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710B1 - Apparatus for evaluating a thermoelectric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valuating a thermoelectric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4710B1 KR101804710B1 KR1020160174673A KR20160174673A KR101804710B1 KR 101804710 B1 KR101804710 B1 KR 101804710B1 KR 1020160174673 A KR1020160174673 A KR 1020160174673A KR 20160174673 A KR20160174673 A KR 20160174673A KR 101804710 B1 KR101804710 B1 KR 1018047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ermoelectric element
- heat
- cooling
- module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7 hel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4 he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SWQJXJOGLNCZEY-UHFFFAOYSA-N helium atom Chemical compound [He] SWQJXJOGLNCZ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9 Pelti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35/30—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42—Testing semiconductor operation lifetime or reliability, e.g. by accelerated life tes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소자의 크기에 따른 평가장치에의 교체 장착이 용이하고 동시에 열전소자의 평가 중에 열전소자의 변화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전소자 시편의 상측에 맞닿는 발열모듈과 상기 열전소자 시편의 하측에 맞닿는 냉각모듈과 상기 발열모듈 및 냉각모듈에 각각 하나 이상 장착되어 상기 열전소자 시편의 온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평가장치부와, 상기 발열모듈 및 냉각모듈과 연결되어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부 및 상기 데이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서 상기 열전소자의 발전효율 및 냉각효율을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온도센서는 상기 발열모듈 및 냉각모듈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열의 흐름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valuating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oelectric element which is easy to replace and attach to an eval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ize of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can correct a chang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during evalu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sample,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module, a data unit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and collect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roller coupled to the data unit, And 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a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a cooling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by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Wherein the heat gener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temperature can be measur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hea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소자의 크기에 따른 평가장치에의 교체 장착이 용이하고 동시에 열전소자의 평가 중에 열전소자의 변화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valuating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n apparatus for evaluating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oelectric element.
열전소자라 함은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을 나타나는 각종 효과를 이용한 소자들을 말하는데, 크게는 2종류 금속의 양끝을 접속하여 그 양끝 온도를 다르게 하면 기전력이 생기는 현상인 제베크효과를 이용한 소자, 2종류의 금속 끝을 접속시켜 여기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인 펠티에효과를 이용한 소자인 펠티에소자 등이 있다. The term "thermoelectric element" refers to a device using various effects that exhibit heat and electricity interaction. The element is mainly composed of two elements, ie, a device using a Hebeck effect,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an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when two ends of a metal are connected, And a Peltier element that uses a Peltier effect,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heat is generated at one terminal and heat is generated at the other terminal depending on the current direction when a current is passed through the terminal.
위와 같은 열전소자의 효과를 이용하면 냉각장치, 가열장치 및 발전장치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고 이렇게 열전소자가 이용된 장치들은 다양한 제품에 응용이 가능하여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에는 새로의 소재의 개발로 인하여 기존의 효율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열전소자의 개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By utilizing the effect of the above-mentioned thermoelectric ele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make a cooling device, a heating device and a power generation device, and the devices using the thermoelectric device can be applied to various products, and the demand for a product using the thermoelectric device is steadily increasing It is a situation. Especially, recently,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has raised expect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rmoelectric devices that can overcome the existing efficiency limit, and so much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been carried out all over the world.
그런데 이와 같이 열전소자가 근래에 들어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상용화되는 추세에 있지만, 정작 열전소자를 판별하기 위한 평가장치의 개발은 미진한 실정이다. However, although thermoelectric elements have been widely used and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device for discriminating thermoelectric elements has been limited.
또한, 열전소자는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재료의 혼합비에 따라 그 발전 특성 또는 냉각 특성이 매우 다양하게 변화하게 되므로 열전소자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열전소자 평가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Since it is important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objectively, the thermoelectric device can change its power generation characteristic or cooling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material used and the mixing ratio of the materi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valuation apparatus.
특히, 열전소자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열전소자를 일정한 온도 및 압력 조건하에 열전소자의 발열측에 열을 가하여 이에 따른 발전량 및 흡열량을 측정하게 되는데, 보통 열전소자를 가열하기 위해 발생된 열은 전도, 대류, 복사의 형태로 일정량 외부로 방출되게 되어 가해진 열량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a thermoelectric element, heat is applied to the heat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under a constant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 to measure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and the amount of heat absorbed thereb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alculate the amount of heat applied since it is released to a certain amount outside in the form of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tion.
그리고, 열전소자를 평가장치에 적재하여 측정 시 열전소자와 가열원과의 접촉 상태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측정하는 중에는 열전소자와 가열원과의 접촉 상태를 계속하여 일정하게 유지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addition, since the measurement value varies depending on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heating source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loaded on the evaluation device,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heating source must be kept constant during the measurement Lt; / RTI >
열전소자의 특성 평가는 위와 같이 측정 환경이나 측정 조건에 의하여 달라지므로 측정 중에 계속하여 평가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측정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열전소자 평가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hermoelement evaluation device which can keep the evaluation condition constant during measurement and reduce the measurement error because the evalu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rmoele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environment or measurement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관련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9514호(2016.05.09 공개)가 있다.A related prior art i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6-0049514 (published May 2016, 20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열전소자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열전소자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에 열량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센서를 구비함과 동시에 열전소자와 열원 사이의 접촉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가압장치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열전소자의 발전효율 및 냉각효율 평가를 위한 측정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는 열전소자의 발전효율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ing unit for heat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plurality of sensors for measuring a heat amount in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a cooling efficiency evaluation device of a thermoelectric element that can reduce a measurement error because the measurement conditions for evaluat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oelectric element can be kept constant by having a pressurizing device capable of keeping the contact state constant And the lik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는, 열전소자 시편의 상측에 맞닿는 발열모듈과 상기 열전소자 시편의 하측에 맞닿는 냉각모듈과 상기 발열모듈 및 냉각모듈에 각각 하나 이상 장착되어 상기 열전소자 시편의 온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평가장치부와, 상기 발열모듈 및 냉각모듈과 연결되어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부 및 상기 데이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서 상기 열전소자의 발전효율 및 냉각효율을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온도센서는 상기 발열모듈 및 냉각모듈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열의 흐름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evaluating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oelectric element, including: a heat generating module contacting an upper side of a thermoelectric element specimen; a cooling module contacting a low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specimen; An evalua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ment sample,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sensor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And a calc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data unit and calculating a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a cooling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cooling modul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of heat flow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n order to measure FIG.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장치부는, 상기 발열모듈의 상단에 위치한 가압용모터와, 상기 가압용모터의 하부에 위치하되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개의 슬라이딩기둥에 삽입된 후 상기 가압용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모듈의 상부를 눌러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슬라이딩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valuating unit may include a pressing motor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heating module, and a plurality of sliding columns vertical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motor, and connected to the pressing motor, And a sliding module for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frame to apply pressure.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모듈의 슬라이딩프레임은, 판형의 형상을 한 한 쌍의 플레이트가 하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직가이드프레임과, 판형의 형상을 한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수직가이드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수평가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liding frame of the pressing module includes a vertical guide frame in which a pair of plates having a plate-like shape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ate having a plate- And a horizontal guide frame fixedly inserted between the frames.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수평가이드프레임의 하부면과 상기 발열모듈 사이에 위치하는 로드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열팽창에 따른 가압력 변화를 인지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발열모듈에 가해지는 압력을 보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essur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load cell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guide frame and the heat-generating module to recognize a change in pressing force due to thermal expans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Can be corrected.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모듈은, 기둥형상을 하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수직하게 관통되도록 결합된 후 종단부가 상기 수평가이드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발열모듈에 닿을 수 있는 다수개의 플런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이 하강할 때 상기 발열모듈을 누를 수 있고 동시에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ress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lungers having a columnar shape and coupled to penetrate through the sliding frame vertically and then having a longitudinal portion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guide frame to contact the heating module, So that the heat generating module can be depressed at the time of descending, and at the same time, a buffering action can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모듈은, 상기 한 쌍의 수직가이드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 하부면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여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열차단블록과, 상기 열차단블록의 하부면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열을 발산시킬 수 있는 히터블록 및 상부면은 상기 히터블록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하부면은 열전소자 시편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히터블록에서 발산된 열을 상기 열전소자 시편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제1 열전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eat generating module may include: a cartridge which is slidably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guide frames; a heat block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rtridge and in which cooling water flows to block heat; The heater block being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and having a heating means therein to radiate heat and an upper surfac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heater block and a lower surface to position the thermoelectric device specimen, And a first heat transfer block capable of transferring heat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sample.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모듈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 사이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열모듈 전체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eat generating module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cartridge to be detached between the vertical guide frames, thereby replacing the entire heat generating module.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모듈은,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여 주위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수블록과, 하단은 상기 냉각수블록의 상부면에 결합되되 고정지그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면은 열전소자 시편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열전소자 시편이 상기 냉각수블록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열전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oling module includes: a cooling water block capable of cooling the periphery by allowing cooling water to flow therein;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oling water block and fixed by a fixing jig; And a second heat transfer block for allow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sample to be cooled by the cooling water block.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모듈은, 상기 제2 열전달블록을 고정지그에 밀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냉각모듈클램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열전달블록이 상기 고정지그에서 탈착되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ol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module clamp that can fix the second heat transfer block to the fixing jig so that the second heat transfer block can be detached from the fixing jig, can do.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모듈은, 상기 냉각수블록과 상기 제2 열전달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온도제어열전소자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열전소자 시편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냉각수블록과 함께 2중으로 상기 열전소자 시편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ol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emperature-controlled thermoelectric elements positioned between the cooling water block and the second heat transfer block to precis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ment samp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sample can be controlled in a double mann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는, 열전소자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열전소자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에 열량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온도센서를 일정간격으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열의 흐름방향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온도를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evaluating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oelectric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for measuring a heat amount in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temperature can be measured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heat.
또한, 상기 평가장치에 열전소자와 열원 사이의 접촉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가압장치를 함께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열전소자의 시험 중에 상기 열전소자의 열팽창에 따른 시험 조건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보정할 수 있어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evaluation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pressurizing device capable of keep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heat source constant, it is possible to detect a change in the test condition due to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during the tes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So that the accuracy of measuremen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평가장치에 장착되는 발열모듈과 냉각모듈 일체가 탈착이 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시험대상인 열전소자의 크기에 변하더라도 그 크기에 맞는 발열모듈과 냉각모듈로 교체하여 평가장치에 탈착할 수 있어 시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integrally attached to the evaluation device are detachable, even if the siz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be tested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And the test convenience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평가장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압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열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사사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냉각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n apparatus for evaluating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valuation device shown i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pressure module shown in FIG. 2 in detail.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t generating module shown in FIG. 2 in detail.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oling module shown in FIG. 2 in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먼저, 열전소자에 의한 발전은 열전소자의 일측으로 열을 공급하면 열전소자는 타측으로 열을 방출하고 그에 따라 열전소자에는 기전력이 생성되어 발전하게 되며 발전된 전기는 외부로 공급되는 대략적인 과정을 거친다. 이 때, 열전소자 시편에 가해지 가열량과 열전시편을 통해 발전된 발전량을 정확히 산출함으로써 이들을 통해 해당 열전소자의 발전효율을 계산한다. First, when a thermoelectric element generates heat by supplying heat to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thermoelectric element emits heat to the other side, thereby generating an electromotive force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generate electric power, and the generated electric power is roughly supplied to the outside . At this tim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calculated by accurately calculating the amount of heating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sample 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의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는 열전소자 발전효율과 냉각효율 산출에 반드시 필요한 열전소자 시편(10)에 흡수되는 흡열량(Q)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도록 안출된 장치이다. The device for evaluating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oelectr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designed to accurately calculate the heat absorbing amount Q absorbed in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평가장치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는, 열전소자 시편(10)의 상측에 맞닿는 발열모듈(120)과 상기 열전소자 시편(10)의 하측에 맞닿는 냉각모듈(130)과 상기 발열모듈(120) 및 냉각모듈(130)에 각각 하나 이상 장착되어 상기 열전소자 시편의 온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온도센서(125, 135)를 포함하는 평가장치부(100)와, 상기 발열모듈 및 냉각모듈과 연결되어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온도센서(125, 135)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125, 135)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부(300) 및 상기 데이터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125, 135)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서 상기 열전소자의 발전효율 및 냉각효율을 산출하는 연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n apparatus for evaluating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valu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The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efficiency evaluating apparatus includes a
여기서, 다수의 온도센서(125, 135)는 평가장치부(100)에 장착된 발열모듈(120) 및 냉각모듈(130)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열의 흐름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plurality of
평가장치부(100)는,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 프레임(112)과 하부프레임(113)이 다수개의 기둥으로 연결되고 그 사이에 시험 중에 열전소자 시편(10)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는 가압모듈(110), 열전소자 시편(10)의 일측에 열을 가하는 발열모듈(120) 및 열전소자 시편(10)의 타측을 냉각하는 냉각모듈(130)이 장착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valuatin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압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측면도로서, 가압모듈(110)은 발열모듈(120)의 상단에 위치한 가압용모터(111)와, 상기 가압용모터(111)의 하부에 위치하되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개의 슬라이딩기둥에 삽입된 후 상기 가압용모터(111)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모듈의 상부를 눌러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슬라이딩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가압용모터(111)는 상부프레임(112)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데 가압용모터 연장로드(111a)가 슬라이딩프레임(114)과 연결되도록 하여 가압용모터(111)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프레임(114)을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The
또한, 가압용모터(111)는 제어부(200)와 연결되어서 슬라이딩프레임(114)의 승하강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발열모듈(1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실험 중에 열이 가해진 열전소자 시편(10)의 팽창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여 항상 일정한 정도로 열전소자 시편(10)이 발열모듈(120)과 냉각모듈(130) 사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pressing
슬라이딩프레임(114)은 판형의 형상을 한 플레이트로서 상부프레임(112)과 하부프레임(113)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가압용모터(1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12)과 하부프레임(113)을 연결하며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개의 슬라이딩기둥(115)에 의해 가장자리 부분이 관통되며 삽입되어서 위아래로 자유로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슬라이딩프레임(114)에는 슬라이딩기둥(115)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고 슬라이딩기둥(115)의 개수만큼의 슬라이딩기둥(115)이 관통될 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슬라이딩기둥(115)은 그 단면의 모양과 그 개수에 있어서 각각 원형의 모양을 갖고 사각형의 슬라이딩프레임(114) 네 모서리를 관통할 수 있도록 4개로 구성되었지만 이러한 슬라이딩기둥(115)의 형상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sliding
슬라이딩프레임(114)은 가압용모터(111)의 연장로드(111a)의 종단부가 연결되어서 가압용모터(111)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되어서 결과적으로 상기 발열모듈(120)의 상부를 눌러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슬라이딩프레임(114) 하부에는 발열모듈(120), 열전소자 시편(10), 냉각모듈(130)이 차례대로 배치되어 있어서 발열모듈(120)에 압력을 가하면 발열모듈(120)과 냉각모듈(130) 사이에 위치한 열전소자 시편(10)에 압력을 가하는 구조가 된다. The sliding
위와 같이 구성되는 가압모듈(110)은 상수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위치하는 발열모듈(120)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구조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The pressurizing
즉, 가압모듈(110)은 슬라이딩프레임(114) 하부면에 장착되어 발열모듈(120)에 안정적이고 정확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발열모듈(120)이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인, 수직가이드프레임(116)과 수평가이드프레임(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수직가이드프레임(116)은 판형의 형상을 한 한 쌍의 플레이트가 하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하게 결합되는 구조체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모듈(120)을 고정시켜 발열모듈(120)에 안정적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수직가이드프레임(116)의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는 발열모듈(120)이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는 홈을 가지되 발열모듈(120)에 압력을 가할 때 플레이트 사이에서 발열모듈(120)이 위아래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The
수평가이드프레임(117)은 판형의 형상을 한 플레이트 구조체를 갖고 수직가이드프레임(116)인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수평가이드프레임(117)은 수직가이드프레임(116)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에 결합되는 수직가이드프레임(116)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 The
또한, 수평가이드프레임(117)에는 플런저(118)가 관통될 수 있는 플런저홀(117a)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서 플런저(118)가 발열모듈(120)을 내려 누르며 압력을 가할 때 비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기능을 한다. 플런저(118)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One or more plunger holes 117a through which the
따라서, 슬라이딩프레임(114) 하부면에 결합된 수직가이드프레임(116)과 수평가이드프레임(117)에 의하면 이에 결합되는 발열모듈(120)은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가압모듈(110)은, 발열모듈(120)에 압력을 가할 때 완충역활을 하는 다수개의 플런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플런저(118)는 일반적으로 피스톤과 실린더의 조합으로 내부에 유체의 압축이나 압력의 전달에 사용하는 기계부품으로서, 기둥형상을 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14)의 중심부분에, 그리고 상기 가압용모터(111)의 연장로드(111a)의 주위로 수직하게 관통되도록 다수개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그 후 플런저(118)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로드의 종단부는 상기 수평가이드프레임(117)을 관통하여 발열모듈(120)의 상부면에 닿을 수 있도록 장착된다. 수평가이드프레임(117)을 관통해 발열모듈(120)에 닿아있는 플런저(118)는 차후 제어부(200)가 가압모터(111)를 작동시켜 슬라이딩프레임(114)을 하강시킬 때, 플런저(118)는 슬라이딩프레임(114)에 고정 결합되어 같이 하강하고 그에 따라 플런저(118)의 피스톤로드 종단부는 발열모듈(120)의 상부면을 내려 누를 수 있고 압력을 가하게 된다. The
특히, 이러한 다수개의 플런저(118)가 발열모듈(120)을 누를 때 발열모듈(120)에 갑작스런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즉, 즉, 플런저(118)의 실린더 내의 액체에 의해 피스톤이 충격을 상쇄하면 움직이는 일반적인 플런저의 기능에 의해 발열모듈(120)에 대해 완충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when the plurality of
가압모듈(110)은 발열모듈(1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발열모듈(120)과 냉각모듈(130) 사이에 위치한 열전소자 시편(10)의 압력을 제어하는 로드셀(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로드셀(119)은 상기 수평가이드프레임(117)의 하부면과 상기 발열모듈(120) 사이에 위치하고 제어부(200)와 연결되어서, 제어부(200)가 열전소자 시편(10)의 열팽창에 따른 가압력 변화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제어부(200)가 상기 발열모듈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가압용모터(111)를 제어하여 열전소자 시편(10)에 가해지는 압력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The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열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사사도로서, 발열모듈(120)은, 슬라이딩프레임(114)의 하부면에 결합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프레임(116) 사이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며 착탈되는 카트리지(121)와, 상기 카트리지(121) 하부면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여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열차단블록(122)과, 상기 열차단블록(122)의 하부면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열을 발산시킬 수 있는 히터블록(123) 및 상부면은 상기 히터블록(123)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하부면은 열전소자 시편(10)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히터블록(123)에서 발산된 열을 상기 열전소자 시편(10)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제1 열전달블록(124)을 포함하여 열전소자 시편(10)의 상측에 열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 The
카트리지(121)는 슬라이딩프레임(114)의 하부면에 결합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프레임(116) 사이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며 착탈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수직가이드프레임(116) 사이의 간격과 일치하는 폭을 가진 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형상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카트리지(121)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용걸림단(121a)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용걸림단(121a)이 수직가이드프레임(116)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끼워지면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을 하고, 이 때 수직가이드프레임(116)의 홈은 상하로 일정 정도의 유격을 갖도록 하여 카트리지(121)에 양측면에 결합된 결합용걸림단(121a)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A plurality of engaging latching ends 121a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이 때, 발열모듈(120) 전체는 그 크기가 열전소자 시편(10)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열전소자 시편(10)을 교체할 때 마다 발열모듈(120)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이때, 간편하게 카트리지(121)를 탈착함으로써 이러한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entire
열차단블록(122)은 카트리지(121) 하부면에 결합되되 일측면에는 냉각수유출입구(122a)가 형성되어 냉각수유출입구(122a)를 통해 열차단블록(122)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여 열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열전소자 시편(10)에 대한 시험 중에는 열전소자 시편(10)에 열을 가하게 되는데, 이 때 가해진 열이 상측으로 대류 되는 것을 방지하고 온전히 열전소자 시편(10)에만 가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열차단블록(122)에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로 단열을 위해서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였지만, 이 외에 한정하지 않고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기타 단열재료를 채워 넣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로는 보통은 액체 질소가 사용되기도 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액체 헬륨, 프레온 가스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In the
히터블록(123)은 열차단블록(122)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가열수단(123b)이 구비되어 열을 발산시킬 수 있고 그 아래로는 열전달블록(124)이 결합된다. 히터블록(123)의 몸체는 단열재(123a)로 이루져 있으며 내부의 가열수단(123a)으로는 보통 열선이 구비된다. The
제1 열전달블록(124)은 열전소자 시편(10)의 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부면이 상기 히터블록(123)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하부면은 열전소자 시편(10)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히터블록(123)에서 발산된 열을 상기 열전소자 시편(1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The first
제1 열전달블록(12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각 기둥 형상을 하고 히터블록(123)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높은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재질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first
제1 열전달블록(124)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제1 온도센서(125)가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장착홀이 장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제1 온도센서(1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열전달블록(124)을 흐르는 열의 흐름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온도를 계측하기 위하여 제1 열전달블록(124)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1 온도센서(125)는 제2 온도센서(135)와 함께 데이터부(300)에 연결되어서 수집된 신호를 데이터부(300)로 전송하게 되며 차후 연산부(400)는 이러한 신호를 바탕으로 열전소자 시편(10)의 발전 및 냉각효율을 산출해내게 된다. Th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발열모듈(1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121)가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116) 사이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열모듈(120) 전체가 용이하게 교체되도록 한다. The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냉각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열전소자 시편(10)의 하측에 맞닿아 열전소자 시편(10)의 냉각부 측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냉각모듈(130)은,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여 주위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수블록(131)과, 하단은 상기 냉각수블록(131)의 상부면에 결합되되 고정지그(132)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면은 열전소자 시편(10)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열전소자 시편(10)이 상기 냉각수블록(131)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열전달블록(134)을 포함할 수 있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oling module shown in FIG. 2 in detail. The
냉각수블록(131)은,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냉각수유로(131a)가 형성되어서 상기 냉각수유로(131a)에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여 냉각수블록(131) 주위를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냉각수 재료로는 열차단블록(122)에서와 마찬가지로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기타 단열재료를 채워 넣을 수도 있으며, 상기 냉각수로는 보통은 액체 질소가 사용되기도 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액체 헬륨, 프레온 가스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cooling
냉각수블록(131)은 상술한 히터블록(123)과 마찬가지로 몸체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되 상부면 측으로만 열전도율이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with the
제2 열전달블록(134)은 하단이 상기 냉각수블록(131)의 상부면에 결합되되 고정지그(132)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면은 열전소자 시편(10)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열전소자 시편(10)이 제2 열전달블록(134)을 통해 상기 냉각수블록(131)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The lower end of the second
다시 말하면, 열전소자 시편(10)은 제2 열전달블록(134)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열전소자 시편(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제2 열전달블록(134)을 통해 전달되며 이 후 제2 열전달블록(134)의 하단에 결합된 냉각수블록(131)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In other words, the
제2 열전달블록(13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열전달블록(134)과 마찬가지로 사각 기둥 형상을 하고 냉각수블록(131)으로 열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높은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재질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second
제2 열전달블록(134)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제2 온도센서(135)가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2 온도센서 장착홀(135a)이 장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econd temperature
제2 온도센서(1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열전달블록(124)을 흐르는 열의 흐름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온도를 계측하기 위하여 제2 열전달블록(134)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2 온도센서(125)는 제1 온도센서(125)와 함께 데이터부(300)에 연결되어서 수집된 신호를 데이터부(300)로 전송하게 되며 차후 연산부(400)는 이러한 신호를 바탕으로 열전소자 시편(10)의 발전 및 냉각효율을 산출해내게 된다. The
또한, 냉각모듈(130)은, 더욱 정밀한 온도 제어를 위해 상기 냉각수블록(131)과 상기 제2 열전달블록(134)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온도제어열전소자(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는, 냉각모듈(130)의 하부 냉각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에서 평가장치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maintaining the lower cooling temperature of the
온도제어열전소자(133)는 제어부(20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가 온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전류 제어를 통해 온도제어열전소자(133)를 정밀하게 제어하게 된다. The temperature control thermoelectric element 133 is connected to the
이상과 같이 제2 열전달블록(134)을 통해 전달된 열의 대부분은 냉각수블록(131)에 의해 제어되고 나머지 미세한 온도는 온도제어열전소자(133)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열전소자 시편(10)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냉각수블록(131)과 함께 2중으로 상기 열전소자 시편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냉각모듈(130)은 제2 열전달블록(134)을 상기 하부프레임(113)에 형성된 고정지그(132)에 용이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하부프레임(113)의 고정지그(132)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냉각모듈클램프(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고정지그(132)는 하부프레임(113)에 결합되는 구조체로서 제2 열전달블록(134)의 하단을 일정 높이만큼 감싸며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fixing
냉각모듈클램프(136)는 냉각모듈(130)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프레임(113)에 단단하게 결합된 일종의 집게형 체결 부품인데, 제2 열전달블록(134)을 아래로 눌러서 고정지그(132)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누름쇠를 눌러 체결을 풀면 제2 열전달블록(134)이 상기 고정지그(132)에서 쉽게 탈착되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The
제어부(200)는, 위와 같이 이루어진 평가장치부(100)의 상기 발열모듈(120) 및 냉각모듈(130)과 연결되어 온도를 조절하고, 가압모듈(110)과 연결되어서 열전소자 시편(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실시간으로 전달 받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발열모듈(120) 내부의 히터블록(123)과 연결된 전원을 제어하여 발열모듈(120)에서 발생되는 열의 양을 제어하고, 냉각모듈(130)의 온도제어열전소자(133)의 전류 제어를 통해 냉각모듈(130)의 온도를 제어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The
데이터부(300)는 상기 온도센서(125, 135)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125, 135)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집하여 연산부(400)로 전달함으로써 연산부(400)가 전송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열전소자 시편(10)의 발전 및 냉각효율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데이터부(300)는 일반적인 메모리 소자, 저장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연산부(400)는 데이터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125, 135)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서 상기 열전소자의 발전효율 및 냉각효율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거나 데이터부(300)에 저장하게 된다. 연산부(400)는 일반적으로 마이컴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연산부(400)가 열전소자의 발전효율 및 냉각효율을 산출하기 위하여 열전소자 시편(10)의 흡열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데, 이때, 열전소자 시편(10)의 발전 효율 측정 시 산출되는 아래의 열량은 열전소자 시편(10)의 고온부 단면적을 통하여 전달되는 것을 말하며 열전소자 시편(10)의 단면적 이외의 부분으로 방출되는 열에너지는 따로 고려할 필요는 없다. A method of calculating the heat absorption amount of the
이 때, 열전소자 시편(10)의 발전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1 열전달블록(124)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된 다수개의 제1 온도센서(125)의 온도를 배치된 부위별 온도에 따라 시간단위로 측정한 후 아래의 식 1을 이용하여 열전소자 시편(10)의 흡열량을 산출하게 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measur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식 1][Formula 1]
여기서, k는 제1 열전달블록(124)의 열전달 계수이고, dx는 제1 열전달블록(124)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된 제1 온도센서(125) 간의 간격이고, dT는 제1 온도센서(125) 간의 온도차이다. Here, k is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first
연산부(400)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열전소자 시편(10)의 흡열량을 계산한 후 상기 흡열량을 이용하여 열전소자 시편(10)의 발전효율, 냉각효율을 산출하게 된다. The calculat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는, 열전소자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열전소자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에 열량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온도센서를 일정간격으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열의 흐름방향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온도를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evaluating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oelectric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for measuring a heat amount in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temperature can be measured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heat.
또한, 상기 평가장치에 열전소자와 열원 사이의 접촉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가압장치를 함께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열전소자의 시험 중에 상기 열전소자의 열팽창에 따른 시험 조건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보정할 수 있어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evaluation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pressurizing device capable of keep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heat source constant, it is possible to detect a change in the test condition due to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during the tes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So that the accuracy of measuremen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평가장치에 장착되는 발열모듈과 냉각모듈 일체가 탈착이 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시험대상인 열전소자의 크기에 변하더라도 그 크기에 맞는 발열모듈과 냉각모듈로 교체하여 평가장치에 탈착할 수 있어 시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integrally attached to the evaluation device are detachable, even if the siz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be tested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And the test convenience is improv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pparatus for evaluating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 열전소자 시편
100: 평자장치부 110: 가압모듈
111: 가압용모터 111a: 가압용모터 연장로드
112: 상부프레임 113: 하부프레임
114: 슬라이딩프레임 115: 슬라이딩기둥
116: 수직가이드프레임 117: 수평가이드프레임
117a: 플런저홀 118: 플런저
119: 로드셀 120: 발열모듈
121: 카트리지 121a: 결합용걸림단
121b: 플런저고정홈 122: 열차단블록
122a: 냉각수유출입구 123: 히터블록
123a: 단열재 123b: 가열수단
124: 제1 열전달블록 125: 제1 온도센서
130: 냉각모듈 131: 냉각수블록
131a: 냉각수유로 132: 고정지그
133: 온도제어열전소자 134: 제2 열전달블록
135: 제2 온도센서 135a: 제2 온도센서홀
136: 냉각모듈클램프10: Specimen of thermoelectric element
100: Spreader unit 110: Pressure module
111:
112: upper frame 113: lower frame
114: Sliding frame 115: Sliding column
116: vertical guide frame 117: horizontal guide frame
117a: plunger hole 118: plunger
119: load cell 120: heating module
121:
121b: plunger fixing groove 122: heat block
122a: cooling water outflow inlet 123: heater block
123a: Insulating
124: first heat transfer block 125: first temperature sensor
130: cooling module 131: cooling water block
131a: Cooling water flow path 132: Fixing jig
133: temperature control thermoelectric element 134: second heat transfer block
135:
136: Cooling module clamp
Claims (10)
상기 평가장치부는, 상기 발열모듈의 상단에 위치한 가압용모터;와, 상기 가압용모터의 하부에 위치하되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개의 슬라이딩기둥에 삽입된 후 상기 가압용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모듈의 상부를 눌러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슬라이딩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모듈의 슬라이딩프레임은, 판형의 형상을 한 한 쌍의 플레이트가 하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직가이드프레임;과, 판형의 형상을 한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수직가이드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수평가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모듈은, 상기 한 쌍의 수직가이드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 하부면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여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열차단블록;과, 상기 열차단블록의 하부면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열을 발산시킬 수 있는 히터블록; 및 상부면은 상기 히터블록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하부면은 열전소자 시편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히터블록에서 발산된 열을 상기 열전소자 시편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제1 열전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mounted on the heat gener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est piece, wherein the temperature measuring module comprises: a heat generating modul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est piece; a cooling module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est piece; A data unit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and collec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to adjust the temperature; And a calculator connected to the data unit and calculating a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a cooling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wherein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include a constant So that the temperature can be measur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of the heat flow,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includes a pressure motor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heat generating module, and a plurality of sliding columns vertical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motor. The pressure measuring motor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motor, And a sliding frame capable of applying pressure by pressing the pressing module,
The sliding frame of the pressing module includes a vertical guide frame in which a pair of plates having a plate shape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ate having a plate shape is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guide frames And a horizontal guide frame fixedly inserted into the frame,
The heat generating module includes: a cartridge which is slidably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guide frames; a heat block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rtridge and in which cooling water flows to block heat; A heater block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heater block and having a heating means therein to dissipate heat; And a first heat transfer block having an upper surfac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heater block and a lower surface configured to allow the thermoelectric element specimen to be positioned to transfer heat radiated from the heater block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specimen. And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수평가이드프레임의 하부면과 상기 발열모듈 사이에 위치하는 로드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열팽창에 따른 가압력 변화를 인지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발열모듈에 가해지는 압력을 보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module includes:
And a load cell loca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guide frame and the heat generating module to recognize a change in pressing force due to thermal expans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correc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module by the controller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are evaluated.
상기 가압모듈은,
기둥형상을 하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수직하게 관통되도록 결합된 후 종단부가 상기 수평가이드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발열모듈에 닿을 수 있는 다수개의 플런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이 하강할 때 상기 발열모듈을 누를 수 있고 동시에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module includes:
And a plurality of plungers which have a columnar shape and are inserted through the sliding frame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sliding frame vertically, and whose end portions pass through the horizontal guide frame and can reach the heat generating module. When the sliding frame is lowered, So that a buffering ac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essed.
상기 발열모듈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 사이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열모듈 전체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And the cartridge is detachable between the vertical guide frames so that the entire heat generating module can be replaced.
상기 냉각모듈은,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여 주위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수블록;과,
하단은 상기 냉각수블록의 상부면에 결합되되 고정지그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면은 열전소자 시편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열전소자 시편이 상기 냉각수블록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열전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oling module includes:
A cooling water block for allowing the cooling water to flow therein to cool the surroundings;
And a second heat transfer block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oling water block and fixed by a fixing jig and whose upper surface allows the thermoelectric element specimen to be positioned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specimen can be cooled by the cooling water block And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냉각모듈은,
상기 제2 열전달블록을 고정지그에 밀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냉각모듈클램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열전달블록이 상기 고정지그에서 탈착되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oling module includes:
And a cooling module clamp capable of closely fixing the second heat transfer block to the fixing jig so that the second heat transfer block can be detached from and replaced by the fixing jig. Efficiency evaluation device.
상기 냉각모듈은,
상기 냉각수블록과 상기 제2 열전달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온도제어열전소자;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열전소자 시편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냉각수블록과 함께 2중으로 상기 열전소자 시편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cooling module includes: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thermoelectric elements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water block and the second heat transfer block to precis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specime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specimen And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can be control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4673A KR101804710B1 (en) | 2016-12-20 | 2016-12-20 | Apparatus for evaluating a thermoelectric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4673A KR101804710B1 (en) | 2016-12-20 | 2016-12-20 | Apparatus for evaluating a thermoelectric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4710B1 true KR101804710B1 (en) | 2017-12-04 |
Family
ID=6092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4673A Active KR101804710B1 (en) | 2016-12-20 | 2016-12-20 | Apparatus for evaluating a thermoelectric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4710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2117B1 (en) | 2018-06-11 | 2019-10-15 | 주식회사 블루시스 | Reliability assessment device of thermoelectric element |
KR102055687B1 (en) * | 2017-11-30 | 2019-12-16 | 한국기계연구원 |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Flexible Thermo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the Same |
CN111337287A (en) * | 2020-04-23 | 2020-06-26 | 陕西安得电力设备制造有限公司 | Transformer cooler cooling efficiency monitoring system |
KR20200087530A (en) * | 2019-01-11 | 2020-07-21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life test apparatus for thermoelement electric energy harvester |
CN111596162A (en) * | 2020-06-19 | 2020-08-28 |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 Integrated thermoelectric device experimental device and method based on temperature difference type thermoelectric conversion |
KR20200136764A (en) * | 2019-05-28 | 2020-12-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pparatus for evaluating thermalelectric mdevice |
CN114544696A (en) * | 2022-01-19 | 2022-05-27 | 东拓顶尖科技股份有限公司 |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rmal conductivity of thermally conductive element |
CN115728346A (en) * | 2022-11-24 | 2023-03-03 | 珠海市运泰利自动化设备有限公司 | A heat conduction testing device |
KR20230093586A (en) * | 2021-12-20 | 2023-06-27 |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 Apparatus for Measuring Solar Cell-Thermoelectric Fusion Element and Method Therefo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82011A (en) * | 2007-01-24 | 2008-08-07 | Toshiba Corp | Thermoelectric conversion system reliability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
WO2010103784A1 (en) * | 2009-03-11 | 2010-09-16 | 学校法人常翔学園 | Heat conduction measuring device and heat conduction measuring method |
-
2016
- 2016-12-20 KR KR1020160174673A patent/KR1018047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82011A (en) * | 2007-01-24 | 2008-08-07 | Toshiba Corp | Thermoelectric conversion system reliability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
WO2010103784A1 (en) * | 2009-03-11 | 2010-09-16 | 学校法人常翔学園 | Heat conduction measuring device and heat conduction measuring method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5687B1 (en) * | 2017-11-30 | 2019-12-16 | 한국기계연구원 |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Flexible Thermo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the Same |
KR102032117B1 (en) | 2018-06-11 | 2019-10-15 | 주식회사 블루시스 | Reliability assessment device of thermoelectric element |
KR102160559B1 (en) | 2019-01-11 | 2020-10-15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life test apparatus for thermoelement electric energy harvester |
KR20200087530A (en) * | 2019-01-11 | 2020-07-21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life test apparatus for thermoelement electric energy harvester |
KR20200136764A (en) * | 2019-05-28 | 2020-12-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pparatus for evaluating thermalelectric mdevice |
KR102530013B1 (en) * | 2019-05-28 | 2023-05-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pparatus for evaluating thermalelectric mdevice |
CN111337287A (en) * | 2020-04-23 | 2020-06-26 | 陕西安得电力设备制造有限公司 | Transformer cooler cooling efficiency monitoring system |
CN111596162A (en) * | 2020-06-19 | 2020-08-28 |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 Integrated thermoelectric device experimental device and method based on temperature difference type thermoelectric conversion |
CN111596162B (en) * | 2020-06-19 | 2022-07-29 |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 Integrated thermoelectric device experimental device and method based on temperature difference type thermoelectric conversion |
KR20230093586A (en) * | 2021-12-20 | 2023-06-27 |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 Apparatus for Measuring Solar Cell-Thermoelectric Fusion Element and Method Therefore |
KR102669490B1 (en) * | 2021-12-20 | 2024-05-29 |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 Apparatus for Measuring Solar Cell-Thermoelectric Fusion Element and Method Therefore |
CN114544696A (en) * | 2022-01-19 | 2022-05-27 | 东拓顶尖科技股份有限公司 |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rmal conductivity of thermally conductive element |
CN115728346A (en) * | 2022-11-24 | 2023-03-03 | 珠海市运泰利自动化设备有限公司 | A heat conduction tes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4710B1 (en) | Apparatus for evaluating a thermoelectric device | |
US7244913B2 (en) | Temperature regulator for microchemical chip | |
EP2418477A1 (en) | Heat conduction measuring device and heat conduction measuring method | |
JP2008182011A (en) | Thermoelectric conversion system reliability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 |
CN206990483U (en) | A kind of heat conduction coefficient tester | |
US20130163634A1 (en) | Heating in material testing apparatus | |
KR101910697B1 (en) | Method for detecting heat generation points and device for detecting heat generate points | |
JP2004296959A (en) | Thermoelectric element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nd thermoelectric element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 |
CN109030552B (en) | Thermoelectric parameter testing device and system | |
US7674037B2 (en) | 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for heat pipes | |
CN212364156U (en) | An adjustable thermal conductivity test device | |
US7611276B2 (en) | 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for heat pipes | |
CN100561207C (en) | Heat pipe performance testing device | |
JP5978992B2 (en) | Electronic device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 |
CN114544699B (en) | Method for testing thermal resistance and thermal conductivity coefficient of material | |
CN111766267A (en) | A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test device | |
JP4560057B2 (en) |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equipment | |
KR20110064349A (en) | Thermal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 |
CN221595134U (en) | Screen touch performance test system | |
KR101923505B1 (en) | Low temperature photoemission spectroscopy apparatus | |
JP4598781B2 (en) |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container | |
KR20240035962A (en) |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radiative heat transfer between two material surfaces | |
KR102164075B1 (en) | Warm test apparatus | |
CN100552445C (en) | Heat pipe performance testing device | |
KR20200136553A (en) |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system and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