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883B1 - Smart Phone Case with Virtual Glasses and Virtual Relity Providing Apparatus Having Thereof - Google Patents
Smart Phone Case with Virtual Glasses and Virtual Relity Providing Apparatus Hav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4883B1 KR101814883B1 KR1020150187084A KR20150187084A KR101814883B1 KR 101814883 B1 KR101814883 B1 KR 101814883B1 KR 1020150187084 A KR1020150187084 A KR 1020150187084A KR 20150187084 A KR20150187084 A KR 20150187084A KR 101814883 B1 KR101814883 B1 KR 1018148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eye lens
- virtual
- smartphone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02B27/2228—
-
- A45C2011/00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가상 실현 제공 장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가상안경을 장착하고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밀폐형 거치대에 결합시켜 휴대성과 실용성을 높이고 스마트폰 케이스와 가상안경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하여 눈의 피로를 줄이면서 입체 영상을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tegrated smartphone case with virtual glasses and the virtual reality providing device with it are equipped with virtual glasses on the smartphone case and the integrated smartphone case with the virtual glasses to the closed type mount to enhance portability and practicality, So that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comfortably viewed while reducing eye fatigu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상 실현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케이스에 가상안경을 장착하고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밀폐형 거치대에 결합시켜 휴대성과 실용성을 높이고 스마트폰 케이스와 가상안경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하여 눈의 피로를 줄이면서 입체 영상을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는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가상 실현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provi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reality providing apparatus, in which virtual glasses are mounted on a smartphone case, a smartphone integrated type smartphone case is coupled to a closed type mount to enhance portability and practica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integrated type smartphone case capable of viewing a stereoscopic image comfortably while reducing eye fatigue by constituting a connecting member, and a virtual realization provi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오늘날,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속히 늘어나고 성능이 크게 개선되어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시청하는 빈도와 시간이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런데 스마트폰은 화면의 크기가 제한적이어서 2차원 영상을 그대로 시청하기에는 부족함이 많다.Today, the spread of smart phones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performance is greatly improved, and the frequency and time for watching videos on smart phones are increasing.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screen is limited, it is not enough to view the 2D image as it is.
휴대폰의 본래적 특징상 화면 크기를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재의 휴대폰에서는 3D 데이터를 구현하여 고해상도 입체 영상으로 시청하는 것이 불가능하다.There is a limitation in extending the screen size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phone.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3D data and view it as a high resolution stereoscopic image in the current mobile phone.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입체 영상에 대한 관람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영상을 입체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enable a smartphone image to be viewed as a stereoscopic image in order to meet the need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of smartphone users.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식에 의해 무안경식으로 랜티큘러 막을 디스플레이에 부착하여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 기술에 의한 입체 영상은 3D TV 등에서와 같이 애초에 3차원 영상을 염두에 두고 제작한 3D 영상과 3D 전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영상에 비해서 입체감이 현저히 떨어진다.It is a technology to attach a lenticular film to a display by using a method of converting a two-dimensional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so that stereoscopic images can be viewed. However, stereoscopic images by this technique are significantly less stereoscopic than stereoscopic images originally produced with 3D images in mind, such as 3D TVs, and images provided by 3D-only displays.
3D 안경(렌즈)을 이용하는 기술은 3D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서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입체 영상으로 감상하는 방법이다.The technology using 3D glasses (lenses) is a method of viewing images displayed on a smart phone in a stereoscopic image by holding the smartphone in hand while wearing 3D glasses.
이러한 방법은 스마트폰을 오랜 시간 동안 계속 들고 있어야 하고 3D 안경을 매번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와 일정한 거리, 각도 등 정확한 초점을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3D 안경 간의 초점이 제대로 맞지 않을 경우, 어지럼증이나 눈의 피로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This method has the drawback that it is difficult to keep the smartphone for a long time and it is inconvenient to carry the 3D glasses every time,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ccurate focus such as a certain distance and angle with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Also, when the focus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3D glasses is not properly adjusted, dizziness or eye fatigue occurs.
사람의 두 눈의 간격은 나이, 성별, 인종 등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다. 3D 안경의 렌즈 간격이 사용자의 두 눈의 간격과 맞지 않는 경우 영상의 초점이 맞지 않아서 영상이 깨끗하게 보이지 않고 어지럼증이나 눈의 피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wo eyes of a person varies according to age, sex, and race. If the lens gap of the 3D glasses does not match the gap between the two eyes of the user, the image may not be in focus and the image may not be seen clearly, resulting in dizziness or eye fatigu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가상안경을 장착하고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밀폐형 거치대에 결합시켜 휴대성과 실용성을 높이고 스마트폰 케이스와 가상안경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하여 눈의 피로를 줄이면서 입체 영상을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는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가상 실현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phone which is equipped with virtual glasses in a smartphone case, a smartphone integrated type smartphone case is coupled to a closed type socket to enhance portability and practical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rtual camera integrated smartphone case capable of viewing a stereoscopic image comfortably while reducing the fatigue of ey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면에 스마트폰(11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타면에 형성된 안경 삽입홈(205)에 연결부재(220)와 결합된 가상안경(210)이 매설되고 일측에 설치된 오픈버튼(203)의 작동에 따라 가상안경(210)이 상기 연결부재(220)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스프링(204)에 의해 안경 삽입홈(205)으로부터 이탈되어 수용 공간 측으로 회전하고 연결부재(220)에 의해 상기 가상안경(210)이 스마트폰(110)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하는 케이스몸체(201)를 포함하고,And an
가상안경(210)은 일정 두께의 직사각형 형상의 안경본체(211)를 형성하고, 안경본체(211)의 하단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에 나란히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이 뚫려 있고,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에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고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가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의 상하부 내측을 따라 활주 이동하여 렌즈 간격을 조절하며, 연결부재(220)는 길이를 가변시켜 케이스몸체(201)와 가상안경(21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가상 실현 제공 장치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면에 스마트폰(11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몸체(201)와, 케이스몸체(201)의 타면에 형성된 안경 삽입홈(205)에 연결부재(220)와 결합된 가상안경(210)이 매설되고 일측에 설치된 오픈버튼(203)의 작동에 따라 가상안경(210)이 연결부재(220)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스프링(204)에 의해 안경 삽입홈(205)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수용 공간 측으로 회전하고 연결부재(220)에 의해 가상안경(210)이 상기 스마트폰(110)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하는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200); 및A pair of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귀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스마트폰(110)이 제공하는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헤드폰(103)을 구비하는 밀폐형 거치대(100)를 포함하며,A headphone (100) configured to be worn by a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virtual glasses integrated smartphone case (200) is inserted and to convert an audio signal provided by the smartphone (110) (100) having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103)
가상안경(210)은 일정 두께의 직사각형 형상의 안경본체(211)를 형성하고, 안경본체(211)의 하단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에 나란히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이 뚫려 있고,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에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고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가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의 상하부 내측을 따라 활주 이동하여 렌즈 간격을 조절하며, 연결부재(220)는 길이를 가변시켜 케이스몸체(201)와 가상안경(21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가상안경을 장착하고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밀폐형 거치대에 결합시켜 휴대성과 실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portability and practicality by attaching virtual glasses to the smartphone case and connecting the smartphone integrated type smartphone case to the closed type mount.
본 발명은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스마트폰 케이스와 가상안경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하여 눈의 피로를 줄이면서 입체 영상을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stereoscopic image can be comfortably viewed while reducing eye fatigue by constituting a connection member for adjusting a focal distance of a smartphone case and virtual glasses in a smartphone integrated smartphone ca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제공 장치를 실제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거치대를 사람의 얼굴이 접촉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와 밀폐형 거치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가상안경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ㅑ.
도 7은 도 6의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의 좌우 간격을 조절하는 렌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의 좌우 간격을 조절하는 렌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의 렌즈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 간의 초점을 연결부재에 의해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길이 조절하는 모습을 위에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길이 조절하는 모습을 위에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virtual reality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losed typ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direction in which a face of a person is contacted.
FIG. 3 and FIG. 4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rtual eyewear integrated smartphone case and the closed type cradl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one side of a smartphone-integrated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virtual eyeglass case opened in a virtual-eyepiece-integrated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virtual eyeglass-integrated smartphone case of FIG. 6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ens for adjusting left and right gaps of virtual glas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ens for adjusting left and right gaps of virtual glass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cus between the lens of the virtual eyeglasses and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is adjusted by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제공 장치를 실제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거치대를 사람의 얼굴이 접촉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와 밀폐형 거치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irtual reality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worn, FIG. 2 is a view showing a closed typ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integrated type smartphone case and the closed type cradl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제공 장치는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200)가 삽입되는 밀폐형 거치대(100)를 포함한다.The virtual reality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osed
밀폐형 거치대(100)는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200)를 삽입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사람의 머리에 써서 눈으로 3D 영화 및 3D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스마트폰 케이스(200)에는 스마트폰(11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밀폐형 거치대(100)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머리에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는 밴드(101)를 부착한 본체(102)를 형성하고, 밴드(101)가 부착되지 않은 본체(102)의 전단에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200)를 넣을 수 있는 삽입홈(106)을 형성하고 삽입홈(106)의 내측면 테두리에 형성되어 스마트폰 케이스(200)를 삽입시 쓰러지지 않게 고정되는 고정판(105)을 포함한다.The closed
삽입홈(106)은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200)가 결합하도록 동일한 사이즈로 구성된다.The
본체(102)는 밴드(101)가 부착되는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측으로 사람의 코 모양으로 파여진 코받침홈(104)이 형성된다. 본체(102)의 삽입홈(106)으로 스마트폰 케이스(200)를 삽입한 채 본체(102)의 코받침홈(104) 쪽에 걸려 있는 밴드(101)를 머리에 써 고정시킨 후 3D 영화 감상이나 3D 게임을 즐기게 된다.The
본체(102)는 전면 커버가 열리면서 삽입홈(106)이 노출되고 전면 커버가 닫히면서 삽입홈(106)이 폐쇄된다. 전면커버의 내측면에는 스마트폰 케이스(200)의 일면이 부착이 가능한 압착식 고무패킹(107)이 장착되어 있다.The
헤드폰(103)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으며 스마트폰(110)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오디오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수신하여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물론, 헤드폰(103)은 스마트폰(110)과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headphone 103 has a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and receives an audio signal of an image reproduced by the smartphone 110 via Bluetooth communication and converts the audio signal into sound. Of course, the headphone 103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110 by wir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200)에는 스마트폰(110)이 장착한 상태에서 밀폐형 거치대(100)의 삽입홈(106)으로 삽입된다.3 and 4, the virtual eyewear integrat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가상안경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a smartphone integrated typ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virtual eyeglass spread in a smartphone integrated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virtual eyeglass-integrated smartphone case of FIG. 6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200)는 케이스몸체(201)의 일면에 스마트폰(110)이 탈부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케이스몸체(201)의 타면에 카메라홈(202), 가상안경(210), 오픈버튼(203)을 포함한다. 가상안경(210)은 케이스몸체(201)의 타면에 형성된 안경 삽입홈(205)에 매설되어 있다.The smartphone integrated
오픈버튼(203)을 선택하는 경우, 가상안경(210)은 회전스프링(204)에 의해 안경 삽입홈(205)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스프링(204)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되어 스마트폰(110)의 디스플레이 측으로 튕겨져 나간다.When the
스마트폰 케이스(200)는 회전스프링(204)에 결합된 연결부재(220)에 의해 가상안경(210)과 결합된다.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케이스(200)는 스마트폰(110)이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영상이 출력되고 가상안경(210)의 좌우에 나란히 배치된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를 통해 출력되는 입체 영상을 감상한다. 7,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의 좌우 간격을 조절하는 렌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의 좌우 간격을 조절하는 렌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ens for adjusting the left-right distance of the virtual glas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210)은 일정 두께의 직사각형 형상의 안경본체(211)를 형성하고, 안경본체(211)의 하단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에 나란히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이 뚫려 있으며, 안경본체(211)의 중심부 하단에 사람의 코을 받칠 수 있도록 코받침홈(212)이 뚫려 있다.8, the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은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고 상하부 내측을 따라 기어홈(213a, 21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left
좌안용 렌즈(215)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기어(215a)와 하부기어(215b)가 형성되어 좌안용 렌즈홈(213)의 상하부 내측에 형성된 기어홈(213a)과 맞물려 결합되며 상부기어(215a)와 하부기어(215b)가 기어홈(213a)을 따라 폭 방향으로 활주 이동한다.The
우안용 렌즈(216)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기어(216a)와 하부기어(216b)가 형성되어 우안용 렌즈홈(214)의 상하부 내측에 형성된 기어홈(214a)과 맞물려 결합되며 상부기어(216a)와 하부기어(216b)가 기어홈(214a)을 따라 폭 방향으로 활주 이동한다.The
이와 같은 방법으로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는 좌측과 우측으로 렌즈 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eft-
사람마다 동일한 물체가 망막에 맺히는 초점 거리가 약간씩 다를 수 있으며, 같은 사람의 좌우 눈도 초점거리에 약간의 편차가 존재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를 좌우측 방향으로 대략 5mm까지 이동시켜 초점거리를 정밀 조정하게 하면, 안구 근육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영상을 더욱 선명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The focal distance of the same object to the retina may be slightly different for each person, and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same person may also have some variation in focal length. By moving the
인간은 두 눈을 통하여 사물을 관찰함에 있어서 같은 사물을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간격에 의하여 약간 다른 각도와 원근감을 갖는 영상이 양쪽 안구를 통해 망막에 전달된다. 왼쪽 눈의 영상은 우뇌로 그리고 오른쪽 눈을 통해 들어온 영상은 좌뇌로 전달된다. 사람의 뇌는 그 두 영상을 전달받아 합성하여 입체 공간의 원근감을 인식하게 된다.In observing an object through two eyes, a human image is transmitted to the retina through both eyes by an image having a slightly different angle and perspective by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The image of the left eye is transmitted to the right brain and the image of the right eye is transmitted to the left brain. The human brain receives the two images and synthesizes them to recognize the perspective of stereoscopic space.
가상안경(210)은 양쪽 눈의 시야를 시선을 분리시켜 2개의 화면으로 인한 착시 현상이 발생되고 3D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는 거리가 있는 화면을 가깝게 보기 위하여 볼록렌즈를 사용한다.The
스마트폰(1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좌우로 나누어 각각 왼쪽 영상은 좌안용 렌즈(215)를 통해 사람의 왼쪽 눈으로 보게 하고 오른쪽 영상은 우안용 렌즈(216)를 통해 사람의 오른쪽 눈으로 들어가게 하여 사람이 일상에서 입체를 보는 것과 같이 머릿속에서 약간 차이가 있는 영상(오프셋을 갖는 두 영상)을 합성시켜 입체 영상으로 인식하게 된다.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11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eyes so that the left image is seen through the left eye of the person through 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210)은 일정 두께의 직사각형 형상의 안경본체(211)를 형성하고, 안경본체(211)의 하단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에 나란히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이 뚫려 있으며,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의 상하부 내측을 따라 복수개의 좌안용 걸림홈(213c)과 복수개의 우안용 걸림홈(214c)이 형성된다.9, the
좌안용 렌즈(215)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걸림돌기(215c)와 하부걸림돌기(215d)가 형성되어 좌안용 렌즈홈(213)의 상하부 내측에 형성된 좌안용 걸림홈(213c)에 맞물려 오목 볼록 방식으로 결합되며, 좌측과 우측으로 렌즈 간 간격을 조절한다.The
우안용 렌즈(216)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걸림돌기(216c)와 하부걸림돌기(216d)가 형성되어 우안용 렌즈홈(214)의 상하부 내측에 형성된 우안용 걸림홈(214c)에 맞물려 오목 볼록 방식으로 결합되며, 좌측과 우측으로 렌즈 간 간격을 조절한다.Th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안경의 렌즈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 간의 초점을 연결부재에 의해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길이 조절하는 모습을 위에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길이 조절하는 모습을 위에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cus of a virtual eyeglass between a lens of a virtual eyeglass and a display screen of a smart phone is adjusted by a connecting member,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FIG.
스마트폰 케이스(200)와 가상안경(210)은 연결부재(22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데 연결부재(220)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렌즈와 스마트폰(110)의 디스플레이 화면 간의 초점을 조절한다.Th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20)는 일정 두께의 판상의 금속부재로서 스마트폰 케이스(200)의 케이스몸체(201) 일측에 결합된 제1 고정부(221), 제1 고정부(2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223) 및 일단이 가변부(223)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가상안경(210)의 안경본체(211) 일측에 결합된 제2 고정부(222)를 포함한다.11, the connecting
가변부(223)는 제1 고정부(2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일정 간격마다 좌측수용홈(224a)과 우측수용홈(224b)이 형성되어 있다.The
제1 고정부(221)의 내부에는 각각의 좌측수용홈(224a)과 우측수용홈(224b)에 끼워져 결합되는 좌측결합돌기(226a)와 우측결합돌기(226b)가 형성되고 좌측결합돌기(226a)와 우측결합돌기(226b)가 배치되는 좌측돌기홈(225a)과 우측돌기홈(225b)이 형성된다.The
좌측결합돌기(226a)와 우측결합돌기(226b)의 일단에는 좌측스프링(227a)과 우측스프링(227b)이 결합되고, 좌측스프링(227a)과 우측스프링(227b)이 배치되는 좌측스프링홈(228a)과 우측스프링홈(228b)이 형성된다.The
제2 고정부(222)를 잡아 당기게 되면, 좌측수용홈(224a)과 우측수용홈(224b)에 끼워져 결합되는 좌측결합돌기(226a)와 우측결합돌기(226b)가 좌측스프링(227a)과 우측스프링(227b)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눌리면서 이웃한 좌측수용홈과 우측수용홈으로 이동하게 되고 좌측스프링(227a)과 우측스프링(227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좌측결합돌기(226a)와 우측결합돌기(226b)가 이웃한 좌측수용홈과 우측수용홈에 끼워지게 된다.The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가변부(223)가 제1 고정부(221)의 내부에서 이탈되어 외부로 연장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220)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길이가 조절된다.In this way, th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20)는 일정 두께의 판상의 금속부재로서 스마트폰 케이스(200)의 케이스몸체(201) 일측에 결합된 제1 고정부(221), 제1 고정부(2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223) 및 일단이 가변부(223)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가상안경(210)의 안경본체(211) 일측에 결합된 제2 고정부(222)를 포함한다.12, the connecting
제1 고정부(221)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좌측오목홈(230a)과 우측오목홈(230b)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변부(223)는 제1 고정부(2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일정 간격마다 좌측볼록부재(231a)와 우측볼록부재(231b)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볼록부재(231a)와 우측볼록부재(231b)의 개수는 좌측오목홈(230a)과 우측오목홈(230b)의 개수보다 적게 형성되어 있다.The
좌측볼록부재(231a)와 우측볼록부재(231b)는 좌측오목홈(230a)과 우측오목홈(230b)에 오목 볼록 방식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있다. 제2 고정부(222)를 잡아 당기게 되면, 좌측오목홈(230a)과 우측오목홈(230b)에 결합되어 있는 좌측볼록부재(231a)와 우측볼록부재(231b)가 이탈되어 이웃한 좌측오목홈과 우측오목홈에 삽입됨으로써 가변부(223)의 길이가 연장된다.The left
가상안경(210)은 연결부재(220)의 길이 조절로 렌즈와 스마트폰(110)의 디스플레이 화면 간의 초점을 조절하고 두 눈의 간격에 맞게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의 좌우 간격도 조절 가능하여 입체 영상을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by the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such an embodimen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밀폐형 거치대 101: 밴드
102: 본체 103: 헤드폰
104: 코받침홈 105: 고정판
106: 삽입홈 107: 고무패킹
110: 스마트폰 200: 스마트폰 케이스
201: 케이스몸체 202: 카메라홈
203: 오픈버튼 204: 회전스프링
205: 안경 삽입홈 210: 가상안경
211: 안경본체 212: 코받침홈
213: 좌안용 렌즈홈 213a: 기어홈
213c: 좌안용 걸림홈 214: 우안용 렌즈홈
214a: 기어홈 214c: 우안용 걸림홈
215: 좌안용 렌즈 215a: 상부기어
215b: 하부기어 215c: 상부걸림돌기
215d: 하부걸림돌기 216: 우안용 렌즈
216a: 상부기어 216b: 하부기어
216c: 상부걸림돌기 216d: 하부걸림돌기
220: 연결부재 221: 제1 고정부
222: 제2 고정부 223: 가변부
224a: 좌측수용홈 224b: 우측수용홈
225a: 좌측돌기홈 225b: 우측돌기홈
226a: 좌측결합돌기 226b: 우측결합돌기
227a: 좌측스프링 227b: 우측스프링
228a: 좌측스프링홈 228b: 우측스프링홈
230a: 좌측오목홈 230b: 우측오목홈
231a: 좌측볼록부재 231b: 우측볼록부재100: Hermetic holder 101: Band
102: main body 103: headphone
104: nose support groove 105: fixed plate
106: insertion groove 107: rubber packing
110: Smartphone 200: Smartphone case
201: Case body 202: Camera groove
203: open button 204: rotation spring
205: eyeglass inserting groove 210: virtual glasses
211: eyeglass body 212: nose groove
213: Left
213c: latching groove for left eye 214: lens groove for right eye
214a:
215:
215b:
215d: lower locking projection 216: lens for right eye
216a:
216c:
220: connecting member 221: first fixing portion
222: second fixing portion 223: variable portion
224a:
225a:
226a:
227a: left spring 227b: right spring
228a:
230a: left
231a: Left
Claims (6)
상기 가상안경(210)은 일정 두께의 직사각형 형상의 안경본체(211)를 형성하고, 상기 안경본체(211)의 하단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에 나란히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이 뚫려 있고, 상기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에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좌안용 렌즈(215)와 상기 우안용 렌즈(216)가 상기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의 상하부 내측을 따라 활주 이동하여 렌즈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연결부재(220)는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케이스몸체(201)와 상기 가상안경(21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연결부재(220)는 상기 케이스몸체(201) 일측에 결합된 제1 고정부(221), 상기 제1 고정부(2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223) 및 일단이 상기 가변부(223)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가상안경(210)의 안경본체(211) 일측에 결합된 제2 고정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223)는 상기 제1 고정부(2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일정 간격마다 좌측수용홈(224a)과 우측수용홈(224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221)의 내부에는 상기 각각의 좌측수용홈(224a)과 우측수용홈(224b)에 끼워져 결합되는 좌측결합돌기(226a)와 우측결합돌기(226b)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결합돌기(226a)와 우측결합돌기(226b)의 일단에는 좌측스프링(227a)과 우측스프링(227b)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좌측수용홈(224a)과 우측수용홈(224b)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기 좌측결합돌기(226a)와 우측결합돌기(226b)가 상기 좌측스프링(227a)과 우측스프링(227b)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눌리면서 이웃한 좌측수용홈(224a)과 우측수용홈(224b)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변부(223)가 상기 제1 고정부(221)의 내부에서 이탈되어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의 상하부 내측을 따라 복수개의 좌안용 걸림홈(213c)과 복수개의 우안용 걸림홈(214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걸림돌기(215c, 216c)와 하부걸림돌기(215d, 216d)가 형성되어 오목 볼록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And an open button 203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yeglass housing 210. The eyeglass insertion groove 205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yeglass housing 210 accommodates the smartphone 110, The virtual eyeglass 210 is detached from the eyeglass insertion groove 205 by the rotation spring 204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220 and rotates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connection member 220 And a case body 201 in which the virtual eyeglasses 210 ar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virtual eyeglasses 210 form a rectangular main body 211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 provided with left and right lens grooves 213 and right eye lenses 213, The left eye lens 215 and the right eye lens 216 are fitted and fixed to the left eye lens groove 213 and the right eye lens groove 214, And the right eye lens 216 slide along the upper and lower inner sides of the left eye lens groove 213 and the right eye lens groove 214 to adjust the lens interval, The distance between the case body 201 and the virtual glasses 210 is adjusted,
The connecting member 220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221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body 201, a variable part 223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221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a second fixing part 222 extending from the variable part 223 and having the other e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spectacles main body 211 of the virtual glasses 210,
The variable accommodating portion 223 is formed with a left accommodating groove 224a and a right accommodating groove 224b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portion thereof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ortion 221, A left coupling protrusion 226a and a right coupling protrusion 226b are formed inside the left and right receiving grooves 224a and 224b, respectively,
The left spring 227a and the right spring 227b are coupled to one end of the left coupling protrusion 226a and the right coupling protrusion 226b and are engaged with the left receiving groove 224a and the right receiving groove 224b The left engaging protrusion 226a and the right engaging protrusion 226b are pushed in one direction by the left spring 227a and the right spring 227b to move into the adjacent left receiving groove 224a and right receiving groove 224b The variable portion 223 is releas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221 and extends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left eye latching recesses 213c and a plurality of right eye latching recesses 214c are formed along the inside of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eft eye lens groove 213 and the right eye lens groove 214, 215 and the right eye lens 216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concave convex manner by forming upper locking projections 215c and 216c and lower locking projections 215d and 216d on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case.
상기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귀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스마트폰(110)이 제공하는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헤드폰(103)을 구비하는 밀폐형 거치대(1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안경(210)은 일정 두께의 직사각형 형상의 안경본체(211)를 형성하고, 상기 안경본체(211)의 하단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에 나란히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이 뚫려 있고, 상기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에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좌안용 렌즈(215)와 상기 우안용 렌즈(216)가 상기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의 상하부 내측을 따라 활주 이동하여 렌즈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연결부재(220)는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케이스몸체(201)와 상기 가상안경(21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연결부재(220)는 상기 케이스몸체(201) 일측에 결합된 제1 고정부(221), 상기 제1 고정부(2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223) 및 일단이 상기 가변부(223)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가상안경(210)의 안경본체(211) 일측에 결합된 제2 고정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223)는 상기 제1 고정부(2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일정 간격마다 좌측수용홈(224a)과 우측수용홈(224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221)의 내부에는 상기 각각의 좌측수용홈(224a)과 우측수용홈(224b)에 끼워져 결합되는 좌측결합돌기(226a)와 우측결합돌기(226b)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결합돌기(226a)와 우측결합돌기(226b)의 일단에는 좌측스프링(227a)과 우측스프링(227b)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좌측수용홈(224a)과 우측수용홈(224b)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기 좌측결합돌기(226a)와 우측결합돌기(226b)가 상기 좌측스프링(227a)과 우측스프링(227b)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눌리면서 이웃한 좌측수용홈(224a)과 우측수용홈(224b)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변부(223)가 상기 제1 고정부(221)의 내부에서 이탈되어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좌안용 렌즈홈(213)과 우안용 렌즈홈(214)의 상하부 내측을 따라 복수개의 좌안용 걸림홈(213c)과 복수개의 우안용 걸림홈(214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안용 렌즈(215)와 우안용 렌즈(216)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걸림돌기(215c, 216c)와 하부걸림돌기(215d, 216d)가 형성되어 오목 볼록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A case body 201 which forms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martphone 110 on one side and a virtual eyeglass case 220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220 in an eyeglass inserting groove 205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body 201 The virtual eyeglasses 210 are moved from the eyeglass insertion groove 205 by a rotation spring 204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n button 203 installed at one side Integrated smartphone case 200 in which the virtual glasses 210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110 by the connection member 220, ; And
The virtual glasses-integrated smartphone case 200 is configured to be worn by a user in a state where the smartphone-integrated smartphone case 200 is inserted, and the audio signal provided by the smartphone 110 is converted into sound and output (100) having a headphone (103) to which a headphone (103)
The virtual eyeglasses 210 form a rectangular main body 211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 provided with left and right lens grooves 213 and right eye lenses 213, The left eye lens 215 and the right eye lens 216 are fitted and fixed to the left eye lens groove 213 and the right eye lens groove 214, And the right eye lens 216 slide along the upper and lower inner sides of the left eye lens groove 213 and the right eye lens groove 214 to adjust the lens interval, The distance between the case body 201 and the virtual glasses 210 is adjusted,
The connecting member 220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221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body 201, a variable part 223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221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a second fixing part 222 extending from the variable part 223 and having the other e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spectacles main body 211 of the virtual glasses 210,
The variable accommodating portion 223 is formed with a left accommodating groove 224a and a right accommodating groove 224b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portion thereof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ortion 221, A left coupling protrusion 226a and a right coupling protrusion 226b are formed inside the left and right receiving grooves 224a and 224b, respectively,
The left spring 227a and the right spring 227b are coupled to one end of the left coupling protrusion 226a and the right coupling protrusion 226b and are engaged with the left receiving groove 224a and the right receiving groove 224b The left engaging protrusion 226a and the right engaging protrusion 226b are pushed in one direction by the left spring 227a and the right spring 227b to move into the adjacent left receiving groove 224a and right receiving groove 224b The variable portion 223 is releas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221 and extends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left eye latching recesses 213c and a plurality of right eye latching recesses 214c are formed along the inside of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eft eye lens groove 213 and the right eye lens groove 214, 215 and the right eye lens 216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concave convex manner by forming upper locking projections 215c and 216c and lower locking projections 215d and 216d on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cas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7084A KR101814883B1 (en) | 2015-12-28 | 2015-12-28 | Smart Phone Case with Virtual Glasses and Virtual Relity Providing Apparatus Hav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7084A KR101814883B1 (en) | 2015-12-28 | 2015-12-28 | Smart Phone Case with Virtual Glasses and Virtual Relity Providing Apparatus Having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7324A KR20170077324A (en) | 2017-07-06 |
KR101814883B1 true KR101814883B1 (en) | 2018-01-04 |
Family
ID=5935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7084A Active KR101814883B1 (en) | 2015-12-28 | 2015-12-28 | Smart Phone Case with Virtual Glasses and Virtual Relity Providing Apparatus Hav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488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4465A (en) | 2020-05-22 | 2021-11-30 | 곽미진 |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virtual reality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
KR20210144468A (en) | 2020-05-22 | 2021-11-30 | 곽미진 |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virtual reality contents to enable to reduce power los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31888A (en) * | 2017-09-30 | 2018-03-23 |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 Vr equipment |
GR20170100473A (en) * | 2017-10-16 | 2019-05-24 | Στυλιανος Γεωργιος Τσαπακης | Virtual reality set |
KR102032980B1 (en) * | 2017-12-19 | 2019-10-16 |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 Foldable Virtual Reality Viewer |
CN108345117B (en) * | 2018-04-27 | 2024-02-02 | 歌尔科技有限公司 | Head-mounted display equipment and clamping and fixing mechanism thereof |
CN109633903B (en) * | 2018-12-17 | 2021-01-12 | 许昌学院 | Focus adjustable portable folding virtual reality glasses |
CN118818782B (en) * | 2024-08-14 | 2025-02-11 | 昆山可美克精密电子科技有限公司 | A detachable VR glasses fr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22018A (en) * | 2010-07-12 | 2012-02-02 | Panasonic Corp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KR101419007B1 (en) * | 2013-01-08 | 2014-07-11 | 주식회사 고글텍 | Head mounted stereoscopy device for a smart phone |
KR101533085B1 (en) | 2014-12-01 | 2015-07-0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Mobile handsset case with convertible to virtual reality goggle |
-
2015
- 2015-12-28 KR KR1020150187084A patent/KR1018148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22018A (en) * | 2010-07-12 | 2012-02-02 | Panasonic Corp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KR101419007B1 (en) * | 2013-01-08 | 2014-07-11 | 주식회사 고글텍 | Head mounted stereoscopy device for a smart phone |
KR101533085B1 (en) | 2014-12-01 | 2015-07-0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Mobile handsset case with convertible to virtual reality gogg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4465A (en) | 2020-05-22 | 2021-11-30 | 곽미진 |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virtual reality content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
KR20210144468A (en) | 2020-05-22 | 2021-11-30 | 곽미진 |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virtual reality contents to enable to reduce power los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7324A (en) | 2017-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4883B1 (en) | Smart Phone Case with Virtual Glasses and Virtual Relity Providing Apparatus Having Thereof | |
US9869874B2 (en) |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 |
KR101419007B1 (en) | Head mounted stereoscopy device for a smart phone | |
CN103149690B (en) | A kind of 3D head-mounted display | |
CN204925509U (en) | Wearing formula display device | |
GB2516242A (en) | Head mounted display | |
KR20140013676A (en) | Display terminal head-mounted apparatus | |
CN204028465U (en) | 3 D image display device | |
CN205581416U (en) | Interchangeable virtual reality glasses of lens | |
KR101396254B1 (en) | Portable stereoscopic image viewer | |
KR101875313B1 (en) | Head mounted display with lens controller | |
KR101890621B1 (en) | Glasses | |
KR100991285B1 (en) | Custom Stereoscopic Glasses | |
KR101850619B1 (en) | Head mounted display with fixing case for mobile phone | |
KR101688313B1 (en) | Mobile device cover assembly to watch stereo-scopic contens | |
US20160011430A1 (en) | Holographic 3d eyewear for video gaming | |
CN103189782B (en) | Glasses | |
CN205404973U (en) | Cell -phone bore hole 3D sees shadow box with control form image synthesis lens and control eye -shade worn -out fur | |
KR200480392Y1 (en) | Frame for fixing a portable terminal on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 |
KR102032980B1 (en) | Foldable Virtual Reality Viewer | |
KR20160003517U (en) |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aving enhanced wearing-feeling | |
CN104238130A (en) | Electronic device 3D watching helmet with image correcting function | |
CN107076988B (en) | Eye patch and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 |
CN204405956U (en) | The electronic equipment 3D with image correction function watches the helmet | |
CN110618534B (en) | stereoscopic display glas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