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09518B1 - 커튼월 창호구조 - Google Patents

커튼월 창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518B1
KR101809518B1 KR1020170023060A KR20170023060A KR101809518B1 KR 101809518 B1 KR101809518 B1 KR 101809518B1 KR 1020170023060 A KR1020170023060 A KR 1020170023060A KR 20170023060 A KR20170023060 A KR 20170023060A KR 101809518 B1 KR101809518 B1 KR 101809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at insulating
front sid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택
강진수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Priority to KR1020170023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5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월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단열부가 상기 단열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의 하중에 의해 가라앉지 않도록 상기 유리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튼월 창호구조{Curtain wall window structure}
본 발명은 단열부가 상기 단열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의 하중에 의해 가라앉지 않도록 상기 유리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커튼월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생활환경의 고급화와 문화생활의 향상으로 인해, 최근에는 방음과 단열설비 등에서 활용되고 있는 3중 유리창호가 주문 생산에 의해 고층빌딩 및 고지대주택, 차도와 인접한 개인주택 및 상점 등에 이르기까지 소음에서 벗어나 좀더 안락한 분위기를 추구하려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전측프레임과 후측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를 통해 실외의 차가운 외기가 상기 전측프레임과 후측프레임 사이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단열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측프레임과 후측프레임 사이에 상기 단열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단열고정창호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19659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19659호의 경우, 상기 단열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가 상기 단열부로 가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단열부가 상기 유리부의 하부방향으로 가라앉아 상기 유리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1965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단열부가 상기 단열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의 하중에 의해 가라앉지 않도록 상기 유리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커튼월 창호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측프레임 및 후측프레임과, 상기 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도록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에 연결되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측프레임의 전측과 상기 전측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중 어느 한 부위에 지지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부의 내부 후측 또는 상기 단열부의 내부 전측 중 어느 한 부위에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구조를 제공한다.
또는, 본 발명은 전측프레임 및 후측프레임과, 상기 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도록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에 연결되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측프레임의 전측과 상기 전측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각각 지지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부의 내부 후측과 상기 단열부의 내부 전측에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는 전측단열판 및 후측단열판과; 상기 전측단열판의 상부 및 상기 후측단열판의 상부와 상기 전측단열판의 하부 및 상기 후측단열판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에 연결되는 상부단열판 및 하부단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부의 전측단열판 또는 상기 후측단열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단열부는 전측단열판 및 후측단열판과; 상기 전측단열판의 상부 및 상기 후측단열판의 상부와 상기 전측단열판의 하부 및 상기 후측단열판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프레임과 후측프레임에 연결되는 상부단열판 및 하부단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부의 전측단열판 및 상기 후측단열판에 각각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전측 내면 또는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후측 내면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전측 내면과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후측 내면에 각각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단차홈의 내면 후측에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 또는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단차홈의 내면 전측에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단차홈의 내면 후측에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 및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단차홈의 내면 전측에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는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프레임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 또는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는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프레임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는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프레임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고,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는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프레임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측프레임은 하부전측프레임과; 상기 하부전측프레임의 전측 상부에 하부가 끼움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부전측프레임의 전측 상부에 수직형성되는 전측판과, 상기 전측판의 상부에 전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부전측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후측에서 상기 상부판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되는 후측판과, 상기 하부전측프레임의 후측 상부에 하부가 끼움고정된 상태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판의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상부와 상기 전측판 사이에 수평형성되어 상기 경사판의 상부와 상기 전측판을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상부전측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단열부의 내부 후측 또는 내부 전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단열부의 내부 후측과 내부 전측 모두에 형성되는 지지부가 후측프레임 또는 전측프레임에 형성되거나 상기 후측프레임과 전측프레임 모두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사이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단열부가 상기 단열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의 하중에 의해 가라앉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상기 유리부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커튼월 창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실시예의 하부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실시예의 하부 커튼월창호부재의 하부전측프레임에서 상부전측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실시예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제 1실시예의 일측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제 1실시예의 일측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커튼월 창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커튼월 창호구조의 하부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제 3실시예의 일측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커튼월 창호구조의 하부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제 4실시예의 일측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제 1, 2실시예의 지지부가 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제 3실시예의 지지부가 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6은 제 4실시예의 지지부가 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커튼월 창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커튼월 창호구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 일측 커튼월창호부재(10c) 및 타측커튼월창호부재(10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는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는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를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커튼월창호부재(10c)는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일측과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의 일측사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커튼월창호부재(10d)는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타측과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의 타측 사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제 1실시예의 하부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실시예의 하부 커튼월창호부재의 하부전측프레임에서 상부전측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프레임(10) 및 후측프레임(20)과; 상기 전측프레임(10)과 상기 후측프레임(20) 사이에 구비되도록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프레임(10)과 상기 후측프레임(20)에 연결되는 단열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제 1실시예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1예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전측 중심부에는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40)이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30)의 내부 후측 중심부에는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40) 사이로 일체형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40)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단열부(30)와 동일한 재질의 지지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단열판(310), 후측단열판(320), 상부단열판(330) 및 하부단열판(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단열판(310)은 상기 전측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측단열판(320)은 상기 전측단열판(3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전측단열판(310)의 전측의 반대측은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단열판(330)은 상기 전측단열판(310)의 상부와 상기 후측단열판(320)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단열판(33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전측프레임(10)과 상기 후측프레임(20)에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단열판(340)은 상기 전측단열판(310)의 하부와 상기 후측단열판(32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단열판(34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전측프레임(10)과 상기 후측프레임(20)에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후측단열판(320)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40)의 전측 내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4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단차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홈(410)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40)과 상기 지지부(50) 사이에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존재할 수 있어 상기 단열부(30)의 단열효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40) 사이로 상기 지지부(50)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차홈(410)의 내면 후측에 경사면(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20)은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40)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40)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전측프레임(10)은 사각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전측프레임(110)과 상부전측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측프레임(110)의 상부에 상기 상부전측프레임(120)이 상기 하부전측프레임(110)의 상하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전측프레임(12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측판(121), 상부판(122), 후측판(123), 경사판(124) 및 연결판(1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121)의 하부가 상기 하부전측프레임(110)의 전측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된 상태로 상기 전측판(121)은 상기 하부전측프레임(110)의 전측 상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22)의 전측이 상기 전측판(121)의 상부에 일체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판(122)은 상기 하부전측프레임(1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123)은 상기 상부판(122)의 후측에서 상기 상부판(122)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124)의 하부가 상기 하부전측프레임(110)의 후측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된 상태로 상기 경사판(124)은 상기 경사판(124)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판(121)의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연결판(125)은 상기 경사판(124)의 상부와 상기 전측판(121)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경사판(124)의 상부와 상기 전측판(121)의 내면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는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와 동일하게 구성된 상태로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와 상하대칭을 이룰 수 있다.
도 5는 제 1실시예의 일측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제 1실시예의 일측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일측 커튼월창호부재(10c)와 상기 타측 커튼월창호부재(10d) 또한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와 동일하게 구성된 상태로 수직배치되되, 상기 일측 커튼월창호부재(10c)의 전측프레임(10)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후측판(123)과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의 후측판(123)은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와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 사이에 수직구비되는 유리부(3)의 전면 하측 및 전면 상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유리부(3)를 지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커튼월창호부재(10c)의 단열부(30)와 상기 타측 커튼월창호부재(10d)의 단열부(30) 사이에 상기 유리부(3)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커튼월창호부재(10c)와 상기 타측 커튼월창호부재(10d)에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와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를 연결고정시키기 위한 연결고정부(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고정부(60)는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 및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 커튼월창호부재(10c)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타측 커튼월창호부재(10d)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볼트고정 또는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 및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고정부(60)는 고정판(610)과 연장판(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610)은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 및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 커튼월창호부재(10c)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타측 커튼월창호부재(10d)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볼트고정 또는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 및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620)은 상기 고정판(610)은 상기 고정판(610)의 전측과 후측에서 각각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 및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 및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부 커튼월창호부재(10a)의 전측 내면과 후측 내면 및 상기 상부 커튼월창호부재(10b)의 전측 내면과 후측 내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커튼월 창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커튼월 창호구조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커튼월창호부재(10c)의 전측프레임(10)과 상기 타측 커튼월창호부재(10d)의 전측프레임(10) 또한 상기 하부전측프레임(110)과 상부전측프레임(120)으로 구성되어 좌우대칭되도록 각각 수직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커튼월창호부재(10c)의 후측판(123)과 상기 타측 커튼월창호부재(10d)의 후측판(123)은 상기 유리부(3)의 전면 일측 및 전면 타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유리부(3)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커튼월 창호구조의 하부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제 3실시예의 일측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커튼월 창호구조는 제 1, 2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40)이 사각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전측프레임(10)의 후측 중심부 또는 상기 전측프레임(10)의 하부전측프레임(110)의 후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단열부(30)의 내부 전측에 위치하도록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30)의 전측단열판(310)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프레임(10)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프레임(4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프레임(10)의 지지프레임(40)의 후측 내면에 상기 단차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프레임(10)의 지지프레임(40)의 단차홈(410)의 내면 전측에 상기 경사면(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20)은 상기 전측프레임(10)의 지지프레임(40)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프레임(10)의 지지프레임(40)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커튼월 창호구조의 하부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제 4실시예의 일측 커튼월창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커튼월 창호구조는 제 1, 2, 3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40)이 상기 전측프레임(10)과 상기 후측프레임(20) 모두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30)의 내부 전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50)는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30)의 전측단열판(310)과 후측단열판(320) 모두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프레임(10)과 상기 후측프레임(20) 모두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프레임(40) 사이로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40)의 전측 내면과 상기 전측프레임(10)의 지지프레임(40)의 후측 내면 모두에 각각 상기 단차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40)의 단차홈(410)의 내면 후측 및 상기 전측프레임(10)의 지지프레임(40)의 단차홈(410)의 내면 전측에 각각 상기 경사면(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열부(30)의 내부 후측 또는 내부 전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단열부(30)의 내부 후측과 내부 전측(30) 모두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50)가 상기 후측프레임(20) 또는 상기 전측프레임(10)에 형성되거나 상기 후측프레임(20)과 상기 전측프레임(10) 모두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프레임(40) 사이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단열부(30)가 상기 단열부(3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의 하중에 의해 가라앉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상기 유리부(3)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제 1, 2실시예의 지지부가 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40) 사이로 삽입되는 제 1, 2실시예의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40)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5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프레임(20)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 15는 제 3실시예의 지지부가 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프레임(10)의 지지프레임(40) 사이로 삽입되는 제 3실시예의 상기 지지부(50) 또한 상기 전측프레임(10)의 지지프레임(40)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5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프레임(10)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 16은 제 4실시예의 지지부가 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40) 사이로 삽입 및 상기 전측프레임(10)의 지지프레임(40) 사이로 삽입되는 제 4실시예의 상기 지지부(50) 또한 각각 하향경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50)가 하향경사짐에 따라 상기 유리부(3)의 하중에 대한 상기 지지부(50)의 저항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어 상기 단열부(30)가 상기 단열부(3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의 하중에 의해 가라앉는 것을 더욱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전측프레임, 20; 후측프레임,
30; 단열부, 40; 지지프레임,
50; 지지부.

Claims (11)

  1. 전측프레임 및 후측프레임과, 상기 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도록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에 연결되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측프레임의 전측과 상기 전측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중 어느 한 부위에 지지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부의 내부 후측 또는 상기 단열부의 내부 전측 중 어느 한 부위에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는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프레임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 또는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는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프레임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구조.
  2. 전측프레임 및 후측프레임과, 상기 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도록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에 연결되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측프레임의 전측과 상기 전측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각각 지지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부의 내부 후측과 상기 단열부의 내부 전측에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는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프레임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고,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는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프레임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전측단열판 및 후측단열판과;
    상기 전측단열판의 상부 및 상기 후측단열판의 상부와 상기 전측단열판의 하부 및 상기 후측단열판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에 연결되는 상부단열판 및 하부단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부의 전측단열판 또는 상기 후측단열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전측단열판 및 후측단열판과;
    상기 전측단열판의 상부 및 상기 후측단열판의 상부와 상기 전측단열판의 하부 및 상기 후측단열판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프레임과 후측프레임에 연결되는 상부단열판 및 하부단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부의 전측단열판 및 상기 후측단열판에 각각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전측 내면 또는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후측 내면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구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전측 내면과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후측 내면에 각각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구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단차홈의 내면 후측에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 또는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단차홈의 내면 전측에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구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단차홈의 내면 후측에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 및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단차홈의 내면 전측에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프레임의 지지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구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프레임은 하부전측프레임과;
    상기 하부전측프레임의 전측 상부에 하부가 끼움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부전측프레임의 전측 상부에 수직형성되는 전측판과, 상기 전측판의 상부에 전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부전측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후측에서 상기 상부판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되는 후측판과, 상기 하부전측프레임의 후측 상부에 하부가 끼움고정된 상태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판의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상부와 상기 전측판 사이에 수평형성되어 상기 경사판의 상부와 상기 전측판을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상부전측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구조.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023060A 2017-02-21 2017-02-21 커튼월 창호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809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060A KR101809518B1 (ko) 2017-02-21 2017-02-21 커튼월 창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060A KR101809518B1 (ko) 2017-02-21 2017-02-21 커튼월 창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518B1 true KR101809518B1 (ko) 2017-12-15

Family

ID=6095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0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9518B1 (ko) 2017-02-21 2017-02-21 커튼월 창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678A (ko) * 2018-04-03 2019-10-14 씨에이치씨윈도우 주식회사 개구부 일체형 커튼월 시스템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16919B1 (ko) 2019-03-27 2020-05-29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창호프레임의 단열성 향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45B1 (ko) * 2007-01-23 2007-10-08 해안 주식회사 페어그라스 및 창문의 고정구조
KR101305147B1 (ko) * 2013-05-28 2013-09-12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리브가스켓을 갖는 커튼월 어셈블리
KR101334229B1 (ko) 2013-08-20 2013-11-29 주식회사 선우시스 커튼월 유닛
KR101419659B1 (ko) * 2013-11-19 2014-07-15 원종진 단열고정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45B1 (ko) * 2007-01-23 2007-10-08 해안 주식회사 페어그라스 및 창문의 고정구조
KR101305147B1 (ko) * 2013-05-28 2013-09-12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리브가스켓을 갖는 커튼월 어셈블리
KR101334229B1 (ko) 2013-08-20 2013-11-29 주식회사 선우시스 커튼월 유닛
KR101419659B1 (ko) * 2013-11-19 2014-07-15 원종진 단열고정창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678A (ko) * 2018-04-03 2019-10-14 씨에이치씨윈도우 주식회사 개구부 일체형 커튼월 시스템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63967B1 (ko) * 2018-04-03 2020-01-08 씨에이치씨윈도우 주식회사 개구부 일체형 커튼월 시스템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16919B1 (ko) 2019-03-27 2020-05-29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창호프레임의 단열성 향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83923S1 (en) Ceiling fan
USD576265S1 (en) Combined ceiling fan and light
ES2459919T3 (es) Revestimiento de pared
KR101809518B1 (ko) 커튼월 창호구조
KR102296504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구조
KR200468255Y1 (ko)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WO2005113910A3 (fr) Dispositif de maintien d'un faux plafond ou faux plancher
KR101419659B1 (ko) 단열고정창호
KR20160015614A (ko) 조립식 간이건축물
KR101443558B1 (ko) 스크린 루바용 브라켓
JP2006249677A (ja) 屋外構造物
KR101359906B1 (ko) 모듈형 조립식 파티션
JP2016531224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支持装置
KR101591091B1 (ko) 커튼 월
KR20190042157A (ko)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커튼월
RU2007131927A (ru) Узел печной решетки и поддона
JP2008121382A (ja) パネル支持構造
KR101080834B1 (ko) 건축물 난간
JP6353358B2 (ja) 面格子の取付構造
KR101571541B1 (ko)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KR20140114607A (ko) 창틀용 지지대
KR102078730B1 (ko) 유리홈의 폭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JP6397611B2 (ja) 水平ルーバーの支持構造
KR101818444B1 (ko) 창문 프레임 결합 구조
JP6548252B2 (ja) 窓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11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