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4328B1 -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328B1
KR101814328B1 KR1020170020999A KR20170020999A KR101814328B1 KR 101814328 B1 KR101814328 B1 KR 101814328B1 KR 1020170020999 A KR1020170020999 A KR 1020170020999A KR 20170020999 A KR20170020999 A KR 20170020999A KR 101814328 B1 KR101814328 B1 KR 101814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information
server
washing
drying machine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1811A (en
Inventor
가즈히로 후루타
히로카즈 이자와
고타 와타나베
유우키 마루타니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8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32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가전기기에 대한 설정정보를 원격조작에 의해 설정하고자 할 때의 사용편리성을 높이는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로부터 설정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한 시점에서 세탁건조기(3)의 본체(10)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로부터 송신된 설정정보를 서버(8)가 계속 기억하고, 본체(10)의 전원이 온이면, 서버(8)가 상기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를 세탁건조기(3)에 송신한다. 사용자는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로부터 설정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하기 전에, 본체(10)의 전원을 온 해 둘 필요가 없어진다.
Provided is a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s that improves usability when setting information about home appliances is set by remote control.
Even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main body 10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s not turned on at the time when the user performs the transmission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The server 8 continues to store th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lephone 9 and when the main body 10 is powered on the server 8 transmits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 The user does not need to turn on the main body 10 before performing the transmission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

Description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0001]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 [0002]

본 발명은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operating system of a home appliance.

가정(자택)에 설치되는 예를 들어 세탁 건조기 등의 가전기기가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됨으로써, 사용자가 예를 들어 태블릿 단말이나 휴대전화기 등의 조작 단말을 조작하여 가전 기기를 원격 조작하는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A system in which a home appliance such as a washing and drying machine installed in a home (home) is connected to a server via the Internet to allow a user to remotely operate a home appliance, for example, by operating a control terminal such as a tablet terminal or a mobile phon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255063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255063

상기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가전기기 중에는 가전기기 본체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에는 대기중의 소비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가전기기에서의 통신부의 통신기능도 오프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 기기도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태블릿 단말 등 조작단말을 조작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설정정보(예를 들어, 세탁건조기이면 세탁건조의 운전코스 등)를 원격조작에 의해 설정하고자 하면, 본체의 전원이 온되어 있으면 가전기기가 설정정보를 수신 가능하므로, 설정정보가 가전기기에 수신되면 설정정보가 가전기기에 설정된다.Among the household appliances used in the above-described system, there is a device in which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section in the household appliance is also turned off so as to suppress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when the household appliance main body is powered off. Therefore, if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terminal such as a tablet terminal to set setting information (for example, a driving course for washing and drying if the washing machine is a washing machine, etc.) for the household appliance by remote operation, Since the home appliance can receive the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home appliance, the setting information is set in the home appliance.

한편, 본체의 전원이 오프상태이면 가전기기가 설정정보를 수신 불가능하므로, 가전기기에는 설정정보가 설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main body is in the off state, the home appliance can not receive the setting information, so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is not set in the home appliance.

이와 같은 사정에서, 가전기기에 대한 설정정보를 원격조작에 의해 설정하고자 할 때에는, 조작단말을 조작하기 전에 본체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통신부의 통신기능을 온으로 해 둘 필요가 있었다.In such circumstances, when setting information for home electric appliances is to be set by remote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turn on the power of the main body and turn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section before operating the operating terminal.

그러나, 이에는 조작수순이 번잡하고 사용편리성의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However, this procedure has been complicated and ha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ease of use.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전기기에 대한 설정정보를 원격조작에 의해 설정하고자 할 때의 사용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을 제공한다. 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remote control system for household appliances which can enhance the convenience of use when setting information for home appliances is set by remote control.

본 실시형태의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은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고, 사용자로부터의 가전기기에 대한 설정정보의 입력조작을 접수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조작단말과, 상기 조작단말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서버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가전기기를 구비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조작단말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설정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그 수신한 설정정보를 상기 가전기기에 송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설정정보를 상기 가전기기에 송신 불가능하다고 판정하면 그 설정정보를 계속 기억하고, 그 후 설정정보를 상기 가전기기에 송신 가능해졌다고 판정하면, 그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를 상기 가전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control system of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server and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setting information for a home appliance from a user and transmits the input operation to the server, And a home appliance tha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and receives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wherein when the server receives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operating terminal, And stores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household appliance, And transmits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ousehold appliance when it is judged that the appliance can be transmitted to the household appliance .

이에 따르면 가전기기에 대한 설정정보를 원격 조작에 의해 설정하고자 할 때의 사용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remote control system of household appliances that can enhance the usability of se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or the home appliance by remote control.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세탁건조기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조작패널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세탁건조기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럭도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흐름도(제1)이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흐름도(제2)이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흐름도(제3)이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흐름도(제4)이다.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설정정보취득」의 문자열 및 설정정보의 내용이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system of a home electr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flowchart (first) relating to an embodiment.
6 is a flowchart (second) relating to an embodiment.
7 is a flowchart (third) relating to an embodiment.
8 is a flowchart (fourth) relating to an embodiment.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form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character string " setting information acquisition " and the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displayed.

이하, 드럼식 세탁건조기를 원격조작시스템에 적용한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가정내(자택내)에는 홈게이트웨이(2)가 설치되어 있다. 홈게이트웨이(2)는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으로서 블루투스(블루투스)(등록상표)의 통신기능을 갖는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a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is applied to a remote oper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system 1 of a household appliance. A home gateway 2 is installed in the home (home). The home gateway 2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of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또한, 가정내에는 가전기기로서 드럼식 세탁건조기(3) 및 전자렌지(4)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청소기(5)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세탁건조기(3), 전자렌지(4), 청소기(5)는 각각 블루투스의 통신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한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In the home, a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and a microwave oven 4 are provided as household appliances, and a vacuum cleaner 5 is also provided.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the microwave oven 4 and the vacuum cleaner 5 each have a communication function of Bluetooth, and ar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home gateway 2 described above.

또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조작 가능한 조작단말로서의 태블릿 단말(6)도, 블루투스의 통신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한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ablet terminal 6 as an oper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rated while the user is carrying it also has a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home gateway 2 described above.

즉, 상기한 구성에서는 홈게이트웨이(2), 세탁건조기(3), 전자렌지(4), 청소기(5), 태블릿 단말(6)에 의해 가정내 네트워크가 구성된다.That is,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ome network is constituted by the home gateway 2,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the microwave oven 4, the cleaner 5, and the tablet terminal 6.

세탁건조기(3), 전자렌지(4), 청소기(5) 및 태블릿 단말(6)은 미리 블루투스의 통신 상대 디바이스로서 홈게이트웨이(2)의 식별정보(식별코드,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등록됨으로써,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 가능해져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code, Bluetooth address) of the home gateway 2 is registered in advance as a communication partner device of Bluetooth in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the microwave oven 4, the vacuum cleaner 5 and the tablet terminal 6,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gateway 2 is possible.

즉, 홈게이트웨이(2)는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는 자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색신호를 간헐적으로 송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건조기(3)는 후술하는 본체(10)의 전원 온과 연동하여 후술하는 통신부(통신 모듈)(13)의 통신 기능이 온이 되어, 홈게이트웨이(2)로부터의 검색신호를 수신 가능해지고, 검색신호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검색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대조 확인(照合)한다.That is, the home gateway 2 intermittently transmits a search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itself when the power is on. For example,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s turned on when a communication function of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module) 13 to be described later is turned on in conjunction with the power-on of the main body 10 to be described later and receives a search signal from the home gateway 2 When the search signal is receiv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earch signal is verified against the previously registe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세탁건조기(3)는 양자 즉 식별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식별정보가 일치하면, 홈게이트웨이(2)로부터 수신한 검색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홈게이트웨이(2)에 송신한다. 그리고, 세탁건조기(3)는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상호 인증을 실시하고, 상호인증의 결과가 정이면, 블루투스 회선을 접속한다.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home gateway (2) in response to the search signal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2), when bo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registe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 each other. Then,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performs mutual authentication with the home gateway 2, and connects the Bluetooth line when the mutual authentication result is positive.

이후, 세탁건조기(3)는 블루투스 회선상에서 소정의 데이터 통신 프로파일(예를 들어, PAN: Personal Area Networking Proflie)을 접속함으로써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전자렌지(4) 및 청소기(5)도 본체의 전원 온에 연동하여 통신부의 통신기능이 온이 되고, 동일한 수순을 수행하여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Thereafter,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s able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me gateway 2 by connecting a predetermined data communication profile (for example, PAN: Personal Area Networking Profiler) on the Bluetooth line. The microwave oven 4 and the vacuum cleaner 5 are also turned on in response to power-on of the main body, and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is turned on, a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me gateway 2 becomes possible by performing the same procedure.

홈게이트웨이(2)는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고, 인터넷(7)을 통하여 서버(클라우드서버)(8)에 접속 가능하다.The home gateway 2 is given a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and can be connected to a server (cloud server) 8 via the Internet 7.

서버(8)는 홈게이트웨이(2)로부터 가정내의 소비전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인터넷(7)을 통하여 수신함으로써 가정내의 소비전력을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조작 가능한 조작단말로서의 휴대전화기(9)는 인터넷(7)을 통하여 서버(8)에 접속 가능해져 있다. 휴대전화기(9)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라고 불리는 다기능 휴대전화기이어도 좋고, 단순한(기능이 비교적 적은) 휴대전화기이어도 좋다.The server 8 has a function of monitoring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home by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power consumption in the home from the home gateway 2 via the Internet 7. The cellular phone 9 as an operation terminal which can be operated while the user is carrying it is connectable to the server 8 via the Internet 7. [ The cellular phone 9 may be, for example, a multi-function cellular phone called a smart phone, or may be a simple (relatively small-capacity) cellular phone.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가정내에서는 태블릿 단말(6)을 조작하고, 가정밖(외출지)에서는 휴대전화기(9)를 조작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user operates the tablet terminal 6 in the home and operates the portable telephone 9 outside the home (outing place).

다음에, 세탁건조기(3)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세탁건조기(3)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상세한 도시 등을 생략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Next,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Since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s well known,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for simplicity.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건조기(3)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본체(10)의 내부에 원통형상의 수조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수조 내에는 의류(세탁물)를 수용 가능한 수용실을 구성하는 원통형상의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드럼의 전면부에는 의류가 출입되는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0)의 전면부에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문(11)을 폐쇄상태로 잠그기 위한 잠금 기구(1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부(13)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s constituted by providing a cylindrical water tank inside a body 10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cylindrical drum constituting a housing chamber capable of accommodating clothes (laundry)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water tub. The front face of the drum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clothes are put in and out. A door 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10. A locking mechanism 12 for locking the door 11 in a closed state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a communication unit 13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home gateway 2 is provided.

또한, 본체(10)의 앞면 상부에는 조작패널(14)이 설치되어 있다.An operation panel 14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패널(14)에는 조작 다이얼(15), 수위 키(16a), 헹굼횟수 키(16b), 세탁 키(16c), 헹굼 키(16d), 탈수 키(16e), 건조 키(16f), 욕조물 키(16g), 예약 키(16h), 세탁 키(16i), 세탁건조 키(16j), 건조 키(16k), 도어락 키(16l), 전원 온 키(16m), 전원오프 키(16n), 시작/일시정지 키(16o)이 설치되어 있다.3, the operation panel 14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dial 15, a water level key 16a, a rinsing number key 16b, a wash key 16c, a rinsing key 16d, a dehydration key 16e, A dry key 16f, a bath water key 16g, a reservation key 16h, a laundry key 16i, a laundry drying key 16j, a drying key 16k, a door lock key 16l, a power on key 16m A power off key 16n, and a start / pause key 16o.

또한, 조작패널(14)에는 세탁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7세그먼트 LED를 2개 병치하여 구성한 세탁시간 표시부(17a), 헹굼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하나의 7세그먼트 LED로 이루어진 헹굼횟수 표시부(17b), 탈수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하나의 7세그먼트 LED로 이루어진 탈수시간 표시부(17c), 건조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2개의 7세그먼트 LED로 이루어진 건조시간 표시부(17d)가 설치되어 있다.The operation panel 14 is also provided with a washing time display portion 17a formed by juxtaposing two 7-segment LEDs for indicating the washing time, a rinsing number display portion 17b consisting of one 7-segment LED for displaying the number of times of rinsing, A dehydration time display part 17c composed of one 7-segment LED for displaying the dehydration time, and a drying time display part 17d composed of two 7-segment LEDs for indicating drying time are provided.

또한, 조작패널(14)에는 안테나 마크를 표시하는 안테나 마크 표시부(18),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19)가 설치되어 있다.The operation panel 14 is provided with an antenna mark display section 18 for displaying antenna marks and an information display section 19 for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상기한 각종 키(16a~16o)는 다른 키와 기능이 겸용되어도 좋고, 각종키(16a~16o)나 각종 표시부(17a~17d), 안테나 마크 표시부(18), 정보표시부(19)를 배치하는 위치는 어떠한 배치 형태이어도 좋다.The various keys 16a to 16o may be used for other keys and functions and various keys 16a to 16o, various display portions 17a to 17d, an antenna mark display portion 18 and an information display portion 19 The position may be any arrangement.

도 4는 세탁건조기(3)의 전기적인 구성을 기능 블럭도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제어장치(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각종 입력신호나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세탁건조기(3)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As shown in Fig. The control device 20 is mainly composed of a microcomputer including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based on various input signals and a control program stored in advance.

제어장치(20)는 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드럼용 모터(21), 수조 내로의 급수를 실시하기 위한 전자식 급수밸브(22), 수조 내로부터의 배수를 실시하기 위한 전자식 배수밸브(23), 드럼내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팬용 모터(24)(송풍팬 장치)나 온풍용 히터(25), 문(11)의 잠금기구(12) 및 통신부(13)를 접속하고 있다.The control device 20 includes a drum motor 21 for rotating and driving the drum, an electronic water supply valve 22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water tank, an electronic drain valve 23 for draining water from inside the water tank, The fan motor 24 (blowing fan device), the warm air heater 25, the lock mechanism 12 of the door 11,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 are connected to supply hot air into the door 11 to dry the laundry.

또한, 온풍용 히터(25)를 대신하여 히트펌프(냉각 사이클)를 설치하고, 제습기능을 부가한 건조기구로 해도 좋다. 또한, 제어장치(20)는 조작 다이얼(15), 각종 키(16a~16o)를 포함하는 조작부(26)를 접속하고 있고 또한 각종 표시부(17a~17d), 안테나 마크 표시부(18), 정보표시부(19)를 포함하는 표시부(27)를 접속하고 있다.Alternatively, a heat pump (cooling cycle) may be provided in place of the heater 25 for warm air, and a dryer unit having a dehumidifying function may be used. The control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section 26 including the operation dial 15 and the various keys 16a to 16o and also has various display sections 17a to 17d, an antenna mark display section 18, And a display unit 27 including a display unit 19 are connected.

또한, 제어장치(20)는 드럼용 모터(21)의 회전속도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센서, 드럼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 등을 포함하는 각종 센서(28)를 접속하고 있다.The control device 20 connects various sensors 28 including a rot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and position of the drum motor 21 and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n the drum.

통신부(13)는 대기중의 소비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본체(10) 전원의 온 오프에 연동하여 통신기능이 온 오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예를 들어 전원 온 키(16m)를 조작하여 본체(10)의 전원이 온이 되면, 통신부(13)의 통신기능이 온으로 된다. 한편, 사용자가 예를 들어 전원오프 키(16n)를 조작하거나 운전을 정상 종료하여 본체(10)의 전원이 오프하면, 통신부(13)의 통신 기능이 오프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3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turned on and off in conjunction with the power-on of the main body 10 in order to suppress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mode. That is, when the user turns on the power of the main body 10 by operating the power on key 16m,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3 is turned 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urns off the power of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by operating the power off key 16n or by normally terminating the operati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3 turns off.

제어장치(20)는 사용자가 조작패널(14)의 조작부(26)에서 설정하는 세탁건조의 운전코스에 따라서 세탁건조기(3)의 각 기구를 제어하고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또한 건조행정을 포함하는 운전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이 경우, 제어장치(20)는 자동의 운전코스에서는 운전개시시에 세탁물량, 세탁물의 재질을 검지하고, 그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운전의 조건(예를 들어, 세탁수위, 각 행정의 횟수나 시간, 드럼의 회전속도 등)을 자동으로 설정한다.The control device 20 controls each mechanism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course of the washing and drying set by the user on the operating section 26 of the operation panel 14 and performs the washing, Automatically executes driving including administr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20 detects the amount of laundry and the material of the laundry at the start of operation on an automatic driving course, and determines the conditions of the operation (for example, the washing water level, Time, drum rotation speed, etc.) are automatically set.

또한, 제어장치(20)는 운전 중에는 잠금기구(12)를 작동시키는 문(11)을 폐쇄상태로 잠그고, 운전종료시에는 잠금기구(12)에 의한 잠금을 해제시킨다.The control device 20 locks the door 11 for operating the lock mechanism 12 in the closed state during operation and releases the lock by the lock mechanism 12 at the end of the operation.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서는 사용자가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를 조작하여 세탁건조의 운전코스를 원격조작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가정내에서 태블릿 단말(6)을 조작하여, 세탁건조의 운전코스를 설정하는 설정조작을 실시하며, 그 설정한 내용을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하면, 태블릿 단말(6)은 그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을 설정정보로서 홈게이트웨이(2)에 송신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user can operate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cellular phone 9 to set the driving course for washing and drying by remote operation.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tablet terminal 6 in the home to perform a setting operation for setting a driving course for washing and drying, and performs a transmission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set contents, the tablet terminal 6 And transmits the contents set by the user to the home gateway 2 as setting information.

홈게이트웨이(2)는 태블릿 단말(6)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설정정보를 인터넷(7)을 통하여 서버(8)에 송신한다. 서버(8)는 홈게이트웨이(2)로부터 인터넷(7)을 통하여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설정정보를 일단 기억한다.When the home gateway 2 receives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ablet terminal 6, it transmit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8 via the Internet 7. When the server 8 receives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home gateway 2 via the Internet 7, it temporarily store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그리고, 서버(8)는 기억한 설정정보를 인터넷(7)을 통하여 홈게이트웨이(2)에 송신한다. 홈게이트웨이(2)는 서버(8)로부터 인터넷(7)을 통하여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세탁건조기(3)의 본체(10)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고, 세탁건조기(3)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회선을 접속하고 있으면, 소정의 데이터 통신 프로파일을 접속하고 설정정보를 세탁건조기(3)에 송신한다.Then, the server 8 transmits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2 via the Internet 7. When the home gateway 2 receives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8 via the Internet 7, the main body 10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s powered on, When the line is connected, a predetermined data communication profile is connected and the set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또한, 사용자가 가정밖(외출지)에서 휴대전화기(9)를 조작하여, 세탁건조의 운전코스를 설정하는 설정조작을 실시하고, 설정한 내용을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하면, 휴대전화기(9)는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을 설정정보로서 인터넷(7)을 통하여 서버(8)에 송신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portable telephone 9 outside the home (outing place) to perform a setting operation for setting a driving course for washing and drying, and performs a transmission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set contents, the portable telephone 9 Transmits the contents set by the user to the server 8 via the Internet 7 as setting information.

서버(8)는 휴대전화기(9)로부터 인터넷(7)을 통하여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설정정보를 일단 기억한다. 그리고, 서버(8)는 그 기억한 설정정보를 인터넷(7)을 통하여 홈게이트웨이(2)에 송신한다.When the server 8 receives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cellular phone 9 via the Internet 7, the server 8 temporarily store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Then, the server 8 transmits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2 via the Internet 7.

홈게이트웨이(2)는 서버(8)로부터 인터넷(7)을 통하여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이 경우에도 세탁건조기(3)의 본체(10)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고, 세탁건조기(3)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회선을 접속하고 있으면, 소정의 데이터 통신 프로파일을 접속하고, 설정정보를 세탁건조기(3)에 송신한다.When the home gateway 2 receives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8 via the Internet 7, the power source of the main body 10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s also turned on, A predetermined data communication profile is connected, and the set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세탁건조기(3)는 홈게이트웨이(2)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그 설정정보에 따라서 세탁건조의 운전코스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를 조작함으로써, 세탁건조기(3)를 원격 조작할 수 있고, 조작패널(14)의 조작 다이얼(15)이나 각종 키(16a~16o)를 조작하지 않아도 세탁건조의 운전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세탁건조의 운전코스가 설정된 것을 확인한 후에, 스타트/일시정지 키(16o)를 조작함으로써 그 원격조작에 의해 설정한 운전코스에 따라서 운전을 개시시킬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home gateway 2,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sets a driving course for washing and drying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is way, the user can remotely operate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by operating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dial 15 of the operation panel 14 and the various keys 16a to 16o It is possible to set the driving course of washing and drying without operating the washing machine. Then, after confirming that the driving course of washing and drying is set, the user can start th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course set by the remote operation by operating the start / pause key 16o.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원의 온 오프에 연동하여 통신부(13)의 통신기능이 온 오프하는 구성에서는 본체(10)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고, 통신부(13)의 통신기능이 온으로 되어 있으면 세탁건조기(3)가 설정정보를 수신 가능하므로, 설정정보가 세탁건조기(3)에 수신되면, 설정정보가 세탁건조기(3)에 설정된다. 그러나, 본체(10)의 전원이 온되어 있지 않고 통신부(13)의 통신 기능이 온되어 있지 않으면, 세탁건조기(3)가 설정정보를 수신 불가능하므로 설정정보는 세탁건조기(3)에 설정되지 않는다. 이 점을 고려하여 서버(8), 홈게이트웨이(2) 및 세탁건조기(3)는 이하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시한다.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3 is turned on and off in conjunction with the power-on / off of the main body 10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 is powered on and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3 is turn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is set in the washing / drying machine 3 when th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washing / drying machine 3, because the washing / drying machine 3 can receive the setting information. However, if the power of the main body 10 is not turned on and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3 is not turn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is not set in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because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can not receive the setting information .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server 8, the home gateway 2, and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perform the following processing.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작용으로서 도 5 내지 도 9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Fig.

우선, 사용자가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를 조작하여 세탁건조의 운전코스를 설정하는 설정조작을 실시하고, 그 설정한 내용을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하면,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는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을 설정정보로서 서버(8)에 송신한다. 이 경우, 태블릿 단말(6)로부터 송신받은 설정정보는 홈게이트웨이(2)를 경유하여 서버(8)에 수신되고, 또한 휴대전화기(9)로부터 송신된 설정정보는 서버(8)에 직접 수신된다.First, when the user operates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cellular phone 9 to perform a setting operation for setting a driving course for washing and drying, and performs a transmission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set contents,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transmits the content set by the user to the server 8 as setting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ablet terminal 6 is received by the server 8 via the home gateway 2, and th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lephone 9 is directly received by the server 8 .

서버(8)는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면(단계 A1: YES), 그 수신한 설정정보를 일단 기억하고(단계 A2), 설정정보를 기억한 시점에서 기억기간의 계시를 개시한다(단계 A3). 그리고 서버(8)는 그 기억한 설정정보를 인터넷(7)을 통하여 홈게이트웨이(2)에 송신한다.When the server 8 receives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step A1: YES), the server 8 temporarily store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step A2) And starts the timing of the storage period (step A3). Then, the server 8 transmits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2 via the Internet 7.

홈게이트웨이(2)는 서버(8)로부터 인터넷(7)을 통하여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세탁건조기(3)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회선을 접속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설정정보를 세탁건조기(3)에 송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B1).Upon receiv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8 via the Internet 7, the home gateway 2 determines whether or not a Bluetooth line is connected to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and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Step B1).

여기에서, 홈게이트웨이(2)는 세탁건조기(3)의 본체(10)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홈게이트웨이(2)와 세탁건조기(3) 사이에서 블루투스 회선을 접속하고 있지 않으므로, 설정정보를 세탁건조기(3)에 송신 불가능하다고 판정하고(단계 B1:아니오), 송신 불가능 신호를 인터넷(7)을 통하여 서버(8)에 송신한다. 서버(8)는 홈게이트웨이(2)로부터 인터넷(7)을 통하여 송신 불가능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정보를 계속 기억한다.Since the home gateway 2 does not connect the Bluetooth line between the home gateway 2 and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unless the main body 10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s powered on, (Step B1: NO), and transmits a transmission prohibition signal to the server 8 via the Internet 7 (step B1: NO). When the server 8 receives the transmission impossible signal from the home gateway 2 via the Internet 7, the server 8 continues to store the setting information.

그리고, 서버(8)는 계시하고 있는 기억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또한(단계 A4), 홈게이트웨이(2)로부터 인터넷(7)을 통하여 후술하는 통신 가능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Then, the server 8 monitors whether or not the stored storage period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eriod (step A4), and also confirms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enable signal to be described later is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2 via the Internet 7 To monitor whether or not.

여기에서, 소정 기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한 기간이고 분 단위, 시간 단위, 일 단위 중 어떤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이 서버(8)가 설정정보를 기억하고 있을 때에는,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는 그 서버(8)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정보의 내용을 수신하여 알림 가능(표시 가능)해져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period may be a time period arbitrarily set by the user, and may be any one of a minute unit, a time unit, and a day unit. When the server 8 stores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is manner, the tablet terminal 6 and the portable telephone 9 receive the contents of th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8, ).

세탁건조기(3)에서 제어장치(20)는 사용자가 전원 온 키(16m)를 조작하고, 본체(10)의 전원이 온인 것을 검지하면, 통신부(13)의 통신기능을 온시킨다(단계 C1, D1). 통신부(13)는 통신기능이 온이고,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회선의 접속수순을 개시하면(단계 B2, C2), 접속수순을 개시한 것을 통지하는 접속수순 개시신호를 제어장치(20)에 출력한다.In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when the user operates the power on key 16m and detects that the main body 10 is powered on, the controller 20 turns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3 (steps C1, D1). When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on and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Bluetooth line with the home gateway 2 is started (steps B2 and C2), the communication unit 13 transmits a connection procedure start signal for notifying the start of the connection procedure to the control device 20.

제어장치(20)는 통신부(13)로부터 접속수순 개시신호를 입력하면, 블루투스 회선의 접속수순을 개시한(실행중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안테나 마크 표시부(18)에서 안테나 마크를 점멸시킨다(단계 D2).When the connection procedure start signal is inputted from the communication section 13, the control device 20 blinks the antenna mark on the antenna mark display section 18 to notify the user that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Bluetooth line is started (running) Step D2).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건조기(3)의 앞에 있으면 안테나 마크의 점멸을 확인함으로써 블루투스 회선의 접속수순이 개시되었다고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if the user is in front of the washer / dryer 3, it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Bluetooth line is started by confirming blinking of the antenna mark.

통신부(13)는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상호 인증을 정상적으로 완료하고,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회선의 접속수순을 정상적으로 완료하면(단계 B3, C3), 접속수순을 정상적으로 완료한 것을 통지하는 접속수순 완료신호를 제어장치(20)에 출력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3 normally completes the mutual authentication with the home gateway 2 and normally completes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Bluetooth line with the home gateway 2 (steps B3 and C3). When the connection procedure is normally completed And outputs a connection procedure completion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20.

제어장치(20)는 통신부(13)로부터 접속수순 완료신호를 입력하면, 블루투스 회선의 접속수순을 정상적으로 완료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안테나 마크 표시부(18)에서 안테나 마크를 점등하고(단계 D3) 제1 알림정보를 알린다.When the connection procedure comple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communication section 13, the control device 20 lights up the antenna mark in the antenna mark display section 18 (step D3) to notify the user that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Bluetooth line has been normally completed, And notifies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건조기(3)의 앞에 있으면, 안테나 마크의 점등(점멸로부터 점등으로의 전환)을 확인함으로써 블루투스 회선의 접속수순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고 확인할 수 있고, 세탁건조기(3)와 서버(8)가 통신 가능하게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us, if the user is in front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Bluetooth line is normally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antenna mark is turned on (switching from blinking to lighting) 8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어서, 제어장치(20)는 이와 같이 하여 통신부(13)와 홈게이트웨이(2) 사이에서 블루투스 회선이 정상적으로 접속되면, 블루투스 회선상에서 소정의 데이터 통신 프로파일의 접속수순을 개시시킨다.Then, when the Bluetooth line is properly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13 and the home gateway 2 in this manner, the control device 20 starts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predetermined data communication profile on the Bluetooth line.

제어장치(20)는 블루투스 회선상에서 소정의 데이터 통신 프로파일이 정상적으로 접속되면, 데이터 통신 가능해진 것을 서버(8)에 통지하는 통신 가능 지령을 통신부(13)에 출력하고, 통신 가능 신호를 통신부(13)로부터 블루투스 회선을 통하여 홈게이트웨이(2)에 송신시킨다.When the predetermined data communication profile is normally connected on the Bluetooth line, the control device 20 outputs to the communication section 13 a communication enabling instruction to notify the server 8 that data communication becomes possible, and transmits a communication enabling signal to the communication section 13 To the home gateway 2 via the Bluetooth line.

홈게이트웨이(2)는 세탁건조기(3)로부터 블루투스 회선을 통하여 통신 가능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 가능 신호를 인터넷(7)을 통하여 서버(8)에 송신한다.When the home gateway 2 receives the communication enabling signal via the Bluetooth line from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the home gateway 2 transmits the communication enabling signal to the server 8 via the Internet 7.

서버(8)는 계시하고 있는 기억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하기 보다 앞서, 홈게이트웨이(2)로부터 인터넷(7)을 통하여 통신 가능 신호를 수신하면, 세탁건조기(3)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 가능해진 것을 특정하고, 그 시점에서 설정정보를 기억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A5).The server 8 is capable of communicating data with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when receiving a communication enabling signal via the Internet 7 from the home gateway 2 prior to the storage period that is being displayed reaches a predetermined period ,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at that time (step A5).

서버(8)는 설정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고 판정하면(단계 A5: 예), 그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를 인터넷(7)을 통하여 홈게이트웨이(2)에 송신한다. 홈게이트웨이(2)는 서버(8)로부터 인터넷(7)을 통하여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설정정보를 블루투스 회선을 통하여 세탁건조기(3)에 송신한다.If the server 8 determines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Step A5: YES), the server 8 transmits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2 via the Internet 7. When the home gateway 2 receives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8 via the Internet 7, the home gateway 2 transmit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via the Bluetooth line.

또한, 서버(8)는 그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를 인터넷(7)을 통하여 홈게이트웨이(2)에 송신하면, 그 송신한 설정정보를 소거한다(단계 A6).When the server 8 transmits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2 via the Internet 7, the server 8 deletes the transmitted setting information (step A6).

세탁건조기(3)에서 제어장치(20)는 홈게이트웨이(2)로부터 블루투스 회선을 통하여 설정정보를 통신부(13)에 의해 수신했다고 판정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정보를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로서 「설정정보취득」의 문자열을 정보표시부(19)에 표시시키고(단계 D4) 제2 알림정보를 알린다.In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when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3 from the home gateway 2 via the Bluetooth line, it indicates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as shown in Fig. 9 Quot; acquire setting information " as a message on the information display section 19 (step D4) and notify the second notification information.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건조기(3) 앞에 있으면, 「설정정보취득」의 문자열을 확인함으로써 서버(8)로부터 세탁건조기(3)에 설정정보가 수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us, if the user is in front of the washer dryer 3,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rver 8 in the washer / dryer 3 by checking the character string of " acquiring setting information ".

이어서, 제어장치(20)는 서버(8)로부터 홈게이트웨이(2)를 경유하여 수신한 설정정보를 설정하고(단계 D5),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설정된 설정정보의 내용, 즉 사용자가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를 조작하여 설정한 세탁건조의 운전코스의 내용을 각종 표시부(17a~17d)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D6).Then, the control device 20 sets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8 via the home gateway 2 (step D5), and as shown in Fig. 9, the contents of the set setting information, The contents of the washing and drying course set by operating the tablet terminal 6 and the cellular phone 9 are displayed on the various display portions 17a to 17d (Step D6).

도 9에서는 사용자가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를 조작하여, 세탁 시간을 「14분」으로 설정하고, 헹굼횟수를 「2회」로 설정하며, 탈수시간을 「6분」으로 설정하고, 건조시간을 「30분」으로 설정한 경우를 에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건조기(3)의 앞에 있으면, 각종 표시부(17a~17d)에 표시된 각 행정의 시간이나 횟수를 확인함으로써 세탁건조의 운전코스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In Fig. 9, the user operates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cellular phone 9 to set the washing time to " 14 minutes ", set the number of rinsing times to " twice & , And the drying time is set to " 30 minutes ". Thus, if the user is at the front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the contents of the driving course for washing and drying can be confirmed by checking the time and the number of the respective strokes displayed on the various display portions 17a to 17d.

또한, 제어장치(20)는 사용자가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를 조작하여 설정한 세탁건조기의 운전코스의 내용을, 본체(10)에서 설정한 세탁건조의 운전코스의 내용과 구별하기 위해 점멸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시작/일시정지 키(16o)를 조작함으로써 그 원격조작에 의해 설정한 운전코스에 따라서 운전을 개시하게 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20 stores the content of the driving course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set by the user operating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cellular phone 9 into the content of the driving course of the washing and drying set by the main body 10 Flicker to distinguish. Then, the user can start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course set by the remote operation by operating the start / pause key 16o.

또한, 제어장치(20)는 서버(8)로부터 홈게이트웨이(2)를 경유하여 수신한 설정정보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설정정보의 내용을 각종 표시부(17a~17d)에 표시하게 한 후에도 그 설정정보의 내용의 변경조작을 수신 가능하며, 사용자가 시작/일시정지 키(16o)를 조작하기에 앞서 사용자가 조작패널(14)에서 설정정보의 내용을 변경하고 시작/일시정지 키(16o)를 조작하면, 그 사용자가 설정 변경한 운전코스에 따라서 운전을 개시시킨다.The control device 20 may also set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via the home gateway 2 from the server 8 and display the contents of the set information on the various display portions 17a to 17d, The user can change the content of the sett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panel 14 before the user operates the start / pause key 16o and the start / pause key 16o When operated, the operation is start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course changed by the user.

이상에 설명한 일련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가 예를 들어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로부터 설정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한 시점에서 본체(10)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로부터 송신된 설정정보를 서버(8)가 계속 기억하고, 본체(10)의 전원이 온이 되면, 서버(8)가 상기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를 세탁건조기(3)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로부터 설정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하기 전에, 본체(10)의 전원을 온 해둘 필요가 없어진다.By the series of processe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power of the main body 10 is not turned on at the time when the user performs,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Th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is continuously stored in the server 8. When the main body 10 is powered on, the server 8 stores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in the washing / (3). Thereby, it is not necessary for the user to turn on the main body 10 before performing the transmission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사용자는 가정내에 있는 경우에는 세탁건조기(3)의 설치 장소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태블릿 단말(6)로부터 설정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하고, 그 후 세탁건조기(3)의 설치장소까지 이동하며, 본체(10)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시작/일시정지 키(16o)를 조작함으로써 그 원격조작에 의해 설정한 운전코스에 따라서 운전을 개시시킬 수 있다.The user performs a transmission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ablet terminal 6 at a place remote from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and then moves to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t is possible to start th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course set by the remote operation by turning on the power of the main body 10 and operating the start / pause key 16o.

또한, 사용자는 가정밖에 있는 경우에는 외출지에서 휴대전화기(9)로부터 설정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하고, 그 후 가정내에 있는 가족에게 연락하여 본체(10)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시작/일시정지 키(16o)를 조작함으로써 그 원격조작에 의해 설정한 운전 코스에 따라서 운전을 개시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user is outside the home, the user performs a transmission operation to transmit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cellular phone 9 at the outgoing place, then contacts the family in the home to turn on the main body 10, By operating the pause key 16o, the operation can be start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course set by the remote operation.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게이트웨이(2)는 서버(8)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했을 때 세탁건조기(3)의 본체(10)의 전원이 온이면, 홈게이트웨이(2)와 세탁건조기(3) 사이에서 블루투스 회선을 접속하고 있으므로, 설정정보를 세탁건조기(3)에 송신 가능하다고 판정하고(단계 B1: 예), 수신한 설정정보를 블루투스 회선을 통하여 세탁건조기(3)에 송신한다.6, when the main body 10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s powered on when th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rver 8, the home gateway 2 controls the home gateway 2,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washing / drying machine 3 (step B1: YES), and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ashing / drying machine 3 via the Bluetooth line .

설정정보의 송신을 완료하면, 송신완료신호를 인터넷(7)을 통하여 서버(8)에 송신한다. 서버(8)는 홈게이트웨이(2)로부터 인터넷(7)을 통하여 송신완료신호를 수신하면, 그 송신한 설정정보를 소거한다(단계 A11).When the transmission of the setting information is completed, a transmission comple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8 via the Internet 7. When the server 8 receives the transmiss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home gateway 2 via the Internet 7, it erases the transmitted setting information (step A11).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건조기(3)에서 제어장치(20)는 서버(8)로부터 홈게이트웨이(2)를 경유하여 설정정보를 수신했을 때 본체(10)에서 설정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단계 D11). 제어장치(20)는 본체(10)에서 설정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다고 판정하면(단계 D11: 아니오), 도 5에 도시한 수신한 설정정보를 설정하고(단계 D5), 또한 설정한 설정정보의 표시(단계 D6)를 실시한다.7, in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when the control device 20 receives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8 via the home gateway 2, the setting information is already set in the main body 10 (Step D11). If the control device 20 determines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is not set in the main body 10 (step D11: No), the control device 20 set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shown in Fig. 5 (step D5) Display (step D6) is performed.

한편, 본체(10)에서 설정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되면(단계 D11: 예), 수신한 설정정보를 파기한다(단계 D12). 다시 말하면 제어장치(20)는 사용자가 조작패널(14)에서 제 2 설정정보를 설정한 상태에서 서버(8)로부터 홈게이트웨이(2)를 경유하여 제 1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조작패널(14)에서 설정한 설정정보를 우선해도 좋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is already set in the main body 10 (step D11: YE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is discarded (step D12). In other words, if the control device 20 receives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8 via the home gateway 2 in a state where the user has set the second sett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panel 14, The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setting unit 14 may be given priority.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8)는 기억기간의 계시를 개시한 후에, 세탁건조기(3)로부터 홈게이트웨이(2)를 경유하여 통신 가능 신호를 수신하기에 앞서 계시하고 있는 기억기간이 소정기간에 도달했다고 판정하면(단계 A4: 예), 그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를 소거한다(단계 A21). 이 경우, 서버(8)는 이후에 세탁건조기(3)로부터 홈게이트웨이(2)를 경유하여 통신 가능 신호를 수신했다고 해도, 설정정보를 이미 소거했으므로, 설정정보를 홈게이트웨이(2)를 경유하여 세탁건조기(3)에 송신하는 일은 없다. 즉, 소정 기간은 사용자가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를 조작하여 설정한 설정정보를 유효로 하는 기간(유효기간)이다. 사용자가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를 조작하여 설정정보를 설정하고 나서 바로 운전을 개시시키는 사용형태이면, 예를 들어 30분 등의 분 단위의 시간이면 좋다.As shown in Fig. 8, after the server 8 starts counting the storage period, the server 8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torage period before the receipt of the communication enabling signal via the home gateway 2 from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period has been reached (step A4: YES),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is erased (step A21). In this case, even if the server 8 subsequently receives the communication enabling signal via the home gateway 2 from the washing / drying machine 3, since the setting information has already been erased, the set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via the home gateway 2 It is not transmitted to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That is, the predetermined period is a period (valid period) in which the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user by operating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cellular phone 9 is made valid. If the user uses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to set the setting information and then immediately starts the operation, the time may be a minute unit such as 30 minutes.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를 조작하여 설정정보를 설정하고 나서 운전을 개시시킬 때까지의 실질적인 시간을 고려하여 소정 기간을 설정하면 좋다.In other words, the predetermined period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a substantial time from when the user operates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cellular phone 9 to set the setting information to start the operation.

본 실시형태의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1)에 따르면, 사용자가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로부터 설정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한 시점에서 세탁건조기(3)의 본체(10)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로부터 송신된 설정정보를 서버(8)가 계속 기억하고, 본체(10)의 전원이 온이 되면, 서버(8)가 상기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를 세탁건조기(3)에 송신하도록 했다.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system 1 of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ser performs a transmission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Th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is continuously stored by the server 8 and the power of the main body 10 is turned on even if the power supply of the server 8 ) Transmits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washer dryer (3).

이에 의해, 사용자는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로부터 설정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하기 전에, 본체(10)의 전원을 온해 둘 필요가 없어지고 사용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Thereby, it is not necessary for the user to turn on the power supply of the main body 10 before performing the transmission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and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즉,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를 조작하여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조작과, 본체(10)의 전원을 온시키는 조작의 조작순서에 관계없이, 그 원격조작에 의해 설정한 설정정보에 따라서 운전을 개시시킬 수 있고, 조작수순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That is, irrespective of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by operating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and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power of the main body 10, the sett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tart th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procedure,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operation procedure can be increased.

또한, 서버(8)에서 설정정보의 세탁건조기(3)로의 송신에 성공하면, 그 송신에 성공한 설정정보를 소거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서버(8)가 동일한 설정정보를 복수회에 걸쳐 송신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f the setting information is successfully transmitted from the server 8 to the washer / dryer 3, the setting information that has been successfully transmitted is delete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rver 8 from transmitting the same setting information a plurality of times in advance.

또한,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에서 서버(8)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가능하게 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서버(8)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정보, 즉 이후에 본체(10)의 전원이 온했을 때 세탁건조기(3)에 송신되는 설정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t terminal 6 and the portable telephone 9 receive th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8 and make it possible to be notified. Thus, the user can confirm th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8, that is, the sett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when the power of the main body 10 is turned on subsequently.

또한, 서버(8)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그 서버(8)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삭제 가능하게 해도 좋고, 설정 정보의 내용을 변경 가능하게 해도 좋다.Th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8 may be deleted or the contents of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changeable as well as confirming th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8. [

또한, 세탁건조기(3)에서 본체(10)에서 설정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을 때 서버(8)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설정정보를 파기하고, 본체(10)에서 이미 설정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우선하여 시작/일시정지 키(16o)를 조작하면, 본체(10)에서 이미 설정되어 있는 설정정보에 따라서 운전을 개시시키도록 했다.When the setting information is already set in the main body 10 by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th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rver 8,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is discarded, When the start / pause key 16o is operated in preference to the setting information, the operation is started in accordance with the setting information already set in the main body 10. [

이에 의해, 사용자가 세탁건조기(3)의 조작패널(14)에서 설정한 설정정보를,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에서 설정한 설정정보보다도 우선시킬 수 있다.Thus, the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user on the operation panel 14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can be given priority over the setting information set on the tablet terminal 6 or the portable telephone 9. [

또한, 세탁건조기(3)에서 본체(10)의 전원이 온이 되어,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회선의 접속수순을 개시하면 안테나 마크를 점멸시키고,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회선의 접속수순을 정상적으로 완료하고 서버(8)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해지면 안테나 마크를 점등시키도록 했다.When the power supply of the main body 10 is turned on in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and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Bluetooth line with the home gateway 2 is started, the antenna mark is blinked, The antenna mark is lighted when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line is normally completed and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8 becomes possible.

이에 의해, 사용자는 안테나 마크의 점멸을 확인함으로써, 홈게이트웨이(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회선의 접속수순을 실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안테나 마크의 점등을 확인함으로써, 세탁건조기(3)가 서버(8)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건조기(3)의 통신상태의 변화를 차례로 알림으로써 사용편리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Thus,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connecting procedure of the Bluetooth line is being executed with the home gateway 2 by confirming the blinking of the antenna mark, and by confirming the turning on of the antenna mark, the washing / 8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s described above, the change in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s notified in turn,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세탁건조기(3)에서 서버(8)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설정정보를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설정정보취득」의 문자열을 정보표시부(19)에 표시하고, 서버(8)로부터 홈게이트웨이(2)를 경유하여 수신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면, 그 설정한 설정정보의 내용을 각종 표시부(17a~17d)에 표시하도록 했다.When th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rver 8 in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a string of " setting information acquisition " indicating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section 19, And set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via the display unit 2, the content of the set sett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various display units 17a to 17d.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설정정보취득」의 문자열을 확인함으로써 서버(8)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설정정보의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태블릿 단말(6)이나 휴대전화기(9)에서 설정한 설정정보가 본체(10)에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us,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from the server 8 by checking the character string " Get setting information " It can be confirmed that one setting information is reflected in the main body 10.

또한 서버(8)에서 세탁건조기(3)로의 송신을 대기한 채로 설정정보를 계속 기억하고 있는 기억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하면, 그 설정정보를 소거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오래된 설정정보를 서버(8)가 세탁건조기(3)에 송신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orage period in which the setting information is continuously stored while waiting for transmission from the server 8 to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reaches a predetermined period, the setting information is erase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rver 8 from transmitting the old setting information to th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in advance.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가전기기로서 드럼식 세탁건조기(3)에 적용하도록 했지만 소위 세로식 세탁건조기, 건조 기능을 갖지 않는 세탁기, 건조 기능만을 갖는 건조기 등에 적용해도 좋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3 as a home appliance, it may be applied to a so-called longitudinal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a washing machine having no drying function, a dryer having only a drying function,

또한, 원격조작의 대상을 전자렌지(4)로 하고 설정정보로서 조리코스를 설정하는 경우에 적용해도 좋고, 원격조작의 대상을 청소기(5)로 하고, 설정정보로서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원격조작의 대상을 냉장고로 하고, 설정정보로서 전력절감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 적용해도 좋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case of setting the cooking course as the setting information with the microwave oven 4 as the subject of the remote operation. In the case of setting the operation mode as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appli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object of remote control is a refrigerator and the power saving mode is set as the setting information.

이상에 설명한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은 사용자가 조작단말로부터 설정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한 시점에서 가전기기의 본체의 전원이 오프하고 있다고 해도, 조작단말로부터 송신된 설정정보를 서버가 계속 기억하고, 본체의 전원이 온이 되면, 서버가 상기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를 가전기기에 송신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조작단말로부터 설정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조작을 실시하기 전에, 본체의 전원을 온 해 둘 필요가 없어져 사용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system of the household appliance described above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rver continues to store th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even if the power of the main body of the household appliance is turned off at the time when the user performs the transmission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terminal And when the power of the main body is turned on, the server transmits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household appliance. Thereby, it is not necessary for the user to turn on the power of the main body before performing the transmission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operating terminal,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및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 및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se new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its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 3: 세탁건조기(가전기기)
4: 전자렌지(가전기기) 5: 청소기(가전기기)
6: 태블릿 단말(조작단말) 8: 서버
9: 휴대전화기(조작단말) 10: 본체
1: Remote control system of home appliances 3: Washing and drying machine (household appliances)
4: Microwave oven (home appliances) 5: Vacuum cleaner (home appliances)
6: Tablet terminal (operating terminal) 8: Server
9: portable telephone (operation terminal) 10: main body

Claims (7)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고, 사용자로부터의 가전기기에 대한 제 1 설정정보의 입력조작을 접수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조작단말,
상기 조작단말로부터 제 1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 1 설정정보를 수신하며, 전원조작이 가능하고 상시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가전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조작단말로부터 제 1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제 1 설정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그 수신한 제 1 설정정보를 상기 가전기기에 송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제 1 설정정보를 상기 가전기기에 송신 불가능하다고 판정하면 제 1 설정정보를 계속 기억하고, 그 후 제 1 설정정보를 상기 가전기기에 송신 가능해졌다고 판정하면 그 기억하고 있는 제 1 설정정보를 상기 가전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가전기기는 구비된 조작패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 2 설정정보의 입력조작을 접수하여 기억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 1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1 설정정보를 파기하고, 제 2 설정정보를 우선하고,
상기 전원이 오프인 때의 상기 서버의 기억기간에는 상기 조작단말에서 상기 서버의 내용을 확인가능하고, 기억되어 있는 설정정보의 소거와 설정정보의 내용변경이 가능한,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
An operation terminal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server and to receive an input operation of first setting information for a home appliance from a user and transmit the input operation to the server,
A server for receiving first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operating terminal,
And a home appliance tha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receives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can operate the power source and is always powered off,
The server, upon receiving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operating terminal, stores the received first setting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ceived first sett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household appliance.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is continuously stor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household appliance,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ousehold appliance ,
Wherein the home appliance receives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in a state in which the input operation of the second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panel and stores the received first setting information, 2 setting information is given priority,
Wherein the contents of the server can be confirmed by the operating terminal in the storage period of the server when the power is off, and the content of the setting information can be deleted and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can be chan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 1 설정정보의 상기 가전기기로의 송신에 성공하면, 그 송신에 성공한 제 1 설정정보를 소거하는,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rver erases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that succeeds in transmission of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when the server succeeds in transmitting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단말은 상기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설정정보의 내용을 알림 가능한,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perating terminal can notify the contents of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사실을 알리는 제1 알림정보를 송신하는,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ome appliance transmits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is possib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 1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제 1 설정정보를 수신한 사실을 알리는 제2 알림정보를 송신하는,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ome appliance transmits second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appliance has received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when receiving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로의 송신을 대기한 채로 제 1 설정정보를 계속 기억하고 있는 기간이 소정기간에 도달하면, 제 1 설정정보를 소거하는,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rver erases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when a period in which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continues to be stored while waiting for transmission to the household appliances reaches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로의 송신을 대기한 채로 제 1 설정정보를 계속 기억하고 있는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하면, 제 1 설정정보를 소거하는,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rver erases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when a period in which the first setting information continues to be stored while waiting for transmission to the household appliances reaches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KR1020170020999A 2013-08-26 2017-02-16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 Expired - Fee Related KR1018143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4490 2013-08-26
JP2013174490A JP6250980B2 (en) 2013-08-26 2013-08-26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7720A Division KR20150024264A (en) 2013-08-26 2014-08-19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811A KR20170021811A (en) 2017-02-28
KR101814328B1 true KR101814328B1 (en) 2018-01-02

Family

ID=526960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7720A Ceased KR20150024264A (en) 2013-08-26 2014-08-19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
KR10201700209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814328B1 (en) 2013-08-26 2017-02-16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7720A Ceased KR20150024264A (en) 2013-08-26 2014-08-19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50980B2 (en)
KR (2) KR20150024264A (en)
CN (1) CN104426729B (en)
TW (1) TWI53684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0678B (en) * 2017-03-27 2021-03-2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 method for terminating the remote control of a washing machine
JP6904142B2 (en) * 2017-07-28 2021-07-14 株式会社リコー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JP2020027413A (en) * 2018-08-10 2020-02-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6843808B2 (en) * 2018-09-26 2021-03-17 Kddi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CN111416757A (en) * 2019-01-08 2020-07-14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Remote operation terminal, program,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operation system
JP7269740B2 (en) * 2019-01-18 2023-05-09 リンナイ株式会社 heating cooking system
JP2021094258A (en) * 2019-12-18 2021-06-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Washing system, serv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7606289B2 (en) * 2020-08-05 2024-12-25 シャープ株式会社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CN113308847A (en) * 2021-06-24 2021-08-27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Customizable washing machine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036A (en) * 2000-09-04 2002-03-15 Hitachi Ltd Network system for home appliances
JP2003225491A (en) * 2002-02-06 2003-08-12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server and remote control system
KR100786424B1 (en) * 2003-09-26 2007-12-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Home electric appliances remote control system, service provision server, home server, home electric appliances remote control support method of service provision server, and home electric appliances service provision support method of service provision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093A (en) * 1994-11-29 1996-06-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4370708B2 (en) * 2000-06-02 2009-11-25 ソニー株式会社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rogram recording reservation system, program recording reservation method, program recording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thod
US7143429B2 (en) * 2000-06-02 2006-11-28 Sony Corporation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recording preset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system and method
JP2002291062A (en) * 2001-03-28 2002-10-04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Mobile communication unit
JP2003120984A (en) * 2001-10-17 2003-04-23 Sharp Corp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6255063A (en) 2005-03-16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ing machine and its program
WO2009063977A1 (en) * 2007-11-16 2009-05-22 Rohm Co., Ltd. Remote operation device
JP5321536B2 (en) * 2010-05-21 2013-10-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Remote control device, service center
CN103078904B (en) * 2012-12-24 2016-07-06 惠州Tcl家电集团有限公司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thereof and server
CN203038084U (en) * 2012-12-31 2013-07-03 上海宽岱电讯科技发展有限公司 Intelligent-home remote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036A (en) * 2000-09-04 2002-03-15 Hitachi Ltd Network system for home appliances
JP2003225491A (en) * 2002-02-06 2003-08-12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server and remote control system
KR100786424B1 (en) * 2003-09-26 2007-12-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Home electric appliances remote control system, service provision server, home server, home electric appliances remote control support method of service provision server, and home electric appliances service provision support method of service provision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36848B (en) 2016-06-01
JP6250980B2 (en) 2017-12-20
TW201524219A (en) 2015-06-16
JP2015042209A (en) 2015-03-05
KR20150024264A (en) 2015-03-06
KR20170021811A (en) 2017-02-28
CN104426729B (en) 2018-03-06
CN104426729A (en)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328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
KR101830573B1 (en) Information notify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KR102504104B1 (en) Washing machine, Mobile,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US9722668B2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8965481B (en) Household appliance and online system comprising same
EP3301214B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90099569A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4112799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161486A (en) Laundry apparatus
KR20200051514A (en) Internet home appliance system control method
KR20110126437A (en) Home appliance and its operation method
CN104411874B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control system
JP6542331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for home appliances
US20160182705A1 (en) Electric produ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product
JP2005034179A (en) Equipment control system
CN108625095B (en) A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and washing machine
JP2014171562A (en) Washing machine control system
US11092937B2 (en) Electric product
JP2019024809A (en) Washing machine
JP2014027440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washing machine
KR20240149733A (en) A home appliance and a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JP2005065910A (en) Washing dryer control system
CN114575109A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JP2014033832A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21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122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