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767B1 - 레귤레이터 회로 및 레귤레이터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레귤레이터 회로 및 레귤레이터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3767B1 KR101813767B1 KR1020150183217A KR20150183217A KR101813767B1 KR 101813767 B1 KR101813767 B1 KR 101813767B1 KR 1020150183217 A KR1020150183217 A KR 1020150183217A KR 20150183217 A KR20150183217 A KR 20150183217A KR 101813767 B1 KR101813767 B1 KR 1018137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ulator
- regulator control
- signal
- circuit
- control circu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 H02M2001/00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 회로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 회로의 일부분의 회로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 회로의 다양한 노드에서의 논리 값 및 파형의 타이밍도이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 회로의 서로 다른 구동기(drivers)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전류 파형의 그래프이다.
도 4b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가지는 레귤레이터 회로의 서로 다른 구동기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전류 파형의 그래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레귤레이터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0)
- 레귤레이터 회로에 있어서,
레귤레이터 출력 노드;
적어도 (N+1)개―N은 1보다 큰 정수임―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로서,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각각은 위상을 갖는 램프 신호(ramp signal)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램프 생성기(ramp generator)를 포함하는 것인,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및
N개의 구동기
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구동기 각각은,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서로서, 상기 멀티플렉서의 상기 입력 포트는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의 출력 노드와 커플링되는 것인, 상기 멀티플렉서;
상기 레귤레이터 출력 노드와 커플링되는 구동기 스테이지; 및
상기 멀티플렉서의 상기 출력 포트 상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기 스테이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사전-구동기(pre-driver)를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터 회로는, 제1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의 제1 램프 신호의 위상과 제2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의 제2 램프 신호의 위상의 차이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레귤레이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구동기의 상기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와 커플링되는 태스크 제어기(task controll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제어기는,
상기 N개의 구동기의 p-번째―상기 p는 1 내지 N의 범위에 있는 정수임―구동기가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로부터 상기 N개의 서로 다른 위상 중 p-번째 위상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되게 상기 N개의 구동기의 상기 멀티플렉서를 설정하고,
회전 방식으로 상기 N개의 서로 다른 위상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의 각각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레귤레이터 회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중 하나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는,
상기 램프 신호―상기 램프 신호는 삼각파 신호 또는 톱니파 신호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램프 생성기; 및
상기 램프 신호를 상기 레귤레이터 출력 노드에서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생성된 에러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중 하나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의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비교기
를 포함하는 것인, 레귤레이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 출력 노드에서의 전압 레벨 및 기준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에러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에러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는 상기 에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레귤레이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구동기 각각은 상기 구동기 스테이지의 출력 노드와 상기 레귤레이터 출력 노드 사이의 유도성 디바이스(inductive device)를 더 포함하는 것인, 레귤레이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구동기 중 하나의 구동기의 구동기 스테이지는,
상기 구동기 스테이지의 출력 노드와 제1 파워 서플라이 노드―상기 제1 파워 서플라이 노드는 공급 전압 레벨을 전달하도록 구성됨― 사이에 커플링되는 상부 구동기; 및
상기 구동기 스테이지의 상기 출력 노드와 제2 파워 서플라이 노드―상기 제2 파워 서플라이 노드는 상기 공급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접지 기준 레벨을 전달하도록 구성됨― 사이에 커플링되는 하부 구동기
를 포함하는 것인, 레귤레이터 회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 출력 노드에서의 전압 레벨 및 기준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에러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에러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압 레벨은 상기 공급 전압 레벨과 상기 접지 기준 레벨 사이에 있는 것인, 레귤레이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구동기는 제1 공통 회로 설계도에 기초하여 제조되고,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는 제2 공통 회로 설계도에 기초하여 제조되는 것인, 레귤레이터 회로. - 레귤레이터 회로에 있어서,
레귤레이터 출력 노드;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로서,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중 N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는 N개의 서로 다른 위상에 대응하는 N개의 제어 신호를 다양하게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인,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N개의 구동기로서, 상기 N개의 구동기 중 p-번째 구동기는, N개의 제어 신호 중, N개의 서로 다른 위상 중 p-번째 위상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레귤레이터 출력 노드에 p-번째 전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p는 1 내지 N의 범위에 있는 정수이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의 제1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인, 상기 N개의 구동기; 및
상기 N개의 구동기 및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에 커플링되는 태스크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제어기는,
상기 N개의 제어 신호 중, 상기 p-번째 위상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p-번째 전류를 제공하게 상기 p-번째 구동기를 설정하고,
상기 p-번째 위상에 대응하는 또 다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중 또 다른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를 설정하고,
상기 p-번째 위상에 대응하는 상기 N개의 제어 신호 중 상기 제어 신호 대신에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중 상기 또 다른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로부터의 상기 또 다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p-번째 전류를 제공하게 상기 p-번째 구동기를 설정하고,
다른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가 다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1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를 휴지(idle) 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레귤레이터 회로. - 레귤레이터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중 N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로부터 N개의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N개의 구동기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N개의 구동기 중 p-번째 구동기는, 상기 N개의 제어 신호 중, N개의 서로 다른 위상 중 p-번째 위상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고, p는 1 내지 N의 범위에 있는 정수이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의 제1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것인, 상기 N개의 구동기를 설정하는 단계;
또 다른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가 상기 N개의 서로 다른 위상의 상기 p-번째 위상에 대응하는 또 다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중 상기 또 다른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를 설정하는 단계;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또 다른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로부터 상기 p-번째 위상에 대응하는 상기 또 다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상기 p-번째 구동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N+1)개의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의 상기 제1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를 휴지(idle)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729,114 US9654008B2 (en) | 2014-06-06 | 2015-06-03 | Regulator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regulator circuit |
US14/729,114 | 2015-06-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2752A KR20160142752A (ko) | 2016-12-13 |
KR101813767B1 true KR101813767B1 (ko) | 2018-01-30 |
Family
ID=5758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3217A Active KR101813767B1 (ko) | 2015-06-03 | 2015-12-21 | 레귤레이터 회로 및 레귤레이터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376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08011A1 (en) | 2002-07-12 | 2004-01-15 | Hung-I Wang | Multi-phase dc-to-dc buck converter with multi-phase current balance and adjustable load regulation |
US20060055381A1 (en) * | 2004-09-10 | 2006-03-16 |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 Method of forming a multi-phase power supply controller |
-
2015
- 2015-12-21 KR KR1020150183217A patent/KR10181376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08011A1 (en) | 2002-07-12 | 2004-01-15 | Hung-I Wang | Multi-phase dc-to-dc buck converter with multi-phase current balance and adjustable load regulation |
US20060055381A1 (en) * | 2004-09-10 | 2006-03-16 |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 Method of forming a multi-phase power supply controll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2752A (ko) | 2016-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im et al. | A 10-MHz 2–800-mA 0.5–1.5-V 90% peak efficiency time-based buck converter with seamless transition between PWM/PFM modes | |
US1167731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ing power supply | |
TWI458238B (zh) | 直流對直流轉換裝置及其電壓轉換方法 | |
US10103617B2 (en) | Regulator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regulator circuit | |
US8817500B2 (en) | Power supply apparatuses for preventing latch-up of charge pump and methods thereof | |
KR101873137B1 (ko) | 션트 내장 전압 레귤레이터 | |
US8063621B2 (en) | Current balancing circuit and method | |
US10181722B2 (en) | Single inductor,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 |
US8417984B2 (en) | Dynamically scaling apparatus for a system on chip power voltage | |
CN101741242A (zh) | 电荷泵及其工作方法 | |
CN102324840B (zh) | 电荷泵及工作方法 | |
WO2019125729A1 (en) | Multiphase interleaved pulse frequency modulation for a dc-dc converter | |
US10331159B2 (en) | Startup current limiters | |
KR101813767B1 (ko) | 레귤레이터 회로 및 레귤레이터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 |
US20230318450A1 (en) | A voltage regulator device, corresponding method and data storage system | |
JP4310982B2 (ja) | 非絶縁型降圧コンバ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 |
JP6672195B2 (ja) | 電源装置 | |
CN110727305B (zh) | 电压产生系统、电压产生电路以及相关方法 | |
Borkowski et al. | DC/DC Buck Converter with Build-in Tuned Sawtooth Wave Generator Using CMOS Technology | |
Fu et al. | A novel low ripple charge pump with a 2X/1.5 X booster for PCM | |
JP5246251B2 (ja) | 昇降圧型dc−dcコンバータ | |
US11909313B2 (en) | Voltage converter, storage device including voltage converter, and operating method of voltage converter | |
KR20120094815A (ko) | 차지펌프의 래치업을 방지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방법 | |
Tajizadegan et al. | A duty-cycle control circuit with high input-output duty-cycle ra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