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08675B1 - 카테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테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675B1
KR101808675B1 KR1020160124199A KR20160124199A KR101808675B1 KR 101808675 B1 KR101808675 B1 KR 101808675B1 KR 1020160124199 A KR1020160124199 A KR 1020160124199A KR 20160124199 A KR20160124199 A KR 20160124199A KR 101808675 B1 KR101808675 B1 KR 101808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atheter
cladding
light
source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홍기
이민우
김진원
오왕열
박경순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4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6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a special surface topography or special surface properties, e.g. roughened or knurled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2005/0602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9Stomach and/or 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1Bladder and/or ureth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카테터 시스템이 개시된다. 카테터 시스템은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클래딩을 포함하는 카테터; 상기 코어로 제1소스 광을 제공하고, 상기 코어에서 출력되어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1 소스 광의 반사 또는 산란 광을 상기 코어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제1소스 광의 반사 또는 산란 광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클래딩으로 제2 소스 광을 제공하는 치료용 광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소스 광은 상기 클래딩을 따라 진행되어 상기 대상물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카테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Catheter module and Catheter system including the module}
본 발명은 카테터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카테터로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카테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travascula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Endoscopic confocal microscopy 등과 같이 카테터를 혈관, 소화기, 요도 등의 관형 조직에 삽입하여 조직 내부를 영상화하고 그 영상을 토대로 진단을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임상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역동치료 (Photodynamic therapy, PDT), 광열적치료 (Photothermal therapy, PTT), 광응고 (Photocoagulation), 저출력 레이저 치료기술 (Low-level laser therapy, LLLT) 등과 같은 빛을 이용한 치료방법을 관형 조직의 치료에 적용하기 위해 광섬유를 이용한 치료 카테터가 개발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0781호에는 관형 신체조직의 진단-치료 겸용 융합형 광 의료기기가 개시된다. 해당 기기는 조직 영상화를 통한 진단용 광섬유와 치료용 레이저 조사를 위한 광섬유를 각각 포함하여 하나의 카테터 형태로 통합 제작하여 신체조직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기기의 카테터는 조직의 영상화 후 치료목적의 레이저 조사 시 좁은 면적밖에 조사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넓은 면적을 조사해야 할 경우 카테터를 스캔해야 하므로 시술 시간이 오래 걸려 환자에게 부담이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시술 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는 카테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테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광섬유로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카테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은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클래딩을 포함하는 카테터; 상기 코어로 제1소스 광을 제공하고, 상기 코어에서 출력되어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1 소스 광의 반사 또는 산란 광을 상기 코어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제1소스 광의 반사 또는 산란 광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클래딩으로 제2 소스 광을 제공하는 치료용 광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소스 광은 상기 클래딩을 따라 진행되어 상기 대상물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코어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클래딩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에는 산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코어 또는 상기 클레딩의 둘레 전체를 감쌀 수 있다.또한, 상기 산란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감싸며, 광 투과성 재질을 갖는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투과성 재질은 유리 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래딩의 일부 영역을 에워싸며, 상기 클래딩과 굴절률이 상이한 재질로 제공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래딩을 따라 진행되는 상기 제2소스 광은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대상물로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의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코어를 따라 진행되는 상기 제1소스 광을 상기 대상물로 조사하는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의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코어를 따라 진행하는 상기 제1소스 광과 상기 클래딩을 따라 진행하는 상기 제2소스 광을 상기 대상물로 조사하는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모듈은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클래딩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클래딩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에는 산란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감싸며, 광 투과성 재질을 갖는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투과성 재질은 유리 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의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코어를 통해 제공되는 광을 일정 방향으로 조사하는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또한, 상기 산란패턴은 수 내지 수십 μm의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모듈은 코어;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클래딩; 및 상기 클래딩의 일부 영역을 감싸며, 상기 클래딩과 굴절율이 상이한 재질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클래딩을 통해 진행되는 광은 상기 튜브를 통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카테터로 진단 및 치료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병변 위치를 짧은 시간 내에 정확히 찾아낼 수 있으며, 한번에 넓은 면적으로 치료용 광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시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진단 및 치료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병변 위치를 정확히 찾아 치료용 광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치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광섬유를 이용하여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므로, 시스템이 단순화, 소형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카테터 시스템에서 카테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카테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카테터에 의해 대상물에 조사되는 광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카테터 시스템에서 카테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카테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카테터 시스템(10)은 카테터(120)를 혈관, 소화기, 요도 등 인체의 관형 조직(20)에 삽입하여 조직 내부를 영상화하고, 그 영상을 통해 병변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치료할 수 있다.
카테터 시스템(10)은 카테터 모듈(110), 영상 정보 생성부(140), 치료용 광원부(150), 광섬유 커플러(160), 그리고 카테터 구동부(170)를 포함한다.
카테터 모듈(110)은 인체 내 대상물(20)에 삽입되어, 제1 소스 광(11)과 제2 소스 광(12)을 대상물(2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1소스 광(11)은 진단용 광이고, 제2소스 광(12)은 치료용 광을 의미한다. 그리고 대상물(20)은 진단 및 치료의 대상이 되는 인체의 관형 조직을 일컫는다.
카테터 모듈(110)은 카테터(120)와 렌즈(130)를 포함한다.
카테터(120)는 제1 소스 광(11)과 제2 소스 광(12)의 진행을 가이딩(guiding)하는 광섬유로 제공된다. 카테터(120)는 다양한 종류의 광섬유로 제공될 수 있다. 카테터(120)는 MMF(Multimode fiber), DCF(Double clad fiber), 그리고 PCF(Photonic-crystal fiber) 등의 광섬유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카테터(120)로 DCF가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카테터(120)는 코어(core, 121), 클래딩(cladding, 122), 그리고 튜브(tube, 123)를 포함한다.
코어(121)는 제1소스 광(11)의 진행을 가이딩한다. 구체적으로, 코어(121)는 영상 정보 생성부(140)에서 제공된 제1소스 광(11)을 단부 측으로 가이딩하고, 대상물(20)에서 반사된 제1소스 광의 반사 또는 산란 광(11')을 영상 정보 생성부(140) 측으로 가이딩한다.
클래딩(122)은 코어(121)의 둘레를 에워싸며, 제2소스 광(12)의 진행을 가이딩한다. 클래딩(122)은 코어(121)의 둘레를 에워싸므로, 코어(121)에 비해 큰 부피를 갖는다. 때문에, 클래딩(122)은 전송 가능한 광량이 코어(121)보다 커, 높은 밀도의 제2 소스 광(12)을 가이딩할 수 있다.
클래딩(122)의 외주면에는 산란 패턴(122a)이 형성된다. 산란 패턴(122a)은 클래딩(122)의 소정 영역에서 형성된다. 산란 패턴(122a)은 클래딩(122)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카테터(12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그리고 클래딩(122) 둘레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산란 패턴(122a)은 수 내지 수십 μm의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산란 패턴(122a)은 수 내지 수십 μm의 표면 거칠기를 갖는 폴리싱 필름으로 클래딩(122)의 표면을 마모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산란 패턴(122a) 형성 방법은 가격이 저렴한 폴리싱 필름을 이용하므로, 고가의 레이저 가공 시스템(laser micromachining system)을 이용한 기존의 산란패턴 형성 방법에 비해 제작 비용이 월등히 저렴하다. 또한, 상기 레이저 가공 시스템은 가공이 가능한 코어의 최소 직경이 0.5mm라는 한계가 있으나, 폴리싱 필름을 이용할 경우 0.5mm보다 작은 코어(121) 또는 클래딩(122) 직경을 갖는 카테터(120)의 가공이 가능하다. 실시 예에 의하면, 폴리싱 필름을 이용할 경우 0.125mm와 0.105mm직경을 갖는 카테터(120)에 산란 패턴(122a)의 형성이 가능하다.
클래딩(122)에서 진행하는 제2소스 광(12)은 산란 패턴(122a)에 의해 카테터(120)의 외부로 출력된다. 제2소스 광(12')은 카테터(12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출력되어 관형 조직(20)의 내부 둘레 전체에 제공될 수 있다.
튜브(123)는 클레딩(122)의 둘레를 에워싼다. 구체적으로, 튜브(123)는 산란 패턴(122a)이 형성된 영역을 에워싸 산란 패턴(122a)을 보호한다. 튜브(123)는 광 투과성 재질로 제공된다. 실시 예에 의하면, 광 투과성 재질은 유리(glass) 또는 폴리머(polymer)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소스 광(12')은 튜브(123)를 통과하며 균일하게 퍼져 출력된다.
렌즈(130)는 카테터(120)의 단부에 제공된다. 렌즈(130)는 코어(121)를 통해 진행되는 제1 소스 광(11)이 대상물(20)에 조사되도록 제1 소스 광(11)의 이동 경로를 변경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소스 광(11)은 렌즈(130)를 통해 진행 방향이 약 90°로 꺽여 대상물(20)에 초점이 맺힌다. 또한, 대상물(20)에서 반사된 제1 소스 광의 반사 또는 산란 광(11')이 렌즈(130)를 통해 제1 코어(121)로 전달된다. 실시 예에 의하면, 렌즈(130)는 볼 렌즈(ball lens) 또는 Gradient index(GRIN) lens가 사용될 수 있다.
영상 정보 생성부(140)는 코어(121)로 제1 소스 광(11)을 제공한다. 그리고 코어(121)를 통해 제1 소스 광의 반사 또는 산란 광(11')을 수신한다. 영상 정보 생성부(140)는 제1 소스 광의 반사 또는 산란 광(11')으로부터 대상물(20)의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영상 정보를 통해 대상물(20)을 진단할 수 있다. 영상 정보 생성부(140)는 광섬유(120)를 통해서 이미징이 가능한 다양한 이미징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영상 정보 생성부(140)는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onfocal microscopy, fluorescence imaging, fluorescence lifetime imaging, 그리고 Raman imaging 등의 이미징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치료용 광원부(150)는 클래딩(122)으로 제2 소스 광(12)을 제공한다. 제2 소스 광(12)은 광역동치료 (Photodynamic therapy, PDT), 광열적치료 (Photothermal therapy, PTT), 광응고 (Photocoagulation), 저출력 레이저 치료 (Low-level laser therapy, LLLT) 등의 목적으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소스 광(12)은 상술한 치료 목적에 따라 다양한 파장 대역의 레이저로 제공될 수 있다.
광섬유 커플러(160)는 영상 정보 생성부(140)와 연결된 코어(121a)와, 치료용 광원부(150)와 연결된 클래딩(122b)을 하나의 광섬유(120)로 결합한다.
카테터 구동부(170)는 카테터(12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카테터 시스템(10)을 이용한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카테터(120)가 대상물(2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영상 정보 생성부(140)로부터 제1 소스 광(11)이 코어(121)에 전달된다. 제1 소스 광(11)은 코어(121) 내에서 가이딩되어 진행하며, 렌즈(130)에 의해 진행 방향이 꺽여 대상물(20)에 초점을 맺는다. 대상물(20)에서 반사된 제1 소스 광의 반사 또는 산란 광(11')은 렌즈(130)를 통해 다시 코어(121) 내로 입사되고, 코어(121) 내에서 진행되어 영상 정보 생성부(140)로 전달된다. 영상 정보 생성부(140)는 제1소스 광의 반사 또는 산란 광(11')으로부터 대상물(20)의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카테터 구동부(170)의 구동으로, 카테터(12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거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관형 조직인 대상물(20) 내부 전체를 스캔하며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영상 정보를 통해 대상물(20) 내 병변 유무를 진단한다.
병변이 발견되면, 카테터(120)를 병변 부위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치료용 광원부(150)에서 클래딩(122)으로 제2소스 광(12)을 제공한다. 제2소스 광(12)은 클래딩(122) 내에서 가이딩되어 진행하고, 산란 패턴(122a)이 형성된 영역에서 카테터(120) 외부로 출력된다. 산란 패턴(122a)에서 출력된 제2소스 광(12')은 튜브(123)를 통과하며 균일한 광량으로 확산된다. 카테터(120)에서 출력된 제2 소스 광(12')은 대상물(20)에 조사되어 병변을 치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10)은 단일 카테터(120)로 진단 및 치료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때문에 진단 후 병변 위치를 짧은 시간에 정확히 찾아낼 수 있어 시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그리고 병변 부위에 정확히 제2 소스 광(12')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제2 소스 광(12')은 산란 패턴(122a)이 형성된 영역 전체에서 카테터(12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조사되므로, 한번에 넓은 면적을 조사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카테터에 의해 대상물에 조사되는 광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실시 예와 달리, 카테터(120)에는 산란패턴(도 2의 122a)이 형성되지 않는다. 클래딩(1222)에 의해 가이딩되어 진행하는 제2 소스 광(12)은 렌즈(130)에 의해 진행 방향이 꺽여 대상물(20)에 초점을 맺는다. 제2 소스 광(12)은 제1 소스 광(11)의 초점 주변으로 초점을 맺는다.
카테터 시스템(10)은 제1 소스 광(11)을 통해 얻어진 영상 정보를 통해 대상물(20)을 진단하고, 병변이 확인된 지점으로 제2 소스 광(12)을 제공한다. 제1 소스 광(11)과 제2 소스 광(12)은 동일한 지점에 초점이 맺히므로, 진단과 치료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카테터(220)의 코어(221)는 MMF로 이루어진다.
코어(221)의 표면 일부에는 산란 패턴(221a)이 형성될 수 있다. 산란 패턴(221a)은 코어(221)의 단부 또는 이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다.
클래딩(222)은 코어(221)을 감싼다. 코어(221)의 산란 패턴(221a)이 형성된 영역에서는 클래딩(2221)이 제거된다.
튜브(223)는 산란 패턴(222a)이 형성된 영역에서 코어(221)을 감싼다. 튜브(223)은 코어(221)의 표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코어(221)와 튜브(223) 사이에는 공기 층(224)이 제공될 수 있다.
치료용 광원부(230)는 치료용 광(12)을 코어(221)로 제공한다. 치료용 광(12)은 상술한 제2 소스 광(도 2의 12)과 동일한 광으로 제공된다. 치료용 광(12)은 코어(221) 내에서 가이딩된 후, 산란 패턴(221a)이 형성된 영역에서 코어(221)와 공기 층(224), 그리고 튜브(223)를 거쳐 대상물에 출력된다.
카테터(220)의 단부에는 캡(cap, 240)이 제공된다. 캡(240)은 표면이 매끈한 곡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캡(240)은 카테터(220)의 끝단에 의해 대상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캡(240)은 에폭시(epoxy), 유리(glass), 그리고 폴리머(polymer) 등의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220)는 코어(221)를 통해 치료용 광(12)이 진행되므로, 코어(22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코어(121)보다 큰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코어(221)의 직경이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카테터(220)는 코어(221)의 직경과 산란 패턴(221a)이 형성된 영역의 길이 변경으로 치료 영역 넓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카테터(120)는 DCF로 이루어진다. 코어(121)는 클래딩(122)과 코팅층(124)에 의해 순차적으로 감싸진다.
코팅층(124)은 일부 영역이 제거된다. 코팅층(124)이 제거된 영역에는 클래딩(122)과 굴절률이 다른 튜브(123)가 클래딩(122)을 감싼다. 튜브(123)는 광 투과성 재질을 가지며, 열수축 튜브(haet-shrink tube)가 제공될 수 있다.
코어(121)에서 가이딩되어 진행하는 제1소스 광(11)은 렌즈(130)를 통해 진행 방향이 약 90도로 꺽여 대상물(20)에 초점이 맺힌다. 또한 대상물(20)에서 반사 또는 산란된 제1 소스 광(11')이 렌즈(130)를 통해 코어(121)로 전달된다.
클래딩(122) 내에서 가이딩되어 진행하는 제2소스 광(12)은 굴절률 차이에 의해 튜브(123)를 통해 카테터(120) 외부로 출력된다. 카테터(120)에서 출력된 제 2소스 광(12')은 대상물(20)에 조사되어 병변을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경우, 한번에 넓은 면적으로 치료용 광을 조사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카테터 시스템
110: 카테터 모듈
120, 220: 카테터
122a, 221a, 222a: 산란패턴
130: 렌즈
121, 221: 코어
122, 222: 클래딩
123, 223: 튜브
140: 영상 정보 생성부
150: 치료용 광원부
160: 광섬유 커플러
170: 커테터 구동부
240: 캡

Claims (14)

  1.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클래딩을 포함하는 카테터;
    상기 코어로 제1소스 광을 제공하고, 상기 코어에서 출력되어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1 소스 광의 반사 또는 산란 광을 상기 코어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제1소스 광의 반사 또는 산란 광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정보 생성부;
    상기 클래딩으로 제2 소스 광을 제공하는 치료용 광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소스 광은 상기 클래딩을 따라 진행되어 상기 대상물에 제공되는 카테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클래딩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에는 산란 패턴이 형성되는 카테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코어 또는 상기 클래딩의 둘레 전체를 감싸는 카테터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감싸며, 광 투과성 재질을 갖는 튜브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재질은 유리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의 일부 영역을 에워싸며, 상기 클래딩과 굴절률이 상이한 재질로 제공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래딩을 따라 진행되는 상기 제2소스 광은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대상물로 확산되는 카테터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코어를 따라 진행되는 상기 제1소스 광을 상기 대상물로 조사하는 렌즈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코어를 따라 진행하는 상기 제1소스 광과 상기 클래딩을 따라 진행하는 상기 제2소스 광을 상기 대상물로 조사하는 렌즈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124199A 2016-09-27 2016-09-27 카테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Active KR101808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199A KR101808675B1 (ko) 2016-09-27 2016-09-27 카테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199A KR101808675B1 (ko) 2016-09-27 2016-09-27 카테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675B1 true KR101808675B1 (ko) 2018-01-18

Family

ID=6102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199A Active KR101808675B1 (ko) 2016-09-27 2016-09-27 카테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6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528A (ko) * 2019-04-08 2020-10-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진단 및 치료 카테터와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WO2020250752A1 (ja) * 2019-06-12 2020-12-17 株式会社カネカ 光治療診断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WO2020250753A1 (ko) * 2019-06-12 2020-12-17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530A (ja) 1998-10-28 2000-05-1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502438A (ja) * 1996-09-16 2001-02-20 フォー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光ファイバの光散乱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28128A (ja) 2006-03-03 2009-08-06 ユニヴァーシティ オブ ワシントン 多クラッド光ファイバ走査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2438A (ja) * 1996-09-16 2001-02-20 フォー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光ファイバの光散乱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31530A (ja) 1998-10-28 2000-05-1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28128A (ja) 2006-03-03 2009-08-06 ユニヴァーシティ オブ ワシントン 多クラッド光ファイバ走査器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528A (ko) * 2019-04-08 2020-10-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진단 및 치료 카테터와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WO2020209545A3 (ko) * 2019-04-08 2020-12-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진단 및 치료 카테터와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KR102279322B1 (ko) * 2019-04-08 2021-07-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진단 및 치료 카테터와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US12144582B2 (en) 2019-04-08 2024-11-19 Iucf-Hy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Multi diagnosis and treatment catheter and catheter system comprising same
WO2020250752A1 (ja) * 2019-06-12 2020-12-17 株式会社カネカ 光治療診断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WO2020250752A1 (ko) * 2019-06-12 2020-12-17
JPWO2020250753A1 (ko) * 2019-06-12 2020-12-17
WO2020250753A1 (ja) * 2019-06-12 2020-12-17 株式会社カネカ 光治療診断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7389801B2 (ja) 2019-06-12 2023-11-30 株式会社カネカ 光治療診断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7454571B2 (ja) 2019-06-12 2024-03-22 株式会社カネカ 光治療診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2057B2 (en) Endoscopic system using an extremely fine composite optical fiber
US8945195B2 (en) Small bowel endoscope of ileus tube type that enables laser inspection and therapy
Keiser et al. Review of diverse optical fibers used in biomedical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CN113950353B (zh) 光治疗诊断装置及其工作方法
JP5520540B2 (ja) 内視鏡システム
CN101400299B (zh) 用于向样本施加多个电磁辐射的设备
JPS61257638A (ja) レ−ザ−による血管手術用カテ−テル
JPH06343651A (ja) 柔軟組織のレーザ手術のためのファイバーオプティック・プローブ
CN111603133A (zh) 一种血管内插入式可视化柔性光纤手术工具
KR101808675B1 (ko) 카테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JP4521528B2 (ja) 極細径複合型光ファイバを用いた内視鏡システム
Kang et al. Pencil-beam scanning catheter for intracoronar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US12357842B2 (en) Light irradiation device and light irradiation system
US12144582B2 (en) Multi diagnosis and treatment catheter and catheter system comprising same
WO2015177750A1 (en) Catheter for sub-surface ablation in biological tissue
EP4185902B1 (en) An optical element
JP7389801B2 (ja) 光治療診断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6463218B2 (ja) レーザ治療装置および食道癌用光線力学的治療装置
JPH04131746A (ja) レーザ診断装置
WO2021059797A1 (ja) 光照射デバイス、及び、光照射システム
JP2023041120A (ja) 治療装置および治療方法
JP2023082619A (ja) 光拡散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医療機器
WO2025038854A2 (en) Fiber optic detection system for delivery of photobiomodulation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