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921B1 - Pile hammer - Google Patents
Pile hamm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1921B1 KR101811921B1 KR1020150097936A KR20150097936A KR101811921B1 KR 101811921 B1 KR101811921 B1 KR 101811921B1 KR 1020150097936 A KR1020150097936 A KR 1020150097936A KR 20150097936 A KR20150097936 A KR 20150097936A KR 101811921 B1 KR101811921 B1 KR 101811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mmer
- guide
- guide portion
- rail
- guide r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08—Drop drivers with free-falling hamm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10—Power-driven drivers with pressure-actuated hammer, i.e. the pressure fluid acting directly on the hammer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리더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해머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해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항타작업의 효율성, 정확성 및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가 향상될 수 있는 항타장치가 개시된다.A hitching device is disclosed that includes a guide portion that is movably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 leader and guides a hammer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hammer, and at least one of efficiency, accuracy, and safety of the hitching operation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tching device.
특허문헌1 내지 2에는 항타장치(Pile Hammer or Pile driver or Pile machine, etc.) 또는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방법 등이 소개되어 있다.
항타기는 해머를 낙하시키는 방식, 증기나 공압, 유압 등의 동력으로 때려박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파일(Pile) 등을 지층 등의 대상물에 강제로 삽입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term "hanger" means a device for forcibly inserting a pile or the like into an object such as a stratum in various manners such as a method of dropping a hammer, a method of slapping with a power such as steam, pneumatic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그런데, 해머를 낙하시키는 방식을 채용하던 종래의 항타기는 리더의 이동이나 장비의 이동 등의 경우에 해머를 고정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해머를 정위치시키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rseshoe which employs the method of dropping the hammers,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fix the hammers in order to fix the hammers when the movements of the readers and the equipment move.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작업 효율성 및 정확성이 개선된 항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itching device with improved working efficiency and accurac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는, 리더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해머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해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uide portion that is coupled to move vertically along the leader and contacts the hammer to guide the hammer.
이때, 상기 해머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해머가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하는 최고점에 도달되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해머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해머가 더 상승하면 상기 해머와 상기 가이드부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해머가 낙하하기 시작하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해머보다 느린 속도로 낙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hammer rises, the guide portion is supported by the hammer when the hammer reaches the highest point with respect to the guide portion, and when the hammer further rises, the hammer and the guide portion can rise together. Furthermore, when the hammer begins to fall, the guide portion may be made to fall at a slower speed than the hammer.
한편, 상기 리더는 메인 프레임 및 안내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해머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 및 일측은 상기 안내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ader includes a main frame and guide rails, and the guide unit includes a guide rod for guiding vertical movement of the hammer; And a rail coupling part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t one side and coupled to the guide rod at the other side.
여기서, 상기 해머는,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상기 가이드봉을 기준으로 최고점에 위치되면 상기 가이드봉을 지지하는 가이드봉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는, 안내레일이 구비된 리더; 상기 안내레일에 접촉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 및 일단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방향의 인력을 제공받고, 상기 가이드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해머;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미리 정해진 곳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과 상기 본체부의 외면 사이의 유격의 최소값은 0보다 크고, 상기 인력이 감소되면 상기 해머 및 상기 가이드부가 낙하를 개시하되, 상기 해머가 상기 가이드부보다 빠른 속도로 낙하할 수 있다.
Here, the hammer may include: a main body inserted into the guide rod; And a guide bar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the guide rod when the main body part is located at the highest point with respect to the guide r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ider apparatus comprising: a reader provided with a guide rail; A guide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and moves along the guide rail; And a hammer which is connected to a wire at one end and is provided with an upward pulling force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ertable into the guide portion,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The hammer and the guide portion start to drop when the attraction force is reduced, and the hammer starts to drop at a higher speed than the guide portion You can fal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항타작업의 효율성, 정확성 및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가 향상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neficial effect that at least one of efficiency, accuracy and safety of the plowing operation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에서 주요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에서 주요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h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h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main part in a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part is engaged in a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use state of the h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ing' as used herein may be used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세부 크기, 형태, 두께, 곡률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도식화된 것으로서, 허용 오차 등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detailed size, shape, thickness, curvature, etc. of each structure are exaggerated or schematiz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s, and the shape may be modified by tolerance or the lik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에서 주요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에서 주요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hit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hit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part is engaged in a h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use state of a h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는, 해머(3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0)를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부(20)는 리더(10)에 결합되어 리더(10)를 따라 직선운동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5, a h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통상적으로 항타작업은 해머(30) 등의 중량물을 소정의 높이에서 하강시켜 타격 대상물(O)에 삽입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때, 리더(10) 등에 지지되는 와이어(W)의 일단이 해머(30)에 연결되어 해머(30)를 상승시키거나 낙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리더(10) 등은 지지대(2) 등을 통해서 차량(1) 등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W)의 타단은 전술한 차량(1)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와인더(미도시됨) 등에 연결되어 와이어(W)가 감겨지거나 풀어질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In general, the h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heavy object such as the
한편, 지지대(2)는 통상적인 항타장치의 스테이(Stay) 또는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의 붐(Boom) 등을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는, 리더(1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가이드부(20)에 의하여 해머(30)가 가이드될 수 있다. The
이에 따라, 해머(30), 리더(10), 차량(1) 등의 위치를 이동하는 과정의 신속성, 정확성, 안전성 등이 개선될 수 있다.
Thus, the speed, accuracy, safety, and the like of the process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일실시예에서, 리더(10)는 메인 프레임(11) 및 안내레일(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20)는 가이드봉(21)과 레일결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결합부(22)는 안내레일(12)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실시예에서, 가이드봉(21)에는 해머(3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봉(21)을 기준으로 하는 해머(30)의 이동방향은 리더(10)의 길이방향과 수평을 이룰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실시예에서, 해머(30)의 하부에는 가이드봉 지지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해머(30)에서 가이드봉(21)에 삽입되는 부분을 본체부(31)라고 칭할 수 있으며, 본체부(31) 하부에 가이드봉 지지부(32)가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이에 따라, 해머(30)의 상승과 동시에 가이드부(20)도 안내레일(12)을 따라 리더(10)의 상방을 향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W)를 풀면 가이드부(20)와 해머(30)가 함께 하강하여 대상물을 타격하게 된다. 여기서, 해머(30)는 자유낙하하는 반면 가이드부(20)는 레일결합부(22)가 안내레일(12)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마찰력 등으로 인하여 해머(30)에 비해 느린 속도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0)가 하강하면서 계속 가속될 경우 리더(10)의 하부에 도달된 가이드부(20)가 정지되는 과정에서 리더(10)에 강한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20)가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는 가속되지 않도록 하거나, 리더(10)의 하부에 접근함에 따라 가이드부(20)의 속도가 감소될 수 있도록 안내레일(12)과 레일결합부(22)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거나 별도의 감속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
기존에는 해머(30) 등의 중량물이 와이어(W), 로프 또는 케이블에 연결된 상태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해머(30) 등을 신속하게 이동시키거나 정확한 지점에서 해머(30) 등을 낙하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해머(3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각종 사고의 위험성이 컸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는 해머(30)를 가이드부(20)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더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Since a heavy object such as a
특히, 종래에는 장비의 위치이동, 해머(30)의 타격 조준점 이동 등의 경우 해머(30)의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했고, 그 결과, 해머(30) 등을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어려웠다.Particularly,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the movement of the equipment and the movement of the hitting point of the
그러나, 본 발명은 해머(3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20)를 구비함으로써, 항타작업을 위한 해머(30)의 수직하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해머(30)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해머(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해머(30)가 가이드부(20)에 의하여 안내된다는 조건이 충족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20) 및 해머(30)의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되어야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일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30)가 가이드봉(21)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이 경우, 가이드봉(21)이 해머(30)의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해머(30)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적어도 가이드봉(21)의 내측에는 해머(30)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는 원기둥형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봉(21) 내측에 구비되는 홀의 내경이 해머(30)의 외경보다 과도하게 클 경우에는 해머(30)와 가이드봉(21) 사이에 과도한 유격이 존재할 수 있고, 이렇게 과도한 유격으로 인하여 해머(30)가 가이드봉(21)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과도하게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바, 가이드봉(21) 내측면과 해머(30) 사이의 간격은 해머(30)의 중량, 직경, 길이,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서, 본체부(31)가 가이드봉(21)에 삽입되고, 가이드봉(21) 내부에서 본체부(31)가 일측으로 쏠리지 않고 균등하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본체부(31)의 외면 전체가 가이드봉(2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즉, 가이드봉(21)의 내면과 본체부(31)의 외면 사이의 유격의 최소값이 0보다 클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해머(30)의 낙하과정에서 본체부(31)와 가이드봉(21)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항타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해머(30)는 사각기둥이나 삼각기둥 등 다양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가이드봉(21) 또한 해머(30)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기둥형 홀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가이드부(20) 중에서 해머(30)와 대향되거나 접하는 부분의 형상만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한될 뿐이지 가이드부(20)의 외면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불필요하다. 즉, 전술한 삽입홀 등과 같이 가이드부(20) 내측에서 해머(30)와 대향되는 부분은 해머(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기둥 형상의 홀 등이 형성되더라도, 가이드부(20)의 외면은 사각기둥 형상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only the shape of the portion of the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봉(21) 내부면 중 적어도 일부가 해머(30)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부분들은 해머(30) 삽입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예컨대, 해머(30)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라도 가이드봉(21)은 사각기둥 등 다각기둥 형상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도 해머(30)가 가이드봉(21) 내측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돌출부 등의 보조수단(미도시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가이드봉(21)의 삽입홀 형상이 사각기둥형인 경우에, 삽입홀 폭의 최소값이 해머(30) 외경의 최대값보다 커야만 해머(30)가 가이드봉(21) 내측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해머(30) 외경의 최대값보다 큰 폭을 갖는 방향으로 해머(30)가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이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For example, even when the
다른 한편으로, 도면에서는 가이드봉(21)이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예만 도시되어 있지만, 해머(3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면 기둥 형상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구조로 가이드부(20)를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해머(30)의 외면 상에 돌기부(미도시됨)나 요홈부(미도시됨)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 경우, 해머(30)가 가이드봉(2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해당 요홈부나 돌기부와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는 구조물이 가이드봉(21)에서 해머(30)를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only the example in which the
또한, 가이드봉(21)이 하부가 넓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구현될 경우에도 해머(30)가 가이드봉(21)에 원활하게 삽입되면서도, 가이드부(20)를 기준으로 하는 해머(30)의 최고점에 도달된 후 해머(30)가 가이드부(2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다만, 현재 이미 사용중인 해머(30)들이 대부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기존 장비들의 경우에도 리더(10)에 가이드부(20)를 추가로 설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한다면, 이미 제작되어 사용중인 해머(30)들과의 호완성을 고려해서 가이드부(20)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However, the
한편, 일실시예에서, 가이드봉(21)은 레일결합부(22)를 매개로 리더(10)와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더(10), 특히 안내레일(12)을 따라 가이드봉(21)이 이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해머(30)가 상승함에 따라 해머(30)와 가이드부(20)가 결합하기 시작하고, 해머(30)가 계속 상승하여 가이드부(20)와 해머(30) 사이의 상대적 위치변화가 종료된 이후에는 해머(30)의 상승시 해머(30)와 가이드부(20)가 함께 상승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20)가 소정의 높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해머(30)가 상승하면 가이드봉(21) 내측으로 해머(30)가 삽입되는데, 도시된 가이드봉 지지부(32)가 가이드봉(21) 하면과 접촉된 이후에는 해머(30)가 계속 상승 되더라도 해머(30)가 가이드봉(21) 내측으로 더 깊숙이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해머(30)와 가이드부(20)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는 것이다. The
여기서, 도면 등에는 가이드부(20)가 해머(3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와이어(W)는 통과되지만 해머(30)는 통과되지 못하는 일종의 덮개 등이 가이드봉(21)의 상부에 구비되어 해머(30)가 가이드부(20)를 지지할 수 있게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해머(30)의 측면에 소정의 돌기 등을 구비하고 이 돌기가 가이드부(20)를 따라 상승하다가 소정의 높이 이상에서는 더 이상 가이드부(20) 상방으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Here, although the
이상과 같이, 가이드부(20)를 기준으로 하는 해머(30)의 최고점에 해머(30)가 도달된 이후에는 해머(30)가 가이드부(20)를 지지하도록 구현함으로써, 가이드부(20)만 단독으로 구동시키는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도 가이드부(2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승과정에서도 해머(30)가 가이드부(2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상승속도를 종래보다 증가시키더라도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이드부(2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할 것이지만,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해머(30)를 상승시키는 것만으로 해머(30)가 가이드 되면서도 가이드부(20)와 동반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장비 가격이나 운용비용, 안전성 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Although not show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ovide a separate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lained as follows.
먼저, 해머(30)가 소정의 높이로 상승 된 상태에서 해머(30)를 상승시키거나 고정시키는 힘이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해머(30)의 상부에 와이어(W)가 결합되고, 와이어(W)를 통해 제공되던 인력을 해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First, the force for raising or fixing the
이에 따라, 해머(30)와 가이드부(20)는 낙하를 시작하게 된다. 한편, 파일(P) 등의 타격 대상에 해머(30)가 낙하하여 타격 대상에 충분한 삽입력을 제공하는 것이 항타장치의 궁극적인 목표이므로, 해머(30)가 타격 대상을 타격하는 순간에는 가이드부(20)와 해머(30) 사이의 접촉이 없도록 하는 것이 항타장치의 목표달성에 유리하다. 즉, 타격력을 결정하는 해머(30)의 낙하과정에서 가이드부(20)에 의한 속도감소를 최소화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는 해머(30)가 가이드부(20)보다 빠른 속도로 낙하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타격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레일결합부(22)와 안내레일(12) 사이의 마찰력이, 가이드봉(21)과 해머(30)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도록 안내레일(12)과 레일결합부(22) 사이의 결합관계 및 가이드봉(21)과 해머(30) 사이의 결합관계를 구현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다른 한편으로, 가이드부(20)는 리더(10)를 기준으로 이동가능한 상한과 하한이 정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0)가 리더(10)상의 하한점에 도달함에 있어서 해머(30)처럼 빠른 속도로 하한점에 도달할 경우, 가이드부(20)가 하한에 정지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레일결합부(22), 안내레일(12), 그리고 리더(10) 등에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은 각 요소들 사이의 결합부위를 손상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차량(1) 등을 포함한 장비의 손상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적어도 가이드부(20)가 리더(10) 기준 하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소정의 속도 이하로 감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실시예에서, 리더(10)와 가이드부(20) 사이에 가이드부(20)의 하강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미도시됨)이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and the lower limit of the movement of the
다음으로, 해머(30)가 하강하여 타격 대상을 타격한 이후에 추가적인 타격이 필요하다면 와이어(W)에 인력을 제공하여 해머(3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해머(30)가 상승하면서 가이드부(20)와 해머(30)의 결합이 시작된다. 예컨대, 해머(30)의 상부가 가이드봉(21) 내측으로 삽입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해머(30)가 계속 상승하여 가이드부(20)를 기준으로 하는 최고점에 해머(30)가 도달된 이후에는 해머(30)와 함께 가이드부(20)가 상승하게 된다. 이후에는 전술한 해머(30)의 하강 과정으로 피드백되어 전술한 과정들이 필요한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Next, if additional hitting is required after the
한편, 특정 타격 대상에 대한 타격작업이 완료되면 해머(30)가 가이드부(20)에 접촉된 상태에서 리더(1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새로운 타격작업 위치로 차량(1) 등의 장비가 이동하거나 리더(10)가 이동하여 해머(30)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해머(30)를 이동시키는 과정 중에도 해머(30)는 가이드부(2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추면서도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타장치는 해머(30)가 파일(P) 내부로 진입되어 파일(P) 내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타격 대상물(O)을 타격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h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it a separate striking object O that is located inside the pile P when the
이 경우, 해머(30)의 중량, 타격 대상물(O)의 직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지만,가이드부(20)는 리더(10)를 기준으로 하는 하한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해머(30)만 하강하는 방식으로 타격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예컨대, 2~3m 이상 해머(30)가 자유낙하에 가깝게 하강할 수 있는 등의 경우에는, 가이드부(20)가 리더(10)의 하부에 멈춰진 상태에서 해머(30)를 가이드부(20) 내부로 상승시킨 후 해머(30)를 자유낙하시키는 방식으로 타격 대상물(O)을 타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일실시예에서, 가이드부(20)는 리더(10) 상의 특정 지점에 고정되어 있고, 해머(30)가 낙하하여 타격 대상을 타격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20)는 지층(E)이나 파일(P)의 상단에 가까운 높이에 위치되어 있고, 해머(30)는 가이드부(20)를 기준으로 하는 최고점까지만 상승한 뒤 하강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지층(E)에 삽입된 파일(P) 내부에 별도의 타격 대상물(O)이 위치되어 있고, 해머(30)가 파일(P) 내부로 낙하하여 타격 대상물(O)을 타격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격 대상물(O)을 타격한 해머(30)를 상승시킬 경우 가이드부(20)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해머(30)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해머(30)의 하강이 시작될 수 있는 상태를 더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게 된다.In one embodiment, the
이에 따라, 동일 타격 대상물(O)에 대한 반복적인 타격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performing repetitive striking operations on the same striking object O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어느 한 타격 대상물(O)에 대한 타격작업이 완료된 후, 다른 곳에 위치된 다른 타격 대상물(O)(미도시됨)에 대한 타격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머(30)가 상승하여 가이드부(20)에 의해 지지되면서 타격작업이 수행될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해머(3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도 해머(30)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작업현장 주변에서 불필요한 충돌이 발생될 위험성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면서도 작업 효율이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Further, after the striking operation for one striking object O is completed, a striking operation for another striking object O (not shown) located at another position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항타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는 대부분의 측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many a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차량
2 : 지지대
10 : 리더
11 : 메인 프레임
12 : 안내레일
20 : 가이드부
21 : 가이드봉
22 : 레일결합부
30 : 해머
31 : 본체부
32 : 가이드봉 지지부
W : 와이어
P : 파일
E : 지층
O : 타격 대상물1: vehicle
2: Support
10: Leader
11: Mainframe
12: Guide rail
20: guide portion
21: Guide rod
22: rail coupling portion
30: Hammer
31:
32: Guide bar support
W: Wire
P: file
E: strata
O: hit object
Claims (5)
상기 안내레일에 접촉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 및
일단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방향의 인력을 제공받고, 상기 가이드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해머;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미리 정해진 곳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과 상기 본체부의 외면 사이의 유격의 최소값은 0보다 크고,
상기 인력이 감소되면 상기 해머 및 상기 가이드부가 낙하를 개시하되, 상기 해머가 상기 가이드부보다 빠른 속도로 낙하하며,
상기 해머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해머가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하는 최고점에 도달되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해머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해머가 더 상승하면 상기 해머와 상기 가이드부가 함께 상승하고,
상기 해머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안내레일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해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해머의 수평방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봉; 및 일측은 상기 안내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머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가이드봉을 기준으로 최고점에 위치되면 상기 가이드봉을 지지하는 가이드봉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항타장치.A reader provided with a guide rail;
A guide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and moves along the guide rail; And
And a hammer which is connected to a wire at one end thereof and is provided with an upward attraction force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ertable into the guide portion,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The minimum value of the clear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n a state where it is positioned is larger than 0,
The hammer and the guide portion start falling when the attraction force is reduced, the hammer drops at a higher speed than the guide portion,
The guide portion is supported by the hammer when the hammer reaches the highest point with respect to the guide portion as the hammer rises, and when the hammer further rises, the hammer and the guide portion rise together,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hammer and the guide portion is smaller tha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uide portion and the guide rail,
Wherei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guide rod for limiting a moving range of the hammer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hammer is inserted; And a rail coupling part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t one side and coupled to the guide rod at the other side,
Wherein the hammer further comprises a guide bar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the guide rod when the main body part is located at the highest point with respect to the guide r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78209 | 2015-06-02 | ||
KR1020150078209 | 2015-06-02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8294A Division KR20170092514A (en) | 2017-08-02 | 2017-08-02 | Pile hamm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2206A KR20160142206A (en) | 2016-12-12 |
KR101811921B1 true KR101811921B1 (en) | 2017-12-22 |
Family
ID=5757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79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811921B1 (en) | 2015-06-02 | 2015-07-09 | Pile hamm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1921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105A (en) | 2018-09-03 | 2020-03-12 | 동명중기계 (주) | Pile Driving Apparatus Equipped with Safety Device for Hammer |
KR20200068124A (en) | 2018-12-04 | 2020-06-15 | 동명중기계 (주) | Drop Hammer Device with Casing |
WO2021092437A1 (en) * | 2019-11-08 | 2021-05-14 | Ojjo, Inc. | Systems, methods, and machines for automated screw anchor driving |
KR102456328B1 (en) | 2021-11-16 | 2022-10-19 |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 Pile driving machine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to increase pile driving power on soft ground |
US12359389B2 (en) | 2019-11-08 | 2025-07-15 | Ojjo, Inc. | Systems, methods, and machines for automated screw anchor driv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76279B (en) * | 2017-09-23 | 2018-11-09 | 扬州市新天河绳业有限公司 | A kind of power cable device |
CN107489148B (en) * | 2017-09-28 | 2018-10-16 | 象山知航机电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water conservancy construction facility |
CN107761726B (en) * | 2017-10-16 | 2018-11-27 | 泰兴市东城水处理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irrigating apparatus |
CN107675695B (en) * | 2017-10-23 | 2018-10-16 | 深圳市宝德计算机系统有限公司 | A kind of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device |
CN107558467B (en) * | 2017-10-25 | 2018-07-31 | 深圳市市政工程总公司 | A kind of working tamping unit of road rapid repair |
CN111197307B (en) * | 2020-01-10 | 2021-06-15 | 东台康鼎工程机械制造有限公司 | Pile driver for construc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90071A (en) * | 1999-09-22 | 2001-04-03 | Taisei Corp | Pile diameter adjustment device for pile driver or excavator |
JP2011149189A (en) * | 2010-01-21 | 2011-08-04 |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 Pile driv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91246B1 (en) | 1999-03-15 | 2001-05-15 | 허기중 | Pile device for construction pile machine |
KR101219299B1 (en) | 2012-09-12 | 2013-01-09 | 석정건설(주) | Pile hammer |
-
2015
- 2015-07-09 KR KR1020150097936A patent/KR10181192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90071A (en) * | 1999-09-22 | 2001-04-03 | Taisei Corp | Pile diameter adjustment device for pile driver or excavator |
JP2011149189A (en) * | 2010-01-21 | 2011-08-04 |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 Pile driver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105A (en) | 2018-09-03 | 2020-03-12 | 동명중기계 (주) | Pile Driving Apparatus Equipped with Safety Device for Hammer |
KR20200068124A (en) | 2018-12-04 | 2020-06-15 | 동명중기계 (주) | Drop Hammer Device with Casing |
WO2021092437A1 (en) * | 2019-11-08 | 2021-05-14 | Ojjo, Inc. | Systems, methods, and machines for automated screw anchor driving |
US11168456B2 (en) | 2019-11-08 | 2021-11-09 | Ojjo, Inc. | Systems, methods, and machines for automated screw anchor driving |
US12359389B2 (en) | 2019-11-08 | 2025-07-15 | Ojjo, Inc. | Systems, methods, and machines for automated screw anchor driving |
KR102456328B1 (en) | 2021-11-16 | 2022-10-19 |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 Pile driving machine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to increase pile driving power on soft groun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2206A (en) | 2016-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1921B1 (en) | Pile hammer | |
CN102099277A (en) | Elevator arrangement, method and safety structure | |
JP4619369B2 (en) | Device for moving the platform along the guide rails of the elevator | |
KR101728739B1 (en) | workbench for tank welding | |
KR101904230B1 (en) | Pile driving equipment with counter weight and pile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 |
CN117355649A (en) | Quick load test device of stake | |
KR20170092514A (en) | Pile hammer | |
KR101758790B1 (en) | Apparatus for Punching the Joint Flange for Concrete Pile Mold | |
CN105507831B (en) | A kind of worm drive formula drilling tool delivery apparatus of offshore drilling platform | |
CN102962739A (en) | Pressing mechanism for guide rail deburring device | |
KR101068170B1 (en) | Sheet pile drawing device | |
KR101537489B1 (en) | Apparatus for pulling out h-bim for constructing | |
CN204139219U (en) | The hydraulic pressure guide rod grab bucket can impact, can pressurizeed | |
JP6154033B2 (en) | Tie-down device | |
DE69203980T2 (en) | Improved device for lifting and hammering the foundation piles of offshore structures. | |
CN215329869U (en) | Soft foundation treatment equipment | |
KR101317347B1 (en) | Guiding apparatus for cutting strip | |
JP7094977B2 (en) | Manufacturing equipment with protection unit | |
CN115096724A (en) | Drop weight impact testing machine | |
JP6525299B1 (en) | Column material withdrawal device | |
CN211034868U (en) | Steel reinforcement cage hoist device | |
KR10247710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maintain distance device of concrete mold | |
CN104074180A (en) | Automatic hooking device and dynamic compactor | |
CN219430749U (en) | Pile driver for foundation construction | |
CN111605086A (en) | Ceiling punch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3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9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3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1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0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8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5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1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