 더 높은 방제가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혼합 천연 살균 조성물은 대조약제로 사용한 화학농약 비터타놀 25WP과 비슷한 정도의 방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도 1은 애호박 흰가루병에 대한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는 무처리, b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c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 d는 화학농약 프로피네브 70WP, e는 정향유 단독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f는 정향유 단독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 g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및 h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을 흰가루병이 발병한 애호박에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듯이, 정향유 단독(도 1의 e 및 f) 또는 펠라르곤산 단독(도 1의 g 및 h) 조성물에 비하여,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살포했을 때(도 1의 b 및 c), 흰가루병의 발병이 크게 억제되고 방제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덧붙여, 천연 살균 조성물을 살포하지 않고 방치했을 때, 애호박 잎의 전반에 걸쳐 흰가루병의 피해가 관찰되었다(도 1의 a).
실시예 2-2. 노지재배 팥(홍언)에 대한 흰가루병 방제 효과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노지재배 팥(홍언)에 대한 흰가루병 방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천연 살균 조성물을 2014년 국립식량과학원 밀양의 노지재배 팥(홍언)에 살포하여 방제가를 계산하였다.
먼저, 흰가루병이 발생하는 초기에 7일 간격으로 2회(8월 29일, 9월 5일) 살포하고, 처리구당 30주에서, 주당 최상위 가지 2개를 제외하고, 주당 5가지의 총 15엽의 병반면적율을 확인하고(도 3),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병지수로 환산하여 방제가를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살충제인 펜티오피라드 20EC를 각각 2,000배 및 4,000배로 희석하여 노지재배 팥(홍언)에 살포한 것을 사용하였다.
노지 팥 흰가루병에 대한 처리자재별 방제효과
처리자재 희석배수 발병도(%) 평균 유의차
(DMRT 5%)
방제가
(%)
1r 2r 3r
정향유(40%)+
펠라르곤산(10%)
500 6.5 5.9 6.3 6.2 d 83.1
1,000 7.3 6.9 6.9 7.0 c 80.9
펜티오피라드
20EC
2,000 5.5 5.6 5.9 5.7 d 84.5
4,000 8.8 9.1 9.1 9.0 b 75.5
무처리 - 37.6 36.7 35.9 36.7 a -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팥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시험 결과에서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은 500배 희석용액 및 1,000배 희석용액 모두 8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펜티오피라드 20EC의 희석용액을 각각 2,000배 및 4,000배로 희석하여 살포했을 때와 동일한 정도의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도 2는 팥 흰가루병에 대한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는 상기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처리 전, b는 처리 후, 및 c는 무처리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듯이, 팥 흰가루병에 대해 본 발명의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살포했을 때, 살포 전(도 2의 a)에 비하여 살포 후(도 2의 b)에 흰가루병의 발생이 크게 억제되고 방제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살포하지 않고 방치했을 때, 팥 식물체 전반에 걸쳐 흰가루병의 확산 피해가 관찰되었다(도 2의 c).
실시예 2-3. 시설하우스 재배 참깨(평안)에 대한 흰가루병 방제 효과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시설하우스재배 참깨(평안)에 대한 흰가루병 방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천연 살균 조성물을 2014년 국립식량과학원 밀양의 시설하우스 재배 평안 참깨에 살포하여 방제가를 계산하였다.
먼저, 흰가루병 발생 초기에 7일 간격으로 2회(8월 29일, 9월 5일) 살포하고, 세 차례 실시하였다. 상기 천연 살균 조성물의 살포 후, 처리구당 30주에서, 주당 상위 5 마디 아래로부터 10잎에 대한 흰가루병 병반면적율을을 확인하고(도 3),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병지수로 환산하여 방제가를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펜티오피라드 20EC를 각각 희석하여 살포한 시설하우스재배 참깨(평안)를 사용하였다.
시설 참깨 흰가루병에 대한 처리자재의 방제효과
처리자재 희석배수 발병도(%) 평균 유의차
(DMRT 5%)
방제가
(%)
1r 2r 3r
정향유(40%)+
펠라르곤산(10%)
500 12.2 13.1 13.3 12.9 d 85.4
1,000 15.4 15.5 16.0 15.6 c 82.4
펜티오피라드
20EC
2,000 10.8 11.4 11.5 11.2 e 87.3
4,000 20.3 20.3 20.1 20.3 b 77.0
무처리 - 88.1 88.8 88.3 88.4 a -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상기 혼합 조성물의 참깨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시험 결과에서, 상기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은 500배 희석용액 및 1,000배 희석용액 모두 8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펜티오피라드 20EC의 희석용액을 각각 2,000배 및 4,000배로 희석하여 살포했을 때와 동일한 정도의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도 3은 참깨 흰가루병에 대한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는 상기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처리 전, b는 처리 후, 및 c는 무처리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보듯이, 참깨 흰가루병에 대해 본 발명의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살포했을 때, 살포 전(도 3의 a)에 비하여 살포 후(도 3의 b)에 흰가루병의 발병이 크게 억제되고, 방제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덧붙여,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살포하지 않고 방치했을 때, 참깨 식물체 전반에 걸쳐 흰가루병의 확산 피해가 관찰되었다(도 3의 c).
실시예 3. 정향유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조성물의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방제 효과 분석
실시예 3-1. 시설딸기(설향)에 대한 잿빛곰팡이병 방제 효과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시설딸기(설향)에 대한 잿빛곰팡이병 방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천연 살균 조성물을 경남 진주시 명석면 관지리의 시설딸기(설향)에 살포하여 방제가를 계산하였다.
먼저, 2015년 1월 13일부터 2월 26일까지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는 초기에 7일 간격으로 상기 천연 살균 조성물을 3회 살포하였다(도 4). 약제 살포 후, 15일째에 처리구별 30주의 주당 발병꽃눈과 과실의 수를 조사하여 천연 살균 조성물의 방제가를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설딸기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처리자재별 방제효과
처리자재 희석배수 발병과수(No.) 평균 유의차
DMRT 5%
방제가
(%)
1r 2r 3r
정향유(40%)+
펠라르곤산(10%)
500X 6 6 7 6.3 f 88.3
1,000X 11 9 10 10.0 e 81.5
정향유(40%) 500X 14 12 12 12.7 e 76.5
1,000X 20 24 21 21.7 c 59.8
펠라르곤산
(10%)
500X 16 18 14 16.0 d 70.4
1,000X 25 28 26 26.3 b 51.3
카벤다짐 60WP 1,000X 7 5 9 7.0 f 87.0
무처리 - 58 49 55 54.0 a -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딸기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방제시험 결과에서 각 처리자재를 1,000배로 희석하여 살포했을 때,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은 88.0%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정향유 단독(59.8%) 또는 펠라르곤산 단독(51.3%)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처리자재를 500배로 희석하여 살포했을 때에도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이 단독 조성물보다 더 높은 방제가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은 대조약제로 사용한 화학농약 카벤다짐 60WP과 비슷한 정도의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도 4는 딸기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는 무처리, b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c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 d는 화학농약 프로피네브 70WP, e는 정향유 단독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f는 정향유 단독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 g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및 h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을 잿빛곰팡이병이 발병한 딸기에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보듯이, 정향유 단독(도 4의 e 및 f) 또는 펠라르곤산 단독(도 4의 g 및 h)에 비하여,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살포했을 때(도 4의 b 및 c),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이 크게 억제되고 방제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덧붙여, 천연 살균 조성물을 살포하지 않고 방치했을 때, 딸기 꽃눈 및 과실의 전반에 걸쳐 흰가루병의 피해가 관찰되었다(도 4의 a).
실시예 4. 정향유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조성물의 잎곰팡이병에 대한 방제 효과 분석
실시예 4-1. 시설토마토(슈퍼썬로드)에 대한 잎곰팡이병 방제 효과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시설토마토(슈퍼썬로드)에 대한 잎곰팡이병 방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천연 살균 조성물을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의 시설토마토(슈퍼썬로드)에 살포하여 방제가를 계산하였다.
먼저, 2015년 2월 21일부터 4월 1일까지 잎곰팡이병이 발생하는 초기에 7일 간격으로 상기 천연 살균 조성물을 3회 살포하였다(도 5). 처리구별 5주씩 15엽의 병반면적율을을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병지수로 환산하여 방제가를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설완숙토마토 잎곰팡이병에 대한 처리자재별 방제효과
처리자재 희석배수 발병도(%) 평균 유의차
DMRT 5%
방제가
(%)
1r 2r 3r
정향유(40%)+
펠라르곤산(10%)
500X 7.1 7.8 7.6 7.5 d 85.1
1,000X 9.5 9.8 9.3 9.5 d 81.1
정향유(40%) 500X 10.6 10.9 9.8 10.4 c 79.3
1,000X 14.2 13.6 15.4 14.4 b 71.3
펠라르곤산
(10%)
500X 10.4 12.1 12.4 11.6 c 76.9
1,000X 16.8 15.2 16.1 16.0 b 68.1
프로피네브 70WP 500X 8.9 9.3 9.1 9.1 d 81.8
무처리 - 43.6 48.3 58.7 50.2 a -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토마토 잎곰팡이병에 대한 방제시험 결과에서 각 처리자재를 1,000배로 희석하여 살포했을 때,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은 81.1%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정향유 단독(71.3%) 또는 펠라르곤산 단독(68.1%)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처리자재를 500배로 희석하여 살포했을 때에도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이 단독 조성물보다 더 높은 방제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은 대조약제로 사용한 화학농약 프로피네브 70WP과 비슷한 정도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아울러, 도 5는 토마토 잎곰팡이병에 대한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의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는 무처리, b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c는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 d는 화학농약 프로피네브 70WP, e는 정향유 단독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f는 정향유 단독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 g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 및 h는 펠라르곤산 단독 조성물의 1,000배 희석액을 잎곰팡이병이 발병한 토마토에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에서 보듯이, 정향유 단독(도 5의 e 및 f) 또는 펠라르곤산 단독(도 5의 g 및 h)에 비하여,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천연 살균 혼합 조성물을 살포했을 때(도 5의 b 및 c),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이 크게 억제되고 방제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덧붙여, 천연 살균 조성물을 살포하지 않고 방치했을 때, 토마토 식물체 전반에 걸쳐 잿빛곰팡이병의 확산 피해가 관찰되었다(도 5의 a).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정향유 및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을 포함하는,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및 잎곰팡이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 살균 조성물로서,
    상기 정향유와 펠라르곤산의 함량비는 3:1 내지 5:1(w/w)인 것인, 천연 살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향유는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로부터 유래된 휘발성 기름인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라르곤산은 유채씨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인 것인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살균 조성물은 곡류, 채소류, 과실류, 화훼류 및 수목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식물 곰팡이병을 방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및 잎곰팡이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농약 제제.
  9. 삭제
  10.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및 잎곰팡이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비료.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및 잎곰팡이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식물 곰팡이병이 발병된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곰팡이병의 방제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곡류, 채소류, 과실류, 화훼류 및 수목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방제 방법.
KR1020150083463A 2015-06-12 2015-06-12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Active KR101817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463A KR101817513B1 (ko) 2015-06-12 2015-06-12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463A KR101817513B1 (ko) 2015-06-12 2015-06-12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338A KR20160146338A (ko) 2016-12-21
KR101817513B1 true KR101817513B1 (ko) 2018-01-11

Family

ID=5773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463A Active KR101817513B1 (ko) 2015-06-12 2015-06-12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88474A1 (it) * 2017-08-02 2019-02-02 Novamont Spa Composizioni erbicide a base di acido pelargonic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6477B1 (en) 1991-05-01 1997-08-06 Mycogen Corporation Fatty acid based compositions for the control of established plant infections
US20120128648A1 (en) * 2009-07-28 2012-05-24 The Energy And Resources Institute (Teri) Novel Biopesticide Compositions And Method For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6477B1 (en) 1991-05-01 1997-08-06 Mycogen Corporation Fatty acid based compositions for the control of established plant infections
US20120128648A1 (en) * 2009-07-28 2012-05-24 The Energy And Resources Institute (Teri) Novel Biopesticide Compositions And Method For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338A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3671C (en) Aqueous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pests, said compositions comprising thymol, a surfactant, and a solvent
JP2022524676A (ja) 抗菌性ナノエマルション
EP2667720B1 (en) Pes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sulphur, a fungicide and an agrochemical excipient
CN107079926A (zh) 包含加强抗真菌活性的精油的控制植物病害的组合物
US7956092B2 (en) Non-toxic insecticide
CN104604938A (zh) 一种杀菌剂组合物及其用途
CN109805017B (zh) 一种杀真菌组合物及其应用
AU201630457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increase plant yield
EP3646730A1 (en) Miticide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101817513B1 (ko)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KR20190064995A (ko)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즙성 해충 제거 제품
US20220030881A1 (en) Broad-Spectrum Organic Fungicide & Bactericide
CN115243546B (zh) 植物的杀菌方法
CN102863297B (zh) 有机肥及其制备方法和一种防治土传病虫害的方法
JP2022537465A (ja) 相乗的殺菌組成物
KR102737419B1 (ko) 농업해충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2863296B (zh) 有机肥及其制备方法和一种防治土传病虫害的方法
JP2013544869A (ja) 殺虫剤用のアジュバント
KR20090059729A (ko) 식물정유를 포함하는 잡초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잡초 방제 방법
JP2009019011A (ja) うどんこ病防除剤及び防除方法
KR20250095396A (ko) 해바라기 종자 유래 레시틴을 이용한 방제제 조성물
WO2025033341A1 (ja) 土壌病害抑制剤
KR20220099797A (ko) 제충국, 배초향, 및 윈터그린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닭진드기용 살비제 조성물
CN116473113A (zh) 一种块茎作物抑芽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10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05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