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03754B1 -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754B1
KR101803754B1 KR1020150034849A KR20150034849A KR101803754B1 KR 101803754 B1 KR101803754 B1 KR 101803754B1 KR 1020150034849 A KR1020150034849 A KR 1020150034849A KR 20150034849 A KR20150034849 A KR 20150034849A KR 101803754 B1 KR101803754 B1 KR 10180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dough
cake
rice cake
scre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788A (ko
Inventor
김정선
Original Assignee
김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선 filed Critical 김정선
Priority to KR102015003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75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75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6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래떡을 제조할 때 함유되는 수분을 일부 제거하여 표면의 바삭한 식감을 느낄 수 있고 내부는 쫄깃한 식감을 발휘하여 떡볶이를 먹을 때 바삭한 맛과 쫄깃한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떡볶이의 내부에는 다른 재료들이 충진 가능하도록 하여, 바삭함과 쫄깃함 및 다양한 미식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Crispy stir-fried rice manufacture equipment}
본 발명은 떡볶이를 만들기 위한 가래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래떡을 제조할 때 함유되는 수분을 일부 제거하여 표면의 바삭한 식감과 내부의 쫄깃한 식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는 다른 재료들이 충진 가능하도록 하는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관한 것이다.
가래떡은 떡반죽을 봉형태로 길게 압출한 다음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성인은 물론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 등이 떡볶이와 같은 간식용으로 만들어져 즐겨 찾게 되는 음식 재료 중 하나이다.
이러한 가래떡을 이용하여 만드는 떡볶이를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조리법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차츰 퇴색되고 최근에는 간단한 양념을 사용하여 조리하여 먹게 되었으며 시중 분식점을 중심으로 제조, 판매가 되고 있다.
통상적인 떡볶이의 제조 과정을 등록특허 제10-1119675호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한다.
공개특허공개 제10-2000-0061710호에는 공지의 가래떡 성형방법에서 성형시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성형기의 원료 투입구 내에 중공부 형성구를 설치하고 성형하여 원통, 세모, 오각형 등의 중공부가 형성된 가래떡을 제조하므로서, 떡볶이용으로 조리할 때 단시간내에 익혀 먹을 수 있도록 하여 떡의 쫄깃한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속 부분까지 양념이 들어가 떡볶이 특유의 독특한 맛을 양념을 강하게 하지 않아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떡볶이용 가래떡의 제조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4363호에는 감자, 고구마를 작은 크기로 자른 후 1시간 정도 물에 담그고, 감자, 고구마와 호박을 각각 찜통에 넣고 삶은 후 식힌 다음, 쌀가루와 밀가루를 적정 혼합비율로 혼합기에 넣고, 상기 혼합기에 마늘, 생강, 건파 등을 적정량 넣은 후, 이들을 혼합하고, 상기와 같이 혼합된 쌀가루와 밀가루의 혼합물과 감자, 고구마 및 호박의 혼합물을 염수에 넣어 반죽한 다음, 반죽이 완료된 재료를 압력 찜통에 넣어 떡볶이용 롤링기를 통해 성형하여서 되는 떡볶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3643호에는 오징어, 홍합, 새우 등을 포함한 해물을 분쇄기에 의해 일정 크기를 갖도록 분쇄하여 소금으로 간을 한 다음, 멥쌀을 분쇄한 쌀가루와 혼합하고 이를 떡볶이 떡 압출기에 투입하여 길게 뽑아 일정크기로 절단한 해물 떡볶이를 조리하여, 먹을 때 말랑한 식감을 제공하는 쌀가루와 해물 알갱이가 함께 씹히도록 하는 해물 떡볶이 떡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7276호에는 햄과 소세지를 믹서기에 일정크기를 갖도록 분쇄하여 소금으로 간을 한 후, 멥쌀을 분쇄한 쌀가루와 혼합하고 이를 떡볶이 압출기에 투입하여 길게 뽑아 일정크기로 절단하여서 되는 햄,소세지 떡볶이를 조리하여 시식할 때 말랑한 쌀가루와 햄,소세지 알갱이가 함께 씹히는 식감과 함께 햄, 소세지의 맛을 향유할 수 있는 햄, 소세지 떡볶이 및 제조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전통음식 중 하나인 떡볶이의 제조방법에서 탈피하여 일반 대중들의 입맛에 맞도록 떡볶이를 제조하는 방법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보급되어 오고 있으며 그 떡볶이의 맛을 더욱 다양화 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떡볶이에 치즈가 포함되도록 하는 등(등록실용신안 제20-0471014), 가래떡 중앙에 전술한 바와 같은 중공 형태를 갖도록 하여 그 내부에 다양한 식자재를 충진물로 하여 충진 시키도록 하는 떡볶이 등, 다양한 떡볶이의 제조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각각의 선행 자료들에 의해 제시되는 떡볶이들은 모두 그 식감이 쫄깃한 것에만 초점을 맞추어 제조되고 있고, 바삭한 식감을 제공하는 떡볶이는 제시되고 있지 못하다.
등록특허 제10-111967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6171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436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364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7276호
본 발명은 전술한 여타의 선행 기술과 현재 떡볶이를 제조하여 판매하는 시장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떡볶이의 겉은 바삭한 식감을 갖도록 하고 속은 쫄깃한 식감을 동시에 갖도록 하는 떡볶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죽 형태로 제공되는 반죽떡이 투입되어 강제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스크류(100)를 통과한 반죽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진공에 의해 제거하기 위한 진공부(200)를 이루고, 상기 진공부(200)의 일단측에 연결되어 진공부(200)로부터 수분이 제거된 반죽떡을 다시 이송시키는 제2이송스크류(300)를 구비하되, 상기 제1이송스크류(100)와 제2이송스크류(300)는 각각 점진적으로 외경이 확대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제2이송스크류(300)를 통과하는 반죽떡을 가래떡 형태로 압출시키는 압출다이(400)로 이루어지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스크류(100)와 제2이송스크류(300)를 연결하는 중앙축(210)의 외경은 제1이송스크류(100)의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후단측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제1이송스크류(100)를 통과하는 반죽떡이 압출기(10)의 내측과 상기 중앙축(210) 이격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확장공간부(220)로 배출되도록 하고, 확장공간부(220)와 외부로 연결되는 진공흡입펌프(230)에 의해 상기 확장공간부(220)를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방법에 있어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맵쌀을 전체 중량부 대비 5배의 정제수에 잠길 정도로 넣은 후 24시간 동안 침지 시킨 후 탈수하는 맵쌀 탈수과정(S10)과,
상기 맵쌀 탈수과정을 거친 맵쌀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습식 분쇄하는 습식 분쇄과정(S20)과,
상기 습식 분쇄과정을 거친 맵쌀분말을 찜틀에 넣고 110℃의 온도를 갖도록 스팀 분사하여 반죽떡을 얻는 반죽과정(S30)과,
상기 반죽과정을 통해 얻은 반죽떡의 수분함량을 55wt%로 하는 반죽떡 수분함량 조절과정(S40)과,
상기 설정 수분함량을 갖는 반죽떡을 호퍼에 공급하되 압출기를 구성하는 제1이송크류와 제2이송스크류 사이에 존재하는 진공부(200)의 진공도를 10 mm Hg 하여 반죽떡에 함유되는 수분을 1차 제거하는 반죽떡 진공과정(S50)과,
상기 반죽떡 수분제거과정을 통해 1차 수분이 제거된 반죽떡을 압출기의 상기 제2이송스크류를 통과시키되 제2이송스크류와 연결되는 압출다이에 구비되는 300℃의 온도를 유지하는 히팅부를 빠르게 통과되도록 하거나 또는 300℃의 온도를 유지하는 오븐에서 1초간 체류하며 통과하도록 하되, 압출다이를 통과하는 봉 형태의 가래떡 표면에 함유되는 수분을 제거하는 가래떡 표면 수분제거과정(S60)과,
상기 가래떡 표면 수분제거과정을 거친 봉 형태의 가래떡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과정(S70)을 거쳐 완성된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가래떡은, 외표면의 수분 함습량이 적어 비교적 바삭한 식감을 느낄 수 있고, 내부는 쫄깃한 식감을 동시에 늘낄 수 있음은 물론, 가래떡 중앙부위에 다양한 식자재를 충진하여 다양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떡볶이용 가래떡을 만드는 과정을 시계열순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압출기의 단부측에 히팅부를 구비하지 않고 오븐으로 대체하여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이송스크류와 제2이송스크류 및 제1,2이송스크류를 연결하는 중앙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가래떡을 제조할 때, 가래떡 내부에 다른 내용물을 충진하여 압출할 수 있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반죽 형태로 제공되는 반죽떡이 투입되어 강제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스크류(100)와,
상기 제1이송스크류(100)를 통과한 반죽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진공에 의해 제거하기 위한 진공부(200)와,
상기 진공부(200)의 선단측에 연결되어 진공부(200)로부터 수분이 제거된 반죽떡을 다시 이송시키는 제2이송스크류(300)와,
상기 제2이송스크류(300)의 선단에 구비되어, 제2이송스크류(300)를 통과하는 반죽떡을 가래떡 형태로 압출시키는 압출다이(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이송스크류(100)와 진공부(200) 및 제2이송스크류(3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을 이루는 장치 내부에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제2이송스크류(300) 단부측(도면상 우측단)에 가래떡으로 배출되기 위한 압출다이(4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장치 일측단 상부측 즉 제1이송스크류(100)의 상방측으로는 분쇄된 쌀가루와 기타 곡물들을 혼합하여 반죽하게 되는 반죽떡이 투여되는 호퍼(110)가 구비된다.
상기 반죽떡은 종래 떡볶이를 제조하기 위한 가래떡을 이루기 위한 쌀가루를 이용하여 반죽하여서 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은 기타 곡물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할 수 있을 것이며, 기타의 식재료들을 이용하여 반죽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이송스크류(100)는 그 형상을 원추형태를 갖도록 하여 호퍼(110)측으로부터 진공부(200)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2이송스크류(300)도 제1이송스크류(100)와 마찬가지로 그 형상을 원추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압출다이(400)측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상대적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1이송스크류(100)와 제2이송스크류(300)의 각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스크류(120,310)에서의 산과 산의 피치거리는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하였다.
즉 호퍼(110)를 통해 투입된 반죽떡은 제1이송스크류(100)를 통하여 그 후단과 연결되는 진공부(200)측으로 가압하며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송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그 외경이 커지고 스크류(120)의 산과 산과의 피치거리 또한 넓어지도록 하여 제1이송스크류(100) 후단으로 갈수록 반죽떡을 가압하는 가압력은 상승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2이송스크류(300)도 제1이송스크류(100)와 동일하게 하였는바, 진공부(200)를 거친 반죽떡이 제2이송스크류(300)측으로 유입되며 이송되어질 때 제2이송스크류(300)의 외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며 그 외경으로 형성되는 스크류(120)의 산과 산 피치 거리 또한 넓어지게 구성하므로, 점차 가압력이 증가되며 제2이송스크류(300)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압출다이(400)까지 강한 가압력으로 압축하며 밀어주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제1이송스크류(100)와 제2이송스크류(300) 사이에는 진공부(200)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이송스크류(100)의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대된 후 제1이송스크류(100)와 제2이송스크류(300)를 연결하는 진공부(200)에서의 중앙축(210)은 상기 제1이송스크류(100)의 후단측 외경과 제2이송스크류(300)의 선단측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진공부(200)의 중앙축(210) 외경이 제1이송스크류(100)의 후단측 외경과 제2이송스크류(300)의 선단측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므로서, 압출기(10)의 내측과 중앙축(210)간 확장공간부(220)가 형성된다.
따라서 호퍼(110)측으로 투입되는 반죽떡은 제1이송스크류(100)에서 가압력을 받으며 진공부(200)측으로 유입될 때,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중앙축(210)에 의해 압출기(10) 내부에 형성되는 확장공간부(220)로 압력이 급속도로 떨어지며 반죽떡이 공급된다.
즉 확장공간부(220)로 공급되는 반죽떡은 강한 압력으로 압축되는 상태에서 급작스런 압력 변화에 의해 압력이 저하되며 확장공간부(220)로 투여되는데, 이 과정에서 반죽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수분들과 반죽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중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진공부(200)의 확장공간부(220)측과 연결되는 진공흡입펌프(2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이송스크류(100)를 통과하며 강하게 압축되며 이송되는 반죽떡은 진공부(200)의 확장공간부(220)에 유입될 때 압력의 저하 현상 및 외부로부터의 진공흡입에 의해 반죽떡에 함유되는 수분들 중 일정량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진공부(200)를 통하여 반죽떡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된 후에 다시 제2이송스크류(300)를 통하여 압출다이(400)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바, 이때에도 점진적으로 제2이송스크류(300)의 외경이 넓어지면서 스크류(310)와 스크류(310)간 피치거리 또한 넓어지므로 점진적으로 압력이 강하게 제공되며 고압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압출다이(400)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압출다이(4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전술한 내용에서와 같이 제2이송스크류(300)의 일측단과 연결되어 반죽떡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단계에서 가래떡과 같은 봉형상을 갖도록 압출하게 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압출다이(400)는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압출다이(400)를 채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출다이(400)의 선단(반죽떡이 가래떡으로 형성되며 배출되는 측의 단부)측을 에워싸는 히팅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히팅부(500)는 가래떡과 같이 봉 형태로 압출되며 배출되는 가래떡의 외표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한번 더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상기 압출다이(400) 내부에 가래떡 내부로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측으로 별도의 식자재가 겔형태로 주입 충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압출다이(400) 내부로 연결된 공급라인(610)과 연결되는 내용물충진주입구(600)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되는 내용물충진주입구(600)에는 다양한 식자재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인바, 예컨데 치즈를 충진하게 되면 압출다이(400)를 통해 배출되는 가래떡의 내부에는 치즈가 충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식자재들을 겔상 형태로 하여 주입, 충진할 수 있게 되어 가래떡 내부 중앙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라인(610)의 단면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면 변화를 갖는 공급라인(610)에 의하면 도 @ 에서와 같이 배출되는 가래떡에서의 내부 중공 단면이 다양한 모양을 이루며 압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히팅부(500)를 직접 압출다이(400) 외측에 구비하지 않고, 압출다이(40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가래떡을 오븐(700)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오븐(700)를 통과하는 가래떡의 외표면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히팅부(500) 또는 오븐(700)은 선택 적용에 의한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가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들을 이용하여 떡볶이용 가래떡을 아래의 각 실시예에 의해 제조하여 보았으며 해당 실시예와 비교되기 위한 비교예들을 실시하여 보았다.
먼저 맵쌀을 전체 중량부 대비 5배의 정제수에 잠길 정도로 넣은 후 24시간 동안 침지 시키고, 이를 탈수한 다음(S10; 맵쌀 탈수과정) 분쇄기를 이용하여 습식 분쇄하게 된다.(S20; 습식 분쇄과정)
이와 같이 습식 분쇄과정(S20)을 거쳐 얻게 되는 맵쌀분말을 찜틀에 넣고 110℃의 온도를 갖도록 스팀 분사하여 반죽떡을 얻도록 하였으며, 이때 수분의 함량은 55% 이다.(S30; 반죽과정 및 S40; 반죽떡 수분함량 조절과정)
상기 수분의 함량 조절은 통상적으로 가래떡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호퍼(110)에 공급되는 반죽떡의 수분함량이 55% 인 경우로 설정하여 공급하였으며 본 발명의 압출기(10)를 통하여 제병 되는 가래떡의 직경은 20 mm 로 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 1에서 진공부(200)에서의 진공도는 10 mm Hg 이었으며(S50; 반죽떡 진공과정), 압출다이(400)에 구비되는 300℃의 온도를 유지하는 히팅부(500) 또는 300℃의 온도를 유지하는 오븐(700)에서 평균 체류시간은 1초로 하여 표면이 튀겨지도록 하였다.(S60; 반죽떡 표면 수분 제거과정)
<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호퍼(110)에 공급되는 반죽떡의 수분함량이 55% 인 경우로 설정하여 공급하였으며 본 발명의 압출기(10)를 통하여 제병되는 가래떡의 직경은 20 mm 로 하였다.(제1실시예에서와 동일)
한편 본 실시예 2에서 진공부(200)에서의 진공도는 100 mm Hg 이었으며, 압출다이(400)에 구비되는 히팅부(500)의 온도를 300℃로 설정하여 통과되도록 하거나 또는 300℃의 온도를 갖는 오븐(700)에서 1초간 체류하며 통과되도록 하였다.
<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호퍼(110)에 공급되는 반죽떡의 수분함량을 제1,2실시예에서와 같이 55%로 하였으며, 직경을 10 mm 로 설정하여 제병하였다.
이때의 진공부(200)에서의 진공도는 100 mm Hg 이었으며, 압출다이(400)에 구비되는 히팅부(500)의 온도는 300℃로 설정하였으며, 오븐(700)을 채택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300 ℃로 설정하여 상기 오븐(700)을 통과할 때에는 1초 정도의 체류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 비교예 1-1>
비교예 1-1에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진공부(200)에서의 진공 조건을 부여하지 않았다.
즉 비교예1-1에서는 호퍼(110)에 공급되는 수분함량을 55%로 동일하게 하고, 진공도를 대기압과 같은 조건인 760 mm Hg 하였으며, 가래떡으로 배출되는 직경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20 mm 로 하였다.
또한 히팅부(500)와 오븐(700)의 온도는 300 ℃로 설정하였다.
즉 비교예 1-1에서는 본 발명의 조건 중에서 진공도를 대기압 상태로만 하고 히팅부(500)와 오븐(700)의 온도는 실시예 1과 같이 설정한 상태에서 가래떡을 제조하여 보았다.
< 비교예 1-2>
한편 비교예 1-2에서는 비교예 1-1과 다른 조건으로 설정하여 보았다.
즉 비교예1-2에서는 호퍼(110)에 공급되는 수분함량을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1에서와 같이 55%로 동일하게 하고, 진공도를 비교예 1-1에서와 같이 대기압과 같은 조건인 760 mm Hg 하였으며, 가래떡으로 배출되는 직경은 실시예 1, 비교예 1-1과 동일하게 20 mm 로 하였다.
한편 히팅부(500)나 오븐(700)의 온도는 상온으로 설정하여 가래떡을 제조하여 보았다.
< 비교예 2>
비교예 2는 비교예 1-2와 동일한 조건을 갖되, 호퍼(110)에 공급되는 반죽떡에 함유되는 수분함량을 55%에서 60%로 설정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즉 비교예 2에서는 호퍼(110)에 공급되는 반죽떡의 수분함량을 60%로 설정하고, 진공도의 경우 대기압과 같은 조건인 760 mm Hg 하였으며, 가래떡으로 배출되는 직경은 실시예 1 및 실시예2와 동일하게 20 mm 로 하였다.
또한 히팅부(500)나 오븐(700)의 온도는 비교예 1-2에서와 같은 상온의 조건으로 설정하여 가래떡을 제조하여 보았다.
이상과 같은 각 실시예 1, 2, 3과 이에 비교되는 것으로, 제1실시예와 비교되기 위한 비교예 1-1 및 비교예 1-2에 의해 대비하여 보았으며, 제2실시예와 비교되기 위한 비교예 2에 의해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대비하여 보았다.
진공도
(mmHg)
히팅부 또는 오븐 온도(℃) 직경
(mm)
초기
수분함량
실시예 1 10 300 20

55 wt%
실시예 2 100 300 20
실시예 3 100 300 10
비교예 1-1 760 300 20
비교예 1-2 760 상온 20
비교예 2 760 상온 20 60 wt%
표 1은 가래떡으로 제병하기 위해 제시되는 진공도와 히팅부 또는 오븐의 온도 및 제조되는 가래떡의 직경과, 초기에 호퍼측으로 투입되는 반죽떡에 포함되는 수분함량 등을 나타낸 것이다.
표 1에 의한 조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래떡 제조장치(즉 제병기)에서 가래떡을 제조한 결과 표 2에서와 같은 결과치를 얻게 되었다.
가공후
수분함량
wt %

바삭함

쫄깃함

바삭함

쫄깃함
실시예 1 20 8.1±0.7 9.0±0
실시예 2 30 7.6±0.9 7.1±0.6
실시예 3 25 9.0±0 7.9±0.4
비교예 1-1 52 7.1±0.3 5.2±0.9
비교예 1-2 53 × × 0±0 4.6±0.5
비교예 2 58 × × 0±0 4.0±0.2
표 2의 경우 각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1, 1-2 및 비교예 2에 의한 조건들에 의해 제조된 가래떡을 이용하여 떡볶이를 만든 후 소비자 15명을 무작위 선별하여 바삭함과 쫄깃함에 대한 식감 테스트를 9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여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나탸낸 것으로 수치가 높을 수록 원하는 목표치 값을 나타낸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조건을 충족하며 떡볶이용 가래떡을 얻은 후, 통상적인 양념 등을 이용하여 떡볶이를 제조할 경우, 기존의 종래 떡볶이 보다는 그 식감 특히 바삭하고 쫄깃한 식감 발현이 상당함을 알 수 있으며, 그 떡볶이의 중앙 부분에 치즈 등과 같은 별도의 식자재를 겔상으로 하여 공급할 경우에는 특유의 독특한 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과 달리 도 6에서와 같은 예도 가능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압출다이(400)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래떡을 먼저 절단기(900)를 통하여 절단 한 후, 튀김조(800)로 공급하여 튀겨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식감 즉 가래떡의 표면은 바삭한 느낌을 느끼면서도 내부는 쫄깃한 식감을 그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제1이송스크류 110; 호퍼
120; 스크류 200; 진공부
210; 중앙축 220; 확장공간부
230; 진공흡입펌프 300; 제2이송스크류
310; 스크류 400; 압출다이
500; 히팅부 600; 내용물 충진 주입구
610; 공급라인 700; 오븐
800; 튀김조 900; 절단기
S10; 맵쌀 탈수과정
S20; 습식 분쇄과정
S30; 반죽과정
S40; 반죽떡 수분함량 조절과정
S50; 반죽떡 진공과정
S60; 반죽떡 표면 수분 제거과정
S70; 절단과정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반죽 형태로 제공되는 반죽떡이 투입되어 강제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스크류(100)를 통과한 반죽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진공에 의해 제거하기 위한 진공부(200)를 이루고, 상기 진공부(200)의 일단측에 연결되어 진공부(200)로부터 수분이 제거된 반죽떡을 다시 이송시키는 제2이송스크류(300)를 구비하되, 상기 제1이송스크류(100)와 제2이송스크류(300)는 각각 점진적으로 외경이 확대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제2이송스크류(300)를 통과하는 반죽떡을 가래떡 형태로 압출시키는 압출다이(400)로 이루어지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스크류(100)와 제2이송스크류(300)를 연결하는 중앙축(210)의 외경은 제1이송스크류(100)의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후단측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제1이송스크류(100)를 통과하는 반죽떡이 압출기(10)의 내측과 상기 중앙축(210) 이격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확장공간부(220)로 배출되도록 하고, 확장공간부(220)와 외부로 연결되는 진공흡입펌프(230)에 의해 상기 확장공간부(220)를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34849A 2015-03-13 2015-03-13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803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49A KR101803754B1 (ko) 2015-03-13 2015-03-13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49A KR101803754B1 (ko) 2015-03-13 2015-03-13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788A KR20160109788A (ko) 2016-09-21
KR101803754B1 true KR101803754B1 (ko) 2017-12-01

Family

ID=5707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8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3754B1 (ko) 2015-03-13 2015-03-13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176B1 (ko) 2017-02-28 2019-01-24 장인호 스팀을 이용한 떡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699A (ja) * 2006-08-28 2008-03-06 Fuji Seiki Co Ltd 製麺機
KR100935807B1 (ko) * 2009-06-30 2010-01-07 이순석 떡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710A (ko) 1999-03-30 2000-10-25 성호정 떡볶이용 가래떡의 제조방법
KR20040074363A (ko) 2003-02-18 2004-08-25 구태우 다이어트용 떡볶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107276A (ko) 2004-05-06 2005-11-11 김영삼 떡볶이용 떡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23643A (ko) 2009-08-31 2011-03-08 에드워드 정 해물 떡볶이 떡 및 제조방법
KR101119675B1 (ko) 2011-06-16 2012-02-22 최창석 과일 즙을 이용한 소스와 향을 갖는 떡볶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699A (ja) * 2006-08-28 2008-03-06 Fuji Seiki Co Ltd 製麺機
KR100935807B1 (ko) * 2009-06-30 2010-01-07 이순석 떡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788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6353B (zh) 用花生粉制作的直接膨胀的零食和用于制作所述零食的方法
EP2142010B1 (en) Extruded legume snack food
KR102010034B1 (ko) 만두피용 반죽, 만두피 제조방법, 만두피, 만두 제조방법 및 만두
CN103932264A (zh) 一种膨化海鲜食品的制备方法
KR20170073895A (ko) 식물성 부재료를 포함하는 팽화과자 제조용 과립 및 이를 이용한 쌀 팽화과자의 제조 방법
US3764344A (en) Dough composition for a cup shaped shell
KR101803754B1 (ko)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KR101908530B1 (ko) 팽화 견과류 그래뉼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팽화 견과류 그래뉼 스낵
JP3662192B2 (ja) 澱粉性膨化菓子及びその製法
KR101402044B1 (ko) 프레첼 과자의 제조 방법
KR20000009635A (ko) 가래떡에 내부충진물을 주입한 떡볶이 제조방법 및 장치
CN104994746B (zh) 冷冻焗烤食品的制造方法
CN107821527A (zh) 一种橘子月饼的制备方法
KR20020021298A (ko) 혼합국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와 혼합국수를 이용한국수스낵과자류의 제조방법
KR20070080002A (ko) 뻥튀기의 제조방법
KR101834840B1 (ko) 다양한 식감을 갖는 면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14808B1 (ko) 쌀 팽화스낵 제조방법
JPH0687747B2 (ja) 大豆加工食品
JPS6332448A (ja) 膨化スナツク食品の製造法
HUP0101065A2 (hu) Eljárás két vagy több tengelyirányú üreggel ellátott snackétel termék előállítására extrudálással
KR20210039263A (ko) 삼채와 찰보리를 이용한 쌀국수 제조방법
KR100463981B1 (ko) 스낵 플레이크를 이용한 스낵 제조방법 및 그 스낵
JP2023121660A (ja) 粒状パスタの製造方法
HK40073712A (en) Production method for noodles
KR101735525B1 (ko) 식감을 높인 찹쌀 튀김만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