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1247B1 -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247B1
KR101811247B1 KR1020150122006A KR20150122006A KR101811247B1 KR 101811247 B1 KR101811247 B1 KR 101811247B1 KR 1020150122006 A KR1020150122006 A KR 1020150122006A KR 20150122006 A KR20150122006 A KR 20150122006A KR 101811247 B1 KR101811247 B1 KR 10181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ceiving
tube
accommodating
upp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827A (ko
Inventor
김태규
우창수
임재흥
최승출
강태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단데리온 바이오 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단데리온 바이오 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단데리온 바이오 팜
Priority to KR102015012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2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2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provided with a preformed weakened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provided with a preformed weakened line
    • B65D51/28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provided with a preformed weakened line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이종물질들을 좀더 쉽고 간편하게 격리 수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격리 수용된 이종물질들을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좀더 쉽고 간편하게 혼합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CONTAINER LID FOR MIXING DIFFERENT KIND MATERIAL}
본 발명은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 내에 담긴 내용물과 서로 다른 이종물질을 용기 마개 내에 격리 수용하여 필요에 따라 용기내 내용물과 좀더 쉽고 간편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용기 마개는 내용물을 수납하는 용기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사용되는 뚜껑이나 캡(Cap), 덮개, 코르크 등을 의미한다.
한편, 수중에 유통 및 판매되고 있는 용기는 대부분 하나의 용기에 하나의 물질만이 저장된 상태로 유통되고 있으나, 전체 산업분야에 걸쳐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일례로, 기능성 음료, 의약품 또는 화장품들 중에서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혼합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좀 더 새로운 특성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들은 함께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특성을 발휘함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용기에 두 종류의 내용물을 함께 혼합 보관하는 경우 성분의 차이로 인한 변질우려 및 장시간 보관의 곤란성에 의해 부득이 별도의 용기에 각각 담겨져 제조 판매되고, 또한 사용자들은 이들 용기들을 각각 구매하여 필요시 각각의 내용물을 하나의 용기에 별도로 담아 혼합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각각의 용기를 별도로 제조, 판매, 구입 및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용기 내에 담긴 내용물과 서로 다른 이종물질을 격리 수용하여 필요에 따라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 마개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이종물질의 혼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 마개의 경우 대부분 작동 및 결합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게 되고, 액상, 분말상, 과립상 또는 알약과 같이 정제 성형된 이종물질들을 자유롭게 격리 수용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아니라 격리 수용된 이종물질들의 형상에 따라 용기에 수납된 내용물에 혼합하도록 하는 구성이 복잡하고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추가적인 단점들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9443호(등록일자 2006년05월08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6714호(등록일자 2002년02월20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5406호(등록일자 2005년05월20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2081011호(공개일자 2003년10월17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이종물질들을 좀더 쉽고 간편하게 격리 수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격리 수용된 이종물질들을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좀더 쉽고 간편하게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용물이 채워진 용기의 주둥이 부분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내용물과 서로 다른 이종물질을 혼합 가능하게 격리 수용하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마개는 상기 용기의 주둥이에 체결 고정되는 용기 체결부 상측의 외주면 일부를 절개시켜 상측 내부 격리 수용 공간이 개방되게 개방 절개부가 형성되는 마개 본체; 상기 마개 본체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용기 체결부와 상기 개방 절개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 하부에 연장 결합되어 상기 이종물질을 수납하기 위한 하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수용 고정관; 상기 마개 본체의 상기 고정 돌기 상부에 연장 결합되어 상기 하부 수용부의 하부 수용 공간에 연통되며 상부 수용 공간이 형성하되, 체적 변화를 통해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판부를 파열시켜 개방하도록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 수용 주름관; 및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의 상판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종물질 주입을 위해 상기 상판부에 관통 형성된 상부 주입공을 닫아 폐쇄하는 상부 밀폐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밀폐 부재는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의 상판부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 주입공을 밀폐시키는상부 부착 실링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밀폐 부재는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의 상판부에 형성된 상기 주입공에 끼워져 밀폐 결합되게 체결 돌기가 하면에 연장 형성된 덮개판으로 이루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판은 상기 체결 돌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판부를 밀어 개방시키도록 덮개 연장바가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은 상기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판부를 밀어 개방시키도록 제1 상판 연장바가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종물질은 액상, 겔,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은 내용물이 채워진 용기의 주둥이 부분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내용물과 서로 다른 이종물질을 혼합 가능하게 격리 수용하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마개는 상기 용기의 주둥이에 체결 고정되는 용기 체결부 상측에 외주면 일부를 절개시켜 상측 내부 격리 수용 공간이 개방되게 개방 절개부가 형성되는 마개 본체; 상기 마개 본체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용기 체결부와 상기 개방 절개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 하부에 연장 결합되어 상기 이종물질을 수납하기 위한 하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수용 고정관;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측 개방부를 통해 상기 이종물질을 삽입 후 상기하측 개방부를 닫아 폐쇄하는 하부 밀폐 부재; 및 상기 마개 본체의 상기 고정 돌기 상부에 연장 결합되어 상기 하부 수용부의 하부 수용 공간에 연통되며 상부 수용 공간이 형성하되, 체적 변화를 통해 상기 하부 밀폐 부재에 의해 폐쇄된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상기 하측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 수용 주름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밀폐 부재는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의 상기 하측 개방부를 닫아 폐쇄하는 부착되는 하부 부착 실링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종물질은 액상, 겔, 분말, 과립 또는 정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종물질은 정제 성형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에는 상기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에 내에 수용된 상기 정제 성형 이종물질을 밀어 상기 하측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제2 상판 연장바가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종물질은 액상, 겔,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에는 상기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부착 실링지를 관통하며 파열시켜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상기 하측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제3 상판 연장바가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이종물질들을 좀더 쉽고 간편하게 격리 수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격리 수용된 이종물질들을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좀더 쉽고 간편하게 혼합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가 적용된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사용한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 마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의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가 적용된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사용한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용기 마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100)는 내용물이 담긴 용기(1)의 주둥이 부분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됨과 아울러 용기(1)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10)과 서로 다른 이종물질(50)을 필요시 혼합할 수 있도록 격리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용기(1)는 내용물(10)을 담아 보관하도록 자체 제작된 내용물 저장 용기를 포함하여, 생수병과 같이 기 제작되어 유통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용기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용기(1)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물질 상태는 후술하는 이종물질의 혼합이 가능하도록 액체 상태, 겔 상태, 분말 상태, 과립 상태 또는 알약 모양으로 정제 성형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마개(100) 내에 격리 수용된 이종물질(50)은 상기한 내용물(10)과 혼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액체 상태, 겔 상태, 분말 상태, 과립 상태 또는 알약 모양으로 정제 성형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10)과 이에 혼합되는 이종물질(50)은 서로 혼합하여 새로운 특성을 발휘함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용기(1)에 두 종류의 내용물을 함께 혼합 보관하는 경우 성분의 차이로 인한 변질우려 및 장시간 보관의 곤란성에 의해 부득이 별도로 격리 수용되어 하는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100)는 마개 본체(110), 하부 수용 고정관(120), 상부 수용 주름관(130) 및 상부 밀폐 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마개 본체(110)는 상기 용기(1)의 주둥이에 체결되는 용기 체결부(111)와 상기 용기 체결부(111) 상측의 외주면 일부를 절개시켜 상부 수용 주름관(130)이 수납되는 상측 내부 격리 수용 공간이 개방되게 개방 절개부(11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용기 체결부(111)의 내주면 상에는 용기(1)의 주둥이 외주면과 나사 결합되며 체결되게 나사선(112)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1)와 용기 마개(100)가 나사 결합 이외에도 이들 체결부를 통해 용기(1)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밀폐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한 다양한 체결 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개방 절개부(113)는 마개 본체(1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절개 가이드 선을 형성하여 상부 수용 주름관(130)이 수납 설치되는 상측 내부 격리 수용 공간의 측부를 좀더 쉽고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수용 고정관(120)은 상기 마개 본체(110)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용기 체결부(111)와 상기 개방 절개부(113) 사이에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115) 하부에 연장 결합되어 상기 이종물질을 수납하기 위한 하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부 수용 주름관(130)은 마개 본체(110)의 고정 돌기(115) 상부에 연장 결합되어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부 수용 공간에 연통되며 상부 수용 공간이 형성하되, 체적 변화를 통해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판부(121)를 파열시켜 격리 수용된 이종물질이 용기내 채워진 내용물에 혼합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판부(121)는 상기한 상부 수용 주름관(130)을 눌러 가압시 내부 공기압 또는 내부에 채워진 이종물질에 의해 전달되는 가압력 의해 파열되며,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을 개방하도록 두께가 얇게 형성함과 아울러 가장자리를 따라 절개 가이드 홈(12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밀폐 부재(140)는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에 결합되어 상기 이종물질(50) 주입을 위해 상기 상판부(131)에 관통 형성된 상부 주입공(135)을 닫아 폐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밀폐 부재(140)는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 주입공(135)을 폐쇄하는 상부 부착 실링지(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용기 마개(100)의 상부 수용 공간 또는 하부 수용 공간 내부에 채워져 격리 수용되는 이종물질의 물질 상태는 상기 상부 주입공(135)을 통해 채워질 수 있도록 액체 상태, 겔 상태, 분말 상태 또는 과립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10)를 이용해 이종물질의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첨부한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의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100)에 이종물질을 격리 수용하는 과정은 먼저,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에 형성된 상부 주입공(135)을 통해 이종물질을 주입한 후, 상부 부착 실링지(140)를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 상면에 부착하여, 상기 상부 부착 실링지(140)을 이용해 상부 주입공(135)을 밀폐시키도록 한다.
상기 용기 마개(100)는 상부 수용 주름관(130) 내부에 형성된 상부 수용 공간 및 하부 수용 고정관(120) 내부에 형성된 하부 수용 공간 내부에 이종물질(50)이 채워진 상태로 마개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용기 체결부(111)를 이용해 내용물(10)이 채워진 용기(1)의 주둥이 부분에 나사 체결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도 4의 (d) 및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100) 내부에 격리 수용된 이종물질(50)을 용기(1)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10)에 혼합하는 과정은 먼저, 마개 본체(110)의 개방 절개부(113)를 분리하여 상부 수용 주름관(130)이 형성된 상측 내부 격리 수용 공간의 측벽 일부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부 부착 실링지(140)가 부착된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를 눌러 상부 수용 주름관(130) 및 하부 수용 주름관(120) 내부에 채워진 내부 공기 및 이종물질(50)을 통해 전달된 가압력에 의해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단부를 막고 있던 하판부(121)를 파열시켜 용기 마개(100) 내부에 격리 수용된 이종물질이 용기 내부로 흘러 들어가 내용물과 혼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00)는 다양한 형태의 이종물질들을 좀더 쉽고 간편하게 격리 수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격리 수용된 이종물질들을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좀더 쉽고 간편하게 혼합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를 첨부한 도 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반복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기 상판부(131) 내측 하면에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판부(121)를 밀어 개방시키도록 제1 상판 연장바(230)가 더 연장 형성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여기서, 제1 상판 연장바(230)는 상부 주입공(135)이 형성된 상판부(13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연장 형성되고, 하측 단부에는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판부(121)를 밀어 개방시키기 용이하도록 받침판(2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200)를 통한 이종물질 수납 과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도 5의 (d) 내지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종물질 혼합 과정에서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를 눌러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단부를 막고 있던 하판부(121)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제1 상판 연장바(230)를 통해 좀더 쉽고 정확하게 가압력을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판부(121)에 전달하여 이를 분리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3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에 형성된 상부 주입공(131)을 닫아 폐쇄하는 상부 밀폐 부재가 상기 상부 주입공(131)에 끼워져 밀폐 결합되게 체결 돌기(341)가 하면에 연장 형성된 덮개판(34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300)에 이종물질(50)을 격리 수용하는 과정에서,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에 형성된 상부 주입공(135)을 통해 이종물질(50)을 주입 한 후, 상기 상부 주입공(135)을 막아 밀폐시키도록 덮개판(340)의 체결 돌기(341)를 끼워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덮개판(340)의 체결 돌기(341) 하단부에는 상부 주입공(135) 내에 끼워져 압착 결합되며 상부 주입공(135)을 통해 외부 공기 유입이나 격리 수용된 내부 이종물질(50)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막아 밀폐시킴은 물론 체결 돌기(341)의 연장 단부에는 걸림턱(342)이 형성되어 상부 주입공(135) 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덮개판(34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연결 고리(345)를 통해 여닫이 형태로 상부 수용 주름관(130)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한 덮개판(340)의 체결 과정이 좀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4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실시예의 제1 상판 연장바(230)과 제3 실시예의 덮개판(340)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400)를 통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단계에서 이종물질(50)을 채운 후 덮개판(340)을 이용해 좀더 쉽고 간편하게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에 형성된 상부 주입공(135)을 막아 밀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용기 마개(400)를 통한 이종물질 혼합 단계에서 상부 수용 주름관(130) 상판부(131)를 눌러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단부를 막고 있던 하판부(121)를 개방시 제1 상판 연장바(230)를 통해 좀더 쉽고 정확하게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500)는,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에 형성된 상부 주입공(135))을 막아 밀폐 고정하는 덮개판(540)이 체결 돌기(341)에 형성된 걸림턱(342) 하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판부(121)를 밀어 개방시키도록 덮개 연장바(541)가 연장 형성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여기서, 덮개 연장부(541)의 하측 단부에는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판부(121)를 관통하며 파열시킬 수 있도록 쐐기 형태의 관통 돌기(54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500)를 통한 이종물질(50) 격리 수용 단계에서 이종물질(50)을 채운 후 덮개판(540)을 이용해 좀더 쉽고 간편하게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에 형성된 상부 주입공(132)을 막아 밀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되, 용기 마개(500)를 통한 이종물질 혼합 단계에서 상부 수용 주름관(130) 상판부(131)를 눌러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단부를 막고 있던 하판부(121)를 개방시 상기 덮개 연장바(541)를 통해 가압력을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판부(121)에 전달하여 분리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500)는 제1 실시예의 상부 부착 실링지(140)를 대신하여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덮개판(540)을 적용하여 이종물질 주입 후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에 형성된 상부 주입공(135)을 막아 밀폐하는 과정을 좀더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2 실시예의 제1 상판 연장부(230)를 대신하여 덮개판(540)의 체결 돌기(341) 하단에 연장 형성된 덮개 연장바(541) 통해 누름 가압력을 전달하여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판부(121)를 좀더 쉽고 빠르게 분리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600)는, 전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에 이종물질(50) 주입을 위한 상부 주입공(131)을 형성하는 대신에 하판부(121)에 의해 밀폐되었던 하부 수용 고정관(121)의 하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이를 통해 이종물질(50)의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그리고, 하부 수용 고정관(121)의 하단부를 통해 이종물질(50)을 주입한 후에는 하부 밀폐 부재(150)를 이용해 개방된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단부를 막아 폐쇄하도록 한다.
여기서, 하부 밀폐 부재(150)는 하부 부착 실링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며, 하부 부착 실링지(150)는 전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서 개시하고 있는 상부 밀폐 부재(14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용기 마개(600)의 상부 수용 주름관(130) 내부의 상부 수용 공간 및 하부 수용 고정관(120) 내부의 하부 수용 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이종물질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액상, 분말 또는 과립 형태뿐만 아니라 알약 형태로 정제 성형된 것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알약 형태로 정제 성형된 이종물질(50)의 경우 용기(1) 내부로 삽입하여 내용물과 혼합하는 과정에서 이종물질(50)이 제대로 삽입되지 않고 걸려 간섭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수용 고정관(120)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 수용 공간 내에서만 별도로 격리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600)를 이용한 이종물질(50) 격리 수용 단계에서는, 용기 마개(600)를 뒤집어 놓은 상태로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개방 하단부를 통해 알약 형태로 정제 성형된 발포제를 삽입한 후, 하부 부착 실링지(150)를 이용해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개방 하단부를 막아 밀폐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용기 마개(600) 내부에 상기 발포제가 격리 수용된 상태로 용기 마개(600)를 용기 주둥이 부분에 나사 결합하여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도 14의 (d) 및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600) 내부에 격리 수용된 이종물질(50)의 혼합 과정에서는, 마개 본체(110)의 개방 절개부(113)를 분리하여 상부 수용 주름관(130)이 형성된 상측 내부 격리 수용 공간의 측부를 개방한 후,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를 눌러 상부 수용 주름관(130) 및 하부 수용 고정관(120) 내부에 채워진 내부 공기를 통해 압력이 전달되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단부를 막아 밀폐하도록 부착된 하부 부착 실링지(150)를 뜯어 내어 내부에 격리 수용된 발포제(50)가 용기(1) 내부로 투입되어 액상의 내용물 (10)중에 발포 용해되며 혼합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600)의 상부 수용 주름관(130) 및/또는 하부 수용 고정관(120) 내부에 알약 형태로 정제 성형된 발포제 이외에도 액상, 겔, 분말 또는 과립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이종물질들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 및 도 1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700)는, 전술한 제6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판부(131) 내측 하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에 내에 수용된 정제 성형된 이종물질(50)을 밀어 하부 부착 실링지(150)에 의해 밀폐된 하부 수용 고정관(120) 상기 하측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제2 상판 연장바(730)가 연장 형성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여기서, 제2 상판 연장부(730)의 하측 단부에는 제2 실시예의 제1 상판 연장바(230)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판부(121)를 밀어 개방시키기 용이하도록 받침판(7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700)는, 도 16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종물질(50) 격리 수용 과정에서 전술한 제6 실시예와 동일 과정을 통해 알약 형태의 발포제를 삽입한 후, 하부 부착 실링지(150)를 이용해 하부 수용 고정관의 개방 하단부를 막아 밀폐시키도록 하되, 도 15의 (d) 및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종물질 혼합 과정에서 제2 상판 연장바(730)를 통해 하부 수용 고정관(120) 내에 격리 수용된 정제 성형 발포제(50)를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이 하측 개방부를 통해 내용물 속으로 밀어 넣어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용기 마개를 이용한 이종물질 격리 수용 및 혼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용기 마개(800)는, 전술한 제7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판부(131)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부착 실링지(150)를 직접 관통하며 파열시켜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상기 하측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제3 상판 연장바(830)가 형성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한편, 제3 상판 연장바(830)의 하측 단부에는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판부(121)를 좀더 쉽게 관통하며 파열시킬 수 있도록 쇄기 형태의 관통 돌기(83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마개(800)의 상부 수용 주름관(130) 및 하부 수용 고정관(120) 내부의 격리 수용 공간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이종물질(50)은 액상, 겔,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8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 마개(800) 내부에 전술한 이종물질(50)을 격리 수용하는 과정은 이종물질의 전술한 제6 실시예와 동일하나, 도 18의 (d)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종물질(50)의 종류가 액상, 겔,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제한되어 적용됨에 따라 제3 상판 연장바(830)가 상기 하부 부착 실링지(150)를 직접 관통하며 파열시켜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120)의 하측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용기 마개(100 내지 800)는 액상, 겔상, 분말상, 과립상 또는 정제 성형형태의 이종물질들을 좀더 쉽고 간편하게 격리 수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격리 수용된 이종물질(50)들을 상부 수용 주름관(130)의 상부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좀더 쉽고 간편하게 혼합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용기 10: 내용물
50: 이종물질 100~800: 용기 마개
110: 마개 본체 111: 용기 체결부
112: 나사산 113: 개방 절개부
115: 고정 돌기 120: 하부 수용 고정관
121: 하판부 130: 상부 수용 주름관
131: 상판부 135: 상부 주입공
140: 상부 밀폐 부재(상부 부착 실링지)
150: 하부 밀폐 부재(하부 부착 실링지)
230: 제1 상판 연장바 231: 받침대
340: 덮개판 341: 체결 돌기
342: 걸림턱 541: 덮개 연장바
542: 관통 돌기 730: 제2 상판 연장바
731: 받침판 830: 제3 상판 연장바
831: 관통 돌기

Claims (11)

  1. 내용물이 채워진 용기의 주둥이 부분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내용물과 서로 다른 이종물질을 혼합 가능하게 격리 수용하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마개는,
    상기 용기의 주둥이에 체결 고정되는 용기 체결부 상측의 외주면 일부를 절개시켜 상측 내부 격리 수용 공간이 개방되게 개방 절개부가 형성되는 마개 본체;
    상기 마개 본체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용기 체결부와 상기 개방 절개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 하부에 연장 결합되며 상기 용기의 주둥이 내부에 상기 이종물질을 수납하기 위한 하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수용 고정관;
    상기 마개 본체의 상기 고정 돌기 상부에 연장 결합되며 상기 상측 내부 격리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부 수용 공간에 연통되게 상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되, 체적 변화를 통해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판부를 파열시켜 개방하도록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 수용 주름관; 및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의 상판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종물질 주입을 위해 상기 상판부에 관통 형성된 상부 주입공을 닫아 폐쇄하는 상부 밀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밀폐 부재는,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의 상판부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 주입공을 밀폐시키는상부 부착 실링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은,
    상기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판부를 밀어 개방시키도록 제1 상판 연장바가 연장 형성되는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2. 삭제
  3. 내용물이 채워진 용기의 주둥이 부분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내용물과 서로 다른 이종물질을 혼합 가능하게 격리 수용하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마개는,
    상기 용기의 주둥이에 체결 고정되는 용기 체결부 상측의 외주면 일부를 절개시켜 상측 내부 격리 수용 공간이 개방되게 개방 절개부가 형성되는 마개 본체;
    상기 마개 본체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용기 체결부와 상기 개방 절개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 하부에 연장 결합되며 상기 용기의 주둥이 내부에 상기 이종물질을 수납하기 위한 하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수용 고정관;
    상기 마개 본체의 상기 고정 돌기 상부에 연장 결합되며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부 수용 공간에 연통되게 상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되, 체적 변화를 통해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판부를 파열시켜 개방하도록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 수용 주름관; 및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의 상판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종물질 주입을 위해 상기 상판부에 관통 형성된 상부 주입공을 닫아 폐쇄하는 상부 밀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밀폐 부재는,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의 상판부에 형성된 상기 상부 주입공에 끼워져 밀폐 결합되게 체결 돌기가 하면에 연장 형성된 덮개판으로 이루어지는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4. 제3항에서,
    상기 덮개판은,
    상기 체결 돌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판부를 밀어 개방시키도록 덮개 연장바가 연장 형성되는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5. 제3항에서,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은,
    상기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판부를 밀어 개방시키도록 제1 상판 연장바가 연장 형성되는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6.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이종물질은 액상, 겔,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7. 내용물이 채워진 용기의 주둥이 부분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내용물과 서로 다른 이종물질을 혼합 가능하게 격리 수용하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용기 마개는,
    상기 용기의 주둥이에 체결 고정되는 용기 체결부 상측에 외주면 일부를 절개시켜 상측 내부 격리 수용 공간이 개방되게 개방 절개부가 형성되는 마개 본체;
    상기 마개 본체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용기 체결부와 상기 개방 절개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 하부에 연장 결합되며 상기 용기의 주둥이 내부에 상기 이종물질을 수납하기 위한 하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수용 고정관;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측 개방부를 통해 상기 이종물질을 삽입 후 상기하측 개방부를 닫아 폐쇄하는 하부 밀폐 부재; 및
    상기 마개 본체의 상기 고정 돌기 상부에 연장 결합되며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하부 수용 공간에 연통되며 상부 수용 공간이 형성하되, 체적 변화를 통해 상기 하부 밀폐 부재에 의해 폐쇄된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의 상기 하측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 수용 주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밀폐 부재는,
    상기 하부 수용 주름관의 상기 하측 개방부를 닫아 폐쇄하는 부착되는 하부 부착 실링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종물질은 정제 성형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수용 주름관에는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수용 고정관에 내에 수용된 상기 정제 성형 이종물질을 밀어 상기 하측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제2 상판 연장바가 연장 형성되는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22006A 2015-08-28 2015-08-28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Active KR101811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006A KR101811247B1 (ko) 2015-08-28 2015-08-28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006A KR101811247B1 (ko) 2015-08-28 2015-08-28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827A KR20170026827A (ko) 2017-03-09
KR101811247B1 true KR101811247B1 (ko) 2017-12-27

Family

ID=5840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006A Active KR101811247B1 (ko) 2015-08-28 2015-08-28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825B1 (ko) * 2018-04-11 2019-08-02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용수 포장팩 전용 텀블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73Y1 (ko) * 2017-11-21 2018-12-11 송선혜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0702B2 (ja) * 2006-12-22 2012-05-16 東洋製罐株式会社 内容物添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714Y1 (ko) 2001-12-03 2002-03-06 조지원 성분이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포장용 용기
KR100579443B1 (ko) 2004-04-19 2006-05-16 조영국 용기 마개
KR200385406Y1 (ko) 2005-03-08 2005-05-27 한사도 음료용기의 마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0702B2 (ja) * 2006-12-22 2012-05-16 東洋製罐株式会社 内容物添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825B1 (ko) * 2018-04-11 2019-08-02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용수 포장팩 전용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827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20761B1 (ru) Крышка-контейнер для автономного хранения и смешива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US8887905B2 (en) Plastic closure having a capsule for dispensing active ingredients
RU2329926C2 (ru) Многосекционная контейнерная система
KR100593246B1 (ko) 용기
RU2420442C2 (ru) Разливные крышки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предназначенных для напитков
US9193517B2 (en) Bottle for extemporaneous preparation products, particularly medical, pharmaceutical, cosmetic products
KR20010020113A (ko) 이중성분용기
JP2002059933A (ja) 分離収納容器
JP2011016588A (ja) 飲料の注入方法
JP2017520489A (ja) 万能ボトルキャップ
KR101811247B1 (ko)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JP5009988B2 (ja) 多成分容器のためのインサート
RU2660067C2 (ru) Дозирующая крышка
KR20160012490A (ko) 이종물질 혼합용기
KR20190114661A (ko)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KR102619274B1 (ko) 음료 용기용 마개 조립체
KR200350969Y1 (ko) 수납공간을갖는병마개
KR200371205Y1 (ko) 이중격실 용기
KR200479110Y1 (ko) 혼합용 뚜껑조립체
KR102017235B1 (ko) 스크류 타입 이종물질 혼합기
JP5154172B2 (ja) 二剤混合容器
KR101752364B1 (ko) 용기 캡 구조체
KR20220135302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CN119284355B (zh) 一种可固定于容器颈部的容器封闭装置及其包装容器和构件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1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