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07592B1 -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592B1
KR101807592B1 KR1020150166651A KR20150166651A KR101807592B1 KR 101807592 B1 KR101807592 B1 KR 101807592B1 KR 1020150166651 A KR1020150166651 A KR 1020150166651A KR 20150166651 A KR20150166651 A KR 20150166651A KR 101807592 B1 KR101807592 B1 KR 101807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film
chlorine
plasma
hypochlorite
sod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797A (ko
Inventor
구옥경
김윤지
임은섭
이은정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5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5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3/34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23L3/26
    • A23L3/3463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에 의해서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바이오필름이 형성된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염소계 살균제를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살균제 처리된 표면에 플라즈마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처리에 의한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오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살균 제어 수단으로부터 보호막을 형성하는 병원성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식품을 제조, 가공하는 설비 표면에 부착되어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병원성 미생물을 완벽한 수준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Method of Removing Biofilm}
본 발명은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제와 플라즈마의 복합처리를 통해 식품과 접촉하는 표면인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부착되어 형성된 바이오필름 형성 식중독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제조가공하는 시설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위생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CIP(clean in place)를 진행하며, 이 외에도 수시로 세척과 소독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벽한 소독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미처 닿지 못한 설비 표면에서 미생물은 보호막을 형성하면서 생장을 한다. 이러한 보호막을 바이오필름이라고 한다.
바이오필름은 우리 생활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로 구강 내 충치나 인공장기, 인공호흡기 등의 감염 원인이 되며 수도관, 하수관 등의 수질 악화 원인이 되거나 생산 효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바이오필름의 형성 억제 및 제거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식품위생과 바이오필름의 상관관계를 인지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노력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바이오필름이란 미생물이 영양상태가 낮은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비가역적으로 표면에 부착하여 존재하는 고착 상태의 미생물 커뮤니티로, 최근 연구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이 다른 미생물들과 함께 식품 또는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붙어 군집을 형성함으로써 오랜 기간 살아남을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형성된 바이오필름은 살균제나 항생제로부터 더 큰 저항성을 가지며 살균과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다른 식품과 직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2차 오염을 야기, 공중위생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식중독균에 의한 교차오염뿐만 아니라 부패균에 의한 오염으로 식품의 품질 및 유통기한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바이오필름의 제거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제어 방법으로 신규 또는 천연 항균제 개발, 나아가 쿼럼 센싱(Quorum sensing)과 같은 미생물간의 의사소통 경로를 차단하는 물질 개발이 있다. 특히 쿼럼 센싱의 활용은 미생물은 단독으로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에 서로를 필요로 하며, 그 경로를 차단하면 미생물의 생장 및 생물막 형성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에서 착안된 것이다. 이로써 슈퍼박테리아를 키우기보다는 공생을 통해 그들을 이해하고 저항성을 최소화하면서 감염 확률을 낮춘다.
이와 같이 바이오필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신규 물질 또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성도 있지만,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살균소독제에 대해 바이오필름 형성 시 세균의 생리학적 특성의 변화, 그리고 살균소독제를 통해 식품 접촉 표면에서 바이오필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세균을 제어할 수 있는 최적화된 조건을 찾는 연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면서 존재하는 식중독균이나 부패균은 살균소독제나 물리적인 세척과정에도 살아남아 교차오염을 일으키며 제품의 품질 및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실제로 원료가 미생물에 오염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초기 조리/살균 과정을 거치는 동안 미생물의 농도는 급격히 떨어지나 이후 가공 공정 과정에서 그 농도는 다시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으며 이는 바이오필름에 의한 오염으로 추정되며 이에 대한 제어가 간절히 요구되고 있다. 살균소독제는 유기물 존재 하에 그 활성이 급격히 떨어지며 고온고압세척 등의 과정에도 불구하고 바이오필름을 형성한 미생물은 저항성이 증가하면서 제어는 더욱더 힘들어진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1111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이오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살균 제어 수단으로부터 보호막을 형성하는 병원성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처방에 의하여 식품을 제조, 가공하는 설비 표면에 부착되어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병원성 미생물을 완벽한 수준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미생물에 의해서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바이오필름이 형성된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살균제를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살균제 처리된 표면에 플라즈마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처리에 의한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단계 후에 살균제를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제는 염소계 살균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염소계 살균제는 삼염화이소시아뉼산, 삼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삼염화이소시아뉼산칼륨, 아염소산염, 염소산염, 이산화염소, 이산화염소시아뉼산, 이산화염소시아뉼산나트륨, 이산화염소시아뉼산나트륨이수화물, 차아염소산,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리튬, 차아염소산칼륨 및 차아염소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염소계 살균제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차아염소산수 및 이산화염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미생물은 E. coli , Acinetobacter , Bacillus, Kocuria , Staphylococcus, Enterobacter sakazakii ,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 aureus , Vibrio parahaemolytic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공정은 Ar zet, air zet 및 오존발생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r zet는 OH, O3 라디칼을 발생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ir zet는 NO 라디칼을 발생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오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살균 제어 수단으로부터 보호막을 형성하는 병원성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식품을 제조, 가공하는 설비 표면에 부착되어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병원성 미생물을 완벽한 수준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병원성 대장균에 대한 각각의 플라즈마 단일 처리(Air zet, Ar zet, 오존플라즈마 발생장치)시 살균 효과의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
도 2는 병원성 미생물과 일반 미생물의 다양한 살균제에 대한 민감도를 측정하는 실험의 PCA 분석 결과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과 플라즈마의 복합처리시 살균 제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과 플라즈마의 복합처리시 살균 제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수와 플라즈마의 복합처리시 살균 제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제제와 플라즈마의 복합처리시 살균 제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비교예로서 과산화수소와 플라즈마의 복합처리시 살균 제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병원성 대장균).
도 8은 비교예로서 과산화수소와 플라즈마의 복합처리시 살균 제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황색포도상구균).
본 발명은, 미생물에 의해서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바이오필름이 형성된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살균제를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살균제 처리된 표면에 플라즈마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처리에 의한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최근의 연구로부터 미생물이 영양상태가 낮은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표면에 부착하여 바이오필름을 형성함으로써 미생물 커뮤니티의 형태로서 생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바이오필름을 형성하여 커뮤니티로서 존재하는 미생물은 종래의 미생물의 생존 매커니즘과는 다른 형태의 생존 방식을 따르게 된다.
즉, 살균제 등 종래의 살균 처리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바이오필름의 완전한 제거 및 살균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이러한 바이오필름은 살균제나 항생제에 대한 보다 더 큰 저항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살균 처리 공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바이오필름은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데, 예를 들어 다른 식품과의 접촉으로 2차 오염을 발생시키게 되고, 식품조리를 담당하는 단체급식소 등에서 단체 식중독을 발생시키는 등의 공중 위생에 심각한 위협 발생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병원성 미생물균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이종의 제어방법의 복합 처리 방법, 즉 화학적·물리적 제어 수단의 복합 처리 방법을 통해 효과적이고 완벽한 제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에 의해서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 바이오필름이 형성된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살균제를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살균제 처리된 표면에 플라즈마를 처리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바이오필름 제거방법은 상기 (a)단계 후에 살균제를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살균제의 잔여 살균 효과가 더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고 플라즈마와의 복합처리 효과를 확인한 결과 높은 수준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이오필름 제거방법은 살균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두 가지 살균처리 공정을 단순히 조합한 것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특정의 매커니즘에 따라 살균과정을 진행하는 물리적 살균처리공정 및 화학적 살균처리공정의 두 가지 공정을 선별하여 복합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개별 처리만으로는 얻을 수 없었던 완전한 수준의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필름 제거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살균제로는 염소계 살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즈마와의 복합처리에 의한 뛰어난 제어 효과는, 각각의 두 개의 항균방법의 처리시 예측되는 제어 효과를 넘는 뛰어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는 경우 얻을 수 있다. 가령 염소계 살균소독제는 강한 산화제로 물과 만나 HOCl-와 OCl-이온이 아미노산 분해 및 가수분해를 일으키면서 세균의 주요 효소 작용을 비가역적으로 불활성화시키면서 대사 활동을 저해시켜 살균 효과를 가진다. 이때 병원성 대장균은 다른 병원균, 그람 양성균을 포함한 일반 미생물에 비해 차아염소산나트륨에 대한 저항성이 높으므로 다른 균에 대해서 활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플라즈마의 제어 기작과는 다른 타겟으로 염소계 성분이 작용함으로써 제어가 이루어지지만, 염소계 살균제 단일 처리만으로는 만족할 만한 제어 수준을 얻을 수 없으며, 특히 식품을 대상으로 하는 식품가공 표면의 경우 불완전한 처리에 의하여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불완전한 살균제어 효과를 가진 염소계 살균제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와의 복합처리로 상호 보완적이며 보다 뛰어난 제어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 큰 의미가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필름 제거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염소계 살균제는 삼염화이소시아뉼산, 삼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삼염화이소시아뉼산칼륨, 아염소산염, 염소산염, 이산화염소, 이산화염소시아뉼산, 이산화염소시아뉼산나트륨, 이산화염소시아뉼산나트륨이수화물, 차아염소산,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리튬, 차아염소산칼륨, 차아염소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살균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병원성 대장균은 살균제에 대한 전반적으로 높은 저항성을 보이고, 다음의 균주에 대해서도 동일하거나 비슷한 수준의 제어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바이오필름 제거방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미생물은 E. coli , Acinetobacter , Bacillus, Kocuria , Staphylococcus, E. sakazakii , L. monocytogenes , Salmonella, Staph. aureus , 또는 V. parahaemolyticus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필름 제거방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 공정은 Ar zet, air zet 또는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Ar zet는 OH, O3 라디칼을 발생시키며, 상기 air zet는 NO 라디칼을 발생시키며, 상기 오존발생장치는 O3를 발생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발생장치로는 상기 조건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유전체장벽방전(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RF(radio frequency), LF(low frequency), 코로나(corona),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type 등 플라즈마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 조건]
1. 대상 미생물: 병원성 대장균 (E. coli O157:H7 ATCC 43894)
-80?에서 보관해둔 균주를 TSA (tryptic soy agar) 배지에 streaking하여 37?, 18시간 배양 후 자란 콜로니 하나를 TSB (tryptic soy broth) 배지 5 ml에 37?, 16-18 시간 배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2. 대상 식품접촉표면: stainless steel (SS) 모델: SUS304
3. 표면 접촉 조건 (biofilm formation): 6 well plate 상에 대상 미생물을 108 CFU/ml의 농도로 SS에 접종한 후 섭씨 37℃에서 2시간 방치 후 PBS 용액으로 세 번 세척하여 부착되지 않은 미생물을 제어한 뒤, 새로운 TSB 배지에 넣고 섭씨 37?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바이오필름을 형성시켰다.
배양 후 PBS 용액으로 세 번 세척한 뒤 플라즈마 처리시 수분에 의한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30분간 건조시켰다.
[실험 방법]
1. 실험은 다음의 네 가지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A. 대조군: 살균제 대신 PBS를 10분 방치 후, PBS 세척한 뒤 glass beads를 넣고 vortexing을 통해 부착균을 확보하였다. 이후 TSA배지에 도말한 뒤 배양하여 정량분석을 하였다.
B. 살균제 처리군: 각 살균 성분을 스테인리스 스틸에 10분 방치 후 PBS 세척한 뒤 Dey-Engley neutralizing broth를 넣고 10분 방치를 통해 살균 성분을 중화시킨 후 glass beads를 넣고 vortexing을 통해 남은 부착균을 확보하였다. 이후 TSA배지에 도말한 뒤 배양하여 정량분석을 하였다.
C. 플라즈마 처리군: 각 플라즈마를 각 시간조건에 따라 처리한 뒤 (0, 1, 2, 5, 10분), PBS와 glass beads를 넣고 vortexing을 통해 남은 부착균을 확보하였다. 이후 TSA배지에 도말한 뒤 배양하여 정량분석을 하였다.
D. 살균제와 플라즈마 복합 처리군: 먼저 살균 성분을 스테인리스 스틸에 10분 방치 후 PBS 세척한 뒤, Dey-Engley neutralizing broth를 넣고 10분 방치를 통해 살균 성분을 중화시킨 후 PBS 세척을 하고 30분 건조시켰다. 이후 플라즈마 처리를 한 뒤 PBS와 glass beads를 넣고 vortexing을 통해 남은 부착균을 확보하였다. 이후 TSA배지에 도말한 뒤 배양하여 정량분석을 하였다.
2. 살균 소독 성분
A. 염소계: sodium hypochlorite (200ppm)
B. 과산화수소계: Hydrogen peroxide (100mg/L)
3. 플라즈마 발생
A. Argon plasma: Jet type, 8~9W, microwave frequency, 1~5 slm, target radical (reactive nitrogen species (RNS))
B. Air plasma: Jet type, 8~9W, microwave frequency, 1~5 slm, target radical (OH radical)
C. 오존발생장치: DBD type, 8~9W, radio frequency, 10 slm, target radical (RNS, OH radical)
[결과]
본 발명을 위해 사용한 병원성 대장균은 E. coli O157:H7 ATCC 43894로 해당 균주는 바이오필름 형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실험방법인 crystal violet assay를 활용하여 비교한 결과 가장 뛰어난 부착능을 보여주었기에 본 발명에서도 활용하였다.
플라즈마에 의해 전자, 양이온, 음이온, 자유 라디칼, 그리고 자외선 광자 등을 포함한 reactive species가 존재하며 이러한 reactive species는 미생물 세포막을 통해 확산되면서 세포막의 지질과 단백질, 그리고 세포 내의 DNA와 같은 거대분자들과 반응하여 미생물 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플라즈마는 미생물의 저항성을 일으키지 않으며 친환경적인 제어방법이므로 앞으로 식품 제조 환경에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필름 제어 연구 결과 플라즈마에 의한 단일 처리로는 1.5~2.0 logCFU/ml 만 제어할 수 있었으며, 바이오필름 형성에 의한 제어 활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Air zet, Ar zet, 오존발생장치 plasma의 세가지 방법을 비교한 결과 모두 1.5 logCFU/ml 이내의 감소를 보여 플라즈마 단일처리로는 한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도 1).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던 살균제와의 복합 제어를 통해 그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세가지 플라즈마 처리 방법 중 추가적인 gas의 유입이 필요 없어 사용이 용이한 Air zet plasma를 이후에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병원성 미생물과 일반 미생물의 다양한 살균제에 대한 민감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2는 그 결과값을 PCA 분석을 통해 보여주고 있으며, 그 결과 균의 속 (genus)별로 상이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람 양성과 음성으로 나누면 그람 음성균이 대체로 4급 암모늄, 젖산, 아세트산에 대해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과산화수소와 차아염소산나트륨에 대해서는 살모넬라, 병원성 대장균, 사카자키균 등이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다양한 살균제와 Air zet plasma를 조합하여 병원성 대장균을 stainless steel에 48시간 처리한 후 살균제와 플라즈마 처리를 각각, 그리고 시간차 처리를 한 결과 개별 처리한 결과를 조합한 것보다 통합 처리한 결과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의 염소계 살균제들과 플라즈마 처리를 따로 처리한 경우와 복합처리를 한 경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각각의 실험에서 도 3은 차아염소산나트륨, 도 4는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도 5는 차아염소산수, 도 6은 이산화염소제제를 실험한 결과이다.
각각의 염소계 살균제들을 플라즈마와 함께 처리한 결과, 바이오필름 형성균을 거의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살균제와 플라즈마를 단일로 처리한 경우의 제어 수치를 단순 합한 것보다 월등히 높은 제어수준을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비교예로서 과산화수소를 플라즈마와 동일한 조건으로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은 대상 미생물을 병원성 대장균(E. coli)로 하였고, 도 8은 대상 미생물을 황색포도상구균으로 한 결과이다. 과산화수소의 경우 각각 별도로 살균처리를 한 경우와 복합처리를 한 경우를 비교하여도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실시예의 시너지 효과에 의한 완전한 살균 처리 효과와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미생물에 의해서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바이오필름이 형성된 식품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 표면에 염소계 살균제를 처리하는 단계;및
    (b) 상기 염소계 살균제 처리된 표면에 플라즈마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처리에 의한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후에 염소계 살균제를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처리에 의한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계 살균제는 삼염화이소시아뉼산, 삼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삼염화이소시아뉼산칼륨, 아염소산염, 염소산염, 이산화염소, 이산화염소시아뉼산, 이산화염소시아뉼산나트륨, 이산화염소시아뉼산나트륨이수화물, 차아염소산,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리튬, 차아염소산칼륨 및 차아염소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처리에 의한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계 살균제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차아염소산수 및 이산화염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처리에 의한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미생물은 E. coli , Acinetobacter , Bacillus, Kocuria, Staphylococcus, E. sakazakii , L. monocytogenes , Salmonella, Staph. aureus, V. parahaemolytic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처리에 의한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 공정은 Ar zet, air zet 및 오존발생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처리에 의한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r zet는 OH, O3 라디칼을 발생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처리에 의한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ir zet는 NO 라디칼을 발생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처리에 의한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10. 삭제
KR1020150166651A 2015-11-26 2015-11-26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Active KR10180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51A KR101807592B1 (ko) 2015-11-26 2015-11-26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51A KR101807592B1 (ko) 2015-11-26 2015-11-26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797A KR20170061797A (ko) 2017-06-07
KR101807592B1 true KR101807592B1 (ko) 2017-12-12

Family

ID=5922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651A Active KR101807592B1 (ko) 2015-11-26 2015-11-26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5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945B1 (ko) * 2022-01-12 2023-08-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UV-C와 전해수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병용처리를 이용한 Vibrio parahaemolyticus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9545A (ja) * 1998-11-06 2002-09-10 ユニベルシテ ドゥ モントリオール バイオフィルムを除去するための改良型の殺菌性及び非殺菌性溶液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9545A (ja) * 1998-11-06 2002-09-10 ユニベルシテ ドゥ モントリオール バイオフィルムを除去するための改良型の殺菌性及び非殺菌性溶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797A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hman et al. Electrolyzed water as a novel sanitizer in the food industry: current trends and future perspectives
Oniciuc et al. Food processing as a risk factor for antimicrobial resistance spread along the food chain
Liu et al. A review of bacterial biofilm control by physical strategies
Hao et al. Roles of hydroxyl radicals in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EOW) for the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Graca et al. The use of electrolyzed water as a disinfectant for minimally processed apples
Sharma et al. Treatment of Escherichia coli O157: H7 inoculated alfalfa seeds and sprouts with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Nam et al. Efficacy of gaseous chlorine dioxide in inactivating Bacillus cereus spores attached to and in a biofilm on stainless steel
Rahman et al. Stability of low concentration electrolyzed water and its sanitization potential against foodborne pathogens
Park et al. Inactivation of biofilm cells of foodborne pathogen by aerosolized sanitizers
Brelles-Mariño Challenges in biofilm inactivation: the use of cold plasma as a new approach
Bing et al. The synergistic effects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and UV-C light on the inactivation of Salmonella enteritidis on contaminated eggshells
Song et al. Inactivation of bacteria causing soft rot disease in fresh cut cabbage using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Cai et al. Response of formed‐biofilm of Enterobacter cloacae, Klebsiella oxytoca, and Citrobacter freundii to chlorite‐based disinfectants
Turantaş et al. Decontamination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washing on fruits and vegetables
KR101536936B1 (ko) 초음파와 세척수 처리를 병행한 미산성 전해수의 신선채소 살균방법.
Zhao et al. Plasma‐activated liquids for mitigating biofilms on food and food contact surfaces
Park et al. Synergistic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citric acid against Bacillus cereus cells and spores on cereal grains
KR101807592B1 (ko)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Ha et al. Synergistic effects of combined disinfecting treatments using sanitizers and UV to reduce levels of Bacillus cereus in oyster mushroom
Roushdy et al. Sporicidal effect of ozone on fungal and bacterial spores in water disinfection
KR20130048579A (ko) 차아염소산수에 대두 단백질을 포함하는 살균 소독제
Ha et al. Synergistic effects of combined disinfection using sanitizers and uv to reduce the levels of Staphylococcus aureus in oyster mushrooms
Mendez et al.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Chemical Sanitizers and UV-C Light on Listeria monocytogenes Biofilm Survivability.
Hassan et al. Evaluation of stabilised hydrogen peroxide as sanitiser in seafood processing industry
Yun et al. Effect of chlorine dioxide and sodium hypochlorite treatment on the reduction of foodborne pathogen in Korean ch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