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215B1 -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9215B1 KR101809215B1 KR1020170109157A KR20170109157A KR101809215B1 KR 101809215 B1 KR101809215 B1 KR 101809215B1 KR 1020170109157 A KR1020170109157 A KR 1020170109157A KR 20170109157 A KR20170109157 A KR 20170109157A KR 101809215 B1 KR101809215 B1 KR 1018092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questionnaire
- response
- divided
- divided scre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34 poten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앙케트가 연동된 인터페이스 방법에 따른 실제 모바일폰의 잠금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앙케트가 연동된 인터페이스 방법에 따른 잠금화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앙케트가 연동된 인터페이스 방법의 잠금화면에서 누적 결과 표시화면을 거쳐 메인화면으로 진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서비스 서버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스처 이벤트에 의하여 앙케트의 결과가 도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마크의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앙케트 콘텐트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3 분할화면을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잠금화면에서 메인화면으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방향성 패턴 이외의 영역에서 슬라이딩 터치시 잠금화면에서 메인화면으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2와 서로 다른 제2 분할화면의 상하 2분할의 잠금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2 분할화면의 3분할의 잠금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2 분할화면의 4분할의 잠금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12와 서로 다른 제2 분할화면의 4분할의 잠금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Q: 앙케트 콘텐츠
A: 응답 콘텐츠
P: 방향성 패턴
S1: 제스처 이벤트
T1, T2: 터치 이벤트
S1, S2, S3, S4: 슬라이딩 터치
100: 제1 분할화면
200: 제2 분할화면
300: 제3 분할화면
Claims (18)
- 잠금해제 연동 앙케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잠금화면 모드에서 메인화면 모드로 전환될 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
상기 잠금화면 모드는 제1 분할화면과, 상기 제1 분할화면과 분리되어 구획되는 제2 분할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할화면에는 앙케트 콘텐츠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분할화면에는 상기 앙케트 콘텐츠에 매칭되는 응답 콘텐츠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응답화면과 상기 응답화면에 대응하는 방향성 패턴이 정의되어 가시화되어 있으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제2 분할화면에서 상기 방향성 패턴에 대응하는 제스처 이벤트를 생성시 상기 메인화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화면 모드로 진입하기 전, 상기 제스처 이벤트 생성시 누적 응답 결과를 기설정시간 동안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응답 결과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스처 이벤트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추출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누적하여 실시간으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화면에는 상기 앙케트 콘텐츠 및 상기 앙케트 콘텐츠에 매칭되는 응답콘텐츠를 변경할 수 있는 마크가 정의되어 가시화되어 있으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복수개의 앙케트 콘텐츠 및 상기 앙케트 콘텐츠에 매칭되는 응답 콘텐츠를,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마크를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시마다 변경하여 상기 제1 분할화면 및 상기 제2 분할화면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이벤트는,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방향성 패턴에서 시작하여 두 개 이상의 상기 응답화면 중 어느 하나의 응답화면으로 슬라이딩 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앙케트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제1 분할화면에 상기 앙케트 콘텐츠와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응답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응답화면에 상기 응답 콘텐츠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화면 모드는,
상기 제1 분할화면 및 상기 제2 분할화면과 분리되어 구획되는 제3 분할화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제3 분할화면을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시 상기 잠금화면 모드를 상기 메인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잠금화면 모드의 상기 방향성 패턴 이외의 영역에서 슬라이딩 터치 이벤트를 생성시 상기 잠금화면 모드를 상기 메인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잠금해제 연동 앙케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무선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면서 수신되는 앙케트 콘텐츠를 잠금화면 모드를 통해서 표시하고, 입력수단에 의해 제스처 이벤트 입력을 받아 응답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잠금해제 연동 앙케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통해서,
(a) 상기 잠금화면 모드를 제1 분할화면과, 상기 제1 분할화면과 분리되어 구획되는 제2 분할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 분할화면에는 앙케트 콘텐츠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분할화면에는 상기 앙케트 콘텐츠에 매칭되는 응답 콘텐츠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응답화면과 상기 응답화면에 대응하는 방향성 패턴을 가시화하는 동작; 및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제2분할화면에서 상기 방향성 패턴에 대응하는 제스처 이벤트를 생성시 메인화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화면 모드로 진입하기 전, 상기 제스처 이벤트 생성시 누적 응답 결과를 기설정시간 동안 표시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응답 결과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스처 이벤트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누적하여 실시간으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동작은,
상기 제1 분할화면에 상기 앙케트 콘텐츠 및 상기 앙케트 콘텐츠에 매칭되는 응답콘텐츠를 변경할 수 있는 마크를 정의하여 가시화하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복수개의 앙케트 콘텐츠 및 상기 앙케트 콘텐츠에 매칭되는 응답 콘텐츠를,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마크를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시마다 변경하여 상기 제1 분할화면 및 상기 제2 분할화면에 각각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이벤트는,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방향성 패턴에서 시작하여 두 개 이상의 상기 응답화면 중 어느 하나의 응답화면으로 슬라이딩 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동작은,
상기 앙케트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제1 분할화면에 상기 앙케트 콘텐츠와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응답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응답화면에 상기 응답 콘텐츠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화면 모드는,
상기 제1 분할화면 및 상기 제2 분할화면과 분리되어 구획되는 제3 분할화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 동작이후,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제3 분할화면을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시 상기 메인화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 동작이후,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잠금화면 모드의 상기 방향성 패턴 이외의 영역에서 슬라이딩 터치 이벤트를 생성시 상기 메인화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9157A KR101809215B1 (ko) | 2017-08-29 | 2017-08-29 |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JP2018555645A JP6625767B1 (ja) | 2017-08-29 | 2017-10-19 | アンケートが連動された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 |
CN201780020979.0A CN109791464A (zh) | 2017-08-29 | 2017-10-19 | 能够进行调查的用户界面方法 |
PCT/KR2017/011593 WO2019045170A1 (ko) | 2017-08-29 | 2017-10-19 |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US16/643,704 US10691786B1 (en) | 2017-08-29 | 2017-10-19 | User interface method capable of surve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9157A KR101809215B1 (ko) | 2017-08-29 | 2017-08-29 |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0220A Division KR101965410B1 (ko) | 2017-11-28 | 2017-11-28 |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9215B1 true KR101809215B1 (ko) | 2017-12-14 |
Family
ID=6095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9157A Active KR101809215B1 (ko) | 2017-08-29 | 2017-08-29 |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691786B1 (ko) |
JP (1) | JP6625767B1 (ko) |
KR (1) | KR101809215B1 (ko) |
CN (1) | CN109791464A (ko) |
WO (1) | WO2019045170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00514A (zh) * | 2018-03-28 | 2018-09-2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会话消息的处理方法和移动终端 |
KR102003560B1 (ko) * | 2018-04-24 | 2019-07-24 | (주) 씨이랩 | 빅데이터 기반 직관적인 응답 인터페이스 및 리워드 게임을 이용한 응답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
KR20190097987A (ko) * | 2018-02-13 | 2019-08-21 | 굿윌헌팅 주식회사 |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KR102060603B1 (ko) * | 2018-03-15 | 2019-12-30 | 조진표 | 지식 공유 소셜 플랫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식 공유 소셜 플랫폼 시스템 |
CN113126840A (zh) * | 2021-04-02 | 2021-07-16 |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电子设备的应用界面管理方法和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32462A (zh) * | 2018-04-19 | 2018-10-09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分屏显示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CN111460433A (zh) * | 2019-01-18 | 2020-07-28 |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锁屏解锁方法、装置以及其存储介质 |
CN112882777B (zh) * | 2019-11-30 | 2024-10-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分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
CN117032529A (zh) * | 2021-04-22 | 2023-11-10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显示方法及相关装置 |
CN118312085B (zh) * | 2024-05-30 | 2024-11-26 | 深圳新芯智能有限公司 | 分屏处理方法、装置、用户终端及存储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39317A (ja) * | 2002-10-17 | 2004-05-13 | Ns Solutions Corp | アンケート処理システム、アンケート処理方法、その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
US20140298260A1 (en) * | 2013-03-29 | 2014-10-02 | L.S.Q.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micro-interaction events on computing devices to administer question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5856B1 (ko) | 2010-06-05 | 2012-08-24 | 전민정 | 학습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 |
CN102340600A (zh) | 2011-10-31 | 2012-02-01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带触摸屏功能的手机及其屏幕解锁方法 |
KR101904940B1 (ko) | 2011-12-16 | 2018-10-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30088984A (ko) | 2012-02-01 | 2013-08-09 | 김현수 | 휴대단말기의 문답식 잠금해제방법 |
CN103391203A (zh) | 2012-05-09 | 2013-11-13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移动终端的解锁方法、系统及装置 |
-
2017
- 2017-08-29 KR KR1020170109157A patent/KR101809215B1/ko active Active
- 2017-10-19 CN CN201780020979.0A patent/CN109791464A/zh active Pending
- 2017-10-19 WO PCT/KR2017/011593 patent/WO201904517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10-19 US US16/643,704 patent/US10691786B1/en active Active
- 2017-10-19 JP JP2018555645A patent/JP6625767B1/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39317A (ja) * | 2002-10-17 | 2004-05-13 | Ns Solutions Corp | アンケート処理システム、アンケート処理方法、その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
US20140298260A1 (en) * | 2013-03-29 | 2014-10-02 | L.S.Q.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micro-interaction events on computing devices to administer questions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굿윌헌팅(주), "스마트폰 잠금화면을 이용한 소비자조사 투표 앱 ‘폴라이드(Pollide)’ 출시 ," https://www.asiaherald.co.kr/news/22150 ( 2017.05.30)*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7987A (ko) * | 2018-02-13 | 2019-08-21 | 굿윌헌팅 주식회사 |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KR102084424B1 (ko) * | 2018-02-13 | 2020-03-04 | 굿윌헌팅 주식회사 |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KR102060603B1 (ko) * | 2018-03-15 | 2019-12-30 | 조진표 | 지식 공유 소셜 플랫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식 공유 소셜 플랫폼 시스템 |
CN108600514A (zh) * | 2018-03-28 | 2018-09-2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会话消息的处理方法和移动终端 |
CN108600514B (zh) * | 2018-03-28 | 2020-10-2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会话消息的处理方法和移动终端 |
KR102003560B1 (ko) * | 2018-04-24 | 2019-07-24 | (주) 씨이랩 | 빅데이터 기반 직관적인 응답 인터페이스 및 리워드 게임을 이용한 응답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
CN113126840A (zh) * | 2021-04-02 | 2021-07-16 |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电子设备的应用界面管理方法和装置 |
CN113126840B (zh) * | 2021-04-02 | 2023-02-21 |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电子设备的应用界面管理方法和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0502597A (ja) | 2020-01-23 |
US10691786B1 (en) | 2020-06-23 |
US20200210563A1 (en) | 2020-07-02 |
WO2019045170A1 (ko) | 2019-03-07 |
JP6625767B1 (ja) | 2019-12-25 |
CN109791464A (zh) | 2019-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9215B1 (ko) |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
Sharma | Critical time | |
US20130096985A1 (en) | Survey systems and methods useable with mobile devices and media presentation environments | |
CN104346037B (zh) |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 |
US1133422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US9553840B2 (en) | Information sharing system, server device, display syste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sharing method | |
CN105359067A (zh) | 协同移动交互 | |
CN105940433B (zh) | 通知引擎 | |
JP7133193B2 (ja) |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 |
CN107122100A (zh) | 用于在网络上再分享媒体内容的系统和方法 | |
Facer et al. | Towards a sociology of education and technology | |
JP2014197286A (ja) | 読書情報提示サーバ、読書情報提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読書情報提示システム | |
KR101965410B1 (ko) |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
CN106325740A (zh) | 页面信息显示方法及装置 | |
KR20120135717A (ko)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광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관광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084424B1 (ko) | 앙케트가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
Hess et al. | Community journalism in Australia: a media power perspective | |
Shepard | Sentient city survival kit: archaeology of the near future | |
KR101765554B1 (ko) | 웹 서버 및 이에 의한 웹 서비스 제공 방법 | |
Melonio et al. | Towards ICT support for elderly displaced people: looking for natural gestures | |
JP6333006B2 (ja) | タブレット型端末、学習支援システムおよび学習支援方法 | |
KR101366779B1 (ko) | 소셜 미디어 콘텐츠의 적응 변환 서버 및 방법 | |
Chatzimichailidou et al. | Distributed Situation Awareness as a ‘middleware’between the New Economic Sociology and Embedded Open Innovation | |
Ribas Gomez et al. | Territorial Brand Graphic Interface Management in Mobile Applications Focused on User Experience | |
KR20160081681A (ko) | 협력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8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1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09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4090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