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759B1 - A Control Method of Timber Drying Process using Microwave - Google Patents
A Control Method of Timber Drying Process using Microwa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6759B1 KR101816759B1 KR1020150108907A KR20150108907A KR101816759B1 KR 101816759 B1 KR101816759 B1 KR 101816759B1 KR 1020150108907 A KR1020150108907 A KR 1020150108907A KR 20150108907 A KR20150108907 A KR 20150108907A KR 101816759 B1 KR101816759 B1 KR 1018167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od
- drying
- moisture content
- microwave
- water vap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492 Querc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3—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by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mechanical waves
- B27K5/0055—Radio-waves, e.g. microwa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4—Combined bleaching or impregnating and drying of woo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의 초기 함수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 함수율에 따른 제1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목재를 제1건조하는 단계; 상기 제1건조된 목재의 건조중 함수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중 함수율에 따른 제2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목재를 제2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응축부를 통해,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수증기의 함량을 산출하여, 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목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적정한 마이크로파 건조조건을 적용하여, 목재의 과도한 건조 또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wood comprising: measuring an initial moisture content of wood; Irradiating the first microwave according to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to dry the wood first;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during drying of the first dried wood; And a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wood by irradiating a second microwave according to a moisture content of the drying 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wood drying process using a microwav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wood can be measured and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wood can be measured. Therefore, excessive drying or overheating of the wood can be prevented by applying suitable microwave dry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dried state of the wood.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적정한 마이크로파 건조조건을 적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wood drying process using a microwa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wood drying process using a microwave that can apply appropriate microwave dry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drying state of the wood.
일반적으로 목재는 건조 중량 대비 약 80%의 함수량을 가진다. 가구와 같은 목재 생산품을 만드는데 목재가 사용된다면, 목재는 완전 건조되어야 한다.Typically, the wood has a moisture content of about 80% by dry weight. If wood is used to make wood products such as furniture, the wood must be completely dried.
목재를 건조시키는 방법은 자연건조방법과 강제건조방법이 있고, 자연건조방법은 절단된 목재를 쌓아 올려서 몇년 동안 공기중에 방치시킴으로써 목재를 건조시키는 것이고, 강제건조방법은 건조로를 사용해 몇 주 만에 목재를 건조시키는 것이다.Natural drying methods include natural drying methods and natural drying methods in which timber is piled up and left in the air for several years to dry the wood. The forced drying method uses a drying furnace to dry the wood in a few weeks Is dried.
이러한 방법은 공기라는 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다시 피건조물의 표면부터 열을 전달시키는 대류전도방식으로 건조시키므로 표면가열 및 고온공기의 유출에 의한 에너지의 낭비가 수반된다.This method involves heating the medium of air and drying the heated air by a convection conduction method that transfers heat from the surface of the dried object again, which is accompanied by waste of energy due to surface heating and outflow of hot air.
또한, 이러한 열풍건조장치에 의해 목재를 건조할 경우 목재의 특성상 목재표면이 갈라지거나, 열전달의 차로 인해 목재의 외부와 내부의 건조상태에 차이가 발생한다.Further, when the wood is dried by the hot air drying apparatus, the surface of the wood is crack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 or the difference in the drying state betwee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wood occurs due to heat transfer.
더욱이, 건조대상 목재의 두께 또는 직경이 증대되면 될수록 건조가 어렵고 건조중 심한 건조결함이 발생되어 수율이 낮아진다. 수분이 포함된 미성숙재는 원초적으로 기계적 특성이 매우 열악하여 건조중 발생되는 건조응력에 의하여 쉽게 파괴되는 문제가 있으며, 목재의 내부까지 완전하게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장시간 동안 열풍에 의해 건조할 경우 목재의 외부 변형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목재의 외부가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낮은 온도로 열풍을 송풍할 경우 건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처리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as the thickness or diameter of the wood to be dried increases, the drying becomes more difficult and the drying yield is lowered due to the occurrence of dry defects during drying. Immature materials containing moisture are inherently poor in mechanical properties and are easily broken by dry stress generated during drying. In order to completely dry the interior of wood, if it is dried by hot air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hot wind is blown at a low temperature that the outer side of the wood is not damaged, the drying takes a lot of time and the processing ability is significantly deteriorated.
그리고, 건조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며, 가열온도의 제어도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건조공정을 자동화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it takes a lot of energy to dry and the control of the heating temperature is not easy,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automating the drying proces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방법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rying method using a microwave has been developed.
마그네트론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파를 방사하여 마이크로파가 목재의 중심부에서 투입되면서 파장과 복사열로서 목재내의 수분분자를 유전가열의 원리로 증발시키는 방법이다.The microwave is radiated by the magnetron, and the microwave is injected from the center of the wood, and the moisture and radiant heat evaporate water molecules in the wood by the principle of dielectric heating.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방법는 연속식과 단속식으로 나눌 수 있다.Wood drying methods using microwaves can be divided into continuous and intermittent.
연속식의 경우 목재가 일정 속도로 이동되므로 마이크로파 발생장치인 마그네트론이 연속적으로 가동되어 목재에 마이크로파가 고르게 분산 투입될 수 있다.In the continuous type, since the wood is moved at a constant speed, the magnetron, which is a microwave generating device, is continuously operated, and the microwave can be dispersed evenly into the wood.
그러나, 목재 원목과 같이 많은 양의 수분을 장시간에 걸쳐 제거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연속식으로의 설계가 불가능하다. 즉, 이송장치의 길이가 매우 길어져야 하고 이송속도 역시 최소화되어야만 하나 현실적으로는 이와 같은 설계의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단속식으로의 설계가 이루어져야만 한다.However, if a large amount of moisture, such as timber, must be remov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impossible to design it continuously. That is, the length of the conveying device must be very long and the conveying speed should be minimized, but in reality, such a design is not applic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intermittent system.
그러나, 단속식으로 마이크로파 건조설비를 설계할 경우 건조 중 마이크로파의 집중현상에 따른 발화현상이 초래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고출력의 마그네트론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마이크로파 집중현상이 매우 강해져 목재의 변형이 나 파괴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f the microwave drying equipment is designed in the intermittent mod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microwave is concentrated during the drying process. Particularly, when a magnetron with a high output power is used alone, microwave concentration phenomenon becomes very strong, causing deformation or destruction of the wood.
즉, 마이크로파 건조(microwave drying)는 일반 열기건조(hot-air drying)와 달리 자체적인 유전가열을 유도하므로 건조속도가 신속하고 목재 내외부의 건조 불균형을 크게 줄일 수 있으나, 마이크로파 건조과정의 제어가 적절치 못한 경우에는 특정부위의 과열과 같은 runaway 현상이 발생되어 과도한 건조 또는 과열에 의한 화재의 발생까지 야기될 수 있다.In other words, microwave drying induces its own dielectric heating, unlike hot-air drying, so that the drying speed is quick and the drying imbalance inside and outside the wood can be greatly reduced. However, Failure to do so may cause a runaway phenomenon, such as overheating of a specific area, which can lead to excessive drying or fire due to overheating.
따라서,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목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적정한 마이크로파 건조조건을 적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도한 건조 또는 과열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it is necessary to apply appropriate microwave dry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dried state of the wood to prevent excessive drying or overheating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목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적정한 마이크로파 건조조건을 적용하여, 목재의 과도한 건조 또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wood drying process using a microwave capable of preventing excessive drying or overheating of a wood by applying appropriate microwave dry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drying state of the wood during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목재의 초기 함수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 함수율에 따른 제1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목재를 제1건조하는 단계; 상기 제1건조된 목재의 건조중 함수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중 함수율에 따른 제2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목재를 제2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suring an initial moisture content of a wood; Irradiating the first microwave according to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to dry the wood first;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during drying of the first dried wood; And a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wood by irradiating a second microwave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during dry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초기 함수율은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측정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wood drying process using a microwave, wherein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is measur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 수학식 (1) ... Equation (1)
(단, Mi는 초기 함수율(%db)이고, Wo는 전건중량(kg)이며, Wi는 목재의 초기 중량(kg)임.)(Where Mi is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 db), Wo is the total dry weight (kg) and Wi is the initial weight of the wood (k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Wo인 전건중량(kg)은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측정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wood drying process using a microwave, wherein the total dry weight (kg) of Wo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 수학식 (2) &Quot; (2) "
(단, Db는 건조 대상 목재의 기본밀도(㎏/㎥)이고, Vi는 전건체적(㎥)임.)(Where Db is the basic density (kg / m 3) of the wood to be dried and Vi is the volume of the dry mass (m 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중 함수율은 하기 수학식 (3)을 통해 측정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wood drying process using a microwave, wherein the water content during drying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 수학식 (3) ... (3)
(단, Mn는 건조중 함수율(%db)이고, Wo는 전건중량(kg)이며, Wi는 목재의 초기 중량(kg)이고, Wd는 응축수의 중량임.)(Where Mn is the moisture content during drying (% db), Wo is the total dry weight (kg), Wi is the initial weight of the wood (kg) and Wd is the weight of the condensate)
또한, 본 발명은 목재를 건조하기 위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목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목재를 건조하기 위한 복수개의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변화되는 상기 목재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온도센서; 및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od dry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omprising a main body for drying woo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wood; A plurality of magnetrons for drying the wood contained in the hous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gnetron;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wood being changed during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And a condenser for condensing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응축부는 상기 수증기를 수집하기 위한 수증기 수집부; 상기 수증기 수집부에 수집된 상기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에 응축된 응축수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응축수 중량측정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장치를 제공한다.The cond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vapo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water vapor;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water vapor collected in the water vapor collecting unit; And a condensate weighing devic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condense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응축부를 통해,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수증기의 함량을 산출하여, 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목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적정한 마이크로파 건조조건을 적용하여, 목재의 과도한 건조 또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wood can be measured by calculating the content of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through the condenser, By applying the conditions, excessive drying or overheating of the wood can be prevented.
또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기 위한 건조 조건을 결정함에 있어서, 건조 대상 목재의 투과성 지수를 고려함으로써, 목재의 특성에 따른 보다 정확한 목재의 건조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Further, in determining the drying conditions for irradiating the microwaves, by considering the permeability index of the wood to be dried, more accurate drying conditions of the woo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ood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ood drying process using micro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Quot;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 RTI ID = 0.0 >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And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n element and other elem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ing the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at the time of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ood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장치(100)는 목재를 건조하기 위한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icrowave-based
먼저, 상기 본체부(110)는 목재(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2) 및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목재를 건조하기 위한 복수개의 마그네트론(4); 상기 마그네트론(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를 포함한다.First, the
이때, 상기 하우징(2)은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발생하는 수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밀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using 2 may be configured to be hermetically sealed so that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drying wood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3)는 상기 마그네트론(4)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마그네트론(4)은 마이크로파를 방출함으로써, 상기 목재(1)를 건조할 수 있다.The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10)는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변화되는 상기 목재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온도센서(5) 및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부(6)를 포함한다.1, the
상기 온도센서(5)는 상기 목재(1)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상기 목재의 위치별 온도를 파악함으로써, 목재의 특정 위치에 과열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또한, 상기 응축부(6)는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수증기의 함량을 산출하여, 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즉, 상기 응축부에 응축된 수증기의 함량을 통해, 현재 건조가 진행되고 있는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The condensing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가 조사되고 있는 하우징의 내부 환경에는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In general, it is impossible to install a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in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housing to which microwaves are irradiat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 공정을 진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수증기의 전체 양을 응축시키고, 상기 응축된 수증기의 함량을 통해 현재 건조되고 있는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dense the total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while the microwave is irradiated to the drying process, and to measure the water content of the wood that is currently being dried through the condensed water vapor content.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을 밀폐형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건조 중에 수증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발생하는 수증기의 전체 양을 응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ousing 2 is configured to be hermetically sealed, the loss of water vapor during drying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total amount of generated water vapor can be condensed.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건조 중인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함으로써, 목재의 함수율에 따른 적정한 마이크로파를 조사함으로써, 목재의 과도한 건조 또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xcessive drying or overheating of the wood can be prevented by irradiat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of the wood by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wood under drying.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응축부(6)는 수증기를 수집하기 위한 수증기 수집부(미도시), 상기 수증기 수집부에 수집된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미도시) 및 상기 응축기에 응축된 응축수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응축수 중량측정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하우징을 냉각하기 위한 송풍부(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송풍부(7)는 목표함수율에 도달하여, 건조가 완료된 목재를 일정 온도까지 냉각시킬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송풍부(7)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를 통해, 송풍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송풍부(7)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20)는 목재의 종류와 규격을 입력하는 입력부(10); 상기 입력부(10)에 입력된 목재의 종류와 규격에 따라 건조조건을 결정하는 건조조건결정부(20); 상기 건조조건결정부의 조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제어부(30)를 포함한다.Next,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부(10)는 목재의 종류나 규격을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목재의 수종이나 규격, 초기함수율과 목표함수율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이런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0)는 입력된 신호를 건조조건결정부(20)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는 목재의 종류에 따른 마이크로파의 출력 적용 비율이 미리 입력되어 있어 상기 입력부(10)로부터 전달받은 목재의 특성에 따른 입력값에 따라 적정한 건조조건을 결정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이후,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는 단계별 건조조건을 결정하여 전원공급제어부(30)로 신호를 보내 상기 본체(2)에 설치된 전원공급부(3)의 ON/OFF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Then, the drying
즉,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는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본체(2)에 설치된 전원공급부(3)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상기 본체(2)의 내측에 설치된 마그네트론(4)에 전력을 보내 상기 마그네트론(4)이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ower
일반적으로 수종에 따라 함유된 수분에 차이로 그에 따른 건조속도나 건조시간도 틀리게 되므로 그에 맞는 안전건조속도가 필요하다.In general, depending on the species, the difference in moisture content causes the drying speed and the drying time to be different. Therefore, a safe drying speed is required.
예를 들어, 소나무의 경우 1%hr(1시간당 함수율 1% 저감) 수준인 반면 참나무의 경우 0.3%hr 이다. 즉, 소나무의 경우 초기함수율이 70%이고 목표함수율이 20%라면 적어도 50시간 이상의 건조시간을 부여해야 한다. 같은 경우 참나무에는 150시간 이상의 건조시간이 보장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와 같은 시간보다 빨리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면 과도한 마이크로파 에너지 투입과 집중으로 인하여 원목 특정부위의 과열로 발화가 일어나게 된다.For example, pine trees have a 1% hr (1% water reduction per hour) level whereas 0.3% hr for oak trees. That is, in the case of pine tree, if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is 70% and the target moisture content is 20%, a drying time of at least 50 hours should be given. In the same case, oak must have a drying time of more than 150 hours. If drying is performed earlier than the above-mentioned time, ignition occurs due to overheating of the specific wood part due to excessive microwave energy input and concentration.
결국, 이러한 안전건조속도는 마이크로파의 출력 적용 비율과 연관이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is safe drying rate is associated with the output application rate of the microwav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목재의 종류에 따른 안전건조속도, 즉, 마이크로파의 출력 적용 비율의 정보를 통해,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가 목재의 건조조건을 결정하게 되며, 이를 전원공급제어부(30)로 전달함으로써, 각 목재의 종류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조사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는,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목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적정한 마이크로파 건조조건을 결정하여, 이러한 건조조건을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에 전달함으로써, 목재의 과도한 건조 또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응축부(6)를 통해,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수증기의 함량을 산출하여, 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을 통해 목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적정한 마이크로파 건조조건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ent of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전달부(50)를 포함한다.1, the
즉, 상기 수신부(40)는 상술한 본체부(110)의 온도 센서(5)로부터 입력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신호전달부(50)를 통해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가 건조조건을 결정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receiving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센서(5)는 상기 목재(1)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상기 목재의 위치별 온도를 파악함으로써, 목재의 특정 위치에 과열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즉,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상기 온도센서(5)로부터 감지되는 온도를 체크하여 목재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설정된 이상의 온도가 감지된 온도센서(5)에 근접한 마그네트론(4)을 OFF시켜 더 이상 건조를 하지 않게 함으로써 목재의 과열건조로 인한 원목의 특정부위의 발화를 방지하여 최상의 목재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이후, 다시 상기 신호전달부(50)가 상기 수신부(40)로 송신된 목재의 특정부위에 대한 온도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다가 목재의 특정부위에 대한 내부온도가 냉각되어 설정 최저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신호전달부(50)는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에 전달하고,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로 신호를 보내 OFF되어 있는 마그네트론(4)을 다시 ON시켜 목재의 해당부위에 마이크로파를 방출하게 한다.Thereafter, the
또한, 상기 수신부(40)는 상술한 본체부(110)의 응축부(5)로부터 입력되는 수증기의 함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신호전달부(50)를 통해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가 건조조건을 결정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receiving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응축부(6)를 통해,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수증기의 함량을 산출하여, 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하고, 산출된 목재의 함수율은 상기 수신부(40)에 수신되어,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는 건조된 목재의 상태에 따른 적정한 마이크로파 건조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wood is measured by calculating the content of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through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wood drying process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ood drying process using micro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은 목재의 초기 함수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10).Referring to FIG. 2, a control method of a wood drying process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measuring an initial water content of a wood (S110).
상기 초기 함수율은 각 목재의 수종별로 상이하며, 또한, 동일한 수종이라 하더라도 초기 함수율은 상이할 수 있다.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is different for each species of wood, and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may be different even if they are the same species.
상기 초기 함수율은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The initial moisture content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 수학식 (1) ... Equation (1)
(단, Mi는 초기 함수율(%db)이고, Wo는 전건중량(kg)이며, Wi는 목재의 초기 중량(kg)임.)(Where Mi is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 db), Wo is the total dry weight (kg) and Wi is the initial weight of the wood (kg)).
이때, 상기 Wo인 전건중량(kg)은 건조 대상 목재의 기본밀도(Db, ㎏/㎥)를 통해 산출할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tal dry weight (kg) as Wo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basic density (Db, kg / m3) of the wood to be dried and can be measur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2).
... 수학식 (2) &Quot; (2) "
(단, Db는 건조 대상 목재의 기본밀도(㎏/㎥)이고, Vi는 전건체적(㎥)임.)(Where Db is the basic density (kg / m 3) of the wood to be dried and Vi is the volume of the dry mass (m 3)).
이러한 전건중량은 건조 대상 목재에 따라 고유값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This total dry weight may have a unique value depending on the wood to be dried.
즉, 상술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의 입력부(10)를 통해, 목재의 종류나 규격, 예를 들면, 목재의 수종이나 규격, 초기함수율과 목표함수율을 입력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type and specification of the wood, for example, the species and specification of the wood,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and the target moisture content can be inputted through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은 상기 초기 함수율에 따른 제1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목재를 제1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20).Nex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of the wood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first drying the wood by irradiating the first microwave according to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S12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함수율에 따른 정보에 따라, 목재를 건조하기 위한 조건이 결정되며, 이러한 조건에 따라 제1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목재를 건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ditions for drying the wood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and the wood can be dried by irradiating the first microwav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즉, 상술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는 목재의 종류 및 초기 함수율 등에 따른 마이크로파의 출력 적용 비율이 미리 입력되어 있어 상기 입력부(10)로부터 전달받은 목재의 특성에 따른 입력값에 따라 적정한 건조조건을 결정하게 된다.1, the drying
한편, 상기 제1마이크로파를 조사하기 위한 건조 조건을 결정함에 있어서, 건조 대상 목재의 투과성 지수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이러한 투과성 지수도 상술한 입력부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건조조건결정부가 목재의 건조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함수로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determining the drying condition for irradiating the first microwave, the permeability index of the wood to be dried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y inputting the permeability index through the input unit, the dry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drying condition of the wood Can be applied as a function.
상기 투과성 지수라 함은, 일정 습증기의 합력하에서 습기가 목재에 스며드는 상태를 나타내는 지수로써, 투과성 지수가 높다는 것은 상기 마이크로파가 상기 목재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투과성 지수가 낮다는 것은 상기 마이크로파가 상기 목재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용이함을 의미한다.The permeability index is an index indicating a state in which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wood under a resultant force of a constant wet steam. A high permeability index means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microwave to penetrate into the wood, and the low permeability index It is easy for the microwave to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wood.
한편,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목재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온도센서(5)는 상기 목재(1)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상기 목재의 위치별 온도를 파악함으로써, 목재의 특정 위치에 과열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by irradiating the first microwave,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건조된 목재의 건조중 함수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30).Next, the control method of the wood drying process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rst dried wood during drying (S130).
상술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응축부(6)를 통해,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수증기의 함량을 산출하여, 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을 통해 목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적정한 마이크로파 건조조건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drying wood is calculated through the
상기 건조중 함수율은 하기 수학식 (3)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The water content during drying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 수학식 (3) ... (3)
(단, Mn는 건조중 함수율(%db)이고, Wo는 전건중량(kg)이며, Wi는 목재의 초기 중량(kg)이고, Wd는 응축수의 중량임.)(Where Mn is the moisture content during drying (% db), Wo is the total dry weight (kg), Wi is the initial weight of the wood (kg) and Wd is the weight of the condensate)
이때, 상기 Wd인 응축수의 중량은 수증기 수집부를 통해 수증기를 수집하고, 상기 수증기 수집부에 수집된 수증기를 응축기를 통해 응축한 후, 상기 응축기에 응축된 응축수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eight of the condensed water as Wd can be calculated by collecting water vapor through the water vapor collecting unit, condensing the water vapor collected in the water vapor collecting unit through the condenser,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condenser.
이러한, 건조중 함수율은 상술한 도 1의 수신부(40)에 전달되어, 신호전달부(50)를 통해 건조조건결정부(20)로 입력되어, 상기 전조조건전달부는 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에 따른 마이크로파의 건조조건을 결정하게 된다.The moisture content in the drying is transferred to the receiving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은 상기 건조중 함수율에 따른 제2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목재를 제2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40).Next,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of the wood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drying the wood by the second microwave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during the drying (S14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중 함수율에 따른 정보에 따라, 목재를 건조하기 위한 조건이 결정되며, 이러한 조건에 따라 제2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목재를 건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ditions for drying the wood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during drying, and the wood can be dried by irradiating the second microwav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즉, 상술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조건결정부(20)는 목재의 종류 및 건조중 함수율 등에 따른 마이크로파의 출력 적용 비율이 미리 입력되어 있어 상기 입력부(10)로부터 전달받은 목재의 특성에 따른 입력값에 따라 적정한 건조조건을 결정하게 된다.1, the drying
이때, 상기 제2마이크로파를 조사하기 위한 건조 조건을 결정함에 있어서, 건조 대상 목재의 투과성 지수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이러한 투과성 지수도 상술한 입력부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건조조건결정부가 목재의 건조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함수로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in determining the drying condition for irradiating the second microwave, the permeability index of the wood to be dried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y inputting the permeability index through the input unit, the dry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drying condition of the wood Can be applied as a function. Since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건조조건결정부에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마이크로파의 출력 적용 비율이 입력될 수 있다.In the dry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the output application ratio of microwaves may be input as shown in Table 1 below.
다만, 하기 표 1은 하나의 예시일 뿐, 목재의 종류, 목재의 함수율, 목재의 투과성 지수 등에 따라, 마이크로파의 출력 적용 비율은 상이할 수 있다.However, Table 1 shows only one example. Depending on the type of wood, the water content of the wood, the permeability index of the wood, etc., the output application ratio of the microwave may be different.
예를 들어, 상술한 S110단계에서, 건조대상목재의 초기함수율이 50%이고, 투과성 지수가 A인 경우, 마이크로파의 출력 적용비율은 100% ~ 75%가 되며, 이후, 1차 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이 25%인 경우, 마이크로파의 출력 적용비율은 75% ~ 50%가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step S110, when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the wood to be dried is 50% and the permeability index is A, the output application ratio of the microwave is 100% to 75%, and then the primary dried wood When the water content is 25%, the microwave output application ratio is 75% to 50%.
한편,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목재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온도센서(5)는 상기 목재(1)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상기 목재의 위치별 온도를 파악함으로써, 목재의 특정 위치에 과열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by irradiating the second microwave, the
계속해서, 목재의 함수율이, 목표 함수율이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S130 및 S140의 단계를 계속진행하게 되며, 목재의 함수율이, 목표 함수율에 도달한 경우에는, 건조단계를 종료하고, 이후, 상술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송풍부를 통해, 건조가 완료된 목재를 일정 온도까지 냉각시킴으로써, 목재의 건조공정을 종료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wood does not reach the target moisture content, the steps of S130 and S140 described above are continued.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wood reaches the target moisture content, the drying step is terminated, The drying process of the wood is completed by cooling the dried woo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rough the air blowing un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응축부를 통해,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수증기의 함량을 산출하여, 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목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적정한 마이크로파 건조조건을 적용하여, 목재의 과도한 건조 또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wood can be measured by calculating the content of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through the condenser, , Excessive drying or overheating of the wood can be prevented.
또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기 위한 건조 조건을 결정함에 있어서, 건조 대상 목재의 투과성 지수를 고려함으로써, 목재의 특성에 따른 보다 정확한 목재의 건조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Further, in determining the drying conditions for irradiating the microwaves, by considering the permeability index of the wood to be dried, more accurate drying conditions of the woo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6)
상기 초기 함수율에 따른 제1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목재를 제1건조하는 단계;
상기 제1건조된 목재의 건조중 함수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중 함수율에 따른 제2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목재를 제2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건조된 목재의 건조중 함수율을 측정하는 것은, 상기 목재를 제1건조하는 단계 중 발생되는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부를 통해 측정하고,
상기 응축부는 상기 수증기를 수집하기 위한 수증기 수집부; 상기 수증기 수집부에 수집된 상기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에 응축된 응축수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응축수 중량측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부를 통해, 상기 목재를 제1건조하는 단계 중 발생되는 수증기의 함량을 산출하여, 상기 제1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Measuring an initial moisture content of the wood;
Irradiating the first microwave according to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to dry the wood first;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during drying of the first dried wood; And
And second drying the wood by irradiating a second microwave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during dry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rst dried wood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rst dried wood through the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steam generated during the first drying of the wood,
Wherein the condenser comprises: a water vapor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water vapor;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water vapor collected in the water vapor collecting unit; And a condensate weighe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condenser,
Wherei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rst dried wood is measured through the condensing unit to calculate the content of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first drying of the wood to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rst dried wood.
상기 초기 함수율은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측정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
... 수학식 (1)
(단, Mi는 초기 함수율(%db)이고, Wo는 전건중량(kg)이며, Wi는 목재의 초기 중량(kg)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 Equation (1)
(Where Mi is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 db), Wo is the total dry weight (kg) and Wi is the initial weight of the wood (kg)).
상기 Wo인 전건중량(kg)은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측정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
... 수학식 (2)
(단, Db는 건조 대상 목재의 기본밀도(㎏/㎥)이고, Vi는 전건체적(㎥)임.)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otal dry weight (kg) as Wo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Quot; (2) "
(Where Db is the basic density (kg / m 3) of the wood to be dried and Vi is the volume of the dry mass (m 3)).
상기 건조중 함수율은 하기 수학식 (3)을 통해 측정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공정의 제어방법.
... 수학식 (3)
(단, Mn는 건조중 함수율(%db)이고, Wo는 전건중량(kg)이며, Wi는 목재의 초기 중량(kg)이고, Wd는 응축수의 중량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content during drying is measur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3): < EMI ID = 3.0 >
... (3)
(Where Mn is the moisture content during drying (% db), Wo is the total dry weight (kg), Wi is the initial weight of the wood (kg) and Wd is the weight of the condensate)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목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목재를 건조하기 위한 복수개의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변화되는 상기 목재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온도센서; 및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부는 상기 수증기를 수집하기 위한 수증기 수집부; 상기 수증기 수집부에 수집된 상기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에 응축된 응축수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응축수 중량측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부를 통해,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수증기의 함량을 산출하여, 건조된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장치.A wood dry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omprising a main body for drying woo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Wherein,
A housing having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wood;
A plurality of magnetrons for drying the wood contained in the hous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gnetron;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wood being changed during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And
And a condensing portion for condensing the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drying the wood,
Wherein the condenser comprises: a water vapor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water vapor;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water vapor collected in the water vapor collecting unit; And a condensate weighe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condenser,
And a moisture content of the steam generated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the wood through the condenser is calculated to measure the water content of the dried wo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907A KR101816759B1 (en) | 2015-07-31 | 2015-07-31 | A Control Method of Timber Drying Process using Microwa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907A KR101816759B1 (en) | 2015-07-31 | 2015-07-31 | A Control Method of Timber Drying Process using Microwav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4893A KR20170014893A (en) | 2017-02-08 |
KR101816759B1 true KR101816759B1 (en) | 2018-01-10 |
Family
ID=5815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8907A Active KR101816759B1 (en) | 2015-07-31 | 2015-07-31 | A Control Method of Timber Drying Process using Microwa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675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48948A (en) | 2023-10-04 | 2025-04-11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for calculating moisture content of wood and terminal for executing the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04982A1 (en) * | 2018-06-28 | 2020-01-02 | 주식회사 파셉 | Modular microwave wood drying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21848A (en) * | 1997-10-30 | 2001-11-13 | バルール・ボワ・アンドユストウリ | Method for drying lumber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
JP2001347506A (en) * | 2000-06-06 | 2001-12-18 | Nagai Kikai Seisakusho:Kk |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wood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2007251339B9 (en) | 2006-05-11 | 2012-03-01 | Bae Systems Plc | Stacked multiband antenna |
-
2015
- 2015-07-31 KR KR1020150108907A patent/KR10181675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21848A (en) * | 1997-10-30 | 2001-11-13 | バルール・ボワ・アンドユストウリ | Method for drying lumber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
JP2001347506A (en) * | 2000-06-06 | 2001-12-18 | Nagai Kikai Seisakusho:Kk |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woo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48948A (en) | 2023-10-04 | 2025-04-11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for calculating moisture content of wood and terminal for executing th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4893A (en) | 2017-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06650A (en) | Microwave, a closed vessel and methods of determining volatile material content | |
CA234319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volatile content | |
CA2593586A1 (en) | Dual energy source loss-on-drying instrument | |
KR101816759B1 (en) | A Control Method of Timber Drying Process using Microwave | |
CA2333883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wood | |
CN105783427A (en) | Microwave vacuum drying method achieving staging control | |
CN205333461U (en) | Moisture meter | |
Zielonka et al. | Microwave drying of spruce: Moisture content, temperature, and heat energy distribution | |
US20210010752A1 (en) | Moisture measurement of timber | |
Kowalski et al. | Effectiveness of hybrid drying | |
WO2014078886A1 (en) | A dryer for drying a mineral sample | |
WO2020166409A1 (en) | Microwave treatment device | |
Zhang et al. | Moisture flow characteristics during radio frequency vacuum drying of thick lumber | |
CA1221743A (en) | Microwave, a closed vessel and methods of determining volatile material content | |
JP2021105480A (en) | Drying device and drying method | |
JP3393550B2 (en) | Wood drying equipment | |
KR101381196B1 (en) | Control system of dryer using of heat pump high frequence with vacuum | |
Leiker et al. | Vacuum microwave drying of beech: property profiles and energy efficiency | |
JP2003322467A (en) | Drying method of refractory by microwave | |
KR20150040541A (en) | Heating and drying method of veneer using microwave | |
CN104006638B (en) | Be applicable to the hot air combined drying experimental device of microwave fixed bed of on-line analysis | |
EP2959247B1 (en) | Method for drying hygroscopic material and apparatus for drying hygroscopic material | |
CN107702493A (en) | A kind of Ceramic manufacturing device based on microwave heating | |
JP4992094B2 (en) | Microwave dryer | |
CN210465194U (en) | Device for quickly measuring moisture of material by microwa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