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429B1 - 미생물 분리배양 장치 및 미생물 배양 폐배지 재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 분리배양 장치 및 미생물 배양 폐배지 재사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8429B1 KR101808429B1 KR1020160074078A KR20160074078A KR101808429B1 KR 101808429 B1 KR101808429 B1 KR 101808429B1 KR 1020160074078 A KR1020160074078 A KR 1020160074078A KR 20160074078 A KR20160074078 A KR 20160074078A KR 101808429 B1 KR101808429 B1 KR 1018084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um
- culture
- rhodobacter
- microorganism
- saccharomyces cerevisia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4—Recirculation of ga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2—Photobioreac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4—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ga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및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분리배양을 통한 이산화탄소에 대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R-S:로도박터 스페로이드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분리배양, sis-S: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만 배양(대조군), R-SD:로도박터 스페로이드만 배양(대조군)).
도 3은 대장균 및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분리배양을 통한 이산화탄소에 대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R-E:로도박터 스페로이드 및 대장균의 분리배양, sis-E:대장균만 배양(대조군), R-M9:로도박터 스페로이드만 배양(대조군)).
도 4는 상기 도 2의 방법으로 배양되어 얻어지는 세포에 대한 건조중량으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분리배양에 대한 건조중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R-S=>R:로도박터 스페로이드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분리배양에서의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건조중량, R-SD=>R: 동일조건에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만 배양한 경우의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건조중량, RS=>: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분리배양에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건조중량, sis-S=>S:동일조건에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만 배양한 경우의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건조중량).
도 5는 상기 도 4의 방법으로 배양되어 얻어지는 세포에 대한 건조중량으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와 대장균의 분리배양에 대한 건조중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R-E=>R:로도박터 스페로이드와 대장균의 분리배양에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건조중량, R-M9=>R:동일조건에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만 배양한 경우의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건조중량, R-E=>E:로도박터 스페로이드와 대장균의 분리배양에서 대장균의 건조중량, sis-E=>E:동일조건에서 대장균만 배양한 경우의 대장균의 건조중량)
도 6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또는 대장균과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분리배양을 통한 박테리오클로로필의 함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R-E: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와 대장균 분리배양, R-M9: 동일 조건에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만 배양, R-S: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분리배양, R-SD: 동일조건에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만 배양)
도 7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또는 대장균과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분리배양을 통한 카로테노이드의 함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R-E: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와 대장균 분리배양, R-M9: 동일 조건에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만 배양, R-S: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분리배양, R-SD: 동일조건에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만 배양)
도 8은 실험예 2-1에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배지 종류와 균주에 따른 글루코스 소비율 분석한 결과이다.
도 9는 실험예 2-2에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배지 종류와 균주에 따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건조중량에 대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0은 실험예 2-3에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배지 종류와 균주에 따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에탄올 생산에 대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1은 재사용된 배지에서의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배양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used YPD: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폐배지, used LB:대장균 폐배지).
도 12는 상기 도 11의 재사용된 배지에서 성장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이다(used YPD: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폐배지, used LB:대장균 폐배지).
도 13은 재사용된 배지에서 성장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율을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재사용된 YPD 배지에 배양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에 따른 말산의 농도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재사용된 LB 배지에 배양한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에 따른 젖산의 농도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또는 대장균의 최소배지인 SD배지와 M9배지를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배양에 재사용할 때의 세포성장(건조중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sist: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배지인 sistrom’s media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Used M9: 대장균을 배양했던 배지, Used SD: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를 배양했던 배지).
도 17은 상기 도 16에 따른 박테리오클로로필의 함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sist: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배지인 sistrom’s media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Used M9: 대장균을 배양했던 배지, Used SD: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를 배양했던 배지).
도 18은 상기 도 16에 따른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sist: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배지인 sistrom’s media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Used M9: 대장균을 배양했던 배지, Used SD: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를 배양했던 배지).
도 19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를 SD배지에서 배양을 한 후 다시 글루코스만 첨가하여 폐배지를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최종 2회까지 재사용했을 때의 첨가된 글루코스 농도와 생성된 에탄올의 농도 그리고 에탄올 생성 효율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도 22의 실험 절차를 도식화한 그림이다.
도 21은 상기 도 19의 실험 절차를 도식화한 그림이다.
도 22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를 SD배지에서 배양을 한 후 사용된 SD배지를 로도박터 스페로이드의 배양에 사용하고나서 다시 다시 글루코스만 첨가하여 사용했던 배지를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최종 2회까지 재사용했을 때의 첨가된 글루코스 농도와 생성된 에탄올의 농도 그리고 에탄올 생성 효율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KH2PO4 | 2.72 g | ||
(NH4)2SO4 | 0.5 g | ||
Succinic acid | 4 g | ||
L-glutamic acid | 0.1 g | ||
L-Aspartic acid | 0.04 g | ||
NaCl | 0.5 g | ||
Nitrilotriacetic acid | 0.2 g | ||
MgSO4.7H2O | 0.3 g | ||
CaCl2.2H2O | 0.033 g | ||
FeSO4.7H2O | 0.0002 g | ||
(NH4)6Mo7O24(1%solution) | 0.2 ㎖ | ||
미량원소용액 / 100 ㎖ | EDTA | 1.765 g | 0.1 ㎖ |
ZnSO4 · 7H2O | 10.95 g | ||
FeSO4 · 7H2O | 5 g | ||
MnSO4 · H2O | 1.54 g | ||
CuSO4 · 5H2O | 0.392 g | ||
Co(NO3)2 · 6H2O | 0.248 g | ||
H3BO3 | 0.114 g | ||
비타민 용액 / 100 ㎖ | Nicotinic acid | 1 g | 0.1 ㎖ |
Thiamine HCl | 0.5 g | ||
Biotin | 0.01 g | ||
Casamino acid | 2 g | ||
최종부피 | 1 ℓ |
1M MgSO4 (sterile) | 2 ㎖ | ||
20% glucose (sterile) | 20 ㎖ | ||
1M CaCl2 (sterile) | 0.1 ㎖ | ||
M9 salts | Na2HPO4·7H2O | 1.765 g | 200 ㎖ |
KH2PO4 | 10.95 g | ||
NaCl | 5 g | ||
NH4Cl | 1.54 g | ||
최종부피 | 1 ℓ | ||
멸균함 | |||
최종부피 | 1 ℓ |
Claims (3)
-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기;
클로로비움속 세균(Chlorobium sp.), 크로마튬속 세균(Chromatium sp.), 로도스피릴륨속 세균(Rhodospirillum sp.), 로돕센도모나스속 세균(Rhodopsendomonas sp.), 로도박터속 세균(Rhodobacter sp.) 및 로돕슈도모나스속 세균(Rhodopseudomonas s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광합성 세균을 포함하는 세균 배양기; 및
상기 미생물 배양기와 세균 배양기 사이를 연결하고, 미생물 배양기와 세균 배양기의 기체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배양로;
를 포함하는 미생물 분리배양 장치를 이용한 폐배지 재사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양로는 미생물 배양기의 이산화탄소를 세균 배양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분리배양 장치를 이용한 폐배지 재사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도박터속 세균은 로도박터 스페로이드 변이균주(기탁기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기탁번호: KACC91572P, 기탁일자: 2010년 8월 12일) 및 로도박터 스페로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분리배양 장치를 이용한 폐배지 재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6183 | 2013-08-13 | ||
KR20130096183 | 2013-08-13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3994A Division KR101649582B1 (ko) | 2013-08-13 | 2014-08-11 | 미생물 분리배양 장치 및 미생물 배양 폐배지 재사용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3953A KR20160073953A (ko) | 2016-06-27 |
KR101808429B1 true KR101808429B1 (ko) | 2017-12-14 |
Family
ID=525792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3994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9582B1 (ko) | 2013-08-13 | 2014-08-11 | 미생물 분리배양 장치 및 미생물 배양 폐배지 재사용 방법 |
KR1020160074078A Active KR101808429B1 (ko) | 2013-08-13 | 2016-06-14 | 미생물 분리배양 장치 및 미생물 배양 폐배지 재사용 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3994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9582B1 (ko) | 2013-08-13 | 2014-08-11 | 미생물 분리배양 장치 및 미생물 배양 폐배지 재사용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164958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13370B (zh) * | 2019-03-01 | 2022-08-09 | 郭聃洋 | 一种微生物回收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46812A (en) * | 1968-02-09 | 1970-12-15 | City Of Kiryu | Process for treating excrement by microorganisms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
KR970015729A (ko) * | 1995-09-23 | 1997-04-28 | 유충식 | 식품가공폐수를 이용한 광합성 세균의 고농도 배양방법 |
KR20100111027A (ko) * | 2009-04-06 | 2010-10-14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폐기물의 악취 저감 및 재활용 방법 |
KR101191326B1 (ko) * | 2012-05-03 | 2012-10-16 | 주식회사 다빔솔루션 | 담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
-
2014
- 2014-08-11 KR KR1020140103994A patent/KR10164958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06-14 KR KR1020160074078A patent/KR101808429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0507A (ko) | 2015-02-26 |
KR101649582B1 (ko) | 2016-08-22 |
KR20160073953A (ko) | 2016-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068715A1 (en) | Method of producing bio-ethanol | |
CN108048344B (zh) | 两株除臭菌株及其在制备复合生物除臭剂中的应用 | |
CA1301684C (en) | Aureobasidium sp. microorganisms, method for obtaining the same,and method for preparing erythritol with the same | |
CN102174449A (zh) | 一种高产γ-氨基丁酸的生产方法及应用 | |
JP2008538914A (ja) | リグニン分解酵素の生産のための木材腐朽担子菌 | |
KR20180002772A (ko) | 유글레나를 사용한 유기산의 생산 방법 | |
CN108102962A (zh) | 一种厦门芽孢杆菌及其应用 | |
CN113957016B (zh) | 一种枯草芽孢杆菌及利用枯草芽孢杆菌制备奶香型冬虫夏草发酵液的方法 | |
CN1067725C (zh) | 一种利用微生物发酵生产α、ω-长链二元酸的方法 | |
EP3498855A1 (en) | Process for the cultivatio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starch | |
JPS60244295A (ja) | (十)‐トランス‐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 |
KR101808429B1 (ko) | 미생물 분리배양 장치 및 미생물 배양 폐배지 재사용 방법 | |
CN111621528B (zh) | 一种生物合成乙醇胺的方法 | |
EP0079241B1 (en) | Process for producing glutathione | |
Takamizawa et al. | β-hydroxypropionic acid production by Byssochlamys sp. grown on acrylic acid | |
CN103667107B (zh) | 一种产l-乳酸的屎肠球菌菌株 | |
CN107760605A (zh) | 一种利用微藻培养净化豆腐废水的研究方法 | |
CN113337432B (zh) | 一种产吡咯喹啉醌的食甲基菌及其应用 | |
EP0434393A2 (en) | Process for preparation of R-(-)-3-halogeno-1,2-propanediol by treatment with microorganism | |
JP2009148212A (ja) | マンニトールの発酵製造方法及びその実施に用いる微生物 | |
RU2830307C1 (ru) | Способ промышленного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штамма erysipelothrix rhusiopathiae вр-2 с добавлением азота | |
CN115975826B (zh) | 一种酿酒酵母mStr003及其在生产β-熊果苷中的应用 | |
CN103255084A (zh) | 一种地衣芽孢杆菌7172及其应用 | |
KR100467789B1 (ko) | 유기화합물의 혐기발효에 의한 수소 생산방법 | |
JPH01108988A (ja) | 焦性ぶどう酸の製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212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120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