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03389B1 - 친환경 청소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389B1
KR101803389B1 KR1020160083399A KR20160083399A KR101803389B1 KR 101803389 B1 KR101803389 B1 KR 101803389B1 KR 1020160083399 A KR1020160083399 A KR 1020160083399A KR 20160083399 A KR20160083399 A KR 20160083399A KR 101803389 B1 KR101803389 B1 KR 101803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ase
suction
outside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완
Original Assignee
(주)공공디자인이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공공디자인이즘 filed Critical (주)공공디자인이즘
Priority to KR102016008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3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0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user-driven air-pumps or compress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압력차를 이용해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소음 발생이 없는 친환경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며 내부는 빈 함체 형상을 가지는 먼지 케이스와, 먼지 케이스의 하단을 개폐하는 하단커버;를 가지되, 먼지 케이스의 내부 압력차에 의해 외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 먼지 케이스의 내부 압력 하강 시 먼지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승강 하우징 및 승강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먼지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력조절로드를 가지는 압력조절부; 및 먼지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를 소통시켜 먼지의 흡입을 안내하거나 또는 먼지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의 소통을 차단시키는 먼지 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청소기{ENVIRONMENT FRIENDLY CLEANERS}
본 발명은 친환경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압력차를 이용해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는 친환경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실내공간 또는 사무실 등의 실내공간 청소에는 진공청소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로봇 산업의 발달로 로봇 청소기가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진공청소기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모터의 회전으로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본체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이때 본체 내부와 외부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한 강한 풍량으로 피청소면에 있는 먼지 및 오염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시켜 청소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는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주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하는 기기이다.
그러나 전술한 진공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청소하기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작은 틈새, 예를 들면 텔레비전의 뒷면, 책상 사이, 및 창틀과 같은 곳을 청소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비교적 작은 핸드진공청소기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소음으로 인해 밤늦은 시간에는 사용을 자제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는 통상의 먼지 털이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먼지 털이개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먼지가 공중으로 날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소음 발생이 없는 친환경 청소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10-0006682 호(공개일자: 2010. 01. 217, 명칭: 무전원 진공 흡입기의 자동차 오물 처리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압력차를 이용해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소음 발생이 없는 친환경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는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며 내부는 빈 함체 형상을 가지는 먼지 케이스와, 먼지 케이스의 하단을 개폐하는 하단커버;를 가지되, 먼지 케이스의 내부 압력차에 의해 외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 먼지 케이스의 내부 압력 하강 시 먼지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승강 하우징 및 승강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먼지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력조절로드를 가지는 압력조절부; 및 먼지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를 소통시켜 먼지의 흡입을 안내하거나 또는 먼지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의 소통을 차단시키는 먼지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 케이스의 상단 중앙부에는 먼지 케이스의 하단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승강구가 마련되고, 승강구의 바닥면 상에는 유출공이 형성되며, 먼지 케이스의 하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내부가 먼지 케이스의 내부와 연결되게 흡입관이 형성되고, 먼지 케이스의 상단 내측면는 먼지 케이스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먼지 케이스의 상단에는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커버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밸브실이 마련되되, 밸브실 내부에는 먼지 케이스의 내부 압력 하강 시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먼지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하단커버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외부 공기가 먼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일방향 밸브가 내장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밸브실은, 승강구의 바닥면 하부에서 하단커버의 상부면 측으로 연장되는 스커트; 및 스커트의 개방된 하부를 마감하는 마감 캡을 포함하되, 스커트와 마감 캡 사이에는 패킹이 끼워지며, 마감 캡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하단커버의 중앙부에는 마감 캡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면서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마감 캡과 하단커버의 상부면 사이에는 배출공에 간섭되지 않게 원판형상의 패킹이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커버의 중앙부에는 승강구의 바닥면 하부 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밸브실이 일체로 마련되되, 밸브실 내부에는 먼지 케이스의 내부 압력 하강 시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먼지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하단커버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외부 공기가 먼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일방향 밸브가 내장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하단커버는 먼지 케이스의 개방된 하단을 폐쇄할 수 있는 원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하단커버의 외주면 상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환형의 결합플랜지가 하단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먼지 케이스의 하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암나사가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하단커버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다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하우징은 먼지 케이스의 외주면 및 상단을 감쌀 수 있도록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며 내부는 빈 함체 형상을 가지며, 승강 하우징과 먼지 케이스 사이의 기밀을 위해 승강 하우징의 하단에 인접한 내주면 상에는 패킹이 끼워지고, 먼지 케이스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는 승강 하우징이 먼지 케이스에서 분리되지 않게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조절로드는 승강 하우징의 상단 외측에서부터 승강 하우징의 상단을 관통해 승강구에 끼워지며, 승강구에 끼워진 압력조절로드의 연장단에는 압력조절로드의 상승 시 승강 하우징 내부 공기를 승강구 내부 측으로 유입되게 하고 압력조절로드의 하강 시 승강구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유출공 및 일방향 밸브를 통해 먼지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헤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승강 하우징의 외주면 상에는 이동 손잡이가 장착되며, 압력조절로드의 시작단에는 승강 손잡이가 형성되고, 압력조절로드 관통된 승강 하우징의 상단에는 패킹이 끼워지며, 승강 하우징의 상단 내측면과 먼지 케이스의 상부 외측면 사이에는 승강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 유도부는, 일단이 먼지 케이스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흡입관에 연결되는 흡입호스; 및 흡입호스의 타단 측에 장착되는 흡입노즐;을 포함하며, 흡입노즐에는 흡입호스의 내부와 연결되는 흡입공 및 흡입공을 개폐하는 작동레버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전기료 등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는 종래 진공청소기와 같이 압력 발생을 위해 모터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밤늦은 시간대에도 주위의 시선 등을 의식하지 않고 청소를 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는 사용자에 의해 압력이 조절되기 때문에 흡입대상물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하게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친환경 청소기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먼지 케이스 내부 압력을 하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100)는 내부 압력차에 의해 외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200)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2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300), 및 흡입부(200)의 내부와 외부를 소통시켜 먼지의 흡입을 안내하거나 또는 흡입부(200)의 내부와 외부의 소통을 차단시키는 먼지 유도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흡입부(200)는 먼지 케이스(210) 및 먼지 케이스(210)의 하단을 개폐하는 하단커버(230)를 포함한다.
먼지 케이스(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며 내부는 빈 함체 형상을 가진다.
먼지 케이스(210)의 상단 중앙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면서 먼지 케이스(210)의 하단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승강구(212)가 마련된다.
승강구(212)는 먼지 케이스(210)의 폐쇄된 상단이 하단 측으로 수직하게 침강되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승강구(212)이 바닥면 상에는 유출공(214)이 형성된다. 유출공(214)으로는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 압력 하강 시 먼지 케이스(210) 내부 공기가 유출된다.
그리고 먼지 케이스(210)의 상단 내측면 상에는 먼지 케이스(210)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216)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먼지 케이스(210)의 상단에는 다수의 유입공(218)이 형성된다.
즉, 청소 시 먼지 케이스(210) 내부로는 먼지 유도부(400)를 통해 먼지와 공기가 흡입되는데, 먼지는 필터(216)에 의해 걸러지고 공기는 필터(216)를 거쳐 유입공(218)을 통해 후술하는 승강 케이스(310)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필터(216)와 먼지 케이스(210)의 탈부착 관계는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으며, 필터(216)가 먼지 케이스(210)에 탈부착될 수 있다면 어떠한 연결 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케이스(210)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돌기(220)와 먼지 케이스(210) 상단 사이에 필터(216)를 탈부착 가능하게 개재할 수 있다.
한편, 먼지 케이스(210)의 하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내부가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와 연결되게 흡입관(222)가 형성되며, 흡입관(222)에는 먼지 유도부(400)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단커버(230)는 먼지 케이스(210)의 개방된 하단을 폐쇄할 수 있는 원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하단커버(230)의 외주면 상에는 하단커버(230)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의 결합플랜지(23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플랜지(232)의 내주면 상에는 먼지 케이스(210)와의 결합을 위해 암나사(234)가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서 먼지 케이스(210)의 하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흡입관(222)에 간섭되지 않게 암나사(234)가 체결되는 수나사(236)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단커버(230)의 하부면 상에는 하단커버(230)를 지면, 또는 기타 구조물의 표면에서 이격시키는 다수의 다리(238)가 형성된다. 다리(238)는 압력조절부(300)의 승강작동에 의한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 압력 하강 시 먼지 케이스(21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단커버(230)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밸브실(240)이 마련되는데, 밸브실(2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공(214)에 간섭되지 않게 승강구(212)의 바닥면 하부에서 하단커버(230)의 상부면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스커트(241a)와, 스커트(241b)의 개방된 하부를 마감하도록 스커트(241b)의 하부에 끼워지는 마감 캡(241b)을 포함한다. 이때 스커트(241a) 와 마감 캡(241b)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해 패킹(241c)이 끼워지며, 마감 캡(241b)에는 배출공(241d)이 형성된다.
이러한 형성된 밸브실(240)의 내부에는 압력조절부(300)의 승강작동에 의한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 압력 하강 시 유출공(214)을 통해 유출되는 먼지 케이스(210) 내부 공기를 배출공(241d)을 통해 하단커버(230)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외부 공기가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통상의 일방향 밸브(242)가 내장된다.
도 2에는 일방향 밸브(242)의 일례로 밸브실(240)의 내경, 즉 스커트(241a)의 내경보다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유출공(214)을 단속하는 원판형상의 밸브체(244)와, 마찬가질고 스커트(241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밸브체(244)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템(246), 및 스템(246)과 밸브실(240) 바닥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 스프링(24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일방향 밸브(242)는 먼지 케이스(210) 내부 압력 하강 시 유출공(214)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244) 및 스템(246)은 하강하게 되고 밸브 스프링(248)은 압축되는데, 이때 유출공(214)을 통해 유출된 공기는 밸브체(244)의 외경 측으로 안내된 후 스템(246)의 외경과 스커트(241a) 내주면 사이를 통해 마감 캡(241b)에 형성된 배출공(241d)으로 배출되게 하고, 유출공(214)으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으면 밸브 스프링(248)은 복원되면서 밸브체(244)를 유출공(214)에 밀착시켜 외부 공기가 먼지 케이스(210)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유출공(214)을 단속한다.
여기서, 배출공(241a)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하단커버(23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커버(230)의 중앙부에는 마감 캡(241b)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관통공(231)이 형성되며, 하단커버(230)와 마감 캡(241b) 사이에는 기밀유지를 위해 배출공(241d)에 간섭되지 않게 원판형상의 패킹(233)이 개재된다.
압력조절부(300)는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 압력 하강 시 먼지 케이스(210)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승강 하우징(310) 및 승강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먼지 케이스(210)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력조절로드(320)를 포함한다.
승강 하우징(310)은 먼지 케이스(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흡입관(222)에 간섭되지 않게 먼지 케이스(210)의 외주면 및 상단을 감쌀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며 내부는 빈 함체 형상을 가진다.
승강 하우징(310)은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 압력 하강 시 압력조절로드(320)에 의해 먼지 케이스(210)의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되는데, 이때 승강 하우징(310)과 먼지 케이스(210) 사이의 기밀을 위해 승강 하우징(310)의 하단에 인접한 내주면 상에는 패킹(312)이 끼워진다. 그리고 먼지 케이스(210)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승강 하우징(310)이 먼지 케이스(210)에서 분리되지 않게 먼지 케이스(210)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의 걸림턱(314)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승강 하우징(310)의 내부는 압력조절로드(32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압력이 낮아지게 되는데, 이때 먼지 케이스(210) 내부의 공기는 필터(216) 및 유입공(218)을 지나 승강 하우징(3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압력조절로드(320)는 승강 하우징(310)의 상단 외측에서부터 승강 하우징(310)의 상단을 관통해 승강구(212)에 끼워진다.
승강구(212)에 끼워진 압력조절로드(320)는 승강구(212)를 따라 승강 운동하면서 승강 하우징(310) 내부 공기를 먼지 케이스(210)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이를 위해서 승강구(212) 내에 배치된 압력조절로드(320)의 연장단에는 압력조절로드(320)의 상승 시 승강 하우징(310) 내부 공기를 승강구(212) 내부 측으로 유입되게 하고 압력조절로드(320)의 하강 시 승강구(212)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유출공(214) 및 일방향 밸브(242)를 통해 먼지 케이스(210) 외부로 배출시키는 헤드부(322)가 마련된다.
헤드부(322)는 압력조절로드(320)의 연장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원판 형상의 제 1 및 제 2 헤드부재(324, 326)와, 제 1 및 제 2 헤드부재(324, 326) 사이에 개재되어 압력조절로드(320) 상승 시 승강구(212)의 내주면과 제 1 헤드부재(324)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고 압력조절로드(320) 하강 시 승강구(22)의 내주면과 제 2 헤드부재(326)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328)을 포함하는데, 이때 제 1 헤드부재(324)에는 패킹(328)에 간섭되지 않게 공기 유도공(330)이 형성된다.
즉, 압력조절로드(320)가 상승함에 따라 패킹(328)은 제 1 헤드부재(324)의 상부 측에 밀착됨과 동시에 승강구(2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승강구(212)의 내주면과 제 1 헤드부재(324)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데, 이때 승강 하우징(310) 내부의 공기는 제 2 헤드부재(326)의 외경 측과 승강구(212)의 내주면 사이를 지나 패킹(328)의 내주면 측으로 유도되고, 패킹(328)의 내주면 측으로 유도된 공기는 다시 공기 유도공(330)을 통해 승강구(212) 내부로 유도된다.
그리고 압력조절로드(320)가 하강함에 따라 패킹(328)은 제 2 헤드부재(326)의 하부 측에 밀착됨과 동시에 승강구(2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승강구(212)의 내주면과 제 2 헤드부재(326)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데, 이때 승강구(212) 내부로 유도된 공기는 유출공(214), 일방향 밸브(242), 배출공(241d) 및 관통공(231)를 거쳐 하단커버(23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승강 하우징(310) 및 압력조절로드(320)의 반복적인 승강 운동에 의해 먼지 케이스(210) 내부 압력은 하강된다.
한편, 승강 하우징(310)의 외주면 상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100)를 용이하게 파지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 손잡이(332)가 장착된다. 또한 승강 하우징(310)의 상단 외측으로 노출된 압력조절로드(320)의 시작단에는 압력조절로드(320)를 용이하게 파지해 승강 시킬 수 있도록 승강 손잡이(3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압력조절로드(320)가 관통된 승강 하우징(310)의 상단에는 기밀 유지를 위해 패킹(336)이 끼워지며, 승강 하우징(310)의 상단 내측면과 먼지 케이스(210)의 상부 외측면 사이에는 승강 스프링(338)이 개재된다.
승강 스프링(338)은 승강 하우징(310) 및 압력조절로드(320)를 하강 시 승강 하우징(310) 및 압력조절로드(320)를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가 승강 하우징(310) 및 압력조절로드(320)를 가압하는 압력을 해지시키면 복원되면서 승강 하우징(310) 및 압력조절로드(320)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의 공기가 승강 하우징(310) 내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흡입압력을 증대시킨다. 이때 승강구(212)의 상단에는 승강 스프링(338)의 하단이 승강구(212) 내로 삽입되지 않게 하는 부싱(340)이 압력조절로드(320)의 승강 작동에 간섭되지 않게 승강구(212)의 상단에 결합된다.
한편, 먼지 유도부(400)는 흡입호스(410) 및 흡입노즐(420)을 포함한다.
흡입호스(410)는 주름관의 형태로 마련되면서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흡입호스(410)의 일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케이스(21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흡입관(222)와 연결된다.
여기서, 흡입호스(410)의 일단과 흡입관(222)의 연결 관계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흡입호스(410)와 흡입관(222)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연결된다면 어떠한 연결 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도 2에는 흡입호스(410)의 일단에 끼워지는 조임 캡(412)에 의해 흡입관(222)에 연결된 흡입호스(4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조임 캡(412)과 흡입관(222)은 나사 결합됨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흡입노즐(4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호스(410)의 타단 측에 장착된다. 흡입노즐(420)에는 흡입호스(410)의 내부와 연결되는 흡입공(424)이 형성되며, 또한 흡입노즐(420)에는 흡입공(424)을 개폐하는 작동레버(422)가 장착된다.
작동레버(422)는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흡입노즐(420)에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흡입노즐(420)을 파지한 상태 하에서 작동레버(422)를 당기면 흡입공(424)은 개방되고, 사용자가 작동레버(422)를 놓으면 흡입공은 폐쇄되는데, 이러한 작동레버(422)에 의해 흡입공(424)이 개폐되는 흡입노즐(420)의 구조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친환경 청소기(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100)를 이용해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먼지 케이스(210) 내부 압력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흡입노즐(420)의 흡입공(424)을 폐쇄시킨 상태 하에서 승강 하우징(310) 및 압력조절로드(320)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킨다(도 3 및 도 4 참조).
이렇게 승강 하우징(310) 및 압력조절로드(320)를 반복적으로 승강작동하게 되면, 먼지 케이스(210) 내부 공기는 승강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되고, 승강 하우징(310) 내부의 공기는 승강구(212) 측으로 유입되어 압력조절로드(320)의 헤드부(322)에 의해 먼지 케이스(210)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흡입노즐(220)을 먼지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흡입공(424)이 개방되도록 작동레버(422)를 당기면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와 외부가 소통되면서 먼지는 흡입노즐(420)의 흡입공(424), 흡입호스(410), 흡입관(222)를 통해 먼지 케이스(210)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먼지 케이스(210) 내부로 흡입된 먼지는 필터(216)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먼지와 함께 흡입된 공기는 먼지 케이스(210) 내부에 잔류하다가 먼지 케이스(210) 내부 압력을 하강시키기 위해 승강 작동하는 승강 하우징(310) 및 압력조절로드(320)에 의해 승강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먼지 케이스(210) 내부에 먼지가 충만하게 되면, 먼지 케이스(210)에서 하단커버(230)를 분리해 먼지 케이스(210) 내부의 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100)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전기료 등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100)는 종래 진공청소기와 같이 압력 발생을 위해 모터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밤늦은 시간대에도 주위의 시선 등을 의식하지 않고 청소를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압력이 조절되기 때문에 흡입대상물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하게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청소기(100)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친환경 청소기(1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친환경 청소기 200 : 흡입부
210 : 먼지 케이스 212 : 승강구
230 : 하단커버 300 : 압력조절부
310 : 승강 하우징 320 : 압력조절로드
322 : 헤드부 400 : 먼지 유도부
410 : 흡입호스 420 : 흡입노즐

Claims (9)

  1.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며 내부는 빈 함체 형상을 가지는 먼지 케이스(210)와,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하단을 개폐하는 하단커버(230),를 가지되, 상기 먼지 케이스의 내부 압력차에 의해 외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200);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 압력 하강 시 상기 먼지 케이스(210)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승강 하우징(310) 및 상기 승강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먼지 케이스(210)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력조절로드(320)를 가지는 압력조절부(300); 및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와 외부를 소통시켜 먼지의 흡입을 안내하거나 또는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와 외부의 소통을 차단시키는 먼지 유도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상단 중앙부에는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하단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승강구(212)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구(212)의 바닥면 상에는 유출공(214)이 형성되며,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하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내부가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와 연결되게 흡입관(222)이 형성되고,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상단 내측면는 상기 먼지 케이스(210)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216)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상단에는 다수의 유입공(218)이 형성되는 친환경 청소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커버(230)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밸브실(240)이 마련되되,
    상기 밸브실(240) 내부에는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내부 압력 하강 시 상기 유출공(214)을 통해 유출되는 상기 먼지 케이스(210) 내부의 공기를 상기 하단커버(230)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외부 공기가 상기 먼지 케이스(2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일방향 밸브(242)가 내장되는 친환경 청소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240)은,
    상기 승강구(212)의 바닥면 하부에서 상기 하단커버(230)의 상부면 측으로 연장되는 스커트(241a); 및
    상기 스커트(241a)의 개방된 하부를 마감하는 마감 캡(241b)을 포함하되,
    상기 스커트(241a)와 상기 마감 캡(241b) 사이에는 위해 패킹(241c)이 끼워지며, 상기 마감 캡(241b)에는 배출공(241d)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커버(230)의 중앙부에는 상기 마감 캡(241b)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배출공(241d)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통공(231)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 캡(241b)과 상기 하단커버(230)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배출공(241d)에 간섭되지 않게 원판형상의 패킹(233)이 개재되는 친환경 청소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커버(230)는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개방된 하단을 폐쇄할 수 있는 원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하단커버(230)의 외주면 상에는 내주면에 암나사(234)가 형성된 환형의 결합플랜지(232)가 상기 하단커버(23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하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상기 암나사(234)가 체결되는 수나사(236)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커버(230)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다리(238)가 형성되는 친환경 청소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하우징(310)은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외주면 및 상단을 감쌀 수 있도록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며 내부는 빈 함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승강 하우징(310)과 상기 먼지 케이스(210) 사이의 기밀을 위해 상기 승강 하우징(310)의 하단에 인접한 내주면 상에는 패킹(312)이 끼워지고,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 하우징(310)이 상기 먼지 케이스(210)에서 분리되지 않게 걸림턱(314)이 형성되는 친환경 청소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로드(320)는 상기 승강 하우징(310)의 상단 외측에서부터 상기 승강 하우징(310)의 상단을 관통해 상기 승강구(212)에 끼워지며,
    상기 승강구(212)에 끼워진 상기 압력조절로드(320)의 연장단에는 상기 압력조절로드(320)의 상승 시 상기 승강 하우징(310) 내부 공기를 상기 승강구(212) 내부 측으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압력조절로드(320)의 하강 시 상기 승강구(212)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유출공(214) 및 상기 일방향 밸브(242)를 통해 상기 먼지 케이스(210) 외부로 배출시키는 헤드부(322)가 마련되는 친환경 청소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승강 하우징(310)의 외주면 상에는 이동 손잡이(332)가 장착되며,
    상기 압력조절로드(320)의 시작단에는 승강 손잡이(334)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조절로드(320)가 관통된 상기 승강 하우징(310)의 상단에는 패킹(336)이 끼워지며,
    상기 승강 하우징(310)의 상단 내측면과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상부 외측면 사이에는 승강 스프링(338)이 개재되는 친환경 청소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도부(400)는,
    일단이 상기 먼지 케이스(21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흡입관(222)에 연결되는 흡입호스; 및
    상기 흡입호스(410)의 타단 측에 장착되는 흡입노즐(420);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노즐(420)에는 상기 흡입호스(410)의 내부와 연결되는 흡입공 및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는 작동레버(422)가 장착되는 친환경 청소기.
KR1020160083399A 2016-07-01 2016-07-01 친환경 청소기 Active KR101803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399A KR101803389B1 (ko) 2016-07-01 2016-07-01 친환경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399A KR101803389B1 (ko) 2016-07-01 2016-07-01 친환경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389B1 true KR101803389B1 (ko) 2017-12-01

Family

ID=6092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399A Active KR101803389B1 (ko) 2016-07-01 2016-07-01 친환경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3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3384A (zh) * 2022-03-03 2022-05-24 常州市神霸车辆配件有限公司 一种车用部件打磨装置
TWI779403B (zh) * 2019-12-20 2022-10-0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清掃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4678A (en) 1999-03-08 2000-02-15 Solomon; Guillermo Vacuum cleaner leg exercise device
KR100885526B1 (ko) 2008-01-28 2009-02-26 하상순 압축공기 작동식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4678A (en) 1999-03-08 2000-02-15 Solomon; Guillermo Vacuum cleaner leg exercise device
KR100885526B1 (ko) 2008-01-28 2009-02-26 하상순 압축공기 작동식 진공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9403B (zh) * 2019-12-20 2022-10-0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清掃機
US11622660B2 (en) 2019-12-20 2023-04-11 Lg Electronics Inc. Cleaner
CN114523384A (zh) * 2022-03-03 2022-05-24 常州市神霸车辆配件有限公司 一种车用部件打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346902U (zh) 一种扫地机器人及其一体式水箱尘盒
US20140182078A1 (en) Vacuum Bypass Vent and Vacuums Incorporating Such Bypass Vents
US2657416A (en) Liquid separator attachment for vacuum cleaners
CN105361815B (zh) 过滤器振动装置及其自清洁方法及吸尘器
US12011137B2 (en) Vacuum apparatus including float and base-mounted motor
KR101803389B1 (ko) 친환경 청소기
US7462210B2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101002507B1 (ko)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WO2023138245A1 (zh) 污水收集组件及用于清洁机器人的基站
CN108742295B (zh) 吸尘器
JP2002286158A (ja) 電磁止水栓
CN108852151B (zh) 一种吸尘器
CN202699036U (zh) 一种新型的低噪音吸尘器
US20240237871A1 (en) Water container used for floor cleaning apparatus, and floor cleaning apparatus
CN103654614B (zh) 吸尘器
CN208988696U (zh) 立式吸尘器
CN105664655A (zh) 一种空气吸砂机
CN207194134U (zh) 一种新型污水提升器
KR100522934B1 (ko) 이불 압축 보관대의 공기 배출 밸브
CN216933000U (zh) 地面清洁设备用水容器、地面清洁设备
CN205577049U (zh) 一种清扫井
KR100736069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조립체
KR102438529B1 (ko) 배관 뚫기용 장치
KR960007462B1 (ko) 진공청소기집진실의먼지역류방지장치
KR101574689B1 (ko) 습식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