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4182B1 - 레저용 조립식 보트 - Google Patents

레저용 조립식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182B1
KR101814182B1 KR1020160120909A KR20160120909A KR101814182B1 KR 101814182 B1 KR101814182 B1 KR 101814182B1 KR 1020160120909 A KR1020160120909 A KR 1020160120909A KR 20160120909 A KR20160120909 A KR 20160120909A KR 101814182 B1 KR101814182 B1 KR 101814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boat
fixing
longitudinal direction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건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폴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폴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폴리피아
Priority to KR102016012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1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63B7/04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sectional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수미체와 중심체의 저면에 각각 걸림봉과 걸쇠부를 구비하여 상호 구성이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선수미체와 중심체의 상면에 상단덮개와 체결홈을 구비하여 상호 구성이 서로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부력체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저용 조립식 보트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선수미체를 포함하며, 한 쌍이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부력체; 상기 선수미체와 상기 중심체를 고정 또는 분리하는 결합부;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부력체를 고정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부력체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부력체의 주행에 필요한 추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부력체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부력체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저용 조립식 보트{An assembly boat for leisure}
본 발명은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수미체와 중심체의 저면에 각각 걸림봉과 걸쇠부를 구비하여 상호 구성이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선수미체와 중심체의 상면에 상단덮개와 체결홈을 구비하여 상호 구성이 서로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부력체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 인구의 증가에 따라 강, 호수 또는 바다와 같은 수상에서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상에서 사용되는 스포츠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수상 레저용으로 사용되는 물놀이 기구로는 개인용으로 사용되는 튜브(tube)나 구명조끼 등이 있고, 단체용으로는 주로 보팅(boting)을 하기 위한 보트(boat)가 있으며, 보트는 보팅을 하는 즐거움도 있지만 최근에는 물 위에서 고속으로 끌고 다니는 보트인 일명 바나나 보트 등 여러 종류의 다양한 보트들이 개발되어 레저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트는 크게 모터 등의 추진동력을 이용하는 동력보트와 인력 또는 풍력 등을 추진동력으로 사용하는 무동력 보트로 구분되는데, 특히 오락 기능뿐만 아니라 운동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면허 없이 간편하게 운전할 수 있고 인력을 이용하는 무동력 보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보트는 레저용 보트의 임대업자로부터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보트를 빌려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수상레저가 발달함에 따라, 개인적으로 보트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보트는 1인용이라 하더라도 무게가 상당하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보트를 구매한 경우, 보트 운반용 트레일러에 보트를 싣고 다니거나 보트를 보관할 수 있는 창고 공간을 임대하는 등의 별도의 비용이 더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개인용 보트의 보관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립식 보트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종래의 조립식 보트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971085호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조립식 보트는 하나이상의 부력통으로 조립하는 조립식 레저보트에 있어서, 상면 가장자리에 플랜지를 지닌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선수부 및 선미부에 위치하는 선수선미부력통; 상면 가장자리에 플랜지를 지닌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수선미부력통 사이에 연결되는 중간부력통; 상기 선수선미부력통 및 상기 중간부력통 상면 일측에 물 또는 부력제를 주입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충진구; 및 상기 선수선미부력통과 중간부력통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선수선미부력통과 중간부력통의 상면에 형성되는 파이프 홈 상으로 결합되는 연결용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의 조립식 보트는 선수선미부력통과 중간부력통을 결합하여 하나의 부력통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복수 개의 부력통을 연결용 파이프를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보트의 경우, 선수선미부력통과 중간부력통의 플랜지 부분에 볼트홈을 각각 형성하고, 볼트체결브라켓을 이용하여 상호 구성이 볼팅결합에 의해 구속 조립되도록 이루어지고 있는 바, 보트의 상면은 고정되어 상호 구성간의 구속이 이루어지지만, 보트의 하면을 구속 고정하도록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조립된 보트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볼트를 이용하여 각 구성을 결합하고 있는 바, 볼트를 견고하게 조이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가 요구되기 때문에, 보트의 결합시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KR 10-0971085 (B1) 2010. 07. 1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수미체와 중심체의 저면에 각각 걸림봉과 걸쇠부를 구비하여 상호 구성이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선수미체와 중심체의 상면에 상단덮개와 체결홈을 구비하여 상호 구성이 서로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부력체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저용 조립식 보트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선수미체를 포함하며, 한 쌍이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부력체; 상기 선수미체와 상기 중심체를 고정 또는 분리하는 결합부;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부력체를 고정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부력체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부력체의 주행에 필요한 추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부력체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부력체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선수미체와 상기 중심체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일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고정홈 하방의 측면 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봉;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홈과 대향되는 상기 선수미체 또는 상기 중심체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봉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태로 형성되는 걸쇠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립식 보트는, 상기 걸림봉에 상기 걸쇠부가 고정된 상태일 때, 상기 선수미체와 상기 중심체 사이에 생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보조 부력부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심체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홈; 및 기 선수미체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상단덮개를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부력체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끝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에 상기 지지 프레임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핀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된 중심체 및 선수미체가 제 1결합부에 의해 1차 고정되고, 보조 부력체에 의해 2차 고정이 이루어지며, 제 2결합부에 의해 3차 고정이 이루어지는 다단 고정 구조를 통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바, 수상레저 활동 중 보트가 분리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 끼움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각 구성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는 바, 별도의 결합도구 없이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보트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조립식 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적용되는 부력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적용되는 부력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적용되는 이송레일과 부가시설 장착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적용되는 부가시설 장착부의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수미체(110)와 중심체(120)의 저면에 각각 걸림봉(220)과 걸쇠부(230)를 구비하여 상호 구성이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선수미체(110)와 중심체(120)의 상면에 상단덮개(250)와 체결홈(240)을 구비하여 상호 구성이 서로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부력체(10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조립식 보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적용되는 부력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적용되는 부력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부력체(100), 결합부(200), 지지 프레임(300), 구동부(500) 및 조향부(6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부력체(100)는 본 발명을 수중에 띄우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카누 등과 유사한 선형을 갖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체(120)와 상기 중심체(12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선수미체(11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중심체(120)와 선수미체(110)는 각각 수밀이 가능한 독립된 구성으로 형성되며, 이후 상기 결합부(200)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선수미체(110)는 보트의 선수에 해당하는 선수체와 보트의 선미에 해당하는 선미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부력체(100)는 한 쌍이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도록 하며, 이후 지지 프레임(300)에 의해 고정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선수미체(110)와 중심체(120)간 상호 구성을 고정 또는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부력체(10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부력체(100)의 저면 및 상면에 각 구성으로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선수미체(110)와 중심체(120)의 저면 간을 고정하는 결합부(200)를 제 1결합부(200a), 상기 선수미체(110)와 중심체(120)의 상부를 고정하는 결합부(200)를 제 2결합부(200b)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 1결합부(200a)는 고정홈(210), 걸림봉(220) 및 걸쇠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걸쇠부(230)가 상기 고정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봉(220)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선수미체(110)와 중심체(120)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상기 고정홈(210)은 상기 선수미체(110)와 상기 중심체(120)가 서로 마주보는 끝단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선수미체(110) 또는 상기 중심체(120) 중 선택되는 하나의 구성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홈(210)은 소정의 폭을 가지며 길이방향 내측으로 패인 제 1홈(211)과, 상기 제 1홈(211)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기 제 1홈(211)에서 길이방향 내측으로 패이는 제 2홈(21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홈(210)은 'T'자형 단면이 깊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봉(220)은 상기 고정홈(210)의 마주보는 측면의 하방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걸림봉(220)은 상기 제 1홈(211)의 마주보는 측면의 하방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홈(211)의 하방은 상기 걸림봉(220)에 의해 가로막히고 상기 제 2홈(212)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걸쇠부(230)는 연장되는 막대의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홈(210)과 대향되는 상기 선수미체(110) 또는 상기 중심체(120)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봉(220)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걸쇠부(230)는 상기 제 2홈(212)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걸림편(231)과, 상기 제 1홈(211)의 폭에 대응되되 하면이 상기 걸림봉(220)에 끼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끼움편(232)을 포함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걸쇠부(230)의 타단이 상기 고정홈(210)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편(231)이 상기 제 2홈(212)에 걸림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끼움편(232)이 상기 걸림봉(220)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걸쇠봉이 깊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여, 상기 선수미체(110)와 중심체(120)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1결합부(200a)는 복수 개 구비되면서 상호 구성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제 1결합부(200a)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 1결합부(200a)를 구성하는 각 구성이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개의 제 1결합부(200a)가 구비된다고 가정할 때, 하나의 고정홈(210)이 선수미체(110)에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걸쇠부(230)가 중심체(120)에 구비되면, 나머지 고정홈(210)은 상기 중심체(120)에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걸쇠부(230)는 상기 선수미체(110)에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선수미체(110)와 중심체(120)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걸쇠부(230)는 미사용시에는 상기 선수미체(110) 또는 상기 중심체(120)의 일면에 밀착되어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결합부(200b)는 체결홈(240)과 상단덮개(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수미체(110)에 힌지 결합된 상단덮개(250)가 상기 체결홈(24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선수미체(110)와 중심체(120)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상기 체결홈(240)은 상기 중심체(12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단덮개(250)는 일단이 상기 선수미체(1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홈(240)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선수미체(110)와 중심체(120)가 상기 제 1결합부(200a)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상단덮개(250)는 상기 제 1결합부(200a)의 상부를 덮어서 가릴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단덮개(250)의 타단은 절곡 형성되도록 하며, 절곡된 부분이 상기 체결홈(24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선수미체(110)와 중심체(120)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단덮개(250)와 중심체(120)가 결합된 이후에는, 상기 절곡부(710)가 상기 체결홈(24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상단덮개(250)가 상기 체결홈(2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덮개(250)와 중심체(120)를 볼트 결합하여, 상호 구성 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단덮개(250)는 미사용시에는 상기 선수미체(11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제 1결합부(200a)에 의해 상기 중심체(120)와 선수미체(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력체(100)에는 상기 중심체(120)와 선수미체(110) 사이에 공간이 생성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공간에 보조 부력부(400)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부력체(100)의 부력을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 부력부(4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중심체(120) 및 선수미체(110)에 형성된 고정홈(210)에 대응되는 돌출돌기(410)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돌기(410) 상기 고정홈(21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중심체(120)와 선수미체(1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조 부력부(400)의 하면에는 결합된 상태로 배치된 상기 제 1결합부(200a)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 부력부(400)가 상기 공간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 부력부(400)는 다양한 높이를 갖도록, 즉, 다양한 부력을 가지도록 제조되며, 사용자의 체중 및 보트의 주행환경 상태에 따라 알맞은 부력을 갖는 보조 부력부(400)를 선택 구비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300)은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 한 쌍의 부력체(100)가 각각 결합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300)은 두 개 이상의 상기 부력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중심체(120)의 상부에는 원형 홀의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 고정부재(130)가 개방된 부분이 폭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300)의 양 끝단부가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13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300)의 양단에 부력체(1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130)는 조였다가 다시 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3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300)과 프레임 고정부재(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130)에는 상호 구성을 동시에 관통하는 프레임 고정홀(13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 고정홀(131)에 고정핀(132)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 프레임(300)과 프레임 고정부재(130)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부력체(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부력체(100)의 주행에 필요한 추진력이 생산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구동부(500)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페달을 회전시켜 동력을 생성하며, 생성된 동력은 하단에 위치된 프로펠러로 전달되어 상기 프로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추진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동부(500)에 대한 구성은 인력보트에서 이미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조향부(600)는 상기 부력체(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부력체(1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상기 조향부(600)는 핸들과 핸들의 하방에 위치되는 러더로 구성되며, 상기 핸들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러더 또한 해당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보트의 주행방향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러한 조향부(600)에 대한 구성은 여러 보트의 조향장치에서 이미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운송 또는 보관 중에는 보트를 분리하도록 하고, 수상레저시에는 보트를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력체(100), 지지 프레임(300), 구동부(500) 및 조향부(600)를 각각 분리한 상태로 운송 또는 보관되도록 하며, 상기 부력체(100)는 중심체(120) 및 선수미체(110)로 분리된 상태에서, 제 1결합부(200a)의 걸쇠부(230)와 제 2결합부(200b)의 상단덮개(250)가 상기 선수미체(110) 또는 중심체(120)의 일면에 밀착되어 접힌 상태로 보관 또는 운송되도록 하여 운송시 불편함을 최소화 하도록 한다.
한편, 보트의 조립시에는 상기 중심체(120)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상기 선수미체(110)를 각각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걸쇠부(230)를 고정홈(210)으로 관통시켜 걸림봉(220)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중심체(120)와 선수미체(110)의 저면이 고정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의 체중,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알맞은 부력을 갖는 보조 부력부(400)를 선택하여, 상기 중심체(120)와 선수미체(11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시킨다. 즉, 상기 보조 부력부(400)에 구비된 돌출돌기(410)가 상기 고정홈(210)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중심체(120)와 보조 부력부(400), 상기 보조 부력부(400)와 선수미체(11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상단덮개(250)를 상기 보조 부력부(400)의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조 부력부(4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단덮개(250)의 절곡부(710)를 상기 체결홈(240)으로 삽입시킨 뒤, 상기 상단덮개(250) 및 중심체(120)의 동축상에 형성된 나사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상단덮개(250)와 중심체(12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상기 부력체(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중심체(120)의 전후방향에 위치된 프레임 고정부재(130)에 지지 프레임(300)을 차례대로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300)의 고정이 완료된 이후, 구동부(500) 및 조향부(600)를 상기 지지 프레임(300)에 고정시켜 보트의 조립을 완료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분리된 중심체(120) 및 선수미체(110)가 제 1결합부(200a)에 의해 1차 고정되고, 상기 보조 부력부(400)에 의해 2차 고정이 이루어지고, 제 2결합부(200b)에 의해 3차 고정이 이루어지는 다단 고정 구조를 통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바, 수상레저 활동 중 보트가 분리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 끼움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각 구성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는 바, 별도의 결합도구 없이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보트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한 쌍의 부력체(100)를 고정한 일종의 쌍동선의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지만, 부력이 너무 과하면 일부 안정성이 무너지는 경우에 보트가 뒤짚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부력이 너무 적으면 상기 부력체(100)가 수중에 잠긴 상태로 주행됨에 따라 주행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부력을 갖는 보조 부력부(400)를 각각 제작하고, 사용자의 체중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상기 부력체(100)가 알맞은 부력을 갖도록 보조 부력부(400)를 선택 상용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상태에서 레저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적용되는 이송레일과 부가시설 장착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조립식 보트에 적용되는 부가시설 장착부의 사용 상태도이다.
한편, 수상레저는 통상적으로 날씨가 좋은 여름철에 많이 즐기고 있는데, 여름철에는 강한 태양광으로 인해 화상을 입거나, 탈진하는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바, 이를 대비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수상레저를 즐기는 과정에서 이를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서, 주변 환경이나 수상레저를 즐기는 과정을 사진 또는 동영상 등으로 촬영하는 등의 활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이송레일(700) 및 부가시설 장착부(80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부가시설 장착부(800)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편의장치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이송레일(70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부가시설 장착부(800)에 고정된 편의장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레일(700)은 상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되,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절곡된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빔(beam)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300)의 끝단부의 외측방향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부가시설 장착부(800)는 상방에 결합홈(811)이 구비되고, 하방이 상기 이송레일(7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절곡된 판재의 형태로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부가시설 장착부(800)는 몸통(810), 제 1절곡부(820), 제 2절곡부(830) 및 거치부(8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몸통(810)은 하방이 개방된 '∩'의 단면을 갖도록 절곡된 판재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몸통(810)의 상면에는 결합홈(8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81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몸통(810)에는 마주보는 하측의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링(S)을 더 구비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 1절곡부(820)는 상기 몸통(810)의 하방 끝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절곡부(830)는 상기 제 1절곡부(820)의 끝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8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휘어지도록 자바라의 형태로 형성되는 자바라부(841) 및 상기 자바라부(841)의 상방에 구비되는 집게(84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840)의 하방, 즉, 상기 자바라부(841)의 하방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거치부(840)가 상기 결합홈(811)에 볼트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몸통(810)은 하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몸통(810)의 마주보는 양측벽을 가압하면 상기 몸통(810)의 하방이 중심부로 오므라들면서 상기 제 2절곡부(830)가 상기 이송레일(700)의 내면에서 접촉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상기 이송레일(7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 몸통(810)을 가압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제2절곡부(710)가 다시 원위치되면서 상기 이송레일(700)의 내부를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부가시설 장착부(800)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거치부(840)의 상방에는 집게(842)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집게(84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편의장치를 고정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바라부(841)에 외력을 가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로 편의장치를 배치시켜 더욱 편리하게 편의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부가시설 장착부(800)를 상기 이송레일(700)에 결합한 상태에서, 모바일폰 홀더, 병 홀더, 차양막 등 사용자가 필요한 구성을 선택하여, 상기 집게(842)에 각각 고정시켜 편의장치를 이용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부력체 110 : 선수미체
120 : 중심체 130 : 프레임 고정부재
131 : 프레임 고정홀 132 : 고정핀
200 : 결합부 200a : 제 1결합부
200b: 제 2결합부
210 : 고정홈 211 : 제 1홈
212 : 제 2홈 220 : 걸림봉
230 : 걸쇠부 231 : 걸림편
232 : 끼움편
240 : 체결홈 250 : 상단덮개
300 : 지지 프레임
400 : 보조 부력부 410 : 돌출돌기
500 : 구동부 600 : 조향부
700 : 이송레일 710 : 절곡부
800 : 부가시설 장착부 810 : 몸통
811 : 결합홈
820 : 제 1절곡부 830 : 제 2절곡부
840 : 거치부 841 : 집게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체(120)와 상기 중심체(12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선수미체(110)를 포함하며, 한 쌍이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부력체(100);
    상기 선수미체(110)와 상기 중심체(120)를 고정 또는 분리하는 결합부(200);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부력체(100)를 고정하는 지지 프레임(300);
    상기 부력체(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부력체(100)의 주행에 필요한 추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500); 및
    상기 부력체(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부력체(1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600);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중심체(12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홈(240); 및
    일단이 상기 선수미체(1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홈(240)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상단덮개(2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선수미체(110)와 상기 중심체(120)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일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홈(210);
    상기 고정홈(210) 하방의 측면 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봉(220);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홈(210)과 대향되는 상기 선수미체(110) 또는 상기 중심체(120)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봉(220)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태로 형성되는 걸쇠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보트는,
    상기 걸림봉(220)에 상기 걸쇠부(230)가 고정된 상태일 때, 상기 선수미체(110)와 상기 중심체(120) 사이에 생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보조 부력부(4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100)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300)의 끝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130)에 상기 지지 프레임(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130)와 상기 지지 프레임(300)을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핀(13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



KR1020160120909A 2016-09-21 2016-09-21 레저용 조립식 보트 Active KR101814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909A KR101814182B1 (ko) 2016-09-21 2016-09-21 레저용 조립식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909A KR101814182B1 (ko) 2016-09-21 2016-09-21 레저용 조립식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182B1 true KR101814182B1 (ko) 2018-01-30

Family

ID=6107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909A Active KR101814182B1 (ko) 2016-09-21 2016-09-21 레저용 조립식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610B1 (ko) * 2018-11-07 2019-03-04 주식회사 혁신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밴드가 일체로 형성된 부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2Y1 (ko) * 2005-06-24 2005-11-02 김태준 페달구동식 수상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2Y1 (ko) * 2005-06-24 2005-11-02 김태준 페달구동식 수상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610B1 (ko) * 2018-11-07 2019-03-04 주식회사 혁신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밴드가 일체로 형성된 부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8782B2 (en) Interface for mounting a propulsion mechanism to a watercraft
US9969226B2 (en) Convertible electric bike and board apparatus
US6508194B2 (en) Pontoon watercraft
US8132523B2 (en) Portable, single-person pontoon boat, kit and method
US5964178A (en) Collapsible boat with enhanced rigidity and multi-function chair
US10479451B2 (en) Retractable anchor fixtures
EP0158640A1 (en) Watercraft stabilizer flotation structure
US20140026807A1 (en) Self-Propelled Watercraft
US9517824B1 (en) Watercraft
US7334534B2 (en) Fishing kayak with a deployable fan tail
KR101814182B1 (ko) 레저용 조립식 보트
US7610870B1 (en) Interlocking platform boats
US10172438B2 (en) Folding hybrid vessel
US20120006249A1 (en) Portable Boat
US7124702B1 (en) Fishing kayak with a deployable fan-tail
US6886488B2 (en) Wakeboard pulling apparatus
US10214270B1 (en) Personal watercraft
US20230144630A1 (en) Paddlecraf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776686B2 (en) Modular watercraft with in-line or pontoon-type flotation
US12134444B2 (en) Convertible backpack kayak
WO2015122781A1 (en) Improved kayak design
SU1009891A1 (ru) Катамаран
CA2949798A1 (en) The tri-paddle (tri)! a fast, versatile, touring paddle craft which has a semi-automatic tri-paddle cockpit with integrated two-part spray protector system, a portable craft-pack system, and an on-board sleeper system!
KR101541725B1 (ko) 차량의 루프랙 장착형 접이식 카약
KR101541724B1 (ko) 접이식 카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