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358B1 - Concrete pil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Concrete pil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3358B1 KR101803358B1 KR1020150034200A KR20150034200A KR101803358B1 KR 101803358 B1 KR101803358 B1 KR 101803358B1 KR 1020150034200 A KR1020150034200 A KR 1020150034200A KR 20150034200 A KR20150034200 A KR 20150034200A KR 101803358 B1 KR101803358 B1 KR 1018033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nt plate
- concrete pile
- protrusion
- groove
- protrusion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콘크리트말뚝의 상단부와 상부콘크리트말뚝의 하단부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돌기 및 홈을 방사상으로 형성하거나 돌기 및 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상부이음판을 하,상부콘크리트말뚝에 볼트 결합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의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킴은 물론 중심이 일치된 하부콘크리트말뚝의 두부에 형성된 하부돌기와 상부콘크리트말뚝 선단부에 형성된 상부돌기를 연결부재로 결합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말뚝의 연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apered projection and a groove are formed in a radial shape at the upper end of a lower concrete pile and a lower end portion of an upper concrete pile or a lower and an upper joint plate in which projections and grooves are formed radially,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formed on the head of the lower concrete pile and the upper protrusions formed on the tip of the upper concrete pi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piles can be easi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pile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말뚝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콘크리트말뚝의 상단부와 상부콘크리트말뚝의 하단부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돌기 및 홈을 방사상으로 형성하거나 돌기 및 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상부이음판을 하,상부콘크리트말뚝에 볼트 결합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의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킴은 물론 중심이 일치된 하부콘크리트말뚝의 두부에 형성된 하부돌기와 상부콘크리트말뚝 선단부에 형성된 상부돌기를 연결부재로 결합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말뚝의 연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concrete p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concrete pile, in which a tapered projection and a groove are formed radially on the upper end of a lower concrete pile and a lower end of an upper concrete pile, The radial upper and lower joint plates are bolted to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piles so that the centers of the lower and upper concrete piles are easily matched and the lower protrusion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concrete pile and the upper concrete pile tip And a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pile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iles can be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최근 들어 도심지가 급격히 확대되면서 도로와 교량 등의 기간시설과 각종 건축구조물을 포함한 많은 구조물이 연약지반에 건설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지반에서는 지표면으로부터 지반강도가 큰 지지층까지의 깊이가 매우 큰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층에 전달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말뚝의 길이가 길어야 된다.Recently, as urban areas have expanded rapidly, many structures including roads and bridges such as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various building structures have been constructed on soft grounds. Since the depth from the ground to the ground is usually very large, the length of the concrete pile should be long in order to transfer the load of the structure to the support layer.
그러나 현재 생산되고 있는 콘크리트말뚝의 최대길이가 15m에 불과하기 때문에 연약지반과 같이 지지층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콘크리트말뚝을 서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하고,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의 연결은 하부콘크리트말뚝의 두부와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선단부에 결합된 금속재질의 단판을 서로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졌다.However, since the maximum length of the concrete pile currently produced is only 15 m, it is inevitable to connect the concrete piles having the same diameter to each other when the depth of the support layer is deep as in the soft ground. Was made by welding the head of the lower concrete pile and the metal plate bonded to the tip of the upper concrete pile.
그러나 용접에 의한 연결방식은, 기후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아서 바람이 불거나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용접이음이 어렵고 품질도 양호하지 못하며, 콘크리트말뚝을 시공하는 동안 용접공이 항상 대기하여야 하므로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nection method by welding is very influenced by the climatic conditions, and when the wind blows or the rain falls, the welding connection is difficult and the quality is not good, and the welding cost is increased because the welding worker always wait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pile There was a problem.
또한, 용접을 통한 연결을 위해서는 미리 콘크리트말뚝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단판을 설치해야 하므로 현장에 콘크리트말뚝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말뚝의 길이와 연결여부에 따라 여러 종류의 콘크리트말뚝을 제작해서 확보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말뚝의 재고 관리에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upply the concrete pile smoothly in the field, various types of concrete piles should be manufactured and secur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pile and whether or not the pile is connected to the concrete pil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cost is put into inventory management of the concrete pil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7194호로 콘크리트말뚝의 이음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joining device of a concrete pile has recently been register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7194.
선 등록된 특허는, 내부링의 상,하단부에 상부원판과 하부원판을 고정하고, 상기 상,하부원판 사이에 수직보강판을 고정한 이음부재를 이용해서 상,하부콘크리트말뚝을 연결하는 것으로, 이음부재의 하부원판을 하부콘크리트말뚝에 안착시켜 하부원판과 하부콘크리트말뚝의 두부를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상부원판에 상부콘크리트말뚝을 안착시켜 상부원판과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선단부를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한 후, 이음부재를 외부링으로 감싸는 구성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The prior art patent discloses that upper and lower concrete pi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a joint member in which upper and lower circular plates are fix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an inner ring and a vertical reinforcing plate is fix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ircular plates, The bottom plate of the member is placed on the lower concrete pile so that the head of the lower disk and the lower concrete pile are fastened by bolts and the upper concrete pile is placed on the upper disk and the tip of the upper disk and the upper concrete pile are fastened with bolts And then the coupling member is surrounded by the outer ring.
그러나 선 등록된 특허는, 이음부재의 하부원판과 상부원판을 각각 하부콘크리트말뚝 두부와 상부콘크리트말뚝 선단부에 볼트로 체결할 때 상부원판과 하부원판 사이의 작업공간이 협소해서 고속의 전동공구를 사용해서 볼트를 체결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상,하부원판과 상,하부콘크리트말뚝을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lower and upper plates of the joint members are bolted to the pile head of the lower concrete pile and the pile head of the upper concrete pile, the work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disks is narrow and high-speed power tools are used It is impossible to fasten the bolts, so that the work efficiency is very low and it is also difficult to firmly fix the upper and lower discs and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piles with the bolts.
또한, 상부원판에 상부콘크리트말뚝을 안착시킬 때, 상부원판에 관통된 결합공과 상부콘크리트말뚝에 형성된 PC너트를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는 작업이 어렵고, 상부원판의 결합공과 상부콘크리트말뚝의 PC너트를 볼트로 체결할 때, 상부원판의 하부에서 상부로 볼트를 체결하여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져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placing the upper concrete pile on the upper plate, it is difficult to position the PC nut formed on the upper concrete pile and the joint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circular plate on the same line, and the PC nut of the upper concrete pile, The bolts must be fasten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so that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working time is increased.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콘크리트말뚝의 두부와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선단부에 볼트 결합된 하,상부이음판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돌기 및 홈을 형성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의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말뚝의 연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l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pile of a concrete pile, which can easily match the center of a pile of an upper and lower concre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심이 일치된 하부콘크리트말뚝의 하부돌기와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상부돌기 사이에 형성된 연결홀에 연결부재를 결합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pile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upper and lower concrete piles by connecting a connection member to a connection hole formed between a lower projection of a lower concrete pile having a center and an upper projection of an upper concrete pile And a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심이 일치된 하부콘크리트말뚝의 하부돌기와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상부돌기 사이에 형성된 연결홀에 체결고정부재를 결합하면서 하부콘크리트말뚝의 하부돌기와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상부돌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고정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le pile having a lower pile of lower concrete pile and an upper pile of upper pil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concrete pile and an upper concrete pile.
본 발명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는,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하부콘크리트말뚝의 두부에 볼트 결합되면서 상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하부돌기 및 하부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이음판과;A lower joint plate having a tapered lower projection and a lower groove radial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crete pile by being bolted to a head of the lower concrete pile;
상기 하부돌기 및 하부홈에 맞물리도록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상부홈 및 상부돌기가 하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선단부에 볼트 결합되는 상부이음판과;An upper joint plate having an upper groove and an upper projection formed in a radial shape on the lower surface and being bolted to the tip of the upper concrete pile, the upper groove having a tapered shape whose side is inclined so as to engage with the lower projection and the lower groove;
상기 하부이음판의 하부홈과 상부이음판의 상부홈에 결합되는 상부돌기 및 하부돌기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동일선상으로 1/2씩 대향하게 형성된 다수의 연결홀과;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coupled to the upper groove of the lower coupling plate and the upper groove of the upper coupling plate,
상기 하부돌기와 상부돌기에 걸리면서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이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홀에 결합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nd a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so as to connect the lower and upper concrete piles while being caught by the lower projection and the upper projection.
본 발명 콘크리트말뚝의 연결방법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하부돌기 및 하부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이음판을 하부콘크리트말뚝의 두부에 볼트 결합하는 단계와;A lower joint plate having a tapered lower projection and a lower groove radial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pile;
상기 하부이음판의 하부돌기 및 하부홈에 맞물리도록 하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상부홈 및 상부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상부이음판을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선단부에 볼트 결합하는 단계와;Coupling the upper joint plate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e, the upper joint plate having a tapered upper groove and an upper protrusion radi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joint plat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wer protrusion and the lower groove;
상기 하부이음판의 하부홈과 상부이음판의 상부홈에 상부돌기 및 하부돌기가 결합되면서 상부돌기와 하부돌기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1/2씩 대향하게 연결홀을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upper and lower protrusions in the lower groove of the lower joint plate and the upper groove of the upper joint plate so that the coupling members are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pper protrusions and the lower protrusions, Wow;
상기 연결홀에 연결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하부돌기와 상부돌기에 걸리면서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nd a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is engaged with the lower projection and the upper projection to connect the lower and upper concrete piles.
본 발명에 의하면, 하,상부콘크리트말뚝에 볼트 결합되는 하,상부이음판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돌기 및 홈을 형성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의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and upper joint plates, which are bolted to the lower and upper concrete piles, are formed with tapered projections and grooves having side slopes, the centers of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piles can be easily matched, It is possible to have an advantage that it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이 일치된 하부콘크리트말뚝의 하부돌기와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상부돌기를 연결부재로 손쉽게 결합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을 연결함으로써, 연결된 말뚝의 구조적 성능 유지 및 신속한 작업으로 말뚝 연결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lower projection of the lower concrete pile having the center and the upper projection of the upper concrete pile to the connecting member,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pi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have an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of the connection work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이 일치된 하부콘크리트말뚝의 하부돌기와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상부돌기 사이에 형성된 연결홀에 체결고정부재를 결합하면서 하부콘크리트말뚝의 하부돌기와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상부돌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고정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을 연결함으로써, 연결된 말뚝의 구조적 성능 유지 및 신속한 작업으로 말뚝 연결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lower protrusion of the lower concrete pile and the upper protrusion of the upper concrete pile while coupling the fastening and fixing member to the connection hole formed between the lower protrusion of the lower concrete pile and the upper protrusion of the upper concrete pile,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connected pil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ile connection work by a quick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하,상부이음판을 보강밴드로 보강하는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하,상부이음판을 보강밴드로 보강하는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부분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하,상부이음판을 보강밴드로 보강하는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부분단면도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 보강밴드의 단부를 나타낸 도면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and upper joint plate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inforced by a reinforcing band,
Fig. 4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Fig.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and upper joint plate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inforced by a reinforcing band,
8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Fig. 7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Fig. 9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and upper joint plates of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inforced by a reinforcing band;
12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Fig. 11
13 to 14 are views showing the end portions of the reinforcing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100)는, 하부콘크리트말뚝(10)의 두부에 볼트(S) 결합되면서 상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이음판(11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에 맞물리도록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상부홈(121) 및 상부돌기(122)가 하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콘크리트말뚝(20)의 선단부에 볼트(S) 결합되는 상부이음판(120)이 구성되며, 상기 하부이음판(110)의 하부홈(112)과 상부이음판(120)의 상부홈(121)에 결합되는 상부돌기(122) 및 하부돌기(11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결부재(140)가 결합되도록 동일선상으로 1/2씩 대향하게 형성된 다수의 연결홀(13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돌기(111)와 상부돌기(122)에 걸리면서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이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홀(13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crete
상기 볼트(S)가 결합되도록 하부이음판(110)의 하부돌기(111)와 하부홈(112) 및 상부이음판(120)의 상부홈(121)과 상부돌기(122)에 형성되는 통공(S')은 볼트(S) 머리부가 상,하부이음판(110)(1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하부이음판(110)의 하면 및 상부이음판(120)의 상면에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두부와 선단부로 돌출된 PC너트를 수용하는 수용홈(110')(120')이 형성된다.A receiving
상기 연결홀(130)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관통된 통공이거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고, 상기 연결부재(140)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봉이거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이다.The
또한,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연결보강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보강부(150)는, 상기 하,상부돌기(111)(122)의 외주면에 테이퍼진 단면으로 돌출되는 보강돌기(151)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돌기(151)를 감싸 수용하도록 내주면에 돌기결합홈(153)이 요입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연결홀(130)과 동일선상으로 통공(154)이 관통된 보강밴드(15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상기 보강밴드(152) 단부는 수직 또는 경사지면서 1/2씩 대향하게 통공(154)이 관통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 portions of the reinforcing
상기 하부이음판(110)과 하부콘크리트말뚝(10) 및 상부이음판(120)과 상부콘크리트말뚝(20)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제작 및 시공과정을 설명한다.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 하부돌기(11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결홀(130)의 1/2이 형성된 하부이음판(110)과, 하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상부홈(121) 및 상부돌기(122)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 상부돌기(12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결홀(130)의 1/2이 형성된 상부이음판(120)을 각각 형성한 후,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을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두부 및 선단부에 각각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에 관통된 통공(S')은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PC너트(미도시)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야 하며, 상기 PC너트(미도시)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10')(120')이 하부이음판(110)의 하면 및 상부이음판(120)의 상면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2, a tapered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의 통공(S')이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PC너트(미도시)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면, 상기 통공(S')으로 볼트(S)를 결합하여 PC너트(미도시)에 체결함으로써 하,상부이음판(110)(120)을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에 고정시키며, 상기 볼트(S)가 결합되는 통공(S')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볼트(S) 머리부가 하,상부이음판(110)(1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rough holes S 'of the lower and
여기서, 상기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 제작 시, 하,상부이음판(110)(120)을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upper and
상기의 과정으로 하,상부이음판(110)(120)이 결합된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을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콘크리트말뚝(10)을 말뚝 연결용 천공홀에 삽입한 후, 상기 하부콘크리트말뚝(10)에 상부콘크리트말뚝(20)을 연결시키려면, 상기 상부콘크리트말뚝(20)을 크레인과 같은 장비로 인양한 상태에서 하부콘크리트말뚝(10)에 안착시킨다.The upper and
이때, 상기 하부이음판(110) 상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에 상부이음판(120) 하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상부홈(121) 및 상부돌기(122)가 용이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하부돌기(111)와 상부돌기(12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1/2씩 형성되어 맞물린 연결홀(13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콘크리트말뚝(10)과 하부이음판(110) 및 상부콘크리트말뚝(20)과 상부이음판(120)을 고정시킨 볼트(S)는 하부돌기(111)와 하부홈(112) 및 상부홈(121)과 상부돌기(122)에 다단으로 형성된 통공(S')에 볼트(S) 머리부가 결합되면서 하,상부이음판(110)(1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하,상부돌기(111)(122)는 상,하부홈(121)(112)에 면접촉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상기 상,하부홈(121)(112)에 하,상부돌기(111)(122)가 결합되면서 형성된 연결홀(130)에 연결부재(140)를 결합하면, 상기 연결부재(140)에 의해 하,상부돌기(111)(122)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여기서, 상기 연결홀(130)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관통된 통공일 경우, 상기 연결부재(140)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봉을 억지끼움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홀(130)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일 경우, 상기 연결부재(14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를 체결공에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또한,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의 연결상태를 연결보강부(150)로 보강할 수 있는데, 이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이음판(110)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에 상부이음판(120)의 상부홈(121) 및 상부돌기(122)가 결합되면서 하,상부돌기(111)(12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결홀(130)이 형성된 상태에서 하,상부돌기(111)(122)의 외주면을 따라 테이퍼진 단면으로 돌출된 보강돌기(151)를 보강밴드(152)로 감싸는데, 상기 보강돌기(151)는 보강밴드(152) 내면에 요입된 돌기결합홈(153)이 수용함과 동시에 보강밴드(152)에 관통된 통공(154)은 연결홀(130)과 연통되어야 한다.3 to 4, the lower
여기서, 상기 보강밴드(152)의 단부는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구비되고 1/2씩 형성되어 맞물린 통공(154)에 연결부재(140)를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밴드(152)는, 하,상부이음판(110)(120)에 결합되었을 때, 보강밴드(152)의 두께만큼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나, 하,상부이음판(110)(120)의 직경을 보강밴드(152)의 두께만큼 줄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외주면으로 보강밴드(152)가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13 to 14, the ends of the reinforcing
이때, 상기 보강밴드(152)는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형성한 후, 통공(154)을 통해 연결홀(130)에 연결부재(140)를 결합하여 보강밴드(152)와 하,상부이음판(110)(120)을 고정하면서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의 외주면에 돌출된 보강돌기(151)에 상기 보강밴드(152) 내주면에 요입된 돌기결합홈(153)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연결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reinforcing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100')는, 하부콘크리트말뚝(10)의 두부에 볼트(S) 결합되면서 상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이음판(11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에 맞물리도록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테의 상부홈(121) 및 상부돌기(122)가 하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콘크리트말뚝(20)의 선단부에 볼트(S) 결합되는 상부이음판(120)이 구성되며, 상기 하부이음판(110)의 하부홈(112)과 상부이음판(120)의 상부홈(121)에 결합되는 상부돌기(122) 및 하부돌기(111)의 외주면에 연결부재(140)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결홀(130)과 통공(154)이 연통되도록 하,상부이음판(110)(120)을 보강밴드(152)로 감싸 보강하는 연결보강부(150)가 구성되고, 상기 보강밴드(152)에 관통된 통공(154) 및 연결홀(130)에 결합되면서 통공(154) 및 하부돌기(111)와 상부돌기(122)에 걸려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5, the concrete pile connecting device 100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apered bottom portion that is bolted to the top of the lower
상기 볼트(S)가 결합되도록 하부이음판(110)의 하부돌기(111)와 하부홈(112) 및 상부이음판(120)의 상부홈(121)과 상부돌기(122)에 형성되는 통공(S')은 볼트(S) 머리부가 상,하부이음판(110)(1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하부이음판(110)의 하면 및 상부이음판(120)의 상면에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두부와 선단부로 돌출된 PC너트를 수용하는 수용홈(110')(120')이 형성된다.A receiving
상기 연결홀(130)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관통된 통공이거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고, 상기 연결부재(140)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봉이거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이다.The
또한, 상기 연결보강부(150)는, 상기 하,상부돌기(111)(122)의 외주면에 테이퍼진 단면으로 돌출되는 보강돌기(151)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돌기(151)를 감싸 수용하도록 내주면에 돌기결합홈(153)이 요입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연결홀(130)과 동일선상으로 통공(154)이 관통된 보강밴드(15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상기 보강밴드(152) 단부는 수직 또는 경사지면서 1/2씩 대향하게 통공(154)이 관통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 portions of the reinforcing
상기 하부이음판(110)과 하부콘크리트말뚝(10) 및 상부이음판(120)과 상부콘크리트말뚝(20)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lower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제작 및 시공과정을 설명한다.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돌기(111) 외주면에 연결홀(130)이 형성된 하부이음판(110)과, 하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상부홈(121) 및 상부돌기(122)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돌기(122) 외주면에 연결홀(130)이 형성된 상부이음판(120)을 각각 형성한 후,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을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두부 및 선단부에 각각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에 관통된 통공(S')은,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PC너트(미도시)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야 하며, 상기 PC너트(미도시)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10')(120')이 하부이음판(110)의 하면 및 상부이음판(120)의 상면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6, a tapered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의 통공(S')이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PC너트(미도시)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면, 상기 통공(S')으로 볼트(S)를 결합하여 PC너트(미도시)에 체결함으로써, 하,상부이음판(110)(120)을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에 고정시키며, 상기 볼트(S)가 결합되는 통공(S')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볼트(S) 머리부가 하,상부이음판(110)(1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rough holes S 'of the lower and upper
여기서, 상기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 제작 시, 하,상부이음판(110)(120)을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상기의 과정으로 하,상부이음판(110)(120)이 결합된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을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콘크리트말뚝(10)을 말뚝 연결용 천공홀에 삽입한 후, 상기 하부콘크리트말뚝(10)에 상부콘크리트말뚝(20)을 연결시키려면, 상기 상부콘크리트말뚝(20)을 크레인과 같은 장비로 인양한 상태에서 하부콘크리트말뚝(10)에 안착시킨다.The upper and lower
이때, 상기 하부이음판(110) 상면에 위치한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에 상부이음판(120) 하면에 위치한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상부홈(121) 및 상부돌기(122)가 용이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콘크리트말뚝(10)과 하부이음판(110) 및 상부콘크리트말뚝(20)과 상부이음판(120)을 고정시킨 볼트(S)는 하부돌기(111)와 하부홈(112) 및 상부홈(121)과 상부돌기(122)에 다단으로 형성된 통공(S')에 볼트(S) 머리부가 결합되면서 하,상부이음판(110)(1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하,상부돌기(111)(122)는 상,하부홈(121)(112)에 면접촉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 tapered
상기 하부이음판(110)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에 상부이음판(120)의 상부홈(121) 및 상부돌기(122)가 결합되면,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을 연결보강부(150)의 보강밴드(152)로 감싸는데, 상기 보강밴드(152)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상부돌기(111)(122)의 외주면을 따라 테이퍼진 단면으로 돌출된 보강돌기(151)를 감쌈과 동시에 보강밴드(152) 내주면에 요입된 돌기결합홈(153)이 보강돌기(151)를 수용하면서 보강밴드(152)에 관통된 통공(154)은 연결홀(130)과 연통되어야 한다.When the
여기서, 상기 보강밴드(152)의 단부는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구비되고, 1/2씩 형성되어 맞물린 통공(154)에 연결부재(140)를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밴드(152)는, 하,상부이음판(110)(120)에 결합되었을 때, 보강밴드(152)의 두께만큼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12)의 외주면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나, 하,상부이음판(110)(120)의 직경을 보강밴드(152)의 두께만큼 줄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외주면으로 보강밴드(152)가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13 to 14, the end of the reinforcing
이때, 상기 보강밴드(152)는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형성한 후, 통공(154)을 통해 연결홀(130)에 연결부재(140)를 결합하여 보강밴드(152)와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에 고정하면서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의 외주면에 돌출된 보강돌기(151)에 상기 보강밴드(152) 내주면에 요입된 돌기결합홈(153)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연결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 reinforcing
여기서, 상기 연결홀(130)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관통된 통공일 경우, 상기 연결부재(140)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봉을 억지끼움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홀(130)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일 경우, 상기 연결부재(14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를 체결공에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100")는, 하부콘크리트말뚝(10)의 두부에 볼트(S) 결합되면서 상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이음판(110)이 구성되고, 상부콘크리트말뚝(20)의 선단부에 볼트(S) 결합되면서 상기 하부이음판(110)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에 맞물리도록 하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상부홈(121) 및 상부돌기(122)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상부이음판(120)이 구성되며, 상기 하부이음판(110)의 하부홈(112)과 상부이음판(120)의 상부홈(121)에 결합되는 상부돌기(122) 및 하부돌기(11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체결고정부재(170)가 결합되도록 1/2씩 대향하게 형성된 연결홀(160)이 구성되고, 상기 연결홀(160)에 연통되면서 하부이음판(110)의 하부돌기(111) 내측 및 상부이음판(120)의 상부돌기(122) 내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180)에 단부의 나사산(171)을 체결고정하여 하부이음판(110)과 상부이음판(120)을 연결하는 체결고정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9, the concrete pile connecting device 100 ''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bolt (S) coupled to a head portion of a lower concrete pile 10, and a tapered A lower joint plate 110 is formed in which the lower projection 111 and the lower groove 112 are radially formed and a bolt S is coupled to a tip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e 20, The upper joint 120 and the upper joint 122 are formed such that the upper groove 121 and the upper projection 122 are radi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joint 112 to be engaged with the projections 111 and the lower groove 112, A fastening fastening member 170 is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pper protrusion 122 and the lower protrusion 111 which are coupled to the lower groove 112 of the joint plate 110 and the upper groove 121 of the upper joint plate 120, A coupling hole 160 is formed to be opposite to the coupling hole 160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lower coupling plate 11 The threaded portion 171 of the end portion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astening hole 180 formed in either the lower protrusion 111 of the upper joint 120 or the upper protrusion 122 of the upper joint 120, And a fastening and fixing member 170 that connects the upper joint plate 120 and the upper joint plate 120. The
상기 볼트(S)가 결합되도록 하부이음판(110)의 하부돌기(111)와 하부홈(112) 및 상부이음판(120)의 상부홈(121)과 상부돌기(122)에 형성되는 통공(S')은 볼트(S) 머리부가 상,하부이음판(110)(2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하부이음판(110)의 하면 및 상부이음판(120)의 상면에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두부와 선단부로 돌출된 PC너트를 수용하는 수용홈(110')(120')이 형성된다.A receiving
상기 연결홀(160)은, 원통형 또는 입구보다 체결공(180)이 형성된 내측이 좁도록 경사진 테이퍼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The
상기 체결고정부재(170)는, 원통형 또는 볼트머리가 형성된 단부보다 나사산(171)이 형성된 단부가 좁도록 경사진 테이퍼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The fastening and fixing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제작 및 시공과정을 설명한다.Next, 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 하부돌기(11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결홀(160)의 1/2이 형성된 하부이음판(110)과, 하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상부홈(121) 및 상부돌기(122)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 상부돌기(12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결홀(160)의 1/2이 형성된 상부이음판(120)을 각각 형성한 후,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을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두부 및 선단부에 각각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에 관통된 통공(S')은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PC너트(미도시)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야 하며, 상기 PC너트(미도시)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10')(120')이 하부이음판(110)의 하면 및 상부이음판(120)의 상면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10, a tapered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의 통공(S')이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PC너트(미도시)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면, 상기 통공(S')으로 볼트(S)를 결합하여 PC너트(미도시)에 체결함으로써 하,상부이음판(110)(120)을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에 고정시키며, 상기 볼트(S)가 결합되는 통공(S')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볼트(S) 머리부가 하,상부이음판(110)(1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rough holes S 'of the lower and upper
여기서, 상기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 제작 시, 하,상부이음판(110)(120)을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상기의 과정으로 하,상부이음판(110)(120)이 결합된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을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콘크리트말뚝(10)을 말뚝 연결용 천공홀에 삽입한 후, 상기 하부콘크리트말뚝(10)에 상부콘크리트말뚝(20)을 연결시키려면, 상기 상부콘크리트말뚝(20)을 크레인과 같은 장비로 인양한 상태에서 상부콘크리트말뚝(20)을 하부콘크리트말뚝(10)에 안착시킨다.The upper and lower
이때, 상기 하부이음판(110) 상면에 위치한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에 상기 상부이음판(120) 하면에 위치한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상부홈(121) 및 상부돌기(122)가 용이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하부돌기(111)와 상부돌기(12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1/2씩 형성되어 맞물린 연결홀(16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콘크리트말뚝(10)과 하부이음판(110) 및 상부콘크리트말뚝(20)과 상부이음판(120)을 고정시킨 볼트(S)는 하부돌기(111)와 하부홈(112) 및 상부홈(121)과 상부돌기(122)에 다단으로 형성된 통공(S')에 볼트(S) 머리부가 결합되면서 하,상부이음판(110)(1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하,상부돌기(111)(122)는 상,하부홈(121)(112)에 면접촉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상기 상,하부홈(121)(112)에 하,상부돌기(111)(122)가 결합되면서 형성된 연결홀(160)에 체결고정부재(170)를 결합하고, 상기 체결고정부재(170)의 볼트 머리부를 별도의 공구로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고정부재(170)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171)이 하부이음판(110)의 하부돌기(111) 내측 및 상부이음판(120)의 상부돌기(122) 내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180)에 체결고정됨으로써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이 연결되는 것이다.The
여기서, 상기 연결홀(160)은 원통형 또는 입구보다 체결공(180)이 형성된 내측이 좁도록 경사진 테이퍼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고정부재(170)는 원통형 또는 볼트 머리부보다 나사산(171)이 형성된 단부가 좁도록 경사진 테이퍼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의 연결상태를 연결보강부(150)로 보강할 수 있는데, 이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이음판(110)의 하부돌기(111) 및 하부홈(112)에 상부이음판(120)의 상부홈(121) 및 상부돌기(122)가 결합되면서 하,상부돌기(111)(12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결홀(160)이 형성된 상태에서 하,상부돌기(111)(122)의 외주면을 따라 테이퍼진 단면으로 돌출된 보강돌기(151)를 보강밴드(152)로 감싸는데, 상기 보강돌기(151)는 보강밴드(152) 내면에 요입된 돌기결합홈(153)이 수용함과 동시에 보강밴드(152)에 관통된 통공(154)은 연결홀(160)과 연통되어야 한다.11 to 12,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connecting state of the lower and
여기서, 상기 보강밴드(152)의 단부는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구비되고, 1/2씩 형성되어 맞물린 통공(154)에 체결고정부재(170)를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밴드(152)는, 하,상부이음판(110)(120)에 결합되었을 때, 보강밴드(152)의 두께만큼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나, 하,상부이음판(110)(120)의 직경을 보강밴드(152)의 두께만큼 줄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외주면으로 보강밴드(152)가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13 to 14, the end of the reinforcing
이때, 상기 보강밴드(152)는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형성한 후, 통공(154)을 통해 연결홀(160)에 체결고정부재(170)를 결합하고, 상기 체결고정부재(170)의 볼트 머리부를 별도의 공구로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고정부재(170)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171)이 하부이음판(110)의 하부돌기(111) 내측 및 상부이음판(120)의 상부돌기(122) 내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180)에 체결고정되어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을 연결함으로써,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연결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The reinforcing
여기서, 상기 연결홀(160)은 원통형 또는 입구보다 체결공(180)이 형성된 내측이 좁도록 경사진 테이퍼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고정부재(170)는 원통형 또는 볼트 머리부보다 나사산(171)이 형성된 단부가 좁도록 경사진 테이퍼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의 과정으로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이 결합되어 형성된 연결홀(130)에 연결부재(140)를 결합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을 연결할 수도 있고,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을 보강밴드(152)로 감싼 상태에서 보강밴드(I52)의 통공(154)과 연결홀(130)을 연결부재(140)로 결합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을 연결할 수도 있고,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이 결합되어 형성된 연결홀(160)에 체결고정부재(170)를 결합 및 체결하여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을 연결할 수도 있고, 상기 하,상부이음판(110)(120)을 보강밴드(152)로 감싼 상태에서 보강밴드(152)의 통공(154)과 연결홀(160)에 체결고정부재(170)를 를 결합 및 체결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The upper and lower
상기의 방법으로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을 연결한 후, 상부콘크리트말뚝(20)에 인발력이 작용하면, 하,상부이음판(110)(120)에 작용하는 인발력으로 인해 보강밴드(152)에 원주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는데, 이때, 보강밴드(152)의 단부에 관통된 통공(154)을 통해 연결홀(130)에 체결된 연결부재(140)가 보강밴드(152)의 원주방향 벌어짐에 저항하고, 원주방향 인장력에 의한 연결부재(140) 상,하부에 위치하는 보강밴드(152) 단부의 상하변위는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에 의해 억제되어 보강밴드(152)에 의한 보강돌기(151)의 결합력을 유지하므로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체결고정부재(170)는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을 기준으로 외주면 부분이 넓고 내주면 부분이 좁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외주면에 발생하는 응력저항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하,상부콘크리트말뚝(10)(20)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hraseology and terminology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in terms of meaning and concep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0,100',100":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110: 하부이음판 111: 하부돌기
112: 하부홈 120: 상부이음판
121: 상부홈 122: 상부돌기
130, 160: 연결홀 140: 연결부재
150: 연결보강부100,100 ', 100 ": Concrete pile connection device
110: lower joint plate 111: lower projection
112: lower groove 120: upper joint plate
121: upper groove 122: upper projection
130, 160: connection hole 140: connection member
150:
Claims (19)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선단부에 볼트 결합되면서 상기 하부이음판의 하부돌기 및 하부홈에 맞물리도록 하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상부홈 및 상부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에 볼트 머리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통공이 다단으로 형성된 상부이음판과;
상기 하부이음판의 하부홈과 상부이음판의 상부홈에 결합되는 상부돌기 및 하부돌기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체결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1/2씩 대향되게 형성되면서 입구보다 체결공이 형성된 내측이 좁도록 경사진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홀과;
상기 연결홀에 연통되면서 하부이음판의 하부돌기 내측 및 상부이음판의 상부돌기 내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에 단부의 나사산을 체결고정하여 하부이음판과 상부이음판을 연결하면서 볼트 머리부보다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가 좁도록 경사진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A lower joint plate having bolts joined to the head of the lower concrete pile and having a tapered lower projection and a lower groove radial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crete pil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lower projection;
A tapered upper groove and an upper projection are radi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joint plat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wer projection and the lower groove of the upper joint pile while being bol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e, An upper join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are coupled to the lower groove of the lower joint plate and the upper groove of the upper joint plate so that the fastening and fixing members are engaged with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A connection hole formed in a tapered shape;
The lower joint plate and the upper joint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thread of the end portion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joint hole formed in one of the inside of the lower protrusion of the lower joint plate and the inside of the upper protrusion of the upper joint plate, And a fastening and fixing member formed in a tapered shape that is inclined so that the threaded end is narrowed.
상기 하부이음판의 하면 및 상부이음판의 상면에 하,상부콘크리트말뚝의 두부와 선단부로 돌출된 PC너트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joint plate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joint plate to receive a PC nut protruding from a hea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piles.
상기 하부이음판과 하부콘크리트말뚝 및 상부이음판과 상부콘크리트말뚝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wer joint plate, the lower concrete pile, the upper joint plate, and the upper concrete pile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하부이음판의 하부돌기 및 하부홈에 맞물리도록 하면에 측면이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상부홈 및 상부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홈 및 상부돌기에 볼트 머리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통공이 다단으로 형성된 상부이음판을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선단부에 볼트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이음판의 하부홈과 상부이음판의 상부홈에 상부돌기 및 하부돌기가 결합되면서 상부돌기 및 하부돌기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체결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1/2씩 대향되게 형성되면서 입구보다 체결공이 형성된 내측이 좁도록 경사진 테이퍼 형태의 연결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홀로 볼트 머리부보다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가 좁도록 경사진 테이퍼 형태로 형성된 체결고정부재를 결합하면서 하부이음판의 하부돌기 내측 및 상부이음판의 상부돌기 내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고정하여 하부이음판과 상부이음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말뚝 연결방법.
A lower joint plate having a tapered lower protrusion and a lower groove radial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o that the bolt head does not protrude from the lower protrusion and the lower groove, ;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are radially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a side surface is sloped to be engaged with a lower protrusion and a lower groove of the lower joint plate. Bolting the formed upper joint plate to the leading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e;
The upper protrusions and the lower protrusions are coupled to the lower groove of the lower joint plate and the upper groove of the upper joint plate so tha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pper protrusions and the lower protrusions are opposed to each other by 1/2, Forming a connection hole having a tapered shape inclined so that an inside of the fastening hole is narrowed;
And a fastening fastening member formed in a tapered shape inclined so that an end of the threaded portion is narrower than the bolt head by the connection hole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any one of the inside of the lower protrusion of the lower joint plate and the inside of the upper protrusion of the upper joint plate And connecting the lower joint plate to the upper joint plate.
상기 하부이음판 및 상부이음판에 하부콘크리트말뚝의 두부 및 상부콘크리트말뚝의 선단부로 돌출되는 PC너트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말뚝 연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lower joint plate and the upper joint plate are formed with receiv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PC nut projected from the head portion of the lower concrete pile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concrete p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33684 | 2014-03-21 | ||
KR1020140033684 | 2014-03-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0336A KR20150110336A (en) | 2015-10-02 |
KR101803358B1 true KR101803358B1 (en) | 2017-12-28 |
Family
ID=5434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4200A KR101803358B1 (en) | 2014-03-21 | 2015-03-12 | Concrete pil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3358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7844A (en) * | 2019-09-03 | 2021-03-11 | 주식회사 파일웍스 | Pile connection apparatus and Pile connection method for using it |
KR102268685B1 (en) | 2020-09-01 | 2021-06-22 | 윤철희 | Vibration control pile |
KR20210144154A (en) | 2020-05-21 | 2021-11-30 | 진 영 이 | Pile connection assistance apparatus |
KR102465683B1 (en) | 2021-11-17 | 2022-11-11 | 김병철 | Coupling apparatus for non-welding of pi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1123B1 (en) * | 2016-02-12 | 2017-02-01 | 김민각 | Fixture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and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using the same |
KR101930725B1 (en) | 2017-04-18 | 2018-12-19 | 디에이치기초건설(주) | Connecting apparatus kit for Concrete Pile ends |
KR200490635Y1 (en) * | 2017-10-20 | 2019-12-09 | (주)성심씨앤엠 | Connection Device For Ground Reinforced File |
KR101983287B1 (en) * | 2018-06-12 | 2019-05-28 | 주식회사 택한 | PHC pile connector |
CN111501736A (en) * | 2020-05-13 | 2020-08-07 | 广东毅马集团有限公司 | Lock catch type connecting welding-free tubular pile end plate |
CN111676964B (en) * | 2020-08-01 | 2022-03-11 | 江苏城工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 Uplift pile convenient to install |
KR102439854B1 (en) * | 2020-08-24 | 2022-09-02 | 주식회사 파일웍스 | Connecting device for PHC pile |
KR102529767B1 (en) * | 2021-10-05 | 2023-06-20 | 백예승 | Connecting device for PHC pile |
CN114837310A (en) * | 2022-06-08 | 2022-08-02 | 广东三和管桩股份有限公司 | Connector, end plate and method of use of fully threaded precast concrete member |
CN114837309A (en) * | 2022-06-08 | 2022-08-02 | 广东三和管桩股份有限公司 | Connector, end plate of precast concrete member and method of us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07117A (en) * | 2005-01-25 | 2006-08-10 | Orimoto Takumi Kozo Sekkei Kenkyusho:Kk | Joining structure of steel pipe pile |
JP2013040536A (en) * | 2011-08-19 | 2013-02-28 | Asahi Kasei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 Steel pipe pile connection structure |
-
2015
- 2015-03-12 KR KR1020150034200A patent/KR1018033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07117A (en) * | 2005-01-25 | 2006-08-10 | Orimoto Takumi Kozo Sekkei Kenkyusho:Kk | Joining structure of steel pipe pile |
JP2013040536A (en) * | 2011-08-19 | 2013-02-28 | Asahi Kasei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 Steel pipe pile connection structur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7844A (en) * | 2019-09-03 | 2021-03-11 | 주식회사 파일웍스 | Pile connection apparatus and Pile connection method for using it |
WO2021045261A1 (en) * | 2019-09-03 | 2021-03-11 | 백기원 | Pile connecting device and pile connecting method using same |
KR102279242B1 (en) * | 2019-09-03 | 2021-07-16 | 주식회사 파일웍스 | Pile connection apparatus and Pile connection method for using it |
KR20210144154A (en) | 2020-05-21 | 2021-11-30 | 진 영 이 | Pile connection assistance apparatus |
KR102268685B1 (en) | 2020-09-01 | 2021-06-22 | 윤철희 | Vibration control pile |
KR102465683B1 (en) | 2021-11-17 | 2022-11-11 | 김병철 | Coupling apparatus for non-welding of pi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0336A (en) | 2015-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3358B1 (en) | Concrete pil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 |
KR100835778B1 (en) | Detachable joint device of concrete pile | |
KR100835777B1 (en) | Joint of concrete pile and steel pipe pile | |
KR100838484B1 (en) | Rebar binding device for reinforcing steel pipe pile tofu | |
KR101418978B1 (en) | Structure of pile coupling | |
KR101207092B1 (en) | A joint apparatus of concrete pile for foundation work | |
KR101945369B1 (en) | Connecting device for PHC p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EP2857614A1 (en) | Concrete tower formed with precast pieces | |
KR20110044720A (en) | Ikyung Compound Pile | |
KR100692082B1 (en) | PHC File Association | |
KR101521263B1 (en) | Phc pile joint | |
KR101498480B1 (en) | Fixture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and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using the same | |
KR20100086162A (en) | Attachable and detachable joint apparatus of steelpipepile and concretepile for foundation work | |
KR101867356B1 (en) | Connecting apparatus of composit pile | |
KR101701123B1 (en) | Fixture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and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using the same | |
KR101318937B1 (en) | Coupling apparatus of pile | |
KR20180007292A (en) | Connecting device for PHC pile | |
JP4175737B2 (en) | How to connect piles | |
KR101773434B1 (en) | Coupling device for concrete and steel File | |
KR101577727B1 (en) | PHC pile joint and join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726278B1 (en) | Coupling structure for PHC file | |
CN103422702A (en) | Prestressed concrete rod section with two ends in inner flange connection | |
KR101207194B1 (en) | A joint apparatus of concrete pile for foundation work | |
KR101171285B1 (en) | Attachable joint apparatus of the different sized pile for foundation work | |
KR20140102078A (en) | Lifting loop set for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3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