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843B1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sewage slud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sewage slu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3843B1 KR101813843B1 KR1020170139125A KR20170139125A KR101813843B1 KR 101813843 B1 KR101813843 B1 KR 101813843B1 KR 1020170139125 A KR1020170139125 A KR 1020170139125A KR 20170139125 A KR20170139125 A KR 20170139125A KR 101813843 B1 KR101813843 B1 KR 101813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tain
- dust
- inlet
- net
- partition 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63 carbo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0 art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6—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rota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directing the gas through a wetted wire mesh or a perforated pl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수에 회전필터가 일부 잠기면서 회전되도록 하고, 분진 및 악취 등으로 오염된 공기를 회전필터를 경유토록 함으로써 분진 및 악취의 제거가 용이하고 회전필터의 세척이 간편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하수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so that dust and odors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cleaning of the rotating filter can be easily performed by allowing the rotating filter to be partially rotated while being immersed in the treated water and causing air contaminated by dust and odor to pass through the rotating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removing apparatus for drying sewage sludge.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탄화, 건조, 퇴비화, 혐기성화, 소각 처리시 발생하는 분진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처리수에 회전필터가 일부 잠기면서 회전되도록 하고 분진 등으로 오염된 공기를 회전필터 및 커튼부재를 경유토록 함으로써 분진의 제거가 용이하고 회전필터의 세척이 간편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하수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removing apparatus which is produced in the course of carbonization, drying, composting, anaerobicization and incineration of organic wastes such as sewage slud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removing device which is produced when sewage sludge drying is carried out by allowing air to pass through a rotary filter and a curtain member, there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rotary filter so as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dust and the cleaning of the rotary filter.
하수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방식은 크게 직접식과 간접식이 있는데, 직접식의 경우 슬러지에 포함된 머리카락, 섬유 등의 이물질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냄새가 심하여 간접식을 주로 사용한다.The method of drying sewage sludge is largely direct and indirect type. In the case of direct type, the indirect type is mainly used because of the smell generated when the foreign materials such as hair and fiber included in the sludge are burned.
이와 같은 하수슬러지의 처리는 생물학적 처리를 주로 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화학적 처리나 물리적 처리에 비해 높은 경제성과, 운전건조 및 형태의 변화를 통해 유기물은 물론 질소, 인의 영양염류까지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물학적 처리는 오염물질을 먹이로 하여 성장하는 미생물의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정한 처리효율을 지속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반응조 내에 일정한 미생물 개체수가 유지되어야 하고,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일정량 이상의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반응조로부터 인출하여 폐기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The treatment of sewage sludge is mainly biological treatment because it is more economical than chemical treatment or physical treatment and it can remove nitrogen and phosphorus nutrients as well as organics to be. However, since the biological treatment is carried out through the activity of the growing microorganisms by feeding the pollutant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certain number of microorganisms in the reaction tank in order to obtain proper treatment efficiency continuousl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must be withdrawn from the system and discarded.
그 반응조로부터 인출된 미생물 덩어리를 하수슬러지라고 하며, 이를 최종처분하기에 앞서 약품첨가에 의한 응집과 탈수과정을 거친 하수슬러지를 탈수 케익이라고 한다.The microbial mass extracted from the reaction tank is called sewage sludge. Sewage sludge that has undergone coagulation and dehydration by adding chemicals before final disposal is called dehydration cake.
상기 반응조로부터 인출된 하수슬러지의 함수율은 약 92%이고, 상기 탈수 케익의 함수율은 약 75%인 것으로 일반적으로 처리과정에서 하수슬러지라고 칭하는 것은 대부분 최종처분을 앞둔 탈수 케익을 의미한다.The water content of the sewage sludge withdrawn from the reaction tank is about 92%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dehydrated cake is about 75%. Generally, what is called sewage sludge in the treatment means most of the dehydrated cake before final disposal.
탈수 케익의 처리방안으로 슬러지를 건조하여 농업분야에서 퇴비로 사용하거나 시멘트제조원료, 화력발전소 연료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슬러지의 재활용을 통한 폐기물의 재활용과 해양 및 토지의 오염을 방지한다는 긍정적인 측면과는 달리, 하수슬러지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건조처리과정에서 냄새가 심하고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고 이러한 가스를 적절하게 처리하지 못함으로써, 쾌적한 생활환경을 파괴하고, 대기를 오염시킴으로써 또 다른 환경오염의 발생문제가 있었다.The sludge is dried as a treatment for dehydration cake, and it is used as compost in agriculture field or as fuel for cement manufacturing and thermal power plant. However, unlike the positive aspect of recycling wastes through recycling of such sludge and preventing pollution of the ocean and land, in the drying process for treating organic wastes such as sewage sludge, the smell and harmful gas are generated, By not properly treating the gas, it has caused a problem of generating another environmental pollution by destroying a pleasant living environment and polluting the atmosphere.
유기성폐기물인 슬러지처리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6-0115691(공개일자 2006.11.09),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6-0129144(공개일자 2006.12.15) 등 많은 종래 기술들은 슬러지 건조처리에 주안점을 둠으로써, 그 건조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및 유해가스에 대해서는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With respect to sludge treatment as an organic waste, many prior art techniques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06-0115691 (Published Date 2006.11.09)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06-0129144 (Published Date 2006.12.15) , There is no significant progress in smell and noxious gas generated during the drying process.
도 1은 상기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6-0115691호에 개시된 슬러지 건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써, 투입된 슬러지가 본체(10) 내부에서 회전축(11)과 패들(12)에 의해 이동되고 스팀공급관(17)을 통해 공급된 스팀으로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본체(10)의 전후측 상부에 별도로 배관된 증기배출관(1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슬러지 분진 및 악취가 함께 배출되어 주변 대기환경을 오염시킨다.FIG. 1 shows a sludge drying apparatu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115691, wherein the charged sludge is moved inside the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5340(공고일자 2003.12.06),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1200(공고일자 2005.04.08) 등에서도 유기성 폐기물인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장치적 구성에 대해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regenerative utility model No. 20-0335340 (Publication date 2003.12.06) and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381200 (Publication date 2005.04.08),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for completely remov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Only the configuration is disclosed.
도 2는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5340호에 개시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는 폐기물이 예열, 증발, 감율기간을 거쳐 건조되면서 발생된 증기는 건조드럼유닛(10)의 열풍발생기(30)쪽 단부에 설치된 배기유닛(60)에 의해 외부로 유도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증기중에 폐기물 분진 및 악취가 함께 배출되어서 주변 대기환경을 오염시킨다.FIG. 2 shows the organic waste dry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5340, wherein the steam generated as the waste is dried through the preheating, evaporation and deceleration periods is supplied to the hot air generator 30, the dust and odors of the waste ar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steam, thereby contaminating the surrounding air environment.
이와 같이, 종래 대부분의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에 대한 기술들은 건조에 대한 효율 및 수분의 완전한 제거를 목표로 함으로써, 냄새 및 대기오염의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 환경오염에 대한 많은 문제가 있었다.Thus, conventional techniques for drying most organic wastes have not presented effective alternatives to the problem of odor and air pollution by aiming at the efficiency of drying and the complete removal of water, thus causing many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종래 하수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을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그 처리가 제한적이었던 하수슬러지 처리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하수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제거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wage sludge drying apparatus and a sewage sludge drying apparatus which are capable of effectively treating dust generated during drying of sewage sludg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removing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를 건조장치에서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moving dust generated when a sewage sludge is dried in a drying apparatus,
일측에 상기 건조장치로부터의 분진 및 냄새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측에 필터링된 공기가 외측으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처리수가 충전되고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획시키며 하단부가 상기 처리수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수직격벽을 갖는 하우징과;And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contaminated air including dust and odor from the drying device to one sid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air to the other side are formed on one side, A housing having a vertical partition wall partitioning an inlet and an outlet and having a lower end spac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reatment water;
상기 처리수에 일부분이 잠기고 나머지 일부분이 상기 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격벽의 하단부와 처리수 사이에 배치되어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필터;를 구비하고,And a rotary filter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ition and the process water so that a part of the process water is submerged and a remaining part of the process water is located in the space,
상기 수직격벽은 상기 공간을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간과,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간으로 구획시키고,Wherein the vertical partition wall divides the space into an inflow space through which the polluted air flows through the inflow port and a discharge space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배출공간측 하우징 내벽과 상기 수직격벽에는 수평격벽이 지그재그로 배치되며,A horizontal partition wall is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on the discharge space side and the vertical partition wall,
상기 회전필터는 상기 분진이 흡착되는 메쉬형상의 흡착망을 통형으로 하여 형성되고, 상기 흡착망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일단이 고정되어 매달리며 상기 분진이 흡착되는 복수의 커튼부재와, 상기 흡착망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게 고정되고 상기 흡착망의 회전시 처리수를 퍼올려 상기 흡착망의 외측면에 공급하며 일정간격으로 칸막이가 형성된 원호형상의 복수의 버킷부재를 구비하며,Wherein the rotary filter comprises a plurality of curtain members formed in a tubular shape of a mesh-shaped adsorption net to which the dust is adsorbed, one end of which is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inner side of the adsorption net and adsorbs the dust, And a plurality of arc shaped bucket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sorbing net to feed the treated wat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dsorbing net during the rotation of the adsorbing net and having a partition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커튼부재는 섬유사로 이루어지는 섬유커튼과 비닐로 이루어지는 비닐커튼을 구비하고, 상기 섬유커튼과 비닐커튼이 상기 흡착망의 내부에 교번적으로 배치되며,Wherein the curtain member comprises a fiber curtain made of fiber yarn and a vinyl curtain made of vinyl, wherein the fiber curtain and the vinyl curtain are alternately disposed inside the adsorption net,
상기 수직격벽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격벽을 구비하되,And an extended partition wall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상기 연장격벽은 상기 수직격벽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유입구측 내벽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격벽과, 상기 제1연장격벽의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2연장격벽을 구비하여서,The extension partition wall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ition wall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toward the inlet side inner wall and a second extension partition wall bent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ition wall,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착망 및 커튼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 is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 via the adsorption net and the curtain member.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버컷부재에 담겨진 처리수를 분배하여 상기 흡착망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오목한 유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cave channel grooves for distributing treatment water contained in each of the cut-away members and guiding the treatment water to be supplied to the adsorption net are formed.
첫째, 본 발명은 하우징 내의 처리수에 회전필터의 하측 일부위가 잠기도록 배치함으로써, 유입된 외기중의 슬러지 분진이 부착된 회전필터를 연속적으로 세척하게 되므로 정화효율을 향상시킨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part of the rotary filter is disposed in the treated water in the housing, the rotary filter attached with the sludge dust in the introduced outdoor air is continuously cleaned, thereby improv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둘째, 본 발명 장치는 흡착망(335) 내부에 섬유커튼(350A) 및 비닐커튼(350B)을 구비함으로써, 섬유커튼(350A)은 공기중의 분진을 흡착하여 제거하고, 비닐커튼(350B)은 유입된 공기가 흡착망(335) 외부로 배출되는 시간을 지체하게 하여서 흡착망(335), 섬유커튼(350A) 및 비닐커튼(350B)에 부착되어 제거되는 분진제거 효율을 향상시킨다. Second,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세째, 버킷부재로 처리수를 퍼올려 회전필터와 수직격벽 사이의 공간으로 뿌려 유막을 형성함으로써, 분진 및 악취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분진이 부착된 회전필터의 세척을 신속히 함으로써 정화효율을 높인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dust and odor substances can be easily removed by raising the treated water with the bucket member and spraying it to the space between the rotating filter and the vertical partition wall to form an oil film, and the washing of the dust- Thereby improv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넷째, 회전필터의 내부에 복수의 커튼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회전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중의 미필터링된 분진 및 악취 물질을 필터링함에 따라, 회전필터의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Fourthly, since a plurality of curtain members are provided inside the rotary filter, the filtering efficiency of the rotary filter can be improved by filtering unfiltered dust and odorous substance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rotary filter.
다섯째, 버킷부재에 칸막이와 유로홈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배치된 구조의 특성상 처리수를 퍼올려 회전필터와 수직격벽 사이에 뿌리는 과정에서, 회전필터에 기울기가 발생되더라도 균일하게 유막을 형성하여 분진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Fifth, due to the structure of the partition structure in which the partition and the channel grooves ar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in the bucket member, the water is uniformly formed even when inclination is generated in the rotary filter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treatment water between the rotary filter and the vertical partition wall The dust removal rate can be increased.
여섯째, 제1연장격벽(232)과 제2연장격벽(234)는 회전필터(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유입된 외기가 회전필터(300)에 보다 긴 경로로 경유토록 하여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Sixth, the first
도 1은 종래 슬러지 건조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제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회전필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회전필터의 개략 단면도,
도 6a는 섬유커튼을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비닐커튼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버킷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격벽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ludge drying apparatus.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organic waste drying apparatus.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du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filter of Fig. 3;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tary filter,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ber curtain,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nyl curtai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ucke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artition wal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실시예의 하수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제거장치는 하수슬러지 및 음식물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탄화, 건조, 퇴비화, 혐기성화, 소각 처리시 발생하는 분진 및 악취를 유입하여서 분진을 제거하고 악취를 완화시켜서 대기중으로 배출함으로써 대기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The apparatus for removing dust generated during the drying of the sewage slu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dust and odors generated during carbonization, drying, composting, anaerobicization, and incineration of organic wastes such as sewage sludge and food to remove dust, So that the air pollution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분진제거장치는, 하수슬러지를 건조장치에서 처리시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3 to 7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removing dust generated when a sewage sludge is treated in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측에 하수슬러지의 건조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분진 및 냄새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타측에 필터링된 공기가 외측으로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고, 하부에 처리수(1)가 충전되고 상부에 공간(2)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10)와 배출구(120)를 구획시키며 하단부가 상기 처리수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수직격벽(210)을 갖는 하우징(100)과; 상기 처리수(1)에 일부분이 잠기고 나머지 일부분이 상기 공간(2)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격벽(210)의 하단부와 처리수(1) 사이에 배치되어서 모터(305)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필터(300);를 구비한다.An
또한, 하우징(100)에는 하부에 처리수의 배출를 위한 배수구(101)가 형성되고, 또한 새로운 처리수(1)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미도시)가 마련된다.A
상기 수직격벽(210)은 상기 공간(2)을 상기 유입구(110)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간(2a)과, 상기 배출구(120)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간(2b)으로 구획시킨다.The
상기 수직격벽(210)은 하단부가 회전필터(300)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하우징(100)에 유입되는 외기를 회전필터(300)측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배출구(120)에는 흡입팬(미도시)이 마련된다.The
상기 배출공간(2b)측 하우징(100) 내벽과 상기 수직격벽(210)에는 수평격벽(220)이 지그재그로 배치되어서, 상기 회전필터(300)를 경유한 정화된 공기의 배출경로를 길게하여 배출 공기중 포함되는 잔류분진이 상기 수평격벽(220)에 부착되어 분진 제거효율이 증진되도록 하였다.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필터(300)는 상기 분진이 흡착되는 메쉬형상의 흡착망(335)을 통형으로 하여 형성되고, 상기 흡착망(335)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일단이 고정되어 매달리며 상기 분진이 흡착되는 복수의 커튼부재와, 상기 흡착망(335)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게 고정되고 상기 흡착망(335)의 회전시 처리수(1)를 퍼올려 상기 흡착망(335)의 외측면에 공급하는 원호형상의 복수의 버킷부재(400)를 구비한다.4, 5 and 7, the
상기 회전필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1필터 프레임(320)과, 상기 복수의 제1필터 프레임(320)의 단부를 다각형으로 연결하며 상기 흡착망(335)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2필터 프레임(330)으로 구성된다.4, the
상기 흡착망(335)은 처리수 및 외기가 통과되는 메쉬 타입의 금속 또는 섬유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각 버컷부재(400)에는 일정간격으로 칸막이(410) 및 오목한 유로홈(420)이 형성되어서, 처리수(1)를 균일하게 분배하여 상기 흡착망(335)의 외측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A
특히, 상기 유로홈(420)은 회전필터(300)의 회전동작시 흡착망(335) 외면에 처리수를 끼얹는 과정에서 균등하게 길이방향으로 처리수를 뿌려서 수직격벽(210)의 하부와 회전필터(300) 사이의 공간에 균일한 유막을 형성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설치과정에서 회전필터(300)에 기울기가 발생되더라도 수직격벽(210)의 하부와 회전필터(300) 사이의 공간에 균일한 유막을 형성시킬 수 있게 하여 회전필터(300)를 경유하지 않는 오염공기로부터 분진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Particularly, th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튼부재는 섬유사로 이루어지는 섬유커튼(350A)과 비닐로 이루어지는 비닐커튼(350B)을 구비하고, 상기 섬유커튼(350A)과 비닐커튼(350B)이 상기 흡착망(335)의 내부에 교번적으로 배치되게 하였다.5 and 6, the curtain member includes a
상기 유입구(110)를 통하여 유입된 오염 공기는 처리수(1)에 젖은 흡착망(335)을 통과하여 흡착망(335) 내부로 진입되면서 1차적으로 흡착망(335)에 분진이 흡착되고, 흡착망(335) 내부로 진입된 공기는 처리수(1)로 젖은 상기 비닐커튼(350B) 및 섬유커튼(350A) 표면에 접하면서 2차적으로 분진이 부착되면서 제거되며, 흡착망(335) 외부로 배출되면서 흡착망(335)에 3차적으로 분진이 부착되어 제거되게 된다.The pollu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이때 흡착망(335)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섬유커튼(350A) 및 비닐커튼(350B)에 의해서 흡착망(335) 외부로 배출되는 시간을 지체하게 하여서, 섬유커튼(350A) 및 비닐커튼(350B)에 부착되는 분진의 제거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게 한다. At this tim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상기 분진이 흡착된 흡착망(335), 섬유커튼(350A) 및 비닐커튼(350B)은 회전되면서 처리수(1)중에 침수되어 분진이 세척되므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로부터 분진의 제거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게 한다.Since the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격벽(21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연장격벽(2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장격벽(230)은 상기 수직격벽(21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유입구(110)측 내벽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격벽(232)과, 상기 제1연장격벽(232)의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회전필터(300)의 상부측 일부분을 감싸는 제2연장격벽(234)으로 이루어진다.8, an
상기 연장격벽(230)으로 인하여 상기 유입구(110)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가 상기 처리수(1)의 수면과 상기 제2연장격벽(234)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필터(300)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유입된 대부분의 오염 공기가 회전필터(300)를 통과하도록 안내함으로써 분진제거효율을 향상시키게 한다.The contaminated air that has flowed into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100)의 내부 하측에 충전된 처리수에 회전필터(300)의 하측의 일부위가 잠기도록 배치하여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상기한 회전필터(300)의 회전시 흡착망(335)에 처리수가 젖으며 회전필터(300)의 흡착망(335)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분진 및 악취 물질이 흡착되고, 회전필터(30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수직격벽(210)과 수평격벽(220)에 의해 흐름 방향이 전환되면서 정체 지연된 후에 배출구(120)를 통해 배기된다.During the rotation of the
또한, 회전필터(300)의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버킷부재(400)는 회전필터(300)의 회전시 하우징(100) 내의 처리수를 퍼담아 수직격벽(210)의 하단부와 회전필터(300) 사이의 틈새 공간 및 회전필터(300)의 흡착망(335)측으로 유막을 형성하도록 뿌리게 되므로, 상기한 틈새공간을 따라 흐르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 및 악취물질을 유막 및 흡착망(335)에 흡착시키는 흡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상기 회전필터(300)의 흡착망(335)측으로 뿌려진 처리수는 흡착망(335)을 세척하게 되면서, 망사 형태의 흡착망(335)을 통과하여 하우징(100)의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The treated water sprayed toward the
이때, 버킷부재(400)에 칸막이(410)는 회전필터(300)의 회전동작시 퍼담은 처리수가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부위별로 균등한 양의 처리수가 뿌려지도록 함과 아울러, 버킷부재(400)의 타측에 다수의 유로홈(4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필터(300)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처리수를 뿌려서 유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틈새공간을 통과하는 공기의 이물질 및 악취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섬유커튼(350A) 및 비닐커튼(350B)은 회전필터(300)의 회전시 제2필터 프레임(330)의 내측면에 밀착되거나, 수직 상방에 위치하는 제2필터 프레임(330)의 내측으로 길게 처지면서 회전필터(30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분진 및 악취물질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특히, 상기 섬유커튼(350A)은 공기중의 분진을 흡착하여 제거하고, 비닐커튼(350B)은 유입된 공기가 흡착망(335) 외부로 배출되는 시간을 지체하게 하여서 흡착망(335), 섬유커튼(350A) 및 비닐커튼(350B)에 부착되어 제거되는 분진제거 효율을 향상시킨다. Particularly,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100) 내에 충전된 처리수에 회전필터의 하측의 일부위가 잠기도록 배치한 후에, 회전필터를 회전시켜 흡착된 슬러지 분진과 악취 물질을 수중에서 제거하고 회전필터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처리수를 회전필터(300)와 수직격벽(210) 사이의 공간으로 뿌려 유막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중의 분진 및 악취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fter a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filter is immersed in the treated water filled in the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220 : 수평격벽 230 : 연장격벽
232 : 제1연장격벽 234 : 제2연장격벽
300: 회전필터
310 : 회전축 320 : 제1필터 프레임
330 : 제2필터 프레임 335 : 흡착망
400 : 버킷부재 410 : 칸막이
420 : 유로홈 110: inlet 120: outlet
220: horizontal partition 230: extended partition
232: first extension partition 234: second extension partition
300: Rotary filter
310: rotating shaft 320: first filter frame
330: second filter frame 335: adsorption network
400: bucket member 410: partition
420: Euro home
Claims (2)
일측에 상기 건조장치로부터 분진 및 냄새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타측에 필터링된 공기가 외측으로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고, 하부에 처리수(1)가 충전되고 상부에 공간(2)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10)와 배출구(120)를 구획시키며 하단부가 상기 처리수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수직격벽(210)을 갖는 하우징(100)과;
상기 처리수(1)에 일부분이 잠기고 나머지 일부분이 상기 공간(2)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격벽(210)의 하단부와 처리수(1) 사이에 배치되어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필터(300);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격벽(210)은 상기 공간(2)을 상기 유입구(110)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간(2a)과, 상기 배출구(120)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간(2b)으로 구획시키고,
상기 배출공간(2b)측 하우징(100) 내벽과 상기 수직격벽(210)에는 수평격벽(220)이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필터(300)는 상기 분진이 흡착되는 메쉬형상의 흡착망(335)을 통형으로 하여 형성되고, 상기 흡착망(335)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일단이 고정되어 매달리며 상기 분진이 흡착되는 복수의 커튼부재와, 상기 흡착망(335)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게 고정되고 상기 흡착망(335)의 회전시 처리수를 퍼올려 상기 흡착망(335)의 외측면에 공급하며 일정간격으로 칸막이(410)가 형성된 원호형상의 복수의 버킷부재(400)를 구비하며,
상기 커튼부재는 섬유사로 이루어지는 섬유커튼(350A)과 비닐로 이루어지는 비닐커튼(350B)을 구비하고, 상기 섬유커튼(350A)과 비닐커튼(350B)이 상기 흡착망(335)의 내부에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직격벽(21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격벽(230)을 구비하되,
상기 연장격벽(230)은 상기 수직격벽(21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유입구(110)측 내벽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격벽(232)과, 상기 제1연장격벽(232)의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2연장격벽(234)을 구비하여서,
상기 유입구(110)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착망(335) 및 커튼부재을 경유하여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제거장치.An apparatus for removing dust generated during treatment of sewage sludge in a drying apparatus,
An inlet 110 through which contaminated air including dust and odor flows in the drying device and an outlet 120 through which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ying device, (100) having a vertical partition (210) having a space (2)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partitioning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and having a lower end spac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reated water;
The rotary filter 3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300 ")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210 and the process water 1 so that a portion of the process water 1 is submerged and a remaining portion thereof is located in the space 2, ),
The vertical partition wall 210 has an inlet space 2a through which the contaminated air flows into the space 2 through the inlet 110 and a discharge space 2b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0 ),
Horizontal partitions 220 are staggered i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0 on the discharge space 2b side and the vertical partitions 210,
The rotating filter 30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 mesh-shaped adsorption net 335 on which the dust is adsorbed. A plurality of the adsorption net 335, which is fixed at one end thereof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curtain member of the adsorbing net 335 and a plurality of adsorbing nets 335 which ar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dsorbing net 335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eed the treated water during rotation of the adsorbing net 335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dsorbing net 335, And a plurality of bucket members (400) of an arc shape formed with the plurality of bucket members (410)
The curtain member includes a fiber curtain 350A made of fiber yarn and a vinyl curtain 350B made of vinyl and the fiber curtain 350A and the vinyl curtain 350B are alternately arranged inside the adsorption net 335 Lt; / RTI &
And an extended partition wall 230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ition 210,
The extension barrier 230 includes a first extension barrier 23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rier 210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inlet 110 and a second extension 232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barrier 232 And a second elongate partition wall 234 bent downwardly,
Where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10)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20) via the adsorption net (335) and the curtain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9125A KR101813843B1 (en) | 2017-10-25 | 2017-10-25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sewage slu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9125A KR101813843B1 (en) | 2017-10-25 | 2017-10-25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sewage slu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3843B1 true KR101813843B1 (en) | 2018-01-30 |
Family
ID=6107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9125A Active KR101813843B1 (en) | 2017-10-25 | 2017-10-25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sewage slu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384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94120A (en) * | 2019-03-25 | 2019-05-24 | 广东洁冠能源科技有限公司 | Bubble dedust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
CN110876880A (en) * | 2019-12-24 | 2020-03-13 | 深圳市宏日嘉净化设备科技有限公司 | Combined multistage purifying equipment |
CN113231292A (en) * | 2021-05-10 | 2021-08-10 | 吴杨 | Rice production is with rice sieving mechanism that has dust removal function |
CN114191924A (en) * | 2021-11-15 | 2022-03-18 | 福建福清万年青水泥有限公司 | A remove dust device for cement manufa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7194B1 (en) | 2005-12-02 | 2006-09-25 | 주식회사 두원정밀 | Wet air cleaner |
JP4077426B2 (en) | 2004-05-21 | 2008-04-16 | 株式会社中山鉄工所 | Wet dust collector |
KR100874855B1 (en) | 2004-04-23 | 2008-12-18 | 두르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 Cleaning method of rotary adsorber |
-
2017
- 2017-10-25 KR KR1020170139125A patent/KR10181384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4855B1 (en) | 2004-04-23 | 2008-12-18 | 두르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 Cleaning method of rotary adsorber |
JP4077426B2 (en) | 2004-05-21 | 2008-04-16 | 株式会社中山鉄工所 | Wet dust collector |
KR100627194B1 (en) | 2005-12-02 | 2006-09-25 | 주식회사 두원정밀 | Wet air cleaner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94120A (en) * | 2019-03-25 | 2019-05-24 | 广东洁冠能源科技有限公司 | Bubble dedust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
CN110876880A (en) * | 2019-12-24 | 2020-03-13 | 深圳市宏日嘉净化设备科技有限公司 | Combined multistage purifying equipment |
CN113231292A (en) * | 2021-05-10 | 2021-08-10 | 吴杨 | Rice production is with rice sieving mechanism that has dust removal function |
CN114191924A (en) * | 2021-11-15 | 2022-03-18 | 福建福清万年青水泥有限公司 | A remove dust device for cement manufacture |
CN114191924B (en) * | 2021-11-15 | 2023-01-06 | 福建福清万年青水泥有限公司 | A remove dust device for cement manufa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3843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sewage sludge | |
EA036807B1 (en) | System and method for exhaust gas cleaning from organic compounds | |
KR100793115B1 (en) | Waste disposal device | |
KR101982856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 |
US424021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solar energy in a water and waste management system | |
KR101545182B1 (en) | Organic waste treatment facilities processing unit of Air Pollutants | |
KR101593417B1 (en) | Disposal apparatus for food waste | |
CN214972995U (en) | Waste gas purification drying equipment | |
KR101289936B1 (en) | Trench-type device for reducing offensive odor | |
KR20210059528A (en) | Complex multi-stage deodorizing apparatus | |
KR101655767B1 (en) | UV Deodorization System with Washung Part and Jacket Part | |
KR101828221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sewage sludge | |
CN213294765U (en) | Process system for removing ammonia nitrogen by targeted adsorption material | |
KR20130061877A (en) | Odor Reduction System of Waste Treatment Plant | |
KR101723863B1 (en) | High Efficiency Deodorizing Apparatus | |
KR20170063013A (en) | Deodorization Module Using Clean Water | |
KR101066993B1 (en) | Purifier for Purifying Nonpoint Pollutants and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 |
RU145378U1 (en) | DEVICE FOR DISPOSAL OF GASES FORMED IN BIORACTORS OF ORGANIC WASTE PROCESSING | |
KR101540392B1 (en) | water-soluble bad smell removal device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 |
CN205649672U (en) | Integrative vortex sprays deodorization equipment | |
CN105413419B (en) | Refuse landfill odor treating device | |
KR20070048563A (en) | Air filter | |
KR101548371B1 (en) | Toxic gas continuous complex deodorizer with a biofilter interlocking structure | |
KR20240008520A (en) | Deodorization device of livestock manure treatment system | |
KR101559427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offensive sme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0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