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3105B1 -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 Google Patents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105B1
KR101813105B1 KR1020110096297A KR20110096297A KR101813105B1 KR 101813105 B1 KR101813105 B1 KR 101813105B1 KR 1020110096297 A KR1020110096297 A KR 1020110096297A KR 20110096297 A KR20110096297 A KR 20110096297A KR 101813105 B1 KR101813105 B1 KR 101813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eat
cushion frame
gear
seat cush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599A (ko
Inventor
정기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10096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1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1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2)와 시트쿠션(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트쿠션(3)은, 상기 시트쿠션(3)을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 안내하는 시트레일(4); 상기 시트레일(4) 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쿠션프레임(5); 상기 쿠션프레임(5)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쿠션패널(6); 및 상기 쿠션프레임(5)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레일(4)에 대해 상기 쿠션프레임(5)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쿠션프레임(5)에 대해 상기 쿠션패널(6)의 경사를 조절하는 높낮이 및 경사 조절장치(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시트쿠션의 높낮이 조절과 경사 조절이 높낮이 및 경사 조절장치 하나로 모두 가능하게 되므로, 높낮이 조절장치와 경사 조절장치가 이중으로 되어 있는 구조에 비해 시트쿠션의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시트쿠션의 조립공정 및 유지관리에 따른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Seat for automobile having a integrated height and tilt adjusting mechanism for a seat cushion}
본 발명은 승용차의 차량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용차 차량시트의 높낮이와 차량시트 앞부분의 경사를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할 수 있도록 모터와 모터에서 차량시트에 연결되는 전동구조를 일체로 통합한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의 차량시트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102)와 탑승자가 착석하도록 되어 있는 시트쿠션(103)으로 이루어지는 바, 탑승자의 승차감 또는 안착감을 높이기 위해 특히, 시트쿠션(103)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 아니라, 높낮이 조절에 맞추어 앞부분의 경사를 위아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차량시트(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레일(104)과 시트쿠션(103) 사이에 설치되는 높낮이 링크조립체(111)와 높낮이 모터(115)에 의해 시트쿠션(103)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한편, 시트쿠션(103)과 쿠션패널(106) 사이에 설치되는 경사 링크조립체(113)와 경사 모터(117)에 의해 시트쿠션(103)에 대한 쿠션패널(106)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즉, 시트쿠션(10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높낮이 모터(115)가 동작하여 모터(115) 회전축에 장착된 웜과 웜휠이 회전하고, 높낮이 링크조립체(111)의 구동링크(121)에 가공된 리드스크류를 따라 웜휠이 이동하여야 하나, 웜과 웜휠이 장착된 이송뭉치(123)이 시트레일(104)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구동링크(121)가 상하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시트쿠션(103)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시트쿠션(103) 전단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경사 모터(117)가 동작하여, 높낮이 링크조립체(111)에서와 마찬가지로 모터(117) 회전축에 장착된 웜과 웜휠이 회전함에 따라 쿠션프레임(105)에 힌지 결합된 이송뭉치(125)를 따라 구동링크(127)가 상하로 회동하여 쿠션패널(106)을 쿠션 프레임(105)에 대해 상하로 피벗 회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시트쿠션(103) 앞부분의 경사를 상하로 변경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높낮이 링크조립체(111)와 경사 링크조립체(113)는 경사 링크조립체(113)의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구동원인 높낮이 모터(115)와 경사 모터(117)는 물론, 관련 링크 구조들이 모두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활용빈도 대비 제조원가가 과다하게 되고, 쿠션패널(106) 아래쪽의 쿠션프레임(105) 내부 공간의 활용성이 저하되며, 터 타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트쿠션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트쿠션의 경사를 조절하는 장치의 사용빈도가 낮은 점을 감안하여 시트쿠션 높낮이 조절장치와 경사 조절장치를 통합하여 단일화함으로써, 유사한 두 장치의 병존으로 인한 제조원가, 조립공정, 유지관리 상의 효율성 저하를 억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등받이와 시트쿠션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트쿠션은, 상기 시트쿠션을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 안내하는 시트레일; 상기 시트레일 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쿠션프레임; 상기 쿠션프레임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쿠션패널; 및 상기 쿠션프레임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레일에 대해 상기 쿠션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쿠션프레임에 대해 상기 쿠션패널의 경사를 조절하는 높낮이 및 경사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높낮이 및 경사 조절장치는, 상기 시트레일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쿠션프레임 후방에 연결되는 구동레버 조립체; 상기 쿠션패널 저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어링크 조립체; 및 상기 구동레버 조립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레버 조립체를 통해 상기 쿠션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어링크 조립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링크 조립체를 통해 상기 쿠션패널의 경사를 조절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쿠션프레임 일측에 장착되어 전후 양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회전축이 몸체 전후로 돌출되어 있는 양방향 모터;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전후방향 회전 구동력을 단속하는 제1 및 제2 클러치; 및 상기 회전축의 전후 양방향 회전 구동력을 상기 쿠션프레임의 안 쪽을 향하는 같은 방향으로 변경하고, 제1 및 제2 출력축을 통해 출력하기 전에 감속하는 제1 및 제2 전동기어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레버 조립체는, 상기 시트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브래킷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구동레버;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변에 일체로 형성되며, 기어이 안쪽에 상기 기어이와 동일한 곡률로 안내홈이 절결된 종동기어부; 상기 구동수단의 제1 출력축 말단에 장착되어 상기 종동기어부의 기어이에 맞물림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가 중간에 핀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는 안내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링크 조립체는, 일단이 상기 쿠션패널 측에 힌지 결합되고, 중간이 상기 쿠션프레임에 핀결합되는 제어링크; 상기 구동수단의 제2 출력축 말단에 일단이 장착되는 구동링크; 및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상기 제어링크의 타단에 타단이 각각 핀결합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에 의하면, 시트쿠션의 높낮이 조절과 경사 조절이 높낮이 및 경사 조절장치 하나로 모두 가능하게 되므로, 별도의 장치에 의해 높낮이 조절과 경사 조절을 하는 구조에 비해 제작 비용은 물론, 조립공정 상에서나 유지관리 면에서 높은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시트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쿠션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수단의 개략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구동레버 조립체의 동작을 보인 개략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어링크 조립체의 동작을 보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시트는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탑승자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2)와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쿠션(3)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중에서 시트쿠션(3)은 다시 시트레일(4), 쿠션프레임(5), 쿠션패널(6), 및 높낮이 및 경사 조절장치(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시트레일(4)은 등받이(2) 부분을 포함하여 차량시트(1) 전체를 차체에 대해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시트쿠션(3)을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접촉되는 고정레일(12)과 그 위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레일(14)로 구성되며, 이동레일(14) 위에 지지브래킷(16)이 고정된다.
상기 쿠션프레임(5)은 시트쿠션(3)의 외체를 이루는 지지체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브래킷(16)을 통해 시트레일(4) 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쿠션패널(6)은 시트쿠션(3) 앞부분의 안착감을 높이기 위한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5)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높낮이 및 경사 조절장치(10)는 시트쿠션(4)의 높낮이 및/또는 쿠션패널(6)의 경사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5)의 일측에 장착되는 바, 다시 구동레버 조립체(11), 제어링크 조립체(13), 및 구동수단(1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다시 상기 구동레버 조립체(11)는 시트쿠션(3)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레일(4)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쿠션프레임(5) 후방에 연결되는 바, 지지브래킷(16)에 대해 쿠션프레임(5)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구동레버 조립체(11)는 하기와 같이 양방향 모터(21)에서 발생되어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시트쿠션(3)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레버(41), 종동기어부(43), 구동기어(45), 및 안내레버(47)로 이루어지는 바, 여기에서 상기 구동레버(41)는 시트레일(4) 상에 쿠션프레임(5)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브래킷(16) 상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시트레일(4)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이 쿠션프레임(5)의 지지축(67)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부(43)는 구동수단(15)의 제1 출력축(33)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레버(41)를 회동시키는 부분으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레버(41)의 일측변 즉, 내측변에 일체로 형성되되, 부채꼴 형태로 호를 그리며 원호면을 따라 기어이(51)가 형성되며, 기어이(51) 안쪽의 부채꼴 부분 중앙에 기어이(51)와 동일한 곡률의 안내홈(53)이 절결되어 안내레버(47) 선단의 안내핀(55)을 끼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45)는 구동수단(15)의 회전 구동력을 구동레버 조립체(11)에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력축(33) 말단에 장착되는 바, 종동기어부(43)의 기어이(51)에 맞물림되어 종동기어부(43)를 상하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레버(47)는 종동기어부(43)에 대한 구동기어(45)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구동레버(41)의 회동을 안내하는 부분으로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쿠션프레임(5)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종동기어부(43)의 안내홈(53)에 끼워져 안내홈(53)을 따라 안내되며, 구동기어(45)가 중간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된다.
상기 제어링크 조립체(13)는 위 쿠션패널(6)을 회동시키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패널(6)의 저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하기와 같이 양방향 모터(21)에서 발생되어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쿠션패널(6)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링크(61), 구동링크(63), 및 연결링크(65)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링크(61)는 쿠션패널(6)을 직접적으로 동작시키는 부분으로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쿠션패널(6)의 일측에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쿠션패널(6) 내측의 지지축(67)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연결링크(65)의 타단에 핀결합되며, 중간 부분이 쿠션프레임(4)에 핀(69) 결합되어 이 핀(69)을 중심으로 피벗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링크(63)는 구동수단(15)의 회전 구동력을 제어링크 조립체(13)에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구동수단(15)의 제2 출력축(34) 말단에 일체로 장착되는 한편, 그 타단이 연결링크(65)의 일단에 핀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65)는 제어링크(61)와 구동링크(63)를 링크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구동링크(63)의 타단에, 타단이 제어링크(61)의 타단에 각각 핀결합된다.
상기 구동수단(15)은 구동레버 조립체(11)를 통해 쿠션프레임(5)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제어링크 조립체(13)를 통해 쿠션패널(6)의 경사를 조절하는 부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5)의 일측 외면에 장착되는 바,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레버 조립체(11) 및/또는 제어링크 조립체(13)를 작동시켜 시트쿠션(3)의 높낮이 및/또는 경사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구동수단(15)은 다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모터(21), 제1 및 제2 클러치(23,24), 제1 및 제2 전동기어열(25,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양방향 모터(21)는 구동수단(15)의 구동력을 만드는 부분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5)의 일측 외면에 장착되는 바, 전후 양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회전축(27)이 외부 몸체(29) 전후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23,24)는 회전축(27)의 전후방향 회전 구동력을 단속하는 부분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7)의 전후방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바, 솔레노이드 방식 등 종래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모터(21)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단속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동기어열(25,26)은 양방향 모터(21)에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을 구동레버 조립체(11) 및/또는 제어링크 조립체(13)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기어의 조합에 의해 회전축(27)의 전후 양방향 회전 구동력을 쿠션프레임(5) 안 쪽을 향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변경하는 전동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하나의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벨기어(31,32)와 감속기어뭉치(35)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한 쌍의 베벨기어(31,32)은 모터 회전축(27)에 직결된 구동 베벨기어(31)와, 제1 및 제2 출력축(33,34)에 각각 직결되는 종동 베벨기어(32)의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감속기어뭉치(35)는 종래의 유성기어열 등 다양한 기어열에 의해 출력축(33)에서 출력되는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시트(1)는 시트레일(4)을 따라 시트쿠션(3)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시트레일(4)에 대한 시트쿠션(3)의 높낮이와, 시트쿠션(3)을 이루는 쿠션프레임(5)에 대한 시트쿠션(3) 앞부분에 위치하는 쿠션패널(6)의 경사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시트쿠션(3)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 최초 탑승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높낮이 및 경사 조절장치(10)가 기동하여 양방향 모터(21)의 동작이 개시되면, 일반적인 모터의 원리에 따라 회전축(27)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필요에 따라 제2 클러치(24)를 단락시킴으로써 시트쿠션(3)의 경사 조절은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 모터(21)의 회전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러치(23)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구동 베벨기어(31)와 종동 베벨기어(32)의 기어물림에 따라 회전축(27)에서 직각방향으로 꺾여 제1 출력축(33)을 통해 쿠션프레임(5) 안쪽을 전달되는데, 중간에 감속기어뭉치(35)를 거치면서 설정된 기어비에 따라 충분히 감속된다.
이에 따라 제1 출력축(33)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에 의해 제1 출력축(33) 선단에 장착된 구동기어(45)가 예컨대, 도 6에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구동기어(45)에 맞물림되어 있는 종동기어부(43)가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당연히 종동기어부(43) 일변에 일체로 되어 있는 구동레버(41)도 화살표(C)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동레버(41) 상단에 연결된 쿠션프레임(5)의 높이가 낮아진다. 이때 종동기어부(43) 및 구동레버(41)는 안내레버(47)에 의해 회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종동기어부(43)의 기어이(51)와 구동기어(45)의 맞물림도 안내레버(47)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반대로, 구동기어(45)가 화살표(A)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쿠션프레임(5)의 높이는 상승한다.
한편, 쿠션패널(6)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도 5에서 제1 클러치(23)가 단락되고, 제2 클러치(24)가 접속되어, 양방향 모터(21)의 회전력이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전동기어열(26)을 통해 제2 출력축(34)으로 출력되며, 출력된 회전력은 제어링크 조립체(13)의 구동링크(63)를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링크(63)가 도 7의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하면, 구동링크(63) 하단에 링크된 연결링크(65)가 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어링크(61)를 결합핀(69) 중심으로 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링크(61) 상단에 연결된 쿠션패널(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축(71)을 중심으로 화살표(G) 방향으로 피벗 회전하여 선단이 아래로 기울게 된다.
반대로, 구동링크(63)가 도 7에서 화살표(D)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면, 쿠션패널(6)은 선단이 위로 경사지게 된다.
1 : 차량시트 2 : 등받이
3 : 시트쿠션 4 : 시트레일
5 : 쿠션프레임 6 : 쿠션패널
10 : 높낮이 및 경사 조절장치 11 : 구동레버 조립체
13 : 제어링크 조립체 15 : 구동수단
21 : 양방향 모터 23, 24 : 제1 및 제2 클러치
25, 26 : 제1 및 제2 전동기어열 27 : 회전축
31, 32 : 베벨기어쌍 33, 34 : 제1 및 제2 출력축
35 : 감속기어뭉치 41 : 구동레버
43 : 종동기어부 45 : 구동기어
47 : 안내레버 51 : 기어이
53 : 안내홈 55 : 안내핀
61 : 제어링크 63 : 구동링크
65 : 연결링크

Claims (5)

  1. 등받이와 시트쿠션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트쿠션은,
    상기 시트쿠션을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 안내하는 시트레일;
    상기 시트레일 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쿠션프레임;
    상기 쿠션프레임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쿠션패널;
    상기 시트레일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쿠션프레임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쿠션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동레버 조립체;
    일단이 상기 쿠션패널 측에 힌지 결합되고, 중간이 상기 쿠션프레임에 핀결합되는 제어링크;
    상기 제어링크의 타단에 타단이 핀결합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의 일단에 타단이 핀결합되는 구동링크;
    상기 쿠션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전후 양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회전축이 몸체 전후로 돌출되어 있는 양방향 모터;
    상기 쿠션프레임의 안 쪽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단과 기어로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전달받은 회전 구동력으로 상기 구동레버 조립체를 동작시키는 제1 전동기어열; 및
    상기 쿠션프레임의 안 쪽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측단과 기어로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구동링크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링크를 회전 시키는 제2 전동기어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전후방향 회전 구동력을 단속하는 제1 및 제2 클러치;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레버 조립체는,
    상기 시트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브래킷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구동레버;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변에 일체로 형성되며, 기어이 안쪽에 상기 기어이와 동일한 곡률로 안내홈이 절결된 종동기어부;
    상기 제1 전동기어열 말단에 장착되어 상기 종동기어부의 기어이에 맞물림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가 중간에 핀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는 안내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5. 삭제
KR1020110096297A 2011-09-23 2011-09-23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813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297A KR101813105B1 (ko) 2011-09-23 2011-09-23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297A KR101813105B1 (ko) 2011-09-23 2011-09-23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599A KR20130032599A (ko) 2013-04-02
KR101813105B1 true KR101813105B1 (ko) 2018-01-02

Family

ID=4843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2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813105B1 (ko) 2011-09-23 2011-09-23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1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731B1 (ko) 2019-11-29 2021-04-05 주식회사 다스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KR20210067581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7712A (zh) * 2016-09-08 2017-02-22 广州汽车集团零部件有限公司 一种八向汽车电动座椅骨架及座椅
KR102299332B1 (ko) 2017-02-22 2021-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마운팅 장치
KR102602914B1 (ko) * 2018-11-26 2023-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 장치
CN109893862A (zh) * 2019-04-23 2019-06-18 杜泽臣 一种摩天轮车
KR102218451B1 (ko) * 2019-08-09 2021-02-19 주식회사 포스코 시트 프레임
KR102726813B1 (ko) * 2020-04-02 2024-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릴렉션 컴포트 시트
CN218892464U (zh) * 2022-09-30 2023-04-21 博泽科堡汽车零件欧洲两合公司 零重力车辆座椅及座椅骨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4959A (ja) * 2004-04-23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動調整型チェア
KR100551841B1 (ko) * 1999-12-30 2006-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JP2008189303A (ja) * 2007-01-31 2008-08-21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シートキャリアが2つの側面部材を有するモーター付き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フレーム
JP2011173496A (ja) * 2010-02-24 2011-09-08 Toyota Boshoku Corp 乗物シート用シート高さ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841B1 (ko) * 1999-12-30 2006-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JP2005304959A (ja) * 2004-04-23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動調整型チェア
JP2008189303A (ja) * 2007-01-31 2008-08-21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シートキャリアが2つの側面部材を有するモーター付き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フレーム
JP2011173496A (ja) * 2010-02-24 2011-09-08 Toyota Boshoku Corp 乗物シート用シート高さ調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731B1 (ko) 2019-11-29 2021-04-05 주식회사 다스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KR20210067581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599A (ko)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105B1 (ko)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US10207599B2 (en) Vehicle seat
KR102726813B1 (ko) 자동차용 릴렉션 컴포트 시트
JP2022511482A (ja) 車両シート用前後方向アジャスタ及び車両シート
KR102703401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US20180194250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power seat
JP2013244862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KR20230020154A (ko) 자동차용 시트
KR20230020153A (ko) 자동차용 시트
WO2018029919A1 (ja) 車両用シート
JP2011213222A (ja) 車両用シート
CN107985133B (zh) 座椅驱动装置
KR20160049005A (ko) 차량 시트 조립체
JPH0126900B2 (ko)
JP3697813B2 (ja) シート装置
KR20210082813A (ko) 효율적인 자동차 시트 헤드레스트 조절 장치
JP2003341393A (ja)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KR101326492B1 (ko) 자동차용 전동식 시트 구동 장치
KR102215295B1 (ko)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KR10058000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
JP5017879B2 (ja) 運転姿勢調整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101261159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다판형 요추지지대
KR101232079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20220014463A (ko)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2284665B1 (ko) 자동차의 시트쿠션 경사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9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