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644B1 - Apparatus for holding a cornea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olding a corne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3644B1 KR101803644B1 KR1020160061501A KR20160061501A KR101803644B1 KR 101803644 B1 KR101803644 B1 KR 101803644B1 KR 1020160061501 A KR1020160061501 A KR 1020160061501A KR 20160061501 A KR20160061501 A KR 20160061501A KR 101803644 B1 KR101803644 B1 KR 1018036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gs
- pair
- donor
- corneal tissue
- corne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10000004087 cornea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10000001255 hallux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0453 second toe Anatomy 0.000 claims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5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054 trans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981 epi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83 corneal strom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38 endo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80 postop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3 trau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257 vis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or corneal implants; Artificial eyes
- A61F2/142—Cornea, e.g. artificial corneae, keratoprostheses or corneal implants for repair of defective corneal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or corneal implants; Artificial eyes
- A61F2/148—Implantation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는, 수여자의 각막 조직에 이식되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에 접하도록 고정시키는 각막 고정 장치이며, 적어도 일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상에 놓여지는 한 쌍의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는 투스를 포함한다.The cornea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a corneal tissue of a donor grafted to a corneal tissue of a recipient so as to contact the corneal tissue of the recipient, A pair of legs resting on the corneal tissue of the recipient and a tooth extending from the pair of legs to support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막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막 이식 수술 중에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하는 각막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각막은 안구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투명한 조직으로, 외상이나 질병에 노출될 경우 혼탁해지며 시력장애가 발생한다. 각막 이식 수술은 이러한 혼탁해진 수여자의 각막 조직을 지름 7~9mm의 원형으로 절개하여 제거하고 투명한 기증자 각막 조직을 이식하여 봉합하는 수술이다.The cornea is a transparent tissue located at the forefront of the eyeball. When exposed to trauma or disease, the cornea becomes turbid and causes visual impairment. Corneal transplanta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corneal tissue of the opacified recipient is cut into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7 to 9 mm, and the transparent donor corneal tissue is transplanted and sutured.
수여자 각막 조직과 기증자 각막 조직을 연결하기 위해 통상 12개 내지 24개의 봉합을 수행하며, 봉합 초기에는 cardinal suture라고 불리는 동서남북 네 방향의 봉합을 실시한다. cardinal suture는 수술 후 난시에 영향을 많이 줄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수술 정밀도가 요구된다.To connect donor corneal tissue with donor corneal tissue, usually 12 to 24 sutures are performed. In the early period of suture, sutures of four directions are called cardinal sutures. Cardinal suture may have a great effect on postoperative astigmatism, so high surgical precision is required.
미끄럽고 연한 조직인 각막을 고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끝 부분에 뾰족하고 미세한 팁이 있는 toothed forceps을 사용한다. 그러나 각막의 가장 아랫면에 있는 내피는 손상을 입을 경우 회복이 안 되는 조직이기 때문에 toothed forceps으로는 각막의 가장 윗면인 상피와 두께 0.5mm인 절개된 단면만을 잡아야 한다. 또한 봉합 바늘이 상피를 뚫고 들어갈 때나 나올 때 저항력을 받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분적인 조직 변형을 포셉으로 방지해야 한다. To fix the cornea, which is a slippery, soft tissue, use a toothed forceps with a pointed, fine tip at the tip. However, since the endothelium at the lowest level of the cornea is a tissue that can not be recovered in the event of damage, the toothed forceps should be taken only in the epithelium of the cornea and the incised section of 0.5 mm in thickness. In addition, since the suture needle is resistant to penetration of the epithelium,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partial tissue deformation caused by the suture.
이처럼 불안정한 파지 방식으로는 수술 정밀도와 재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술 중 각막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미국 특허 US 7,147,648에서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각막을 고정하는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In this unstable gripping method, the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of the operation are inferior. Therefore, a device for fixing the cornea during the operation is required. U.S. Pat. No. 7,147,648 discloses a device for securing a cornea using vacuum pressur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막 이식 수술 중에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봉합 바늘을 이용한 봉합 과정에서 각막 조직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각막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rneal fixation device capable of stably fixing a corneal tissue of a donor during corneal transplantation surgery and minimizing deformation of corneal tissue during a suturing process using a suture needl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는, 수여자의 각막 조직에 이식되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에 접하도록 고정시키는 각막 고정 장치이며, 적어도 일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상에 놓여지는 한 쌍의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는 투스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rneal anchoring apparatus for fixing a corneal tissue of a donor, which is implanted in a corneal tissue of a recipient, so as to contact the corneal tissue of the recipient, A pair of legs placed on the corneal tissue of the recipient in a mutually spaced apart state, and a tooth extending from the pair of legs and supporting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상기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tooth ma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상기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측면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The tooth may b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상기 투스는 상기 한 쌍의 레그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tooth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each of the pair of legs.
상기 한 쌍의 레그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상에 놓여질 수 있다.And a bridge connecting the pair of legs, wherein the bridge can be placed on the corneal tissue of the recipient.
상기 기증자의 각막의 중앙부에 놓여지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레그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한 쌍의 레그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base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rnea of the donor, wherein a plurality of the pair of legs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the pair of legs can extend radially from the base.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핸들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handle ba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toward the upper side.
상기 한 쌍의 레그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중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놓여지는 한 쌍의 제1 레그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중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놓여지는 한 쌍의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투스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투스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투스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air of legs comprises a pair of first legs at least partially placed on a portion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which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legs of the donor corneal tissue, And a second pair of legs extending from the pair of first legs to support one 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nd a second tooth extending from the pair of second legs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레그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그 조작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내측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고, 상기 레그 조작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외측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A pair of first legs and a pair of second leg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egs to move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toward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Wherein the first toe and the second tooth ar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s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move toward the inside of the donor corneal tissue by the leg manipulating unit,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is supported and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are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by the leg manipulating unit, May be detached from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상기 레그 조작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제1 파지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leg manipula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pair of first legs and a second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pair of second legs to elastically apply force to the first grip portion, And a second grip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branch portion.
상기 제2 파지부는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적어도 1회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를 서로 인접하게 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내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gripping portion is formed to intersect with the first gripping portion at least once between both ends so that the first gripping portion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are mutually adjacent to each other, Moving the pair of second legs toward the out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moving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toward the in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Can be moved.
상기 레그 조작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leg manipula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pair of first legs and a second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pair of second leg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ip portion, And may include a grip portion.
일단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리거 및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와 상기 트리거를 연결하며 상기 트리거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되도록 하는 운동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housing rotatably supporting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at one end, a trigger slidably provided in the housing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And a motion converting unit connecting the first leg of the pair and the pair of second legs to the trigger and causing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to pivot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trigger can do.
상기 운동 변환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링크,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트리거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트리거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motion converting unit includes a first link extending from the pair of first legs, a second link extending from the pair of second legs and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A third link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the other e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trigger, and a fourth link having one e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nk and the other end rotatable relative to the trigger, Link.
상기 트리거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하강하여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고, 상기 트리거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상승하며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As the trigger rises,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rotate,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descend to support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nd when the trigger falls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are rotated and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are elevated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상기 트리거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하강하여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고, 상기 트리거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상승하며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As the trigger is lowered,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rotate,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descend to support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nd when the trigger rises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are rotated and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are elevated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각막 이식 수술 중에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봉합 바늘을 이용한 봉합 과정에서 각막 조직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수술 정밀도, 안정성 및 재현성을 향상시킨다.Stable fixation of donor corneal tissue during corneal transplantation surgery and minimization of corneal tissue deformation during suturing with suture needles improves surgical precision, stability and reproducibility.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각막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nea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is fixed using the cornea fixation device of FIG. 1;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is fixed using the cornea fixation device of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nor's corneal tissue fixed using a corneal-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nor's corneal tissue is fixed using a corneal-fix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is fixed using the cornea fixation device of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nea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leg portion and the second leg portion of FIG. 7;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neal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neal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neal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rnea fixation device of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schematic drawing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corneal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nea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는 한 쌍의 레그(11, 12) 및 한 쌍의 투스(13, 14)를 포함한다.1, the
한 쌍의 레그(11, 12)는 적어도 일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레그(11, 12) 사이에는 니들 출입홀(16)이 형성된다.The pair of
한 쌍의 투스(13, 14)는 한 쌍의 레그(11, 12)의 하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투스(13, 14)는 각각 레그(11, 12)의 하면으로부터 레그(11, 12)의 일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한 쌍의 투스(13, 14)가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투스(13, 14)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투스(13, 14)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A pair of teeth (13, 14) exte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air of legs (11, 12). As shown in Fig. 1, the pair of
레그(11, 12)의 일단과 투스(13, 14) 일단 사이의 간격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일반적인 각막 조직의 두께보다 다소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레그(11, 12)의 일단과 투스(13, 14) 일단 사이로 진입한 기증자의 각막 조직이 레그(11, 12)와 투스(13, 14)에 의해 협지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그(11, 12)의 타단에는 한 쌍의 레그(11, 12)를 연결하는 브릿지(15)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브릿지(15)는 한 쌍의 레그(11, 12)를 일체화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15)는 한 쌍의 레그(11, 12)의 타단에 형성되지 않고, 한 쌍의 레그(11, 1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브릿지(15)가 형성되지 않고, 한 쌍의 레그(11, 12)가 타단에서 상호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도 2는 도 1의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rneal tissue of a donor is fixed using the cornea fixation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rneal tissue of a donor is fixed using the cornea fixation device of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는 한 쌍의 레그(11, 12)의 일단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상부면을 지지하고, 한 쌍의 투스(13, 1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한다. 한 쌍의 레그(11, 12)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 및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각막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설계될 수 있다.2,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막 고정 장치(1)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수여자의 각막 조직(B)에 접하도록 고정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rneal tissue A of the donor is fixed to the corneal tissue B of the donor using the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실(D)이 연결된 봉합 바늘(C)을 기증자의 각막 조직(A) 상의 바늘 삽입 지점(P1)으로 삽입하여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상의 바늘 적출 지점(P2)으로 적출시키는 방식으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수여자의 각막 조직(B)에 접합시킨다.2 and 3, the suture needle C to which the suture chamber D is connected is inserted into the needle insertion point P1 on the cornea tissue A of the donor, and the corneal tissue B The corneal tissue A of the donor is bonded to the corneal tissue B of the donor in such a manner that the donor corneal tissue A is removed at the needle picking point P2 on the donor cornea.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삽입 지점(P1)은 기증자의 각막 조직(A) 중 한 쌍의 투스(13, 14)가 위치하는 영역의 상부에 설정되고, 바늘 적출 지점(P2)은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중 니들 출입홀(16) 내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the needle insertion point P1 is set at an upper portion of a region where a pair of
봉합 바늘(C)이 바늘 삽입 지점(P1)으로 삽입될 때에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뚫기 위해 일정 이상의 힘이 요구된다. 따라서, 봉합 바늘(C)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상면의 바늘 삽입 지점(P1)으로 삽입될 때에 기증자의 각막 조직(A) 중 바늘 삽입 지점(P1)의 인근 영역은 봉합 바늘(C)이 뚫고 들어오는 힘에 의해 변형이 일어난다.When the suture needle C is inserted into the needle insertion point P1, a force exceeding a predetermined level is required to puncture the corneal tissue (A) of the donor. Therefore, when the suture needle C is inserted into the needle insertion point P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nor's corneal tissue A, the vicinity of the needle insertion point P1 in the corneal tissue A of the donor is inserted into the suture needle C ) Is deformed by the force that it penetrate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는 한 쌍의 투스(13, 1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하부를 지지하므로, 봉합 바늘(C)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뚫고 삽입되는 과정에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또한, 봉합 바늘(C)이 바늘 적출 지점(P2)에서 적출될 때 역시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뚫기 위해 일정 이상의 힘이 요구된다. 따라서, 봉합 바늘(C)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의 상면의 바늘 적출 지점(P2)으로 삽입될 때에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중 바늘 적출 지점(P2)의 인근 영역은 봉합 바늘(C)이 뚫고 들어오는 힘에 의해 변형이 일어난다.Further, when the suture needle C is extracted at the needle extraction point P2, a force exceeding a certain level is also required to drill the corneal tissue B of the recipient. Therefore, when the suturing needle C is inserted into the needle extraction point P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neal tissue B of the recipient, the adjacent region of the needle extraction point P2 of the corneal tissue B of the recipient, (C) is deformed by the force that it penetrate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는 한 쌍의 레그(11, 12)가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의 상부를 지지하므로, 봉합 바늘(C)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뚫고 적출되는 과정에서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레그(11, 12)를 연결하는 브릿지(15)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봉합 바늘(C)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뚫고 적출되는 과정에서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이 변형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pair of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수여자에게 이식하는 과정에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봉합 바늘(C)이 삽입되고 적출되는 과정에서 기증자의 각막 조직(A)과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의 부분적인 변형을 최소화하여 수술 정밀도 및 재현성을 향상시키고 수술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That is,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corneal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of components common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nor's corneal tissue fixed using a corneal-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와 비교하여 한 쌍의 투스(23, 24)의 형상 및 기능이 상이하다.4, the cornea fixation devic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2) 역시 한 쌍의 레그(11, 12)를 포함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와 유사하게 니들 출입홀(16, 도 1 참고) 및 브릿지(15, 도 1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cornea fixation devic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pair of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2)의 한 쌍의 투스(23, 24)는 일단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한 쌍의 투스(23, 24)의 일단은 뾰족하게 가공될 수 있다.However, the pair of
그리고, 한 쌍의 투스(23, 2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레그(11, 12)의 일단과 투스(23, 24) 일단 사이의 간격은 일반적인 각막 조직의 두께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val between one end of the
또는, 한 쌍의 투스(23, 24)는 일단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으로 삽입되지 않고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pair of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2)는 한 쌍의 레그(11, 12)의 일단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상부면을 지지하고 타단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지지한다. 그리고 한 쌍의 투스(23, 2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을 지지하여,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한다.The cornea fixation devic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pair of
한 쌍의 투스(23, 2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지지하므로, 봉합 바늘(C)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뚫고 삽입되는 과정에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air of
그리고, 한 쌍의 레그(11, 12)의 타단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의 상부를 지지하므로, 봉합 바늘(C)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뚫고 적출되는 과정에서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pair of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cornea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part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of parts common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각막 고정 장치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nea tissue of the donor is fixed using the cornea fix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rnea tissue of the donor is fixed by using the cornea fixation apparatus of FIG. Fig.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3)는 베이스(36), 복수 쌍의 레그(11a ~ 11d, 12a ~ 12d),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를 포함한다.5 and 6, the
베이스(36)는 각막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구조체일 수 있으며, 복수 쌍의 레그(11a ~ 11d, 12a ~ 12d)는 베이스(36)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base 36 may be a structur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cornea and the plurality of pairs of
도 5 및 도 6에는 일례로서, 4쌍의 레그(11a ~ 11d, 12a ~ 12d)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각막 고정 장치(3)를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2쌍, 3쌍 또는 5쌍 이상의 레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쌍의 레그는 360/N 의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N쌍의 레그는 비등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5 and 6 show an example of the
베이스(36) 및 레그(11a ~ 11d, 12a ~ 12d)는 각막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설계되며, 사람에 따라 각막의 크기 및 곡률이 다르므로, 베이스(36) 및 레그(11a ~ 11d, 12a ~ 12d)는 다양한 크기 및 곡률로 설계될 수 있다.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2)의 투스(23, 24)와 유사하다. 즉,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으로 삽입되거나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plurality of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3)의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의 투스(13, 14)와 유사하게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plurality of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는 각 레그(11a ~ 11d, 12a ~ 12d)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plurality of
또는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는 한 쌍의 레그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레그(11a, 12a) 중 하나에만 투스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막 고정 장치(3)는 4개의 투스가 형성된다.Or the plurality of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3)는 베이스(36)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핸들바(37)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바(37)는 각막 이식 수술자가 각막 고정 장치(3)를 보다 쉽게 핸들링하기 위한 구성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 이상 절곡 형성되어 각막 이식 수술자의 파지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5, the
도 5 및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3) 역시 한 쌍의 레그를 연결하는 브릿지(15, 도 1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5 and 6,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막 고정 장치(3)는 베이스(36)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각 레그(11a ~ 11d, 12a ~ 12d)의 단부는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상에 위치한다.6, the
그리고, 각 쌍의 레그(11a ~ 11d, 12a ~ 12d)에 형성된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둘러싸며 지지하므로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 2)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할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3)는 각 쌍의 레그(11a ~ 11d, 12a ~ 12d) 사이에 바늘 삽입 지점(P1)과 바늘 적출 지점(P2)이 설정되므로, 각막 고정 장치(3)를 이용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수여자의 각막 조직(B)에 접하도록 고정한 상태로 4곳에서 봉합 바늘(C)의 삽입/적출을 수행할 수 있다.6, the
따라서, 각막 이식 수술 과정에서 기증자의 각막 조직(A)과 수여자의 각막 조직(B) 간의 봉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봉합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erform the sealing operation between the corneal tissue (A) of the donor and the corneal tissue (B) of the recipient during the corneal transplantation operation, and complete the sealing operation within a shorter time.
전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각막 고정 장치(1, 2)와 유사하게, 복수의 투스(23b, 23d, 24a ~ 24d)가 바늘 삽입 지점(P1)으로 봉합 바늘(C)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뚫고 삽입되는 과정에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각 쌍의 레그(11a ~ 11d, 12a ~ 12d)가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의 상부를 지지하므로, 봉합 바늘(C)이 바늘 적출 지점(P2)에서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을 뚫고 적출되는 과정에서 수여자의 각막 조직(B)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cornea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part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or the thir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parts common to the first, second,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nea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leg portion and the second leg portion of FI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는 제1 레그부(41a), 제2 레그부(41b) 및 레그 조작부(47a, 47b)를 포함한다.7, the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레그 조작부(47a, 47b)는 제1 레그부(41a)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47a)와 제2 레그부(41b)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파지부(47b)를 포함한다.The first an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상단은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된다. 즉, 제1 파지부(47a)는 제2 파지부(47b)에 대해 탄성력을 갖고 제2 파지부(47b)는 제1 파지부(47a)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된다.As shown in Fig. 7, the upper ends of the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는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제1 파지부(47a)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 레그부(41a)와 제2 파지부(47b)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2 레그부(41b)가 서로 가까워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하단이 서로 멀어짐에 따라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 역시 서로 멀어지게 된다.The first
도 7에는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상단에 서로 접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가 변형 사용될 수 있다.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그부(41a)는 제1 파지부(47a)와 연결되는 제1 베이스(46a), 제1 베이스(46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 및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투스(23a, 24a)를 포함한다.8, the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는 제1 베이스(46a)로부터 제2 레그부(41b)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 사이에는 제1 니들 출입홀(16a)이 형성된다.The pair of
한 쌍의 제1 투스(23a, 24a)는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의 하면으로부터 제2 레그부(41b)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제1 투스(23a, 24a)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2)의 투스(23, 24)와 유사한 예를 도시하였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제1 투스(23a, 24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의 투스(13, 14)와 유사하게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The pair of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그부(41a)는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브릿지(1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릿지(15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각막 고정 장치(1)의 브릿지(16)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8, the
제2 레그부(41b)는 제2 파지부(47b)와 연결되는 제2 베이스(46b), 제2 베이스(46b)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레그(11b, 12b) 및 한 쌍의 제2 레그(11b, 12b)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투스(23b, 24b)를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레그(11b, 12b)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니들 출입홀(16b)과 한 쌍의 제2 레그(11b, 12b)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브릿지(15b)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2 레그부(41b)는 제1 레그부(41a)와 대칭되도록 형성되므로, 제2 레그부(41b)의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는 사용자가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가함에 의해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가 서로 가까워지며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고, 제1 투스(23a, 24a)와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부를 지지하여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하게 된다.The
각막 고정 장치(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지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레그(11a, 12a)는, 제1 베이스(46a)와 인접하는 일측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 상에 위치하고, 제1 브릿지(15a)와 인접하는 타측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상에 위치하도록, 기증자의 각막 조직(A)과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중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걸쳐있게 된다.The pair of
그리고, 각막 고정 장치(4)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지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제2 레그(11b, 12b)는, 제2 베이스(46b)와 인접하는 일측이 기증자의 각막 조직(A) 상에 위치하고, 제2 브릿지(15b)와 인접하는 타측이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상에 위치하도록, 기증자의 각막 조직(A)과 수여자의 각막 조직(B) 중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걸쳐있게 된다.The pair of
또한, 사용자가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가 서로 멀어지며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고, 제1 투스(23a, 24a)와 제2 투스(23b, 24b)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으로부터 이탈되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은 각막 고정 장치(4)로부터 자유롭게 된다.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는 전술한 제1, 제2 및 3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1, 2, 3)에 비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놓을 수도 있다. 따라서, 각막 이식 수술 중에 필요에 따라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잡거나(고정하거나) 놓을 수 있어서 수술 편의성이 향상된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4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4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cornea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the fourth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of components common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neal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5)는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와 비교하여, 레그 조작부(57a, 57b, 57c, 58a, 58b, 58c)가 상이하다.9, the cornea fixation device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레그 조작부(57a, 57b, 57c, 58a, 58b, 58c)는 제1 레그부(41a)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57a, 57b, 57c)와 제2 레그부(41b)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파지부(58a, 58b, 58c)를 포함한다.The first and
제1 파지부(57a, 57b, 57c)는 제1 선단부(57a), 제1 교차부(57b) 및 제1 기단부(57c)를 포함하고, 제2 파지부(58a, 58b, 58c)는 제2 선단부(58a), 제2 교차부(58b) 및 제2 기단부(58c)를 포함한다.The
제1 선단부(57a)는 제1 레그부(41a)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선단부(58a)는 제2 레그부(41b)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제1 선단부(57a)와 제2 선단부(58a)의 하단은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되며, 제1 선단부(57a)와 제2 선단부(58a)는 제1 선단부(57a)와 제2 선단부(58a)의 상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는다.The first
외력에 의해 제1 선단부(57a)와 제2 선단부(58a)의 상단이 서로 가까워지면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각각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하단을 중심으로 확개된다.The
그리고, 제1 선단부(57a)와 제2 선단부(58a)의 상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제1 선단부(57a)와 제2 선단부(58a)는 상단이 다시 멀어지며,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각각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하단을 중심으로 오므라들게 된다.When the external force for bringing the first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의 상단은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되며,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는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의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는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의 하단이 서로 멀어지게 된다.The first
한편, 제1 교차부(57b)와 제2 교차부(58b)는 각각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상단으로부터 제1 교차부(57b)과 제2 교차부(58b)가 상호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된다.The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차부(57b) 및 제2 교차부(58b)는 제1 선단부(57a), 제2 선단부(58a), 제1 기단부(57c) 및 제2 기단부(58c)에 비해 얇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9, the
제1 교차부(57b)는 제1 선단부(57a) 및 제1 기단부(57c)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되고, 제2 교차부(58b)는 제2 선단부(58a) 및 제2 기단부(58c)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된다.The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5)는 사용자가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의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가함에 의해 제1 교차부(57b)는 제1 기단부(57c) 및 제1 선단부(57a)와의 각도가 커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제2 교차부(58b) 역시 제2 기단부(58c) 및 제2 선단부(58a)와의 각도가 커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상단은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The cornea fixation device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apply force such th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동시에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각각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하단을 중심으로 확개되며 제1 투스(23a, 24a; 도 8 참고)와 제2 투스(23b, 24b; 도 8 참고)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외측을 향해 이동한다.At the same time, the
그리고, 사용자가 제1 기단부(57c) 및 제2 기단부(58c)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의 하단이 서로 멀어지고 제1 교차부(57b)는 제1 기단부(57c) 및 제1 선단부(57a)와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제2 교차부(58b) 역시 제2 기단부(58c) 및 제2 선단부(58a)와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상단은 서로 멀어지게 된다.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동시에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각각 제1 선단부(57a) 및 제2 선단부(58a)의 하단을 중심으로 오므라들며 제1 투스(23a, 24a; 도 8 참고)와 제2 투스(23b, 24b; 도 8 참고)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고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부를 지지하여 기증자의 각막 조직(A)를 고정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이후, 각막 고정 장치(5)에 의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고정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의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가하면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가 확개되고, 제1 투스(23a, 24a)와 제2 투스(23b, 24b)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으로부터 이탈되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은 각막 고정 장치(5)로부터 자유롭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cornea fixation device 5 desires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corneal tissue A of the donor, when the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5)는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와 유사하게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놓을 수도 있다.The cornea fixation device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fix the corneal tissue A of the donor similarly to the
다만,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에 힘을 가하고,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에 가하던 힘을 제거함에 의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이 각막 고정 장치(4)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5)는 각막 고정 장치(5)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각막 고정 장치(5)에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고,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각막 고정 장치(5)로부터 분리할 때에만 제1 기단부(57c)와 제2 기단부(58c)에 힘을 가하면 된다.However,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5)는 각막 이식 수술 과정에서 사용자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하기 위해 각막 고정 장치(5)를 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수술 편의성이 향상되고 보다 안정적으로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cornea fixation device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hold the cornea fixation device 5 to fix the corneal tissue A of the donor during the corneal transplantation operation, The convenience is improved and the corneal tissue (A) of the donor can be more stably fix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4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4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cornea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the fourth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of components common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neal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6)는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와 비교하여, 레그 조작부(67a, 67b, 67c)가 상이하다.10, the cornea fixation device 6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레그 조작부(67a, 67b, 67c)는 제1 레그부(41a)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67a)와 제2 레그부(41b)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파지부(67b), 그리고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68)을 포함한다.The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4)는 제1 파지부(47a)와 제2 파지부(47b)의 상단이 탄성력을 갖도록 연결됨에 반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6)는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가 회동축(6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를 회동축(68)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제어하여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하거나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각막 고정 장치(6)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control the first grasping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의 상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조작함에 의해,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서로 가까워지며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고, 제1 투스(23a, 24a)와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부를 지지하여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을 고정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upper ends of the first
그리고, 사용자가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의 상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조작함에 의해,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가 서로 멀어지며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고, 제1 투스(23a, 24a)와 제2 투스(23b, 24b)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으로부터 이탈되어,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은 각막 고정 장치(4)로부터 자유롭게 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실시예에 따라,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 사이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추가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파지부(67a)와 제2 파지부(67b)의 상단이 서로 멀어진 상태 또는 가까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 separate elastic member may be added between the firs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4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4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cornea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the fourth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of components common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각막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nea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 and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ornea fixation device of FIG.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각막 고정 장치(7)는 하우징(71), 트리거(72) 및 운동 변환부(73a, 73b, 74a, 74b)를 포함한다.11 to 13, the
하우징(71)은 트리거(72)의 하단과 운동 변환부(73a, 73b, 74a, 74b)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하우징(71)의 하단에는 제1 회동축(75)이 형성되며, 제1 회동축(75)은 제1 레그부(41a)로부터 연장되는 제1 링크(73a) 및 제2 레그부(41b)로부터 연장되는 제2 링크(73b)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제1 레그부(41a) 및 제2 레그부(41b)는 하우징(71)의 하단에서 제1 회동축(7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The
운동 변환부(73a, 73b, 74a, 74b)는 제1 링크(73a), 제2 링크(73b), 제3 링크(74a) 및 제4 링크(74b)를 포함한다.Th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73a)는 제1 레그부(41a)의 제1 베이스(46a)로부터 제2 레그부(41b)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링크(73b)는 제2 레그부(41b)의 제2 베이스(46b)로부터 제1 레그부(41a)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12, the
제3 링크(74a)는 제1 링크(73a)의 상단과 트리거(72)의 하단을 연결하고, 제4 링크(74b)는 제2 링크(73b)의 상단과 트리거(72)의 하단을 연결한다.Th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링크(74a)는 제1 링크(73a)와 제2 회동축(77a)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트리거(72)와 제4 회동축(7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4 링크(74b)는 제2 링크(73b)와 제3 회동축(77b)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트리거(72)와 제4 회동축(7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12, the
제1 회동축(75)은 하우징(71)에 대해 위치가 고정된 축이지만, 제2 회동축(77a), 제3 회동축(77b) 및 제4 회동축(76)은 트리거(72)의 승강에 의해 하우징(71)에 대해 위치가 가변되는 축이다.The second
트리거(72)는 하우징(71)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72)를 하우징(71)에 대해 상승시킴에 따라, 제4 회동축(76)은 트리거(72)와 함께 상승한다. 제1 회동축(75)이 하우징(7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트리거(72)가 상승함에 따라 제3 링크(74a)와 제4 링크(74b)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고, 제1 링크(73a)와 제2 링크(73b)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서로를 향해 오므라들듯이 회동하며,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부를 지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1, as the
도 11에는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부에 접하며 기증자의 각막 조직(A)를 지지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하거나, 전술한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면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1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72)를 하우징(71)에 대해 하강시킴에 따라, 제4 회동축(76)은 트리거(72)와 함께 하강한다. 제1 회동축(75)이 하우징(7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트리거(72)가 하강함에 따라 제3 링크(74a)와 제4 링크(74b) 사이의 각도가 커지고, 제1 링크(73a)와 제2 링크(73b) 사이의 각도가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며 확개되고,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으로부터 이탈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 as the
실시예에 따라, 제1 링크(73a)가 제2 레그부(41b)로부터 연장되고, 제2 링크(73b)가 제1 레그부(41a)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트리거(72)가 하강함에 따라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며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는 기증자의 각막 조직(A)으로부터 이탈되고, 트리거(72)가 상승함에 따라 제1 레그부(41a)와 제2 레그부(41b)가 서로를 향해 오므라들듯이 회동하며 제1 투스(23a, 24a) 및 제2 투스(23b, 24b)가 기증자의 각막 조직(A)의 측부를 지지하게 된다.When the
또한, 실시예에 따라 트리거(72)와 하우징(71) 사이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추가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트리거(72)가 상승한 상태 또는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separate elastic member may be added between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2, 3, 4, 5, 6: 각막 고정 장치
11, 11a, 11b, 11c, 11d, 12a, 12b, 12c, 12d: 레그
13, 14, 23, 23a, 23b, 23d, 24, 24a, 24b, 24c, 24d: 투스
15, 15a, 15b: 브릿지 16, 16a, 16b: 니들 출입홀
36: 베이스 37: 핸들바
41a: 제1 레그부 41b: 제2 레그부
46a: 제1 베이스 46b: 제2 베이스
47a: 제1 파지부 47b: 제2 파지부
57a, 67a: 제1 선단부 57b, 67b: 제1 교차부
57c: 제1 기단부 58a: 제2 선단부
58b: 제2 교차부 58c: 제2 기단부
68: 회동축 71: 하우징
72: 트리거 73a: 제1 링크
73b: 제2 링크 74a: 제3 링크
74b: 제4 링크 75: 제1 회동축
76: 제4 회동축 77a: 제2 회동축
77b: 제3 회동축 A: 기증자의 각막 조직
B: 수여자의 각막 조직 C: 봉합 바늘
D: 봉합실 P1: 바늘 삽입 지점
P2: 바늘 봉합 지점1, 2, 3, 4, 5, 6: corneal fixation device
11, 11a, 11b, 11c, 11d, 12a, 12b, 12c,
13, 14, 23, 23a, 23b, 23d, 24, 24a, 24b, 24c,
15, 15a, 15b:
36: Base 37: Handlebar
41a:
46a:
47a:
57a, 67a:
57c:
58b:
68: Pivot shaft 71: Housing
72:
73b:
74b: fourth link 75: first coaxial shaft
76: fourth
77b: 3rd coaxial A: corneal tissue of the donor
B: Corneal tissue of the recipient C: Suture needle
D: Suture chamber P1: Needle insertion point
P2: needle stitch point
Claims (16)
적어도 일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여자 및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 상에 놓여지는 한 쌍의 레그;
상기 한 쌍의 레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 바늘이 출입하는 니들 출입홀; 및
상기 한 쌍의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봉합 바늘이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또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관통할 때에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는 투스를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A corneal fixation device for fixing a corneal tissue of a donor transplanted to a corneal tissue of a recipient so as to contact the corneal tissue of the recipient,
A pair of legs placed on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nd the donor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m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needle exit hole formed between the pair of legs for inserting and inserting a suture needle for sealing the corneal tissue of the recipient and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nd
And a tooth extending from the pair of legs to support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when the suture needle passes through the corneal tissue of the recipient or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상기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각막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oth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상기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측면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각막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oth is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상기 투스는 상기 한 쌍의 레그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각막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said tooth is formed extending from said pair of legs, respectively.
상기 한 쌍의 레그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상에 놓여지는, 각막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ridge connecting the pair of legs,
Wherein the bridge is placed on the corneal tissue of the recipient.
상기 기증자의 각막의 중앙부에 놓여지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레그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한 쌍의 레그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각막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se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rnea of the donor,
Wherein a plurality of said legs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said legs extend radially from said base.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핸들바를 더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handle ba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to an upper side.
상기 한 쌍의 레그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중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놓여지는 한 쌍의 제1 레그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여자의 각막 조직 중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놓여지는 한 쌍의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투스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투스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투스를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legs comprises: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corneal tissue is placed on a portion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which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nd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leg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nd a second pair of legs,
The tooth-
A first tooth extending from the pair of first legs to support one 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nd a second tooth extending from the pair of second legs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 Corneal fixation device.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레그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그 조작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내측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고,
상기 레그 조작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외측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는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이탈되는, 각막 고정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A pair of first legs and a pair of second leg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egs to move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toward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ng portion,
The first toe and the second toe support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s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move toward the inside of the donor's corneal tissue by the leg manipulating unit and,
The first toe and the second tooth are separated from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s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move toward the outside of the donor's corneal tissue by the leg manipulating unit , A corneal fixation device.
상기 레그 조작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제1 파지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g-
A first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pair of first legs,
And a second gripper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pair of second legs and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gripper portion so as to have an elastic forc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ipper portion.
상기 제2 파지부는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적어도 1회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를 서로 인접하게 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의 내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각막 고정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grip portion is formed to intersect with the first grip portion at least once between both ends thereof,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are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by an external force that makes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adjoin each other,
And moves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toward the inside of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상기 레그 조작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g-
A first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pair of first legs,
And a second gripper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pair of second legs and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gripper portion.
일단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리거; 및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와 상기 트리거를 연결하며 상기 트리거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되도록 하는 운동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A housing rotatably supporting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at one end;
A trigger slidable up and down in the housing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And
A motion converting unit that connects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to the trigger and causes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to pivot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trigger Further comprising: a corneal fixation device.
상기 운동 변환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링크;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트리거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링크;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트리거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링크를 포함하는, 각막 고정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otion converting unit includes:
A first link extending from the pair of first legs;
A second link extending from the pair of second legs and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A third link rotatably provided at one end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and at another end rotatably with respect to the trigger;
And a fourth link rotatably provided at one end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nk and the other end rotatably with respect to the trigger.
상기 트리거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하강하여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고,
상기 트리거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상승하며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이탈되는, 각막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As the trigger rises,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rotate,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descend to support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And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are rotated as the trigger is lowered, and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rise and separate from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상기 트리거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하강하여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을 지지하고,
상기 트리거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가 회동하며 상기 제1 투스 및 상기 제2 투스가 상승하며 상기 기증자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이탈되는, 각막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As the trigger is lowered,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rotate, and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descend to support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The pair of first legs and the pair of second legs are rotated as the trigger is raised, and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are raised and separated from the corneal tissue of the don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1501A KR101803644B1 (en) | 2016-05-19 | 2016-05-19 | Apparatus for holding a corne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1501A KR101803644B1 (en) | 2016-05-19 | 2016-05-19 | Apparatus for holding a corne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0819A KR20170130819A (en) | 2017-11-29 |
KR101803644B1 true KR101803644B1 (en) | 2017-12-01 |
Family
ID=6081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1501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3644B1 (en) | 2016-05-19 | 2016-05-19 | Apparatus for holding a corne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364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8079B1 (en) * | 2020-10-13 | 2023-05-30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Medical vacuum tweezer and tissue sutur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44362A (en) * | 1985-06-27 | 1988-05-17 | Gruendler Patrik | Device for transplanting the cornea of the human eye |
US7147648B2 (en) | 2003-07-08 | 2006-12-12 |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 Device for cutting and holding a cornea during a transplant procedure |
JP2014516286A (en) * | 2011-03-29 | 2014-07-10 | オキュネ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asteners, install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ocular tissue closure and ocular artificial tissue fixation and other uses |
JP2015181812A (en) | 2014-03-25 | 2015-10-22 |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ビュー | Suture hole cre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ture hole creation device |
-
2016
- 2016-05-19 KR KR1020160061501A patent/KR10180364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44362A (en) * | 1985-06-27 | 1988-05-17 | Gruendler Patrik | Device for transplanting the cornea of the human eye |
US7147648B2 (en) | 2003-07-08 | 2006-12-12 |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 Device for cutting and holding a cornea during a transplant procedure |
JP2014516286A (en) * | 2011-03-29 | 2014-07-10 | オキュネ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asteners, install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ocular tissue closure and ocular artificial tissue fixation and other uses |
JP2015181812A (en) | 2014-03-25 | 2015-10-22 |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ビュー | Suture hole cre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ture hole crea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0819A (en) | 2017-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51579A (en) | Incision guide for intra-ocular surgery | |
ES2327978T3 (en) | SURGICAL PROBE. | |
US8038684B2 (en) | Intraocular device for retaining a lens capsule | |
JP5457144B2 (en) | Vitreous surgery contact lens holding device, holding device set, and vitreous surgery contact lens | |
EP1661533A1 (en) | Method for eye refractive surgery and device for implanting an intraocular refractive lens | |
KR20030034047A (en) | Sutureless occular surgical methods and instruments for use in such methods | |
CN107920915B (en) | Ophthalmic surgical device for cutting circular incisions | |
US10085882B2 (en) | Ocular lens capsule retainer | |
KR101803644B1 (en) | Apparatus for holding a cornea | |
CN113226219B (en) | Folding device for intraocular lens injector | |
JP2005007029A (en) | Ciliary sulcus guide | |
JP4877570B2 (en) | Vitreous surgery contact lens retaining ring | |
WO2011061232A1 (en) | Cannula device | |
KR101056823B1 (en) | Capsulotomy | |
JP4931408B2 (en) | Ophthalmic surgery contact lenses | |
JPS60212161A (en) | Operation instrument | |
JP6045659B1 (en) | Medical instruments | |
US20060287655A1 (en) | Method for eye refractive surgery and device for implanting an intraocular refractive lens | |
US6113606A (en) | Incision guide for intra-ocular surgery | |
JP2007283063A (en) | Suture needle | |
US20020156486A1 (en) | Optical lens furler and injector | |
KR102538079B1 (en) | Medical vacuum tweezer and tissue sutur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6111320B2 (en) | In vivo introduction device | |
JP6502431B2 (en) | Extra-thin tube needle for intrascleral fixation in intraocular lens | |
US20220008193A1 (en) | Fastening device for an intraocular le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