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556B1 - Extenda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 Google Patents
Extenda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1556B1 KR101811556B1 KR1020170097284A KR20170097284A KR101811556B1 KR 101811556 B1 KR101811556 B1 KR 101811556B1 KR 1020170097284 A KR1020170097284 A KR 1020170097284A KR 20170097284 A KR20170097284 A KR 20170097284A KR 101811556 B1 KR101811556 B1 KR 1018115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sub
- substrate
- main
- li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GOXQRTZXKQZDDN-UHFFFAOYSA-N 2-Ethylhex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C(=O)C=C GOXQRTZXKQZDD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VVQNEPGJFQJSBK-UHFFFAOYSA-N M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C VVQNEPGJFQJSB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CQEYYJKEWSMYFG-UHFFFAOYSA-N but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 CQEYYJKEWSMYF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ROOXNKNUYICQNP-UHFFFAOYSA-N ammon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NH4+].[NH4+].[O-]S(=O)(=O)OOS([O-])(=O)=O ROOXNKNUYICQ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 nonylphen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40051841 polyoxyethylene ether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56 polyoxyethylene 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2-Prope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70 ammonium per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IAYPIBMASNFSPL-UHFFFAOYSA-N Ethylene oxide Chemical group C1CO1 IAYPIBMASNFS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22 acrylic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5 chemical reaction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VGUFUZHNYFZLC-UHFFFAOYSA-N dodecyl benzenesulfonate;sodium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C1=CC=CC=C1 GVGUFUZHNYFZ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6 re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BHQBSYUUJJSRZ-UHFFFAOYSA-M sodium bisulfate Chemical compound [Na+].OS([O-])(=O)=O WBHQBSYUUJJSRZ-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42 sodium bi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0264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33 sodium lauryl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DAJSVUQLFFJUSX-UHFFFAOYSA-M sodium;dodecane-1-sulfon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S([O-])(=O)=O DAJSVUQLFFJUS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4—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comprising multipl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s
- H10H29/142—Two-dimensional arrangements, e.g. asymmetric LED layout
-
- H01L27/156—
-
- H01L33/44—
-
- H01L33/62—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4—Coatings, e.g. passivation layers or antireflective coating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한 LED 디스플레이 기판을 적층형태로 연장시키되,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복수개의 투명한 LED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nsi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ensi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that extends a transparent LED display substrate in a laminated form, which can control a plurality of transparent LED display substrates through a single driver, To an extenda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긴 수명과 높은 색 재현율을 가지면서도 소비전력이 낮아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면적을 넓힌 대형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투자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시에 투명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또한 집중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개발 추세는 인류의 생활 환경 변화와도 관련이 있는데, 디스플레이의 대형화는 기술발전의 고도화에 따라 인류가 추구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열망을 토대로 발전하였으며, 특히 광고나 산업분야에서도 이러한 대형 디스플레이의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면서 관련 시장의 붐이 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투명 디스플레이는 최근 점차 증가하고 있는 IoT와 증강현실, 혼합현실, 휴대용 기기 등과 함께 그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데,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해결해주지 못했던 주변 환경과 디지털의 융합이 투명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현 가능케 되면서 이러한 기술발전과 함께 관련 기술의 개발 및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LED display assemblies are widely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due to their low lifespan and high color reproducibility while consuming less power. Especially, in recent years, a lot of investments and studies have been made on a method of producing a large-sized display having a large area of the LED display assembly, and at the same time, a display having transparency has also been intensively developed. This development trend is also related to human life environment changes. The enlargement of display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desire for large displays pursued by mankind as technology development advances. Especially, in advertisement and industrial fields, Is growing exponentially and the related market is booming. In addition, the demand for transparent displays is increasing with IOT, augmented reality, mixed reality, and portable devices, which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However, the convergence of surroundings and digital, which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have not solved, As the technology becomes more feasible, the development and investment of relevant technology is progressing actively with the development of this technology.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도 최종적으로는 이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가능해 지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지만, 투명 디스플레이의 한계로서 그동안 지적되어왔던 것들은 여러 장의 디스플레이가 연결되어 대형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게 되면, 각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전선(데이터, 전원 등)이 이에 대응되어 증가하게 되어 이러한 전선들에 의해 투명 디스플레이가 투명성을 상실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전선들을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는 것과 연관성이 없는 디스플레이의 측면부위로 몰아 배치하는 등의 기술개발이 이루어졌지만, 결국 대형화를 위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를 잇다 보면 결국에는 투명성이 손실되는 영역으로 전선이 위치할 수 밖에 없어 완벽한 투명성을 추구하는 대형화 기술은 아직 제대로 개발되지 못하였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Thus, although transparency displays are ultimately aimed at making the transparency display large in size, the ultimate goal of transparency displays is that, as a limitation of transparent displays, what has been pointed out is that when a plurality of displays are connected to form a large display,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electric wires (data, power supply, etc.) increase correspondingly and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lost by these electric wir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ve been developed technologies such as placing the wires on the side portions of the display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isplay, but eventually, when a plurality of displays are connected to the large-sized displa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large-scale technology that pursues perfect transparency has not been properly developed ye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9969호에 "비디오 월이 가능한 블록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As a prior art for solving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No. 10-1569969 discloses a " block-type transparent display panel capable of video wall ".
본 발명은 일측변에 구동 보드가 구비되는 사각형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수용 프레임과 체결 프레임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수용 프레임은 일방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도록 수평하게 연장된 후 상부를 향하여 수직 절곡된 상태에서 전방과 하방으로 연속 절곡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 프레임은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삽입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후 타방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도록 전방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가볍고 간단한 블럭형 디스플레이 매체로 쉽게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하고 다수의 패널을 사용하면 비디오 월로 확장되며 두 개 이상의 뷰를 가지는 멀티뷰 쇼룸도 구현할 수 있는 비디오 월이 가능한 블록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drangular transparent display panel having a driving board on one side, wherein the two transparent display panel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receiving frame and a fastening frame respectively provided at one end, The display panel is horizontally extended so as to be seated thereon and then vertically bent upwardly to form a receiving space continuously and forwardly and downwardly, and the fastening frame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The display panel can be easily moved and installed with a light and simple block type display medium. Also, when a plurality of panels is used, the display panel can be expanded to a video wall, A video wall that can also implement a multi-view showroom And a method for providing such a block-type transparent display panel.
다만,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연결부의 구성에서 상당한 투명성을 손실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투명성이 필요한 분야에는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loses considerable transparenc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in fields requiring total transparency.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6-0013563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소정 제품에 탈부착되어, 제품 내의 물품 정보 및 광고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레임(frame)과, 프레임의 제 1 개구부에 배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프레임의 제 2 개구부에 배치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소정 제품의 도어부 전면(front surface)을 커버하도록 장착되거나 또는 소정 제품의 도어부 전면으로부터 분리되며, 프레임의 테두리로부터 소정 제품의 도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과, 소정 제품의 도어부의 테두리 측면이, 체결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According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13563, " Transparent display device " as another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roduct and displays product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in the product. A frame including an opening; a transparent display panel disposed at a first opening of the frame; and a control module disposed at a second opening of the frame to control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An extension frame mounted to cover a front surface or separated from a front surface of a door of a predetermined product and extending from a rim of the frame toward a door portion of a predetermined product and a side edge of the door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product are fastened And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그러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제어모듈이 무조건 포함되며, 이 제어모듈과 투명 디스플레이간에 어김없이 프레임이 위치하기 때문에 대형화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rol module is unconditionally included in one display, and the frame is positioned between the control module and the transparent display.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기판을 연결하여 활용하되, 하나의 구동부 구성을 통해 복수의 기판이 제어되면서도 투명성이 저하되지 않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 substrates are connected and utilized and a plurality of substrates are controlled through one driving unit,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투명성이 보장되면서도 충분한 결합강도를 갖출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sufficient bonding strength while ensuring such transpar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기판의 확장제어가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figuration capable of expanding control of a display substr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면에 LED가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 측면에서 상기 베이스보다 낮은 높이로 일정 면적을 갖도록 연장된 확장면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확장면의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의 측면 외측과 상기 확장면의 상면 상측에 형성된 공간인 안착 스페이스를 구비한 메인 기판과, 상기 메인 기판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되, 상기 메인 기판보다 사이즈가 줄어들면서 상기 안착 스페이스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되 각각의 베이스가 상기 메인 기판의 베이스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복수개의 서브 기판과, 상면에 LED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기판 중 최종 안착된 서브 기판의 상기 안착 스페이스에 동일한 체적으로 끼움 결합된 것으로, 상기 메인 기판 및 상기 서브 기판의 베이스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기판 패널로 이루어진 투명 재질의 기판 어셈블리; 상기 메인 기판의 베이스 외측 면에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LED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tenda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including a base having an L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 extension surface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base to a lower height than the base, A main board having a seating space which is a space formed between a lateral side of the base and a top side of the extended surface with reference to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base and the extended surface; A plurality of sub-substrates which are sequentially mounted on the seating space while being reduced in size and whose bases are flush with the base of the main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sub- Is fitted into the seating space of the sub board with the same volume, A substrate assembly of a transparent material made of a substrate forming the panel in the same plane as a main board and a base of the sub-board; And a driving uni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of the main substrate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LED.
더하여, 상기 기판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기판의 베이스와 확장면을 가로질러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 및 전원 공급 범위를 연장하는 메인 라이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기판과 상기 서브 기판 및 상기 기판 패널은, 상기 메인 라이닝의 측면 일 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기판과 상기 서브 기판의 베이스 상면에 구비된 LED 및 상기 기판 패널의 상면에 구비된 LED 각각에 이르기 까지 수직으로 관통 연장되어 상기 메인 라이닝과 상기 LED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바이어 홀(via hol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bstrate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main lining extending across a base and an extension surface of the main substrate, the main lining extending data and power supply ranges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panel extend vertically through the LEDs provided on the main substr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ubstrate and the LED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anel from one side of the main lining, And a plurality of via holes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ining to each of the LEDs.
나아가, 상기 메인 기판의 베이스 외측 면에서 상기 구동부가 장착되는 영역에는, 상기 메인 라이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로 부터 데이터를 전달받는 데이터 전송단자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전원 제공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region where the driving unit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of the main substrate may include a data transmission terminal for receiving data from the driving unit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lining, And a connector is further formed.
덧붙여, 상기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부의 외측 면에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LED의 구동을 보조하는 서브 구동부와, 상기 서브 구동부의 하방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메인기판의 저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으로 연장된 서브 확장면과, 상기 서브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확장면의 상면을 가로질러 연장된 서브 라이닝을 포함하는 확장 기판이 더 포함되고, 상기 확장 기판 및 상기 메인 기판은, 상기 서브 라이닝의 측면 일 측으로부터 메인 기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바이어 홀에 이르기 까지 수직으로 관통 연장되어 상기 서브 라이닝과 상기 LED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서브 바이어 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서브 라이닝이, 저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메인 라이닝과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하나의 라이닝으로 보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D display assembly may include a sub driver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unit to assist in driving the LED, and a light emitting unit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sub driver to shield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ving unit and the main substrate And an extension board including a sub-extension extending across an upper surface of the sub-expansion surface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sub-driver, wherein the extension board and the main boar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ub-via holes extending vertically through a plurality of via holes formed in the main substrate from one side of the sub-lining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ub-lining and the LED, , And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main lining when viewed from the bottom It is formed to be presented to my lining characterized.
본 발명에 따른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extensi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복수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기판을 연결하여 활용하되, 하나의 구동부로부터 연장된 메인 라이닝에서 복수개의 바이어 홀을 통해 각각의 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통해 복수의 기판이 제어되면서도 투명성이 저하되지 않는 구성을 제공하고,1) a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 substrates are connected and utilized, and a plurality of substrates are controlled thr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in lining extending from one driving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LED through a plurality of via holes, Configuration,
2) 나아가 확장 기판을 통해 추가로 제공되는 서브 라이닝도 메인 라이닝과 수평하게 위치시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마치 하나의 라이닝만 존재하는 것처럼 구성함으로써 라이닝의 개수가 늘어나더라도 하나의 라이닝만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지는 구성을 제공하며,2) Further, the sub-lining provided additionally through the extension board is horizontal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main lining, so that when viewed from the front, it appears as if there is only one lining even if the number of lining increases as if there is only one lining Provides a losing configuration,
3) 각 베이스에 투명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결합구조를 강화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3)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enhance the transparency and strengthen the bonding structure at each base,
4) 나아가, 각각의 기판들간의 결합을 보조할 수 있는 추가 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capable of assisting the coupling between the respective substrates.
도 1은 본 발명의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바이어 홀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확장 기판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 기판에 중공부를 형성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및 결합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n extensi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n extensi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 via hole in a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xpanded substrate is applied to th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main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nd a coup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b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n extensi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n extensi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상면에 LED(11)가 구비된 베이스(111)와, 베이스(111)의 일 측면에서 베이스(111)보다 낮은 높이로 일정 면적을 갖도록 연장된 확장면(112)과, 상기 베이스(111)와 상기 확장면(112)의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111)의 측면 외측과 상기 확장면(112)의 상면 상측에 형성된 공간인 안착 스페이스(113)를 구비한 메인 기판(110)과, 메인 기판(110)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되, 메인 기판(110)보다 사이즈가 줄어들면서 안착 스페이스(113)에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베이스(111)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복수개의 서브 기판(120)과, 복수 개의 서브 기판(120) 중 최종 안착된 서브 기판(120)의 안착 스페이스(113)에 동일한 체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면에 LED(11)가 구비된 상태에서 각 베이스(111)들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기판 패널(130)로 이루어진 투명 재질의 기판 어셈블리(100); 메인 기판(110)의 베이스(111) 외측 면에 결합된 것으로서, LED(11)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parent
먼저, 기판 어셈블리(100)는 메인 기판(110)을 가장 바닥면에 둔 상태에서 복수개의 서브 기판(120)에 메인 기판(110)에 적층되고, 마지막으로 기판 패널(130)이 적층됨으로써 마치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처럼 보여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메인 기판(110)과 서브 기판(120)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는데, 상면에 복수개의 LED(11)가 장착된 상태에서 일정한 면적(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형태로)으로 형성된 베이스(111)와, 이 베이스(111)의 일 측면에서 베이스(111)보다 낮은 높이로 연장된 것으로서,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연장된 확장면(112)의 구성이 더 포함된다. 따라서, 이 확장면(112)과 베이스(111)의 형태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점은 확장면(112)과 베이스(111)의 결합체를 종단면으로 보면 ‘ㄴ’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확장면(112)과 베이스(111)의 ‘ㄴ’형태로의 결합체에 둘러싸인 공간을 안착 스페이스(113)라고 칭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이 안착 스페이스(113)에는 서브 기판(120)이 위치하게 되는데, 서브 기판(120)은 적층을 원하는 기판의 수량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수량으로 준비될 수 있으며, 안착 스페이스(113)에 메인 기판(110)과 동일한 구성과 연결구조를 갖는 서브 기판(120)이 위치하되, 각각의 서브 기판(120)은 그 사이즈가 점차 줄어들어 안착 스페이스(113)에 전부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따라서, 메인 기판(110)의 베이스(111)가 (LED(11)가 구비된 상면을 통해)형성한 평면은 다른 서브 기판(120)에 포함된 베이스(111)가 형성한 평면과 계속해서 평행을 유지하여 하나의 평면인 것처럼 보여지게 되어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개의 투명 LED(11) 디스플레이 기판이 연장될 수 있는 것이라 하겠다. 나아가, 가장 마지막에 안착 스페이스(113)에 삽입되어 기판 어셈블리(100)를 마감하는 기판 패널(130)은 더 이상의 확장이 필요없기 때문에 확장면(112)을 구비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안착 스페이스(113) 또한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오로지 베이스(111)만 구비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기판 패널(130) 역시도 앞선 메인 기판(110)의 베이스(111)가 형성한 평면과 가장 마지막에 투입되는 기판 패널(130)이 계속해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The plane formed by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기판 어셈블리(100)가 복수개의 투명 기판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이 기판 어셈블리(100)에 장착된 LED(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메인 기판(110)의 베이스(111) 외측 면에는 구동부(2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일종의 컨트롤러로서, 이 구동부(200)가 메인 기판(110)의 베이스(111) 외측 면에 장착되어 메인 기판(110)과 연결된 다른 서브 기판(120) 및 기판 패널(130)에 장착된 LED(11)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이 구동부(200)는 메인 기판(110)의 베이스(111) 외측 면 이외에도 다른 메인 기판(110)의 외측 면 또는 내측 면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내측 면에 구비된다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성을 해칠 수 있어 권장되지 않고, 다른 외측 면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rough such a configura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이 때, 하나의 구동부(200)가 복수의 기판에 위치한 LED(11)를 제어하려면 다음의 구성이 더 고려되어야 한다. 즉, 구동부(200)로부터 각 LED(11)를 향해 연장된 배선에 대한 구성으로서, 특히 투명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본원의 디스플레이의 경우, 이러한 배선구조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control the
도 3은 본 발명의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바이어 홀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ia hole is applied to th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메인 기판(110)에는 메인 기판(110)의 베이스(111)와 확장면(112)을 가로질러 연장된 것으로서,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 및 전원 공급 범위를 연장하는 메인 라이닝(3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라이닝(300)은 복수의 배선을 하나의 배선으로(라이닝) 보여지도록 뭉쳐(또는 집적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확장면(112)과 베이스(111)의 일 면(상면, 하면,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패턴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금속 선을 직접 장착하거나 확장면(112)과 베이스(111)를 관통하여 삽입하는 방법 혹은 확장면(112)과 베이스(111)를 관통하는 홈을 형성한 상태에서 이 홈에 패턴처리 하는 방법 등이 활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베이스(111)는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메인 라이닝(300)은 일반적으로 구동부(200)로 부터 신호전달 및 전력공급을 위해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선과 전력선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뜻한다. 나아가, 이러한 데이터선과 전력선을 통해 상면에 위치한 복수개의 LED(11)가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이러한 메인 라이닝(300)은 후술할 다른 구성의 모태가 되는 기준 선으로서 활용되며, 다른 구성은 이 메인 라이닝(300)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메인 라이닝(300) 지나가는 영역을 제외하면 다른 영역은 배선에 의한 투명성 손실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메인 라이닝(300)을 하나의 직선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형태 역시도 기존의 수많은 선이 위치하여 투명성을 저하시켰던 것과 비교하였을 때, 투명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형태라고 하겠다.Since the
다만, 메인 기판(110)의 베이스(111)과 메인 라이닝(300)은 서브 기판(120)의 수가 많아질수록 굉장히 길게 연장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2m정도의 길이 이상을 넘어가게 되면 제조 시 하나의 패널로 제조하기가 굉장히 어렵다. 따라서, 이렇게 구성이 제조능력에 비해 과도하게 길어지거나 넓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베이스(111)를 연결하여 하나의 베이스(111)로 구성하되, 각 베이스(111)에 형성된 메인 라이닝(300)과 메인 라이닝(300) 사이에도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넥터(미도시) 구성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커넥터는 단순 끼움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겠으나, 한번 연장된 이후에 더 이상 분리될 필요성이 없다면 열융착 등의 방법을 통해 메인 라이닝(300)을 영구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나아가, 메인 기판(110)과 서브 기판(120) 및 기판 패널(130)에는 복수개의 바이어 홀(301)(via hole)이 더 형성된다. 이 바이어 홀(301)은 메인 라이닝(300)과 각각의 베이스(111) 상면에 위치한 LED(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것으로서, 관통된 내주면을 따라 전기적 신호의 이동이나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전도체로 이루어진 물질이 적층된 홀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바이어 홀(301)을 통해 하나의 메인 라이닝(300)만 구비되더라도 별도의 추가 라인이 필요 없이 바이어 홀(301)을 통해 각 베이스(111) 및 기판 패널(130)에 위치한 LED(11)로 로 전기적 신호나 전원공급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Further, a plurality of via
이러한 구성을 고려하면 구동부(200)는 메인 기판(110)의 베이스(111) 외측 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메인 기판(110)의 베이스(111) 외측 면에서 구동부(200)가 장착되는 영역에는 메인 라이닝(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로 부터 데이터를 전달받는 데이터 전송단자와, 구동부(20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전원 제공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3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310) 구성에 의해 구동부(200)의 교체가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구동부(200)를 교체해서 사용하는 구성도 고려될 수 있는 것이다.In consideration of such a configuration, the driving
도 4는 본 발명의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확장 기판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xtended substrate is applied to th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나아가, LED(1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구동부(200)의 외측 면에 결합된 것으로서, LED(11)의 구동을 보조하는 서브 구동부(211)와, 서브 구동부(211)의 하방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구동부(200) 및 메인기판의 저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으로 연장된 서브 확장면(212)과, 서브 구동부(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서브 확장면(212)의 상면을 가로질러 연장된 서브 라이닝(213)을 포함하는 확장 기판(21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확장 기판(210) 및 메인 기판(110)은 서브 라이닝(213)의 측면 일 측으로부터 메인 기판(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바이어 홀(301)에 이르기 까지 수직으로 관통 연장되어 서브 라이닝(213)과 LED(11)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서브 바이어 홀(3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즉, 메인 기판(110)과 유사한 구성으로서, 메인 기판(110)의 하부에 장착되는 확장 기판(210)의 구성이 더 포함되는 것인데, 다른 점이 있다면 확장 기판(210)의 서브 확장면(212)의 상면에 서브 라이닝(213)이 형성되되, 이 서브 라이닝(213)은 서브 구동부(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서브 구동부(211)는 구동부(200)와 다른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LED(11) 구동 시 두 가지의 패턴으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라 하겠다. 단, 이렇게 서브 구동부(211)가 LED(11)를 제어하려면 역시 바이어 홀(301)을 더 형성하여 LED(11)와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어야 하는데, 가장 쉬운 방법으로써 이미 형성된 바이어 홀(301)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각 바이어 홀(301)까지 연장된 서브 바이어 홀(302)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onfiguration of the
이런 방식으로 서브 라이닝(213)을 형성하여 LED(11)를 추가로 제어하되, 이 서브 라이닝(213)은 저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메인 라이닝(30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면 두 개의 라이닝이 위치하더라도 육안으로 확인하였을 때에는 마치 하나의 라이닝만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어 투명성을 추구하는데 보다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성이라 하겠다.In this manner, the sub-lining 213 is formed to further control the
여기에서 더 나아가 서브 확장면(212)의 상면에는 서브 라이닝(213)이 형성된 좌우 측면에서 일정 간격마다 분기되어 함입 연장된 복수개의 완충홈(5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홈(510)은 서브 확장면(212)이 매우 큰 면적을 가진 상태로 메인 기판(110)의 확장면(112)을 둘러싸고 있는 것에 착안한 것으로서, 완충홈(510) 구성을 통해 기존의 편평한 표면을 갖는 형태보다 충격을 더욱 흡수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나아가 완충홈(510)을 단순히 충격 완화에만 사용하지 않고, 정전기 방지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즉,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완충홈(510)의 내주면을 따라 코팅되는 정전기 방지층(511)을 더 형성하는 것인데, 이러한 정전기 방지층(511)은 서브 라이닝(213)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며, 따라서 정전기 발생의 억제를 통해 주변에 위치한 구동부(2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앞선 구성을 통해 LED(1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동부(200)가 어떠한 방식으로 장착되고, 이에 따라 기존의 복잡한 배선이 필요 없이 단순한 배선 구성만으로도 최소한의 구동부(200)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제는 본원의 두 번째 특징으로서, 앞선 구성을 활용하면서도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토록 한다.The driving
먼저, 메인 기판(110)에는 메인 라이닝(300)이 형성된다고 하였는데, 투명성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메인 라이닝(300)은 기판을 투명화 하는데 매우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라이닝이 없으면 전기적인 신호의 전달이나 전원의 제공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라이닝을 없앨 수도 없다고 하겠다. 그러면, 이러한 라이닝을 유지하면서도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한 구성은 바로 주변을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실을 손에 쥐었을 때, 실을 상세하게 살펴본다면, 실의 두께가 얇아도 충분히 실에 의해 다른 영역이 가려져 보일 수 있겠지만, 실을 상세하게 살피지 않는다면 다른 영역이 겹쳐 보이게 되어 상대적으로 이러한 실에 의해 가려진 영역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는 것이다.First, the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 기판에 중공부를 형성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main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같이, 메인 기판(110)에서 메인 라이닝(300)은 LED(11)가 구비된 상면의 대향 측인 배면에 적층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이 메인 기판(110)의 배면에서 메인 기판(110)의 둘레영역과, 메인 라이닝(300)이 형성된 영역(115)과 그 주변영역, 바이어 홀이 형성된 영역(116)과 그 주변영역을 모두 제외한 나머지 비어있는 영역을 천공한 중공부(117)를 형성함으로써, 중공부(117)가 상대적으로 메인 라이닝(300)이 위치한 영역이나 둘레 영역(114)보다 투명하게 비추어져(확장면(112) 자체도 투명성을 가지고는 있지만 완벽한 투명이라고 할 수는 없기 때문에)멀리서 보았을 때에는 주변영역의 영향으로 인해 메인 라이닝(300)이 형성된 부위가 거슬리지 않고 마치 투명한 것처럼 보여지게 하는 것이다. 이 때, 중공부(117)를 천공하기 위해서는 배면에 메인 라이닝(300)을 형성한 상태에서 레이저나 UV커팅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 the
나아가, 중공부(117)의 효율을 더 높이려면 메인 라이닝(300)이 형성된 배면을 기준으로 배면에 형성된 개구의 면적이 그 반대측 표면인 상면에 형성된 개구의 면적보다 작도록 마치 고깔과 같은 형태로 중공부(117)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메인 라이닝(300)이 형성되지 않은 표면에는 별도의 라이닝이 구비되지 않아 더욱 넓게 천공되더라도 전기적인 신호의 전달이나 전원의 제공에 전혀 문제를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중공부(117)의 형태를 하협상광(下狹上廣)하게 형성한다면, 메인 라이닝(300)이 위치한 배면보다 반대측 면인 상면에 더욱 개구가 넓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중공부(117)를 제외한 부위는 경사진 측면을 갖게 됨으로써, 더욱 투명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나아가, 기판 어셈블리(100)에서도 각 기판 간 경계면이 투명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즉, 기판간 경계면은 그 주변과 달리 두 기판의 경계에 위치하게 되어 빛의 투과되는 양이 급격하게 바뀌기 때문에 다른 부위보다 어두운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경계부위가 많아지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았을 때, 각 경계면이 육안에 드러나 마치 바둑판을 보고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따라서, 이렇게 경계면이 어둡게 처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의 구성이 더 고려될 수 있다.Therefor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can be further considered to prevent the border surface from being darkened.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및 결합사시도이다.6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and a coup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b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a)와 같이, 이웃한 베이스(111) 사이의 경계면을 살펴보면 두 베이스(111)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111)에는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 1 경사면(401)이 포함되고, 다른 하나의 베이스(111)에는, 제 1 경사면(401)과 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 2 경사면(402)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을 갖는 경계구조는 기존의 일자형 경계구조보다 투명성에 영향을 받는 범위가 증가하지만, 대신에 어두워지는 광감이 이 면적에 대비하여 분할되므로 기존 구성보다 효율적으로 투명성의 보장이 가능해짐은 물론이다. 더욱이 이러한 경사구조는 앞선 일자형 경계구조가 갖지 못한 베이스(111)와 베이스(111)간, 나아가 기판과 기판간의 추가적인 결합구성을 더 제공하기도 한다. 즉,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형성한 이 제 1 경사면(401)과 제 2 경사면(402)이 각각의 결합을 통해 서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고정역할도 할 수 있어 하나의 구성으로 복합적인 문제해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 기술이라 하겠다.First, as shown in FIG. 6 (a), when looking at the interface between neighboring
추가적으로 도 6(b)와 같이, 앞선 경사면 구성과 다른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베이스(111)에 제 1 경사면(401)을 형성하는 것 까지는 동일하되, 다른 하나의 베이스(111)에는 각 베이스(111)가 이루는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경계선인 가상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 1 경사면(401)과 대칭되게 경사지게 형성한 제 2 경사면(40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경사면(401)과 제 2 경사면(402) 사이에는 ‘ㅅ’형태로 파여진 부위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6 (b), the first
이 때, 추가적으로 베이스(111)와 베이스(111) 사이에는 제 1 경사면(401) 및 제 2 경사면(402)과 각각 밀착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한 상태에서 각 경사면의 단부를 잇는 바닥면을 통해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충진면(411)이 제 1 경사면(401)과 제 2 경사면(402)이 형성하는 공간을 메우도록 연장된 충진블록(4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이 충진블록(410)은 일종의 삼각기둥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제 1 경사면(401)과 제 2 경사면(402) 사이에서 이들을 각각 받쳐 줌으로써, 가장 외측에 노출된 베이스(111) 바로 아래에 생성된 공간을 채워 베이스(111)의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투명성을 위해서는 이 공간을 비워두는 것이 가장 좋겠으나, 두 경사면이 만나는 지점이 각 베이스(111)에서 각 경사면과 상면이 이루는 모서리 부위에 한정되기 때문에 내구성도 약하고 그 접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워 이러한 충진블록(410)의 구성을 통해 보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a slant surface inclined to closely contact the
지금까지 두 가지의 제 1 경사면(401), 제 2 경사면(402)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경사면의 경우, 경사면의 형성으로 인해 다른 구성들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특히 베이스(111)의 상면에 위치한 LED(11)의 구동이나 배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베이스(111) 상면의 LED(11)가 배치된 영역 외의 영역에서만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경사면의 형성 방법이라 하겠다.The method of forming the two first
물론, 이렇게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에도 보다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베이스(111)에서 제 1 경사면(401) 또는 제 2 경사면(402)과 인접한 내부를 천공시킨 베이스 중공부(403)의 구성을 더 갖출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베이스(111)에 레이저나 UV커팅 등의 방법으로 베이스 중공부(403)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경사면으로 인해 미약하게 나마 남아있던 투명성 저하를 이 베이스 중공부(403)를 통해 보다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f course, even if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나아가 잠시 도 3으로 넘어가, 어느 하나의 확장면(112)과 다른 하나의 확장면(112) 사이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 투명재질의 접착제(500)가 주입되어 상기 확장면(112)을 고정토록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설명에 의하면 확장면(112)과 확장면(112) 사이에는 별도로 이 둘을 고정하는 구성이 포함되지 않았었다. 이러한 구성은 적층이 길게 형성될수록 각각의 무게에 의해 불안정한 결합구조를 나타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가장 접촉된 면적이 넓은 확장면(112)과 다른 확장면(112) 사이에 투명성을 갖는 접착제(500)를 주입함으로써 투명성의 손실이 거의 없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추는 것이다. 특히 이 접착제(500)로서 사용되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는 굳기 전이나 굳은 후에도 투명함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투명 패널의 접착에 있어 매우 적합한 접착제(500)라고 할 수 있다.3, a
이 때, 접착제(500)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증류수 35 내지 40 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5 내지 1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 내지 5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5 내지 20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릭애씨드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프리에멀전을 준비하는 단계와, 프리에멀전의 중량 대비 0.01 내지 0.1 중량부의 반응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액을 제조하는 단계, 반응액을 50 내지 85℃까지 가열한 후 1 내지 3시간동안 유지하여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숙성액의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부의 첨가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dhesive 500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steps. 35 to 4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nonionic surfactant, 30 to 5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5 to 20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20 to 30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Preparing a pre-emulsion by mixing 5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pre-emulsion, and adding a reaction initiator in an amount of 0.01 to 0.1 part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pre-emulsion to prepare a reaction solution, heating the reaction solution to 50 to 85 캜, For 3 hours to prepare an aging solution, and adding 1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dditive based on the weight of the aging solution.
먼저, 증류수와 계면활성제를 혼합한다. 이 때 비이커나 플라스크 등의 반응기에 증류수를 투입한 뒤 반응기에 상기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용해시키는 것이다. 이 때 기존에 흔히 이용되던 계면활성제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릴설포네이트, 소듐도데실벤진설포네이트 등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것이 분산안정성과 더불어 혼화성을 높이기 위해 적합하다.First, the distilled water and the surfactant are mixed. At this time, distilled water is added to a reactor such as a beaker or a flask, and the surfactant is added to and dissolved in the reactor. At this time, surfactants such as sodium lauryl sulfate, sodium laurylsulfonate and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which are commonly used surfactants, can be used,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nonionic surfactant, It is also suitable for increasing compatibility.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노닐페닐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이 때 노닐페닐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를 계면활성제로서 이용하는 경우 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노닐페닐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에 결합된 에틸렌옥사이드기의 개수가 20 내지 40개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More preferably, nonylphenyl polyoxyethylene ether is used as a nonionic surfactant. When nonylphenyl polyoxyethylene ether is used as a surfactant, it is preferable to use nonylphenyl polyoxyethylene ether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ethylene oxide groups is 20 to 40.
이러한 준비과정을 거쳐, 증류수 35 내지 40 중량부와 상기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5 내지 10 중량부가 혼합한 상태에서 아크릴 접착제(500) 믹스용 모노머들을 혼합하는 단계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 내지 5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5 내지 20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릭애씨드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다.After the preparation process, 35 to 4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nonionic surfactant as described above are mixed with the monomers for mixing the acrylic adhesive (500), and 2-ethylhexyl acrylate 30 5 to 20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20 to 30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이 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릭애씨드를 순차적으로 가장 먼저 투입한 뒤, 그 다음에 나머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부틸아크릴레이트를 투입하고 교반을 통해 혼합 처리하여 프리에멀전을 준비하게 된다. 이 때 균질기를 이용하여 약 8000rpm 이상으로 고속 교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t this time, methyl methacrylate and acrylic acid are first charged sequentially, and then the remaining 2-ethylhexyl acrylate and butyl acrylate are added thereto, followed by mixing and stirring to prepare a pre-emulsion. 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o stir at a high speed of about 8000 rpm or more using a homogenizer.
다음으로 상기 프리에멀전의 중량 대비 0.01 내지 0.1 중량부의 반응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액을 제조한다. 이 때 반응개시제로서 암모늄퍼설페이트 및 소듐비스설페이트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암모늄퍼설페이트(Ammoniumpersulfate)가 반응개시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반응개시제 투입 시 발열이 관찰되며, 이를 통해 아크릴계 중합체가 제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열 관찰을 위해 반응기의 일 측에 온도계를 구비할 수 있다.Next, a reaction initiator is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0.1 part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pre-emulsion to prepare a reaction liquid. At this time, any one of ammonium persulfate and sodium bisulfate may be used as a reaction initiator, and more preferably, ammonium persulfate may be used as a reaction initiator. At this time, exothermic heat was observed upon introduction of the reaction initiato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rylic polymer was produced. More preferably, a thermomete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ctor for heat generation observation.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리에멀전의 중량 대비 0.01 내지 0.1 중량부의 반응개시제를 투입하고 교반함에 따라 반응이 개시되고 발열이 일어나 반응액이 50 내지 60℃ 범위 내에서 승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승온 과정에 따라 미처 중합되지 않은 잔여 반응물들이 반응하게 되어 안정한 아크릴계 중합체인 접착제(50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reaction is initiated by adding 0.01 to 0.1 parts by weight of a reaction initiator based on the weight of the pre-emulsion and stirring. As a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heat is generated and the reaction solution is heated in the range of 50 to 60 ° C. The remaining reactants that have not yet undergone polymerization react with each other to form an adhesive 500 which is a stable acrylic polymer.
이렇게 완성된 접착제(500)는 접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항시 투명성을 가지고 있어 투명재질의 기판 사이에 주입되더라도 투명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아 매우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mpleted adhesive 500 is not only excellent in adhesiveness, but also has transparency at all times, so that even if it is injected between substrates of a transparent material, transparency is not significantly deteriorated and it can be very easily utilize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extensi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1: LED
100: 기판 어셈블리 110: 메인 기판
111: 베이스 112: 확장면
113: 안착 스페이스 114: 둘레 영역
115: 라이닝이 형성된 영역 116: 바이어 홀이 형성된 영역
117: 중공부 120: 서브 기판
130: 기판 패널 200: 구동부
210: 확장 기판 211: 서브 구동부
212: 서브 확장면 213: 서브 라이닝
300: 메인 라이닝 301: 바이어 홀
302: 서브 바이어 홀 310: 커넥터
401: 제 1 경사면 402: 제 2 경사면
403: 베이스 중공부 410: 충진블록
411: 충진면 500: 접착제
510: 완충홈 511: 정전기 방지층10: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11: LED
100: substrate assembly 110: main substrate
111: base 112: extended face
113: seating space 114: peripheral region
115: lined area 116: area where via holes are formed
117: hollow part 120: sub board
130: substrate panel 200:
210: Extension board 211: Sub-
212: sub-expansion surface 213: sub-lining
300: main lining 301: via hole
302: Sub-via hole 310: Connector
401: first inclined surface 402: second inclined surface
403: base hollow part 410: filling block
411: filling surface 500: adhesive
510: buffer groove 511: antistatic layer
Claims (13)
상면에 LED가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 측면에서 상기 베이스보다 낮은 높이로 일정 면적을 갖도록 연장된 확장면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확장면의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의 측면 외측과 상기 확장면의 상면 상측에 형성된 공간인 안착 스페이스를 구비한 메인 기판과,
상기 메인 기판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되, 상기 메인 기판보다 사이즈가 줄어들면서 상기 안착 스페이스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되 각각의 베이스가 상기 메인 기판의 베이스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복수개의 서브 기판과,
상면에 LED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기판 중 최종 안착된 서브 기판의 상기 안착 스페이스에 동일한 체적으로 끼움 결합된 것으로, 상기 메인 기판 및 상기 서브 기판의 베이스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기판 패널로 이루어진 투명 재질의 기판 어셈블리;
상기 메인 기판의 베이스 외측 면에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LED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A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A base having an L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 extension surfac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to a lower height than the base and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 main board having a seating space, which is a sp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surface,
A plurality of sub-board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ain board, the sub-boards being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seating space while being reduced in size than the main board, and each base being flush with the base of the main board;
And a substrate panel which is fitted in the same space as the seating space of the finally mounted sub-board among the plurality of sub-boards with the L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is flush with the bases of the main board and the sub-board A transparent substrate assembly;
And a driving uni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of the main substrate, the driving unit controlling driving of the LED.
상기 기판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기판의 베이스와 확장면을 가로질러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 및 전원 공급 범위를 연장하는 메인 라이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기판과 상기 서브 기판 및 상기 기판 패널은,
상기 메인 라이닝의 측면 일 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기판과 상기 서브 기판의 베이스 상면에 구비된 LED 및 상기 기판 패널의 상면에 구비된 LED 각각에 이르기 까지 수직으로 관통 연장되어 상기 메인 라이닝과 상기 LED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바이어 홀(via hol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assembly comprising:
Further comprising a main lining extending across a base and an enlarged surface of the main board and extending data and power supply ranges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driver,
Wherein the main substrate, the sub substrate,
Extending vertically from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lining to the LEDs provided on the main substr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ubstrate and the LED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anel,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lining and the LEDs electrically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via hol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to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상기 메인 기판의 베이스 외측 면에서 상기 구동부가 장착되는 영역에는,
상기 메인 라이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로 부터 데이터를 전달받는 데이터 전송단자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전원 제공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region on the outer side of the base of the main substrate on which the driving unit is mounted,
And a connector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 terminal for receiving data from the driving unit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lining and a power supply terminal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assembly.
상기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부의 외측 면에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LED의 구동을 보조하는 서브 구동부와,
상기 서브 구동부의 하방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메인기판의 저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으로 연장된 서브 확장면과,
상기 서브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확장면의 상면을 가로질러 연장된 서브 라이닝을 포함하는 확장 기판이 더 포함되고,
상기 확장 기판 및 상기 메인 기판은,
상기 서브 라이닝의 측면 일 측으로부터 메인 기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바이어 홀에 이르기 까지 수직으로 관통 연장되어 상기 서브 라이닝과 상기 LED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서브 바이어 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서브 라이닝이, 저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메인 라이닝과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하나의 라이닝으로 보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D display assembly includes:
A sub driver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unit to assist in driving the LED,
A sub-expansion surface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sub-driver and extending to an area covering the bottom of the main board and the driver,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substrate including a sub-lining extending across an upper surface of the sub-expansion surface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sub-driver,
Wherein the extension board
And a plurality of sub-via holes extending vertically through a plurality of via holes formed in the main substrate from one side of the sub-lining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ub-lining and the LED,
Wherein the sublining is formed to be co-located with the main lining and viewed as a lining when viewed from the bottom.
상기 서브 확장면의 상면에는,
상기 서브 라이닝이 형성된 좌우 측면에서 일정 간격마다 분기되어 함입 연장된 복수개의 완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 The method of claim 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uffer grooves extending and extend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b-lining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완충홈은,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홈의 내주면을 따라 코팅되는 정전기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 The method of claim 5,
The buffering groove
Further comprising an antistatic layer formed of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and coa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groove.
상기 메인 기판은,
상기 메인 라이닝이 상기 LED가 구비된 상면의 대향 측인 배면에 적층 형성되되,
상기 메인 기판의 배면에서,
상기 메인 기판의 둘레영역과, 상기 메인 라이닝이 형성된 영역 및 주변영역 과 상기 바이어 홀이 형성된 영역 및 주변영역을 모두 제외한 영역을 천공한 중공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ard includes:
Wherein the main lining is laminated on a rear surface opposite to an upper surface of the L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substrate,
Wherein a hollow portion is formed by perforating a region excluding both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main substrate, the region where the main lining is formed, the peripheral region, and the region where the via hole is formed and the peripheral region. .
상기 중공부는,
상기 메인 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개구 면적이 대향측 면인 상면에 형성된 개구 면적보다 작은 하협상광(下狹上廣)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llow portion
Wherein the main substrate has a lower-overhang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area formed in a rear surface of the main substrate is smaller than an opening area formed in an upper surface as an opposite side surface.
어느 하나의 베이스와 다른 하나의 베이스 사이의 경계면은,
어느 하나의 베이스에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 1 경사면이 포함되고,
다른 하나의 베이스에 상기 제 1 경사면과 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 2 경사면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between any one base and the other base,
The first base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which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other base so as to be inclined to abut the first inclined surface.
어느 하나의 베이스와 다른 하나의 베이스 사이의 경계면은,
어느 하나의 베이스에,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 1 경사면이 포함되고,
다른 하나의 베이스에, 상기 어느 하나의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경사면과 대칭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 2 경사면이 더 포함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베이스와 상기 다른 하나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제 1 경사면 및 상기 제 2 경사면과 각각 밀착된 경사면을 구비한 상태에서 각 경사면의 단부를 잇는 바닥면을 통해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충진면이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이 형성하는 공간을 메우도록 연장된 충진블록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between any one base and the other base,
Wherein one of the bases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other base so as to be inclin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with reference to a virtual boundary line extending vertically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Between any one of the bases and the other base,
Wherein a triangular-shaped filling surface formed through a bottom surface connecting each end of each inclined surface with a sloped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forms a space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ongated fill block to fill.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 1 경사면 및 상기 제 2 경사면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내부 영역을 형성한 베이스 중공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bas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base hollow portion defining an interior region adjacent to either the first inclined surface or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t the base.
어느 하나의 확장면과 다른 하나의 확장면 사이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 투명재질의 접착제가 주입되어 상기 확장면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any one extension face and the other extension face,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parent adhesive containing 2-ethylhexyl acrylate is injected to secure the expansion surface.
상기 접착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증류수 35 내지 40 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5 내지 1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 내지 5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5 내지 20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릭애씨드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프리에멀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리에멀전의 중량 대비 0.01 내지 0.1 중량부의 반응개시제를 투입하여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producing the adhesive may comprise:
35 to 4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nonionic surfactant, 30 to 5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5 to 20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20 to 30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Mixing 5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pre-emulsion to prepare a pre-emulsion;
And adding 0.01 to 0.1 part by weight of a reaction initiator based on the weight of the pre-emulsion to prepare an acrylic polym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7284A KR101811556B1 (en) | 2017-07-31 | 2017-07-31 | Extenda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7284A KR101811556B1 (en) | 2017-07-31 | 2017-07-31 | Extenda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1556B1 true KR101811556B1 (en) | 2017-12-20 |
Family
ID=6093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7284A Expired - Fee Related KR101811556B1 (en) | 2017-07-31 | 2017-07-31 | Extenda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155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2345B1 (en) * | 2020-03-12 | 2020-10-30 | 박동순 | Display assembly with led display device with drive in inner area of pcb |
CN115411032A (en) * | 2022-11-02 | 2022-11-29 | 季华实验室 | CMOS integrated circuit substr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2950Y1 (en) | 2011-05-11 | 2012-10-11 | (주)한국엘이디 | Hinge Connecting Structure of LED Display Device |
KR101505374B1 (en) | 2014-09-02 | 2015-03-30 | 안광진 | LED module assembly |
-
2017
- 2017-07-31 KR KR1020170097284A patent/KR10181155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2950Y1 (en) | 2011-05-11 | 2012-10-11 | (주)한국엘이디 | Hinge Connecting Structure of LED Display Device |
KR101505374B1 (en) | 2014-09-02 | 2015-03-30 | 안광진 | LED module assembly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2345B1 (en) * | 2020-03-12 | 2020-10-30 | 박동순 | Display assembly with led display device with drive in inner area of pcb |
CN115411032A (en) * | 2022-11-02 | 2022-11-29 | 季华实验室 | CMOS integrated circuit substr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59731B2 (en) | LED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8511879B2 (en) |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104534349B (en) | Back light unit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back light unit | |
US7156548B2 (en) | Light guide plate with v-shaped grooves and backlight module incorporating same | |
KR101239135B1 (en) | Light emitting module, light emitting module unit and backlight system | |
JP6472634B2 (en) |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CN111208673A (en) |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panel | |
KR101366535B1 (en) | Backlight assembly, display module having the backligh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ceiving container receiving the backlight assembly | |
KR101811556B1 (en) | Extendable Transparent LED Display Assembly | |
CN105372878A (en) | Quantum dot luminescent devic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 |
JPWO2009038072A1 (en) |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 |
CN108022520A (en) | Display device | |
EP3255624A1 (en) | Display device | |
EP2085955A1 (en) | Display panel and large-area display system | |
EP3660585B1 (en) | Flexible display panel and device | |
US9898975B2 (en) | Display device | |
US20190034011A1 (en) | Flexible display panel and device | |
KR20090108461A (en) | Light source module, light source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 |
JP2011096631A (en)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 |
CN110082958A (en) | A kind of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 |
CN104220925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 |
US11353744B2 (en) |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 |
KR102455728B1 (en) | Circuit board modul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CN106597736A (en) |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group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090055410A (en) | LCD Dis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8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