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3168B1 - Electric range having free zone - Google Patents

Electric range having free z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168B1
KR101813168B1 KR1020150100669A KR20150100669A KR101813168B1 KR 101813168 B1 KR101813168 B1 KR 101813168B1 KR 1020150100669 A KR1020150100669 A KR 1020150100669A KR 20150100669 A KR20150100669 A KR 20150100669A KR 101813168 B1 KR101813168 B1 KR 101813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ing coil
switching
working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9147A (en
Inventor
오용택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5010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168B1/en
Publication of KR2017000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1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16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를 포함하는 상부 워킹 코일부와, 제3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하부 워킹 코일부와, 하나의 입력단과, 및 제1 워킹 코일의 타단과 제2 워킹 코일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을 구비하는 상부 릴레이부와, 하나의 입력단과, 및 제3 워킹 코일의 타단에 연결된 제1 출력단과 상부 릴레이부의 제2 출력단에 연결된 제2 출력단을 구비하는 하부 릴레이부와, 정류된 직류전원을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상부 릴레이부의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상부 스위칭부와, 정류된 직류전원을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하부 릴레이부의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하부 스위칭부와, 및 릴레이부, 하부 릴레이부, 상부 스위칭부 및 부 스위칭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프리존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워킹 코일보다 적은 스위칭부와 적은 릴레이부를 사용하여 복수의 워킹 코일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range, comprising: an upper working coil part including a first working coil and a second working coil; a lower working coil part including a third working coil; one input end; and a first working coil An upper relay unit having a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orking coil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orking coil, a first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working coil, An upper switching unit for converting the rectified DC power into a high frequency current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DC power to an input terminal of the upper re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rectified DC power into a high frequency current and inputting the same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lower re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relay unit, the lower relay unit, the upper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ary switching unit,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can be selectively operated by using less switching parts and fewer relay parts than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disposed in the zone area.

Figure R1020150100669
Figure R1020150100669

Description

프리존 영역을 구비한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having free zone}Electric range having free zone "

본 발명은 프리존 영역을 구비한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리존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워킹 코일보다 적은 스위칭부와 적은 릴레이부를 사용하여 복수의 워킹 코일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range having a free zone reg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range in which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can be selectively operated by using a smaller number of switching units and fewer relay units than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disposed in a freezone region .

최근에는 워킹 코일에 의한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레인지는 복수의 조리용기들 각각을 가열하기 위해 대응하는 영역들에 각각 워킹 코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하나의 조리용기를 복수의 워킹 코일로 동시에 가열하는 전기 레인지가 출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n induction heating type electric range by a working coil has become widespread. It is general that such an electric range is provided with working coils in corresponding areas for hea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ooking utensils. However, recently, an electric range in which one cooking vessel is simultaneously heated by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is being marketed.

하나의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해 복수의 워킹 코일을 동작시킬 수 있는 구성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기본 사상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유도 가열 장치는 가열 대상물이 담은 조리용기(41)와, 상기 조리용기(41)에 와전류를 유도하여 상기 조리용기(41)를 발열시키기 위해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워킹 코일들(WC1, WC2, WC3)로 구성되는 워킹 코일부(40)와, 상기 워킹 코일부(4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공진 커패시터(C1)와,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류를 출력하는 직류전원 공급부(10)와,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직류전원 공급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직류전원을 온오프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워킹 코일부(40) 및 상기 공진 커패시터(C1)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칭부(20)와, 상기 스위칭부(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30)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런 유도 가열 장치는 복수의 워킹 코일을 항상 동시에 동작시켜야 하므로, 전기 레인지의 프리존 영역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can be operated to heat one cooking vessel. The basic idea of the patent document 1 is shown in Fig.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includes a cooking vessel 41 containing a heating object and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not shown) connected in series to induce an eddy current in the cooking vessel 41 to generate heat in the cooking vessel 41 A working coil part 40 composed of a working coil part WC1, WC2 and WC3, a resonance capacitor C1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working coil part 40,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DC power supply unit 100 on and off according to an input switching signal so that a high frequency current is applied to the working coil unit 40 and the resonance capacitor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30 for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witching unit 20. [ However, such a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must always operate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at the same time, and thus can not be applied directly to the freezone region of the electric range.

한편, 상술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워킹 코일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워킹 코일마다 각각 스위칭부를 배치할 수 있으나, 이 경우 고가의 스위칭소자의 사용 증가로 인해 전기 레인지의 생산 비용도 올라갈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lurality of working coils connected in series, the switching unit can be arranged for each working coil, but in this case, the production cost of the electric range will increase due to an increase in the use of expensive switching elements.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1-0133710호Patent Document 1: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133710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리존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워킹 코일보다 적은 스위칭부와 적은 릴레이부를 사용하여 복수의 워킹 코일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range in which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can be selectively operated by using less switching parts and fewer relay parts than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disposed in a freezone area .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일단들이 공통으로 연결된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상부 워킹 코일부와, 제3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하부 워킹 코일부와, 하나의 입력단과, 및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타단과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을 구비하는 상부 릴레이부와, 하나의 입력단과, 및 상기 제3 워킹 코일의 타단에 연결된 제1 출력단과 상기 상부 릴레이부의 제2 출력단에 연결된 제2 출력단을 구비하는 하부 릴레이부와, 정류된 직류전원을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상부 릴레이부의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상부 스위칭부와, 정류된 직류전원을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하부 릴레이부의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하부 스위칭부와, 및 상기 상부 릴레이부, 상기 하부 릴레이부, 상기 상부 스위칭부 및 상기 하부 스위칭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ctric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working coil part including a first working coil and a second working coil whose ends are connected in common, and a second working coil part including a third working coil An upper relay part having a lower working coil part, an input terminal, and a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working coil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orking coil, A lower relay part having a first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working coi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upper relay part, and a control part for converting the rectified DC power to a high- A lower switching unit for converting the rectified DC power into a high frequency current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DC power to an input terminal of the lower relay unit, The upper relay unit, the upper relay unit, the lower relay unit, the upper switching unit, and the lower switching unit, respectively.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워킹 코일 또는 상기 제2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상부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스위칭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상부 릴레이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상부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검출 값에 따라 상기 제1 워킹 코일 영역 또는 제2 워킹 코일 영역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upper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high-frequency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working coil or the second working coil, wherein the controller drives the upper switching unit and controls the upper relay uni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in the first working coil region or the second working coil reg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control unit.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감지부는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각각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전류 감지 파트 및 제2 전류 감지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the upper sen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urrent sensing part and a second current sensing part for detecting a high-frequency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and second working coils, respectively.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레인지는 상기 상부 스위칭부와 상기 하부 스위칭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위칭부 및 상기 하부 스위칭부는 상기 전원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노드는 상기 상부 릴레이부의 입력단 및 상기 하부 릴레이부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the electric range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upper switching unit and the lower switching unit, wherein the upper switching unit and the lower switching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nd a nod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may b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upper relay part and an input terminal of the lower relay part, respectively.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스위칭부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커패시터와 제2 커패시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연결점은 상기 제1 워킹 코일 또는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일단측에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the upper switching unit includes a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ground,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working coil or the second switching capacitor, And may be connected to one end side of the second working coil.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감지부의 상기 제1 전류 감지 파트 및 상기 제2 전류 감지 파트와 상기 제3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검출하는 하부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검출 값들로부터 상기 제1 워킹 코일, 상기 제2 워킹 코일 및 상기 제3 워킹 코일 모두에 상기 조리용기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리용기가 위치한 비율에 따라 2개의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상부 릴레이부와 상기 하부 릴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comprise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from detected values inputted from the lower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high-frequency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current sensing part and the second current sensing part of the upper sens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in both the first working coil, the second working coil, and the third working coil, the upper relay unit and the second work coil are controlled to supply high- The lower relay unit can be controlled.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워킹 코일은 프리존의 가운데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은 상기 제3 워킹 코일의 상하 또는 좌우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감지부의 상기 제1 전류 감지 파트 및 상기 제2 전류 감지 파트와 상기 제3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검출하는 하부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검출 값들로부터 상기 제1 워킹 코일, 상기 제2 워킹 코일 및 상기 제3 워킹 코일 모두에 걸치도록 상기 조리용기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 워킹 코일에는 정상적인 스위칭 전류가 공급되도록 상기 하부 릴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중 어느 하나에만 스위칭 전류가 공급되도록 상기 상부 릴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the third working coil is dispos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freezone, and the first working coil and the second working coil are disposed above and / or below the third working coil, From the detection values input from the first current sensing part of the sensing part and from the second current sensing part and from the lower sensing part detecting the high frequency current flowing in the third working coil, the first working coil, the second working coi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ower relay unit to supply a normal switching current to the third working coil, and controls the lower relay unit so that the first working coil is connected to the first working coil, And the upper relay unit may be controlled such that a switching current is supplied to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orking coils.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프리존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워킹 코일보다 적은 스위칭부와 적은 릴레이부를 사용하여 복수의 워킹 코일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by using less switching parts and fewer relay parts than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disposed in the freezone area.

본 발명은 또한, 프리존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워킹 코일의 어느 영역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해당 워킹 코일에 선택적으로 스위칭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automatically determine to which region of the plurality of working coils disposed in the freezone area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and selectively supply the switching current to the corresponding working coil.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워킹 코일 영역 모두에 조리용기가 위치한 경우에도 과도한 릴레이부의 제어 없이 스위칭 전류를 각각의 워킹 코일에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apable of appropriately supplying the switching current to each of the working coils without the control of the excessive relay portion even when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in all of the plurality of working coil region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복수의 워킹 코일을 구비한 유도 가열 장치의 회로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프리존 영역을 구비한 전기 레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존 영역의 복수의 워킹 코일을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전기 레인지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기 레인지의 블록도에 따라 구현된 회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a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ic range having a freezone reg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range that can selectively control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in a freezone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ircuit diagram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block diagram of the electric range shown in Fig. 3;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존 영역을 구비한 전기 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도 2는 프리존 영역을 구비한 전기 레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ic range having a freezone reg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레인지의 상면(200)에는 하이라이트 영역(210) 및 프리존 영역(220)이 구비되어 있다. 하이라이트 영역(210)에는 전기적 저항으로 이루어진 발열체가 배치되고, 프리존 영역(220)에는 복수의 워킹 코일이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 highlight region 210 and a free zone region 220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200 of the electric range. A heating element made of electrical resistance is disposed in the highlight area 210, and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can be disposed in the freezone area 220.

도 2에는 하이라이트 영역(210)이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전기 레인지는 복수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하이라이트 영역 대신 하나의 워킹 코일이 배치된 유도 가열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Although only one highlight area 210 is shown in FIG. 2, the electric range may include a plurality of highlight areas, and an induction heating area in which one working coil is disposed instead of the highlight area.

프리존 영역(220)에는 임의의 크기의 조리용기가 위치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1 워킹 코일(WC1), 제2 워킹 코일(WC2) 및 제3 워킹 코일(WC3)이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프리존 영역(220)에 조리용기가 놓이고 키 입력에 의해 전기 레인지가 동작을 시작하면, 조리용기가 위치한 워킹 코일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므로 유도 가열이 가능해진다.The freezing zone 220 may be provided with a cooking vessel of an arbitrary size. To this end, the first working coil WC1, the second working coil WC2 and the third working coil WC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When the cooking vessel is placed in the freezer zone 220 and the electric range is activated by the key input, the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working coil in which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so that induction heating is enabl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존 영역의 복수의 워킹 코일을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전기 레인지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range that can selectively control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in a freezone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레인지는 전원부(300), 상부 스위칭부(310), 상부 릴레이부(320), 상부 워킹 코일부(330), 상부 감지부(340), 하부 스위칭부(350), 하부 릴레이부(360), 하부 워킹 코일부(370), 하부 감지부(38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워킹 코일부(330) 및 하부 워킹 코일부(370) 중 적어도 하나는 2개의 워킹 코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the electric range includes a power source unit 300, an upper switching unit 310, an upper relay unit 320, an upper working coil unit 330, an upper sensing unit 340, a lower switching unit 350 A lower relay part 360, a lower working coil part 370, a lower sensing part 380, and a control part 390.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upper working coil portion 330 and the lower working coil portion 370 includes two working coils.

전원부(300)로부터 출력한 직류전원은 병렬 구성된 상부 스위칭부(310)와 하부 스위칭부(350)에 공급된다. 상부 스위칭부(310)는 제어부(390)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스위칭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직류전원을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상부 릴레이부(320) 또는 하부 릴레이부(360)를 통해 상부 워킹 코일부(330) 또는 하부 워킹 코일부(370)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한다.The DC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0 is supplied to the upper switching unit 310 and the lower switching unit 350 configured in parallel. The upper switching unit 310 is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high frequency switching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390 to convert the DC power into the high frequency current and supplies the high working current through the upper relay unit 320 or the lower relay unit 360 330 or the lower working coil portion 370 with a high frequency current.

상부 릴레이부(320)는 상부 스위칭부(310)가 온되어 공급되는 고주파 전류를 상부 워킹 코일부(330) 또는 하부 워킹 코일부(370)에 제공한다. 상부 워킹 코일부(330)가 제1 워킹 코일(WC1) 및 제2 워킹 코일(WC2)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부 릴레이부(320)의 온 출력단이 예를 들어 제1 워킹 코일(WC1)에 연결되고, 상부 릴레이부(320)의 오프 출력단이 예를 들어 제2 워킹 코일(WC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upper relay unit 320 provides a high frequency current to the upper or lower working coil unit 330 or the lower working coil unit 370 when the upper switching unit 310 is turned on. When the upper working coil part 330 includes the first working coil WC1 and the second working coil WC2, the ON output terminal of the upper relay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first working coil WC1 And the OFF output terminal of the upper relay part 320 can be connected to, for example, the second working coil WC2.

상부 감지부(340)는 상부 워킹 코일부(330)를 통해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감지한다. 여기서 고주파 전류는 매우 큰 값을 가지는 공진 전류이므로, 상부 감지부(340)는 고주파 전류에 비례하는 적은 전류를 검출하여 출력하거나 고주파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 값을 출력할 수 있다.The upper sensing unit 340 senses a high-frequency current flowing through the upper working coil unit 330. Since the high-frequency current is a resonance current having a very large value, the upper sensing unit 340 can detect and output a small current proportional to the high-frequency current or output a voltage value proportional to the high-frequency current.

하부 스위칭부(350)는 제어부(390)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스위칭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직류전원을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하부 릴레이부(360) 또는 상부 릴레이부(320)를 통해 하부 워킹 코일부(370) 또는 상부 워킹 코일부(330)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한다.The lower switching unit 350 is turned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the high frequency switching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390 to convert the DC power into a high frequency current and supplies the lower working coil part through the lower relay part 360 or the upper relay part 320 370) or the upper working coil part (330).

하부 릴레이부(360)는 하부 스위칭부(350)가 온되어 공급되는 고주파 전류를 하부 워킹 코일부(370) 또는 상부 워킹 코일부(330)로 전달한다. 하부 워킹 코일부(370)가 2개의 워킹 코일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하부 릴레이부(360)의 온 출력단이 예를 들어 하나의 워킹 코일에 연결되고, 하부 릴레이부(360)의 오프 출력단이 예를 들어 다른 하나의 워킹 코일에 연결될 수 있다. The lower relay unit 360 transfers the high frequency current supplied by the lower switching unit 350 to the lower working coil unit 370 or the upper working coil unit 330. When the lower working coil part 370 includes two working coils, the ON output terminal of the lower relay part 360 is connected to, for example, one working coil, and the OFF output terminal of the lower relay part 360 is connected to, It can be connected to another working coil.

하부 감지부(380)는 하부 워킹 코일부(370)를 통해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감지한다. 여기서 고주파 전류는 매우 큰 값을 가지는 공진 전류이므로, 하부 감지부(380) 역시 고주파 전류에 비례하는 소전류를 검출하여 출력하거나 고주파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다.The lower sensing part 380 senses a high frequency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ower working coil part 370. Since the high frequency current is a resonance current having a very large value, the lower sensing unit 380 can also detect and output a small current proportional to the high frequency current or output a voltage value proportional to the high frequency current.

제어부(390)는 상부 스위칭부(310)와 하부 스위칭부(350)를 동일한 타이밍으로 온오프 스위칭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전기 레인지의 프리존 영역의 동작이 요청되면, 제어부(390)는 복수의 워킹 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0 can control the on and off switching of the upper switching unit 310 and the lower switching unit 350 at the same timing.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requests the operation of the freezone region of the electric range, the control unit 390 can perform a procedure for confirming whether the cooking container is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orking coils.

먼저, 제어부(390)는 상부 릴레이부(320)를 제어하여 상부 워킹 코일부(330)의 제1 워킹 코일(WC1)에 스위칭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제어부(390)가 상부 스위칭부(310)에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면, 상부 스위칭부(310)는 직류전류를 스위칭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부 스위칭부(310)로부터 출력된 스위칭 전류는 상부 워킹 코일부(330)의 제1 워킹 코일(WC1)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부 감지부(340)는 제1 워킹 코일(WC1)의 공진 전류를 검출하여 제어부(390)에 제공하고, 제어부(390)는 상부 감지부(340)로부터 입력된 검출 값에 기초하여 제1 워킹 코일(WC1) 영역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First, 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upper relay unit 320 to connect the first working coil part WC1 of the upper working coil part 330 so that a switching current can be supplied. When the control unit 390 supplies a switching signal to the upper switching unit 310, the upper switching unit 310 converts the DC current into a switching current and outputs the switching current. And is applied to the first working coil WC1 of the working coil part 330. [ The upper sensing unit 340 detects the resonant current of the first working coil WC1 and supplies the detected resonant current to the control unit 390. 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first sensing coil 340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upper sensing unit 3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in the working coil WCl region.

이어서, 제어부(390)는 상부 릴레이부(320)를 제어하여 상부 워킹 코일부(330)의 제2 워킹 코일(WC2)에 스위칭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제어부(390)가 상부 스위칭부(310)에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면, 상부 스위칭부(310)는 직류전류를 스위칭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부 스위칭부(310)로부터 출력된 스위칭 전류는 상부 워킹 코일부(330)의 제2 워킹 코일(WC2)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부 감지부(340)는 제2 워킹 코일(WC2)의 공진 전류를 검출하여 제어부(390)에 제공하고, 제어부(390)는 상부 감지부(340)로부터 입력된 검출 값에 기초하여 제2 워킹 코일(WC2) 영역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upper relay unit 320 to connect the second working coil WC2 of the upper working coil unit 330 so that a switching current can be supplied. When the control unit 390 supplies a switching signal to the upper switching unit 310, the upper switching unit 310 converts the DC current into a switching current and outputs the switching current. And is applied to the second working coil WC2 of the working coil part 330. [ The upper sensing unit 340 detects the resonant current of the second working coil WC2 and supplies the detected resonant current to the control unit 390. 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second sensing unit 340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upper sensing unit 3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in the working coil WC2 region.

끝으로, 제어부(390)는 하부 릴레이부(360)를 제어하여 하부 워킹 코일부(370)의 제3 워킹 코일(WC3)에 스위칭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제어부(390)가 하부 스위칭부(350)에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면, 하부 스위칭부(350)는 직류전류를 스위칭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하부 스위칭부(350)로부터 출력된 스위칭 전류는 하부 워킹 코일부(370)의 제3 워킹 코일(WC3)에 인가된다. 그리고 하부 감지부(380)는 제3 워킹 코일(WC3)의 공진 전류를 검출하여 제어부(390)에 제공하고, 제어부(390)는 하부 감지부(380)로부터 입력된 검출 값에 기초하여 제3 워킹 코일(WC3) 영역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Finally, the controller 390 controls the lower relay unit 360 to connect the third working coil WC3 of the lower working coil part 370 so that a switching current can be supplied. When the control unit 390 supplies a switching signal to the lower switching unit 350, the lower switching unit 350 converts the direct current into a switching current and outputs the switching current. And is applied to the third working coil WC3 of the working coil part 370. [ The lower sensing unit 380 detects the resonance current of the third working coil WC3 and supplies the detected resonance current to the control unit 390.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lower sensing unit 38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in the working coil WC3 area.

제어부(390)는 워킹 코일마다 조리용기가 위치하는지를 판정한 후에, 정상적으로 유도가열이 수행될 수 있는 워킹 코일에 대해서만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여 유도가열을 실행시키도록, 상부 스위칭부(310), 상부 릴레이부(320), 하부 스위칭부(350) 및 하부 릴레이부(360)에 각각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After the control unit 390 determines whether the cooking container is positioned for each of the working coils, 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upper switching unit 310, the upper relay 310, and the upper relay 310 so that the induction heating is performed by applying a high frequency current only to the working coil, The lower switching unit 350, and the lower relay unit 360, respectively.

한편, 제어부(390)는 상부 감지부(340) 및 하부 감지부(380)로부터 입력된 검출 값들로부터 제1 워킹 코일(WC1), 제2 워킹 코일(WC2) 및 제3 워킹 코일(WC3) 모두에 조리용기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조리용기가 많이 위치한 2개의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부 릴레이부(320)와 하부 릴레이부(3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0 receives the detection values from the upper sensing unit 340 and the lower sensing unit 380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working coils WC1, WC2, The upper relay unit 320 and the lower relay unit 360 can be controlled to supply the high frequency current to the two working coils where the cooking vessels are located.

또한, 워킹 코일 모두에 조리용기가 위치한 경우에, 모든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차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어부(390)는 상부 릴레이부(320)와 하부 릴레이부(360)를 연속적으로 온오프시켜 교대로 제1 워킹 코일(WC1), 제2 워킹 코일(WC2) 및 제3 워킹 코일(WC3)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제어는 릴레이의 수명을 단축 시킬 수 있는바, 제어부(390)는 가운데 영역에 있는 제3 워킹 코일(WC3)에 정상적인 스위칭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부 릴레이부(360)를 제어하고, 제2 워킹 코일(WC2) 및 제1 워킹 코일(WC1)은 조리용기가 위치한 비율에 따라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스위칭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부 릴레이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sequentially supply the high frequency current to all the working coils in the case where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in all the working coils, the controller 390 continuously turns on and off the upper relay unit 320 and the lower relay unit 360, A high frequency current should be supplied to the first working coil WC1, the second working coil WC2 and the third working coil WC3. However, since this control can shorten the life of the relay, 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lower relay unit 360 to supply the normal switching current to the third working coil WC3 in the middle region, The working coil WC2 and the first working coil WC1 can control the upper relay portion 320 to supply the switching current to only one of them in accordance with the pro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placed.

여기에서, 본 발명에 기재된 "상부" 및 "하부"는 "제1" 및 "제2"와 같이 동일 구성의 용어를 단지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어떤 구성의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용어가 아님을 알 수 있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upper" and "lower"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o distinguish terms having the same composition as "first" and "second"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기 레인지의 블록도에 따라 구현된 회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circuit diagram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block diagram of the electric range shown in Fig. 3;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스위칭부(310)는 직류전류를 제공하는 전원부(300)와 그라운드(GND) 사이에서 직렬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412)와 제2 스위칭 소자(414)를 구비하고, 하부 스위칭부(350) 역시 전원부(300)와 그라운드 사이에서 직렬 연결된 제3 스위칭 소자(352)와 제4 스위칭 소자(354)를 구비한다.4, the upper switching unit 310 includes a first switching device 412 and a second switching device 414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power supply unit 300 providing a direct current and a ground GND And the lower switching unit 350 includes a third switching device 352 and a fourth switching device 354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wer source 300 and the ground.

또한, 전원부(300)와 그라운드 사이에는, 상부 스위칭부(310)의 구성으로 제1 커패시터(C1)와 제2 커패시터(C2)가 직렬로 배치되고, 하부 스위칭부(350)의 구성으로 또한, 제3 커패시터(C3)와 제4 커패시터(C4)를 직렬로 배치된다.The first capacitor C1 and the second capacitor C2 are arranged in series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300 and the ground in the structure of the upper switching unit 310 and the lower switching unit 350, The third capacitor C3 and the fourth capacitor C4 are arranged in series.

상세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만일, 제1 워킹 코일(WC1)만을 구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어부(390)는 상부 릴레이(320)의 접점(a)을 선택하고 또한 제1 스위칭 소자(412)와 제2 스위칭 소자(414)를 동작시켜서 고주파 전류가 제1 워킹 코일(WC1)에 흐르게 하여 유도가열을 수행한다.  The detailed operation is as follows. The control unit 390 selects the contact a of the upper relay 320 and also selects the first switching device 412 and the second switching device 414, And induction heating is performed by causing a high-frequency current to flow in the first working coil WC1.

또한, 제3 워킹 코일(WC1)을 더 구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어부(390)는 하부 릴레이(360)의 접점(b)을 선택하고 또한 제3 스위칭 소자(452)와 제2 스위칭 소자(454)를 동작시켜서 고주파 전류가 제3 워킹 코일(WC3)에 흐르게 하여 유도가열을 수행한다. When the third working coil WC1 is to be further driven, the controller 390 selects the contact b of the lower relay 360 and also selects the third switching element 452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454 ) To operate the induction heating by causing the high-frequency current to flow in the third working coil WC3.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

200: 상면 210: 하이라이트 영역
220: 프리존 영역 300: 전원부
310: 상부 스위칭부 320: 상부 릴레이부
330: 상부 워킹 코일부 340: 상부 감지부
350: 하부 스위칭부 360: 하부 릴레이부
370: 하부 워킹 코일부 380: 하부 감지부
390: 제어부
200: top surface 210: highlight area
220: free zone area 300: power source part
310: upper switching unit 320: upper relay unit
330: upper working coil part 340: upper sensing part
350: lower switching unit 360: lower relay unit
370: lower working coil part 380: lower sensing part
390:

Claims (7)

일단들이 공통으로 연결된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상부 워킹 코일부와,
제3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하부 워킹 코일부와,
하나의 입력단과, 및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타단과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을 구비하는 상부 릴레이부와,
하나의 입력단과, 및 상기 제3 워킹 코일의 타단에 연결된 제1 출력단과 상기 상부 릴레이부의 제2 출력단에 연결된 제2 출력단을 구비하는 하부 릴레이부와,
정류된 직류전원을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상부 릴레이부의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상부 스위칭부와,
정류된 직류전원을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하부 릴레이부의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하부 스위칭부와, 및
상기 상부 릴레이부, 상기 하부 릴레이부, 상기 상부 스위칭부 및 상기 하부 스위칭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An upper working coil part including a first working coil and a second working coil, the ends of which are connected in common,
A lower working coil part including a third working coil,
An upper relay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and a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working coil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orking coil,
A lower relay part having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upper relay part, a first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working coil,
An upper switching unit for converting the rectified DC power into a high frequency current and outputting it to an input terminal of the upper relay unit,
A lower switching unit for converting the rectified DC power into a high frequency current and outputting it to an input terminal of the lower relay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upper relay unit, the lower relay unit, the upper switching unit, and the lower switching unit,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워킹 코일 또는 상기 제2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상부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스위칭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상부 릴레이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상부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검출 값에 따라 상기 제1 워킹 코일 영역 또는 제2 워킹 코일 영역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upper sensing unit for sensing a high-frequency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working coil or the second working coil,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upper switching unit and controls the upper relay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cooking vessel is positioned in the first working coil region or the second working coil region according to a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upper sensing unit Electric ran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감지부는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각각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전류 감지 파트 및 제2 전류 감지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current sensing part and a second current sensing part for detecting a high-frequency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and second working coils,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위칭부와 상기 하부 스위칭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위칭부 및 상기 하부 스위칭부는 상기 전원부와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노드는 상기 상부 릴레이부의 입력단 및 상기 하부 릴레이부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upper switching unit and the lower switching unit,
Wherein the upper switching unit and the lower switching unit each include a first switching device and a second switching devic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ground and the nodes of the first switching device and the second switching device are connected to the upper relay unit An input terminal, and an input terminal of the lower relay unit, respective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위칭부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커패시터와 제2 커패시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연결점은 상기 제1 워킹 코일 또는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일단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per switching unit includes a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ground, and a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coil or the second switching coil And is connected to one en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감지부의 상기 제1 전류 감지 파트 및 상기 제2 전류 감지 파트와 상기 제3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검출하는 하부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검출 값들로부터 상기 제1 워킹 코일, 상기 제2 워킹 코일 및 상기 제3 워킹 코일 모두에 상기 조리용기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리용기가 위치한 비율에 따라 2개의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상부 릴레이부와 상기 하부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first current sensing part and the second current sensing part of the upper sensing unit and the first sensing coil from the detection values input from the lower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high-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upper relay unit and the lower relay unit to supply the high-frequency current to the two working coils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cooking vesse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in both the second working coil and the third working coil Wherein the electric motor is a mo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워킹 코일은 프리존의 가운데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은 상기 제3 워킹 코일의 상하 또는 좌우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감지부의 상기 제1 전류 감지 파트 및 상기 제2 전류 감지 파트와 상기 제3 워킹 코일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검출하는 하부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검출 값들로부터 상기 제1 워킹 코일, 상기 제2 워킹 코일 및 상기 제3 워킹 코일 모두에 걸치도록 상기 조리용기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 워킹 코일에는 정상적인 스위칭 전류가 공급되도록 상기 하부 릴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중 어느 하나에만 스위칭 전류가 공급되도록 상기 상부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The method of claim 3,
The third working coil is dispos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freezone, and the first working coil and the second working coil are dispos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working coil,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first current sensing part and the second current sensing part of the upper sensing unit and the first sensing coil from the detection values input from the lower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high-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ower relay unit so as to supply a normal switching current to the third working coil, and controls the lower relay unit so that the ratio of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to that of the second working coil And controls the upper relay unit so that a switching current is supplied to only one of the first working coil and the second working coil.
KR1020150100669A 2015-07-15 2015-07-15 Electric range having free zone Active KR1018131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669A KR101813168B1 (en) 2015-07-15 2015-07-15 Electric range having free z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669A KR101813168B1 (en) 2015-07-15 2015-07-15 Electric range having free z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147A KR20170009147A (en) 2017-01-25
KR101813168B1 true KR101813168B1 (en) 2017-12-29

Family

ID=5799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669A Active KR101813168B1 (en) 2015-07-15 2015-07-15 Electric range having free z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16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731B1 (en) * 2014-03-05 2015-02-03 주식회사 리홈쿠첸 Induction heater having multiple working coil
KR101515026B1 (en) 2014-03-05 2015-04-24 주식회사 리홈쿠첸 Induction heater having multiple working coi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840B1 (en) 2010-06-07 2012-02-28 주식회사 리홈 Induction he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731B1 (en) * 2014-03-05 2015-02-03 주식회사 리홈쿠첸 Induction heater having multiple working coil
KR101515026B1 (en) 2014-03-05 2015-04-24 주식회사 리홈쿠첸 Induction heater having multiple working c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147A (en)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3094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US20090139986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48789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US11064576B2 (en) Induction heating and wireless power transferring device having improved resonant current detection accuracy
EP3002991B1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EP2753146A2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level thereof
EP3002992B1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CN108141921B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10232B1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WO2014064941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US11805576B2 (en) Domestic appliance
KR20180099398A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JP3969497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induction heating cooker
CN107155229B (en) Electromagnetic heating cooking device and heating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384085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1604748B1 (en) Indution Heating Cooktop with a single i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13168B1 (en) Electric range having free zone
KR101515026B1 (en) Induction heater having multiple working coil
CN110324921B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drive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274190A1 (en) Domestic appliance device
KR102165578B1 (en) He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of
KR101621389B1 (en) Electric range
JP4863974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1488731B1 (en) Induction heater having multiple working coil
KR20210113838A (en) Method for heating container using induction 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1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