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060B1 - The server rack - Google Patents
The server r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6060B1 KR101816060B1 KR1020160116945A KR20160116945A KR101816060B1 KR 101816060 B1 KR101816060 B1 KR 101816060B1 KR 1020160116945 A KR1020160116945 A KR 1020160116945A KR 20160116945 A KR20160116945 A KR 20160116945A KR 101816060 B1 KR101816060 B1 KR 1018160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discharge
- rack
- constant temperature
- su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718—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91—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having cable management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특허 제10-1468873호, 특허 제10-1468874호, 특허 제10-1547869호와 관련되는 발명이며, 본 발명의 특징은, 항온항습모듈과 흡입덕트, 토출덕트, 방열덕트 등의 연결부를 누출발생없이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뛰어난 밀폐기능을 제공하는 밀폐연결덕트 등을 갖춘 서버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전산장비를 장착하는 랙함(1); 랙함(1)에 슬라이드결합으로 탈착되며 내부를 항상 일정한 온도 및 습도로 유지시키는 항온항습모듈(2); 랙함(1)의 내부공기 순환을 위한 흡입덕트(3), 토출덕트(4), 방열공기의 방출을 위한 방열덕트(5)로 이루어지는 서버랙에 있어서, 상기 랙함(1) 내부공기를 랙함(1) 내로 순환시키며 일정하게 항온항습을 유지시키는 항온항습모듈(2)과, 흡입덕트(3), 토출덕트(4), 방열덕트(5)를 서로 연통되게 연결부에 밀폐연결덕트(6)를 구비하여 서버랙을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the applicants' patent Nos. 10-1468873, 10-1468874, and 10-1547869,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the suction duct, the discharge du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rack having an airtight connecting duct and an airtight connecting du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ack box (1) for mounting a computer equipment there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detachably attached to the rack box (1) by slide coupling and keeping the interior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t all tim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rack comprising a suction duct (3) for circulating air in the rack box (1), a discharge duct (4) and a heat dissipating duct (5) 1 and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for maintain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irculation and a closed connecting duct 6 at a connecting portion so as to communicate the suction duct 3, the discharge duct 4 and the heat discharging duct 5 with each other So that a server rack is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버랙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의 특허 제10-1468873호, 특허 제10-1468874호, 특허 제10-1547869호와 관련되는 발명이며,[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r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vention related to the applicants Patent No. 10-1468873, No. 10-1468874, and No. 10-1547869,
본 발명의 특징은 항온항습모듈과 흡입덕트, 토출덕트, 방열덕트 등의 연결부를 누출발생없이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뛰어난 밀폐기능을 제공하는 밀폐연결덕트 등을 갖춘 서버랙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rack having a sealed connection duct and the like that provide an excellent sealing function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install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the suction duct, the discharge duct, and the heat dissipating duct without leakage.
일반적으로 랙은 서버를 포함한 네트워크장비, 전산장비 등의 장착을 위한 국제규격(IEC)의 함을 일컫는 것으로 서버나 허브 등과 같은 전산장비들의 구성 및 설치수납을 위해 층별로 쌓아두는 랙마운트 방식으로 주로 제작되며, 장착되는 전산장비에 따라 서버랙/ 허브랙/ 통신랙/ 네트워크시스템랙/ CCTV랙/ 멀티랙 등으로, 전산장비의 외형사이즈에 따라 19인치 랙/ 21인치 랙 등으로 불려진다.In general, a rack refers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IEC) for the installation of network equipment and computer equipment including servers, and it is a rack mount system that is stacked in layers for the configuration and installation of computer equipment such as servers and hubs. It is manufactured as a server rack / hub rack / communication rack / network system rack / CCTV rack / multi rack according to the computer equipment to be mounted, and it is called 19 inch rack / 21 inch rack depending on the external size of the computer equipment.
또,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밀폐랙(먼지유입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랙), 내진랙(지진에 대비하여 진동방지 기능을 가진 랙), EMP차폐력(전자기 펄스, 핵무기로부터 발생하는 파동은 전자기기에 과전류를 일으켜 영구적인 파손을 가져오는 데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 랙), EMC차폐랙(EMC는 전자기기의 노이즈를 감소시켜 다른 전자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차단하고 다른 전자기기에서의 노이즈 영향도 차단시키는 기능을 가진 랙), EMI차폐랙(전자파의 차단기능을 가진 랙), 무진동랙(선박 및 차량탑재용으로 외부의 물리적인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랙) 등으로도 불려진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functions provided, it is possible to use a sealed rack (a rack that provides a dust inflow and shutoff function), a seismic rack (a rack with vibration prevention function against an earthquake), EMP shielding force (electromagnetic pulses, EMC shelter racks (EMC reduces the noise of electronic devices to prevent them from affecting the operation of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prevents other electronic devices from being damaged. Etc.), EMI shielding racks (racks with electromagnetic shielding), non-vibration racks (racks with functions to prevent external physical shaking for ships and vehicles), etc. .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각종의 다양한 랙을 서버랙으로 통칭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various kinds of rack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erver racks.
상기 서버랙에 장착되는 서버, 전산장비들은 고집적 고성능화에 의한 발열부하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시스템정지, 고장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별도 전산실을 구성하고 랙함 내부에 공조 유닛을 거친 냉각된 공기를 불어넣어 열부하를 제거하고 있으며, 비용, 공간 등의 문제로 전산실을 운영할 수 없는 경우에는 랙함 내부에 배풍용 팬을 구비하여 열부하에 대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server and the computer equipment installed in the server rack may cause fatal consequences such as system stoppage and failure if the heat load due to the highly integrated and high performance is not removed. Therefore, the computer room is formed separately and the cooled air passing through the air- When the computer room can not be operated due to problems such as cost and space, the fan is provided in the rack box to correspond to the thermal load.
그러나 서버랙을 위한 전산실을 운영하는 경우, 서버랙 내로 공조유닛을 거친 냉각공기를 급기하여야 하므로 먼지유입 차단에 대한 방법이 전무하고 각종 정보처리장치들의 접속케이블 연결 및 전산실 내의 열섬현상으로 인한 온도제어의 불균형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고, 또 냉각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서버랙의 뒷면이 개봉된 경우도 많아 이러한 경우 외부의 먼지유입에 대비할 수 없다.However, when the computer room for server rack is operated, there is no way to block the inflow of the cooling air because the cooling air passing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unit must be supplied into the server rack,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ue to the connection cable connection of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and the heat island phenomenon in the computer room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ck side of the server rack is opened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prepare for the inflow of external dust.
한편, 서버 등 각종 정보처리장치들이 설치되는 캐비넷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들의 장착시 공간 절약화를 위해 소형 송풍팬이 장치되어 있으나 숭풍팬의 소형화로 발열량 제거가 원활치 못하고, 또 발열량 제거가 원활치 못한 경우에는 서버나 정보처리장치들의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오게 되어 경제적 손실 및 데이터 정보의 복구불가능 등의 손실을 가져온다.On the other hand, in a cabinet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such as a server are installed, a compact blowing fan is installed to save space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are installed. However, when the cooling fan is not miniaturized, There is a risk that the server 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ll be damaged and the economic loss and the loss of data information can not be recovered.
이와 같이 서버랙의 서버 및 정보처리장치들의 주요 고장 이유 중 가장 큰 하나는 온도제어 실패에 의한 과부화로 인한 문제이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랙함 내의 발열량 제거를 위한 전산실(서버룸)을 운영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As described above, one of the major failure reasons of the servers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of the server rack is a problem caused by overloading due to failure in temperature control. To solve this problem, the server room ) Are generally operated.
그러나 서버랙이 설치되는 전산실은 온도제어를 위하여 중앙집중 냉각방식으로 전산실 내부에 열부하제거용 공기를 공급하고, 전산실 내 서버랙은 내부 공기의 원활한 급배기를 위해 충분한 통풍을 위한 측면에 다공판 등을 사용한다.However, in the computer room where the server rack is installed, centralized cooling method is used fo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for removing hea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mputer room. In the computer rack, the server rack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plate Lt; / RTI >
따라서 서버랙 내 발열량 제거를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전산실 내부 공간 전체 발열량 제거도 함께 요구되므로 에너지 손실이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고, 고집적 서버에 충분한 풍량을 공급하지 못하고 랙함 후면 열기가 전면의 흡입구로 재순환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데 이는 내부 열부하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으며 전산실 운영과 관리에 많은 비용투자와 관리인력의 비용이 발생된다.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n the server rack,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total calorific power of the inner space of the computer room, 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nergy loss is very large,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ar heat of the rack is recirculated to the front intake port This can not eliminate the internal heat load enough, and it costs a great deal of money to manage and manage the computer room and the cost of the management personnel.
또, 전산실 내 서버랙 뿐만 아니라 기본 방식의 서버랙은 온도관리를 위하여 자체의 열교환을 위한 통풍면적의 증대를 위해 다공판 등을 이용하여 강제 냉각된 공기를 서버랙의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게 하는 구조가 요구된다.In addition to the server rack in the computer room, the server rack of the basic type uses a perforated plate or the like to increase the ventilation area for heat exchange for the purpose of temperature control, thereby allowing the forced cooling air to flow into and out of the server rack Structure is required.
이러한 급배기 방식으로 인해 항온, 항습의 관리는 전산실을 별도로 두어 관리할 수 있으나 서버랙 내부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로 인한 정전기발생과 이에 따른 누전, 스파크, 장비의 오작동, 하드디스크 에러 등의 문제점으로 전산실의 운영, 관리에 매우 불리하다.However, due to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due to the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server rack, there are problems such as leakage, spark, malfunction of the equipment, hard disk error and the like due to the supply and exhaust system. It is very disadvantageous to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computer room.
이하에 서버랙에 관련한 선행기술을 살펴본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prior art related to server racks.
참고문헌1에 공조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냉기를 랙 하부 급기구에 공급하여 냉기로 랙 내부 기기를 냉각하는 동시에 랙 상부의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공조 유닛으로 복귀시켜 순환시키는 랙의 냉각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2에 쿨러유닛으로부터 교환패널을 통해 서버랙 내 전방면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다운플로우유닛에 냉기를 공급하고, 다운플로우유닛에 의해 냉기를 강제로 불어넣어 전자기기를 냉각하고 또한 쿨러유닛의 폐열을 실외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도록 한 서버랙의 냉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3에는 랙캐비넷에 메인순환배관, 메인순환펌프, 냉각부를 설치하여 메인순환배관을 통해 냉각시키고, 수열부와 장치 내에 펌프를 설치한 복수의 서버모듈을 상기 메인순환배관에 접속하여 냉각액을 급배수하고 각 서버모듈 내의 발열부를 냉각하는 액냉방식을 채용하여 서버모듈에 탑재된 고발열 부품의 방열을 원활하게 행하는 랙마운트 서버 시스템의 냉각방법이 게재되어 있다.In
참고문헌4에 열원에서 발생한 열기를 랙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복수의 팬이 배열된 팬유닛과 팬의 회전으로 랙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기를 제열하는 냉매를 안내하는 파이프가 배열된 라디에이터유닛과, 상기 파이프에 연결된 냉매를 유통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전자장치의 냉각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5에 서버(server)나 라우터(router)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상부본체의 정면도어 개구 주위를 따라 실드핑거가 배치되고, 필터 등 전기회로 부품의 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부본체의 정면도어의 개구 주위를 따라 실드핑거가 배치된 서버랙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6에는 랙 유닛을 완전히 둘러싸는 캐비넷으로 구성하고 랙 유닛과 랙함 사이에 플래넘을 형성하여 여기에 필러물질을 충진시켜 흡음재에 의한 소음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서버랙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참고문헌7에 서버랙의 차폐구조를 위하여 랙함의 전원선 인입구, 광케이블인입구, 분배기 등을 모듈화한 먼지차폐구조로 구성하여 서버 및 정보처리장치들의 작동 및 모니터링에 문제가 없도록 하며, 상기 먼지차폐구조로 이루어진 서버랙 내부에 냉각공기의 공급과 함께 가습효과를 제공하여 항온/항습으로 양질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발열부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여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서버랙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또, 참고문헌8에 서버저장랙과 배출덕트 그리고 콘트롤박스덕트가 포함되어 서버랙/통신랙과 항온/항습기를 실외기없는 구조로 구성하고 밀폐구조로 외부의 먼지유입을 방지하며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서버 및 네트웍 장비를 항온 항습시키는 운영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 참고문헌9 내지 13에 외부 공기를 냉각시킨 후 서버 랙으로 제공하여 서버랙 내부 전산장비를 냉각하는 개방냉각방식 또는 서버랙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제공받아 재 냉각 및 재 냉각된 공기를 서버 랙으로 순환시켜 전산장비를 냉각하는 폐쇄냉각방식을 통해 서버랙 내부의 전산 장비를 냉각시키는 서버랙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한편 본 출원인은 서버랙을 최적의 효율로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항시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서버랙의 항온항습장치를 선 발명한 바 있으며,(참고문헌14)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nted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of a server rack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t all times so that the server rack can be stably operated at an optimum efficiency (Reference 14)
또, 항온항습모듈의 작동 중단이나 이상고온 발생 등의 비상시에 고온의 랙함 내부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고 이와 동시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랙함 내부를 통풍, 냉각시켜 줌으로써 랙함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랙함 내 전산장비들이 운전중단없이 지속적으로 정상 운전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랙의 비상 보호장치를 선 발명한 바 있다.(참고문헌 15)Also,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interruption of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or abnormal high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rack air is forcib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external air is sucked to ventilate and cool the inside of the rack to preven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ack from rising , Which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an emergency protection device for a server rack that allows the computer equipment in the rack to be continuously operated without interruption (Reference 15).
또, 본 발명은 EMP 차폐가 확실히 이루어지면서 랙함 내부의 장비의 먼지유입방지와 일정한 온/습도 유지 그리고 화재감시 및 조기진화, 원격관제 등이 가능하며, 항온항습모듈은 출납(出納)으로 장착, 교체가 가능한 EMP 방호용 랙을 선 발명한 바 있다. (참고문헌16)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ust from entering the equipment inside the rack, maintain constant temperature / humidity, fire monitoring, early evolvement, remote control, etc. with EMP shielding being ensured and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can be installed / The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replace the EMP protection rack. (Reference 16)
상기에서 살핀 바와 같이 서버랙은 랙함 내부에 장착되는 전산장비 등의 보호 및 안전한 운용을 위해 랙함 내부를 항시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키는 항온항습모듈을 갖추어 언제나 항온항습을 유지함으로써 랙함 내부 서버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mentioned above, the server rack is equipped with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that maintains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rack box for the protection and safe operation of the computer equipment mounted inside the rack box. Of the environment.
상기 서버랙의 항온항습모듈은, 하우징 내부에 랙함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항온항습을 유지시키는 내부공기순환덕트와 방열을 위한 외부공기순환덕트로 이루어진다.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of the server rack comprises an internal air circulating duct for circulating air in the rack inside the housing to maintain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n external air circulating duct for heat dissipation.
상기에서 항온항습모듈의 내부공기순환덕트는 증발기 등이 설치되어 흡입덕트로부터 랙함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냉각/가열시키고, 냉각/가열된 공기를 토출덕트를 통해 랙함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킨다.The indoor air circulation duct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is provided with an evaporator or the like to cool / heat the inside air of the rack from the suction duct and supply the cooled / heated air to the inside of the rack through the discharge duct.
그리고 외부공기순환덕트는 상기 내부공기순환덕트의 증발기에서 회수된 내부공기의 열을 외부공기와 열교환하기 위해 응축기, 냉각팬이 설치되고 열교환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방열덕트와 연통되게 구성된다.The external air circulation duc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heat dissipating duct f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heat to the outside, in which a condenser and a cooling fan are installed to heat-exchange heat of the internal air recovered from the evaporator of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with external air .
상기 과정에서 항온항습모듈의 내부공기순환덕트와 흡입덕트 및 토출덕트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부는 랙함 내부공기가 흡입 및 토출과정이 이동 중에 누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밀폐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In the above process,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to the suction duct and the discharge duct should provide a sufficient sealing function so that the air in the rack does not leak during the suction and discharge processes.
또, 항온항습모듈의 외부공기순환덕트 역시, 외부공기순환덕트와 방열덕트와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부 역시 열교환된 공기를 방열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누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밀폐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Also, in the external air circulation duct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external air circulation duct and the heat dissipating duct should also provide sufficient sealing function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heat exchanged air through the heat dissipating duct .
이에 대해 살펴본다.We will examine this.
항온항습모듈의 내부공기순환덕트의 흡입구와 흡입덕트 및 토출구와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외부공기순환덕트의 배출구와 방열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밀폐기능을 제공하지 못할 경우에는 랙함 내부의 공기를 내부공기순환덕트 내로 제대로 흡입하지 못하게 되고 또 냉각/가열시킨 공기를 랙함 내부로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게 되어 항온항습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이들 누출되는 공기가 랙함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항온항습기능의 성능저하 등을 초래할 수 밖에 없다.In the case where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sealing function to the suction port of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suction duct and the discharge port to the discharge duct, and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external air circulation duct and the heat dissipating duct, Can not be properly sucked into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and the cooled / heated air can not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ack, so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an not be properly performed. Moreover, since these leaked air flows into the rack, And the like.
특히 열교환된 고온공기를 배출시키는 방열덕트와의 연결부가 제대로 밀폐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누출이 발생될 경우 역시 고온공기가 서버랙의 랙함 내부로 유입되어 항온항습모듈의 작동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고 서버랙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작동오류 및 고장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Especially, when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heat-radiating duct f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hot air does not provide a proper sealing function and leakage occurs, the hot air also flows into the rack of the server rack,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ack and causing problems such as malfunction or failure.
이를 위해 항온항습모듈의 내부공기순환덕트, 외부공기순환덕트 및 랙함 내부의 흡입덕트, 토출덕트, 방열덕트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이들의 연결부에 발생될 수 있는 누출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서버랙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항온항습모듈 만을 별도 분리할 수 없게 된다.To this en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eakage problem that may occur in the connection portion by constructing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the external air circulation duct, and the suction duct, the discharge duct, and the heat dissipation duct However,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server rack becomes complicated, and only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can not be separated.
즉, 항온항습모듈의 탈착 기능은 오작동, 고장 등의 경우에 간단히 항온항습모듈을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이의 교체작업시에도 서버랙을 정상 운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서버랙의 유지, 관리에 유용한 이점을 제공하는 데 이러한 이점을 포기할 수 밖에 없다.That is, the detachable function of the thermo-hygrostat module can easily replace the thermo-hygrostat module in the case of malfunction or malfunction, so that the server rack can be normally operated during the replacement operation, which is advantageous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server rack But we can not help but give up these advantages.
전술한 바와 같이 랙함에 슬라이드결합으로 탈착되는 항온항습모듈은 연결부의 밀폐기능이 매우 중요함에도 기존 서버랙에는 내부공기순환덕트, 외부공기순환덕트 역시 이러한 밀폐기능의 제공을 위한 수단이 전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sealing fun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very important,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and the external air circulation duct in the existing server rack do not provide any means for providing such a sealing function, have.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항온항습모듈과 흡입덕트 및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방열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누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뛰어난 밀폐기능을 발휘하는 밀폐연결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led connection duct that exhibits an excellent sealing function to prevent leakage in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onstant temperature / constant humidity module, a suction duct and a discharge duct,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heat dissipating duct.
또 본 발명은 항온항습모듈과 흡입덕트 및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방열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뛰어난 밀폐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밀폐연결덕트를 제공코자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tight connection duct which can provide an excellent sealing function and a quick and easy installation at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a suction duct and a discharge duct,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a heat dissipating duct.
또 본 발명은 항온항습모듈이 랙함 내부로부터 슬라이드결합되어 탈착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항온항습모듈의 내부공기순환덕트와 외부공기순환덕트의 연결부를 간단하고 손쉽게 탈착결합할 수 있고 설치후에 뛰어난 밀폐기능을 발휘하는 밀폐연결덕트를 제공코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hermo-hygrostat module is slidably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rack,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and the external air circulation duct of the thermo-hygrostat module can be easily and easily detachably coupled. To provide an airtight connection duct to be used.
또 본 발명은 서버랙 하부에 케이블 인입부를 구비하여 케이블 인입과 밀폐유지가 가능하게 하고 케이블 덕트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끌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le entry portion in a lower portion of a server rack to enable cable entry and hermetic holding, and to arrange cables in a lavish manner by using cable ducts.
또 본 발명은 서버랙 상부에 케이블 인입부를 구비하여 상부의 케이블 트레이에서 다수의 통신 케이블을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게 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le entry por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server rack so that a large number of communication cables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n upper cable tray.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전산장비를 장착하는 랙함; 랙함에 슬라이드결합으로 탈착되며 내부를 항상 일정한 온도 및 습도로 유지시키는 항온항습모듈; 랙함의 내부공기 순환을 위한 흡입덕트, 토출덕트, 방열공기의 방출을 위한 방열덕트로 이루어지는 서버랙에 있어서, 상기 랙함 내부공기를 랙함 내로 순환시키며 일정하게 항온항습을 유지시키는 항온항습모듈과, 흡입덕트, 토출덕트, 방열덕트를 서로 연통되게 연결부에 밀폐연결덕트를 구성한다. 또는 상기 항온항습모듈의 흡입구와 흡입덕트의 송출구 사이, 상기 토출구와 토출덕트의 유입구 사이, 상기 방출구와 방출덕트의 배출구 사이에 밀폐기능을 수반하면서 이들을 서로 연통시키는 밀폐연결덕트를 구성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밀폐연결덕트는; 상기 항온항습모듈의 흡입구와 흡입덕트의 송출구, 토출구와 토출덕트에 밀착되는 밀착부, 방출구와 방출덕트의 배출구에 밀착되는 밀착부; 상기 항온항습모듈의 흡입구와 흡입덕트의 송출구, 토출구와 토출덕트에 밀착되는 밀착부, 방출구와 방출덕트의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통로부; 상기 양측 밀착부를 탄력지지하여 밀폐력을 하는 탄력부재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밀폐연결덕트는; 마주보는 양측 조립부재에 항온항습모듈의 흡입구와 흡입덕트의 송출구 및 토출구와 토출덕트, 방출구와 방출덕트의 배출구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부 내측에는 통로부를 슬라이드결합되어 신축되게 결합하며, 상기 조립부재에는 양측 밀착부를 외향으로 탄력지지하여 밀폐력을 발휘하는 탄력부재를 결합하여 구성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밀폐연결덕트는; 항온항습모듈의 흡입구, 토출구 및 방출구에 밀폐연결덕트의 조립부재, 밀착부 및 통로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 흡입덕트의 송출구, 토출덕트의 유입구, 방출덕트의 배출구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밀착부, 통로부를 형성하여 탄력부재를 결합하여 구성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항온항습모듈의 흡입구와 흡입덕트의 송출구 외면에는 밀폐연결덕트가 제 위치를 찾아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안내하고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가이드를 구비시켜 구성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서버랙 하부에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케이블 인인부를 구비하여 케이블 인입과 밀폐유지가 가능하게 구성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서버랙 상부에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다수의 통신 케이블을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슬롯을 갖춘 케이블 인입부를 구비하여 구성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본 발명은 밀폐연결덕트의 제공으로 항온항습모듈과 흡입덕트 및 토출덕트, 그리고 방열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쉽고 빠르게 연결할 수 있고 이들 연결부에 누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뛰어난 밀폐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더욱 우수한 항온항습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고 서버랙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 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tight connection duct which can easily and quickly connec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the suction duct, the discharge duct, and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heat dissipation duct, and can provide an excellent sealing function to prevent leakage in the connection portion. It is possible to exhibit more excellent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performance and to manage and operate the server rack more stab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은 항온항습모듈의 슬라이드결합에 의한 탈착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밀폐연결덕트로 뛰어난 밀폐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오작동, 고장 등의 경우에도 간단히 항온항습모듈 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서버랙의 유지, 관리에 유용한 이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cellent sealing function by providing a closed connecting duct which can be easily and quickly installed while maintaining the detachment function by the slide coupling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malfunction or malfunction, It provides useful benefits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racks.
또 본 발명은 서버랙 하부와 상부에 케이블 인입부를 구비하여 밀폐유지가 가능한 상태에서 케이블 인입작업을 더욱 편리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케이블 덕트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끌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이점 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le entry unit in a lower portion and a server rack of the server, so tha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cable entry operation more easily and easily in a state in which the cable can be held tightly,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서버랙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서버랙의 도어 개방상태 사시도.
도 3,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서버랙의 일부 분리 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서버랙의 일부 분리 후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서버랙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일부 발췌 확대도.
도 8,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일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중 밀폐연결덕트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중 밀폐연결덕트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중 밀폐연결덕트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4, 15는 본 발명 중 밀폐연결덕트의 설치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6은 도 14,15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 중 밀폐연결덕트의 설치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서버랙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1, 22는 본 발명 중 케이블 인입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rver rac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open state of a server rac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S. 3 and 4 are partially front perspective views of a server rac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server rack in a rear view,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er rac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6; FIG.
FIGS.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losed connecting duct in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losed connecting duc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closed connecting duc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and 1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losed connecting duct in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ront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Figs. 14 and 15.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losed connecting duc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front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Fig. 17;
19 is a fragmentary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rver rac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s. 21 and 2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ble lead-in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내부에 서버, 전산장비 등을 IEC(International Electrical Commission)/EIA(THE Electrical Industries Association)규격 등에 따라 호환 장착할 수 있는 마운트프레임을 설치한 랙함, 랙함 전/후면의 도어, 랙함 내부를 항상 일정한 온도 및 습도로 유지시키는 항온항습모듈 등으로 이루어진 서버랙에 있어서, 상기 랙함에 슬라이드결합되어 탈착되는 항온항습모듈의 연결부에 뛰어난 밀폐기능을 보장하면서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밀폐연결덕트를 갖춘 서버랙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side the server, the computer equipment and the IEC (International Electrical Commission) / EIA (The Electrical Industries Association) standards and compatible with the mounting frame mounted on the rack, front and rear doors of the rack, the inside of the rack, And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server cabinet at a predetermined humidity and a humidity, and a server rack having a sealed connection duct that can be installed easily and quickly while ensuring an excellent sealing function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slidably coupled to the rack box. do.
서버랙은 내부 랙함에 서버, 전산장비 등을 장착하기 위한 마운트프레임이 설치되고, 랙함 하부에 랙함 내부를 항시 일정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항온항습모듈이 장착된다. The server rack is equipped with a mounting frame for mounting servers and computer equipment in the internal rack box, and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for keeping the inside of the rack box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t the bottom of the rack box.
상기 항온항습모듈은 압축기와 냉매를 이용한 냉매싸이클장치의 냉각제어 등을 통해 일정한 항온항습으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되고, 랙함 하부에 슬라이드결합되어 출납(出納)으로 분리,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다.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is configured to be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through a cooling control of a refrigerant cycle apparatus using a compressor and a refrigerant, and is configured to be slid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ack to be separated and connected to a cash dispenser.
상기 항온항습모듈은 항온항습모듈 내에서 내부공기순환덕트와 외부공기순환덕트가 격벽으로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랙함 내부의 흡입덕트 및 토출덕트에 연통되어 랙함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냉각/가열시킨 후 다시 랙함 내부로 공급, 순환시키는 내부공기순환덕트와, 상기 내부공기순환덕트의 냉각을 위해 방열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외부공기순환덕트로 이루어진다.In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the inner air circulation duct and the outer air circulation duc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partition walls. The indoor air circulation duct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duct and the discharge duct inside the rack, An internal air circulating duct for circulating and circulating air into the rack box, and an external air circulating duct for discharging air that has been released for cooling the internal air circulating duct.
상기 내부공기순환덕트는; 랙함 내부의 흡입덕트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로부터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흡입된 내부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내부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냉각/가열된 내부공기를 랙함 내부의 토출덕트로 송풍, 안내하는 토출공, 상기 토출공과 연통되어 냉각/가열된 공기를 랙함 내부로 송풍, 순환시키는 토출덕트로 이루어진다.Wherein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comprises: A suction fan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duct in the rack box, a suction fan for sucking in the air from the suction port,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sucked inner air, a heater for heating the inner air, And a discharge duc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to blow / circulate the cooled / heated air to / from the rack.
그리고 외부공기순환덕트는; 상기 증발기로 냉매를 공급, 순환시키는 압축기와 증발기의 응축열을 방열하는 응축기 및 냉각팬; 응축열 방열을 위해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외기덕트; 냉각팬이 설치된 쪽에 형성되어 응축기에서 방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방출구; 상기 방출구에 연통되어 방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출덕트로 이루어진다.And an external air circulation duct; A compressor for supplying and circulating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 a condenser for cooling the condensation heat of the evaporator, and a cooling fan; An outside air duct for introducing outside air for condensation heat dissipation;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cooling fan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air released from the condenser; And a discharge duc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and discharging the heat radiation air to the outside.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밀폐연결덕트는 항온항습모듈을 구성하는 내부공기순환덕트와 흡입덕트 및 토출덕트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부 및 외부공기순환덕트와 방열덕트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부에 설치되어 이들 연결부에 밀폐기능을 제공하면서 쉽고 빠르게 연결한다.The closed connecting duc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internal air circulating duct constituting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the suction duct and the discharge duct in a communicating manner,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external air circulating duct and the heat discharging duct, While providing an airtight function.
즉, 상기 밀폐연결덕트는 상기 항온항습모듈의 흡입구와 흡입덕트 및 토출구와 토출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연통되게 연결하며, 또 방출구와 방열덕트를 연통되게 연결한다.That is, the closed connection duct is installed between the suction port, the suction duct, the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duct of the thermo-hygrostat module, connects them to each other, and connects the discharge port and the heat dissipation duct to each other.
상기 밀폐연결덕트는, 항온항습모듈의 흡입구와 흡입덕트 및 토출구와 토출덕트에 밀착되는 밀착부, 냉각/가열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통로부, 상기 밀착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부재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airtight connection duct includes a suction portion, a suction portion, a suction portion, and a discharge portion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The airtight portion moves the cooled / heated air. The elastic portion resiliently supports the contact portion.
한편, 상기 서버랙 하부에는 케이블 인입부를 구비하여 케이블 인입과 밀폐유지가 가능하게 하고 케이블 덕트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끌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하며, 서버랙 상부에 케이블 인입부를 구비하여 케이블 트레이에서 다수의 통신 케이블을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In addition, a cable entry portion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rver rack to enable cable entry and hermetic maintenance, and a cable can be lined up using cable ducts, and a cable entry portion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a server rack, So that the cable can be easily drawn i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invention in its practicality,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obviously possible.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disclosure or configuration is unnecessar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서버랙의 사시도, 도 6,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서버랙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 9,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rver rac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s. 6 and 7 are sectional views showing internal configurations of a server rac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s. 8, 9,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버랙(R)은; 서버, 전산장비, 통신기기 등(이하, 전산장비로 통칭함)이 내부에 장착되는 랙함(1), 랙함(1) 전/후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0)(20), 랙함(1) 하부에서 슬라이드결합되어 출납(出納)으로 탈착되는 항온항습모듈(2)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server rack (R) A
상기 랙함(1) 하부에 슬라이드결합되어 탈착되는 항온항습모듈(2)은; 냉매를 이용한 냉각장치 및 히터 등이 장착되어 냉각제어와 가열제어에 의한 동시 제어로 랙함(1) 내부를 항온항습으로 유지시킨다.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ack (1) and detached; It is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using a coolant and a heater, and simultaneously maintains the inside of the rack (1) at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y simultaneous control by cooling control and heating control.
상기 항온항습모듈(2)은; 하우징(21) 내부에 격벽으로 내부공기순환덕트와 외부공기순환덕트로 구성되며 랙함(1)에 슬라이드결합되어 출납 분리, 결합할 수 있게 된다.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comprises: The
상기 랙함(1) 전/후면에 설치되는 도어(10)(20)는 일측 힌지에 의해 개폐되어 랙함(1) 내부를 밀폐구성한다.The
상기 랙함(1) 하부에 장착되어 항온항습모듈(2)의 랙함(1)의 내부공기순환을 위한 내부공기순환덕트는; 랙함(1)으로부터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1)가 형성되고, 흡입된 공기를 증발기로 송풍하는 흡입팬과,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내부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내부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등이 내장되며, 또 냉각/가열시킨 공기를 랙함(1) 내부로 다시 공급, 순환시키기 위한 토출구(22)가 형성된다.An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항온항습모듈(2)의 내부공기순환덕트는 랙함(1) 내에 설치된 흡입덕트(3)의 흡입공(32)을 통해 흡입한 랙함(1)의 내부 공기를 송출구(31)와 송출구(31)에 연통되게 연결된 흡입구(21)를 통해 흡입하여 일정한 온도/습도를 유지하도록 냉각/가열시킨 후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덕트(4)로 보내어 랙함(1) 내부로 공급, 순환시킨다.The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상기 항온항습모듈(2)의 토출구(22)는 토출덕트(4)의 유입구(41)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냉각/가열된 공기를 토출덕트(4)의 토출공(42)을 통해 랙함(1) 내부로 공급, 순환시킨다.The
그리고 상기 내부공기순환덕트와 격벽을 두고 맞은편에 설치되는 외부공기순환덕트는, 상기 내부공기순환덕트의 증발기에서 회수되는 내부공기의 열을 외부공기와 열교환한 방열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응축기과 냉각팬 등이 설치되며, 방열공기를 방열덕트(5)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출구(23)와 외기의 흡기를 위한 외기덕트(24)가 형성된다.The outer air circulation duct installed opposite to the inner air circulation duct and the partition wall is provided with a condenser and a condenser to discharge the heat radiation heat exchanged with the heat of the inner air recovered from the evaporator of the inner air circulation duct to the outside, A cooling fan, and the like, and a
상기 항온항습모듈(2)의 외부공기순환덕트는 항온항습모듈(2) 내에서 격벽을 사이에 두고 내부공기순환덕트와는 별개로 운전되며, 방출구(23)에 방출덕트(5)의 배출구(51)가 연통되게 연결되어 외기덕트(24)를 통해 공급된 외부공기가 응축기와 냉각팬 등에 의해 열교환된 후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를 통해 방출공(52)으로 방출된다.The external air circulation duct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상기 항온항습모듈(2)의 내부공기순환덕트, 외부공기순환덕트 및 이들을 구성하는 증발기, 흡입팬, 히터 등은 본 출원인의 선 발명(참고문헌14~16)에서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등은 생략한다.Since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the external air circulation duct, and the evaporator, the suction fan, and the heater constituting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of the above-mentioned constant temperature and
본 발명은 랙함(1) 내부공기를 랙함(1) 내로 공급, 순환시키며 일정하게 항온항습을 유지시키는 항온항습모듈(2)과 흡입덕트(3), 토출덕트(4), 방열덕트(5)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밀폐연결덕트(6)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a suction duct (3), a discharge duct (4), a heat dissipating duct (5) And a hermetically connecting duct (6) for connecting the hermetically connecting duct (6).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 중 밀폐연결덕트(6)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도면으로, 상기 밀폐연결덕트(6)는 랙함(1) 내부공기의 순환과정(흡입과정 및 토출과정)과 열교환된 공기를 방열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누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밀폐기능을 갖추며 또한 쉽고 빠르게 설치, 탈착할 수 있게 구성한다.11 to 18 illustrate the construction of the closed connecting
상기 밀폐연결덕트(6)는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사이에, 또 토출구(22)와 토출덕트(4)의 유입구(41) 사이에, 그리고 외부공기순환덕트의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 사이에 밀폐기능을 수반하면서 이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랙함(2) 내부 공기를 순환, 공급시키고 방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closed connecting
상기 밀폐연결덕트(6)는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사이, 또 토출구(22)와 토출덕트(4)의 유입구(41) 사이, 그리고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 사이의 모든 연결부에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적용된다.The closed connecting
상기 밀폐연결덕트(6)는 마주보는 한쌍의 조립부재(7,7')로 이루어지며, 조립부재(7,7')에는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및 토출구(22)와 토출덕트(4),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부(71,71')를 각각 형성한다.The
상기 밀착부(71,71')는 마주보는 좌우 양측에 동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양 밀착부(71,71')를 동형으로 형성하여 좌우 양측에 균등한 밀착력이 작용되게 하는 것이 밀착기능의 안정성 등, 여러 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및 토출구(22)와 토출덕트(4),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의 외면에 충분한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크기(넓이)로 구성하고, 밀착면은 빈틈없이 튼튼하고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A sufficient area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물론 상기 밀착부(71,71')의 크기(넓이)와 형태 등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Of cours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izes (widths) and shapes of the
상기와 같이 마주보는 양측에 밀착부(71,71')가 형성되는 조립부재(7,7')는 밀착부(71,71') 내측으로 통로부(72,72')를 역시 마주보게 형성하고 이들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양측 조립부재(7,7')의 통로부(72,72')를 통해 서로 연통되게 한다.The assembling
상기 조립부재(7,7')의 통로부(72,72')는, 도시한 예와 같은 사각형은 물론 원형 등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서로 슬라이드결합되어 신축되도록 어느 한쪽 통로부(72,72') 외경이 다른 쪽 통로부(72,72') 내경에 부합되게 하여 이들 통로부(72,72')를 서로 마주보면서 슬라이드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게 한다.The
상기 마주보며 결합되는 통로부(72,72')의 내,외경은 매우 기민하게 슬라이드작동되면서 안정적인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조립공차로 구성함은 당연하며, 이들 슬라이드결합되는 내,외경면에는 슬라이드작동을 원만히 함과 아울러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씰(Seal)부재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다.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of the opposing
상기와 같이 통로부(72,72')가 서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조립부재(7,7')에는 양측 밀착부(71,71')를 외향으로 탄력지지하여 밀폐력을 발휘케 하는 탄력부재(8,8')를 결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members 8 (8, 7 ') for exerting the sealing force to the
상기 탄력부재(8,8')는 양단을 조립부재(7,7') 사이에서 양측 밀착부(71,71')의 밀착면 배면(背面)에 고정시켜서 조립부재(7,7')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고 또 설치후에는 조립부재(7,7') 양측 밀착부(71,71')를 서로 대향으로 밀어서 밀착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The
상기 탄력부재(8,8')에 의해 발생되는 밀착력 등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다시 설명할 것이다.The adhesion force generated by the
상기 탄력부재(8,8')는 도시한 예와 같이 코일스프링 등으로 실시하며, 조립부재(7,7')의 밀착부(7,7')에는 탄력부재(8,8')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고 또 탄력부재(8,8')의 탄력적인 신축작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조립돌기(73,73')를 구비할 수 있다.The
이하에는 상기 밀폐연결덕트(6)를 장착, 분리하는 과정 등을 통해 밀폐연결덕트(6)의 구성 및 작용 등을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losed connecting
항온항습모듈(2)을 랙함(1) 하부에 슬라이드결합한 상태에서 내부공기순환덕트 및 외부공기순환덕트의 완성을 위해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사이, 토출구(22)와 토출덕트(4)의 유입구(41) 사이, 그리고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 사이의 각 연결부에 밀폐연결덕트(6)를 설치한다.In order to complete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duct and the external air circulation duct in a state where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상기한 밀폐연결덕트(6)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들 연결부 모두에 동일한 구성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를 위주로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losed connecting
밀폐연결덕트(6)는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에 위치를 맞추고 이들 사이에 조립부재(7,7')를 내향으로 축소시킨 상태(오므린 상태)로 밀어넣어 끼우는 것으로 간단히 결합이 이루어진다.The closed connecting
즉, 양측 조립부재(7,7')를 내측 중앙으로 눌러 탄력부재(8,8')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양측 조립부재(7,7')를 손으로 오므려서 탄력부재(8,8')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조립부재(7,7')의 마주보는 양측 밀착부(71,71')를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사이를 향해 끼워넣는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이때 양측 밀착부(71,71') 내측 통로부(72,72')는 상기 조립부재(7,7')와 함께 내측으로 슬라이드이동되어 압축되고, 밀착부(71,71')가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외면에 위치된 후 압축이 해제되면 탄력부재(8,8')의 복원력으로 양 밀착부(71,71')가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사이에서 이들 외면을 향해 벌어지면서 밀착된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밀착부(71,71')는 압축되었던 탄력부재(8,8') 복원력으로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외면에 강력하게 밀착되어 이들 연결부를 밀폐시키고 중앙 통로부(72,72')는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를 서로 연통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과정에서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외면에는 밀폐연결덕트(6)의 밀착부(71,71')가 제 위치를 찾아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조립부재(7,7')의 밀착부(71,71')를 안내하고 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9,9')를 구비시킬 수 있다.In the process described above, the
상기 가이드(9,9')는 도시한 예와 같이 밀폐연결덕트(6)를 분리, 결합하는 방향을 제외하고 상/하 및 후방의 3방향에서 조립부재(7,7')의 밀착부(71,71')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다.The
상기 가이드(9,9')는 도시한 기역자(ㄱ) 모양 등, 조립부재(7,7')의 밀착부(71,71')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밀폐연결덕트(6)가 연결된 상태에서 오작동 등의 여러 이유로 항온항습모듈(2)을 분리하기 위해 밀폐연결덕트(6)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립부재(7,7')의 중앙 통로부(72,72')를 잡고 가이드(9,9')가 없는 분리방향으로 밀폐연결덕트(6)를 빼내어 분리하거나 양측 조립부재(7,7')의 밀착부(71,71')를 중앙으로 오므려서 탄력부재(8,8')를 압축하고 밀폐연결덕트(6)를 빼내어 분리한다.When the
이를 위해 조립부재(7,7')의 밀착부(71,71')에는 밀착부(71,71')를 손 등으로 잡고 오무릴 수 있도록 파지수단(도시생략)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상기와 같이 밀폐연결덕트(6)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조립부재(7,7')에 형성된 밀착부(71,71')가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에 밀착, 연결됨으로써 이들을 밀폐기능을 보장한 상태에서 서로 연통시킨다.As described above, in the
상기 밀폐연결덕트(6)는 전술한 과정으로 항온항습모듈(2)의 토출구(22)와 토출덕트(4)의 유입구(41) 사이의 연결부, 또 항온항습모듈(2)의 외부공기순환덕트 측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 사이의 연결부에도 모두 동일한 구성과 작용으로 적용된다.The
항온항습모듈(2)의 토출구(22)와 토출덕트(4)의 유입구(41) 사이 연결부에 그리고 항온항습모듈(2)의 외부공기순환덕트(B) 측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 사이 연결부에 설치되는 밀폐연결덕트(6)의 설치 과정 등에 대해서는 이미 밝힌 바와 같이 전술한 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들 설치작업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다만, 항온항습모듈(2)의 외부공기순환덕트 측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는 후방에 배치되므로 도시한 예와 같이 후면 도어(20)를 열고 설치 및 분리작업 등을 할 수 있도록 실시함이 유리할 것이다.Since the outside air circulation duct
도 19는 상기 밀폐연결덕트(6)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19 show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closed connecting
도시한 예와 같이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 토출구(22) 및 방출구(23)에 밀폐연결덕트(6)의 일측 조립부재(7'), 밀착부(71') 및 통로부(72')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토출덕트(4)의 유입구(41), 방출덕트(5)의 배출구(51)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밀착부(71), 통로부(72)를 형성하여 탄력부재(8,8')를 결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The assembling member 7 ', the tight fitting portion 71', and the connecting portion 7 'of the closed connecting
즉, 밀폐연결덕트(6)의 어느 일측 조립부재(7'), 밀착부(71'), 통로부(72')는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 토출구(22), 방출구(23) 또는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토출덕트(4)의 유입구(41), 방출덕트(5)의 배출구(51)에 일체로 형성하고, 다른 일측의 조립부재(7), 밀착부(71), 통로부(72)를 탄력부재(8,8')로 결합하여 구성하는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That is, one of the assembling member 7 ', the close contact portion 71' and the passage portion 72 'of the closed connecting
한편, 도 2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서버랙 조립구조의 일례를 보인 것으로, 서버랙의 주요부품 등을 유닛화한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어셈블리로 구성함으로써 설치장소나 여건이 협소한 공간 등에서 서버랙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 20 shows an example of the server rack assembling structur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rack assembling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by assembling the main parts of the server rack into a unit,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repair can be easily provided.
상기와 같이 밀폐연결덕트(6)를 구비한 본 발명은 랙(R)은 랙함(1) 내부공기가 랙함(1) 내부에 장착되는 항온항습모듈(2)에 의해 냉각/가열되어 랙함(1) 내로 공급, 순환되면서 일정하게 항온항습을 유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losed connecting
또 상기 항온항습모듈(2)은 랙함(1) 하부에서 출납(出納)으로 탈착할 수 있으므로 항온항습모듈(2)을 랙함(1)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항온항습모듈(2)의 고장 등의 경우에는 도어(10)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랙함(1) 내 전산장비를 정상적으로 운용하면서 항온항습모듈(2)만을 간단히 분리하여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보수, 유지, 관리할 수 있다.The constant temperature and
그리, 도 21 및 도 22와 같이 상기 서버랙(R) 하부에는 케이블 인입부(30)를 구비하여 케이블 인입과 밀폐유지가 가능하게 하고 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하며, 서버랙(R) 상부에도 케이블 인입부(40)를 구비하여 케이블 트레이 등으로부터 다수의 통신 케이블을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As shown in FIGS. 21 and 22, a
즉, 상기 서버랙(R) 하부 케이블 인입부(30)는 도시한 예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부호 생략)를 구비하여 케이블과 마감재를 인입한 후 닫아서 케이블 인입과 밀폐유지가 가능하게 하고 인입된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한다.In other words, the server rack (R) lower
또 상기 서버랙(R) 하부에는 다수의 케이블을 인입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슬롯 등을 마련한 케이블 인입부(40)를 구비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 등을 이용해 다수의 통신 케이블을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server rack (R) has a cable pull-in portion (4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ots so as to allow a plurality of cables to be drawn thereinto, so that a large number of communication cables can be conveniently introduced using a cable tray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은 정전 등에 의해 항온항습모듈(2)이 작동하지 않아 랙함(1) 내부에 설정온도 이상의 이상고온이 발생한 경우 등에 랙함(1) 내부의 고온공기를 강제로 빠르게 배출시키고, 외부 공기를 랙함(1) 내부로 빠르게 함(1) 내부의 전산장비가 문제없이 정상 작동될 수 있도록 배기댐퍼와 흡기댐퍼 등으로 구성되는 비상보호장치(50)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does not operate due to power failure or the like and an abnormality higher than a set temperature occurs in the rack (1), the hot air in the rack (1) To the inside of the
또, 본 발명은 랙함(1) 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소화시켜 랙함(1)내 화재를 조기에 진화토록 함으로써 랙함(1) 내 전산장비를 보호하고 화재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동소화장치(60)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d automatically extinguishes fire in the case of a fire in a rack (1). (1) protects the computer equipment in the fire by spreading the fire early (1) And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60).
또, 본 발명은 항온항습모듈(2)을 일반 전원(상용 전원)에 연결하고, 랙함(1)의 비상보호장치(50) 등은 전력소모가 거의 없는 콘트롤러 등과 함께 UPS전원에 연결하여 정전 시 등 비상시에 비상 보호장치가 정상작동될 수 있게 실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또, 본 발명은, 서버랙(R)의 랙함(1)내에 장착된 전산장비의 상태(랙함(1) 내부 온도, 이상발열감지, 화재감지 및 전산장비의 정상작동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다양한 모바일기기(스마트폰, 태플릿, PC 등)를 통해 원격으로 관리, 통제하여 관리자가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에서나 관제(Control & Monitring)할 수 있도록 원격관제장치(RCU)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computer equipmen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ack (1), the abnormal heat detection, the fire detection, and the normal operation of the computer equipment) mounted in the rack box (1) of the server rack Remote Control Unit (RCU) to manage and control through various mobile devices (smart phone, tablet, PC, etc.) so that the manager can control and monitor anytime and anywhere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Can be implemen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R:서버랙
10/20:도어 30/40:케이블 인입부
50:비상보호장치 60:자동소화장치
1:랙함 2:항온항습모듈
21:흡입구 22:토출구
23:방출구 24:외기덕트
3:흡입덕트
31:송출구 32:흡입공
4:토출덕트
41:유입구 42:토출공
5:방출덕트
51:배출구 52:방출공
6:밀폐연결덕트
7,7':조립부재 71,71':밀착부
72,72':통로부 73,73':조립돌기
8,8':탄력부재 9,9':가이드
전술한 부호의 설명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 기재된 용어는 본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는 물론 도면을 포함한 전체 기재내용으로 보아서 그 기술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하여야 하는 것이지 사전적 의미에 한정함으로써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개념을 불분명하게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R: Server rack
10/20:
50: Emergency protection device 60: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1: Rack 2: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1: inlet 22: outlet
23: Outlet 24: Outer air duct
3: Suction duct
31: delivery port 32: suction port
4: Discharge duct
41: Inlet port 42: Discharge hole
5: Emission duct
51: Outlet 52: Emitter
6: Closed connection duct
7, 7 ':
72,72 ':
8,8 ':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the appended claims. The meaning and concept of the term use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unclear way by limiting it to meaning.
Claims (8)
상기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사이,
상기 항온항습모듈(2)의 토출구(22)와 토출덕트(4)의 유입구(41) 사이,
상기 항온항습모듈(2)의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 사이에 밀폐기능을 수반하면서 이들을 서로 연통시키는 밀폐연결덕트(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랙.A rack box (1) for mounting the computer equipment there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detachably attached to the rack box (1) by slide coupling and keeping the interior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t all times; A server rack (R) comprising a suction duct (3) for circulating air in the rack box (1), a discharge duct (4) and a heat dissipating duct (5)
Between the inlet 21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and the outlet 31 of the suction duct 3,
Between the discharge port 22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and the discharge port 41 of the discharge duct 4,
Characterized in that an airtight connection duct (6) is formed between the outlet (23)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and the outlet (51) of the discharge duct (5) with an airtight functio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토출구(22)와 토출덕트(4)에 밀착되는 밀착부(71,71'),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에 밀착되는 밀착부(71,71');
상기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토출구(22)와 토출덕트(4)에 밀착되는 밀착부(71,71'),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를 연통시키는 통로부(72,72');
상기 양측 밀착부(71,71')를 탄력지지하여 밀폐력을 하는 탄력부재(8,8')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랙.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osed connecting duct (6) comprises:
(71, 71 ')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ction port (21)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and the discharge port (31), the discharge port (22) and the discharge duct (4) of the suction duct (3) 23) and the discharge port (51) of the discharge duct (5);
(71, 71 ')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ction port (21)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and the discharge port (31), the discharge port (22) and the discharge duct (4) of the suction duct (3) 23) and the discharge port (51) of the discharge duct (5);
, And a resilient member (8, 8 ')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two side close parts (71, 71') to provide a sealing force.
마주보는 양측 조립부재(7,7')에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및 토출구(22)와 토출덕트(4), 방출구(23)와 방출덕트(5)의 배출구(51)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부(71,71')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부(71,71') 내측에는 통로부(72,72')를 슬라이드결합되어 신축되게 결합하며,
상기 조립부재(7,7')에는 양측 밀착부(71,71')를 외향으로 탄력지지하여 밀폐력을 발휘하는 탄력부재(8,8')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랙.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osed connecting duct (6) comprises:
The suction port 21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and the discharge port 31 of the suction duct 3 and the discharge port 22 and the discharge duct 4 and the discharge port 23 'and the discharge port 51 of the discharge duct 5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charge duct 5 and the passage portions 72, 72' Joined together and stretched,
Wherein the assembling member (7, 7 ') is formed by coupling elastic members (8, 8') that exert a sealing force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two side contact portions (71, 71 ') outwardly.
상기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 토출구(22) 및 방출구(23)에 밀폐연결덕트(6)의 조립부재(7'), 밀착부(71') 및 통로부(72')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토출덕트(4)의 유입구(41), 방출덕트(5)의 배출구(51)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밀착부(71), 통로부(72)를 형성하여 탄력부재(8,8')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랙.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sealed connecting duct (6) comprises:
The assembling member 7 ', the close contact portion 71' and the passage portion 72 'of the closed connecting duct 6 ar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21, the discharge port 22 and the discharge port 23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And a tightly fitted portion (not shown) which is tight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let duct 31 of the suction duct 3, the inlet 41 of the discharge duct 4 and the outlet 51 of the discharge duct 5, 71, and a passage portion (72) are formed to connect the elastic members (8, 8 ').
상기 항온항습모듈(2)의 흡입구(21)와 흡입덕트(3)의 송출구(31) 외면에는 밀폐연결덕트(6)가 제 위치를 찾아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안내하고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가이드(9,9')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랙.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duct 9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ction port 21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2 and the outlet port 31 of the suction duct 3 for guiding the closed connection duct 6 to be correctly positioned, , 9 ').
상기 서버랙(R) 하부에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케이블 인인부(30)를 구비하여 케이블 인입과 밀폐유지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랙.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able pull-in portion (30) having a slide cover at a lower portion of the server rack (R).
상기 서버랙(R) 상부에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다수의 통신 케이블을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슬롯을 갖춘 케이블 인입부(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랙.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able inlet (40) having a plurality of slots so tha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cables can be easily drawn from a cable tray on the server rack (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6945A KR101816060B1 (en) | 2016-09-12 | 2016-09-12 | The server r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6945A KR101816060B1 (en) | 2016-09-12 | 2016-09-12 | The server ra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6060B1 true KR101816060B1 (en) | 2018-01-08 |
Family
ID=6100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69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816060B1 (en) | 2016-09-12 | 2016-09-12 | The server ra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6060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1118B1 (en) * | 2018-01-30 | 2018-07-23 | 김래전 | A Process control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using EMP protection instrumentation control device enclosure |
KR102229966B1 (en) | 2020-09-21 | 2021-03-18 | 문형조 | System of management for computerized equipm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CN114667047A (en) * | 2022-04-22 | 2022-06-24 | 中煤科工集团重庆智慧城市科技研究院有限公司 |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emperature and humidity adjustment for ACU cabinets |
KR20240039403A (en) | 2022-09-19 | 2024-03-26 | 주식회사 알링크 | Server rack |
KR102749803B1 (en) * | 2024-04-29 | 2025-01-03 | 강인석 | Mathematics education and diagnosis system for gifted student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8873B1 (en) * | 2014-08-07 | 2014-12-05 | 주식회사 씨엔씨알 | Thermostatic device of the server rack |
WO2015088186A1 (en) | 2013-12-11 | 2015-06-18 | 주식회사 한경아이넷 | Cooling control device for server rack comprising flexible duct |
WO2016068552A2 (en) | 2014-10-27 | 2016-05-06 | (주)두비컴퓨팅 | Rackmount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2016
- 2016-09-12 KR KR1020160116945A patent/KR10181606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88186A1 (en) | 2013-12-11 | 2015-06-18 | 주식회사 한경아이넷 | Cooling control device for server rack comprising flexible duct |
KR101468873B1 (en) * | 2014-08-07 | 2014-12-05 | 주식회사 씨엔씨알 | Thermostatic device of the server rack |
WO2016068552A2 (en) | 2014-10-27 | 2016-05-06 | (주)두비컴퓨팅 | Rackmount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1118B1 (en) * | 2018-01-30 | 2018-07-23 | 김래전 | A Process control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using EMP protection instrumentation control device enclosure |
KR102229966B1 (en) | 2020-09-21 | 2021-03-18 | 문형조 | System of management for computerized equipm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CN114667047A (en) * | 2022-04-22 | 2022-06-24 | 中煤科工集团重庆智慧城市科技研究院有限公司 |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emperature and humidity adjustment for ACU cabinets |
KR20240039403A (en) | 2022-09-19 | 2024-03-26 | 주식회사 알링크 | Server rack |
KR102749803B1 (en) * | 2024-04-29 | 2025-01-03 | 강인석 | Mathematics education and diagnosis system for gifted studen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6060B1 (en) | The server rack | |
KR101468873B1 (en) | Thermostatic device of the server rack | |
JP5628292B2 (en) | Cold train encapsulation for server farm cooling system | |
JP6285058B2 (en) | Cold train encapsulation for server farm cooling system | |
JP6258450B2 (en) | Cold train encapsulation for server farm cooling system | |
US6896612B1 (en) | Self-cooled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with failure tolerant cool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 |
KR100997045B1 (en) | Server rack | |
TWI624752B (en) | Data center having a cold row encapsulation structure for cooling servers and method thereof | |
US20170280593A1 (en) | Rackmount Cooling System | |
KR101468874B1 (en) | The emergency protection apparatus of the server rack | |
WO2016068552A2 (en) | Rackmount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101476105B1 (en) | Easily detachable Modulized Isothermal-Isohumidity Device for Sub-rack | |
KR102034552B1 (en) | The emergency protection apparatus of the server rack | |
US6542361B2 (en) | System for cooling computer components housed within a computer casing | |
US10492336B2 (en) | Subrack assembly for electronic equipment | |
US7236359B2 (en) |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personal computers | |
TW200417307A (en) | Environmental control kit for sealed cabinets | |
JP2765365B2 (en) | Air conditioner | |
TWI684852B (en) | Rack system and rack door | |
JP2012093859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JP6021423B2 (en) | Heat exchange unit | |
JP4691144B2 (en) |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rack | |
CN104238247B (en) | Projector equipment | |
EP3603360A1 (en) | Data cabinet | |
KR20040001731A (en) | Outdoor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cool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