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4424B1 - Wedge-shaped Attachment Structure of Electronics Module for Maximizing Thermal Contact Area - Google Patents

Wedge-shaped Attachment Structure of Electronics Module for Maximizing Thermal Contact Ar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424B1
KR101814424B1 KR1020160172204A KR20160172204A KR101814424B1 KR 101814424 B1 KR101814424 B1 KR 101814424B1 KR 1020160172204 A KR1020160172204 A KR 1020160172204A KR 20160172204 A KR20160172204 A KR 20160172204A KR 101814424 B1 KR101814424 B1 KR 101814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oupling
outer housing
electronic module
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운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4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42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n integrally preformed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의 직경은 내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 및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 구조물의 외주면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결합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전자모듈을 포함한다.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is disclosed.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housing having an inner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space becoming smaller toward the inner housing,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and at least one coupling structure to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coupled, wherein the coupling structure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coupled with the outer housing,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electronic module is formed such that its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coupling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hereto.

Description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Wedge-shaped Attachment Structure of Electronics Module for Maximizing Thermal Contact Area}[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본 발명은 전자 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이 실장되는 결합 구조물과 외부하우징의 개선된 결합구조로 인하여 열 접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capable of minimizing thermal contact resistance due to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of an external housing and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is mounted.

일반적으로 전장품의 외부 하우징 내에 실장되는 전자모듈은 기계적, 전기적인 보호 및 방열, 실장 시 착탈의 용이성을 위하여 금속 재질의 캔 타입 형상으로 설계된다. 전자모듈은 보통 실장성을 위하여 육면체의 박스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설계되며, 이를 외부 하우징에 결합 시 나사를 이용하여 직접 체결하거나 별도의 고정용 리테이너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하우징에 고정시킨다.Generally, an electronic module mounted in an external housing of an electrical component is designed as a metal can can be used for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tection, heat dissipation, and ease of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electronic module is designed as a hexahedron shaped box or a cylindrical shape for the sake of practicality. When the electronic module is coupled to the external housing, it is directly fastened with screws or fixed to the housing by using a separate fixing retainer or the lik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 모듈 조립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eneral electronic module assembl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모듈(20)은 외부 하우징(10)에 한 개 면에 대해서만 나사(30)로 체결되어 밀착 조립되거나, 고정용 리테이너에 의해 후면 일부만 직접 밀착된다.As shown in Fig. 1, the electronic module 20 is fastened to the external housing 10 only by one side of the screw 30 and tightly assembled, or only a part of the rear surface is direct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retainer.

즉, 조립을 위한 유격(12)이 존재하여 외부 하우징(10)과의 접촉 면적이 부족하다. 게다가, 나사(30)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나사의 가압에 의해 접촉면의 압력이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열접촉저항이 크기 때문에 외부 하우징(10)으로의 열전달 효율이 매우 낮아 외부로의 효율적인 방열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That is, the clearance 12 for assembly exists, and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housing 10 is insufficient. Further, since the screw 30 is fixed by the screw 30, the pressure of the contact surface is not constant due to the pressing of the screw. Therefore, since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is high, the efficiency of heat transfer to the outer housing 10 is very low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an efficient heat radiation effect to the outside.

금속 재질과 같은 양호한 열전도체에 있어서 열접촉저항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때때로 지배적이기도 하다. 열접촉저항은 다른 요소가 동일한 경우 접촉면적의 크기, 접촉면 압력, 표면 거칠기 등에 의해 크게 좌우될 수 있다.For good thermal conductors such as metal materials, thermal contact resistan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and sometimes dominant.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can be largely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contact area,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the surface roughness, etc. when the other elements are the same.

인쇄회로기판에 발열량이 높은 부품이 존재하는 경우, 열접촉저항으로 인해 외부 하우징으로 충분히 방열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소자의 접합부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증가하여 영구적인 변형을 일으켜 부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거나, 신뢰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If there is a component with high calorific value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f the heat is not sufficiently dissipated to the outer housing due to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the temperature of the junction of the component will increase above the reference temperature, causing permanent deformation, , Which can cause serious problems in reliabilit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열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여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inimizing thermal contact resistance to maximize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for improving heat transfer efficiency.

둘째, 본 발명은 과조립 또는 오조립 시 체결부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that can easily separate a fastening member during assembly or assembly.

셋째, 본 발명은 과조립 시 커넥터에 응력이 가해져 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type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that can prevent damage to a connector due to stress applied to the connector during assembl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는 외부 하우징 및 전자모듈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housing and an electronic module.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의 직경은 내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된다.A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the outer housing, and a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o be smaller toward the inside.

상기 전자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 구조물의 외주면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결합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The electronic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and at least one coupling structure to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coupled. The coupling structur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upled with the outer housing,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structure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in the coupling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전자모듈은 하나 이상의 상기 결합 구조물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 하우징까지 연장되는 계류나사에 의해 상기 외부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The electronic module may also be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by a mating thread extending through the one or more of the mating structures to the outer housing.

한편, 본 실시예의 전자 모듈 어셈블리는 상기 계류나사를 상기 외부 하우징 및 상기 전자모듈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풀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module assembly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uller for separating the mooring screw from the external housing and the electronic module.

상기 풀러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 구조물에서 상기 계류나사를 분리 시, 상기 결합홈에 상기 풀러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전자모듈에서 상기 계류나사가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mooring screw is detached from the coupling structure using the puller, the pull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mooring screw is separated from the electronic module.

이를 위하여, 상기 계류나사의 헤드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head of the mating screw, and a fe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그리고, 상기 풀러는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 형성된 암나사와 치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ler may include a coupling hole formed by rotation of the female screw coupled with the female screw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상기 계류나사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구는 상기 계류나사와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계류나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풀러는 복수의 상기 결합구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puller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rotate a plurality of the coupling holes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puller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time have.

또한, 상기 계류나사의 몸체에 왼나사가 형성되면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계류나사의 몸체에 오른나사가 형성되면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왼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left thread is formed on the body of the mooring screw, a right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a left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when a right screw is formed on the mating thread.

상기 계류나사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전자모듈이 결합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결합 구조물 사이에 접촉면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By the engagement of the mating screws, the electronic module is pressed in the coupling direction, and a contact surface pressur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external housing and the coupling structure.

상기 외부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계류나사가 삽입되는 캐비티의 깊이는, 상기 계류나사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의 계류나사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The depth of the cavity formed in the outer housing and into which the mooring screw is inserted may be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mooring screw when the mooring screw is fully engaged.

한편, 상호 인접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s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 구조물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조립 시 상기 커넥터에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outer housing has a receiv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so that excessive stres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connector during assembly.

한편,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 및 상기 결합 구조물의 외주면은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structure may be smoothly formed.

또한, 상기 결합 구조물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structure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에 의하면 수용공간과 결합 구조물이 서로 대응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부 하우징의 내주면과 결합 구조물의 외주면 사이의 빈 공간이 최소화되어 접촉면 압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열접촉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써 열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space and the coupling structure have a tapered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minimized, and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is generated, thereby minimizing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As a result, heat transfer efficiency can be improved.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에 의하면 계류나사의 헤드에 형성된 결합홈의 내주면에 계류나사와 반대되는 방향의 암나사가 형성되어 풀러의 결합구를 결합홈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계류나사가 외부하우징 및 결합 구조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계류나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Second, in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emale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head of a mating thread, The coupling screw of the pull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mooring screw can be easily separated since the mooring screw is separated from the outer housing and the coupling structure.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에 의하면 결합 구조물의 저면 및 외부하우징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돌기 및 수용홈이 충분한 깊이로 형성되어 과조립 시 커넥터에 응력이 가해져 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in the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the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the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receiving groov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to a sufficient depth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outer housing of the coupl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or from being damaged due to stress applied to the connecto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 모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의 외부 하우징과 전자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의 풀러에 의해 계류나사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의 계류나사와 풀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The foregoing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there are shown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llustrates a conventional electronic module assembly;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uter housing and an electronic module of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mooring screw separated by a puller of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mooring screw and a puller of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noted that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names and numerals, but are substantially not identical to element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type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의 외부 하우징과 전자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type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dg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er housing and an electronic module of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shape-coupling structur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는 외부 하우징(100) 및 전자모듈(200)을 포함한다.1 and 2,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housing 100 and an electronic module 200 .

외부 하우징(100)은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외부 하우징(100)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외부 하우징(10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사각기둥, 삼각기둥 등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외부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The outer housing 100 may have a cylindrical or polygonal columnar shape. Although the outer housing 1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outer housing 10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a square, triangular, have. A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the outer housing 100.

외부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후술할 전자모듈(20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공간의 내주면의 직경은 내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outer housing 100,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electronic module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Further,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may be formed so as to become smaller toward the inside.

전자모듈(200)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210)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물(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210) 및 결합 구조물(220)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인쇄 회로 기판(210)과 결합 구조물(220)의 개수는 동일할 필요는 없다.The electronic module 200 includes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at least one coupling structure 220.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s 210 and coupling structures 220 are provided. The numb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coupling structure 220 need not be the same.

인쇄 회로 기판(210a, 210b, 210c)은 결합 구조물(220a, 220b)에 결합된다. 인쇄 회로 기판(210a, 210b, 210c)이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 인쇄 회로 기판(210a, 210b, 210c)은 복수의 결합 구조물(220a, 220b)에 하나 이상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회로 기판(210a, 210b, 210c)이 결합된 복수의 결합 구조물(220a, 220b)은 적층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s 210a, 210b, 210c are coupled to the coupling structures 220a, 220b. When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s 210a, 210b and 210c are provided, one or mor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s 210a, 210b and 210c may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The plurality of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coupled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s 210a, 210b, and 210c may be stacked.

결합 구조물(220a, 220b)은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외부 하우징(100)과 결합된다. 결합 구조물(220a, 220b)은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된 결합 구조물(220a, 220b)의 전체적인 형상은 수용공간과 대응되도록 결합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The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are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coupled with the outer housing 100. The joint structures 220a and 220b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is embodiment, the overall shape of the stacked joint structures 220a and 220b is formed to be smaller in diameter as they approach the accommodation space.

각각의 인쇄 회로 기판(210a, 210b, 210c)에는 상호 인접한 인쇄 회로 기판(210a, 210b, 210c)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호 인접한 인쇄 회로 기판(210a, 210b, 210c)은 각각의 인쇄 회로 기판(210a, 210b, 210c)에 마련된 커넥터(212)의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데, 계류나사(300)를 너무 많이 조여 과조립이 된 경우에는 상호 결합된 커넥터(212)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Each of the printed circuit boards 210a, 210b and 210c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212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djacent printed circuit boards 210a, 210b and 210c. The adjacent printed circuit boards 210a, 210b and 210c are connected by a connector 212 provided on each printed circuit board 210a, 210b and 210c. An excessive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mutually coupled connector 212.

따라서, 과조립에 의해 커넥터(212)에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공간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 구조물(220b)에는 결합돌기(222)가 형성되고, 외부 하우징(100)에는 결합돌기(222)와 대응되는 수용홈(1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조립 시 상호 결합된 커넥터(212)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 결합돌기(222)가 수용홈(104)의 바닥면에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과조립을 방지하고, 이로써 커넥터(2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계류나사(300)의 과조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돌기(222)를 충분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stress from being applied to the connector 212 by over-assembly, the coupling protrusion 222 is formed in the coupling structure 220b located at the innermost position in the receiving space, The receiving groove 104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222 may be formed. This prevents the assembling protrusion 222 from being abutted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04 before the excess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mutually coupled connector 212 at the time of assembling, Can be prevented. The coupling protrusion 222 may be form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to prevent over-assembly of the mooring screw 300.

외부 하우징(100)과 전자모듈(200)은 계류나사(3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계류나사(300)는 적층된 결합 구조물(220a, 220b)을 관통하여 외부 하우징(100)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outer housing 100 and the electronic module 200 may be coupled by a mating screw 300. The mooring screw 300 may extend to the interior of the outer housing 100 through the stacked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외부 하우징(100)에는 계류나사(300)와의 결합을 위한 캐비티(10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계류나사(300)는 적층된 복수의 결합 구조물(220a, 220b)을 관통하여 외부 하우징(100)의 캐비티(102)에 삽입됨으로써 외부 하우징(100)과 전자 모듈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캐비티(102)의 깊이는 결합 구조물(220a, 220b)을 관통하여 완전히 삽입된 계류나사(300)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류나사(300)의 과조립 시에도 외부 하우징(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outer housing 100 may be provided with a cavity 102 for coupling with the mating screw 300. That is, the mooring screw 300 is inserted into the cavity 102 of the outer housing 100 through the plurality of stacked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thereby coupling the outer housing 100 and the electronic module. Here, the depth of the cavity 102 may be formed deeper than the mooring screw 300 completely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Accordingly, even when the mooring screw 300 is assembled, the outer housing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100)과 결합 구조물(220a, 220b)이 계류나사(30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결합 구조물(220a, 220b)은 계류나사(300)에 의해 결합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하우징(100)과 결합 구조물(220a, 220b)의 접촉면에 압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외부 하우징(100)과 결합 구조물(220a, 220b)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0)과 결합 구조물(220a, 220b)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 될수록 열접촉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can be pushed in the coupling direction by the mooring screw 300 by coupling the outer housing 100 and the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with the mating screw 300 as described above . Accordingly,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contact surfaces of the outer housing 100 and the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between the outer housing 100 and the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As the space between the outer housing 100 and the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is minimized,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can be minimized.

열접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부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결합 구조물(220a, 220b)의 외주면은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회로 기판(210a, 210b, 210c)으로부터의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하여 결합 구조물(220a, 220b)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minimize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10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may be smoothly formed. The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s 210a, 210b, and 210c.

인쇄 회로 기판(210a, 210b, 210c)에 발열량이 높은 부품이 존재하는 경우, 열접촉저항으로 인하여 외부 하우징(100)으로 충분히 방열시키지 못하면 소자 접합부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증가하여 영구적인 변형을 일으켜 부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거나 신뢰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If a component having a high heating value exists in the printed circuit boards 210a, 210b, and 210c, if the heat is not sufficiently radiated to the outer housing 100 due to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the temperature of the component junction increases to be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This can cause parts to malfunction or cause serious reliability problems.

여기서, 열접촉저항은 열전도를 방해하는 성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물체의 접촉면에는 반드시 틈이 존재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좁은 틈 사이의 공기층에 때문에 열전달율이 감소한다. 즉, 열접촉저항이 증가한다. 따라서, 접촉면이 부드럽거나 접촉면이 강하게 밀착될수록 열접촉저항이 작아진다.Here,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refers to the property of interfering with the heat conduction, and there is always a gap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object. In most cases, the heat transfer rate is reduced due to the air layer between these narrow gaps. That is,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increases. Therefore, the more the contact surface is soft or the contact surface is strongly adhered, the smaller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금속재질과 같은 양호한 열전도체에 있어서 열접촉저항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때때로 지배적이기도 하다. 열접촉저항은 다른 요소가 동일할 경우 접촉면적의 크기, 접촉면 압력, 표면 거칠기 등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For good thermal conductors such as metal materials, thermal contact resistan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and sometimes dominant.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can be influenced by the size of the contact area,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the surface roughness, etc., when the other elements are the sam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의 풀러에 의해 계류나사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의 계류나사와 풀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mooring screw separated by a puller of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type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mooring screw and a puller of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type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xample; FI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나사(300)의 헤드(302)에는 계류나사(300)를 외부 하우징(100) 및 전자모듈(2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풀러(4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30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30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4 and 5, the head 302 of the mooring screw 300 is coupled with the puller 400 for separating the mooring screw 300 from the outer housing 100 and the electronic module 200 An engaging groove 304 may be formed. A fe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304.

풀러(400)는 회전에 의해 결합홈(304)에 형성된 암나사와 치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구(410)가 구비될 수 있다.The puller 40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410 formed with a male thread to be engaged with a female screw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304 by rotation.

풀러(400)를 이용하여 외부 하우징(100) 및 결합 구조물(220a, 220b)에서 계류나사(300)를 분리 시, 결합홈(304)에 폴러의 결합구(410)가 결합되는 동시에 외부 하우징(100) 및 결합 구조물(220a, 220b)에서 계류나사(300)가 분리될 수 있다.When the mooring screw 300 is detached from the outer housing 100 and the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using the puller 400, the coupling hole 410 of the polar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04, 100 and the mating screws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structures 220a, 220b.

이를 위하여, 결합홈(304)에는 계류나사(300)의 몸체(306)와 반대 방향의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계류나사(300)의 몸체(306)에 왼나사가 형성되면 결합홈(304)의 내주면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되고, 계류나사(300)의 몸체(306)에 오른나사가 형성되면 결합홈(304)의 내주면에는 왼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구(410)가 결합홈(304)에 결합되는 동시에 계류나사(300)가 풀려 외부 하우징(100) 및 결합 구조물(220a, 220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 하우징(100) 및 결합 구조물(220a, 220b)로부터 계류나사(3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or this, the coupling groove 304 may be formed with a screw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ody 306 of the mating screw 300. That is, when the left thread is formed on the body 306 of the mooring screw 300, a right screw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304. When a right screw is formed on the body 306 of the mooring screw 300, 304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The mating screw 410 can be coupled to the mating groove 304 and the mating screw 300 can be released and separated from the outer housing 100 and the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mooring screw 3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er housing 100 and the coupling structures 220a and 220b.

계류나사(30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풀러(400)는 계류나사(300)와 대응되는 개수로 계류나사(300)의 헤드(30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풀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풀러(400)는 복수의 결합구(410)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mooring screws 300 are provided and the puller 400 includes a plurality of puller 400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eads 302 of the mooring screws 300 corresponding to the mooring screws 300 . The puller 400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rotate the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410 in the same direction.

도 4 및 도 5에는 풀러(400)의 작동을 위한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손잡이(4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420)와 복수의 기어에 의해 기구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결합구(410)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하는 작동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복수의 결합구(410)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어떤 식으로든 구성될 수 있다.4 and 5, the structure for operating the puller 400 is not shown in detail. However, when the handle 4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handle 420 and the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410 may rotate simultaneously in the same direction. Of course,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structure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configured in any way as long as it is for rotating the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410 simultaneously in the same direction.

본래, 전자모듈(200)을 외부 하우징(10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풀러를 연결할 수 있는 나사가 추가적으로 필요한데, 본 실시예와 같이 계류나사(300)의 헤드(302)에 풀러(400)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풀러(400)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 모듈 어셈블리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는데 있어 이점을 가질 수 있다.The fuller 400 may be coupled to the head 302 of the mooring screw 30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fuller 400 can be coupled to the head 302 of the mooring screw 300. [ So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n advantage in secur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electronic module assembly since a separate component for coupling the puller 400 is not required.

여기서, 풀러(400)는 본 실시예의 전자 모듈 어셈블리에 포함될 수도 있고, 기성품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Here, the puller 400 may be included in the electronic module assembly of this embodiment, or may be provided as a ready-made product.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쐐기형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In the foregoing,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having a wedge-shaped coupling structure for maximizing a heat transfer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외부 하우징 20: 전자모듈
30: 나사 100: 외부 하우징
102: 캐비티 104: 수용홈
200: 전자모듈 210: 인쇄회로기판
212: 커넥터 220: 결합 구조물
222: 결합돌기 300: 계류나사
302: 헤드 304: 결합홈
306: 몸체 400: 풀러
410: 결합구 420: 손잡이
10: outer housing 20: electronic module
30: screw 100: outer housing
102: cavity 104: receiving groove
200: electronic module 210: printed circuit board
212: connector 220: coupling structure
222: engaging projection 300: coiling screw
302: head 304: engaging groove
306: body 400: puller
410: coupling member 420: handle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의 직경은 내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 구조물의 외주면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결합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과 계류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전자모듈; 및
상기 계류나사를 상기 외부 하우징 및 상기 전자모듈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풀러;
를 포함하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
An outer housing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having a smaller diameter;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and at least one coupling structure to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coupled, the coupling structure being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being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An electronic module formed to be smaller in diameter in a coupling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by a mating thread; And
A fuller for separating said mooring screw from said outer housing and said electronic module;
≪ / RTI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 구조물에서 상기 계류나사를 분리 시, 결합홈에 상기 풀러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전자모듈에서 상기 계류나사가 분리되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mooring screw is detached from the coupling structure using the puller, the pull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mooring screw is detached from the electronic modu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나사의 헤드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engaging groove is formed in the head of the mating screw and a female screw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에는,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 형성된 암나사와 치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구가 구비되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puller,
And an engagement portion formed with a male screw to be engaged with a female screw formed in the engagement groove by rota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나사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구는 상기 계류나사와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계류나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풀러는 복수의 상기 결합구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mating screws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ating threads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mating thread and the puller is configured to rotate the plurality of mating holes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time, Module assembl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나사의 몸체에 왼나사가 형성되면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계류나사의 몸체에 오른나사가 형성되면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왼나사가 형성되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right screw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when a left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body of the mating screw and a left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when a right screw is formed on the mating screw bod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나사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전자모듈이 결합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결합 구조물 사이에 접촉면 압력이 발생하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ectronic module is pressed in the coupling direction by the engagement of the mating threads to generate a contact surface pressure between the external housing and the coupling structur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계류나사가 삽입되는 캐비티의 깊이는, 상기 계류나사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의 계류나사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pth of the cavity formed in the outer housing and into which the mooring screw is inserted is formed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mooring screw when the mooring screw is fully engaged.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의 직경은 내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 및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 구조물의 외주면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결합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전자모듈;
을 포함하며, 상호 인접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 구조물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조립 시 상기 커넥터에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
An outer housing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having a smaller diameter; And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and at least one coupling structure to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coupled, the coupling structure being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being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An electronic modul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in a coupling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an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s adjacent to each other is provided,
Wherein an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receiving recess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outer housing to prevent excessive stress from being applied to the connector during assembling.
삭제delete 제 3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 및 상기 결합 구조물의 외주면은 매끈하게 형성되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11,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structure are smoothly formed,
제 3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물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전자 모듈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11,
The coupling structure may include:
An electronic module assembly formed from a metallic material.
KR1020160172204A 2016-12-16 2016-12-16 Wedge-shaped Attachment Structure of Electronics Module for Maximizing Thermal Contact Area Active KR1018144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04A KR101814424B1 (en) 2016-12-16 2016-12-16 Wedge-shaped Attachment Structure of Electronics Module for Maximizing Thermal Contact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04A KR101814424B1 (en) 2016-12-16 2016-12-16 Wedge-shaped Attachment Structure of Electronics Module for Maximizing Thermal Contact Ar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424B1 true KR101814424B1 (en) 2018-01-04

Family

ID=6099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204A Active KR101814424B1 (en) 2016-12-16 2016-12-16 Wedge-shaped Attachment Structure of Electronics Module for Maximizing Thermal Contact Ar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42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1738A (en) 2012-08-22 2014-03-06 Koito Mfg Co Ltd Light source module
KR101486610B1 (en) * 2007-06-28 2015-01-2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Waterproof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for waterproof connector, and mounting method for waterproof connector
JP2016143603A (en) * 2015-02-04 2016-08-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Light source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610B1 (en) * 2007-06-28 2015-01-2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Waterproof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for waterproof connector, and mounting method for waterproof connector
JP2014041738A (en) 2012-08-22 2014-03-06 Koito Mfg Co Ltd Light source module
JP2016143603A (en) * 2015-02-04 2016-08-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Light source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7999B2 (en) Power module, power module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7352593B2 (en) Anchoring member to facilitate fastening daughter boards to a mother board and a method for use
TW201828800A (en) Housing with attached heat sink
US10321565B2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WO2009110045A1 (en) Structure for attaching component having heating body mounted thereon
US20180164049A1 (en) Heat sink
WO2013001625A1 (en) Electronic device
US9172162B2 (en) Circuit board connector
CN108370143B (en) base unit
TWI505573B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814424B1 (en) Wedge-shaped Attachment Structure of Electronics Module for Maximizing Thermal Contact Area
US11637395B2 (en) Socket structure
US7239529B1 (en) Fixing member for auxiliary circuit board
JP5538195B2 (en) Fan unit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2332661B (en) For keeping the alignment pin of module on circuit boards
JP437429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2064842A1 (en) Substrate unit
KR101899795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housing made of profile material
TWM595909U (en) Guide insert connector
JP2020031122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2101129A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2022101130A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4403951B2 (en) Electronics
JPH0511526Y2 (en)
KR20230153082A (en) Heat sink assembly and burn-in test module for semiconductor package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